KR102537587B1 - 셔터 밀림방지 기능을 갖는 모듈러 잭 - Google Patents

셔터 밀림방지 기능을 갖는 모듈러 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587B1
KR102537587B1 KR1020200172673A KR20200172673A KR102537587B1 KR 102537587 B1 KR102537587 B1 KR 102537587B1 KR 1020200172673 A KR1020200172673 A KR 1020200172673A KR 20200172673 A KR20200172673 A KR 20200172673A KR 102537587 B1 KR102537587 B1 KR 102537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plug
shutter member
mounting hole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3008A (ko
Inventor
신영설
Original Assignee
엘에스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2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587B1/ko
Publication of KR20220083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3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셔터 밀림방지 기능을 갖는 모듈러 잭에 관한 것이다. 이는, 전방을 향하는 수직의 사각판형 받침평면부, 받침평면부의 내부 영역에 위치하며 전방으로 개방되고 통신케이블의 플러그가 끼워지는 플러그장착구를 제공하는 접속블록과, 플러그장착구의 양측부에 위치하며 받침평면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호 평행한 한 쌍의 선형받침부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후방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접속단자부와; 본체부의 전방에 장착되고, 플러그장착구를 전방으로 개방하는 삽입통로를 갖는 커버부와; 삽입통로와 플러그장착구의 사이에 위치하며, 승강운동을 통해 플러그장착구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것으로서, 접속블록의 받침평면부에 면접 지지됨과 아울러 선형받침부의 사이에 수용되는 내측셔터부재, 내측셔터부재의 전면에 부분적으로 포개어지고 폭방향 양단부가 선형받침부에 걸쳐져 지지되는 외측셔터부재를 갖는 셔터부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셔터 밀림방지 기능을 갖는 모듈러 잭은, 내부에 구비되는 접속블록을 이용해 셔터부의 승강운동을 가이드 함은 물론, 셔터부를 전방으로 받쳐 지지하므로 셔터부가 외력에 의해 안쪽으로 밀려들어가지 않아 그만큼 내구성이 양호하다.

Description

셔터 밀림방지 기능을 갖는 모듈러 잭{Modular jack with shutter retracting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은 각종 통신장비의 케이블 플러그가 끼워지는 모듈러 잭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러그 장착구의 셔터가 외력에 의해 안으로 밀려들어가지 않는 구조의, 셔터 밀림방지 기능을 갖는 모듈러 잭에 관한 것이다.
근래 건축되는 건물의 벽체 내부에는 전력선 이외에도 통신관련 케이블이 배선되기 마련이다. 통신용 케이블은, 컴퓨터는 물론 스마트TV, 유선전화기, 팩시밀리 등과 같은 다양한 장비(이하, 통신장비)와 접속되며, 통신장비가 외부와 데이터통신이나 음성통신을 할 수 있게 한다.
통신장비를 케이블에 접속시키기 위하여, 벽체에 매설된 통신용 케이블의 말단에는 모듈러잭이 연결되고, 모듈러잭은 벽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모듈러잭은 통신장비에 연결된 케이블 플러그가 끼워지는, 말하자면 접속용 콘센트로서, 별도의 고정용 브라켓을 통해 벽에 매립 고정되고, 전면에는, 실내를 향해 개방된 플러그통로를 갖는다. 플러그통로는 케이블 플러그가 끼워지는 통로이다. 케이블 플러그는, 통신장비 자체의 통신선 말단에 고정되어 있는 접속구로서, 플러그통로를 통해 모듈러잭에 끼워져 접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플러그통로에는 셔터가 장착된다. 셔터는, 플러그통로를 개폐 가능하게 차단하여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이 모듈러잭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작업자는 셔터를 손끝으로 밀어 올려 플러그통로를 개방한 상태로 플러그를 끼운다.
그런데 종래의 모듈러잭은, 셔터의 구조가 약하여, 셔터가 외력에 의해 모듈러잭 안쪽으로 밀려들어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즉 셔터가 승하강 경로에서 이탈하여 정상적인 개폐 동작을 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모듈러잭의 안쪽으로 밀려들어간 셔터 파편을 꺼낼 수 없는 경우에는, 모듈러잭 자체를 교체할 수밖에 없다.
이와 관련된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946728호 (셔터기능이 구비된 모듈러잭)가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모듈러잭은, 내부에 회로기판이 장착되고 전방측에는 내부에 커넥터핀이 배치된 핀하우징이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핀하우징에는 전방으로 개구된 플러그삽입구가 형성된 본체부; 직립한 판 형상의 상부셔터판과 하부셔터판으로 이루어져 돌출된 핀하우징의 전방면에 장착되고 상하로 슬라이딩 동작하면서 플러그삽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셔터부 및 후방으로 개구된 하우징삽입홈이 내부에 형성되어 셔터부를 사이에 두고 핀하우징을 둘러싸는 형태로 본체부의 전방측에 결합되며 플러그삽입구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전방으로 개구된 플러그삽입공이 형성된 커버부를 포함하고, 핀하우징은 전방면 양측에 측방으로 돌출되어 상하로 연장된 레일바가 각각 형성되고 레일바의 하단에는 제1하향제한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부셔터판은 양측단의 각 변부에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각각 형성되어 배면측에 슬라이딩공간이 마련되고, 각 연장부의 내측에는 레일바와 치합되는 레일홈이 형성되어 레일바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동작하고, 슬라이딩공간의 양측 하단에는 제2하향제한턱이 돌출 형성되며, 하부셔터판은 상부셔터판의 배면에 배치되어 슬라이딩공간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동작하며 양측단에는 제2하향제한턱에 지지되는 걸림돌기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부셔터판의 양측단 하부에는 일정길이로 하향 연장되어 하부셔터판의 양측단면을 측방 지지하는 측면가이드바가 각각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946728호 (셔터기능이 구비된 모듈러잭)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셔터부를 전방으로 받쳐 지지하므로 셔터부가 외력에 의해 안쪽으로 밀려들어가지 않아 그만큼 내구성이 양호한, 셔터 밀림방지 기능을 갖는 모듈러 잭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셔터 밀림방지 기능을 갖는 모듈러 잭은, 전방을 향하는 수직의 사각판형 받침평면부, 상기 받침평면부의 내부 영역에 위치하며 전방으로 개방되고 통신케이블의 플러그가 끼워지는 플러그장착구를 제공하는 접속블록과, 상기 플러그장착구의 양측부에 위치하며 받침평면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호 평행한 한 쌍의 선형받침부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후방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상기 플러그장착구에 수용되는 플러그접속모듈을 제공하는 접속단자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방에 장착되고, 플러그장착구를 전방으로 개방하는 삽입통로를 갖는 커버부와; 상기 삽입통로와 플러그장착구의 사이에 위치하며, 승강운동을 통해 플러그장착구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것으로서, 상기 접속블록의 받침평면부에 면접 지지됨과 아울러 선형받침부의 사이에 수용되는 내측셔터부재, 상기 내측셔터부재의 전면에 부분적으로 포개어지고 폭방향 양단부가 상기 선형받침부에 걸쳐져 지지되는 외측셔터부재를 갖는 셔터부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선형받침부는, 상기 받침평면부로부터 일정높이로 돌출되며 외측셔터부재와 직교하고, 외측셔터부재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판상의 써포트월이다.
또한, 상기 외측셔터부재에는, 상기 받침평면부 측으로 돌출되며 받침평면부에 대한 외측셔터부재의 간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버팀돌기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에는, 접속블록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에는, 커버부에 대한 본체부의 결합 시, 접속블록을 수용공간으로 가이드 하는 리시빙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접속블록의 양측에는, 접속블록이 수용공간으로 진입할 때 리시빙브라켓에 가이드 되는 정위치리브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부의 후방에는 접속단자부를 본체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본체부와 접속단자부가 결합한 상태에서 접속단자부를 지지하되, 접속단자부가 본체부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에 지지되어 있는 접속단자부를 걸어, 접속단자부가 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후크가 구비되며, 상기 접속단자부에는, 상기 스토퍼를 수용한 상태로 지지력을 전달받는 수용홈과, 상기 바디결합후크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홈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셔터 밀림방지 기능을 갖는 모듈러 잭은, 내부에 구비되는 접속블록을 이용해 셔터부의 승강운동을 가이드 함은 물론, 셔터부를 전방으로 받쳐 지지하므로 셔터부가 외력에 의해 안쪽으로 밀려들어가지 않아 그만큼 내구성이 양호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 밀림방지 기능을 갖는 모듈러 잭의 외부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모듈러 잭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셔터부를 개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셔터부를 별도로 도시한 절제 사시도이다.
도 6은 접속블록에 대한 셔터부의 지지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셔터부의 밀림 방지 원리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잭에서의 조립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절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모듈러 잭의 본체부와 접속단자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터 밀림방지 기능을 갖는 모듈러 잭(10)의 외부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모듈러 잭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셔터부를 개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셔터부를 별도로 도시한 절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잭(10)은, 본체부(20), 접속단자부(도 10의 50), 셔터부(30), 커버부(40)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조립된 상태로, 별도의 장착브라켓(미도시)을 통해 벽체에 매립 설치된다. 벽체에 매립 설치되더라도 커버부(40)의 전면은 실내로 노출된다.
본체부(20)는, 전체적으로 일체를 이루며, 바디(21), 접속블록(23), 써포트월(24)을 갖는다. 바디(21)는 후방으로 개방된 대략 박스의 형상을 취하며 전면의 네 귀퉁이부에 결합부(21a)를 구비한다. 결합부(21a)는 후크형 부재로서 커버부(40)의 걸림구멍(43)에 삽입 고정된다. 아울러 바디(21)의 후방에는 두 개의 결합유지부(도 10의 21f)가 마련되어 있다. 결합유지부(21f)는 본체부(20)에 대한 접속단자부(50)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0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접속블록(23)은 바디(2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박스의 형태를 가지며 받침평면부(23c)와 플러그장착구(23f)를 제공한다. 받침평면부(23c)는 전방을 향하는, 접속블록(23)의 전면(前面)이다. 본 설명에서의 전방은 실내공간을 향하는 방향, 후방은 벽체 내부를 향하는 방향이다.
플러그장착구(23f)는 통신케이블의 말단에 고정되는 플러그(미도시)가 끼워지는 구멍이다. 플러그는 플러그장착구(23f)에서 기다리고 있는 플러그접속모듈(도 4의 55)와 전기적으로 접속을 이룬다.
이러한 접속블록(23)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으로 개방되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e방향으로 끼워지는 플러그접속모듈(55)을 수용 고정한다.
써포트월(24)은 셔터부(30)를 지지하기 위한 사각플레이트로서, 접속블록(23)을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고정되며 상호 평행하다. 접속블록(23)과 써포트월(24)은 일체를 이룰 수 있다. 특히 써포트월(24)의 전방 방향 단부는 받침평면부(23c)에 비해 도 8의 H만큼 돌출된다. 써포트월(24)의 단부를 H만큼 돌출시키는 이유는, 외측셔터부재(31)와 받침평면부(23c)와의 사이에 내측셔터부재(35)를 개재시키기 위함이다. 후술할 내측셔터부재(35)의 두께는 상기 돌출높이인 H와 같다.
또한, 양측 써포트월(24)의 외측부에는 두 개씩의 정위치리브(25)가 고정된다. 정위치리브(25)는 써포트월(24)에 직교하는 판상부재로서, 커버부(40)를 본체부(20)에 결합시킬 때, 리시빙브라켓(도 9의 45)의 안쪽으로 들어가며, 커버부(40)의 수평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말하자면, 본체부(20)에 대한 커버부(40)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체부(20)와 커버부(40)가 완전히 결합한 상태에서, 정위치리브(25)는 리시빙브라켓(45)의 내향면에 지지된다.
커버부(40)는 셔터부(30)를 사이에 두고 본체부(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부속으로서 중앙부에 삽입통로(41)을 갖는다. 삽입통로(41)는 플러그장착구(23f)에 끼워질 플러그가 통과하는 관통구멍으로서, 플러그장착구(23f)를 전방으로 개방한다.
이러한 커버부(40)는 수용공간(47)을 제공한다. 수용공간(47)은 접속블록(23)과 써포트월(24)과 셔터부(30)를 수용하는 공간이다.
도면부호 42는 셔터부재받침턱이다. 셔터부재받침턱(42)는 외측셔터부재(31)를 받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외측셔터부재(31)는, (본체부(20)와 커버부(40)가 결합한 상태에서) 셔터부재받침턱(42)에 지지된 상태로 승강 가능하다.
한편, 셔터부(30)는, 삽입통로(41)와 플러그장착구(23f)의 사이에 위치하며, 승강운동을 통해 플러그장착구(23f)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셔터부(30)는, 플러그가 끼워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중력의 작용에 의해 하강하여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하지만 플러그가 끼워진 상태에서는 위로 올려진 상태로 플러그에 받쳐진다. 이러한 사항은 일반적인 모듈러 잭과 동일한 것이다.
셔터부(30)는 내측셔터부재(35)와 외측셔터부재(31)로 구성된다. 내측셔터부재(35)는 받침평면부(23c)에 면접 지지됨과 아울러 선형받침부, 즉 써포트월(24)의 사이에 수용된 상태로 승강운동 한다. 내측셔터부재(35)의 폭방향 양단부는 써포트월(24)의 내향면에 지지된다. 내측셔터부재(35)가 승강운동 하는 동안 좌우로 흔들라지 않는 것이다. 도면부호 35c는 손잡이이다. 사용자는, 손가락 끝으로 손잡이(35c)를 받쳐 셔터부(30)를 화살표 c방향으로 올릴 수 있다.
외측셔터부재(31)는, 내측셔터부재(35)의 전면(前面)에 부분적으로 포개어지고 폭방향 양단부가 써포트월(24)의 단부에 걸쳐져 지지된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내측셔터부재(35)는 양측 써포트월(24)의 사이에 삽입되므로, 외측셔터부재(31)의 폭은 내측셔터부재(35)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다.
특히 외측셔터부재(31)의 상단부 후면에는 다수의 버팀돌기(31a)가 위치한다. 버팀돌기(31a)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평면부(23c)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이다. 버팀돌기(31a)는 받침평면부(23c)에 접한다. 버팀돌기(31a)는 닫혀있는 상태의 셔터부(30)에 화살표 f방향의 외력이 가해질 때, 셔터부(30)가 안쪽으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도 1참조)
아울러 외측셔터부재(31)의 후면에는 수직으로 연장된 일정폭의 가이드홈(31b)이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홈(31b)의 하단부에는 걸림턱(31e)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내측셔터부재(35)에는 슬라이더(35a)가 위치한다. 슬라이더(35a)는 가이드홈(31b)에 수용된 상태로 가이드홈(31b)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한다.
도 6은 접속블록(23)에 대한 셔터부(30)의 지지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셔터부의 밀림 방지 원리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셔터부재(31)가 내측셔터부재(35)에 부분적으로 겹쳐져 포개어진 상태로 양측 써포트월(24)에 지지되어 있다. 사각판 형태의 외측셔터부재(31)의 네 변 중, 상측 변은 버팀돌기(31a)에, 하측 변은 내측셔터부재(35)에 지지되며, 양측변(폭방향 양단부)는 써포트월(24)에 지지되므로, 결국 외측셔터부재(31)를 누르더라도 외측셔터부재(31)가 안쪽으로 밀려들어갈 염려가 없다. 내측셔터부재(35)는 받침평면부(23c)에 이미 면접하고 있으므로 당연히 밀려들어가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셔터부(30)는, 외력에 의해 안쪽으로 밀려들어 가지 않아 그만큼 내구성이 양호한 구성을 갖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잭에서의 조립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절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40)의 수용공간(47) 내에 리시빙브라켓(45)이 마련되어 있다. 리시빙브라켓(45)은, 본체부(20)에 커버부(40)를 결합시킬 때 정위치리브(25)를 가이드 함으로써, 본체부(20)와 커버부(40)가 어긋나지 않고 용이하게 결합하게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모듈러 잭의 본체부(20)와 접속단자부(50)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단자부(50)는 단자바디(51)와 회로기판(53)과 플러그접속모듈(55)을 포함한다. 단자바디(51)는 플라스틱을 사출하여 제작한 것으로서 하측부에 걸림홈(51a)과 수용홈(51c)을 갖는다.
걸림홈(51a)은 하부로 개방된 사각홈으로서 결합후크(21d)가 끼워진다. 또한 수용홈(51c)은 걸림홈(51a)의 전방에 위치하는 홈으로서 전방 및 하부로 개방되며, 스토퍼(21e)를 수용한다.
상기 스토퍼(21e)와 결합후크(21d)는 쌍을 이루며 하나의 결합유지부(21f)를 구성한다. 결합유지부(21f)는 바디(21) 내에 두 개가 구비된다. 결합유지부(21f)는 접속단자부(50)를 바디(21)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토퍼(21e)는, 본체부(20)에 접속단자부(50)가 결합한 상태에서, 수용홈(51c)에 끼워져 접속단자부(50)가 본체부로 더 이상 진입하지 못하게 차단한다. 또한, 결합후크(21d)는 스토퍼(21e)에 막혀 있는 단자바디(51)의 걸림홈(51a)에 끼워짐으로써, 접속단자부(50)가 본체부(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합유지부(21f)의 작용에 의해 바디(21)에 대한 접속단자부(50)의 결합 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모듈러 잭 20:본체부 21:바디
21a:결합부 21d:결합후크 21e:스토퍼
21f:결합유지부 23:접속블록 23c:받침평면부
23f:플러그장착구 24:서포트월 25:정위치리브
30:셔터부 31:외측셔터부재 31a:버팀돌기
31b:가이드홈 31e:걸림턱 35:내측셔터부재
35a:슬라이더 35c:손잡이 40:커버부
41:삽입통로 42:셔터부재받침턱 43:걸림구멍
45:리시빙브라켓 47:수용공간 50:접속단자부
51:단자바디 51a:걸림홈 51c:수용홈
53:회로기판 55:플러그접속모듈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전방을 향하는 수직의 사각판형 받침평면부, 상기 받침평면부의 내부 영역에 위치하며 전방으로 개방되고 통신케이블의 플러그가 끼워지는 플러그장착구를 제공하는 접속블록과, 상기 플러그장착구의 양측부에 위치하며 받침평면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호 평행한 한 쌍의 선형받침부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후방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상기 플러그장착구에 수용되는 플러그접속모듈을 제공하는 접속단자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방에 장착되고, 플러그장착구를 전방으로 개방하는 삽입통로를 갖는 커버부와;
    상기 삽입통로와 플러그장착구의 사이에 위치하며, 승강운동을 통해 플러그장착구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것으로서, 상기 접속블록의 받침평면부에 면접 지지됨과 아울러 선형받침부의 사이에 수용되는 내측셔터부재, 상기 내측셔터부재의 전면에 부분적으로 포개어지고 폭방향 양단부가 상기 선형받침부에 걸쳐져 지지되는 외측셔터부재를 갖는 셔터부가 포함되고,
    상기 외측셔터부재에는, 상기 외측셔터부재 상단부 후면에 상기 받침평면부 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버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버팀돌기는 상기 받침평면부에 접하여서, 상기 다수의 버팀돌기가 상기 받침평면부에 대한 외측셔터부재의 간격을 유지하여, 닫혀있는 상태의 상기 셔터부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셔터부가 안쪽으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밀림방지 기능을 갖는 모듈러 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는, 접속블록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에는,
    커버부에 대한 본체부의 결합 시, 접속블록을 수용공간으로 가이드 하는 리시빙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접속블록의 양측에는, 접속블록이 수용공간으로 진입할 때 리시빙브라켓에 가이드 되는 정위치리브가 구비된,
    셔터 밀림방지 기능을 갖는 모듈러 잭.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후방에는 접속단자부를 본체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본체부와 접속단자부가 결합한 상태에서 접속단자부를 지지하되, 접속단자부가 본체부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에 지지되어 있는 접속단자부를 걸어, 접속단자부가 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후크가 구비되며,
    상기 접속단자부에는,
    상기 스토퍼를 수용한 상태로 지지력을 전달받는 수용홈과, 상기 결합후크에 걸려 지지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셔터 밀림방지 기능을 갖는 모듈러 잭.
KR1020200172673A 2020-12-10 2020-12-10 셔터 밀림방지 기능을 갖는 모듈러 잭 KR102537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673A KR102537587B1 (ko) 2020-12-10 2020-12-10 셔터 밀림방지 기능을 갖는 모듈러 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673A KR102537587B1 (ko) 2020-12-10 2020-12-10 셔터 밀림방지 기능을 갖는 모듈러 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008A KR20220083008A (ko) 2022-06-20
KR102537587B1 true KR102537587B1 (ko) 2023-05-30

Family

ID=82257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673A KR102537587B1 (ko) 2020-12-10 2020-12-10 셔터 밀림방지 기능을 갖는 모듈러 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5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152Y1 (ko) 2002-08-21 2002-11-04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모듈러 잭의 먼지 차단구조
KR101946728B1 (ko) * 2017-09-25 2019-02-11 주식회사 옵컴 셔터기능이 구비된 모듈러잭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586B1 (ko) * 2002-11-21 2005-10-31 대은전자 주식회사 모듈러 잭
KR20080002496U (ko) * 2007-01-04 2008-07-09 씨아이토피아 주식회사 모듈러 잭 홀더하우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152Y1 (ko) 2002-08-21 2002-11-04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모듈러 잭의 먼지 차단구조
KR101946728B1 (ko) * 2017-09-25 2019-02-11 주식회사 옵컴 셔터기능이 구비된 모듈러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008A (ko) 202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0793B1 (ko) 전기 커넥터
US9887483B2 (en) Socket
US20040077226A1 (en) Small form-factor transceiver module with pull-to-release
US20100227511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etachable cover
KR102537587B1 (ko) 셔터 밀림방지 기능을 갖는 모듈러 잭
KR101348186B1 (ko)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
US20080209961A1 (en) Lock mechanism
KR100599313B1 (ko) 와이어하니스 커넥터
KR101946728B1 (ko) 셔터기능이 구비된 모듈러잭
KR102530388B1 (ko) 전기콘센트 겸용 안전마개
CN204992062U (zh) 插座
JP4019754B2 (ja) レセプタクル
US8245989B2 (en) Device support structure
KR101089080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JP4771155B2 (ja) 接続器具
US7156668B1 (en) PCB retention mechanism
CN109573755B (zh) 电梯控制箱及其线缆引出接头
JP7240307B2 (ja) 電子機器におけるカバー構造
JP2016066441A (ja) コネクタ
KR101719138B1 (ko) 콤팩트한 통전 구조를 가지는 조인트 커넥터
JP4342368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用コネクタのハウジング
JPH1154201A (ja) プラグ挿入口用蓋板の取付構造
JP3472698B2 (ja) コネクタの嵌合構造
CN110941055B (zh) 双工适配器
KR101816088B1 (ko) 잭 하우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