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9080B1 -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9080B1
KR101089080B1 KR1020090027346A KR20090027346A KR101089080B1 KR 101089080 B1 KR101089080 B1 KR 101089080B1 KR 1020090027346 A KR1020090027346 A KR 1020090027346A KR 20090027346 A KR20090027346 A KR 20090027346A KR 101089080 B1 KR101089080 B1 KR 101089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terminal
housing
caught
balanced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7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2555A (ko
Inventor
후미노부 다무라
히로유키 야마자키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090027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9080B1/ko
Publication of KR20090112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Abstract

높이 방향에서 소형화되고, 평형 도체의 삽입 조작이 간단하며 빠짐 방지를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하우징 (10) 의 상벽 (11) 과 하벽 (12) 사이의 공간에서 평형 도체를 위한 수용부 (10A) 를 형성하고, 단자 (20, 30) 의 접촉부 (24A) 가 그 수용부에서 상기 평형 도체 (P) 와 접촉하는 위치에 배열되어 있고, 단자 (20, 30) 의 배열 방향 양단측에서 단자 (20, 30) 에 나란하게 늘어서서 상방을 향하는 걸림 돌기 (43B) 가 형성되어 있어, 평형 도체 (P) 의 발출을 방지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의 상벽 (11) 은, 상기 단자 (20, 30) 의 배열 방향 및 전후 방향에서 상기 걸림 돌기 (43B) 의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후단에서 전방을 향해 상기 상벽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노치된 노치부 (18) 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 (P2) 가 상기 걸림 돌기 (43B) 상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노치부 (18) 가 그 피걸림부 (P2) 의 상방으로의 휨을 허용하고 있다.
Figure R1020090027346
전기 커넥터

Description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ELECTRIC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본 발명은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평형 도체로는, 플렉시블 기판 (FPC), 플랫 케이블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평형 도체는 회로 기판에 장착된 전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평형 도체가 접속되는 커넥터로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커넥터가 있다.
이 특허 문헌 1 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하우징은, 플랫 케이블의 삽입 방향에서 보아 정면에 형성된 가로로 긴 개구부가 상기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플랫 케이블의 삽입을 위한 공동부 (空洞部) 를 형성하고 있다. 그 공동부의 상기 삽입 방향에서 안쪽부의 저면에는, 플랫 케이블의 폭 방향 양측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플랫 케이블의 소정 위치까지의 삽입 상태에서 그 플랫 케이블의 측부 가장자리의 노치부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공동부는, 상기 폭 방향 양단에서 상기 개구부의 상부 내면이 솟아 오른 경사면을 이루고, 안쪽부를 향해 그 경사가 감소되어 있다.
플랫 케이블의 삽입시에는, 한 손으로 그 플랫 케이블의 전단 (前端) 양측단 을 누르도록 하여 잡아 전단부를 상방향으로 오목상이 되도록 휘게 하고, 그 전단부가 상기 개구부의 상부 내면을 따르도록 하여 상기 공동부 내에 삽입한다. 이 상부 내면의 폭 방향 양단에서의 경사는 안쪽부를 향해 감소되어 있으므로, 플랫 케이블은 삽입이 진행됨에 따라 휨이 작아져 평평함에 가까워지고, 플랫 케이블의 노치부가 상기 돌기부를 넘은 위치에서 상방으로부터 상기 돌기부에 걸리게 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61-109083호
그러나, 이와 같은 특허 문헌 1 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커넥터의 소형화 그리고 조작의 간편성 면에서 더욱 개선할 여지가 있었다.
먼저, 하우징에 형성된 공동부의 상측, 즉 상벽은 상기 개구부의 폭 방향 양단에서의 상부 내면에 있어서의 경사를 형성하면서도, 하우징은 그 상방 부분에 두께를 남기고 있으므로, 하우징은 높이 방향에서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없다. 이런 종류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높이 방향에서의 소형화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어 이런 점에서 과제를 남기고 있다.
다음으로, 플랫 케이블은 손가락으로 잡음으로써 상방향으로 오목상을 이루도록 휘게 해야 한다. 이것은, 휘게 하는 수고가 든다는 것과, 이것에 추가하여 그 휨이 상기 개구부의 상부 내면과 거의 일치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조작이 간편하다고는 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커넥터의 높이 방향에서의 소형화에 공헌할 수 있고, 조작이 매우 간편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의 상벽과 하벽 사이의 공간에서 평형 도체를 위한 수용부를 형성하고, 단자의 접촉부가 그 수용부에서 상기 평형 도체와 접촉하는 위치에 배열되어 있고, 단자의 배열 방향 양단측에서 단 자에 나란하게 상방을 향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배열 방향에서 걸림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피걸림부를 갖는 평형 도체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었을 때, 그 평형 도체의 후방으로의 발출 (拔出) 방향에서 상기 피걸림부의 후측 가장자리와 걸어 평형 도체의 발출을 방지한다.
이러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상벽은 상기 단자의 배열 방향 및 전후 방향에서 상기 걸림 돌기의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후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상기 상벽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노치된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가 상기 걸림 돌기 상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노치부가 그 피걸림부의 상방으로의 휨을 허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커넥터에 대해 피걸림부를 갖는 평형 도체가 하우징의 수용부에 삽입된다. 삽입 초기에 있어서,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가 상기 걸림 돌기 상에 도달하면, 이 피걸림부가 그 걸림 돌기에 의해 상방으로 밀어 올려진다. 걸림 돌기가 위치하는 영역에서는, 하우징의 상벽은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피걸림부 및 그 주변이 이 노치부의 범위 내에서 상방으로 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평형 도체의 삽입이 진행되면,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는 상기 걸림 돌기를 넘어 전방으로 진행되어 소정의 삽입 위치에 오게 된다. 이러한 소정의 삽입 위치에서는, 상기 피걸림부는 이미 걸림 돌기의 위치에 없으므로, 상기 휨에서 해방되어 평탄한 형태로 돌아온다. 따라서, 평형 도체가 발출 방향, 즉 후방으로 끌어 당겨져도 피걸림부가 걸림 돌기와 걸려 발출이 저지된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피걸림부에서의 휨이 노치부 즉 상벽의 두께 방향 범위를 이용하여 실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걸림 돌기는, 하우징에 장착된 금구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되고, 하우징의 하벽의 일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금구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 걸림 돌기는 걸림 면적이 작아도 충분히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하우징의 하벽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 금구가 필요 없게 되므로 부품 점수의 저감이 도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노치부는, 단자의 배열 방향에서의 내측 가장자리가 전방을 향해 배열 방향에서 외측으로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형 도체는, 삽입 과정에 있어서, 휨 부분이 그 상면에서 상기 내측 가장자리에 맞닿아 안내되므로, 휨 부분이 하방으로 힘을 받아 점차 그 휨량을 줄여 평탄한 형태에 가까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노치부는, 단자의 배열 방향에서의 내측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하벽에 대면하는 면이 후단을 향해 그 하벽으로부터 멀어져 가는 테이퍼면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테이퍼면은 상기 후단에서 수용부의 개구를 크게 형성하므로, 평형 도체는 삽입이 쉽게 실시되고 또한 상기 평형 도체의 상면이 테이퍼면에 의해 안내되어 삽입이 진행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걸림 돌기는 상벽과의 사이의 간격이 그 평형 도체의 맞닿음 부분의 두께 치수보다 작게 하는 위치에 있도록 할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 써, 피걸림부가 걸림 돌기를 넘은 후에는 평형 도체가 상하 방향, 즉 두께 방향으로 어긋나 이동해도, 상기 걸림 돌기와의 걸림 위치로부터 벗어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노치부는 전방을 향해 좁아지는 V 자 형상을 이루고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평형 도체의 휨 부분은 V 자 형상의 노치부의 단자 배열 방향 내측 가장자리에서의 안내가 안쪽부에 이를 때까지 연속적으로 실시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움직일 수 있게 지지된 가압 부재를 가지며, 그 가압 부재의 이동에 의해 단자의 일부를 가압하여 그 단자의 접촉부에서의 평형 도체에 대한 탄압력을 증대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평형 도체의 소정 위치까지의 삽입 후, 가압 부재를 조작하여 단자의 접촉부에서의 평형 도체에 대한 탄압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접촉부에서의 평형 도체와의 접촉이 더욱 확실해지는 것, 따라서 평형 도체의 삽입 방향에서의 어긋남이나 빠짐 방지 효과를 보다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평형 도체의 폭 방향 양측단에 형성된 피걸림부에 대해 걸리는 걸림 돌기에 대응하는 범위에, 상벽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노치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커넥터가 높이 방향으로 소형화되어 있어도, 평형 도체의 상기 수용부에 대한 삽입시에 피걸림부가 걸림 돌기 상에 위치했을 때 피걸림부는 노치부 내의 공간에서 상방으로 충분히 휠 수 있다. 이 점에서, 커넥터의 소형화에 공헌한다. 또, 평형 도체의 삽입시, 평형 도체에 조금도 휨을 부 여하지 않고, 평탄한 채로 삽입하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피걸림부가 휘므로 조작성도 우수하다.
나아가서는, 소정 위치까지의 삽입 후에는, 평형 도체는 자동적으로 휨에서 해방되어 평탄한 상태로 돌아와 걸림 돌기와의 걸림 위치에 오므로, 빠짐 방지를 위한 걸림이 확실하게 실시된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의 (A), (B) 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는, 도시되지 않은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고, 도 1 의 (A) 는 그 커넥터의 외관 및 삽입 전의 평형 도체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 의 (B) 는 도 2 에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 1 에 있어서의 어디에서 단면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1 의 (A) 의 커넥터는, 하우징 (10) 과, 그 하우징 (10) 에 의해 교대로 배열 유지되어 있는 2 종의 단자 (20, 30) 와, 단자의 배열 방향 양단의 단자에 근접하여 형성된 금구 (40) 와, 하우징 (10) 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는 가압 부재 (50) 를 갖고 있다. 그 가압 부재 (50) 는, 하우징 (10) 의 전단부측에서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를 회전 운동 가능하고, 도 1 의 (A) 에 있어서는 개방 위치 상태에 있다. 또, 하우징 (10) 은 후단측에 수용부의 개구를 갖고 있고, 그 후방에 삽입 전의 평형 도체 (P) 가 위치하고 있다.
평형 도체 (P) 는, 도 1 의 (A) 에서 화살표 A 방향 (전방) 으로 상기 커넥 터 (1) 에 삽입되어 접속된다. 그 평형 도체 (P) 는, 상기 화살표 A 방향에 대해 직각인 폭 방향으로 정간격을 가지고 복수의 접속 회로부 (도시 생략) 가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접속 회로부는, 상면뿐만 아니라, 상하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 또는 하면에만 형성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상기 평형 도체 (P) 는, 전단측에서 폭 치수가 약간 작게 되어 있고, 측방에 개방된 잘록부 (P1) 를 형성함으로써, 전단과의 사이에 측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피걸림부인 귀부 (P2) 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 는 상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2 의 (A)∼(C) 는 도 1 의 (B) 에 있어서의 3 개의 상이한 위치 (ⅡA, ⅡB, ⅡC) 에서의 단면, 즉, 단자 배열 방향에서, 도 2 의 (A) 는 배열 범위에 있어서의 1 종의 단자 (20) 의 ⅡA 위치, 도 2 의 (C) 는 금구 (40) 의 ⅡC 위치, 도 2 의 (B) 는 상기 단자 (20) 와 그 금구 (40) 사이의 ⅡB 위치에서의 각각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3 의 (A)∼(C) 는 금구 (40) 에 있어서의 단면도 (단자 (20, 30) 는 생략) 인데, 삽입되는 평형 도체 (P) 의 각각의 위치로 나타내어져 있고, 도 3 의 (A) 는 하우징에 대한 삽입 전, 도 3 의 (B) 는 삽입 도중, 도 3 의 (C) 는 삽입 완료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2 의 (A)∼(C) 그리고 도 3 의 (A)∼(C) 의 모든 도면은, 가압 부재 (50) 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를 나타내고 있다. 도 4 는 상기 1 종의 단자 (20) 의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며, 가압 부재 (50) 가 도 4 의 (A) 에서는 개방 위치, 도 4 의 (B) 에서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전기 절연 재료를 몰드 성형하여 만들어진 하우징 (10) 은 상벽 (11) 과 하 벽 (12) 을 가지며, 양 벽은 폭 방향 (도 1 에서 좌우 방향, 도 2∼4 에서 지면에 대해 직각 방향) 양단에서 측벽 (13) 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하나의 부재로서 만들어져 있다.
상벽 (11) 과 하벽 (12) 사이의 공간은 후방에서 평형 도체 (P) 를 수용하는 수용부 (10A) 를 형성하고 있고, 이 공간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 (도 2 의 (A), (C) 에서 전방이 우측, 후방이 좌측) 으로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벽 (11) 과 하벽 (12) 은 서로의 대향면에 단자 (20, 30) 그리고 금구 (40) 의 유지를 위한 단자 홈 (14, 15) 그리고 금구 홈 (16, 17) 이,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가지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단자 (20, 30) 그리고 금구 (40) 는, 금속판의 평탄면을 그대로 유지하여 만들어져 있고, 따라서 상기 단자 홈 (14, 15) 그리고 금구 홈 (16, 17) 의 각각의 홈은 상기 금속판의 두께와 거의 동등한 홈 폭으로 만들어져 있다.
1 종의 단자 (20) 는, 도 2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 H 형을 이루고 있고, 상부 아암부 (21) 와 하부 아암부 (22) 가 그들의 길이 방향 중간 위치에서 연결부 (23) 로 연결되어 있다.
상부 아암부 (21) 는, 연결부 (23) 로부터 후방이 접촉 아암부 (24) 를 이루고 그 하부 가장자리에 돌기형 접촉부 (24A) 를 가지며, 연결부 (23) 로부터 전방이 피압 아암부 (25) 를 이루고 그 전단측 하부 가장자리에 약간 패인 피압부 (25A) 를 형성하고 있다. 이 상부 아암부 (21) 는, 상부 가장자리가 후방을 향 해 단자 홈 (14) 의 홈 바닥으로부터 떠 있고, 피압부 (25A) 에서 상방으로의 힘을 후술하는 가압 부재의 캠부로부터 받으면 상기 피압 아암부 (25) 는 전단이 상방으로 솟아 오르도록 경사 변위되고, 연결부 (23) 를 지레의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접촉 아암부 (24) 를 그 후단이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 변위시킨다. 상기 상부 아암부의 피압 아암부 (25) 에는, 그 길이 방향 중간 위치에 하방으로 돌출시키는 위치 규제부 (25B) 가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가압 부재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한 장착시에, 그 가압 부재의 캠부의 소정 위치보다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하부 아암부 (22) 는, 연결부 (23) 로부터 후방이 접속 아암부 (26) 를 이루고, 그 길이 방향 중간부에 돌기형 접압부 (26A) 를, 그리고 후단부에 접속부 (27) 를 갖고 있다. 그 접속부 (27) 는 하우징 외부에서 하우징의 저면과 거의 동일 또는 약간 하방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속부 (27) 에는 우측으로 개방된 고정 홈 (27A)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하부 아암부 (22) 는, 연결부 (23) 로부터 전방 부분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캠 지지부 (28) 를 형성하고 있다. 그 캠 지지부 (28) 는, 가압 부재의 캠부를 회전 운동 지지하는 부분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단자 (20) 는, 하우징 (10) 에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삽입되고, 상부 아암부 (21) 가 상벽 (11) 의 단자 홈 (14) 내에, 그리고 하부 아암부 (22) 가 하벽 (12) 의 단자 홈 (15) 에 수용되고, 단자 홈 (14) 그리고 단자 홈 (15) 의 각각의 홈 바닥끼리 사이에서의 압입력으로 유지된다. 또, 하부 아암 부 (22) 의 접속부 (27) 에 형성된 고정 홈 (27A) 이 하벽 (12) 의 후단 가장자리에 끼워져 여기서도 단자는 유지된다.
다른 종류의 단자 (30) 는, 단자의 배열 범위에서 상기 단자 (20) 와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이 단자 (30) 는, 상기 단자 (20) 에서는 접속부 (27) 그리고 고정 홈 (27A) 이 그 단자 (20) 의 하부 아암부 (22) 의 후단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에 대해, 이들에 대응하는 접속부 (37) 그리고 고정 홈이 하부 아암부 (32) 의 전단측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단자 (20) 와 상이한 것 이외에는, 상기 단자 (20) 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단자 (30) 는, 하우징의 단자 홈 (도시 생략) 에 대해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수용되어 유지된다. 또, 상기 고정 홈은, 하우징 하벽 (12) 의 전단 가장자리에 끼워져 여기서도 단자의 유지에 제공된다.
상기 2 종의 단자 (20, 30) 가 교대로 배치된 단자 배열 범위의 양 외측 위치에는, 단자와 평행하게 금구 (40) 가 배치되어 있다. 이 금구 (40) 도, 단자 (20, 30) 와 동일하게 금속판의 평탄면을 그대로 유지하여 만들어져 있다.
금구 (40) 는, 도 2 의 (C) 에 있어서, 전후 방향의 거의 중앙 위치로부터 전방에서는 상벽 (11) 과 하벽 (12) 에 각각 형성된 금구 홈 (16, 17) 으로 유지되는 피유지부 (41) 와, 그 피유지부 (41) 로부터 후방에 위치하여 하벽 (12) 의 금구 홈 (17) 에 의해 유지되는 고정 아암부 (42) 를 갖고 있다. 그 고정 아암부 (42) 의 후단측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걸림 돌기 (43B) 가 형성되고, 그 하방에는 고정부 (43) 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고정부 (43) 에 하우징의 하벽 (12) 의 후단 가장자리에 끼워지는 고정 홈 (43A)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유지부 (41) 의 상측 전단으로부터는 전방으로 지지 아암 (44) 이 연장되어 있고, 그 지지 아암 (44) 과 상기 하벽 (12) 사이에 가압 부재 (50) 의 축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금구 (40) 는,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하우징에 삽입되고, 상기 피유지부 (41) 가 상벽 (11) 의 금구 홈 (16) 과 하벽 (12) 의 금구 홈 (17) 에 들어가 압입 유지되고, 고정 아암부 (42) 는 상기 금구 홈 (17) 에 수용되고 상기 걸림 돌기 (43B) 가 그 금구 홈 (17) 으로부터 상방으로 크게 돌출된다. 이 걸림 돌기 (43B) 는, 전측 가장자리가 세워지고, 후측 가장자리가 테이퍼형을 이루고 있다. 이 걸림 돌기 (43B) 하방의 고정부 (43) 에 형성된 고정 홈 (43A) 이 상기 하벽 (12) 의 후단 가장자리에 끼워져 고정에 제공된다.
하우징 (10) 의 상벽 (11) 은, 도 1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단 가장자리측이 가압 부재 (50) 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폭 방향 전체영역에 걸쳐 절취되어 있고, 또, 후단 가장자리측에서는, 폭 방향 양단측에, 후단 가장자리에서 전방을 향해 노치부 (18) 가 형성되어 있다. 그 노치부 (18) 는, 하우징의 상방에서 보았을 때, 도 1 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폭 방향 외측, 즉 측벽 (13) 근방측이 전방으로 똑바로 연장되는 직선 가장자리 (18A), 폭 방향 내측이 전방을 향해 외측으로 기우는 경사 가장자리 (18B), 그리고 전단이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단 가장자리 (18C)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 노치부 (18) 는, 상벽 (11) 의 두께 방향으로 완전하게 관통하여 노치되어 있고, 그 범위는 상기 폭 방향 그리고 전후 방향에서 상기 금구 (40) 의 걸림 돌기 (43B) 의 위치를 포함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상벽 (11) 은, 폭 방향에서 상기 경사 가장자리 (18B) 의 위치에서, 도 2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단 내면에 테이퍼면 (18D)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상벽 (11) 은 상기 노치부 (18) 의 전단 가장자리 (18C) 의 위치보다 전방으로 연장되는 평형 도체 진입 홈 (19) 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노치부 (18) 로부터 이 평형 도체 진입 홈 (19) 에 대한 이행부에서도, 상벽 (11) 의 내면에는 전방을 향해 하방향의 테이퍼면 (19C) 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 부재 (50) 는, 하우징과 동일한 전기 절연재로 만들어져 있고, 레버형을 이루며 단자의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가압 부재 (50) 는, 평형 도체 (P) 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개방 위치와, 평형 도체에 대해 단자 (20) 의 접촉부 (24A) 를 압접시키는 폐쇄 위치 사이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2 는, 가압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로 나타나 있다.
도 2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 (50) 는, 하우징 (10) 의 상벽 (11) 의 전단 가장자리측에서 크게 절취된 공간에 위치하고 있고, 커넥터의 폭 방향 양단에 형성된 축부 (도시 생략) 와, 단자 (20) 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캠부 (51) 에서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 캠부 (51) 는, 도 2 의 (A) 에서 가압 부재 (50) 하단부에 형성된 홈부 (52) 에서, 그 홈부의 내면끼리를 연결하도록 섬형상 (島狀) 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 (52) 는, 그 캠부 (51) 의 상하 양단에서, 단자 (20) 의 상부 아암부 (21) 의 피압 아암부 (25) 와, 하부 아암부 (22) 의 캠 지지부 (28) 를 각각 관통시키는 공간을 형성하 고 있다.
캠부 (51) 는, 도 2 의 (A) 의 개방 위치에서 가로로 긴 단면 형상을 이루고 있고, 높이 방향 치수가 상기 피압 아암부 (25) 의 피압부 (25A) 와 캠 지지부 (28) 의 거리보다 작고, 그리고 횡방향 치수가 그 거리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캠부 (51) 는, 도 2 의 (A) 에 있어서 좌측 상하 코너부는 둥그스름하게 형성되고, 우측 상하 코너부는 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캠부 (51) 는, 단자 (30) 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 부재 (50) 는, 커넥터의 폭 방향에서, 양측 단자의 단자 외측의 금구 (40) 에 대응하는 위치에도 홈부 (53) 가 형성되고, 여기에 상기 캠부 (51) 와 유사한 섬형상의 지지부 (54)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부 (54) 는, 도 2 의 (A) 에 있어서, 세로로 긴 사각형을 이루고, 상하 방향 치수가 금구 (40) 의 지지 아암 (44) 의 하부 가장자리와, 하우징 (10) 의 하벽 (12) 의 상면 사이의 거리와 거의 동등하고, 횡방향 치수는 이것보다 작게 되어 있다. 이 지지부 (54) 의 좌측 상하 코너부는 둥그스름하게 형성되고, 우측 상하 코너부는 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홈부 (53) 에서는, 지지부 (54) 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금구의 지지 아암 (44) 의 관통을 허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가압 부재 (50) 는, 도 2 의 (A) 에서 상단측이 조작부 (55) 를 이루고 있고, 하우징 (10) 의 상벽 (11) 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는 다음의 요령으로 사용된다.
(1) 먼저, 커넥터 (1) 를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에 장착하여 단자 (20, 30) 를 그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접속시킨다. 단자 (20, 30) 는, 그들의 접속부 (27, 37) 가 각각 땜납에 의해 상기 대응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금구 (40) 는 그 고정부가 회로 기판의 대응부에 땜납 고정된다.
(2) 가압 부재 (50) 는, 조작부 (55) 가 상방을 향하는 개방 위치에 오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하우징 수용부 (10A) 에 있어서의 단자의 상부 아암부 (21) 와 하부 아암부 (22) 사이가 자유 상태로 평형 도체 (P) 를 쉽게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단자 (30) 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자유 상태로 되어 있어 평형 도체 (P) 를 쉽게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3) 다음으로, 도 1 그리고 도 3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형 도체 (P) 를 화살표 A 방향으로 진행시켜 그 전단부로부터 상기 수용부 (10A) 내에 삽입한다. 상기 폭 방향에서 단자 (20, 30) 의 위치에서는, 평형 도체 (P) 는 단자의 상부 아암부 그리고 하부 아암부 사이에 쉽게 삽입될 수 있는데, 금구 (40) 의 위치에서는, 그 금구 (40) 의 걸림 돌기 (43B) 가 크게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 위치에서는, 도 3 의 (B) 와 같이 평형 도체 (P) 는 그 피걸림부인 귀부 (P2) 가 걸림 돌기 (43B) 의 테이퍼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그 걸림 돌기 (43B) 상에 올라가 크게 상방으로 휜다. 이 귀부 (P2) 는, 하우징 (10) 의 상벽 (11) 에 형성된 노치부 (18) 의 공간에서 휨이 충분히 허용되고, 이렇게 하여 평형 도체 (P) 는 귀부 (P2) 가 상방으로 휜 상태에서 상기 걸림 돌기 (43B) 를 올라 타면서 전방으로 삽입되고, 상기 귀부 (P2) 가 상기 걸림 돌기 (43B) 를 넘으면, 도 3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휨에서 해방되어 원래의 평탄한 형태가 되어 평형 도체 (P) 의 전측 가장자리부가 하우징 (10) 의 평형 도체 진입 홈 (19) 내에 진입되고, 여기서 지지된다. 이렇게 하여 평형 도체 (P) 는 후방으로 끌어 당겨져도 피걸림부인 귀부 (P2) 의 후측 가장자리가 상기 걸림 돌기 (43B) 의 전측 가장자리에 걸려 발출이 저지된다.
(4) 상기 귀부 (P2) 는, 수용부 (10A) 의 삽입 개시에는, 그 수용부 (10A) 의 테이퍼면 (18D) 에서 삽입이 용이해지고, 상기 귀부 (P2) 가 노치부 (18) 를 통과할 때에는, 상방으로 휜 귀부 (P2) 는, 귀부 (P2) 의 상면에서 노치부 (18) 의 경사 가장자리 (18B) 에 슬라이딩 접촉하고, 또 상벽 (11) 의 하면에서는 그 테이퍼면 (19C) 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안내되면서 전진하고, 그 전진과 함께 그 휨 상태에서 평탄 상태로 이행되도록 하여 안내되어, 평형 도체 (P) 의 전단부가 원활하게 상기 평형 도체 진입 홈 (19) 에 도입된다.
(5) 이와 같이 귀부 (P2) 가 걸림 돌기 (43B) 에 걸리는 상태가 된 후, 도 4 의 (A) 에 있어서의 개방 위치의 가압 부재 (50) 를 회전 운동 조작하여 도 4 의 (B) 의 폐쇄 위치에 오게 한다. 가압 부재 (50) 의 캠부 (51) 는 세로로 긴 상태가 되며, 단자 (20) 의 피압부 (25A) 를 상방으로 눌러 피압 아암부 (25) 를 상방으로 들어 올린다. 이로써 단자 (20) 의 상부 아암부 (21) 는 연결부 (23) 를 지지점으로 하여 지레상으로 탄성 변위되고, 접촉 아암부 (24) 가 하방으로 경사 변위되어 그 접촉부 (24A) 에서 평형 도체 (P) 를 하방으로 눌러 단자 (20) 와의 접압을 높인다. 평형 도체 (P) 가 상면에 접속 회로부가 형성되어 있을 때에는 그 접속 회로부는 상기 접촉부 (24A) 와 접촉하는데, 접속 회로부가 하면에 형성되어 있을 때에는 단자 (20) 의 하부 아암부 (22) 의 접압부 (26A) 가 접촉부로서 기능한다. 물론, 상하면에 회로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접촉부 (24A) 와 접압부 (26A) 의 양방과 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압 부재 (50) 에 의한 평형 도체와의 접속은 단자 (30) 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6)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평형 도체를 단순히 수용부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피걸림부인 귀부가 걸림부에 맞닿아 자동적으로 휘어 이 걸림부를 넘고, 넘었을 때에는 상기 휨이 자동적으로 해방되어 평탄해지고, 후방으로 외력을 받아도 걸림부에 걸려 발출이 확실하게 저지된다.
(7) 이와 같이 가압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는, 단자의 접촉부에 의해 평형 도체가 하방으로 눌려 있으므로, 그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인 귀부가 상방으로 이동하지 못해 항상 걸림 돌기와 걸고자 하는 위치에 있는데, 평형 도체의 발출시에는 가압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고, 접촉부가 상방으로 변위되어 있어 평형 도체를 상방으로 끌어 올리도록 기울어지게 하면, 상기 피걸림부는 걸림 돌기로부터 쉽게 벗어나게 되어 후방으로 끌어 당김으로써 발출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걸림 돌기는 금구에 형성하지 않아도, 하우징의 하벽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금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부품 점수가 줄게 된다. 그 경우, 걸림 돌기는 금구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동등한 강도를 얻을 만큼의 크기로 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 걸림 돌기는, 하우징의 상벽과의 간격이 평형 도체의 맞닿음 부분, 즉 귀부의 두께 치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귀부가 걸림 돌기를 넘은 후에는, 상하로 흔들려도 이 걸림 돌기로부터 벗어나지는 않는다.
또한, 노치부 (18) 는, 도 1 에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 가장자리가 안쪽부까지 연장되어 있고, 대략 V 자 형상을 이루고 있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경사 가장자리가 상기 안쪽부까지 평형 도체의 귀부를 확실하게 안내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는, 도 1 의 (A) 에 도시한 형태의 귀부에 한정되지 않고, 그 평형 도체를 후방으로 끌어 당겼을 때 걸림 돌기에 걸 수 있으면, 그 형태에 한정은 없다. 예를 들어, 도 1 의 (A) 에 있어서의 귀부의 바로 후방에 잘록부 (P1) 를 갖고 있지 않아도, 귀부 후방의 측부 가장자리가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형태이어도 된다. 또, 귀부가 측부 가장자리로부터 직각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경사져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도 1 의 (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및 이것에 접속되는 평형 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 의 (B) 는 도 2 의 단면 위치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도 2 의 (A) 는 도 1 의 (B) 에 있어서의 ⅡA 선 단면도, 도 2 의 (B) 는 ⅡB 선 단면도, 도 2 의 (C) 는 ⅡC 선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 은 도 1 의 (A) 의 커넥터에 대한 평형 도체의 삽입 과정을 나타내는, 금구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이고, 도 3 의 (A) 는 삽입 전, 도 3 의 (B) 는 삽입 도중, 도 3 의 (C) 는 삽입 완료시를 각각 나타낸다.
도 4 는 도 1 의 (A) 의 커넥터의 평형 도체 삽입 완료시의 단자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이고, 도 4 의 (A) 는 가압 부재가 개방 위치, 도 4 의 (B) 는 폐쇄 위치에 있어서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넥터 10 : 하우징
10A : 수용부 11 : 상벽
12 : 하벽 18 : 노치부
19C : 테이퍼부 20 : 단자
24A : 접촉부 30 : 단자
40 : 금구 43B : 걸림 돌기
50 : 가압 부재 P : 평형 도체
P2 : 피걸림부 (귀부)

Claims (8)

  1. 하우징의 상벽과 하벽 사이의 공간에서 평형 도체를 위한 수용부를 형성하고, 단자의 접촉부가 그 수용부에서 상기 평형 도체와 접촉하는 위치에 배열되어 있고, 단자의 배열 방향 양단측에서 단자에 나란하게 상방을 향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배열 방향에서 걸림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피걸림부를 갖는 평형 도체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었을 때, 그 평형 도체의 후방으로의 발출 방향에서 상기 피걸림부의 후측 가장자리와 걸어 평형 도체의 발출을 방지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의 상벽은 상기 단자의 배열 방향 및 전후 방향에서 상기 걸림 돌기의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후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상기 상벽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노치된 노치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가 상기 걸림 돌기 상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노치부가 그 피걸림부의 상방으로의 휨을 허용하고 있고,
    노치부는 단자의 배열 방향에서의 내측 가장자리가 전방을 향해 배열 방향에서 외측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걸림 돌기는 하우징에 장착된 금구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걸림 돌기는 하우징의 하벽의 일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노치부는 단자의 배열 방향에서의 내측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하벽에 대면하는 면이 후단을 향해 그 하벽으로부터 멀어져 가는 테이퍼면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걸림 돌기는 상벽과의 사이의 간격이 그 평형 도체의 맞닿음 부분의 두께 치수보다 작게 하는 위치에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노치부는 전방을 향해 좁아지는 V 자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커넥터는 움직일 수 있게 지지된 가압 부재를 가지며, 그 가압 부재의 이동에 의해 단자의 일부를 가압하여 그 단자의 접촉부에서의 평형 도체에 대한 탄압력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20090027346A 2008-04-24 2009-03-31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1089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346A KR101089080B1 (ko) 2008-04-24 2009-03-31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13310 2008-04-24
KR1020090027346A KR101089080B1 (ko) 2008-04-24 2009-03-31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555A KR20090112555A (ko) 2009-10-28
KR101089080B1 true KR101089080B1 (ko) 2011-12-05

Family

ID=41553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7346A KR101089080B1 (ko) 2008-04-24 2009-03-31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90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6705B2 (ja) * 2010-02-26 2012-08-0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5956902B2 (ja) 2012-10-22 2016-07-2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9083U (ko) * 1984-12-21 1986-07-10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9083U (ko) * 1984-12-21 1986-07-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555A (ko) 200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8803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3925919B2 (ja) 平型導体の接続のための電気コネクタ
JP4972174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943774B2 (ja) コネクタ
KR101008302B1 (ko) 편평한 단자용 커넥터
US7112089B1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US744549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taining member
JP4836214B2 (ja) 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と基板用電気コネクタとを有するコネクタ組立体
KR20160118145A (ko) 전기 커넥터
KR101089080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JP5688059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4995946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6218912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20140113462A1 (en) Connector
WO2013111763A1 (ja) コネクタ
KR101650500B1 (ko) 푸시형 액추에이터를 갖는 커넥터
US20170352971A1 (en) Connector
KR101617330B1 (ko)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
KR101300008B1 (ko) 커넥터
US7153155B1 (en) Receptacle connector
US20080096430A1 (en) Connector with easily replacement of a slider
KR101627699B1 (ko) 슬라이딩 타입용 액츄에이터를 갖는 커넥터
KR20090014099A (ko)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KR101635166B1 (ko) 케이블의 고정이 용이한 슬라이딩 액추에이터를 갖는 커넥터 시스템
US6935888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