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402B1 - 연속식 트리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식 트리핑방법 - Google Patents

연속식 트리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식 트리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402B1
KR101903402B1 KR1020170032592A KR20170032592A KR101903402B1 KR 101903402 B1 KR101903402 B1 KR 101903402B1 KR 1020170032592 A KR1020170032592 A KR 1020170032592A KR 20170032592 A KR20170032592 A KR 20170032592A KR 101903402 B1 KR101903402 B1 KR 101903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module
pipe
guide rail
rough
top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2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5477A (ko
Inventor
고두열
하영열
양재민
유영준
강부원
고상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2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402B1/ko
Publication of KR20180105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9/00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 E21B19/16Connecting or disconnecting pipe couplings or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9/00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 E21B19/02Rod or cable suspen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9/00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 E21B19/02Rod or cable suspensions
    • E21B19/06Elevators, i.e. rod- or tube-gripp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00Rotary drilling
    • E21B3/02Surface drives for rotary dr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트리핑장치는, 파이프를 인양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하 이동되는 제1인양모듈, 상기 제1인양모듈과 이격되어 구비되고, 파이프를 인양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하 이동되는 제2인양모듈 및 상기 제1인양모듈 및 상기 제2인양모듈의 일측에 이격된 상태로 상하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인접한 파이프를 서로 체결하는 러프넥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속식 트리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식 트리핑방법{Continuous Tripping Apparatus and Continuous Tripp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시추 공정을 위한 트리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트리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불연속 공정 없이 전체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연속식 트리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식 트리핑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양 유정 및 가스정에서 석유자원을 채취하기 위한 시추선의 경우, 시추선에 탑재된 여러 종류의 드릴파이프를 상황에 맞게 연결하여 드릴스트링을 구축하고, 이를 이용해 굴진함으로써 해저면의 시추공을 형성시키게 된다.
특히 기존 시추선에서 드릴스트링을 내리거나 올리는 트리핑(Tripping) 공정은 탑드라이브(Topdrive)라 불리는 장치를 통해 단위 파이프를 들어 올리고, 기 형성된 드릴스트링과 중심축과 높이를 맞춘 후 통(Tong)이라 불리는 러프넥장치가 탑드라이브에 매달린 파이프를 회전시켜 연결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트리핑 공정은 파이프가 정지 후 연결 또는 분해되는 과정이 반복되는 불연속 공정이 되어, 전체 시추 공정의 속도를 늦추는 주요 요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57779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종래 트리핑 과정에서의 불연속 공정을 개선하여 연속된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연속식 트리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식 트리핑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속식 트리핑장치는, 파이프를 인양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하 이동되는 제1인양모듈, 상기 제1인양모듈과 이격되어 구비되고, 파이프를 인양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하 이동되는 제2인양모듈 및 상기 제1인양모듈 및 상기 제2인양모듈의 일측에 이격된 상태로 상하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인접한 파이프를 서로 체결하는 러프넥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러프넥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인양모듈 및 상기 제2인양모듈에는 상기 러프넥이 전방 이동 시 상기 제1인양모듈 및 상기 제2인양모듈을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된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인양모듈 및 상기 제2인양모듈의 일측에 이격된 상태로 상하 이동하게 구비되며, 상기 파이프에 드릴링 수행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탑드라이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드라이브는 상기 제1인양모듈 및 상기 제2인양모듈을 기준으로 상기 러프넥의 반대 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러프넥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러프넥 가이드레일 및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탑드라이브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탑드라이브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인양모듈 또는 상기 제2인양모듈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러프넥 가이드레일 또는 상기 탑드라이브 가이드레일 중 어느 하나와 동일 면상을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인양모듈 또는 상기 제2인양모듈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러프넥 가이드레일 또는 상기 탑드라이브 가이드레일 중 나머지 하나와 동일 면상을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러프넥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러프넥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탑드라이브는 상기 러프넥과 함께 상기 러프넥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속식 트리핑방법은, 파이프를 인양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하 이동되는 제1인양모듈과, 상기 제1인양모듈과 이격되어 구비되고, 파이프를 인양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하 이동되는 제2인양모듈과, 상기 제1인양모듈 및 상기 제2인양모듈의 일측에 이격된 상태로 상하 이동하게 구비되며, 인접한 파이프를 서로 체결하는 러프넥을 포함하는 연속식 트리핑장치를 이용한 연속식 트리핑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인양모듈로 제1파이프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제1인양모듈을 하향시킴에 따라 상기 제1파이프를 하향시키는 단계, 상기 제2인양모듈로 제2파이프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제2인양모듈을 하향시킴에 따라 상기 제2파이프를 하향시켜, 상기 제2파이프의 하단과 상기 제1파이프의 상단을 인접시키는 단계, 상기 러프넥을, 상기 제1파이프 하단 및 상기 제2파이프 상단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파이프 및 상기 제2파이프의 하향 속도와 상기 러프넥의 하향 속도를 일치시키고, 상기 러프넥을 상기 제1파이프 하단 및 상기 제2파이프 상단에 연결시켜 상기 제1파이프 및 상기 제2파이프를 서로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파이프 및 상기 제2파이프를 서로 체결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제2인양모듈이 서로 체결된 상기 제1파이프 및 상기 제2파이프를 하향시키는 과정 중 상기 제1인양모듈을 상향시키는 단계 및상기 제1인양모듈로 제3파이프를 고정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속식 트리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식 트리핑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트리핑공정 전체가 정지 과정 없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 시추 공정의 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제1인양모듈 및 제2인양모듈이 순수하게 파이프의 인양만을 담당할 수 있게 되어 인양 용량을 종래에 비해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종래 공개된 연속시추 기술에 있어 복수 개가 구비되던 탑드라이브 및 러프넥을 단일화할 수 있어 연속적인 공정을 수행하면서도 설비 구축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탑드라이브가 파이프의 하중을 지지할 필요가 없어 탑드라이브 내부의 부품, 구성장치 등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인양모듈이 탑드라이브와 러프넥보다 웰 센터에 가깝게 배치되어 웰센터와의 옵셋(offset)을 최소화함에 따라 구조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트리핑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트리핑장치에 있어서, 제2인양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트리핑장치를 이용한 연속식 트리핑방법의 각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트리핑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트리핑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트리핑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트리핑장치는 시추를 위한 타워(1) 내에 구축될 수 있으며, 제1인양모듈(100a), 제2인양모듈(100b), 탑드라이브(200a) 및 러프넥(20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인양모듈(100a)은 시추를 위한 파이프를 인양 가능하게 형성되며, 또한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인양모듈(100a)은 제1인양모듈 가이드레일(110a)에 연결된 상태로 도르래 방식을 통해 상하 이동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상기 제1인양모듈(100a)의 상하 이동 구조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 형태로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2인양모듈(100b)은 상기 제1인양모듈(100a)과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1인양모듈(100a)과 마찬가지로 파이프를 인양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인양모듈(100b)은 제2인양모듈 가이드레일(110b)에 연결된 상태로 도르래 방식을 통해 상하 이동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상기 제2인양모듈(100b) 역시 마찬가지로 상하 이동 구조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 형태로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인양모듈(100a) 및 상기 제2인양모듈(100b)은 파이프를 그립할 수 있는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그립부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상기 탑드라이브(200a)는 상기 제1인양모듈(100a) 및 상기 제2인양모듈(100b)의 일측에 이격된 상태로 상하 이동하게 구비되며, 상기 파이프에 드릴링 수행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드라이브(200a)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탑드라이브(200a)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탑드라이브 가이드레일(210a)에 연결된 형태를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탑드라이브(200a)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전방으로 이동 시 파이프를 그립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러프넥(200b)은 상기 탑드라이브(200a)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인양모듈(100a) 및 상기 제2인양모듈(100b)의 일측에 이격된 상태로 상하 이동하게 구비되며, 인접한 파이프를 서로 체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러프넥(200b)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러프넥(200b)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러프넥 가이드레일(210b)에 연결된 형태를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러프넥(200b)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전방으로 이동 시 서로 인접한 파이프를 동시에 그립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파이프를 인양하는 제1인양모듈(100a) 및 제2인양모듈(100b)과, 드릴링을 수행하는 탑드라이브(200a) 및 파이프 체결을 위한 러프넥(200b)이 각각 별도로 구성된다.
한편 본 명세서의 설명에 있어, 상하 방향이라 함은 도 1을 기준으로 상기 제1인양모듈(100a) 및 상기 제2인양모듈(100b)의 이동 방향이며, 전후 방향이라 함은 도 1을 기준으로 상기 탑드라이브(200a) 및 상기 러프넥(200b)의 이동 방향인 것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인양모듈(100a)에 상기 탑드라이브(200a)가 인접하고, 상기 제2인양모듈(100b)에 상기 러프넥(200b)이 인접한 것으로 나타냈으나, 이는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반대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 및 도 3에는, 제2인양모듈(100b)의 구조가 도시된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제2인양모듈(100b)의 구조를 대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제2인양모듈(100b)의 구조는 상기 제1인양모듈(100a)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인양모듈(100b)에는 상기 러프넥(200b)이 전방 이동 시 상기 제2인양모듈(100b)을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된 개구부(102)가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2인양모듈(100b)이 파이프를 그립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러프넥(200b)이 동일한 변위를 유지한 상태로 서로 인접한 파이프 간의 체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즉 상기 러프넥(200b)은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각 파이프를 체결하여야 하는 시점에서 상기 제2인양모듈(100b)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구부(102)를 관통하고, 이후 각 파이프를 그립하여 체결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연속식 트리핑장치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연속식 트리핑방법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12에 나타난 본 발명의 트리핑방법은, 상기 제1인양모듈(100a)로 제1파이프(5a)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제1인양모듈(100a)을 하향시킴에 따라 상기 제1파이프(5a)를 하향시키는 단계, 상기 제2인양모듈(100b)로 제2파이프(5b)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제2인양모듈(100b)을 하향시킴에 따라 상기 제2파이프(5b)를 하향시켜, 상기 제2파이프(5b)의 하단과 상기 제1파이프(5a)의 상단을 인접시키는 단계, 상기 러프넥(200b)을, 상기 제1파이프(5a) 하단 및 상기 제2파이프(5b) 상단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파이프(5a) 및 상기 제2파이프(5b)의 하향 속도와 상기 러프넥(200b)의 하향 속도를 일치시키고, 상기 러프넥(200b)을 상기 제1파이프(5a) 하단 및 상기 제2파이프(5b) 상단에 연결시켜 상기 제1파이프(5a) 및 상기 제2파이프(5b)를 서로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각 단계 이후에는, 상기 제2인양모듈(200b)이 서로 체결된 상기 제1파이프(5a) 및 상기 제2파이프(5b)를 하향시키는 과정 중 상기 제1인양모듈(100a)을 상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인양모듈(100a)로 제3파이프(5c)를 고정하는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들 각 단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인양모듈(100a)로 제1파이프(5a)를 고정하고, 상기 제1인양모듈(100a)을 하향시킴에 따라 상기 제1파이프(5a)를 하향시키는 과정이 수행된다.
본 과정에서는 상기 제1인양모듈(100a)을 통해 제1파이프(5a)의 상단을 그립한 상태에서, 상기 제1인양모듈(100a)이 하향됨에 따라 상기 제1파이프(5a)를 함께 하향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제1파이프(5a)는 웰 센터(10) 측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 중 상기 제2인양모듈(100b)은 제2인양모듈 가이드레일(110b)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로부터 제2파이프(5b)가 타워(1) 내로 공급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인양모듈(100b)은 제2파이프(5b)의 상단을 그립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과정 중에서도 상기 제1인양모듈(100a) 및 상기 제1파이프(5a)의 하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됨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인양모듈(100b)을 하향시킴에 따라 상기 제2파이프(5b)를 하향시켜, 상기 제2파이프(5b)의 하단과 상기 제1파이프(5a)의 상단을 인접시키게 된다.
이때 제2인양모듈(100b)의 상향, 제2인양모듈(100b)을 통한 제2파이프(5b)의 그립, 제2인양모듈(100b) 및 제2파이프(5b)의 하향 과정은 모두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러프넥(200b)이 상기 제1파이프(5a) 하단 및 상기 제2파이프(5b) 상단에 대응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파이프(5a) 및 상기 제2파이프(5b)를 서로 체결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때 연속적인 공정 수행을 위해 상기 러프넥(200b)은 상기 제1파이프(5a) 및 상기 제2파이프(5b)의 하향 속도와 일치되도록 함께 하향되며, 하향 도중 상기 제1파이프(5a) 및 상기 제2파이프(5b)를 상호 체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제1파이프(5a) 및 제2파이프(5b)가 서로 체결됨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인양모듈(100a)은 제1파이프(5a)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제2인양모듈(100b)은 서로 체결된 상기 제2파이프(5b) 및 상기 제1파이프(5a)를 지속적으로 하향시킨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 중 다음 단계의 진행을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인양모듈(100a)이 상향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인양모듈(100a)은 타워(1) 내로 공급된 제3파이프(5c)를 고정하게 된다.
이후의 공정은 전술한 제1파이프(5a) 및 제2파이프(5b)의 체결 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인양모듈(100a)을 통해 상기 제3파이프(5c)를 하향시켜 상기 제3파이프(5c)의 하단을 제2파이프(5b)의 상단에 인접시키고, 상기 러프넥(200b)은 상기 제2파이프(5b) 및 상기 제3파이프(5c)의 체결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러프넥(200b)의 하향 속도를 일치시켜 연속 공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이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인양모듈(100b)을 제2파이프(5b)로부터 분리하고, 제1인양모듈(100a)은 제3파이프(5c)를 하향시킴에 따라 조립된 드릴파이프 전체를 하향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트리핑방법은 제1인양모듈(100a) 및 제2인양모듈(100b)을 교대로 구동시킴에 따라 드릴파이프의 이동 중단 없이 지속적인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트리핑장치는, 트리핑 공정 외의 시추 시 적용되는 다른 공정에도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트리핑공정뿐 아니라 드릴링 공정, 라이저 러닝 공정, 케이싱 러닝 공정 등 모든 공정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트리핑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상기 탑드라이브(200a)가 러프넥 가이드레일(210b)을 공유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탑드라이브(200a)는 상기 러프넥(210b)과 함께 상기 러프넥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러프넥(210b)과 상기 탑드라이브(200a)는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트리핑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인양모듈(100a) 또는 상기 제2인양모듈(100b)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러프넥 가이드레일(210b) 또는 상기 탑드라이브 가이드레일(210a) 중 어느 하나와 동일 면상을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는 상기 러프넥 가이드레일(210b) 또는 상기 탑드라이브 가이드레일(210a) 중 나머지 하나와 동일 면상을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인양모듈(100a) 및 상기 제2인양모듈(100b)이 상기 러프넥 가이드레일(210b) 또는 상기 탑드라이브 가이드레일(210a)과 동일 면상에 형성되는 별도의 레일을 따라 상하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인양모듈(100a)이 상기 탑드라이브 가이드레일(210a)과 동일 면상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2인양모듈(100b)이 상기 러프넥 가이드레일(210b)과 동일 면상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는 서로 반대로 형성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타워 10: 웰 센터
100a: 제1인양모듈 110a: 제1인양모듈 가이드레일
100b: 제2인양모듈 110b: 제2인양모듈 가이드레일
200a: 탑드라이브 210a: 탑드라이브 가이드레일
200b: 러프넥 210b: 러프넥 가이드레일

Claims (8)

  1. 파이프를 인양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하 이동되는 제1인양모듈;
    상기 제1인양모듈과 이격되어 구비되고, 파이프를 인양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하 이동되는 제2인양모듈;
    상기 제1인양모듈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탑드라이브 가이드레일;
    상기 제2인양모듈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탑드라이브 가이드레일과 이격된 러프넥 가이드레일;
    상기 제1인양모듈과 함께 상기 탑드라이브 가이드레일을 공유하여 상하 이동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파이프에 드릴링 수행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탑드라이브; 및
    상기 제2인양모듈과 함께 상기 러프넥 가이드레일을 공유하여 상하 이동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인접한 파이프를 서로 체결하는 러프넥;
    을 포함하고,
    상기 제1인양모듈에는,
    상기 탑드라이브가 상기 제1인양모듈과 동일한 변위를 유지한 상태로 전방으로 이동 시 상기 제1인양모듈을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인양모듈에는,
    상기 러프넥이 상기 제2인양모듈과 동일한 변위를 유지한 상태로 전방으로 이동 시 상기 제2인양모듈을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 연속식 트리핑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파이프를 인양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하 이동되는 제1인양모듈, 기 제1인양모듈과 이격되어 구비되고, 파이프를 인양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하 이동되는 제2인양모듈, 상기 제1인양모듈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탑드라이브 가이드레일, 상기 제2인양모듈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탑드라이브 가이드레일과 이격된 러프넥 가이드레일, 상기 제1인양모듈과 함께 상기 탑드라이브 가이드레일을 공유하여 상하 이동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파이프에 드릴링 수행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탑드라이브 및 상기 제2인양모듈과 함께 상기 러프넥 가이드레일을 공유하여 상하 이동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인접한 파이프를 서로 체결하는 러프넥을 포함하고, 상기 제1인양모듈에는, 상기 탑드라이브가 상기 제1인양모듈과 동일한 변위를 유지한 상태로 전방으로 이동 시 상기 제1인양모듈을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인양모듈에는, 상기 러프넥이 상기 제2인양모듈과 동일한 변위를 유지한 상태로 전방으로 이동 시 상기 제2인양모듈을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 연속식 트리핑장치를 이용한 연속식 트리핑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인양모듈로 제1파이프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탑드라이브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제1인양모듈을 하향시켜 상기 제1파이프를 하향시키는 단계;
    상기 제2인양모듈로 제2파이프를 고정하는 단계;
    상기 러프넥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제2인양모듈을 하향시킴에 따라 상기 제2파이프를 하향시켜, 상기 제2파이프의 하단과 상기 제1파이프의 상단을 인접시키는 단계;
    상기 러프넥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러프넥을 상기 제1파이프 하단 및 상기 제2파이프 상단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파이프 및 상기 제2파이프의 하향 속도와 상기 러프넥의 하향 속도를 일치시키고, 상기 러프넥이 상기 제2인양모듈의 개구부를 통과하도록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파이프 하단 및 상기 제2파이프 상단에 연결시키고, 상기 제1파이프 및 상기 제2파이프를 서로 체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속식 트리핑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이프 및 상기 제2파이프를 서로 체결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제2인양모듈이 서로 체결된 상기 제1파이프 및 상기 제2파이프를 하향시키는 과정 중 상기 제1인양모듈을 상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인양모듈로 제3파이프를 고정하는 단계; 가 더 포함되는 연속식 트리핑방법.
KR1020170032592A 2017-03-15 2017-03-15 연속식 트리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식 트리핑방법 KR101903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592A KR101903402B1 (ko) 2017-03-15 2017-03-15 연속식 트리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식 트리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592A KR101903402B1 (ko) 2017-03-15 2017-03-15 연속식 트리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식 트리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477A KR20180105477A (ko) 2018-09-28
KR101903402B1 true KR101903402B1 (ko) 2018-10-02

Family

ID=63721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2592A KR101903402B1 (ko) 2017-03-15 2017-03-15 연속식 트리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식 트리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4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7466B1 (ko) 2020-09-22 2023-05-26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작업기
KR102544066B1 (ko) 2021-06-25 2023-06-15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향상된 적재 능력을 가진 스마트 수집기
KR20240034273A (ko) 2022-09-05 2024-03-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자율주행가능한 비전인식 전정가지 스마트 수집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25937A1 (en) 2010-11-19 2013-01-31 Cameron Rig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inuous and Near Continuous Drilling
WO2014066368A2 (en) 2012-10-22 2014-05-01 Rick Pilgrim Automated pipe tripping apparatu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25937A1 (en) 2010-11-19 2013-01-31 Cameron Rig Solu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inuous and Near Continuous Drilling
WO2014066368A2 (en) 2012-10-22 2014-05-01 Rick Pilgrim Automated pipe tripping apparatus and methods
US20160376857A1 (en) 2012-10-22 2016-12-29 Ensco Services Limited Automated pipe tripping apparatu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477A (ko) 2018-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49903A (zh) 具有在钻井模式和起下钻模式下操作的顶部驱动系统的钻探机
US9399891B2 (en) Drilling system having slot for underwater storage of BOP assembly
KR101903402B1 (ko) 연속식 트리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식 트리핑방법
RU2018121717A (ru) Буровая установка с высокой скоростью спуско-подъемных операций
RU2019135511A (ru) Буровая установка с системой верхнего привода, функционирующей в режиме бурения скважины, режиме спуска-подъема и режиме обхода
CA2611111A1 (en) System for running oilfield tubulars into wellbores and methods for using same
CN106761487A (zh) 海洋钻井平台用管具处理系统及连接移运立根的方法
US20110240305A1 (en) Floating well intervention arrangement comprising a heave compensated work deck and method for well intervention
US10544633B2 (en) Moveable hoisting system
KR101897849B1 (ko) 드릴 파이프 핸들링 시스템
KR20110026057A (ko) 2개의 승강수단이 설치된 갠트리형 데릭과 이를 포함하는 시추선
US10890034B2 (en) Combination of a drilling installation and a control and signal lines deployment module and method of use
KR101914989B1 (ko) 시추용 승강유닛
KR101897848B1 (ko) 드릴 파이프 핸들링 시스템
US9074424B2 (en) Rod support system
KR101784971B1 (ko) 시추 장치
EP3980326B1 (en) Offshore drilling system, vessel and method
KR102106497B1 (ko) 연속트리핑장치
KR101400145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
NO343305B1 (en)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a pipe string
AU2021254558B2 (en) Method for offline lowering pipe string on offshore single derrick platform
CN215213351U (zh) 一种双井口自升式钻井平台悬臂梁装置
KR20160036263A (ko) 시추용 파이프의 핸들링 방법
KR101873452B1 (ko) 연속시추용 권상장치
KR200492738Y1 (ko) 시추선의 bop 트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