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466B1 - 스마트 작업기 - Google Patents

스마트 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466B1
KR102537466B1 KR1020200121934A KR20200121934A KR102537466B1 KR 102537466 B1 KR102537466 B1 KR 102537466B1 KR 1020200121934 A KR1020200121934 A KR 1020200121934A KR 20200121934 A KR20200121934 A KR 20200121934A KR 102537466 B1 KR102537466 B1 KR 102537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collecting
work
spac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9161A (ko
Inventor
남주석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21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466B1/ko
Publication of KR20220039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1/00Apparatus for gathering together crops spread on the soil, e.g. apples, beets, nuts, potatoes, cotton, cane sugar
    • A01D51/002Apparatus for gathering together crops spread on the soil, e.g. apples, beets, nuts, potatoes, cotton, cane sugar for apples or nu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3/00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 A01D43/06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with means for collecting, gathering or loading mown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57/2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with conveyor bel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각각의 구성들을 조합하여 수거물의 이송작업 및/또는 수거작업을 각각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회전동력이 발생되는 구동동력원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주행운동하도록 주행수단과, 상기 주행수단에 배치되며 내부에 적재공간이 형성된 적재수단을 가지는 주행부와; 선택적으로 회전운동하는 포집회전축에 결속되며 각각의 사이간격으로 수거물을 포집공간으로 포집하도록 된 다수의 포집살대들을 가지는 포집수단과, 상기 포집수단을 통해 포집공간으로 포집된 수거물을 수거하여 적재공간으로 수거하도록 된 수거수단을 가지는 작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작업부는, 상기 주행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행부에는, 상기 구동동력원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외부로 출력하도록 된 출력변속기가 구비되며; 상기 작업부에는, 상기 출력변속기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된 입력축이 구비되는 스마트 작업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작업기{Smart work machine}
본 발명은, 농업부산물(과수전정지:사과, 포도, 배, 감 등의 전정지 및 밭작물 부산물)과 바닥에 떨어진 각종 수거물(나뭇가지, 낙엽 등의 고형물)을 기계적으로 포집함과 아울러 수집하고 적재한 후, 별도의 장소로 운반을 할 수 있도록 됨은 물론, 좁은 공간에서도 안정적으로 주행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됨에 따라, 작업품질이 극대화되는 스마트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수는 도로에 심어지므로 해마다 전지작업을 하여 정비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농장 및 각종 조경작업장에서 나무를 재배하거나 과실나무를 재배하는 과수원 등지에서는 전지작업이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전지작업시에는, 절단 및 파쇄되는 나뭇가지 낙엽 등과 같은 잔유뮬이 바닥에 떨어져 별도로 수거된다.
아울러, 국내의 연간 농업부산물 잠재량은 약 4,018 천TOE/년으로 추산되며, 그 중 61%를 차지하는 볏짚과 왕겨는 퇴비나 가축 사료로 이용되고 있음(TOE: Ton of Oil Equivalent), 그 외 39%를 차지하는 농업부산물은 토양으로의 환원 및 직접 연소로 대부분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버려지는 농업부산물은 약 3,897천 톤으로, 이를 가치로 환산하면 약 8 천억원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잠재에너지량 측면에서 과수에서 발생하는 농업부산물을 수집하는 수거작업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각종 수거물들은, 작업현장에서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0-0001011호(명칭: 갈쿠리/2000.01.14.)등에서 제안된 갈쿠리 등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일일이 바닥에 떨어진 잔여물을 수거는 수작업에 의해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많은 인력이 동원되고,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비용 부담이 커지는 불편이 있다.
이에 따라, 전지작업 및 수거물을 기계적인 구동을 통해 수행하도록 되어, 작업의 편의성 및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도록 된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6-0096814호(명칭: 개량된 낙엽수거차량/2006.09.30.)가 있으며,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통상의 낙엽수거차량에 있어서, 상기 배출컨베이어구동장치(30)를 상기 차량 보조밋션의 동력인출장치와 조인트 연결된 유압용 오일펌프를 설치하고, 상기 오일펌프의 일단에는 오일펌프 작동에 따른 요구 오일의 공급을 위해 일정수위의 오일이 담수된 오일탱크가 고압호스 연결되는 한편, 상기 오일펌프의 타단에는 오일펌프의 출력측에서 인가되는 유압을 정압으로 유지해 후 배관라인에 설치된 유압모터에 전단하는 한편, 모터에서 한번 사용된 유압은 다시 오일탱크로 분배 이송하여 오일의 순환체계를 조절/담당하는 유압용 자동 컨트롤 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유압용 자동 컨트롤 밸브에 의해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일정한 속도비로 회전작동되는 유압모터를 양측에 각각 구비하여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9-0017181호(명칭: 이동형 가로수 가지 파쇄기/2019.02.14.)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일정용량의 엔진과 일정크기의 적재부를 구비하고, 운전석과 바퀴와 승강형접지각을 갖추어서 되는 자동차와, 적재부의 저면에 장치되어 엔진의 PTO축과 접속하는 PTO발전기와, 적재부 상면에 배치되며, 파쇄실 전방에 투입호퍼와, 체인컨베이어와, 투입안내롤러가 장치되어 상측투입롤러는 상하방향으로 승강하고, 파쇄실 내부에는 회전드럼이 장치되어 외면에 다수의 파쇄칼날이 탈착이 가능하게 장치되며, 파쇄실의 배면에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파쇄실 옆에 장치되어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흡입팬의 흡입구가 흡입관로로 연결되는 나뭇가지파쇄기와, 상측주벽에 투입구가 형성되어 흡입팬의 배출구가 배출관로로 연결되고, 하단에 목재칩수집통의 입구에 접속되며, 중심부에는 배기관이 장치되는 사이크론과, 직육면체로 되어 상단 입구에 사이크론 하단에 접속되고, 배출구에는 회전배출기가 장치된 배출실이 형성되는 목재칩수집통과, 목재수집통 외측에 장치되어 투입구에 배출실의 배출구가 접속되고, 상단배출구에 이동용포대가 접속되는 스크류컨베이어와, 적재부 후방에 설치되어 붐대 선단에는 전지가위와 크램프가 부착되어 유압펌프 또는 모터로 구동되는 크레인으로 이루어진 이동형 가로수 가지 파쇄기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동형 파쇄 및 수거장치들은, 도로 등과 같이 작업공간이 큰 공간에서의 작업을 수행하는 것에만 적합하게 적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낙농 및 조경 공간에서와 같은 작업공간이 작은 공간에서는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낙농 및 조경 공간에서와 같은 작업공간이 작은 공간에서도 수거물의 수거작업을 수행할 수 잇도록 된 수거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8-0105477호(명칭: 다목적 작업기 /2018.09.04.)가 있으며,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밑면 전후에 이동 가능한 복수의 이동바퀴가 구비되며 후방에 손잡이 프레임이 구비되는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부에 수집되는 나뭇가지 또는 베어진 풀이 적재되는 적재함; 상기 적재함의 전방에 제1 구동수단 및 제1 동력전달부에 의해 프레임 상에서 회전되는 이송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전방 프레임 양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장착 프레임; 상기 장착 프레임의 전방에 제2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양측에 그 구동축의 회전력을 수직으로 전달하는 각 제2 동력전달부에 의해 회전되는 각각의 수직 회전축; 상기 수직 회전축 상에 나뭇가지를 수집하거나 예초 가능하게 마련되는 작업부재; 및 상기 구동축의 후방이송 컨베이어 사이의 장착 프레임 상에 상기 구동축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작업부재에 의해 수집 또는 베어진 풀을 이송 컨베이어로 걷어올리는 리프팅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0-0001011호(2000.01.14.)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6-0096814호(2006.09.30.)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9-0017181호(2019.02.14.)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8-0105477호(2018.09.04.)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작업기 등은, 수거물을 수집하는 수거작업에만 적용가능하게 이루어져,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낙농 및 조경 작업환경에서의 사용상의 범용성이 떨어져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게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에 떨어진 각종 수거물(나뭇가지, 낙엽 등의 고형물)을 기계적으로 포집함과 아울러 수집하고 적재한 후, 별도의 장소로 운반을 할 수 있도록 됨은 물론, 좁은 공간에서도 안정적으로 주행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됨에 따라, 작업품질이 극대화되는 스마트 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각각의 구성들을 조합하여 이송작업 및/또는 수거작업을 각각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효율을 향상시켜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하도록 된 스마트 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작업기는, 회전동력이 발생되는 구동동력원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주행운동하도록 주행수단과, 상기 주행수단에 배치되며 내부에 적재공간이 형성된 적재수단을 가지는 주행부와; 회전운동하는 포집회전축에 결속되며 각각의 사이간격으로 수거물을 포집공간으로 포집하도록 된 다수의 포집살대들을 가지는 포집수단과, 상기 포집수단을 통해 포집공간으로 포집된 수거물을 수거하여 적재공간으로 수거하도록 된 수거수단을 가지는 작업부;를 포함하는 작업기로서, 상기 주행부에는, 상기 구동동력원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외부로 출력하도록 된 출력변속기가 구비되고; 상기 작업부에는, 상기 출력변속기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된 입력축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주행수단은, 상기 구동동력원이 시설되며 상기 구동동력원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하도록 축고정되는 주행휠이 구비된 주행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수단은, 상기 주행본체의 상부에서 작업공간측 방행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상부가 개구된 상기 적재공간이 형성된 적재함을 포함하고, 상기 포집수단은, 상기 주행부의 주행본체에 탈부착되며 작업바퀴가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작업본체와; 상기 작업본체의 양측단에서 작업공간측 방향으로 각각 길이를 가지면서 연결구비되어 사이공간에 상기 포집공간을 형성하도록 된 한 쌍의 포집몸체들과; 상기 포집몸체들의 선단에 각각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상기 포집회전축들을 구비하고, 상기 작업부는, 상기 작업본체에서 상기 포집몸체의 사이공간에 배치고정되며 선단에서 수거되는 수거물을 상기 주행부의 적재공간으로 이송시키도록 된 이송컨베이어구조체와; 상기 작업본체에서 상기 이송컨베이어구조체의 선단에 배치고정되며 상기 포집공간으로 포집된 수거물을 수거하여 상기 이송컨베이어구조체로 적재하도록 된 상기 수거수단으로 구성되되, 상기 작업본체에는, 상기 주행본체와 결합시 상기 출력변속기에 접속하여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된 상기 입력축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상기 수거수단은, 상기 작업본체에 축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된 수거축과; 상기 수거축에서 외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결고정되어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된 회전링크와; 상기 회전링크에 힌지결합되고, 그 종단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수거물을 수거하도록 만곡된 다수의 갈쿠리편들이 형성된 수거링크와; 상기 수거링크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수거축과 결합된 지지링크에 힌지결합된 종동링크와 힌지결합되는 가동링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포집회전축은, 상기 입력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집살대들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사이간격들이 증대하도록 상기 포집회전축에 대하여 외측방향으로 경사각도를 가지면서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원추형상의 배치를 가지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집살대들에는, 구조적으로 탄력성을 가지는 다수의 포집살들이 묶음되면서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구조체는, 상기 입력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작업기는, 주행부와 작업부를 결합한 후, 주행부에 의해 주행하는 작업부에서 전지작업을 통해 바닥으로 낙하되면서 떨어지는 나뭇가지, 낙엽 등의 각종 수거물을 기계적으로 포집함과 아울러 수거하고 적재공간에 적재한 후, 별도의 장소로 운반하여 처리하도록 됨은 물론, 좁은 공간에서도 안정적으로 주행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상의 범용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필요시 선택적으로 주행부와 작업부를 분리한 후, 주행부를 통해서 각종 적재물을 운반작업하도록 되어 사용효율을 향상시켜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작업기를 보인 개략 분리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작업기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작업기를 보인 개략 측면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작업기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작업기를 구성하는 주행부를 보인 개략 측면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작업기를 구성하는 작업부를 보인 개략 측면 예시도.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작업기를 구성하는 작업부를 형성하는 포집수단을 개략 예시도.
도 8 내지 도 1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작업기를 구성하는 작업부를 형성하는 수거수단을 개략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작업기의 제어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작업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작업기(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작업기(1)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동력이 발생되는 구동동력원(1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주행운동하도록 주행수단(2)과, 상기 주행수단(2)에 배치되며 내부에 적재공간이 형성된 적재수단(3)을 가지는 주행부(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작업기(1)는, 선택적으로 회전운동하는 포집회전축(51)에 결속되며 각각의 사이간격으로 수거물을 포집공간으로 포집하도록 된 다수의 포집살대(52)들을 가지는 포집수단(5)과, 상기 포집수단(5)을 통해 포집공간으로 포집된 수거물을 수거하여 상기 적재수단(3)의 적재공간으로 수거하도록 된 수거수단(6)을 가지는 작업부(7);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구동동력원(10)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통해 상기 주행수단(2)이 주행하면서 상기 작업부(7)의 상기 포집수단(5)과 상기 수거수단(6)을 통해 바닥에 떨어진 수거물들을 포집과 동시에 수거 및 적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공간을 주행하면서 수거물들이 안정적으로 수거됨에 따라,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상기에서 구동동력원(10)은, 종래 공지된 기술이 적용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내연기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동력을 발생하도록 된 '전기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작업기(1)에서, 상기 작업부(7)는, 상기 주행부(4)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주행부(4)와 상기 작업부(7)를 결합한 후, 상기 주행부(4)에 의해 주행하는 상기 작업부(7)에서 전지작업을 통해 바닥으로 낙하되면서 떨어지는 나뭇가지, 낙엽 등의 각종 수거물을 기계적으로 포집함과 아울러 수거하고 적재공간에 적재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주행부(4)를 통해 상기 적재수단(3)에 적재된 수거물들을 별도의 장소로 운반하여 처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주행부(4)와 상기 작업부(7)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작은 용량으로 구성하도록 설계가능하게 됨에 따라, 좁은 공간에서도 안정적으로 주행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필요시 상기 주행부(4)와 상기 작업부(7)를 분리한 후, 상기 주행부(4)를 통해서 각종 적재물을 운반작업하도록 되어 범용성을 확보하고 사용효율을 향상시켜 경제적인 이익이 구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작업기(1)에서, 상기 주행부(4)에는, 상기 구동동력원(1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외부로 출력하도록 된 출력변속기(41)가 구비되며; 상기 작업부(7)에는, 상기 출력변속기(41)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된 입력축(71)이 구비된다.
즉, 상기 구동동력원(1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통해 상기 주행부(4)가 주행함은 물론, 상기 출력변속기(41) 및 상기 입력축(71)을 통해 상기 주행부(4)와 결합되는 상기 작업부(7)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상기 작업부(7)에서 소모되는 회전력을 별도의 장치들을 각각 구비하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설계상 구조적으로 간소화가 이루어져 생산성이 향상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작업기(1)에서, 상기 출력변속기(41)는, 별도의 '회전동력발생장치(미도시됨)'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동력발생장치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입력축(71)으로 공급하도록 될 수 있으며, 상기 작업부(7)에서 소요되는 동력을 상기 구동동력원(10)과는 별도의 독립적 동력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회전동력발생장치는, 종래 공지된 기술이 적용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내연기관' 또는 '전기모터' 또는 '유압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작업기(1)에서, 상기 주행부(4)는, 상기 구동동력원(10)이 시설되며 상기 구동동력원(1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하도록 축고정되는 주행휠(21)이 구비된 주행본체(22)를 가지는 상기 주행수단(2)과; 상기 주행본체(22)의 상부에서 작업공간측 방향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상부가 개구된 상기 적재공간이 형성된 적재함(31)을 가지는 상기 적재수단(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구동동력원(1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주행휠(21)을 통해 전달받아 상기 주행수단(2)이 주행하면서 상기 적재수단(3)을 운행하게 된다.
상기에서 구동본체(22)는, 종래 공지된 기술이 적용된 '프레임구조체'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구동본체(22)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상기 주행수단(2)의 주행방향을 조절하도록 된 손잡이부재(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에서 손잡이부재(23)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구동동력원(10)을 구동을 제어하도록 된 조작장치(9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장치(91)는, 종래 공지된 기술이 적용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주행본체(22)에는, 상기 주행횔(21)에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순환운동하도록 된 순환궤도구조체(24)가 구비되어, 상기 순환궤도구조체(24)의 순환운동시 주행하도록 될 수 있으며; 상기 주행본체(22)가 궤도를 통해 주행하게 됨에 따라, 비포장된 지면을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어, 적용되는 공간의 제한이 없어 사용성이 향상된다.
상기에서 적재수단(3)의 적재함(31)은, 별도의 유압장치(미도시됨)을 통해 결사진 방향으로 절첩하여 적재된 수거물을 용이하게 출하하도록 될 수 있는 것으로, 종래 공지된 기술이 적용된 '유압구조체'의 구성들 중 선택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작업기(1)에서, 상기 작업부(7)는, 상기 주행부(4)의 주행본체(22)에 탈부착되며 작업바퀴(72)가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작업본체(73)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작업부(7)는, 상기 작업본체(73)의 양측단에서 작업공간측 방향으로 각각 길이를 가지면서 연결구비되어 사이공간에 상기 포집공간을 형성하도록 된 한 쌍의 포집몸체(53)들과, 상기 포집몸체(53)들의 선단에 각각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상기 포집회전축(51)들을 가지는 상기 포집수단(5);를 더 가진다.
또한 상기 작업부(7)는, 상기 작업본체(73)에서 상기 포집몸체(53)의 사이공간에 배치고정되며 선단에서 수거되는 수거물을 상기 주행부(4)의 적재공간으로 이송시키도록 된 이송컨베이어구조체(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작업부(7)는, 상기 작업본체(73)에서 상기 이송컨베이어구조체(8)의 선단에 배치고정되며 상기 포집공간으로 포집된 수거물을 수거하여 상기 이송컨베이어구조체(8)로 적재하도록 된 상기 수거수단(6);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작업본체(73)가 상기 작업바퀴(71)의 공회전에 따라, 상기 주행부(4)의 주행시 동일 방향으로 주행하면서 상기 포집수단(5)을 통해 수거물을 상기 포집공간으로 포집하고 상기 수거수단(6)을 통해 상기 포집공간에 포집된 수거물을 상기 이송컨베이어구조체(8)로 수거하여, 상기 주행부(4)의 적재수단(3)으로 적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거물의 포집과 수거 및 적재와 운반이 연속적인 기계구동을 통해 구현되어, 작업효율이 극대화된다.
상기에서 작업본체(73)는, 종래 공지된 기술이 적용된 '프레임구조체'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이송컨베이어구조체(8)는, 종래 공지된 기술이 적용된 '컨베이어구조체'의 구성들 중 선택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송컨베이어구조체(8)에서 상기 수거물이 이송되는 이동경로의 양측단에는, 상부로 길이를 가지면서 직림된 가이드판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판을 통해 수거물이 벨트를 타고 올라갈 때 측방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막아주어 안정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도록 된 것입니다.
아울러, 상기 이송컨베이어구조체(8)를 구성하는 상기 벨트는, 모래와 같은 이물질이 아래로 떨어질 수 있도록 '다공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이송컨베이어구조체(8)는, 별도의 조절장치(미도시됨)을 통해 바닥에 대하여 그 경사도와 최고단부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조절장치는, 종래 공지된 기술이 적용된 '유압구조체'의 구성들 중 선택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각각의 상기 포집회전축(51)들은, 각각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포집살대(52)들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포집몸체(53)들의 사이공간에 형성되는 상기 포집공간으로 수거물들을 상기 포집살대(52)들의 사이간격에 끼움하면서 포집하게 된다.
상기에서 포집살대(52)들은, 각각의 상기 포집회전축(51)들의 하단에서 바닥측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방사상으로 펼쳐지는 형태로 결속될 수 있다.
즉, 상기 포집살대(52)들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사이간격들이 증대하도록 상기 포집회전축(51)에 대하여 외측방향으로 경사각도를 가지면서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원추형상'의 배치를 가지도록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닥에 대한 포집면적은 증대하면서 그 상부공간은 침해하지 않도록 됨에 따라, 수거물의 포집작업공간이 최적화되어 사용품질이 향상된다.
상기에서 포집살대(52)들에는, 구조적으로 탄력성을 가지며 길이를 가지는 다수의 포집살(54)들이 묶음되면서 결속된다.
즉, 바닥면에 대하여 탄력성을 가지어 유연한 상기 포집살(54)들이 접촉하면서 수거물들을 포집하도록 되어 바닥면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수거물들을 포집하게 된다.
아울러, 수거물 중 잔가지 및/또는 낙엽 등과 같은 소형의 크기를 가지는 잔유뮬들이 상기 포집살(54)들에 의해 용이하게 포집되어, 포집효율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작업기(1)에서, 상기 수거수단(6)은, 상기 작업본체(73)에 축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된 수거축(61)과; 상기 수거축(61)에서 외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결고정되어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된 회전링크(62)와; 상기 회전링크(62)의 종단에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종단에 수거물을 수거하도록 만곡된 다수의 갈쿠리편(63)들이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고정된 수거링크(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수거축(61)의 회전시 상기 회전링크(62)에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하도록 된 상기 수거링크(64)가 회전궤도운동을 하면서 상기 갈쿠리편(63)들이 바닥에 잔유하는 수거물들을 상기 이송컨베이어구조체(8)로 퍼올리면서 수거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거수단(6)은, 상기 수거축(61)에서 사이간격을 가지는 위치에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종단에 상기 수거링크(64)의 일부위에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가동링크(67);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가동링크(67)와 상기 수거링크(64)가 연결된 부위는, 상기 수거링크(64)의 회전공간의 내부에서 순환회전운동하도록 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링크(62)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수거링크(64)가 상기 회전링크(62)와 관절(진자)운동하면서 작업공간에서 수거물을 퍼올리는 궤도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동링크(67)가 상기 수거축(61)의 하측에서 상기 수거링크(64)의 일부위를 지지하여 상기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수거링크(64)의 종단에 구비된 상기 갈쿠리편(63)들이 바닥의 내부로 침범하지 않으면서 바닥의 상부공간에서 회전궤도운동을 하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작업기(1)에서, 상기 수거수단(6)은, 상기 수거축(6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종단과의 사이간격을 조절하도록 되어 상기 수거축(61)의 외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지지링크(65)와; 길이를 가지면서 일단이 상기 지지링크(65)의 종단에 공회전폭(진자운동 폭)의 조절이 가능하게 축결합되며 타단에는 상기 가동링크(67)의 일단이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종동링크(6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링크(65)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수거링크(64)의 종단에 구비된 상기 갈쿠리편(63)들의 운동시 최하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작업공간에 따른 상기 가동링크(67)의 운동궤도를 초기화하도록 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링크(65)에 대하여 상기 종동링크(66)의 진자운동폭을 조절하도록 됨에 따라, 상기 수거링크(64)의 종단에 구비된 상기 갈쿠리편(63)들의 운동궤도에서 상하최대폭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바닥의 환경(단단한 지면, 물렁한 지면)상태 및 수거하고자 하는 수거물의 종류에 따라, 각각 적합한 상기 갈쿠리편(63)들의 운동궤적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적용하도록 됨에 따라, 사용품질이 극대화된다.
상기에서 종동링크(66)와 상기 가동링크(67)의 연결된 전체길이는, 상기 수거링크(64)보다는 큰 길이를 가지며, 상기 회전링크(62)와 상기 수거링크(64)의 연결된 전체길이보다는 작은 길이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종동링크(66)와 상기 가동링크(67)의 회전운동궤적이 상기 수거링크(64)의 회전궤도운동공간에 적합하게 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작업기(1)에서, 작업본체(72)에는, 상기 주행본체(22)와 결합시 상기 출력변속기(41)에 접속하여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된 상기 입력축(71)이 공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주행부(4)에 대한 상기 작업부(7)의 결합시 상기 입력축(71)이 상기 출력변속기(41)에 접속되어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한편, 상기 포집회전축(51)과 상기 이송컨베이어구조체(8)와 상기 수거축(61)은, 상기 입력축(7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하도록 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동력원(1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출력변속기(41)를 경유하여 상기 입력축(71)을 통해 전달받아 상기 포집회전축(51)과 상기 이송컨베이어구조체(8)와 상기 수거축(61)들이 각각 회전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동력발생장치'가 필요없이 상기 포집회전축(51)과 상기 이송컨베이어구조체(8)와 상기 수거축(61)들에서 각각 소모되는 회전력을 경제적으로 확보하게 된다.
상기에서 입력축(71)과 각각의 상기 포집회전축(51)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구조체(8) 및 상기 수거축(61)들은, 각각의 동력전달구조체(100)들을 통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될 수 있으며; 각가의 상기 동력전달구조체(100)들은, 종래 공지된 기술이 적용된 구조들에서 각각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유니버셜조인트', '변속기', '베벨기어', '평기어', '길이를 가지는 다양한 축봉들' 및 '컨베이어벨트', '체인벨트' 등에서 선택적으로 조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각각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작업기(1)의 제어상태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작업기(1)는, 전원을 받아 충전하도록 된 축전지(92)와; 상기 포집회전축(51)과 연결되며 상기 축전지(92)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9)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포집회전축(51)을 선택적으로 회전운동시키도록 된 포집모터(9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한 상기 포집모터(93)의 선택적인 구동을 통해 상기 포집회전축(51)을 회전시켜, 수거물을 포집하게 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작업기(1)는, 상기 수거축(61)과 연결되며 상기 축전지(92)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상기 제어수단(9)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수거축(61)을 선택적으로 회전운동시키도록 된 수거모터(9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한 상기 수거모터(94)의 선택적인 구동을 통해 상기 수거축(61)을 회전시켜 상기 수거축(61)를 회전운동시키어 수거물을 수거하게 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작업기(1)는, 상기 이송컨베이어구조체(8)와 연결되며 상기 축전지(92)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상기 제어수단(9)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이송컨베이어구조체(8)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도록 된 이송모터(9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한 상기 이송모터(95)의 선택적인 구동을 통해 상기 이송컨베이어구조체(8)를 구동시켜 수거물을 상기 적재수단(3)에 적재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스마트 작업기(1)는, 상기 포집회전축(51)과 상기 이송컨베이어구조체(8)와 상기 수거축(61)들이 각각의 상기 포집모터(93)와 상기 이송모터(95)와 상기 수거모터(94)들을 통해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어, 설계상 구조적으로 단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친환경적인 에너지원을 통해 각각 구동됨에 따라, 친환경적으로 제공하게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스마트 작업기 10 : 구동동력원
100 : 동력전달구조체
2 : 주행수단 21 : 주행휠
22 : 주행몸체 23 : 손잡이부재
24 : 순환궤도구조체 3 : 적재수단
31 : 적재함 4 : 주행부
41 : 출력변속기 5 : 포집수단
51 : 포집회전축 52 : 포집살대
53 : 포집몸체 54 : 포집살
6 : 수거수단 61 : 수거축
62 : 회전링크 63 : 갈쿠리편
64 : 수거링크 65 : 지지링크
66 : 종동링크 67 : 가동링크
7 : 작업부 71 : 입력축
72 : 작업바퀴 73 : 작업본체
8 : 이송컨베이어구조체
9 : 제어수단 91 : 조작장치
92 : 축전지 93 : 포집모터
94 : 수거모터 95 : 이송모터

Claims (11)

  1. 회전동력이 발생되는 구동동력원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주행운동하도록 주행수단과, 상기 주행수단에 배치되며 내부에 적재공간이 형성된 적재수단을 가지는 주행부와;
    회전운동하는 포집회전축에 결속되며 각각의 사이간격으로 수거물을 포집공간으로 포집하도록 된 다수의 포집살대들을 가지는 포집수단과, 상기 포집수단을 통해 포집공간으로 포집된 수거물을 수거하여 적재공간으로 수거하도록 된 수거수단을 가지는 작업부;를 포함하는 작업기로서,
    상기 주행부에는, 상기 구동동력원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외부로 출력하도록 된 출력변속기가 구비되고;
    상기 작업부에는, 상기 출력변속기에서 출력되는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된 입력축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주행수단은, 상기 구동동력원이 시설되며 상기 구동동력원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하도록 축고정되는 주행휠이 구비된 주행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수단은, 상기 주행본체의 상부에서 작업공간측 방행에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상부가 개구된 상기 적재공간이 형성된 적재함을 포함하고,
    상기 포집수단은, 상기 주행부의 주행본체에 탈부착되며 작업바퀴가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작업본체와; 상기 작업본체의 양측단에서 작업공간측 방향으로 각각 길이를 가지면서 연결구비되어 사이공간에 상기 포집공간을 형성하도록 된 한 쌍의 포집몸체들과; 상기 포집몸체들의 선단에 각각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상기 포집회전축들을 구비하고,
    상기 작업부는, 상기 작업본체에서 상기 포집몸체의 사이공간에 배치고정되며 선단에서 수거되는 수거물을 상기 주행부의 적재공간으로 이송시키도록 된 이송컨베이어구조체와; 상기 작업본체에서 상기 이송컨베이어구조체의 선단에 배치고정되며 상기 포집공간으로 포집된 수거물을 수거하여 상기 이송컨베이어구조체로 적재하도록 된 상기 수거수단으로 구성되되,
    상기 작업본체에는, 상기 주행본체와 결합시 상기 출력변속기에 접속하여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된 상기 입력축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상기 수거수단은,
    상기 작업본체에 축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된 수거축과;
    상기 수거축에서 외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결고정되어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된 회전링크와;
    상기 회전링크에 힌지결합되고, 그 종단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수거물을 수거하도록 만곡된 다수의 갈쿠리편들이 형성된 수거링크와;
    상기 수거링크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수거축과 결합된 지지링크에 힌지결합된 종동링크와 힌지결합되는 가동링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작업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살대들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사이간격들이 증대하도록 상기 포집회전축에 대하여 외측방향으로 경사각도를 가지면서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원추형상의 배치를 가지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작업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살대들에는,
    구조적으로 탄력성을 가지는 다수의 포집살들이 묶음되면서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작업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는, 상기 주행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작업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200121934A 2020-09-22 2020-09-22 스마트 작업기 KR102537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934A KR102537466B1 (ko) 2020-09-22 2020-09-22 스마트 작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934A KR102537466B1 (ko) 2020-09-22 2020-09-22 스마트 작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161A KR20220039161A (ko) 2022-03-29
KR102537466B1 true KR102537466B1 (ko) 2023-05-26

Family

ID=80997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934A KR102537466B1 (ko) 2020-09-22 2020-09-22 스마트 작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4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1038A (ja) * 2003-06-30 2005-01-27 Yoka Ind Co Ltd 玉葱収穫機
JP2005073552A (ja) 2003-08-29 2005-03-24 Takao Kubo 作物収穫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0027U (ko) * 1979-11-24 1981-06-29
KR20000001011U (ko) 1998-06-19 2000-01-15 김영환 메모리 모듈의 불량 분석을 위한 클럭신호 위상 변조장치
KR100871106B1 (ko) * 2004-08-25 2008-11-28 모영환 구근작물 수확기
KR101163493B1 (ko) 2005-03-04 2012-07-1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금융계좌 관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2320204B1 (ko) * 2014-09-24 2021-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이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시스템
KR101903402B1 (ko) 2017-03-15 2018-10-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연속식 트리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식 트리핑방법
KR20190017181A (ko) 2017-08-10 2019-02-20 주식회사 효광 Led칩 분류 장치
KR102137594B1 (ko) * 2018-09-04 2020-07-2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작업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1038A (ja) * 2003-06-30 2005-01-27 Yoka Ind Co Ltd 玉葱収穫機
JP2005073552A (ja) 2003-08-29 2005-03-24 Takao Kubo 作物収穫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161A (ko)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49939C2 (ru) Способ и агрегат для уборки урожая
US2974467A (en) Pickup and threshing unit for peanut combine
BR102017015754A2 (pt) Alimentador autoajustável para colheitadeiras de cana-de-açúcar
CN101731058A (zh) 秸秆粉碎还田型自走式玉米联合收获机
US4270550A (en) Combine harvester
CN104584772B (zh) 一种自走式多功能秸秆收割粉碎机
KR20200079615A (ko) 자주식 인발형 마늘 수확기
CN104261151A (zh) 手推式晒场作物收集机的清扫方法及清扫装置和手推式晒场作物收集机
KR101961857B1 (ko) 자주식 인발형 마늘 수확기
CN108012647A (zh) 一种花生捡拾摘果联合收获机
CN107251701A (zh) 一种大蒜收获机
US20080000207A1 (en) Crop-processing device comprising a picking-up and cutting device
CN2862650Y (zh) 自走式饲草捡拾揉切装袋机
CN201630001U (zh) 多功能自走式大豆联合收获机
CN110326433A (zh) 自走式秸秆捡拾饲料打捆机
CN104160833A (zh) 自走式花生捡拾摘果机
US6658830B2 (en) Self-propelled flail mower and vacuum
KR102537466B1 (ko) 스마트 작업기
CN111010985B (zh) 一种秸秆压缩收割一体机
CN200969752Y (zh) 联合收割机
CN105984733A (zh) 一种有扫地功能的组合绞龙收粮装袋机
CN203597081U (zh) 农作物自走式收获机
CN110366961A (zh) 自走式后出捆饲料打捆机
CN203188151U (zh) 自走式粮食清扫机
CN103749076B (zh) 自带集料箱青贮饲料收获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