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221B1 -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 Google Patents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221B1
KR102537221B1 KR1020200182958A KR20200182958A KR102537221B1 KR 102537221 B1 KR102537221 B1 KR 102537221B1 KR 1020200182958 A KR1020200182958 A KR 1020200182958A KR 20200182958 A KR20200182958 A KR 20200182958A KR 102537221 B1 KR102537221 B1 KR 102537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icroneedle
pressing member
press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9763A (ko
Inventor
정훈의
강민수
이상현
황인솔
김재일
박성진
김동환
박상한
강복기
이민석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주식회사 대웅테라퓨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주식회사 대웅테라퓨틱스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ublication of KR20220069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69Devices for implanting pellets, e.g. markers or solid 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depth of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23Drug applicators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46Solid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61Methods for using micro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하를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통해 하방으로 수직 이동하여 마이크로니들을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가압 시 상기 가압부재의 하단은 상기 하우징의 하단 외측으로 돌출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MICRO NEEDLE APPLICATOR}
본 발명은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이크로니들의 수직적 삽입을 보장하며, 피부 삽입 깊이를 명확히 할 수 있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에 관한 것이다.
용해성 마이크로니들의 약물의 전달은 마이크로니들의 형상, 물성 및 용해도를 비롯한 직접적인 기계화학적 특성들뿐만 아니라 투여(삽입) 상태 및 투여 시간 등의 적용 방식에도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적합한 적용 방식을 취하여 투여하지 못할 경우 개별 니들이 진피층까지 제대로 삽입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정량의 약물이 전달되지 못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숙련되지 못한 사용자가 마이크로니들을 삽입하기 위하여 임의의 압력을 가압하게 될 시에 피부 관통에 필요한 압력이 부족하여 개별 니들 제형이 진피층까지 완전히 삽입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가압 시에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전체 면적에 균일하지 못한 압력이 가해지거나 전단 방향의 힘이 가해질 경우, 불균일한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강한 가압으로 전체 제형을 완전하게 삽입하였다 하더라도 지속적으로 가압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고분자들의 용해에 따라 개별 마이크로니들의 종횡비가 낮아지고 피부의 자체 탄성 및 외부 움직임에 의하여 마이크로니들 어레이가 이탈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이크로니들의 사용자에 따른 투여 편차를 최소화하여 마이크로니들의 성능을 높은 재현성과 함께 정량적으로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여 시간 동안 손쉽게 일정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어 사용성 또한 극대화할 수 있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75267 (2018.07.04)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로니들의 수직적 삽입을 보장하며, 피부 삽입 깊이를 명확히 할 수 있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상하를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통해 하방으로 수직 이동하여 마이크로니들을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가압 시 상기 가압부재의 하단은 상기 하우징의 하단 외측으로 돌출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중공이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위치하고, 개구가 형성되며, 마이크로니들 적용 위치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공의 직경은, 상기 개구의 직경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중공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에서 수직 이동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 상기 헤드부 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하측에 가압면이 마련되며, 가압 시 상기 개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헤드부 외주면에는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몸체부 상단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며, 상기 돌출부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가이드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헤드부에는 하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 및 상기 다리부의 하단에 외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몸체부 내면에는 상기 걸림부가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와 상기 가압부의 외주면 사이에는 틈새(S)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가압부재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 상기 가압부재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연결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는 마이크로니들의 수직적 삽입을 보장하며, 피부 삽입 깊이를 명확히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는 수평을 유지한 채로 피부에 마이크로니들을 삽입하고, 삽입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는 하우징 지지부를 국부 위치에 미리 적용하여, 자가 투여할 국부 위치를 명확히 확인한 뒤 마이크로니들을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의 상측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의 하측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부가 제거된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 및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부가 제거된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의 분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의 상측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의 하측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를 나타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부가 제거된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 및 분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부가 제거된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1000)는 하우징(100) 및 가압부재(2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1000)는 상하를 관통하는 중공(111)이 형성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를 통해 하방으로 수직 이동하여 마이크로니들을 가압하는 가압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1000)는 가압부재(200) 가압 시 상기 가압부재(200)의 하단은 상기 하우징(100)의 하단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1000)는 마이크로니들의 수직적 삽입을 보장하고, 피부 삽입 깊이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100) 및 가압부재(200)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지만, 가장 통상적으로는 플라스틱일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플라스틱은 폴리에틸렌, 예를 들어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예를 들어 나일론 6,6 등을 포함한다. 하우징(100) 및 가압부재(200)는 동일한 재료로 제조될 필요는 없지만,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우징(100)은 피부를 향해 위치 설정되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중공(111)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몸체부(110) 및 지지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00)은 내부에 가압부재(2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0)은 중공(111)이 형성되는 몸체부(110) 및 상기 몸체부(110)의 하측에 위치하고, 개구(123)가 형성되며, 마이크로니들 적용 위치에 지지되는 지지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부(110)의 내부 표면은 중공(111)을 한정하며, 후술할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상단부에는 가압부재(200)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가이드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중공(111)은 몸체부(110)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지지부(120)에는 개구(123)가 형성되며, 가압부재(200)는 가압 시 상기 개구(123)를 통해 하우징(100)의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지지부(120)는 몸체부(110)의 하단에 몸체부(1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며, 외측으로 형성되는 외측 지지부(121) 및 내측으로 형성되는 내측 지지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측 지지부(121)는 내주면을 통해 개구(123)를 한정하며, 이때, 중공(111)의 직경은 개구(123)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200)는 하우징(100)의 내부를 통해 하방으로 수직 이동하여 마이크로니들을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가압부재(200)는 헤드부(210) 및 상기 헤드부(210)의 하측에 형성되는 가압부(22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압부재(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11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111)에서 수직 이동하는 헤드부(210) 및 상기 헤드부(210)의 하부에 상기 헤드부(210) 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하측에 가압면(221)이 마련되며, 가압 시 상기 개구(123)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가압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헤드부(210)의 외주면에는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30)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몸체부(110) 상단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가이드홈(112)에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부(230)와 수직 가이드홈(112)은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씩 구비될 수 있다.
즉, 돌출부(230)는 수직 가이드홈(112)에 삽입된 채로 수직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으며, 이로써 가압부재(200)의 마이크로니들 가압 동작이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가압부(220)는 헤드부(210) 상면을 통한 가압 동작에 따라 개구(123)를 통해 하우징(100)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가압면(221)으로 마이크로니들을 가압하게 된다.
즉, 가압부(220)의 가압면(221)이 개구(123)를 통해 하우징(100) 외부로 돌출되면서 마이크로니들을 가압함에 따라 마이크로니들의 피부 삽입 깊이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가압부(220)의 직경은 헤드부(2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1000)는 지지부(120)의 외주 방향으로 구비되며, 피부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점착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점착부재(130)는 외측 지지부(121)의 외주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니들이 적용되는 피부와의 접착력을 향상시켜 마이크로니들 가압시 지지부(12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가압부재(200)의 헤드부(210)에는 하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240) 및 상기 다리부(240)의 하단에 외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부(24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몸체부(110) 내면에는 상기 걸림부(241)가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113)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다리부(240)와 가압부(220)의 외주면 사이에는 틈새(S)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200)가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될 때, 다리부(240)는 하우징(100)의 내면에 의해 내측으로 힘을 받아 탄성 변형되며, 탄성 변형된 상태로 하방 이동하게 된다. 즉, 가압부재(200)는 걸림부(241)가 걸림홈(113)에 체결될 때까지 하방 이동하게 된다.
이때, 걸림부(241)는 상기 걸림홈(113)에 걸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걸림면(241a) 및 상기 걸림홈(113) 까지의 수직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경사면(241b)을 포함한다.
이처럼,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1000)는 수평을 유지한 채로 피부에 마이크로니들을 삽입하고, 걸림 구조를 적용하여 삽입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의 분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1000)는 하우징(300), 가압부재(400) 및 힌지 연결부(5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1000)는 상하를 관통하는 중공(311)이 형성되는 하우징(300), 상기 하우징(300)의 내부를 통해 하방으로 수직 이동하여 마이크로니들을 가압하는 가압부재(400) 및 상기 하우징(300)과 상기 가압부재(400)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 연결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1000)는 가압부재(400) 가압 시 상기 가압부재(400)의 하단은 상기 하우징(300)의 하단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1000)는 마이크로니들의 수직적 삽입을 보장하고, 피부 삽입 깊이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힌지 연결부(500)는 하우징(300)과 가압부재(400)를 힌지 결합하며, 제1 결합부(510), 제2 결합부(520) 및 연결핀(53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힌지 연결부(500)는 상기 하우징(300)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510), 상기 가압부재(400)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520) 및 상기 제1 결합부(510)와 상기 제2 결합부(520)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연결핀(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1000)는 하우징(300)과 가압부재(400)가 힌지 결합구조로 연결되어, 가압부재(400)의 분실 위험성이 없고, 자가 투여할 국부 위치를 명확히 확인한 뒤 가압부재(400)를 회동 및 가압하여 마이크로니들을 삽입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300)은 몸체부(310) 및 지지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하우징(300)은 내부에 가압부재(4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300)은 중공(311)이 형성되는 몸체부(310) 및 상기 몸체부(310)의 하측에 위치하고, 개구가 형성되며, 마이크로니들 적용 위치에 지지되는 지지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부(320)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가압부재(400)는 가압 시 상기 개구를 통해 하우징(300)의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지지부(320)는 몸체부(310)의 하단에 몸체부(3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된다.
가압부재(400)는 회동 동작을 통해 하우징(300) 내부로 수직 이동하여 마이크로니들을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가압부재(400)는 헤드부(410) 및 상기 헤드부(410)의 하측에 형성되는 가압부(42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압부재(400)는 상기 하우징(300)의 중공(31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311)에서 수직 이동하는 헤드부(410) 및 상기 헤드부(410)의 하부에 상기 헤드부(410) 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하측에 가압면(421)이 마련되며, 가압 시 상기 개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가압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가압부(420)의 외주면에는 단차부(4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부(310)의 내주면에는 내측 지지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압 시 단차부(421)는 내측 지지부(312)와 맞물려 하우징(300)과 가압부재(400)의 물리적 체결을 통한 수직적 삽입을 보장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100, 300 하우징
110, 310 몸체부
120, 320 지지부
130, 330 점착부재
200, 400 가압부재
210, 410 헤드부
220, 420 가압부
230 돌출부
240 다리부
330 수직 돌출부
500 힌지 연결부
510 제1 결합부
520 제2 결합부
530 연결핀

Claims (8)

  1. 상하를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통해 하방으로 수직 이동하여 마이크로니들을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가압 시 상기 가압부재의 하단은 상기 하우징의 하단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중공이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 위치하고, 개구가 형성되며, 마이크로니들 적용 위치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중공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에서 수직 이동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 상기 헤드부 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하측에 가압면이 마련되며, 가압 시 상기 개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의 헤드부에는 하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 및 상기 다리부의 하단에 외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몸체부 내면에는 상기 걸림부가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구비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의 직경은, 상기 개구의 직경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헤드부 외주면에는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몸체부 상단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며, 상기 돌출부의 수직 이동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가이드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와 상기 가압부의 외주면 사이에는 틈새(S)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가압부재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
    상기 가압부재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연결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KR1020200182958A 2020-11-20 2020-12-24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KR1025372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56741 2020-11-20
KR1020200156741 2020-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763A KR20220069763A (ko) 2022-05-27
KR102537221B1 true KR102537221B1 (ko) 2023-05-26

Family

ID=817916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957A KR102546698B1 (ko) 2020-11-20 2020-12-24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KR1020200182958A KR102537221B1 (ko) 2020-11-20 2020-12-24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957A KR102546698B1 (ko) 2020-11-20 2020-12-24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466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534B1 (ko) 2010-05-14 2012-08-27 김근식 니들 조립체
WO2020148008A1 (de) 2019-01-17 2020-07-23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Applikat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00863A1 (en) * 2005-12-02 2008-08-21 Cabochon Aesthetic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lysing cells
WO2014097837A1 (ja) * 2012-12-21 2014-06-26 久光製薬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タ
KR102135518B1 (ko) * 2015-09-02 2020-07-17 히사미쓰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어플리케이터
KR20180075267A (ko) 2016-12-26 2018-07-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
JP2019170690A (ja) * 2018-03-28 2019-10-10 株式会社メディカルフロント マイクロニードル連続注入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534B1 (ko) 2010-05-14 2012-08-27 김근식 니들 조립체
WO2020148008A1 (de) 2019-01-17 2020-07-23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Applik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762A (ko) 2022-05-27
KR102546698B1 (ko) 2023-06-23
KR20220069763A (ko) 202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86211B2 (ja) 経皮投薬装置及びその装置に使用するニードル形成体
TWI793708B (zh) 微針組件
KR101033513B1 (ko) 미세바늘을 이용한 유용성분 피부전달용 용기
CN111068144B (zh) 一种助针器
KR102017563B1 (ko) 약액주입장치
KR102537221B1 (ko)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CN112386787A (zh) 微针
KR20120119250A (ko) 단턱이 형성된 미세바늘
CN208726443U (zh) 注射装置和用于该注射装置的针座组件
KR102006937B1 (ko) 주사장치
KR102268347B1 (ko) 마이크로니들을 구비한 화장품용기
KR102175310B1 (ko) 슈팅 마이크로 구조체 모듈 및 이의 어플리케이터
KR20120118640A (ko) 캡슐용 미세바늘시스템
JP3202156U (ja) マイクロニードルの形成・収納用カートリッジ
CN213252098U (zh) 笔针
KR20190107538A (ko)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TWM614774U (zh) 可容置經皮輸送藥物的微針結構及其微針貼片
JP6880942B2 (ja) 経皮投与デバイス
KR102229570B1 (ko) 피부 시술 장치 및 피부 시술 장치용 니들 유닛
KR102629370B1 (ko) 마이크로니들의 제조방법
JP5026980B2 (ja) 可撓性の生体障壁内へ流体を供給するための装置
KR102203123B1 (ko) 시술용 멀티니들 모듈
KR20110113797A (ko) 경피내 주사기 모듈
KR101974622B1 (ko) 기능성 성형실 삽입장치
WO2022168713A1 (ja) 針アプリケータおよび穿刺注入キ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