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5267A -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5267A
KR20180075267A KR1020160179405A KR20160179405A KR20180075267A KR 20180075267 A KR20180075267 A KR 20180075267A KR 1020160179405 A KR1020160179405 A KR 1020160179405A KR 20160179405 A KR20160179405 A KR 20160179405A KR 20180075267 A KR20180075267 A KR 20180075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microneedle
curved surface
micro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형일
양휘석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79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5267A/ko
Priority to US15/852,849 priority patent/US20180177991A1/en
Publication of KR20180075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5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1Intradermal administration, e.g. through microneedle arrays, needleless in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23Drug applicators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61Methods for using micro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 니들을 피부에 적용하여 약물을 피부 내로 전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로서, 일측에 상기 마이크로 니들이 상기 피부에 적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을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 니들을 가압하는 적용부; 일면에는 상기 마이크로 니들이 상기 피부를 향해 배치되고, 대향면이 상기 곡면에 결합되는 탈착부; 상기 적용부의 타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적용부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적용부는 상기 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마이크로 니들이 상기 피부에 적용되도록 상기 피부 상에서 이동하고, 상기 마이크로 니들이 상기 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피부에 적용될 때, 상기 마이크로 니들이 상기 탈착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피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Micro needle applicator}
본 발명은 피부에 마이크로 니들을 부착하기 위한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에 관한 것이다.
질병치료를 위한 수많은 약물 및 치료제 등이 개발되었지만 약물을 신체 내로 전달함에 있어서, 생물학적 장벽(biological barrier, 예를 들어, 피부, 구강점막 및 뇌-혈관 장벽 등) 통과 문제 및 약물 전달의 효율 문제는 여전히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남아 있다.
약물은 일반적으로 정제형 또는 캡슐형으로 경구 투여되지만, 수많은 약물들이 위장관에서 소화 또는 흡수되거나 간의 기전에 의하여 소실되는 등의 이유로 이러한 투여 방법만으로는 유효하게 전달될 수 없다. 게다가, 몇몇 약물들은 장의 점막을 통과하여 유효하게 확산될 수 없다. 또한, 환자의 순응도 역시 문제가 된다(예를 들어, 특정 간격으로 약물을 복용해야 하거나, 약을 복용할 수 없는 중환자의 경우 등).
약물전달에 있어서 또 다른 일반적인 기술은 종래의 주사바늘(needle)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경구 투여에 비하여 효과적인 반면에, 주사부위에서의 통증 수반 및 피부의 국부적 손상, 출혈 및 주사부위에서의 질병감염 등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니들(microneedle)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마이크로 구조체들이 개발되었다. 현재까지 개발된 마이크로 니들은 주로 생체 내 약물 전달, 채혈, 체내 분석물질 검출 등에 사용되고 있다.
다만, 종래에는 마이크로 니들을 보다 정확하게 피부 내로 침투시키기 위해 패치형태로 제작하고, 이를 피부에 수직방향으로 힘을 주어 부착시켰다. 또한, 종래 적용기기들은 어레이 형태로 배열된 마이크로 니들들을 일정 면적에 한 번에 적용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적용법은 수직방향 힘의 적용으로 인해 패치의 적재가 불가능하여 적용마다 패치를 적용부에 충전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어레이 전체를 한 번의 힘으로 전달하기에 마이크로 니들이 골고루 침투하기 위해 강한 힘이 적용되어야 했고 이는 곧 통증을 유발하였다.
추가적으로, 종래 패치 적용기기는 일정 면적을 한 번의 힘으로 적용하므로 적용 면적에 한계가 있었으며, 굴곡이 있거나 피부가 균일하지 않은 주름, 관절 부위에는 정확한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평하지 않은 피부에 정확한 적용이 가능한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가 제공된다.
또한, 작은힘으로 통증 없이 피부에 마이크로 니들을 부착할 수 있는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가 제공된다.
또한, 패치 형태로 제공되는 마이크로 니들에 있어서, 마이크로 니들만을 피부에 삽입할 수 있는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마이크로 니들을 피부에 적용하여 약물을 피부 내로 전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로서, 일측에 상기 마이크로 니들이 상기 피부에 적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을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 니들을 가압하는 적용부; 일면에는 상기 마이크로 니들이 상기 피부를 향해 배치되고, 대향면이 상기 곡면에 결합되는 탈착부; 상기 적용부의 타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적용부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적용부는 상기 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마이크로 니들이 상기 피부에 적용되도록 상기 피부 상에서 구름 이동하고, 상기 마이크로 니들이 상기 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피부에 적용될 때, 상기 마이크로 니들이 상기 탈착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피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가 제공된다.
이 때, 상기 탈착부는 접착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마이크로 니들이 형성되는 일면의 접착력이 상기 곡면에 결합되는 대향면의 접착력보다 약하고, 상기 마이크로 니들이 상기 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피부에 적용될 때, 상기 마이크로 니들이 상기 접착층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때, 일면에 상기 마이크로 니들이 지지되고, 대향면이 상기 탈착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니들이 상기 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피부에 적용될 때, 상기 지지체가 상기 탈착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마이크로 니들이 상기 피부에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탈착부는 상기 곡면상에 상기 곡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탈착부와 결합되는 상기 지지체의 대향면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탈착부와 상기 지지체가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 돌기와 대응되는 수용 돌기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적용부의 구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적용부가 상기 곡면의 길이 방향 어느 일 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 니들은 상기 피부에 적용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탈착부에 결합된 상태로 남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적용부는 상기 탈착부와 상기 피부 사이에 위치한 상기 마이크로 니들을 상기 피부와 선 접촉시켜, 상기 마이크로 니들을 상기 피부에 적용시키고, 상기 피부와 상기 마이크로 니들의 접촉 선이 상기 적용부의 상기 곡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적용부가 구름 운동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적용부와 상기 가압부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적용부와 일체로 소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상기 가압부 및 상기 적용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마이크로 니들을 순차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마이크로 니들을 상기 피부에 순차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곡면의 길이 방향 단면은 원호, 타원호 또는 포물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는 곡면부를 구비하는 적용부를 포함하여 굴곡진 피부에도 마이크로 니들 또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를 통증 없이 부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마이크로 니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의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의 다양한 곡률을 가지는 적용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의 작동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의 다양한 탈착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의 마이크로 니들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의 변형 마이크로 니들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의 공급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마이크로 니들의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피부에 부착되는 마이크로 니들(16) 및 마이크로 니들 패치(10)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니들 패치(10)는 일면에 마이크로 니들(16)이 형성되는 점착부(12), 점착부(12)의 이면에 배치되는 지지체(14) 및 마이크로 니들(16)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지지체(14)는 마이크로 니들(16)이 형성되지 않은 점착부(12)의 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점착부(12)에 의해 마이크로 니들 패치(10)가 피부에 부착되고, 마이크로 니들(16)이 피부에 삽입될 때, 지지체(14)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10)와 분리되어 별도로 회수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체(14)와 점착부(12)간의 접착력은 피부와 점착부(12)간의 접착력에 비해 약한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지체(14)는 롤러 등에 감겨 제공되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10)의 점착부(12) 이면을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체(14)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10)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 니들 패치(10)의 폭 방향 길이와 대응되는 폭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점착부(12)는 이면에 지지체(14)가 배치되고 일면에 마이크로 니들(16) 및 지지부재(15)를 구비할 수 있다. 점착부(12)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일면에 다수의 마이크로 니들(16)이 어레이를 형성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점착부(12)의 일면은 피부와 점착되어 피부에 삽입된 마이크로 니들(16)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점착부(12)의 일면에는 피부와의 접촉시 점착력을 제공하기 위한 점착성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의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의 다양한 곡률을 가지는 적용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의 작동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의 다양한 탈착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2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20)는 피부에 마이크로 니들(16)을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패치 형태가 아닌 마이크로 니들(16) 자체를 피부에 부착하거나, 도 1에 도시된 패치 형태로 제공되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10)를 피부에 부착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20)는 적용부(24), 결합부(28), 가압부(26) 및 탈착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적용부(24)는 마이크로 니들(16) 또는 일면에 마이크로 니들이 형성된 마이크로 니들 패치(10)의 이면을 가압하여, 마이크로 니들(16)이 피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적용부(24)는 마이크로 니들(16)이 패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마이크로 니들 패치(10)의 폭 방향보다 넓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10)의 이면을 전체적으로 피부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용부(24)는 곡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곡면은 적용부(24)의 길이방향 단면으로 볼 때, 원호, 타원호 또는 포물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적용부(24)가 곡면을 구비함으로써, 적용부(24)를 피부 상에서 구름 운동시켜 마이크로 니들(16)을 피부에 삽입시킬 수 있다.
여기서 구름 운동이란, 회전운동과 병진운동이 결합된 움직임으로서, 적용부(24)의 곡면과 피부가 접촉되도록 회전 운동을 함과 동시에, 적용부(24)가 피부 상에서 부착 부위를 따라 병진 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곡면과 마이크로 니들(16)을 부착하고자 하는 피부 사이에 마이크로 니들(16)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마이크로 니들(16)은 피부에 배치되고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20)의 적용부(24)의 구름 이동에 따라 피부로 삽입될 수 있다. 또는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20)의 적용부(24)에 마이크로 니들(16)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복수개의 마이크로 니들(16)이 지지체(14) 상에 어레이를 이루도록 형성된 일종의 마이크로 니들 패치(10)가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20)의 적용부(24)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20)는 마이크로 니들(16) 또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10) 등을 적용부(24)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적용부(24) 상에 형성된 탈착부(2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탈착부(22)는 접착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착층은 일면에 마이크로 니들(16)이 형성되거나, 마이크로 니들 패치(10)의 지지체(14)가 접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양자 모두 마이크로 니들(16)은 피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적용부(24)를 피부상에서 구름 운동시킴에 따라 마이크로 니들(16)이 피부에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것은 적용부(24)의 구름 운동시, 최초로 적용부(24) 곡면의 폭 방향 선 접촉이 일어나고, 접촉 부분에 위치하는 마이크로 니들(16)이 피부에 삽입되며, 이후, 선 접촉이 일어나는 접촉 부분이 적용부(24)의 진행 방향에 따라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접착층은 양면에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즉, 마이크로 니들(16)이 형성되거나, 마이크로 니들 패치(10)의 지지체(14)와 접착되는 일면과 적용부(24)의 곡면에 접착되는 대향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마이크로 니들(16)이 접착되는 일면의 접착력은 대향면의 접착력보다 약할 수 있고, 이 경우 적용부(24)가 피부에 마이크로 니들(16)을 삽입할 때, 접착층이 적용부(24)에 남겨질 수 있다. 즉, 접착층은 피부에 부착됨이 없이 마이크로 니들(16)만을 피부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니들 패치(10)가 접착되는 일면의 접착력이 대향면의 접착력보다 약한 경우, 접착층이 적용부(24)에 남겨지고, 마이크로 니들 패치(10)가 마이크로 니들(16)과 함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니들(16)이 접착층 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10)의 지지체(14)가 적용부(24)에 접착되거나 결합되어, 마이크로 니들 패치(10)의 지지체(14)가 접착층 또는 탈착부(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국 탈착부(22)는 적용부(24)와 마이크로 니들(16) 또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1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탈착부(22)는 반드시 접착층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적용부(24)와 마이크로 니들(16) 또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10)를 결합시킴에 있어서, 물리적인 결합이 가능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돌기 등이 형성된 요철 구조를 통해 마이크로 니들 패치(10)와 적용부(24)를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탈착부(22)는 적용부(24)의 곡면 상에 결합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결합 돌기와 결합 가능하도록 마이크로 니들 패치(10)의 지지체(14)에는 결합 돌기가 수용 되는 돌기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적용부(24) 곡면 상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형성된 결합 돌기가 마이크로 니들 패치(10)의 지지체(14)의 돌기 수용홈에 결합되어, 마이크로 니들 패치(10)와 적용부(24)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 때, 도 6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돌기가 적용부(24)의 구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용부(24)의 구름 방향이란, 마이크로 니들(16)을 피부에 적용시키기 위해 작동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도 6(c)의 경우 시계 방향을 의미한다.
즉, 결합 돌기가 적용부(24) 곡면 상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적용부(24)를 시계 방향으로 구름 이동 시킬 때, 결합 돌기와 돌기 수용홈이 분리될 수 있다. 즉, 마이크로 니들 패치(10)와 마이크로 니들(16)을 피부에 함께 부착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도 6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돌기가 적용부(24)의 구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6(d)의 경우, 결합 돌기가 적용부(24) 곡면 상에서 시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적용부(24)를 시계 방향으로 구름 이동 시킬 때, 결합 돌기와 돌기 수용홈이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 니들 패치(10)의 지지체(14)의 돌기 수용홈과 결합 돌기의 결합이 유지되어, 마이크로 니들 패치(10)의 지지체(14)가 적용부(24) 상에 남겨지고, 마이크로 니들(16)만이 피부에 삽입될 수 있다.
특히, 마이크로 니들(16)의 종류에 따라 체내에서 용해되는 속도가 느려 오랜 시간 패치(10)를 부착해야 하는 경우, 패치(10) 부착에 따른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20)는 적용부(24)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가압부(26)는 일반적으로 시술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나, 전기식 또는 기계식 액추에이터에 의해 어느 일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20)는 곡면을 구비하는 적용부(24)를 포함하므로 마이크로 니들(16)을 적용시키려는 피부 부위의 넓이 또는 길이에 따라 다양한 곡면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즉, 적용부(24) 곡면의 넓이보다 부착 부위의 넓이가 큰 경우, 적용부(24)를 굴려 마이크로 니들(16)을 부착시키는 작업을 여러 번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넓이, 크기 또는 곡률을 가지는 적용부(24)를 가압부(26)에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20)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다양한 크기의 적용부(24)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이 때, 결합부에 따른 적용부(24)와 가압부(26)의 결합은 적용부(24)의 구름 방향에 대해서는 일체로 움직이도록 결합되되, 적용부(24)는 도 2의 상부측으로 가압부(26)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적용부(24) 및 가압부(26)가 일체로 결합되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일체로 소정의 각도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결합부(28)는 가압부(26)에 위치한 결합 홈(28b)과 적용부(24)에 위치한 결합 부재(28a)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적용부(24)와 가압부(26)가 착탈 가능한 것은 마이크로 니들(16)의 종류 또는 마이크로 니들(16)을 부착하고자 하는 부위의 길이 또는 넓이에 따라 적용부(24) 곡면의 크기를 달리하기 위함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곡면 길이를 가지는 적용부(24)는 공통의 결합부(28) 형태를 가지므로, 가압부(26)와 간단하게 결합되고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20)는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유리한 효과가 있다.
종래에는 마이크로 니들을 피부에 부착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니들 또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를 부착하고자 하는 피부에 수직된 방향으로 가압하였는데, 이는 큰 힘을 필요로 하고, 그 힘이 마이크로 니들 패치에 전체적으로 분산되므로 마이크로 니들 또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의 부착 효율이 떨어졌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20)는 마이크로 니들 또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를 더 효율적으로 부착하기 위하여, 곡면으로 이루어진 적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종래와 달리 마이크로 니들 또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를 반경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부착하려는 전체 부위에 힘이 분산되지 않고 적용부의 진행 방향에 따라 힘을 집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부착 부위와 마이크로 니들 또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가 면 접촉할 수 밖에 없었고 이는 환자에게 통증을 유발함은 물론, 마이크로 니들의 피부 삽입을 위해 큰 구동력이 필요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20)는, 마이크로 니들과 피부가 선 접촉되어, 작은 힘으로 효율적으로 마이크로 니들 또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를 피부에 부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마이크로 니들 또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마이크로 니들 부착 부위 일부에 집중할 수 있어 손쉽게 부착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20)는 롤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용부(24)는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롤러가 피부 상에서 회전함에 따라 마이크로 니들 패치(10)가 피부에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롤러가 일 방향으로 360도 회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의 마이크로 니들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의 변형 마이크로 니들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20)의 적용부(24)로 부착하기 용이한 마이크로 니들(16') 또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10')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 니들(16)은 마이크로 니들(16)과 점착부(12)가 이루는 두 개의 각도(θ1, θ2)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일 방향으로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전방 각도(θ1)가 후방 각도(θ2)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곡면의 적용부(24)를 구비하는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20)로 마이크로 니들(16') 또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10')를 부착시킬 때, 마이크로 니들(16')을 피부에 수직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마이크로 니들은 적용부의 구름 방향과 같은 방향인 시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20)의 적용부(24)가 곡면으로 이루어지는데, 적용부의 회전에 따라 각 마이크로 니들(16')의 삽입 방향이 피부에 수직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니들(16')이 일 방향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는 경우 마이크로 니들(16')이 피부 표면에 수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구체적인 두 개의 각도(θ1, θ2)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적용부(24)의 곡률 등에 따라 달리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각도가 변형된 마이크로 니들 뿐 아니라 일반적인 마이크로 니들(θ1 = θ2) 역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로 피부에 부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의 공급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3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30)는 케이스(38), 공급부(32), 회수부(36), 블레이드(35) 및 적용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마이크로 니들은 패치 형태로 제공되되, 롤 형태로 감긴 것이다.
이 때, 롤에 감겨 제공되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10)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5)를 구비하여, 롤 형태로 감긴 경우에도 이웃하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10)와 마이크로 니들(16)이 접촉하지 않아 마이크로 니들(16)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8)는 공급부(32) 및 회수부(36)를 내부에 구비하고, 적용부(34)의 일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케이스(38) 외부로 노출된 적용부(34)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케이스(38) 내부에 구비된 공급부(32)에서 풀린 마이크로 니들 패치(10)가 적용부(34)를 통해 외부로 이동되고, 다시 케이스(38)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공급부(32) 및 회수부(36)는 케이스(38)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공급부(32)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10)를 적재하는 것으로, 공급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마이크로 니들 패치(10)는 공급롤러에 감겨 적재될 수 있다. 이 때, 마이크로 니들 패치(10)는 지지체(14)가 내측을 향하고, 마이크로 니들 패치(10)가 외측을 향하도록 공급부(32)에 감긴다. 이는 공급부(32)에서 풀린 마이크로 니들 패치(10)가 마이크로 니들(16)을 부착하고자 하는 피부를 향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로써, 공급부(32)에서 풀린 마이크로 니들 패치(10)는 피부에 접촉되고, 후술되는 적용부(34)에 의해 가압되면서 피부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용부(34)는 상기 공급부(32)에서 풀린 마이크로 니들 패치(10)를 피부에 접촉시킨 상태로 가압하여 마이크로 니들 패치를 피부에 부착시킨다.
이 때, 적용부(34)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곡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곡면은 포물선, 원호 또는 타원호 등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곡면은 표면의 주름 등 굴곡이 있는 피부에 마이크로 니들 패치(10)를 효과적으로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적용부(34)에 의해 마이크로 니들 패치(10)가 피부에 부착됨에 따라, 마이크로 니들(16)은 피부에 삽입되고, 침투된 마이크로 니들(16) 내부에 구비되거나 표면에 코팅된 약물이 신체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 니들 패치(10)가 적용부(34)를 통과함에 따라, 마이크로 니들 패치(10)의 일면에 구비된 점착부(12)와 지지체(14)가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점착부(12) 및 점착부(12) 상에 구비된 마이크로 니들(16)이 피부에 부착되고, 분리된 지지체(14)는 적용부(34)를 경유하여 별도로 회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30)의 적용부(34)에는 블레이드(3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블레이드(35)는 적용부(34)를 통과하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10)의 점착부(12)를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점착부(12)를 피부 표면에 부착함이 없이 오로지 마이크로 니들(16) 만을 피부에 삽입할 수 있다. 즉 마이크로 니들로부터 약물이 투입되거나, 마이크로 니들이 분해되기까지 점착부(12)를 부착하고 있어야 하는 종래의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30)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10)에서 분리된 지지체(14)를 효율적으로 회수하기 위한 회수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회수부(36)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10)의 길이방향으로 장력을 부가할 수 있다. 장력을 부가함으로써, 공급부(32), 적용부(34) 및 회수부(36)로 이어지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10)가 피부에 부착되기 용이한 것이다.
이 때, 회수부(36)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회수롤러는 공급롤러와 기어 등으로 연결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회수롤러의 회전축에 토션 스프링이 더 결합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은 지지체(14)가 회수롤러에 감기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보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10)에 길이방향의 장력으로서 스프링 탄성력을 이용하는 것이다.
토션 스프링에 의해 보존되는 탄성력이 마이크로 니들 패치(10)에 지속적으로 장력을 제공할 수 있어, 마이크로 니들 패치(10)가 길이방향으로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회수롤러의 토션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30)의 측면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홈은 일자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여 토션 스프링이 결합된 회수롤러를 어느 일 방향으로 돌려 토션 스프링이 제공하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토션 스프링이 제공하는 장력은 마이크로 니들 패치(10)의 기계적 물성치에 따라 달리 결정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30)의 작동을 설명한다.
마이크로 니들 패치(10)를 부착하기 위하여, 먼저 마이크로 니들(16)을 통해 약물을 주입하고자 하는 부위에 적용부(34)를 접촉시킬 수 있다. 이 때, 적용부(34)는 곡면으로 이루어져 피부 굴곡에 영향 받지 않고 마이크로 니들 패치(10)를 접촉할 수 있다. 이 때, 회수부(36)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10)에 적절한 장력을 부가하여 마이크로 니들 패치(10)를 팽팽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팽팽하게 유지된 마이크로 니들 패치(10)가 피부에 접촉되고, 마이크로 니들 패치(10)의 이면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 지지체(14)가 회수부(36)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적용부(34)에 형성된 블레이드(35)는 피부에 삽입된 마이크로 니들(16)로부터 점착부(12)를 분리하여 마이크로 니들(16)만이 피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해 기술분야의 평균적인 기술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마이크로 니들 패치 12: 점착부
15: 지지부재 16: 마이크로 니들
20, 30: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
24, 34: 적용부 26: 가압부
28: 결합부 32: 공급부
35: 블레이드 36: 회수부

Claims (8)

  1. 마이크로 니들을 피부에 적용하여 약물을 피부 내로 전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로서,
    일측에 상기 마이크로 니들이 상기 피부에 적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면을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 니들을 가압하는 적용부;
    일면에는 상기 마이크로 니들이 상기 피부를 향해 배치되고, 대향면이 상기 곡면에 결합되는 탈착부;
    상기 적용부의 타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적용부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적용부는 상기 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마이크로 니들이 상기 피부에 적용되도록 상기 피부 상에서 구름 이동하고,
    상기 마이크로 니들이 상기 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피부에 적용될 때, 상기 마이크로 니들이 상기 탈착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피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접착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마이크로 니들이 형성되는 일면의 접착력이 상기 곡면에 결합되는 대향면의 접착력보다 약하고,
    상기 마이크로 니들이 상기 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피부에 적용될 때, 상기 마이크로 니들이 상기 접착층으로부터 분리되는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일면에 상기 마이크로 니들이 지지되고, 대향면이 상기 탈착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니들이 상기 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피부에 적용될 때, 상기 지지체가 상기 탈착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마이크로 니들이 상기 피부에 적용되는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상기 곡면상에 상기 곡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탈착부와 결합되는 상기 지지체의 대향면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탈착부와 상기 지지체가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 돌기와 대응되는 수용 돌기 홈이 형성되는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적용부의 구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적용부가 상기 곡면의 길이 방향 어느 일 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 니들은 상기 피부에 적용되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탈착부에 결합된 상태로 남는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부는 상기 탈착부와 상기 피부 사이에 위치한 상기 마이크로 니들을 상기 피부와 선 접촉시켜, 상기 마이크로 니들을 상기 피부에 적용시키고,
    상기 피부와 상기 마이크로 니들의 접촉 선이 상기 적용부의 상기 곡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적용부가 구름 운동하는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부와 상기 가압부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적용부와 일체로 소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상기 가압부 및 상기 적용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마이크로 니들을 순차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마이크로 니들을 상기 피부에 순차적으로 적용시키는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의 길이 방향 단면은 원호, 타원호 또는 포물선 중 어느 하나인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
KR1020160179405A 2016-12-26 2016-12-26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 KR2018007526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405A KR20180075267A (ko) 2016-12-26 2016-12-26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
US15/852,849 US20180177991A1 (en) 2016-12-26 2017-12-22 Microneedle applic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405A KR20180075267A (ko) 2016-12-26 2016-12-26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267A true KR20180075267A (ko) 2018-07-04

Family

ID=62625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405A KR20180075267A (ko) 2016-12-26 2016-12-26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80177991A1 (ko)
KR (1) KR201800752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763A (ko) 2020-11-20 2022-05-27 울산과학기술원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001251A1 (de) 2019-02-21 2020-08-27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Applikator für Mikronadelpflaster
CN212038593U (zh) * 2019-12-02 2020-12-01 苏州纳生微电子有限公司 给药连接头及给药装置
KR102368260B1 (ko) * 2020-01-09 2022-03-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US20230226332A1 (en) * 2020-06-17 2023-07-20 L'oreal Kit and cosmetic process using microneedle sheet
DE102021130950A1 (de) * 2021-11-25 2023-05-25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Applikationshilf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9202B1 (en) * 2000-06-29 2003-07-0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dermally sampling or administering a substance to a patient
US9763590B1 (en) * 2004-11-12 2017-09-19 Orbital Research Inc. Physiological recording device or electrode
CN103096970B (zh) * 2010-01-22 2016-10-26 株式会社医药处方 用于微针粘附皮肤贴剂的粘附贴剂辅助工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763A (ko) 2020-11-20 2022-05-27 울산과학기술원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KR20220069762A (ko) 2020-11-20 2022-05-27 울산과학기술원 마이크로니들 어플리케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77991A1 (en)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5267A (ko)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
KR102271338B1 (ko)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
US7785301B2 (en) Tissue conforming microneedle array and patch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or biological fluid collection
JP4312407B2 (ja) 持続した経皮による薬物送達のための皮膚処理装置
US9421351B2 (en) Self-actuating applicator for microprojection array
KR101741294B1 (ko) 미소 돌기가 형성된 어레이를 갖는 디바이스
US20090198189A1 (en) Device for applying a microneedle array
JP6182227B2 (ja) 経皮投薬装置
US10500387B2 (en) Microneedle unit
KR200494105Y1 (ko) 마이크로 니들 롤러 기기
US20190388668A1 (en) Applicator
US10869998B2 (en) Applicator
KR101866246B1 (ko) 구름성이 개선된 롤러형 피부미용기기
KR20170116737A (ko) 마이크로니들 부착을 위한 롤러형 어플리케이터
US20180126093A1 (en) Anesthesia needle assembly and methods
JP2005334594A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突起を有する薬剤投与パッチ
KR102230277B1 (ko) 적층형 마이크로 구조체 및 적층형 마이크로구조체 어플리케이터
KR20110092914A (ko) 미세바늘 롤러헤드 시스템
KR20210005804A (ko) 마이크로니들의 피부밀착 방법 및 장치
CN219763752U (zh) 一种体表导管固定用敷贴
WO2024053625A1 (ja) 局所適用システム
KR20110113797A (ko) 경피내 주사기 모듈
KR200466758Y1 (ko) 경피내 주사기 모듈
WO2016204026A1 (ja) 鼻腔留置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