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758Y1 - 경피내 주사기 모듈 - Google Patents

경피내 주사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758Y1
KR200466758Y1 KR2020120004658U KR20120004658U KR200466758Y1 KR 200466758 Y1 KR200466758 Y1 KR 200466758Y1 KR 2020120004658 U KR2020120004658 U KR 2020120004658U KR 20120004658 U KR20120004658 U KR 20120004658U KR 200466758 Y1 KR200466758 Y1 KR 2004667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module
syringe
microneedle substrate
module body
seat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6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088U (ko
Inventor
조신길
변영덕
Original Assignee
인싸이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싸이토(주) filed Critical 인싸이토(주)
Priority to KR20201200046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758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0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0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7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7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86Needle tip design, e.g. for improved pene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3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needl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61M5/34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using additional parts, e.g. clamping rings or col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53Methods for producing micro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경피내 주사기 모듈(100)은 니들(34)이 고정되어 돌출되는 고정부(36)와 고정부(36)의 테두리에 형성된 안착면(32)으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니들 기판(30)과, 상기 마이크로 니들 기판(30)의 안착면(32)이 안착되는 안착부(42)와 주사기(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되는 중공의 실린더 결합부(43)로 이루어진 주사기 모듈 본체(40)와, 상기 주사기 모듈 본체(40)의 안착부(42)에 마이크로 니들 기판(30)의 안착면(32)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로 니들(34)이 돌출되도록 상기 마이크로 니들 기판(30)을 상기 주사기 모듈 본체(40)에 결합하는 고정링(20)과, 상기 마이크로 니들(34)을 보호하도록 상기 주사기 모듈 본체(40)에 결합되는 캡(10)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마이크로 니들 기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경피내 니들과 고정부를 일체형으로 펀칭하되, 고정부의 안착면을 라운드처리함으로써 터짐이 발생하지 않으며, 마이크로 니들과 튜브와의 접합시 모세관홀에 의해 접착제가 용이하게 골고루 퍼지므로 향상된 접합력으로 고정링을 결합하고, 또한 일반 1회용 주사기와 호환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경피내 주사기 모듈{PERCUTANEOUS INJECTION MODULE}
본 고안은 경피내 주사기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피내 주사침을 안정하게 고정시킴과 동시에 주사침을 보호함으로써 일반인이 쉽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 니들 형상과 그 고정 튜브를 구비하는 경피내 주사기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피내에 약물을 투여하는 방법으로 약물 보관용기의 일부를 떼에 내고, 약물 보관용기내에 있는 약물을 짜내어 피부에 바른 후, 마찰을 주어 경피내에 약물을 전달하는 방법과, 직물재로 되어 그 일면에 접착성을 갖는 약제가 도포되어 있고 약제를 보호함과 동시에 사용시 분리될 수 있는 비닐재의 박리지가 습포지에 부착되어 있는 습포제를 이용하여 피부 환부에 부착하고 일정 시간 동안 부착 상태를 유지하면서 약제의 지속적인 침투성과 약리 작용에 의해 통증을 치료하게 되는 방법과, 습포제와 함께 미세한 전기 펄스 자극을 주어 투과성을 높이는 방법이 있다.
또한 환부의 통증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병원의 물리치료요법으로서 습포 방식이 아닌, 환부에 직접 약품을 바른 상태에서 별도의 초음파 형태의 기구를 이용하여 경피내에 약물을 전달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전기 펄스 자극을 주거나 초음파 형태의 기구를 사용하는 경우, 고가의 장치를 이용해야 하며, 환자 스스로 자가적인 치료를 행할 수 없는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피부에 약품을 직접 바르거나 습포제의 경우에도 단순히 도포된 약품의 약리적인 작용에 의해서만 통증을 치료하므로, 치료효과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점차 약제의 침투성이 저하되므로,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새롭게 바르거나 습포제를 교환하여 치료를 계속해야하고, 습포제의 약제 지속시간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약물 또는 피부 미용용 전달 물질 등을 최대한 경피내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중공의 마이크로 니들 즉, 통증을 동반하지 않는 미세 니들과 내부 전달 물질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기구를 어셈블리로 제작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전달 물질을 경피내에 직접 주입할 수 있는 경피 투여용 주사장치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03-0199812호(2003.10.23. 공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6-0097751호(2006.9.15. 공개)
하지만, 기존의 마이크로 니들의 주사침은 일반적인 1회용 주사기와 같이 굵고 긴 형태의 주사침이므로 굵고 긴 형태의 침관을 침기 중앙에 넣어 접착제로 고정시키는 것이지만, 짧고 가느다란 형태의 주사침이 얇은 판위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존의 침기에 고정하는 것이 매우 어려우며, 침기위에 접착제를 붙이더라도 쉽게 터져서 실용적이지 못하였다.
이에 접착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마이크로 니들 기판위에 고정판을 덧붙이고 니들을 고정하여 접착력을 향상하였으나, 니들의 길이가 1-2mm에 불과하기 때문에 고정판의 두께만큼 접촉할 수 있는 유효 니들길이가 짧아져서 사용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주사기 끝단에 고정시킬 수 있는 튜브와 이 튜브에 연결된 바디에 마이크로 니들의 길이 손실없이 마이크로 니들을 강하게 고정시키는 방법이 필요하였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경피내 주사침을 니들의 길이를 손실함이 없이 안정하게 고정시킴과 동시에 주사침을 보호함으로써 일반인이 쉽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 니들 형상과 그 고정 튜브를 구비하는 경피내 주사기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피내 주사기 모듈은 1개 또는 복수개의 마이크로 니들이 고정되어 돌출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테두리에 형성된 안착면으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니들 기판과; 상기 마이크로 니들 기판의 안착면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주사기가 결합되는 중공의 실린더 결합부로 이루어진 주사기 모듈 본체와; 상기 주사기 모듈 본체의 안착부에 마이크로 니들 기판의 안착면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로 니들이 돌출되도록 상기 마이크로 니들 기판을 상기 주사기 모듈 본체에 결합하는 고정링과; 상기 마이크로 니들을 보호하도록 상기 주사기 모듈 본체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되, 상기 마이크로 니들 기판은 프레스에 의해 고정부보다 낮은 위치에 안착면의 날개가 형성되도록 일체형으로 제작되며, 상기 마이크로 니들 기판을 프레스할 때, 상기 고정부의 가장자리에서 "ㄱ"자 형태로 꺽어서 형성된 안착면의 날개가 상기 고정부와 곡선으로 연결되어 프레스에 의한 터짐을 줄인다.
고정링은 주사기 모듈 본체의 안착부와 실린더 결합부사이의 플랜지에 채결되며, 플랜지에는 접착제가 이동하는 접착제 이동홀이 형성된다.
주사기 모듈 본체의 안착부에는 그 중앙에 실린더 결합부와 연통하여 주사액이 공급되도록 형성된 주사액 공급홀과, 플랜지에 형성된 접착제 이동홀과 연통되도록 둘레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모세관홀이 제공된다.
주사기 모듈 본체의 안착부에는 주사액 공급홀에 동심으로 형성된 주사액 이동홀이 더 제공된다.
마이크로 니들 기판의 마이크로 니들은 1핀 또는 어레이 타입일 수 있다.
주사기 모듈 본체의 실린더 결합부는 하부의 외경이 상부의 외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마이크로 니들 기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경피내 니들과 고정부를 일체형으로 펀칭하되, 고정부의 안착면을 라운드처리함으로써 터짐이 발생하지 않으며, 마이크로 니들과 튜브와의 접합시 모세관홀에 의해 접착제가 용이하게 골고루 퍼지므로 향상된 접합력으로 고정링을 결합하고, 또한 일반 1회용 주사기와 호환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피내 주사기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고자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피내 주사기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고자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피내 주사기 모듈(100)은 니들(34)이 고정되어 돌출되는 고정부(36)와 고정부(36)의 테두리에 형성된 안착면(32)으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니들 기판(30)과, 상기 마이크로 니들 기판(30)의 안착면(32)이 안착되는 안착부(42)와 주사기(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되는 중공의 실린더 결합부(43)로 이루어진 주사기 모듈 본체(40)와, 상기 주사기 모듈 본체(40)의 안착부(42)에 마이크로 니들 기판(30)의 안착면(32)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로 니들(34)이 돌출되도록 상기 마이크로 니들 기판(30)을 상기 주사기 모듈 본체(40)에 결합하는 고정링(20)과, 상기 마이크로 니들(34)을 보호하도록 상기 주사기 모듈 본체(40)에 결합되는 캡(10)을 포함한다.
도 1에는 하나의 니들(34)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지만, 복수개의 어레이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고, 마이크로 니들 기판(30)은 프레스함에 따라 고정부(36)보다 낮은 위치에 안착면(32)의 날개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 니들 기판(30)을 프레스할 때, 고정부(36)의 가장자리를 "ㄱ"자 형태로 꺽어서 형성되는 안착면(32)의 날개가 고정부(36)와 곡선으로 연결됨에 따라 프레스에 의한 터짐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사기 모듈 본체(40)는 일반인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정형화된 성형품으로, 이에 따라 성형품인 주사기 모듈 본체(40)에 프레스 제작된 마이크로 니들 기판(30)을 접합함에 있어서, 조립의 용이성과, 접합의 안정성과, 사용의 편리성을 감안한 형태이다.
고정링(20)은 주사기 모듈 본체(40)의 안착부(42)와 실린더 결합부(43)사이의 플랜지(46)에 체결되며, 상기 플랜지(46)에는 접착제가 이동되는 접착제 이동홀(49)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고정링(20)과 주사기 모듈 본체(40)는 서로 안정되게 결합하기 위해 대응하는 형상의 턱부분과 홈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주사기 모듈 본체(40)의 안착부(42)에는 그 중앙에 실린더 결합부(43)와 연통하여 주사액이 공급되도록 형성된 주사액 공급홀(47)과, 플랜지(46)에 형성된 접착제 이동홀(49)과 연통되도록 둘레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모세관홀(44)이 제공되어 접착제의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주사기 모듈 본체(40)의 안착부(42)에는 또한 주사액 공급홀(47)을 중심으로 θ 자형으로 형성된 주사액 이동홀(45)이 더 제공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 니들(34)과 접하는 부분에 있어서, 1핀 및 어레이 형태의 핀을 접합 할 경우에도, 액체의 흐름이 용이하도록 중심에 있는 주사액 공급홀(47)을 기준으로 공급홀(47)과 동심으로 주사액 이동홀(45)이 형성되고, 주사액 이동홀(45)과 주사액 공급홀(47)이 유로(48)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중심점을 기준으로 어떠한 각도로 접착을 시켜도 액의 공급이 원활하게 공급되게 된다.
도 2에 있어서, 주사기 모듈 본체(40)는 하부의 외경이 상부의 외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므로, 주사기와 연결이 용이하고, 상부는 1핀 또는 3핀 이상의 마이크로 니들(34)의 어레이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의 경피내 주사기 모듈은 마이크로 니들 기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경피내 니들과 고정부를 일체형으로 펀칭하되, 고정부의 안착면을 라운드처리함으로써 터짐이 발생하지 않으며, 마이크로 니들과 튜브와의 접합시 모세관홀에 의해 접착제가 용이하게 골고루 퍼지므로 향상된 접합력으로 고정링을 결합하고, 또한 일반 1회용 주사기와 호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의 경피내 주사기 모듈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요소가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으로, 당업자라면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구조를 채택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 캡 20 : 고정링
30 : 마이크로 니들 기판 32 : 안착면
34 : 마이크로 니들 36 : 고정부
40 : 주사기 본체 모듈 42 : 안착부
43 : 실린더 결합부 44 : 모세관홀
45 : 주사액 이동홀 46 : 플랜지
47 : 주사액 공급홀 48 : 유로
49 : 접착제 이동홀

Claims (6)

  1. 경피내 주사기 모듈로서,
    1개 또는 복수개의 마이크로 니들(34)이 고정되어 돌출되는 고정부(36)와 상기 고정부(36)의 테두리에 형성된 안착면(32)으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니들 기판(30)과;
    상기 마이크로 니들 기판(30)의 안착면(32)이 안착되는 안착부(42)와 주사기가 결합되는 중공의 실린더 결합부(43)로 이루어진 주사기 모듈 본체(40)와;
    상기 주사기 모듈 본체(40)의 안착부(42)에 상기 마이크로 니들 기판(30)의 안착면(32)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로 니들(34)이 돌출되도록 상기 마이크로 니들 기판(30)을 상기 주사기 모듈 본체(40)에 결합하는 고정링(20)과;
    상기 마이크로 니들(34)을 보호하도록 상기 주사기 모듈 본체(40)에 결합되는 캡(10)을 포함하되,
    상기 마이크로 니들 기판(30)은 프레스에 의해 상기 고정부(36)보다 낮은 위치에 상기 안착면(32)의 날개가 형성되도록 일체형으로 제작되며,
    상기 마이크로 니들 기판(30)을 프레스할 때, 상기 고정부(36)의 가장자리에서 "ㄱ"자 형태로 꺽어서 형성된 상기 안착면(32)의 날개가 상기 고정부(36)와 곡선으로 연결되어 프레스에 의한 터짐을 줄이는
    경피내 주사기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20)은 상기 주사기 모듈 본체(30)의 안착부(32)와 상기 실린더 결합부(43)사이의 플랜지(46)에 체결되며, 상기 플랜지(46)에는 접착제가 이동되는 접착제 이동홀(49)이 제공되는
    경피내 주사기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모듈 본체(40)의 안착부(42)에는 그 중앙에 상기 실린더 결합부(43)와 연통하여 주사액이 공급되도록 형성된 주사액 공급홀(47)과, 상기 플랜지(46)에 형성된 상기 접착제 이동홀(49)과 연통되도록 둘레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모세관홀(44)이 제공되는
    경피내 주사기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모듈 본체(40)의 안착부(42)에는 상기 주사액 공급홀(47)에 동심으로 형성된 주사액 이동홀(45)이 더 제공되는
    경피내 주사기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니들 기판(30)의 마이크로 니들(34)은 1핀 또는 어레이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내 주사기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모듈 본체(40)의 실린더 결합부(43)는 하부의 외경이 상부의 외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경피내 주사기 모듈.
KR2020120004658U 2012-06-01 2012-06-01 경피내 주사기 모듈 KR2004667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658U KR200466758Y1 (ko) 2012-06-01 2012-06-01 경피내 주사기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658U KR200466758Y1 (ko) 2012-06-01 2012-06-01 경피내 주사기 모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075A Division KR20110113797A (ko) 2010-04-12 2010-04-12 경피내 주사기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088U KR20120005088U (ko) 2012-07-11
KR200466758Y1 true KR200466758Y1 (ko) 2013-05-07

Family

ID=46853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658U KR200466758Y1 (ko) 2012-06-01 2012-06-01 경피내 주사기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758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99812A1 (en) 1999-09-22 2003-10-2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ansdermal administration of a substan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99812A1 (en) 1999-09-22 2003-10-2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ansdermal administration of a subst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088U (ko) 201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21083B (zh) 药物递送装置
JP5718312B2 (ja) 流体伝達を調節することができるマイクロニードルユニット
JP4469610B2 (ja) 皮膚アクセス部材
JP5486211B2 (ja) 経皮投薬装置及びその装置に使用するニードル形成体
KR101582822B1 (ko) 피부 자극용 유체 주입 장치
KR102271338B1 (ko)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
BRPI0407086B1 (pt) Dispositivo de liberação de medicação
WO1999034850A1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penetration depth of a needle, for application to an injection syringe
JP2005527249A (ja) ペンデバイスに基づいた薬物投与のためのマイクロ針および該マイクロ針の使用法
KR101103620B1 (ko) 경피 투여용 주사장치
WO2016072060A1 (ja) マイクロニードルセット
EP2531242A1 (en) Dermal access device
JP2019504745A (ja) 皮下組織注射のための補助具およびその補助具を用いて注射を行うプロセス
TW202233269A (zh) 微針組件
KR20190080325A (ko) 마이크로 니들
US10449345B2 (en) Microneedle puncture instrument
CN203090241U (zh) 滚轮微针工具
KR20110113797A (ko) 경피내 주사기 모듈
KR200466758Y1 (ko) 경피내 주사기 모듈
WO2021109005A1 (zh) 给药连接头及给药装置
JP2013236865A (ja) 皮下注射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216258729U (zh) 微针贴片
JP2016198413A (ja) 液体注入部、液体注入装置
JP2023047638A (ja) マイクロニードルアレイ穿刺用デバイス
JP2007117616A (ja) 穿刺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