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455B1 -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 - Google Patents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455B1
KR102537455B1 KR1020220136480A KR20220136480A KR102537455B1 KR 102537455 B1 KR102537455 B1 KR 102537455B1 KR 1020220136480 A KR1020220136480 A KR 1020220136480A KR 20220136480 A KR20220136480 A KR 20220136480A KR 102537455 B1 KR102537455 B1 KR 102537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maintenance
roads
signal control
rail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현삼
Original Assignee
(주)비전시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전시그텍 filed Critical (주)비전시그텍
Priority to KR1020220136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4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3/00Electric locomotives or railcars
    • B61C3/02Electric locomotives or railcars with electric accu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9/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ransmission system used;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 B61C9/38Transmission systems in or for 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with electric mot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62B5/061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both ends or periphery of cart fitted with 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는 역구내 또는 역간에 설치되어 있는 철도신호 제어설비에 대한 유지보수를 위해 신호용품을 운반하기 위한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에 있어서, 세로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의 세로 프레임과 가로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의 가로 프레임이 격자구조로 결합되고, 복수의 상기 세로 프레임 중, 좌우측 가장자리 부분의 세로 프레임의 상단에 소정 각도만큼 절곡되어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 프레임; 상기 손잡이가 형성된 반대 방향으로 상기 세로 프레임에 형성된 푸시&풀 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메인 프레임에 수직하게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짐탑재부; 등간격으로 형성된 이격바에 의해 상기 짐탑재부와 소정간격만큼 이격되게 하방으로 형성되어 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하는 공구탑재 선반;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지지를 받아 형성된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도로용 구동부재와 철로를 이동할 수 있는 철로용 구동부재로 구성된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철로와 도로를 가리지 않고 모두 이동시킬 수 있어 부품의 수리 또는 교체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HYBRID TANSPORT CART FOR MAINTENANCE OF RAILWAY SIGNAL CONTROL EQUIPMENT THAT CAN MOVE BY RAIL AND ROAD}
본 발명은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역구내에 설치되어 있는 신호제어설비에 대한 유지보수를 위한 신호용품(이하 부품이라 함) 운반용으로 철도신호 제어설비들의 부품을 교체하거나, 유지보수하기 위해 해당 철도신호 제어설비들의 부품을 싣고 도로와 철로를 모두 주행하거나 이동할 수 있는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신호 제어설비의 노후된 부품을 교체하거나, 문제가 발생한 부분에 대한 수리 또는 문제가 발생한 특정 부품에 대한 수리가 이루어진다.
특히, 철도신호 제어설비의 노후된 부품을 교체하기 위해 자재창고에서 새로운 부품을 철도신호 제어설비가 위치한 장소로 이동시키거나, 교체된 부품을 폐부품 창고로 이동시켜야 하는데, 이때 철도신호 제어설비에 사용되는 부품 중, 대부분은 상당한 무게를 가지고 있어 사람이 혼자서 들어 이동시키기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무엇보다, 자재창고 또는 폐부품 창고에서 철도신호 제어설비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하는 경로에는 도로와 철로가 있어, 일반 도로용 운반카트로는 도로까지는 이동할 수 있지만, 철로에서는 작업자가 들어야 하거나, 다른 철로용 운반카트로 옮겨 실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품을 교체하거나, 수리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공구들이 사용되는데, 이런 다양한 종류의 공구들을 작업자가 가지고 다니기가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7992호(2017.05.18)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로이동이 가능한 운반카트 후면으로 철로이동이 가능한 바퀴를 형성시켜 수리나 교체해야할 장비를 탑재하여 일반 도로이동이 가능하고, 철로이동도 가능한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운반체를 실은 선반 아래로 공구박스를 두어 철도차량의 수리에 필요한 공구나 부품교체에 필요한 공구를 실을 수 있는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운반카트가 오르막으로 경사진 도로나 철로를 이동하게 되어 작업자의 힘만으로 카트의 이동이 역부족인 경우 구동모터를 구동부에 설치하여 동력을 보강해 줄 수 있는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는 역구내 또는 역간에 설치되어 있는 철도신호 제어설비에 대한 유지보수를 위해 신호용품을 운반하기 위한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에 있어서, 세로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의 세로 프레임과 가로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의 가로 프레임이 격자구조로 결합되고, 복수의 상기 세로 프레임 중, 좌우측 가장자리 부분의 세로 프레임의 상단에 소정 각도만큼 절곡되어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 프레임; 상기 손잡이가 형성된 반대 방향으로 상기 세로 프레임에 형성된 푸시&풀 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메인 프레임에 수직하게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짐탑재부; 등간격으로 형성된 이격바에 의해 상기 짐탑재부와 소정간격만큼 이격되게 하방으로 형성되어 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하는 공구탑재 선반;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지지를 받아 형성된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도로용 구동부재와 철로를 이동할 수 있는 철로용 구동부재로 구성된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의 도로용 구동부재는 상기 손잡이가 형성된 좌우측 가장자리 부분의 세로 프레임의 하부에 후방으로 형성되 지지부; 좌우 양측으로 형성된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해당 지지부의 지지를 받아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지지부를 관통한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결합되어 형성된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의 철로용 구동부재는 상기 메인 프레임과 소정 각도를 이루게 후면으로 형성된 지지판; 하부가 개방된 '
Figure 112022111334539-pat00001
' 구조로 상단면이 상기 지지판과 복수의 볼트와 너트로 결합되는 휠 보조부; 및 상기 휠 보조부의 개방된 부분으로 삽입되어 회전축이 해당 휠 보조부 양측면에 고정됨에 따라 함께 고정되는 철로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의 철로 휠은 원기둥 모양의 중앙 휠; 상기 중앙 휠의 내측단에 형성되고, 해당 중앙 휠의 반경을 초과하는 원기둥 모양의 내측 휠; 및 상기 중앙 휠의 외측단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 휠과 동일한 구조로 해당 중앙 휠의 반경을 초과하는 원기둥 모양의 외측 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의 철로용 구동부재는 상기 휠 보조부가 결합되는 지지판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하방 철로 휠의 외측 휠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 상기 모터가 회전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모터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에 형성된 제어버튼; 및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외주면으로 기어잇이 형성된 외측 휠을 연결하여 해당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철로 휠에 전달하는 타이밍 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의 도로용 구동부재는 상기 철로용 구동부재와 동력 전달부재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의 동력 전달부재는 샤프트를 중심으로 일단에 크라운 기어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피니언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크라운 기어가 기어잇이 형성된 상기 내측 휠)과 치합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가 상기 도로용 구동부재의 바퀴 내측 내주면으로 형성된 기어잇과 치합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의 동력 전달부재는 일단이 상기 휠 보조부에 결합된 지지 베어링에 상기 샤프트에 지지를 받아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는 부품을 철로와 도로를 가리지 않고 모두 이동시킬 수 있어 부품의 수리 또는 교체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의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가 도로에서 철로로 이동모드가 변경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에 형성된 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에 형성된 모터의 회전력이 바퀴에 전달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 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의 사시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는 메인 프레임(100), 푸시(push)&풀(pull) 바(200), 짐탑재 선반(300), 공구탑재 선반(400), 구동부재(50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봉 형태의 세로 프레임(110)이 평행하게 세로방향으로 기립되게 형성되고, 봉 형태의 가로 프레임(120)이 평행하게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세로 프레임(110)과 상기 가로 프레임이 격자구조로 결합되어 있다.
이때, 복수의 상기 세로 프레임(110) 중, 좌우측 가장자리 부분의 세로 프레임(110)의 상단은 운반카트를 밀거나 끄는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절곡된 손잡이(130)가 형성된다.
상기 푸시&풀 바(200)는 상기 손잡이(130)가 형성되는 좌우측 가장자리 부분의 세로 프레임(110)에 형성된다.
즉, 상기 푸시&풀 바(200)는 `〉`와 같은 구조로 상기 손잡이(130)가 형성된 반대 방향으로 상기 세로 프레임(110)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푸시&풀 바(200)는 본 발명에 따른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가 철로를 이동할 때 운반카트를 끌거나 미는 사용자 이외의 보조자가 손으로 잡고 용이하게 밀거나 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짐탑재 선반(300)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서 수직하게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짐탑재 선반(300)는 공구탑재 선반(400)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짐탑재 선반(300)은 마찰력을 증가시켜 실리는 짐이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턴(310)이 상단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짐탑재 선반(300)은 가장자리 부분이 상부로 소정 높이만큼 절곡된 이탈 방지막(320)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짐탐재 선반(300)는 철도신호 제어설비의 노후된 부품을 교체하기 위한 자재창고의 새부품이 실리거나, 교체된 폐부품이 실릴 수 있다.
상기 공구탑재 선반(400)은 본 발명에 따른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의 최저부에 형성되어 지면과 접촉되는 구성으로, 언급한 바와 같이 상부로 상기 짐탑재 선반(300)이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짐탐재 선반(300)과 공구탑재 선반(400)은 상기 공구탑재 선반(400)에서 기립되어 형성된 이격바(410)에 의해 소정간격만큼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이격바(410)는 복수개가 등간격으로 상기 짐탐재 선반(300)과 공구탑재 선반(400) 사이에 형성되어 별도의 공구박스를 탑재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등간격으로 형성된 이격바(410) 사이로 공구가 이탈되어 분실되지 않도록, 상기 이격바(410) 사이 사이의 빈 틈을 철판 등과 같은 판으로 메워 상기 짐탐재 선반(300)과 공구탑재 선반(400) 사이 그리고 이격바(410)와 해당 이격바 사이를 메우는 판에 의해 그 자체로 공구박스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구동부재(500)는 도로용 구동부재(510)와 철로용 구동부재(520)로 구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가 철로와 도로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우선, 상기 도로용 구동부재(5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511), 회전축(512), 및 바퀴(513)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511)는 상기 손잡이(130)가 형성된 좌우측 가장자리 부분의 세로 프레임(110)의 하부에 후방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512)는 좌우 양측으로 형성된 상기 지지부(511)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해당 지지부(511)의 지지를 받아 회전한다.
상기 바퀴(513)는 상기 지지부(511)를 관통한 상기 회전축(512)의 양단에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바퀴(513)는 하부가 상술한 공구탑재 선반(400)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여 동시에 지면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철로용 구동부재(520)는 지지판(521), 휠 보조부(522), 및 철로 휠(523)을 포함한다.
상기 휠 보조부(52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를 세웠을 때, 상기 철로 휠(523)의 일부분이 철로에 닿을 정도에 위치하도록 지지판(521)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판(521)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과 대략 45°정도 이루게 후면으로 형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가 도로로 이동할 때 철로용 구동부재(520)가 도로에 닿지 않도록 한다.
상기 지지판(52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가 철로를 이동할 때 지면과 평행을 이룰 수 있게 상기 메인 프레임(100)과 소정각도를 이루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휠 보조부(522)는 '
Figure 112022111334539-pat00002
'구조로 하부 개방된 부분으로 상기 철로 휠(523)이 삽입되고, 회전축이 양측면에 고정되어 삽입된 상기 철로 휠(523)을 지지하게 된다.
좀더 상세하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휠 보조부(522)는 상단면이 가로방향으로 좀더 넓게 형성되고, 양측면이 상단면보다 좀더 좁게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휠 보조부(522)는 상단면이 상기 지지판(521)과 복수의 볼트와 너트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휠 보조부(52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를 세웠을 때, 상기 철로 휠(523)의 일부분이 철로에 닿을 정도에 위치하도록 지지판(521)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철로 휠(52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휠 보조부(522)의 개방된 부분으로 삽입되어 회전축이 해당 휠 보조부(522) 양측면에 고정됨에 따라 함께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철로 휠(523)은 중간 부분의 반경이 작고 두께가 두꺼운 원기둥 모양의 중앙 휠(523a)과, 내외측 양단 부분에 반경이 크고 두께가 얇은 원기둥 모양의 내측 휠(523b)과 외측 휠(523c)이 결합된 구조로 중간 부분의 중앙 휠(523a)이 철로에 접촉되고, 양단의 내측 휠(523b)과 외측 휠(523c)이 철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는 도로 운행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로용 구동부재(520)의 철로 휠(523)이 철로에 접촉한 상태에서 지렛대 방식으로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130)을 잡고 누르면, 상기 철로 휠(523)이 철로에 안착되어 주행가능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써, 본 발명에 따른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재(500)에 모터(530)가 더 포함되어 철로와 도로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530)는 상기 휠 보조부(522)가 결합되는 지지판(521)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하방 철로 휠(523)의 외측 휠(523c)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상기 모터(530)가 회전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는 상기 공구탑재 선반(400)의 일부공간에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530)의 제어는 상기 손잡이(130)에 형성된 제어버튼(131)을 작업자가 조작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100) 내부를 통해 제어버튼(131), 모터(530), 및 배터리를 연결하는 제어선이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무선방식으로도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모터(530)가 철로 휠(523)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메커니즘을 살펴보면, 상기 모터(530)의 회전축에는 피니언 기어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철로 휠(523)의 내측 휠(523b)과 외측 휠(523c) 외주면에는 기어잇이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와 기어잇이 형성된 상기 외측 휠(523)에 치합될 수 있는 타이밍 벨트(540)로 연결되어 모터(530)의 회전력이 철로 휠(523)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521)을 중심으로 상부에 있는 모터(530)의 피니언 기어와 하부에 있는 상기 외측 휠(523c)를 연결하는 상기 타이밍 벨트(540)가 관통될 수 있게 천공된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모터(530)의 회전력은 상기 바퀴(513)로도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철로 휠(523)과 상기 바퀴(513) 사이에 동력 전달부재(550)가 개재되어, 상기 모터(53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철로 휠(523)로부터 상기 바퀴(513)가 전달받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력 전달부재(550)는 샤프트(551)를 중심으로 일단에 크라운 기어(55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피니언 기어(553)가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크라운 기어(552)는 상기 철로 휠(523)의 기어잇이 형성된 내측 휠(523b)과 치합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553)는 상기 바퀴(513)의 내측 내주면으로 형성된 기어잇과 치합한다.
이때, 상기 샤프트(551)는 일단이 상기 휠 보조부(522)에 결합된 지지 베어링(560)에 지지를 받으면서 고정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메인 프레임
110 : 세로 프레임
120 : 가로 프레임
130 : 손잡이
131 ; 제어버튼
200 : 푸시&풀 바
300 : 짐탑재 선반
310 : 패턴
320 : 이탈 방지막
400 : 공구탑재 선반
410 : 이격바
500 : 구동부재
510 : 도로용 구동부재
511 : 지지부
512 : 회전축
513 : 바퀴
520 : 철로용 구동부재
521 : 지지판
522 : 휠 보조부
523 : 철로 휠
523a : 중앙 휠
523b : 내측 휠
523c : 외측 휠
530 : 모터
540 : 타이밍 벨트
550 : 동력 전달부재
560 : 지지 베어링

Claims (8)

  1. 역구내 또는 역간에 설치되어 있는 철도신호 제어설비에 대한 유지보수를 위해 신호용품을 운반하기 위한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에 있어서,
    세로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의 세로 프레임과 가로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복수의 가로 프레임이 격자구조로 결합되고, 복수의 상기 세로 프레임 중, 좌우측 가장자리 부분의 세로 프레임의 상단에 소정 각도만큼 절곡되어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 프레임;
    상기 손잡이가 형성된 반대 방향으로 상기 세로 프레임에 형성된 푸시&풀 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메인 프레임에 수직하게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짐탑재부;
    등간격으로 형성된 이격바에 의해 상기 짐탑재부와 소정간격만큼 이격되게 하방으로 형성되어 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하는 공구탑재 선반;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지지를 받아 형성된 도로를 이동할 수 있는 도로용 구동부재와 철로를 이동할 수 있는 철로용 구동부재로 구성된 구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철로용 구동부재는
    상기 메인 프레임과 소정 각도를 이루게 후면으로 형성된 지지판;
    하부가 개방된 '
    Figure 112023003654018-pat00010
    ' 구조로 상단면이 상기 지지판과 복수의 볼트와 너트로 결합되는 휠 보조부; 및
    상기 휠 보조부의 개방된 부분으로 삽입되어 회전축이 해당 휠 보조부 양측면에 고정됨에 따라 함께 고정되는 철로 휠;을 포함하되,
    상기 철로용 구동부재는
    상기 휠 보조부가 결합되는 지지판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하방 철로 휠의 외측 휠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
    상기 모터가 회전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모터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에 형성된 제어버튼; 및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외주면으로 기어잇이 형성된 외측 휠을 연결하여 해당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철로 휠에 전달하는 타이밍 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용 구동부재는
    상기 손잡이가 형성된 좌우측 가장자리 부분의 세로 프레임의 하부에 후방으로 형성되 지지부;
    좌우 양측으로 형성된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해당 지지부의 지지를 받아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지지부를 관통한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결합되어 형성된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로 휠은
    원기둥 모양의 중앙 휠;
    상기 중앙 휠의 내측단에 형성되고, 해당 중앙 휠의 반경을 초과하는 원기둥 모양의 내측 휠; 및
    상기 중앙 휠의 외측단에 형성되고, 상기 내측 휠과 동일한 구조로 해당 중앙 휠의 반경을 초과하는 원기둥 모양의 외측 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용 구동부재는
    상기 철로용 구동부재와 동력 전달부재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재는
    샤프트를 중심으로 일단에 크라운 기어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피니언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크라운 기어가 기어잇이 형성된 상기 내측 휠과 치합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가 상기 도로용 구동부재의 바퀴 내측 내주면으로 형성된 기어잇과 치합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재는
    일단이 상기 휠 보조부에 결합된 지지 베어링에 상기 샤프트에 지지를 받아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
KR1020220136480A 2022-10-21 2022-10-21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 KR102537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480A KR102537455B1 (ko) 2022-10-21 2022-10-21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480A KR102537455B1 (ko) 2022-10-21 2022-10-21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7455B1 true KR102537455B1 (ko) 2023-05-30

Family

ID=86529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480A KR102537455B1 (ko) 2022-10-21 2022-10-21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45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063Y1 (ko) * 2002-07-15 2003-01-03 도경학 전동수레
KR100875727B1 (ko) * 2008-05-29 2008-12-26 이상원 청소용품 운반 카트
KR20100041168A (ko) * 2008-10-13 2010-04-22 이병래 전동 손수레
KR101737992B1 (ko) 2015-12-31 2017-05-25 (주)예은이엔지 선로 정비용 중장비의 선로 주행 보조장치
CN113320342A (zh) * 2021-07-02 2021-08-31 李洪滨 一种高速救援用轨道车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063Y1 (ko) * 2002-07-15 2003-01-03 도경학 전동수레
KR100875727B1 (ko) * 2008-05-29 2008-12-26 이상원 청소용품 운반 카트
KR20100041168A (ko) * 2008-10-13 2010-04-22 이병래 전동 손수레
KR101737992B1 (ko) 2015-12-31 2017-05-25 (주)예은이엔지 선로 정비용 중장비의 선로 주행 보조장치
CN113320342A (zh) * 2021-07-02 2021-08-31 李洪滨 一种高速救援用轨道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516564A (ja) 注文準備用システム
AU2018203529B2 (en) A rail transport bogie and a rail transportation system
CN109848751B (zh) 用于金属板材切割生产线的上下料转运系统
JP2010189192A (ja) ウォーキングビーム式搬送装置
KR102537455B1 (ko) 철로 및 도로 이동이 가능한 철도신호 제어설비 유지보수용 하이브리드 운반카트
HU177238B (en) Movable apparatus for picking up small iron objects being on track ballast
CN210176325U (zh) 一种货物转运用行走天车
CN114148390A (zh) 一种地铁施工用工具转运装置
JP2013203310A (ja) 車両昇降装置、車両整備システム及び車両整備方法
CN212686693U (zh) 一种可通过断轨的输送小车
JP3329134B2 (ja) 可動体使用の搬送設備
CN209973765U (zh) 一种用于物流运输的斜坡装置
CN112124453A (zh) 一种铁路机车检测设备跨轨搬运车
CN2910711Y (zh) 重型电动起重爬楼车
CN209760762U (zh) 可自由变轨式滑梯
CN219407978U (zh) 一种单轨自动吊挂输送车
KR102115011B1 (ko) 레일을 이용한 엔진 동력식 작업대차
CN211520749U (zh) 一种地面单轨ems运输小车
JP3229267U (ja) 枕木運搬用台車
CN213619862U (zh) 一种物联网快递用货架
CN218594460U (zh) 一种agv小车的顶升机构
JP5620897B2 (ja) 輪軸用補助車輪
JP6564194B2 (ja) 搬送台車
KR101607443B1 (ko) 철도차량의 윤축 이송장치
JPH0747386B2 (ja) 搬送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