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527B1 -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527B1
KR102536527B1 KR1020210156958A KR20210156958A KR102536527B1 KR 102536527 B1 KR102536527 B1 KR 102536527B1 KR 1020210156958 A KR1020210156958 A KR 1020210156958A KR 20210156958 A KR20210156958 A KR 20210156958A KR 102536527 B1 KR102536527 B1 KR 102536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road surface
groove
drain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6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0912A (ko
Inventor
반호기
김희수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56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527B1/ko
Publication of KR20230070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0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01C11/26Permanently installed heating or blowing devices ; Mounting thereof
    • E01C11/265Embedded electrical heating elements ; Mount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4/00Aspects relating to resistive heating, induction heating and heating using microwaves, covered by groups H05B3/00, H05B6/00
    • H05B2214/02Heaters specially designed for de-icing or protection against ic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은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로의 표면으로부터 도로면의 법선에 대하여 40~60°의 각도를 이루며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홈의 일측 경사부에 부착되며 전력공급선과 발열체로 이루어지며 도로 표면의 결빙을 방지하는 발열모듈, 발열모듈의 최하부에 배치되어 발열모듈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관 및 홈의 하부와 홈의 타측 경사부에 배치되어 발열모듈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물을 배수관으로 유도하는 유도 배수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ANTI-FREEZING SYSTEM FOR PAVEMENT THAT CAN INDUCE DRAINAGE}
본 발명은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면의 눈/얼음/블랙아이스를 해빙시켜 발생한 물이 원활하게 배수되어 2차 결빙을 방지하도록 하는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0℃ 이하의 온도로 떨어지는 동절기에는 눈이 내리거나 공기 중의 수증기의 응결로 인하여 포장도로의 표면이 결빙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차량의 미끄러짐으로 인하여 교통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높아지며, 도로의 결빙방지를 위한 신속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도로의 미끄러움으로 인하여 대형교통사고가 날 우려가 있다.
종전의 경우, 노면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력으로 도로에 모래나 염화칼슘을 살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방법은 많은 인력 및 장비가 투입되기 때문에 막대한 비용이 지출되는 것은 물론, 인력 투입과정에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도로결빙을 방지하기 위한 신속한 대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도로결빙 방지시스템이 제안되고 있으며, 그 중에 도로 표면 하부에 열선을 설치하여 그 열선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도로의 결빙을 제거하거나 방지하는 시스템이 개발된 바 있다.
하지만 기존의 시스템의 경우 도 1과 같이 배수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해빙된 물의 제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즉 기존의 시스템의 경우 겨울철에 내린 눈/비의 결빙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는 있으나 배수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해빙된 물이 다시 도로표면으로 올라오거나 도로표면이 물에 잠겨 생기는 수막현상, 도로면의 재결빙현상, 매연과 먼지가 눈 또는 얼음과 엉겨 붙어 생기는 블랙아이스 등의 발생으로 인한 차량의 사고를 방지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결빙과 해빙이 반복될 경우 도로의 내구성을 저하시켜 도로를 파손시키며 이는 도로표면의 포트 홀과 같은 결함을 초래하여 추후 해빙기에 차량사고를 유발할 수 있었다.
또한 도로의 결빙방지를 위해 발열체가 시공된 경우 특히 문제가 되는데, 비용과 인력을 투여하여 시공한 결방방지 시스템의 고장이나 파손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도출된 것으로서, 해빙된 물의 원활한 배수를 가능케 하여 재결빙을 방지하고 도로와 결빙방지시스템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의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은, 도로의 표면으로부터 도로면의 법선에 대하여 40~60°의 각도를 이루며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홈의 일측 경사부에 부착되며 전력공급선과 발열체로 이루어진 발열모듈과 상기 홈의 최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발열모듈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관 및 상기 홈의 하부와 상기 홈의 타측 경사부에 배치되어 상기 발열모듈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물을 상기 배수관으로 유도하는 유도 배수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관은 중공의 삼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된 삼각 배수관 본체, 상기 배수관 본체의 상부에는 물의 선택적 집수가 가능한 침투수홀이 다수 개로 마련되는 배수관 커버, 상기 삼각 배수관 본체 내부에는 집수된 물이 흐를 수 있는 침투수 배출구 및 상기 배수관 커버의 상면에는 물의 선택적 집수를 가능케 하는 부직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배수관 커버 하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각도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발열모듈에 의해 녹은 물이 침투수 배출구 내부로 인입되지만 침투수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역류방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관은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물의 선택적 집수가 가능한 침투수홀이 상부에 존재하는 원형 배수관 본체, 상기 원형 배수관 본체 내부에는 집수된 물이 흐를 수 있는 침투수 배출구 및 상기 배수관 상면의 일부에는 물의 선택적 집수를 가능케 하는 부직포가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배수관 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발열모듈에 의해 녹은 물이 침투수 배출구 내부로 인입되지만 침투수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역류방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관은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미리 설정된 두께로 마련되는 도넛형 배수관 본체, 상기 도넛형 배수관 본체 내부에는 집수된 물이 흐를 수 있는 침투수 배출구, 상기 도넛형 배수관 본체에 물의 선택적 집수가 가능한 모세관 및 상기 도넛형 배수관 본체의 상부의 일부에는 물의 선택적 집수를 가능케 하는 부직포가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모세관은 침투수 배출구에 집수된 물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상기 도넛형 배수관 몸체 두께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세관의 침투수 배출구 내부 측 단부에는 물이 침투수 배출구로의 인입은 가능하나 인입된 물이 침투수 배출구 외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부가 미리 설정된 각도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세관의 내부표면에는 응집력 향상을 위한 코팅물질이 도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에는 집수된 물을 도로의 측부로 배수시키는 드레인부가 도로의 측부에 마련된 배수로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미리 시공된 배수관이 배치되어 해빙된 물이 배수시스템으로 유도되도록 하여 도로면의 결빙제거 효율을 높여 차량사고를 방지함과 동시에 기시공된 결빙방지시스템의 파손을 방지하고 나아가 포장도로의 파손을 방지하여 유지 및 보수를 위한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도로면의 결빙방지를 위한 종래기술에 따른 도로면 결빙방지를 위한 온도제어시스템이 도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이 도로의 내부에 매설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의 배수관의 상부영역 및 배수관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이 도로의 내부에 매설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의 배수관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이 도로의 내부에 매설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의 배수관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의 배수관의 모세관의 단부를 확대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의 일부 영역인 드레인부의 도시를 확대한 확대도,
도 10은 도 9의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의 드레인부가 도로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도로면의 결빙방지를 위한 종래기술에 따른 도로면 결빙방지를 위한 온도제어시스템이 도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종래기술은 발열모듈이 도로 내부에 매설되어 도로면의 해빙을 가능하게 하였으나, 해빙된 물에 대한 배수시스템이 존재하지 않아 해빙된 물이 도로면이나 발열체 부근에서 다시 결빙되어 교통사고를 초래하거나, 반복된 결빙/해빙으로 인해 도로 및 발열모듈이 파손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이 도로의 내부에 매설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의 배수관의 상부영역 및 배수관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이 도로의 내부에 매설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의 배수관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이 도로의 내부에 매설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의 배수관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의 배수관의 모세관의 단부를 확대한 개념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의 일부 영역인 드레인부의 도시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의 드레인부가 도로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100)은, 발열모듈(110), 유도 배수판(120) 및 배수관(130)을 포함한다.
발열모듈(110)은 도로의 표면으로부터 도로의 법선에 대하여 40~60°의 각도를 이루며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홈(H)의 일측 경사부에 미리 설정된 경사로 경사지도록 마련되며 전력공급선(미도시)과 발열체(미도시)로 이루어진다.
발열모듈(110)은 전기에너지에 의해 열을 발생시켜 도로면에 내린 눈을 녹이고, 빗물 또는 눈이 녹아 생긴 얼음을 녹이도록 마련된다.
홈(H)은 미리 설정된 경사를 가지며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홈(H)의 일측 경사부에는 발열모듈(110)이 부착되고, 타측 경사부와 하부에는 유도 배수판(120)이 부착된다. 홈(H)의 최하부에는 배수관(130)이 배치된다.
홈(H)의 나머지 부분은 되메움재로 처리하여 차량의 통행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보다 적절하게는 배수성 콘크리트와 같이 직경이 10mm 크기의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홈(H)하부로의 투수를 가능케하여 해빙된 물이 도로표면에 잔존하지 않고 배수관(130)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한다.
유도 배수판(120)은 홈(H)의 하부와 홈(H)의 타측 경사부에 배치된다. 유도 배수판(120)은 발열모듈(110)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물을 배수관(130)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하며 해빙된 물이 홈(H)의 바깥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된다. 보다 적절하게는 녹슴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된다. 유도 배수판(120)은 해빙된 물이 홈(H)의 내부에 위치한 배수관(130)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홀(미도시)이 뚫린 형상으로 마련되어 홈(H)의 외부에서 해빙된 물이 홈(H)의 내부로 유도될 수 있다.
유도 배수판(120)은 발열모듈(110)의 하면과 접촉하되 홈(H)의 최하단까지 연장되는 제1 경사 배수판과 홈(H)의 타측 경사부로부터 홈(H)의 최하단까지 연장되는 제2 경사 배수판을 포함한다.
배수관(130)은 홈(H)의 최하부 즉,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100)의 최하단, 즉 제1 경사 배수판과 제2 경사 배수판이 만나는 부분에 배치되어 발열모듈(110)의 작동에 의해 해빙된 물을 중력에 의해 집수시키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수관(130)은 중공의 삼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는 삼각 배수관 본체(131), 삼각 배수관 본체(131)의 상부에 마련되며 침투수홀(132)이 다수 개로 마련되는 배수관 커버(133), 삼각 배수관 본체(131)의 내부에 마련되는 침투수 배출구(134) 및 배수관 커버(133)의 상면에 면접하도록 마련되는 부직포(135)를 포함한다.
배수관(130)의 상부에 위치한 배수관 커버(133)에는 해빙된 물이 침투될 수 있는 다수 개의 침투수홀(132)이 마련된다. 침투수홀(132)의 크기는 해빙된 물을 선택적으로 침투시킬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되며, 배수관 커버(133)의 상면에 면접하도록 마련되는 부직포(135)는 토목공업용 부직포로 마련되어 물을 제외한 각종 이물질들의 침투로 인한 배수관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역류 방지부(137)는 배수관 커버(133) 하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각도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역류 방지부(137)는 침투수홀(132)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발열모듈(110)에 의해 녹은 물이 침투수 배출구(134) 내부로 인입되지만 침투수홀(132)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존의 도로면 결빙방지시스템의 경우 겨울철에 내린 눈/비의 결빙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배수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해빙된 물이 다시 도로표면으로 올라오거나 도로표면이 물에 잠겨 생기는 수막현상, 도로면의 재결빙현상 등이 발생하여 차량의 사고를 초래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은 중공의 삼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는 삼각 배수관에 의해 해빙된 물을 집수 및 배수시켜 도로면이 재결빙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은, 발열모듈(110), 배수관(140) 및 유도 배수판(120)을 포함한다.
이때 배수관(140)은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상부에 침투수홀(143)이 다수 개로 마련되는 원형 배수관 본체(141), 원형 배수관 본체(141)의 내부에 마련되는 침투수 배출구(144) 및 원형 배수관 본체(141)의 상면 일부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부직포(145)를 포함한다.
배수관(140)과 제1 경사 배수판과 제2 경사 배수판이 만나는 부분 사이에 이격된 공간은 콘크리트와 같은 채움재에 의해 채움되어 발열모듈(110)에 의해 해빙된 물이 이격된 공간으로 집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배수관(140)의 상부에는 해빙된 물이 침투될 수 있는 다수 개의 침투수홀(143)이 마련된다. 침투수홀(143)의 크기는 해빙된 물을 선택적으로 침투시킬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되며, 배수관 본체(141)의 상면 일부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부직포(145)는 토목공업용 부직포로 마련되어 물을 제외한 각종 이물질들의 침투로 인한 배수관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역류 방지부(147)는 배수관 본체(14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역류 방지부(147)는 침투수홀의 하면에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발열모듈(110)에 의해 녹은 물이 침투수 배출구(144) 내부로 인입되지만 침투수홀(143)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존의 도로면 결빙방지시스템의 경우 겨울철에 내린 눈/비의 결빙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배수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해빙된 물이 다시 도로표면으로 올라오거나 도로표면이 물에 잠겨 생기는 수막현상, 도로면의 재결빙현상 등이 발생하여 차량의 사고를 초래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은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는 원형 배수관에 의해 해빙된 물을 집수 및 배수시켜 도로면이 재결빙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도 6,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은, 발열모듈(110), 배수관(150) 및 유도 배수판(120)을 포함한다.
이때 배수관(150)은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미리 설정된 두께로 마련되는 도넛형 배수관 본체(151), 도넛형 배수관 본체에 다수 개로 마련되는 모세관(153), 도넛형 배수관 본체(151)의 내부에 마련되는 침투수 배출구(155) 및 도넛형 배수관 본체(151)의 상부 일부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부직포(1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수관 본체(151)에는 다수 개의 모세관(153)이 마련되어 있다. 모세관의 직경은 해빙된 물을 선택적으로 침투시킬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되어 물을 제외한 각종 이물질들이 침투되어 배수관(15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모세관(153)의 길이는 도넛형 배수관 본체(151)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되어, 해빙된 물이 도넛형 배수관 본체(151)의 내부에 마련되는 침투수 배출구(155)로 유도 침투될 수 있도록 한다.
모세관(153)의 내부표면에는 해빙된 물과의 응집력 향상을 위한 코팅물질이 도포되어 해빙된 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집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침투수 배출구 내부 측 모세관(153)의 단부에는 미리 설정된 각도로 마련되는 역류 방지부(159)가 형성될 수 있다. 역류 방지부(159)는 제1 경사 배수판과 제2 경사 배수판이 만나는 부분으로 유도된 물을 침투수 배출구(155)로 유도하는 모세관(153)의 단부에 마련되어 침투수 배출구(155)로 인입된 물이 침투수 배출구(155) 외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배수관 본체(151)의 상부 일부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부직포(157)는 토목공업용 부직포로 흙과 같은 작은 크기의 물질들이 배수관(150)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미리 설정된 두께로 마련되는 배수관(150)은 해빙된 물을 집수시켜 도로면이 재결빙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기존의 도로면 결빙방지시스템의 경우 겨울철에 내린 눈/비의 결빙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배수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해빙된 물이 다시 도로표면으로 올라오거나 도로표면이 물에 잠겨 생기는 수막현상, 도로면의 재결빙현상 등이 발생하여 차량의 사고를 초래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은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는 도넛형 배수관에 의해 해빙된 물을 집수 및 배수시켜 도로면이 재결빙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은 드레인부(160)가 더 포함된다.
드레인부(160)는 상기 배수관의 도로 측부에 마련된다. 드레인부(160)는 도로의 측부에 마련된 배수로(미도시)와 배수관(130, 140, 150)을 연결시켜 배수관에 집수된 물을 배수시킨다.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100)은 미리 설정된 각도로 시공되어 도로의 중앙선으로부터 도로의 가장자리로의 흐름을 가능케 한다. 즉 배수관에 집수된 물이 도로의 가장자리로 흐를 수 있고 최종적으로는 도로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배수로 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시공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배수시스템
110: 발열모듈
120: 유도 배수판
130: 삼각 배수관
140: 원형 배수관
150: 도넛형 배수관
160: 드레인부
H: 도로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홈
R: 도로
A2: 발열모듈이 포함된 도로의 일부영역
P20: 도로 일측에 마련된 발열모듈의 길이방향 성분
P30: 도로 타측에 마련된 발열모듈의 길이방향 성분
P31: 도로 타측에 마련된 발열모듈의 길이방향 성분
P32: 도로 타측에 마련된 발열모듈의 길이방향 성분
S1: 제1 경사부
S2: 제2 경사부
C2: 발열모듈에서 데드존까지의 최단거리
D2: 데드존

Claims (10)

  1. 삭제
  2. 도로의 표면으로부터 도로면의 법선에 대하여 40~60°의 각도를 이루며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홈의 일측 경사부에 부착되며 전력공급선과 발열체로 이루어진 발열모듈;
    상기 홈의 최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발열모듈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관; 및
    상기 홈의 하부와 상기 홈의 타측 경사부에 배치되어 상기 발열모듈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물을 상기 배수관으로 유도하는 유도 배수판;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관은,
    중공의 삼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는 삼각 배수관 본체;
    상기 삼각 배수관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침투수 배출구;
    상기 삼각 배수관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며 침투수홀이 다수 개로 마련되는 배수관 커버; 및
    상기 배수관 커버의 상면에 면접하도록 마련되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 커버의 하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각도로 돌출되도록 역류 방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
  4. 도로의 표면으로부터 도로면의 법선에 대하여 40~60°의 각도를 이루며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홈의 일측 경사부에 부착되며 전력공급선과 발열체로 이루어진 발열모듈;
    상기 홈의 최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발열모듈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관; 및
    상기 홈의 하부와 상기 홈의 타측 경사부에 배치되어 상기 발열모듈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물을 상기 배수관으로 유도하는 유도 배수판;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관은,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침투수홀이 다수 개로 마련되는 원형 배수관 본체;
    상기 원형 배수관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침투수 배출구; 및
    상기 원형 배수관 본체의 상면 일부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부직포;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 본체의 내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역류 방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
  5. 삭제
  6. 도로의 표면으로부터 도로면의 법선에 대하여 40~60°의 각도를 이루며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홈의 일측 경사부에 부착되며 전력공급선과 발열체로 이루어진 발열모듈;
    상기 홈의 최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발열모듈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관; 및
    상기 홈의 하부와 상기 홈의 타측 경사부에 배치되어 상기 발열모듈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물을 상기 배수관으로 유도하는 유도 배수판;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관은,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미리 설정된 두께로 마련되는 도넛형 배수관 본체;
    상기 도넛형 배수관 본체에 다수 개로 마련되는 모세관;
    상기 도넛형 배수관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침투수 배출구; 및
    상기 도넛형 배수관 본체의 상부 일부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은,
    상기 배수관의 몸체 두께보다 더 길어 역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은,
    내부표면에 응집력 향상을 위한 코팅물질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은,
    상기 침투수 배출구 내부 측 단부에 미리 설정된 각도로 형성되는 역류 방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
  10. 삭제
KR1020210156958A 2021-11-15 2021-11-15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 KR102536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958A KR102536527B1 (ko) 2021-11-15 2021-11-15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958A KR102536527B1 (ko) 2021-11-15 2021-11-15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912A KR20230070912A (ko) 2023-05-23
KR102536527B1 true KR102536527B1 (ko) 2023-05-26

Family

ID=86536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6958A KR102536527B1 (ko) 2021-11-15 2021-11-15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52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512B1 (ko) * 2014-09-05 2015-03-04 (유)이지스건설 유도배수를 위한 공간 확보용 가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0285B1 (ko) * 2016-06-02 2016-08-22 한국도로공사 비탈면 배수시설
KR102258582B1 (ko) * 2019-10-18 2021-05-3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도로면의 결빙방지를 위한 온도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512B1 (ko) * 2014-09-05 2015-03-04 (유)이지스건설 유도배수를 위한 공간 확보용 가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912A (ko) 202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61171B (zh) 隧道防冻害排水系统
WO2021109537A1 (zh) 一种适用于寒冷地区的超长隧道清污分离排水结构
CN102996178B (zh) 一种严寒地区隧道的排水系统
CN202560320U (zh) 一种隧道防冻害排水系统
CN205934648U (zh) 一种具有融雪功能的沥青道路排水结构
CN203440731U (zh) 一种组合式道路融雪化冰装置
JP4508923B2 (ja) 融雪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融雪路盤
KR102536527B1 (ko) 유도배수가 가능한 도로면의 결빙방지 시스템
RU2618108C2 (ru) Дренажная система на вечномерзлых грунтах
JP3195244U (ja) 排水舗装用路面排水溝の構造
CN111441217A (zh) 高速公路防路面结冰结构、融冰装置及其方法
KR101232896B1 (ko) 수로를 이용한 식생부를 가지는 매립형 궤도 선로 구조체
CN116005506A (zh) 一种用于泛北极多雪地区的新型复合路基及其施工方法
KR101593907B1 (ko)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 및 그 시공방법
KR100349262B1 (ko) 도로 결빙 방지 시스템
KR100969985B1 (ko) 지열을 이용한 도로의 노면 결빙 방지장치
CN211171472U (zh) 一种抗冻抗腐蚀海底隧道路面结构
JP2012211455A (ja) 凍結防止又は融雪のための加温用配管システム
JP6560706B2 (ja) 消雪設備及び消雪方法
JP2004293098A (ja) 吸水型保水性舗装構造
RU2046871C1 (ru) Дорож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JPH11286904A (ja) 道路等の融雪方法および同融雪装置
JP3127277B2 (ja) 排水性舗装道路及びその洗浄方法
CN215758486U (zh) 桥梁路面抗冻结构
CN111519492B (zh) 基于数据传输的高速公路循环排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