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235B1 - 저온 창고 시스템 - Google Patents

저온 창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235B1
KR102537235B1 KR1020220186478A KR20220186478A KR102537235B1 KR 102537235 B1 KR102537235 B1 KR 102537235B1 KR 1020220186478 A KR1020220186478 A KR 1020220186478A KR 20220186478 A KR20220186478 A KR 20220186478A KR 102537235 B1 KR102537235 B1 KR 102537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lider
cold air
sliding groove
inn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6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푸드시스템
이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푸드시스템, 이영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푸드시스템
Priority to KR1020220186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2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3/00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류 등과 같은 냉장 또는 냉동 보관이 필요한 물품을 일정한 온도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저온 창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냉장 또는 냉동 보관이 필요한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창고 부스; 상기 창고 부스의 내부 공간의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창고 부스의 내부 공간으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 및 상기 창고 부스의 내부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며, 상기 창고 부스의 내부 공간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냉기 공급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저온 창고 시스템{cold storage system}
본 발명은 저온 창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육류 등과 같은 냉장 또는 냉동 보관이 필요한 물품을 일정한 온도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저온 창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독립적인 구조물로서의 냉동 창고 또는 저온 냉장창고의 벽체 및 천장과 바닥은 외기 특히, 여름철의 더운 공기를 차단하여 실내의 기온과 습도를 일정한 상태로 유지시켜주기 위한 중요한 구조부이다. 특히, 천장은 태양열을 직접적으로 가장 많이 받는 장소이기 때문에 냉동 창고의 품질 및 성능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구조부이다.
한편, 전술한 냉장 및 냉동 창고는 항상 외부의 기온 변화로부터 실내의 기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단열재를 접착시키거나, 단열재가 충전되어 있는 샌드위치 판넬을 접착시켜 시공하였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32563호 (2004.05.24. 공고)
본 발명의 일측면은 육류 등과 같은 냉장 또는 냉동 보관이 필요한 물품을 일정한 온도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저온 창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창고 시스템은, 냉장 또는 냉동 보관이 필요한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창고 부스; 상기 창고 부스의 내부 공간의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창고 부스의 내부 공간으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 및 상기 창고 부스의 내부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며, 상기 창고 부스의 내부 공간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냉기 공급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온 창고 시스템은, 물품을 적재할 수 있도록 상기 창고 부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물품 적재 선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품 적재 선반은, 물품을 적재할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적층 배치되는 적재 플레이트; 상기 적재 플레이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적재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지지 프레임; 및 이동을 위해 상기 다수 개의 지지 프레임의 각 하측 마다 설치되는 다수 개의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재 플레이트는, 물품을 적재할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몸체; 및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전방의 냉기를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하측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내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는 냉기 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냉기 유도부는,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전단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내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너 하우징; 원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이너 하우징의 전단 개구부에 설치되는 팬 지지대에 의해 상기 이너 하우징의 전단 개구부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되어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전방의 냉기를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시켜 주는 유입 유도팬; 상기 이너 하우징의 하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관통 형성되어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냉기를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하측으로 배출시켜 주는 냉기 배출구; 및 상기 유입 유도팬에 의해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냉기를 상기 냉기 배출구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냉기 배출구의 상측 후단에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배출 유도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 유도 커버는, 후단에 설치되는 것일 수록 경사 각도가 크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팬 지지대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이너 하우징의 전단 개구부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는 완충 지지부; 및 상기 유입 유도팬의 구동 모터와 상기 완충 지지부 사이 마다 설치되어 상기 구동 모터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지지 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 지지부는, 상기 이너 하우징의 전단 개구부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 상기 슬라이딩홈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단에 상기 지지 바아가 설치되는 곡선형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딩홈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는 상기 곡선형 슬라이더의 전단을 지지하는 제1 지지 스프링; 및 상기 슬라이딩홈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는 상기 곡선형 슬라이더의 후단을 지지하는 제2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곡선형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딩홈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는 제1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딩홈의 일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 유도홈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홈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딩홈의 타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 유도홈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홈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 슬라이더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3 슬라이더;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전단을 폭 방향으로 관통하고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슬라이더와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전단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제1 간격 지지부; 및 상기 제1 슬라이더의 후단을 폭 방향으로 관통하고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슬라이더와 상기 제2 슬라이더의 후단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제2 간격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슬라이더와 상기 제3 슬라이더는, 상기 제1 슬라이딩 유도홈 및 상기 제2 슬라이딩 유도홈의 내측면과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줄 수 있도록 외향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지지 구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간격 지지부는,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전단을 폭 방향으로 관통하고 안착되는 로드 관통홀; 상기 로드 관통홀에 안착되며, 일단이 상기 로드 관통홀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제2 슬라이더의 내향면에 형성되는 제1 안착홈에 안착되고, 타단이 상기 로드 관통홀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제3 슬라이더의 내향면에 형성되는 제2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제2 슬라이더와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전단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지지 로드; 상기 제1 안착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지지 로드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1 로드 지지 스프링; 상기 제2 안착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지지 로드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 로드 지지 스프링; 상기 로드 관통홀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형성하면서 상기 로드 관통홀의 중단에 형성되는 링 안착 공간;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로드의 중단에 설치되며, 상기 링 안착 공간의 중단에 배치되는 지지링; 상기 지지링을 사이에 두고 상기 링 안착 공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링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링 지지 스프링; 및 상기 지지링을 사이에 두고 상기 링 안착 공간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링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링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육류 등과 같은 냉장 또는 냉동 보관이 필요한 물품을 일정한 온도로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창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온 창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적재 플레이트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3의 유입 유도팬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팬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완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곡선형 슬라이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창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창고 시스템(10)은, 창고 부스(100), 냉기 공급 장치(200) 및 제어 장치(300)를 포함한다.
창고 부스(100)는, 냉장 또는 냉동 보관이 필요한 물품(P)을 보관하기 위한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전단에 형성되는 도어(110)에 의해 내부 공간이 개폐되며, 냉기 공급 장치(200) 및 제어 장치(30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냉기 공급 장치(200)는, 창고 부스(100)의 내부 공간의 벽면에 설치되며, 제어 장치(300)에 의해 구동되어 창고 부스(100)의 내부 공간으로 냉기를 공급한다.
제어 장치(300)는, 창고 부스(100)의 내부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며, 창고 부스(100)의 내부 공간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5℃_ 내지 10℃_ 등)로 유지될 수 있도록 냉기 공급 장치(2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창고 시스템(10)은, 육류 등과 같은 냉장 또는 냉동 보관이 필요한 물품을 일정한 온도로 보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온 창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온 창고 시스템(20)은, 창고 부스(100), 냉기 공급 장치(200), 제어 장치(300) 및 물품 적재 선반(4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창고 부스(100), 냉기 공급 장치(200) 및 제어 장치(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물품 적재 선반(400)는, 물품(P)을 적재할 수 있도록 창고 부스(10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물품 적재 선반(400)은, 적재 플레이트(410), 다수 개의 지지 프레임(420) 및 다수 개의 바퀴(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재 플레이트(410)는, 물품(P)을 적재할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적층 배치되며, 지지 프레임(420)에 의해 지지된다.
다수 개의 지지 프레임(420)은, 적재 플레이트(4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적재 플레이트(410)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된다.
다수 개의 바퀴(430)는, 이동을 위해 다수 개의 지지 프레임(420)의 각 하측 마다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온 창고 시스템(20)은, 창고 부스(100)에 보관되는 물품(P)의 적재 효율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적재 플레이트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 플레이트(410)는, 플레이트 몸체(411) 및 냉기 유도부(412)를 포함한다.
플레이트 몸체(411)는, 물품(P)을 적재할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다수 개의 냉기 유도부(412-1 내지 412-N)가 설치된다.
냉기 유도부(412)는, 플레이트 몸체(411)의 전방의 냉기를 플레이트 몸체(411)의 하측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 몸체(411)의 내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냉기 유도부(412)는, 이너 하우징(4121), 유입 유도팬(4122), 냉기 배출구(4123) 및 배출 유도 커버(4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하우징(4121)은, 플레이트 몸체(411)의 전단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플레이트 몸체(411)의 내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유입 유도팬(4122), 냉기 배출구(4123) 및 배출 유도 커버(4124)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유입 유도팬(4122)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이너 하우징(4121)의 전단 개구부(4121a)에 설치되는 팬 지지대(500)에 의해 이너 하우징(4121)의 전단 개구부(4121a)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되어 플레이트 몸체(411)의 전방의 냉기를 이너 하우징(4121)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시켜 준다.
냉기 배출구(4123)는, 이너 하우징(4121)의 하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관통 형성되어 이너 하우징(4121)의 내부 공간의 냉기를 플레이트 몸체(411)의 하측으로 배출시켜 준다.
배출 유도 커버(4124)는, 유입 유도팬(4122)에 의해 이너 하우징(4121)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냉기를 냉기 배출구(4123)로 유도할 수 있도록 이너 하우징(4121)의 내부 공간에서 냉기 배출구(4123)의 상측 후단에 경사지도록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배출 유도 커버(4124)는, 냉기 배출구(4123)까지 냉기가 고르게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도록 후단에 설치되는 것일 수록 경사 각도가 크게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 플레이트(410)는, 종래 냉기가 공급될 수 없는 위치에 적재되어 있는 물품(P)까지 냉기가 고르게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물품(P)의 보관 효율성을 향상시켜 줌은 물론, 보다 적은 냉기를 통해서도 냉장 또는 냉동 효율성을 향상시켜 전력 소비를 감소시켜 줄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팬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팬 지지대(500)는, 다수 개의 완충 지지부(510) 및 다수 개의 지지 바아(520)를 포함한다.
다수 개의 완충 지지부(510)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이너 하우징(4121)의 전단 개구부(4121a)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지지 바아(520)를 지지하는 동시에 지지 바아(52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다수 개의 지지 바아(520)는, 유입 유도팬(4122)의 구동 모터(M)와 완충 지지부(510) 사이 마다 설치되어 구동 모터(M)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팬 지지대(500)는, 안정적으로 유입 유도팬(4122)의 구동 모터(M)를 지지함은 물론, 유입 유도팬(4122)의 구동 모터(M)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유입 유도팬(4122)의 구동 모터(M)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줌은 물론, 유입 유도팬(4122)의 구동 모터(M)의 구동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감소시켜 줄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완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완충 지지부(510)는, 슬라이딩홈(511), 곡선형 슬라이더(512), 제1 지지 스프링(513) 및 제2 지지 스프링(514)을 포함한다.
슬라이딩홈(511)은, 이너 하우징(4121)의 전단 개구부(4121a)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곡선형 슬라이더(512)는, 슬라이딩홈(511)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슬라이딩홈(51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단에 지지 바아(520)가 설치된다.
제1 지지 스프링(513)은, 슬라이딩홈(511)의 전단에 설치되어 슬라이딩홈(511)에 안착되는 곡선형 슬라이더(512)의 전단을 지지한다.
제2 지지 스프링(514)은, 슬라이딩홈(511)의 후단에 설치되어 슬라이딩홈(511)에 안착되는 곡선형 슬라이더(512)의 후단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완충 지지부(510)는, 안정적으로 유입 유도팬(4122)의 구동 모터(M)를 지지함은 물론, 유입 유도팬(4122)의 구동 모터(M)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유입 유도팬(4122)의 구동 모터(M)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줌은 물론, 유입 유도팬(4122)의 구동 모터(M)의 구동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감소시켜 줄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곡선형 슬라이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곡선형 슬라이더(512)는, 제1 슬라이더(5121), 제2 슬라이더(5122), 제3 슬라이더(5123), 제1 간격 지지부(600) 및 제2 간격 지지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제1 슬라이더(5121)는, 슬라이딩홈(511)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슬라이딩홈(511)에 안착된다.
제2 슬라이더(5122)는, 슬라이딩홈(511)의 일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 유도홈(511a)에 안착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홈(511)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제1 슬라이더(5121)의 일측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슬라이더(5122)와 제3 슬라이더(5123)는, 제1 슬라이딩 유도홈(511a) 및 제2 슬라이딩 유도홈(511b)의 내측면과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줄 수 있도록 외향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지지 구체(B)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제3 슬라이더(5123)는, 슬라이딩홈(511)의 타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 유도홈(511b)에 안착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홈(511)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제1 슬라이더(5121)의 타측에 배치된다.
제1 간격 지지부(600)는, 제1 슬라이더(5121)의 전단을 폭 방향으로 관통하고 연결 설치되어 제2 슬라이더(5122)와 제2 슬라이더(5122)의 전단 사이의 간격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간격 지지부(600)는, 로드 관통홀(610), 지지 로드(620), 제1 로드 지지 스프링(630), 제2 로드 지지 스프링(640), 링 안착 공간(650), 지지링(660), 제1 링 지지 스프링(670) 및 제2 링 지지 스프링(680)을 포함할 수 있다.
로드 관통홀(610)은, 제1 슬라이더(5121)의 전단을 폭 방향으로 관통하고 안착된다.
지지 로드(620)는, 로드 관통홀(610)에 안착되며, 일단이 로드 관통홀(610)로부터 노출되어 제2 슬라이더(5122)의 내향면에 형성되는 제1 안착홈(L1)에 안착되고, 타단이 로드 관통홀(610)로부터 노출되어 제3 슬라이더(5123)의 내향면에 형성되는 제2 안착홈(L2)에 안착되어 제2 슬라이더(5122)와 제2 슬라이더(5122)의 전단 사이의 간격을 지지한다.
제1 로드 지지 스프링(630)은, 제1 안착홈(L1)의 내측에 설치되어 제1 안착홈(L1)에 안착되는 지지 로드(620)의 일단을 지지한다.
제2 로드 지지 스프링(640)은, 제2 안착홈(L2)의 내측에 설치되어 제2 안착홈(L2)에 안착되는 지지 로드(620)의 타단을 지지한다.
링 안착 공간(650)은, 로드 관통홀(610)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형성하면서 로드 관통홀(610)의 중단에 형성된다.
지지링(660)은,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 로드(620)의 중단에 설치되며, 링 안착 공간(650)의 중단에 배치된다.
제1 링 지지 스프링(670)은, 지지링(660)을 사이에 두고 링 안착 공간(6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지지링(660)의 일측을 지지한다.
제2 링 지지 스프링(680)은, 지지링(660)을 사이에 두고 링 안착 공간(650)의 타측에 설치되어 지지링(660)의 타측을 지지한다.
제2 간격 지지부, 제1 슬라이더(5121)의 후단을 폭 방향으로 관통하고 연결 설치되어 제2 슬라이더(5122)와 제2 슬라이더(5122)의 후단 사이의 간격을 지지한다.
여기서, 제2 간격 지지부, 상술한 제1 간격 지지부(60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간격 지지부(600)의 로드 관통홀(610), 지지 로드(620), 제1 로드 지지 스프링(630), 제2 로드 지지 스프링(640), 링 안착 공간(650), 지지링(660), 제1 링 지지 스프링(670) 및 제2 링 지지 스프링(680)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곡선형 슬라이더(512)는, 유입 유도팬(4122)의 구동 모터(M)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유입 유도팬(4122)의 구동 모터(M)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줌은 물론, 유입 유도팬(4122)의 구동 모터(M)의 구동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감소시켜 줄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저온 창고 시스템
100: 창고 부스
200: 냉기 공급 장치
300: 제어 장치
400: 물품 적재 선반

Claims (3)

  1. 냉장 또는 냉동 보관이 필요한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창고 부스;
    상기 창고 부스의 내부 공간의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창고 부스의 내부 공간으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
    상기 창고 부스의 내부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며, 상기 창고 부스의 내부 공간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냉기 공급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물품을 적재할 수 있도록 상기 창고 부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물품 적재 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물품 적재 선반은,
    물품을 적재할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적층 배치되는 적재 플레이트;
    상기 적재 플레이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적재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지지 프레임; 및
    이동을 위해 상기 다수 개의 지지 프레임의 각 하측 마다 설치되는 다수 개의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 플레이트는,
    물품을 적재할 수 있도록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몸체; 및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전방의 냉기를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하측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내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는 냉기 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냉기 유도부는,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전단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내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너 하우징;
    원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이너 하우징의 전단 개구부에 설치되는 팬 지지대에 의해 상기 이너 하우징의 전단 개구부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되어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전방의 냉기를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시켜 주는 유입 유도팬;
    상기 이너 하우징의 하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관통 형성되어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냉기를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하측으로 배출시켜 주는 냉기 배출구; 및
    상기 유입 유도팬에 의해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냉기를 상기 냉기 배출구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냉기 배출구의 상측 후단에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배출 유도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 유도 커버는,
    후단에 설치되는 것일 수록 경사 각도가 크게 설치되며,
    상기 팬 지지대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이너 하우징의 전단 개구부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는 완충 지지부; 및
    상기 유입 유도팬의 구동 모터와 상기 완충 지지부 사이 마다 설치되어 상기 구동 모터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지지 바아;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 지지부는,
    상기 이너 하우징의 전단 개구부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홈;
    상기 슬라이딩홈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단에 상기 지지 바아가 설치되는 곡선형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딩홈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는 상기 곡선형 슬라이더의 전단을 지지하는 제1 지지 스프링; 및
    상기 슬라이딩홈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는 상기 곡선형 슬라이더의 후단을 지지하는 제2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곡선형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딩홈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는 제1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딩홈의 일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 유도홈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홈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딩홈의 타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 유도홈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홈의 곡률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1 슬라이더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3 슬라이더;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전단을 폭 방향으로 관통하고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슬라이더와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전단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제1 간격 지지부; 및
    상기 제1 슬라이더의 후단을 폭 방향으로 관통하고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슬라이더와 상기 제2 슬라이더의 후단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제2 간격 지지부;를 포함하는, 저온 창고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20186478A 2022-12-27 2022-12-27 저온 창고 시스템 KR102537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6478A KR102537235B1 (ko) 2022-12-27 2022-12-27 저온 창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6478A KR102537235B1 (ko) 2022-12-27 2022-12-27 저온 창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7235B1 true KR102537235B1 (ko) 2023-05-26

Family

ID=86536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6478A KR102537235B1 (ko) 2022-12-27 2022-12-27 저온 창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2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836B1 (ko) * 2023-05-16 2023-10-17 박주석 냉장 창고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563B1 (ko) 2001-07-30 2004-05-24 허봉도 저온 냉장창고 또는 냉동창고의 시공방법
KR20180122494A (ko) * 2017-05-02 2018-11-13 주식회사 창신 냉장, 숙성, 해동 및 냉동보관을 위한 다용도 일체형 식품저장창고
KR102418889B1 (ko) * 2020-12-14 2022-07-07 조항우 Pcm 모듈을 이용한 냉장차용 냉각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563B1 (ko) 2001-07-30 2004-05-24 허봉도 저온 냉장창고 또는 냉동창고의 시공방법
KR20180122494A (ko) * 2017-05-02 2018-11-13 주식회사 창신 냉장, 숙성, 해동 및 냉동보관을 위한 다용도 일체형 식품저장창고
KR102418889B1 (ko) * 2020-12-14 2022-07-07 조항우 Pcm 모듈을 이용한 냉장차용 냉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836B1 (ko) * 2023-05-16 2023-10-17 박주석 냉장 창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8425B2 (en) Lift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537235B1 (ko) 저온 창고 시스템
US4899554A (en) Refrigerator with plural storage chambers
CN111820679B (zh) 一种陈列柜
KR102418889B1 (ko) Pcm 모듈을 이용한 냉장차용 냉각 시스템
JP4480666B2 (ja) 冷蔵庫用載置棚及びそれを用いた冷蔵庫
KR20150045749A (ko) 냉장고
RU2563758C2 (ru) Модульная холодильная витринная система товаров
JP2006194571A (ja) 冷蔵庫
JP2006194571A5 (ko)
JP6723441B2 (ja) 冷蔵庫
JP3722151B1 (ja) 冷蔵庫
JP6890242B2 (ja) 冷蔵庫
CN113272606A (zh) 冰箱
JP4458698B2 (ja) 冷却貯蔵庫の棚装置
JP2642796B2 (ja) 商品貯蔵ショーケース
KR102437518B1 (ko) 냉장고
JPS5810945Y2 (ja) 冷凍車の冷凍庫
JP2019100673A (ja) 冷温蔵装置
JP2017067337A (ja) 冷蔵庫
JPH0247425Y2 (ko)
KR20070024757A (ko) 저장고
JPH09180045A (ja) 自動販売機
KR100695539B1 (ko) 와인 냉장고
JP2007078229A (ja) 貯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