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591B1 - 코핑폼 해체 방법 - Google Patents

코핑폼 해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591B1
KR102536591B1 KR1020210102235A KR20210102235A KR102536591B1 KR 102536591 B1 KR102536591 B1 KR 102536591B1 KR 1020210102235 A KR1020210102235 A KR 1020210102235A KR 20210102235 A KR20210102235 A KR 20210102235A KR 102536591 B1 KR102536591 B1 KR 102536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ing
lifting
lifting module
pi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0309A (ko
Inventor
손경식
Original Assignee
다올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올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올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2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591B1/ko
Publication of KR20230020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Abstract

코핑폼 해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코핑폼 해체 방법은 교각의 코핑 형성 공정 중 코핑폼이 설치된 피어 및 상기 피어에 의하여 지지되는 코핑으로부터 상기 코핑폼을 해체하는 코핑폼 해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핑의 상부에 리프팅 모듈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리프팅 모듈과 상기 코핑폼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리프팅 모듈로 상기 코핑폼을 하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코핑폼이 지면 상에 하강된 상태에서 코핑폼을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핑폼 해체 방법{Coping form dismantling method}
본 발명은 코핑폼 해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량의 상판 및 거더를 지지하는 코핑을 시공하기 위하여, 기초되는 지반이나 베이스 위에 기둥 형태를 갖는 피어(Pier)가 시공된 후, 피어 위에 코핑(Coping)이 시공된다.
코핑은 거푸집 역할을 하는 코핑폼을 피어의 상측에 설치한 후, 콘트리트를 코핑폼 내에 타설하여 양생함으로써 시공된다. 일반적으로 코핑폼은 피어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피어 밴드폼, 코핑의 폭 방향으로 코핑의 양측에 위치하는 사이드폼, 코핑의 하측에 위치하는 바닥폼 및 코핑의 길이 방향으로 코핑의 양측부에 위치하는 엔드폼으로 이루어지며, 각 구성은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기구에 의하여 결합된다.
코핑의 형성이 완료되면, 코핑으로부터 코핑폼을 분리하여 해체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코핑폼을 해제하기 위하여, 시공 교각 주위로 작업자가 직접 올라서서 코핑폼을 결합시키는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기구를 풀고 크레인에 의해 코핑폼을 좌우측으로 분리시킴으로서, 코핑폼을 순차적으로 해체하여 왔다.
이와 같이 코핑폼을 해체할 경우, 복잡한 구조로 형성된 체결기구를 모두 해체하는 과정이 어려우며, 코핑폼의 하부 부분과 같이 사람의 손이 닿기 어려운 부분의 체결기구를 해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코핑폼의 해체 과정이 복잡하여,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증가시키고, 해체 과정에서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크레인에 의해 코핑폼을 순차적으로 해체하여야 하므로, 크레인의 진입이 어렵거나 배치가 자유롭지 못한 작업 환경에서는 코핑폼 해체 작업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코핑폼의 해체 과정이 간단하여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적은 코핑폼 해제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코핑폼 해체 작업 과정에서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는 코핑폼 해체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크레인의 진입이 어렵거나 배치가 자유롭지 못한 작업 환경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코핑폼 해체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각의 코핑 형성 공정 중 코핑폼이 설치된 피어 및 상기 피어에 의하여 지지되는 코핑으로부터 상기 코핑폼을 해체하는 코핑폼 해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핑의 상부에 리프팅 모듈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리프팅 모듈과 상기 코핑폼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리프팅 모듈로 상기 코핑폼을 하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코핑폼이 지면 상에 하강된 상태에서 코핑폼을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핑폼 해체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코핑폼이 지면 상에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리프팅 모듈을 상기 코핑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핑의 상부에 리프팅 모듈을 설치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코핑의 상부에 리프팅 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핑폼은, 상기 피어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피어 밴드폼; 상기 코핑의 폭 방향으로 상기 코핑의 양측에 위치하는 사이드폼; 상기 코핑의 하측에 위치하는 바닥폼; 및 상기 코핑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코핑의 양측부에 위치하는 엔드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프팅 모듈로 상기 코핑폼을 하강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리프팅 프레임이 수평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프팅 모듈은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리프팅 모듈은 상기 코핑의 상면의 길이 방향 중심선 및 폭 방향 중심선에 대칭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프팅 모듈로 상기 코핑폼을 하강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코핑폼을 상기 코핑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프팅 모듈로 상기 코핑폼을 하강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코핑과 상기 코핑폼의 이격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격 거리는 상기 코핑의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코핑폼의 내면에 접하여 회전하는 롤러에 의하여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프팅 모듈로 상기 코핑폼을 하강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코핑폼 중 일부를 해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해체되는 상기 코핑폼 중 일부는 상기 피어 밴드폼 및 상기 엔드폼 또는 그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코핑의 상부에 리프팅 모듈을 설치한 후, 리프팅 모듈과 코핑폼을 연결하고, 리프팅 모듈로 코핑폼을 하강시킨 후 코핑폼을 해체하여, 코핑폼 해체에 소요되는 노력,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코핑폼이 지면 상에 하강된 상태에서 코핑폼을 해체하므로, 코핑폼 해체 작업 과정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리프팅 모듈로 상기 코핑폼을 하강시키므로, 크레인의 진입이 어렵거나 배치가 자유롭지 못한 작업 환경에서도 코핑폼을 해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핑폼 해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교각의 코핑 형성 공정 중 코핑폼이 설치된 피어 및 코핑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사이드폼에 의해 투시된 구성은 모두 실선으로 표시되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코핑의 상부에 리프팅 프레임이 설치되고, 엔드폼이 코핑으로부터 탈락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코핑의 상부에 리프팅 프레임이 설치되고, 엔드폼이 코핑으로부터 탈락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때,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탑타이는 생략되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코핑의 상부에 리프팅 모듈이 설치되고, 엔드폼이 코핑으로부터 탈락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코핑의 상부에 리프팅 모듈이 설치되고, 엔드폼이 코핑으로부터 탈락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때,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탑타이는 생략되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코핑의 상부에 리프팅 모듈이 설치되고, 엔드폼이 코핑으로부터 탈락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때,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사이드폼에 의해 투시된 구성은 모두 실선으로 표시되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핑과 리프팅 모듈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8의 (a)는 연결 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8의 (b)는 연결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프팅 모듈로 코핑폼을 하강시키는 단계 이전에 엔드폼을 해체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사이드폼에 의해 투시된 구성은 모두 실선으로 표시되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프팅 모듈로 코핑폼을 하강시키는 단계 이전에 피어 밴드폼을 해체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코핑폼을 코핑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프팅 모듈로 상기 코핑폼을 하강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사이드폼에 의해 투시된 구성은 모두 실선으로 표시되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핑폼 해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교각의 코핑 형성 공정 중 코핑폼이 설치된 피어 및 코핑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사이드폼에 의해 투시된 구성은 모두 실선으로 표시되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코핑의 상부에 리프팅 프레임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코핑의 상부에 리프팅 프레임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때,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탑타이는 생략되었다.
이하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도 2 및 도 3의 좌표축을 기준으로, x축의 음의 방향을 좌측 방향으로 규정하고, x축의 양의 방향을 우측 방향이라고 규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z축의 양의 방향을 상측 방향이라 규정하고, y축의 양의 방향을 전방이라 규정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핑폼 해체 방법은 코핑폼 해체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고, 해체 과정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크레인의 운용이 용이하지 않은 환경에서도 코핑폼을 해체할 수 있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핑폼 해체 방법은 코핑폼을 해체하지 않은 상태에서 크레인에 의하지 않고 코핑폼을 지면으로 하강시키기 위하여, 코핑의 상부에 리프팅 프레임을 설치한 후, 리프팅 프레임에 리프팅 모듈을 설치한다. 그 후, 리프팅 모듈과 코핑폼을 연결하여 리프팅 모듈로 코핑폼을 하강시킨다. 그 다음에, 코핑폼이 지면 상에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코핑폼을 해체하고, 리프팅 모듈을 코핑에서 제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핑폼 해체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어(2)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피어 밴드폼(12), 코핑(1)의 폭 방향으로 코핑(1)의 양측에 위치하는 사이드폼(14), 상기 코핑(1)의 하측에 위치하는 바닥폼(16) 및 코핑(1)의 길이 방향으로 코핑(1)의 양측부에 위치하는 엔드폼(18)을 포함하는 코핑폼(10)의 해체 과정에 적용될 수 있다.
이때, 피어 밴드폼(12), 사이드폼(14), 바닥폼(16) 및 엔드폼(18)은 볼트-너트 등의 체결기구에 의하여 상호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피어 밴드폼(12)의 하측에는 코핑폼(10)의 하중을 지지하는 앵커 브라켓(6)이 피어(2)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코핑폼(10)과 앵커 브라켓(6)의 사이에는 z축 방향의 코핑폼(10)과 앵커 브래켓의 수직 방향 이격 거리를 조정하는 스크류 잭(5)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코핑폼(10)의 외면 및 피어 밴드(7)에는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할 때 디딜 수 있는 작업 발판(4)이 설치될 수 있다.
사이드폼(14a,14b)의 외면에는 전방에 위치하는 사이드폼(14a)과 후방에 위치하는 사이드폼(14b)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도록 유지하고 콘트리트의 측압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폼타이(70)가 코핑(1)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사이드폼(14)의 상측에는 폼타이(70)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탑타이(72)가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코핑폼(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핑폼 해체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코핑폼(10)의 일 예시에 불과하며, 이 외에도 다양한 형상의 코핑폼(10)에 본 발명에 따른 코핑폼 해체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핑폼 해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핑폼 해체 방법에서는, 먼저 코핑의 상부에 리프팅 프레임을 설치한다(S10).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핑폼 해체 방법에서, 리프팅 프레임(50)은 제 1 프레임(52) 및 제 2 프레임(5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프레임(52)은 사이드폼(14) 사이의 거리보다 다소 긴 길이를 가지되, I형의 단면을 갖는 2개의 부재(52a,52b)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프레임(52a,52b)의 일 단부측은 전방 사이드폼(14a)의 상부에 위치하고, 타단부측은 후방 사이드폼(14b)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 1 프레임(52)은 제 1 프레임(52)의 길이 방향이 y축과 나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전술한 2개의 부재 중 상대적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부재를 좌측 제 1 프레임(52a)이라 하고, 상대적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부재를 우측 제 1 프레임(52b)라 한다.
좌측 제 1 프레임(52a)과 우측 제 1 프레임(52b)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연결 부재(3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x축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좌측 제 1 프레임(52a)과 우측 제 1 프레임(52b)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2 프레임(54)은 좌측 제 1 프레임(52a)과 우측 제 1 프레임(52b) 사이의 x축 방향 거리보다 다소 긴 길이를 갖되,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2개의 부재(54a,54b)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전술한 2개의 부재 중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부재를 전방 제 2 프레임(54a)이라 하고,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부재를 후방 제 2 프레임(54b)이라 한다.
제 2 프레임(54)은 제 2 프레임(54)의 길이 방향이 x축과 나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방 제 2 프레임(52a)은 전방 사이드폼(14a)의 상측에 위치하고, 후방 제 2 프레임(52b)은 후방 사이드폼(14b)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제 1 프레임(52)의 양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전방 제 2 프레임(54a)과 후방 제 2 프레임(54b)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1 프레임(52)과 제 2 프레임(54)은 볼트-너트 등의 체결 기구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 1 프레임(52)의 하측에는 스크류 잭(5)의 일단부가 결합될 수 있고, 스크류 잭(5)의 타단부는 코핑(1)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스크류 잭(5)의 타단부는 코핑(1) 상부에 설치된 셋 앵커(후설치 앵커 타입)에 의하여 코핑(1)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 1 프레임(52)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스크류 잭(5)이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코핑의 상부에 리프팅 모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코핑의 상부에 리프팅 모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때,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탑타이는 생략되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코핑의 상부에 리프팅 모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때,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사이드폼에 의해 투시된 구성은 모두 실선으로 표시되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핑과 리프팅 모듈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8의 (a)는 연결 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8의 (b)는 연결 부재의 측면도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핑폼 해체 방법에서는 코핑 상부에 리프팅 프레임을 설치한 후(S10), 리프팅 프레임에 리프팅 모듈을 설치한다(S20). 그 후, 리프팅 모듈을 코핑폼에 연결한다(S30).
도 5를 참조하면, 리프팅 모듈(20)은 리프팅 잭(22)과 강연선(2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리프팅 잭(22)은 하중 또는 장력이 걸릴 수 있는 강연선(24)이 결합되어 유압에 의해 강연선(24)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리프팅 잭(22)은 리프팅 프레임(50)에 의해 지지되도록, 제 2 프레임(54)의 양 단부의 상측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리프팅 잭(22)을 리프팅 프레임(50)에 설치하기 위하여 볼트-너트 등의 체결기구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사이드폼(14), 제 1 프레임(52)의 단부, 제 2 프레임(54) 및 리프팅 잭(22)은 z축 방향으로 일렬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프팅 잭(22)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강연선(24)의 단부는 사이드폼(14)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강연선(24)과 사이드폼(14)이 연결되는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한다.
코핑폼(10)과 연결된 강연선(24)은 리프팅 잭(22)의 작동에 의하여, 코핑폼(10)의 하중과 동일한 장력이 걸리도록 인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장된 강연선(24)이 결합된 리프팅 잭(22)은 코핑폼(10)의 하중과 동일한 힘을 하측 방향으로 받는다. 그와 동시에, 리프팅 잭(22)은 코핑(1) 상부에 설치된 리프팅 프레임(50)에 의해 지지되므로, 리프팅 잭(22)은 리프팅 프레임(50)에 의하여 코핑폼(10)의 하중과 동일한 힘을 상측 방향으로 받는다.
전술한 힘의 평형을 고려하면, 결과적으로 코핑폼(10)의 하중은 코핑(1) 및 피어(2)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핑폼 해체 방법은 교각을 이용하여 코핑폼(10)의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크레인(3)의 도움이 없이도 코핑폼(10)을 지면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한편, 리프팅 잭(22)에는 복수개의 강연선(24)이 결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강연선(24) 중 어느 하나가 코핑폼(10)의 하중에 의하여 파단되어도, 다른 강연선(24)에 의하여 코핑폼(10)의 하중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핑폼(10)의 추락이나 회전을 방지하여, 코핑폼 해체 과정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리프팅 잭(22)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리프팅 잭(22a,22b,22c,22d)은 코핑(1)의 상면의 길이 방향 중심선(C1) 및 폭 방향 중심선(C2)에 대칭하여 위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전방에 설치된 리프팅 잭(22a,22b)와 후방에 설치된 리프팅 잭(22c,22d)는 C1에 대하여 대칭으로 설치될 수 있고, 우측에 설치된 리프팅 잭(22a,22c)과 좌측에 설치된 리프팅 잭(22b,22c)은 C2에 대하여 대칭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x축 및 y축에 대칭되는 지점에 설치된 리프팅 잭(22a,22b,22c,22d)에 의해 코핑폼(10)의 하중이 분산되어 지지되므로, 리프팅 잭(22)은 안정적으로 코핑폼(10)을 하강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리프팅 잭(22)은 피어(2a,2b)의 중심축(A1,A2)에 인접 하게 위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좌측에 설치된 리프팅 잭(22a,22c)은 좌측에 설치된 리프팅 잭(22a,22c)과 좌측 피어(2a)의 중심축(A1)의 거리(L1)가 인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우측에 설치된 리프팅 잭(22b,22d)은 우측에 설치된 리프팅 잭(22b,22d)과 우측 피어(2b)의 중심축(A2) 사이의 거리(L2)가 인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코핑(1)은 피어(2a,2b)의 중심축(A1,A2)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하중을 받음과 동시에 리프팅 잭(22a,22b,22c,22d)이 설치된 위치에서 하측 방향으로 하중을 받는다. 보의 굽힘 응력 이론을 따를 때, L1 및 L2가 작은 값을 갖도록 함으로써, 코핑폼(10)의 하중에 의하여 코핑(1)에 발생하는 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리프팅 잭(22)은 보다 안정적으로 코핑폼(10)을 하강할 수 있다.
상술한 리프팅 잭(22) 및 강연선(24)은 리프팅 모듈(20)의 일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따른 코핑폼 해체 방법에는 코핑폼(1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코핑(1)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리프팅 모듈(20)로서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핑폼 해체 방법에서는, 리프팅 모듈을 리프팅 프레임에 설치한 후(S20), 리프팅 모듈을 코핑폼에 연결한다(S30). 이때, 리프팅 모듈과 코핑폼을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연결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핑폼 해체 방법에서, 연결 부재(30)는 잭 연결 러그(32), 거푸집 연결 러그(34), 연결 핀(36), 앵커 헤드(38) 및 웨지(39)를 포함할 수 있다.
거푸집 연결 러그(34)의 하부는 사이드폼(14)의 상측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고, 거푸집 연결 러그(34)의 상부는 잭 연결 러그(32)의 하단과 연결 핀(36)에 의하여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잭 연결 러그(32)의 상부에는 앵커 헤드(38)가 구비되며, 강연선(24)의 단부는 앵커 헤드(38)에 웨지(39)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잭 연결 러그(32)는 강연선(24)의 단부의 위치가 적절히 조정되도록 연결 핀(36)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프팅 잭(22)과 거푸집 연결 러그(34)가 정확하게 정렬되어 설치되지 않거나 코핑폼(10) 하강하며 좌우로 움직여도, 강연선(24)에 의하여 코핑폼(10)의 하중이 지지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프팅 모듈로 코핑폼을 하강시키는 단계 이전에 엔드폼을 해체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사이드폼에 의해 투시된 구성은 모두 실선으로 표시되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프팅 모듈로 코핑폼을 하강시키는 단계 이전에 피어 밴드폼을 해체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핑폼 해체 방법에서는 리프팅 모듈로 코핑폼을 하강시키기(S60) 이전에, 코핑폼 중 일부를 해체할 수 있다(S40). 이때, 해체되는 코핑폼 중 일부는 피어 밴드폼 및 엔드폼 또는 그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코핑(1)의 길이 방향으로 코핑(1)의 양측부에 위치하는 엔드폼(18)은 리프팅 모듈(20)로 코핑폼(10)을 하강시키기 전에 크레인(3)에 의하여 해체될 수 있다. 이때, 엔드폼(18)의 해체시에 엔드폼(18)과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탑타이(72)는 우선하여 제거될 수 있다.
도 10의 (a)을 참조하면, 피어(2)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피어 밴드폼(12)은 리프팅 모듈(20)로 코핑폼(10)을 하강시키기 전에 크레인(3)에 의하여 해체될 수 있다.
이때, 피어 밴드폼(12)의 연결 볼트를 해체하여 피어 밴드폼(12)을 2개의 부재로 분리한 후, 크레인(3)에 의해 어느 하나의 부재를 우선하여 피어(2)로부터 해체할 수 있다.
이때, 해체되지 않은 나머지 부재는 레버 블록(74)을 설치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해체되지 않은 나머지 부재의 추락을 방지하여 코핑폼 해체 작업의 안전성을 높힐 수 있다.
한편, 도 10의 (b) 및 (c)를 참조하면, 피어(2)의 외면에 설치된 앵커 브라켓(6), 피어(2)밴드 및 작업 발판(4)은 리프팅 모듈(20)로 코핑폼(10)을 하강시키기 이전에 크레인(3)에 의하여 해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핑폼 해체 방법에 따르면, 리프팅 모듈(20)로 코핑폼(10)을 하강시기 전에 코핑폼(10) 중 일부 또는 앵커 브라켓(6) 등을 해체하여, 리프팅 모듈(20)이 지지하는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프팅 모듈(20)은 안정적으로 코핑폼(10)을 하강시킬 수 있어 코핑폼 해체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지지할 수 있는 하중이 작지만 작업 환경에 보다 알맞은 리프팅 모듈(20)을 코핑폼 해체 방법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코핑폼을 코핑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핑폼 해체 방법에서는, 리프팅 모듈로 코핑폼을 하강시키기(S60) 이전에 코핑폼을 코핑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시킬 수 있다(S50).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핑폼 해체 방법에서 코핑폼(10)을 코핑(1)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시키기 위해 사이드폼(14)의 외면에 설치된 턴버클(76)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턴버클(76)은 와이어 등의 길이를 조절하여, 와이어 등에 걸리는 힘을 조정할 수 있는 부재를 의미할 수 있다.
턴버클(76)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버팀대(78)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사이드폼(14)은 외측으로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사이드폼(14)의 내면은 코핑(1)의 측면으로부터 일정 거리(L3)만큼 탈형되어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프팅 모듈(20)이 코핑폼(10)을 하강시킬 때, 코핑폼(10)의 내면과 코핑(1)의 외면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지 않아 코핑(1) 외면의 스크레치 등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폼(14)을 코핑(1)의 측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이전에, 전방 사이드폼(14a)과 후방 사이드폼(14b)을 연결하는 폼타이(70) 및 탑타이(72)를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코핑폼(10)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리프팅 잭(22)과 코핑폼(10)을 연결하는 강연선(24)이 코핑폼(10)의 하중에 의하여 긴장된 상태에서 폼타이(70) 및 탑타이(72)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프팅 모듈로 상기 코핑폼을 하강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사이드폼에 의해 투시된 구성은 모두 실선으로 표시되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핑폼 해체 방법에서는 코핑폼을 코핑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한 후(S50), 코핑폼과 코핑의 이격거리와 리프팅 프레임의 수평을 유지하며 코핑폼을 하강할 수 있다(S60).
도 12를 참조하면, 강연선(24)의 단부와 연결되는 코핑폼(10)은 리프팅 잭(22)이 강연선(24)을 하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지면을 향하여 하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프팅 모듈(20)을 이용하여 코핑폼(10)을 하강시키므로, 크레인(3)의 진입이 어렵거나 배치가 자유롭지 못한 작업 환경에서도 코핑폼(10)을 해체할 수 있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핑폼 해체 방법에서, 코핑(1)과 코핑폼(10)의 이격 거리(L3)는 이격 거리 유지 모듈(40)에 의하여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이격 거리 유지 모듈(40)은 고정 부재(42)와 롤러(4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42)는 코핑(1)의 일측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롤러(44)는 코핑폼(10)의 내면에 접하여 회전할 수 있되, 롤러(44)의 회전 중심축이 고정 부재(42)에 의해 지지되록, 고정 부재(42)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코핑폼(10)이 리프팅 모듈(20)에 의하여 하강됨에 따라, 이격 거리 유지 모듈(40)의 롤러(44)가 코핑폼(10) 내면의 하측부터 접하기 시작하여 코핑폼(10) 내면의 상측까지 접할 수 있도록, 이격 거리 유지 모듈(40)은 코핑(1)의 하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42)는 코핑폼(10)의 일측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롤러(44)가 코핑(1)의 외면에 접하여 회전하도록 고정 부재(42)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코핑폼(10)이 리프팅 모듈(20)에 의하여 하강되는 과정에서 이격 거리 유지 모듈(40)의 롤러(44)가 코핑(1) 외면의 상측부부터 접하기 시작하여 코핑(1) 외면의 하측부까지 접할 수 있도록, 이격 거리 유지 모듈(40)은 코핑폼(10) 내면의 상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이격 거리 유지 모듈(40)은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이격 거리 유지 모듈(40)은 코핑(1) 또는 코핑폼(10)의 상측부와 하측부에 분산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프팅 모듈(20)에 의하여 코핑폼(10)이 하강되는 과정에서 코핑폼(10)과 코핑(1)이 일정거리를 유지하여, 코핑(1)의 외면에 코핑폼(10)에 의한 스크레치 등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핑폼 해체 방법에서, 코핑폼이 리프팅 모듈에 의해 하강될 때, 리프팅 프레임의 수평이 유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스크류 잭(5)이 설치되는 코핑(1)의 상부의 높이차를 해소하고 제 1 프레임(52)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하여, 코핑(1)의 상부 중 높이가 낮은 영역에 수평 유지 부재(6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수평 유지 부재(60)는 2개의 중공형 부재(62,64)로 이루어질 수 있다. 2개의 부재중 어느 하나(이하, ‘수직 부재(62)’라 한다)의 일단은 코핑(1)의 상면에 수직하도록 코핑(1)의 상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스크류 잭(5)이 설치되어 제 1 프레임(52)의 하측을 지지한다.
이때, 2개의 부재중 다른 하나(이하, ‘수평 부재(64)’라 한다)의 일단은 수직 부재(62)의 외주면 중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코핑(1) 상부의 단차를 형성하는 수직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수평 부재(64)는 수직 부재(62)가 수직 하중에 의하여 좌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핑(1) 상부에 경사면이나 단차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수직 부재(62)의 길이 및 수직 부재(62)의 타단에 설치되는 스크류 잭(5)을 조정함으로써, 리프팅 프레임(5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수평 유지 부재(60)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코핑(1) 상부에 형성된 단차나 경사면에 의한 영향을 상쇄하여 리프팅 프레임(5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수평을 유지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핑폼 해체 방법에서는, 코핑폼이 지면 상에 하강된 다음에 코핑폼을 해체하고 코핑에서 리프팅 모듈을 제거한다(S70).
본 발명에 의하면, 코핑폼이 지면 상에 하강된 상태에서 코핑폼을 해체할 수 있으므로, 코핑폼 해체 작업 과정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코핑 2 피어
3 크레인 4 작업 발판
5 스크류 잭 6 앵커 브라켓
7 피어 밴드 10 코핑폼
12 피어 밴드폼 14 사이드폼
16 바닥폼 18 엔드폼
20 리프팅 모듈 22 리프팅 잭
24 강연선 30 연결 부재
32 잭 연결 러그 34 거푸집 연결 러그
36 연결 핀 38 앵커 헤드
39 웨지 40 이격 거리 유지 모듈
42 고정 부재 44 롤러
50 리프팅 프레임 52 제 1 프레임
54 제 2 프레임 60 수평 유지 부재
62 수직 부재 64 수평 부재
70 폼타이 72 탑타이
74 레버 블록 76 턴버클
78 버팀대

Claims (11)

  1. 지면에 설치된 피어 및 상기 피어에 의하여 지지되는 코핑으로부터 상기 코핑의 측부에 위치된 사이드 폼을 포함하는 코핑폼을 해체하는 코핑폼 해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핑의 상부에 리프팅 모듈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리프팅 모듈과 상기 코핑폼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사이드 폼을 상기 코핑의 측부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
    상기 코핑의 측부가 하강되는 상기 사이드 폼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도록 상기 사이드 폼이 상기 코핑의 측부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리프팅 모듈로 상기 코핑폼을 하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코핑폼이 상기 지면 상에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코핑폼을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핑폼 해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핑폼이 지면 상에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리프팅 모듈을 상기 코핑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코핑폼 해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핑의 상부에 리프팅 모듈을 설치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코핑의 상부에 리프팅 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코핑폼 해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핑폼은,
    상기 피어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피어 밴드폼;
    상기 코핑의 하측에 위치하는 바닥폼; 및
    상기 코핑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코핑의 양측부에 위치하는 엔드폼을 포함하는, 코핑폼 해체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모듈로 상기 코핑폼을 하강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리프팅 프레임이 수평으로 유지되는, 코핑폼 해체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모듈은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리프팅 모듈은 상기 코핑의 상면의 길이 방향 중심선 및 폭 방향 중심선에 대칭하여 위치하는, 코핑폼 해체 방법.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모듈로 상기 코핑폼을 하강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코핑의 측부와 상기 사이드 폼의 이격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코핑폼 해체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거리는 상기 코핑의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사이드 폼에 접하여 회전하는 롤러에 의하여 유지되는, 코핑폼 해체 방법.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모듈로 상기 코핑폼을 하강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코핑폼 중 일부를 해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코핑폼 해체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해체되는 상기 코핑폼 중 일부는 상기 피어 밴드폼 및 상기 엔드폼 또는 그들 중 어느 하나인, 코핑폼 해체 방법.
KR1020210102235A 2021-08-03 2021-08-03 코핑폼 해체 방법 KR102536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235A KR102536591B1 (ko) 2021-08-03 2021-08-03 코핑폼 해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235A KR102536591B1 (ko) 2021-08-03 2021-08-03 코핑폼 해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309A KR20230020309A (ko) 2023-02-10
KR102536591B1 true KR102536591B1 (ko) 2023-05-26

Family

ID=85223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235A KR102536591B1 (ko) 2021-08-03 2021-08-03 코핑폼 해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5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395B1 (ko) 2004-02-18 2006-03-03 (주)다산컨설턴트 교각 코핑용 가시설 구조
KR100809886B1 (ko) * 2006-05-02 2008-03-06 한성산업(주) 교각 코핑 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교각을 시공하는방법
KR100966083B1 (ko) 2007-10-23 2010-06-28 삼성물산 주식회사 교각 및 그 시공방법
KR101232704B1 (ko) * 2011-04-15 2013-02-13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교량 가설용 메인 거더 설치 및 해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581A (ko) * 2008-07-04 2010-01-13 (주)미래엔지니어링 갱 폼 인양용 구동식 고정대
KR20180008133A (ko) * 2016-07-15 2018-01-24 이옥순 코핑 폼 안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395B1 (ko) 2004-02-18 2006-03-03 (주)다산컨설턴트 교각 코핑용 가시설 구조
KR100809886B1 (ko) * 2006-05-02 2008-03-06 한성산업(주) 교각 코핑 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교각을 시공하는방법
KR100966083B1 (ko) 2007-10-23 2010-06-28 삼성물산 주식회사 교각 및 그 시공방법
KR101232704B1 (ko) * 2011-04-15 2013-02-13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교량 가설용 메인 거더 설치 및 해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309A (ko) 2023-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29364C2 (ru) Система опалубки для бетонных плит
KR20190041189A (ko) 장대교량 주탑용 철근 선시공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
KR20150082331A (ko) 집합형 굴뚝 해체를 위한 발판 장치 및 그 발판 장치를 이용한 집합형 굴뚝 해체 방법
KR101889064B1 (ko) 장대교량의 주탑 시공방법
KR102536591B1 (ko) 코핑폼 해체 방법
CN219280494U (zh) 一种用于桥塔稳定性控制的塔梁临时固结支撑结构
JP4329535B2 (ja) 張出し床版用移動作業車
WO2024077879A1 (zh) 一种斜墙外翻爬升式钢平台施工装置及方法
US3998029A (en) Tower crane climbing
JP5356091B2 (ja) クレーンガーダー交換方法およびクレーンガーダー交換装置
KR102298233B1 (ko) 고소작업용 이동식 안전 발판 및 이를 이용한 점검로 시공방법
JP6520533B2 (ja) 天井クレーン支持装置及び荷重受け部材
JP6508959B2 (ja) 解体システムおよび解体方法
KR100883186B1 (ko) 교량의 거더용 철재빔 사이에 설치되는 발판
KR20040076348A (ko) 아이형강빔의 인상과 낙교방지를 위한 교좌장치 및 그설치방법
KR100278830B1 (ko) 교각두부 시설용 안전작업대
JP6438931B2 (ja) 仮設支柱、仮設支柱の設置構造、および屋根架構の構築方法
KR102524591B1 (ko) 벽체 타설용 거치형 가설 작업대
JP6984795B1 (ja) エレベーター据付用作業床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据付用作業床装置の設置方法
CN217298630U (zh) 一种整体式垫石施工安全平台
KR200253546Y1 (ko) 유압잭과 강재틀을 이용한 교각고핑 동바리장치
KR102381969B1 (ko) 교량 코핑용 거푸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코핑의 시공방법
JP7200067B2 (ja) 恒久足場設置方法および橋梁付属物設置方法
JP3020023B2 (ja) 構造物の撤去工法
KR20230017656A (ko) 복귀가능한 승하강 장치를 가지는 건설용 클라이밍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