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938B1 - 프로브 카드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브 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938B1
KR102535938B1 KR1020210056752A KR20210056752A KR102535938B1 KR 102535938 B1 KR102535938 B1 KR 102535938B1 KR 1020210056752 A KR1020210056752 A KR 1020210056752A KR 20210056752 A KR20210056752 A KR 20210056752A KR 102535938 B1 KR102535938 B1 KR 102535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plate unit
self
aligning
pro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1856A (ko
Inventor
가이졔 시에
웨이지 쑤
홍밍 천
벨 산카아 라마찬드란
Original Assignee
충화 프레시전 테스트 테크 컴퍼티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화 프레시전 테스트 테크 컴퍼티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충화 프레시전 테스트 테크 컴퍼티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71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1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01R1/07307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 G01R1/07314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the body of the probe being perpendicular to test object, e.g. bed of nails or probe with bump contacts on a rigid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H01R13/247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pin shap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01R1/0675Needle-li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01R1/07307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 G01R1/07357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with flexible bodies, e.g. buckling bea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01R1/07307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 G01R1/07364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with provisions for altering position, number or connection of probe tips; Adapting to differences in pitch
    • G01R1/07371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with provisions for altering position, number or connection of probe tips; Adapting to differences in pitch using an intermediate card or back card with apertures through which the probes p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브 카드 장치 및 셀프 정렬 프로브를 개시하는데,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는 신호 전송판에 당접하기 위한 전송 단부, 피테스트 물체에 분리 가능하게 당접하기 위한 테스트 단부, 상기 전송 단부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 상기 테스트 단부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를 연결시키는 원호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송 단부는 상기 테스트 단부와 공동으로 기준 축선을 정의하고, 상기 제1 연결부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호부가 상기 기준 축선과 이격된 최대 거리는 75미크론보다 크고 150미크론보다 작다.

Description

프로브 카드 장치 { PROBE CARD DEVICE }
본 발명은 전도성 프로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로브 카드 장치 및 셀프 정렬 프로브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프로브 카드 장치는 제1 가이드판 유닛,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가이드판 유닛, 및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과 상기 제2 가이드판 유닛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전도성 프로브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 내의 기존의 전도성 프로브의 부위는 동일한 폭의 구조 설계로 제한되므로 기존의 전도성 프로브와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 사이에 큰 간극(예를 들어, 10미크론 이상)을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프로브 카드 장치의 추가 개발 및 응용에 불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 단점을 개선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깊은 연구와 과학적 원리의 적용을 매칭시켜 최종적으로 설계가 합리하며 상기 단점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본 발명을 제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존의 전도성 프로브에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프로브 카드 장치 및 셀프 정렬 프로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브 카드 장치를 개시하는데, 이는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 가이드판 유닛과 제2 가이드판 유닛; 및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과 상기 제2 가이드판 유닛에 관통되게 설치되고, 임의의 두 개의 인접한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에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셀프 정렬 프로브를 포함하는 프로브 카드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는, 상기 제2 가이드판 유닛으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의 외측에 위치하는 전송 단부;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으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제2 가이드판 유닛의 외측에 위치하고, 피테스트 물체에 분리 가능하게 당접하며; 상기 전송 단부와 공동으로 기준 축선을 정의하는 테스트 단부;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 내에 위치하고,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과 4미크론(μm)보다 크지 않는 간극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2 가이드판 유닛 내에 위치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를 연결시키고; 여기서, 상기 기준 축선과 이격된 최대 거리는 75미크론보다 크고 상기 간격보다 작은 원호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셀프 정렬 프로브를 더 개시하는데, 이는 신호 전송판에 당접하기 위한 전송 단부; 피테스트 물체에 분리 가능하게 당접하고; 상기 전송 단부와 공동으로 기준 축선을 정의하는 테스트 단부; 상기 전송 단부에 연결되고,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부; 상기 테스트 단부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기준 축선과 이격된 최대 거리는 75미크론보다 크고 150미크론보다 작은 원호부를 포함한다.
종합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프로브 카드 장치 및 셀프 정렬 프로브에서, 이는 상기 제1 연결부를 통해 상기 가이드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와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 사이의 간극이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프로브 카드 장치의 개발 및 응용이 용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기술내용을 보다 더 이해하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하지만 이러한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대하여 어떠한 제한도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프로브 카드 장치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2는 제1 가이드판 유닛과 제2 가이드판 유닛이 어긋나게 설치될 경우의 도 1의 프로브 카드 장치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셀프 정렬 프로브의 평면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셀프 정렬 프로브의 사시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1의 부위V의 확대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2의 부위VI의 확대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6의 비교예의 모식도이다.
이하 특정된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개시된 "프로브 카드 장치 및 셀프 정렬 프로브"에 관한 실시형태를 설명하는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의 장점 및 효과를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상이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구현되거나 적용될 수 있고, 본 명세서의 각 세부절차는 상이한 관점과 응용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하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진행할 수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의 도면은 간단한 예시적 설명일 뿐 실제 크기에 따른 설명이 아님을 미리 언급하는 바이다. 이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관련 기술내용을 더 상세히 설명하지만 개시된 내용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제3"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여 다양한 소자 또는 신호를 설명할 수 있지만, 이러한 소자 또는 신호는 이러한 용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아니됨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용어는 주로 하나의 소자를 다른 하나의 소자와 구별하거나 또는 하나의 신호를 다른 하나의 신호와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이 밖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또는"은 실제 상황에 따라 관련된 열거 항목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프로브 카드 장치(1000)(예를 들어, 수직형 프로브 카드 장치)를 개시하는데, 이는 프로브 헤드(100) 및 상기 프로브 헤드(100)의 일측(예를 들어, 도 1의 프로브 헤드(100)의 최상부)에 접하는 신호 전송판(20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 헤드(100)의 타측(예를 들어, 도 1의 프로브 헤드(100)의 저부)은 피테스트 물체(device under test, DUT)(도면 미도시, 예를 들어, 반도체 웨이퍼)에 당접하여 테스트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를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도면은 상기 프로브 카드 장치(1000)의 일부 구조만 도시하여 상기 프로브 카드 장치(1000)의 각 소자 구조와 연결 관계를 명확하게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상기 프로브 헤드(100)의 각 소자 구조 및 연결 관계를 각각 소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브 헤드(100)는 제1 가이드판 유닛(1),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1)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 가이드판 유닛(2),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1)과 제2 가이드판 유닛(2) 사이에 클램핑되는 이격판(3), 및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1)과 상기 제2 가이드판 유닛(2)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셀프 정렬 프로브(4)를 포함한다. 여기서, 임의의 두 개의 인접한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4)는 간격(D4)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4)는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1), 상기 제2 가이드판 유닛(2), 및 상기 이격판(3)과 결합하여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4)는 또한 독립적으로 적용(예를 들어, 판매)되거나 또는 다른 부재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1)은 하나의 제1 가이드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판 유닛(2)은 하나의 제2 가이드판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1)은 복수개의 제1 가이드판(및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1 가이드판 사이에 클램핑되는 이격편)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가이드판 유닛(2)은 또한 복수개의 제2 가이드판(및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2 가이드판 사이에 클램핑되는 이격편)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상기 제1 가이드판은 서로 어긋나게 설치될 수 있고, 복수개의 상기 제2 가이드판도 서로 어긋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1)은 상기 제2 가이드판 유닛(2)에 대하여 서로 어긋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판(3)은 링형 구조일 수 있고, 상기 이격판(3)은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1)과 상기 제2 가이드판 유닛(2)의 서로 대응되는 외곽 부위에 클램핑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브 카드 장치(1000)의 상기 이격판(3)은 또한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부재로 대체될 수 있다.
먼저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4)는 대체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먼저 하나의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4)를 소개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브 헤드(100)에 포함된 복수개의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4)의 구조는 또한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4)는 또한 하기 설명의 일부 구조만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4)의 구조를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이하 먼저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1)이 상기 제2 가이드판 유닛(2)에 대하여 어긋나게 설치되지 않은 경우의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4)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4)는 일체로 성형된 일체형 구조이고,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4)는 이의 양단에 각각 위치하는 전송 단부(41)와 테스트 단부(42), 상기 전송 단부(41)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43), 상기 테스트 단부(42)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44), 및 상기 제1 연결부(43)와 상기 제2 연결부(44)를 연결시키는 원호부(45)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4)는 순차적으로 상기 전송 단부(41), 상기 제1 연결부(43), 상기 원호부(45), 상기 제2 연결부(44) 및 상기 테스트 단부(42)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전송 단부(41)는 상기 제2 가이드판 유닛(2)으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1)의 외측(예를 들어,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1)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1)에 인접하는 상기 신호 전송판(200)에 당접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테스트 단부(42)는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1)으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제2 가이드판 유닛(2)의 외측(예를 들어, 상기 제2 가이드판 유닛(2)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2 가이드판 유닛(2)에 인접하는 상기 피테스트 물체에 분리 가능하게 당접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43)는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1)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연결부(44)는 상기 제2 가이드판 유닛(2) 내에 위치하며, 상기 원호부(45)는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1)과 상기 제2 가이드판 유닛(2) 사이에 위치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전송 단부(41)와 상기 테스트 단부(42)는 공동으로 기준 축선(L)을 정의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 축선(L)은 상기 전송 단부(41)의 중심 및 상기 테스트 단부(42)의 중심을 통과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원호부(45)가 상기 기준 축선(L)과 이격된 최대 거리(D)는 75미크론(μm)보다 크고 상기 간격(D4)(또는 150미크론)보다 작으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D4)은 150미크론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상기 원호부(45)를 갖지 않는 임의의 전도성 프로브(예를 들어, 직선 형상의 전도성 프로브)는 본 실시예에서 언급된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4)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4)에서 상기 최대 거리(D)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원호부(45)의 위치를 좁은 영역(451)으로 정의하고, 상기 원호부(45)의 단면적은 상기 좁은 영역(451)으로부터 상기 제1 연결부(43)와 상기 제2 연결부(44)를 향해 점차적으로 증가하며, 상기 제1 연결부(43)에 대한 상기 좁은 영역(451)의 거리는 상기 제2 연결부(44)에 대한 상기 좁은 영역(451)의 거리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4)는 상기 원호부(45)의 구조 설계를 통해 상기 원호부(45)가 변형될 경우, 응력이 분산적으로 상기 원호부(45)의 각 위치에 분산될 수 있고, 상기 원호부(45)의 특정 영역에 집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4)의 사용 수명을 효과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43)에는 가이드 돌기(4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돌기(431)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1)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상기 가이드 돌기(431)는 일부가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1)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지만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1) 내에 위치한 상기 가이드 돌기(431)의 부위는 가이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4)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43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 연결부(43)가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1) 사이에 4미크론(μm)보다 크지 않는 간극(G)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간극(G)은 상기 제1 연결부(43)와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1) 사이의 최소 거리를 지칭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 연결부(43)가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1)의 천공(미도시) 내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1 연결부(43)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43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 연결부(43)와 상기 천공의 내벽면 사이의 간극(G)이 4미크론보다 크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 연결부(43)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43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 연결부(43)의 최대 폭(W43)이 상기 제2 연결부(44)의 최대 폭(W44)보다 클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폭의 조건은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4)를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1)과 상기 제2 가이드판 유닛(2)에 삽입하는 어려움의 증가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밖에,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4)의 단면적은 상기 좁은 영역(451)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돌기(431)를 향해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상기 제1 연결부(43)로 하여금 상기 원호부(45)가 응력을 분담하는데 협력할 수도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431)와 상기 좁은 영역(451)은 상기 기준 축선(L)의 상반되는 각각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4)를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1)과 상기 제2 가이드판 유닛(2)에 삽입하기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프로브 카드 장치(1000)의 전체적인 구조 안정도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431)와 상기 좁은 영역(451)은 상기 기준 축선(L)의 동일한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밖에, 각각의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4)에서 상기 원호부(45)에는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1)에 인접하는 돌출 리브(4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 리브(46) 및 상기 가이드 돌기(431)는 상기 기준 축선(L)의 상반되는 양측에 각각 위치하며, 각각의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4)의 상기 돌출 리브(46)는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1)과 접촉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상기 가이드 돌기(431)와 동일한 측이거나 또는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1)과 접촉하는 임의의 돌기는 모두 본 실시예에 언급된 상기 돌출 리브(46)와 상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1)과 상기 제2 가이드판 유닛(2)이 서로 경사진 방향으로 어긋날 경우, 복수개의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4)의 상기 원호부(45)는 동일한 측을 향해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4)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43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전송 단부(41)가 85도~95도 사이의 각도(σ)로 상기 신호 전송판(200)에 당접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전송 단부(41)는 바람직하게는 약 90도의 각도(σ)(예를 들어, 88도~92도)로 상기 신호 전송판(200)에 당접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4)가 임의의 가이드 돌기(431)를 형성하지 않은 전도성 프로브(4a)로 대체될 경우(예를 들어, 도 7), 상기 전도성 프로브(4a)는 85도보다 작은 각도(α)(예를 들어, 70도)로 상기 신호 전송판(200)에 당접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브 카드 장치(1000)는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4)의 구조 설계(예를 들어, 상기 제1 연결부(43)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431)가 형성되어 있음)를 통해,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4)와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1) 사이의 간극(G)이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프로브 카드 장치(1000)의 개발 및 응용이 용이하다. 여기서,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4)는 또한 상기 가이드 돌기(431)와 상기 좁은 영역(451)이 상기 기준 축선(L)의 상반되는 양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제1 연결부(43)가 상기 가이드 돌기(431)로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1)에 당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분 응력을 분담하여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4)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프로브 카드 장치는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4)와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1) 사이의 상기 간극(G)을 4미크론보다 작도록 제어하기에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1)과 상기 제2 가이드판 유닛(2)이 어긋나게 설치로 인해 상기 전송 단부(41)에 대한 오프셋을 감소시킬 수 있고; 다시 말해서, 상기 전송 단부(41)가 상기 가이드 돌기(431)를 통해 가이드되도록 함으로써 85도~95도 사이의 각도(σ)로 상기 신호 전송판(200)에 당접한다.
이 밖에,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4)가 상기 가이드 돌기(431)를 통해 상기 전송 단부(41)를 가이드할 수 있는 점에 기반하여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4)의 상기 전송 단부(41)를 더 단축시킬 수 있어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4)가 더 많은 테스트 응용에 적용되도록 한다.
종합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프로브 카드 장치 및 셀프 정렬 프로브에서, 이는 상기 제1 연결부를 통해 상기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와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 사이의 간극이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프로브 카드 장치의 개발 및 응용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프로브 카드 장치 및 셀프 정렬 프로브는 상기 원호부의 구조 설계를 통해 상기 원호부가 변형될 경우, 응력이 분산적으로 상기 원호부의 각 부위에 분산될 수 있고, 상기 원호부의 특정 영역에 집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의 사용 수명을 효과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이상 개시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행 가능한 실시예일 뿐 이로써 본 발명의 특허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기에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을 사용하여 이루어진 동등한 기술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특허범위에 포함된다.
1000: 프로브 카드 장치
100: 프로브 헤드
1: 제1 가이드판 유닛
2: 제2 가이드판 유닛
3: 이격판
4: 셀프 정렬 프로브
41: 전송 단부
42: 테스트 단부
43: 제1 연결부
431: 가이드 돌기
44: 제2 연결부
45: 원호부
451: 좁은 영역
46: 돌출 리브
200: 신호 전송판
L: 기준 축선
D: 최대 거리
σ: 각도
G: 간극
D4: 간격
W43: 최대 폭
W44: 최대 폭
4a: 전도성 프로브
α: 각도

Claims (5)

  1.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 가이드판 유닛과 제2 가이드판 유닛; 및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과 상기 제2 가이드판 유닛에 관통되게 설치되고, 임의의 두 개의 인접한 셀프 정렬 프로브는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셀프 정렬 프로브를 포함하는 프로브 카드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는,
    상기 제2 가이드판 유닛으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의 외측에 위치하는 전송 단부;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으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제2 가이드판 유닛의 외측에 위치하고, 피테스트 물체에 분리 가능하게 당접하며, 상기 전송 단부와 공동으로 기준 축선을 정의하는 테스트 단부;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 내에 위치하고,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과 4미크론(μm)보다 크지 않는 간극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2 가이드판 유닛 내에 위치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기준 축선과 이격된 최대 거리는 75미크론보다 크고 상기 간격보다 작은 원호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에서 상기 원호부에는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에 인접하는 돌출 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의 상기 돌출 리브 및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기준 축선의 상반되는 양측에 각각 위치하며, 각각의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의 상기 돌출 리브는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과 접촉하지 않으며; 각각의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에서, 상기 제1 연결부의 최대 폭은 상기 제2 연결부의 최대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카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는 상기 최대 거리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원호부의 위치를 좁은 영역으로 정의하고; 각각의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에서, 상기 원호부의 단면적은 상기 좁은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증가하며; 각각의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에서, 상기 제1 연결부에 대한 상기 좁은 영역의 거리는 상기 제2 연결부에 대한 상기 좁은 영역의 거리와 동일하고; 상기 좁은 영역과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기준 축선의 상반되는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카드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카드 장치는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에 인접하는 신호 전송판을 더 포함하는데; 여기서, 상기 제1 가이드판 유닛과 상기 제2 가이드판 유닛이 서로 경사진 방향으로 어긋날 경우, 각각의 상기 셀프 정렬 프로브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전송 단부가 85도~95도 사이의 각도로 상기 신호 전송판에 당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카드 장치.
  5. 삭제
KR1020210056752A 2020-11-24 2021-04-30 프로브 카드 장치 KR1025359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9141045A TWI755945B (zh) 2020-11-24 2020-11-24 探針卡裝置及自對準探針
TW109141045 2020-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856A KR20220071856A (ko) 2022-05-31
KR102535938B1 true KR102535938B1 (ko) 2023-05-26

Family

ID=81329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752A KR102535938B1 (ko) 2020-11-24 2021-04-30 프로브 카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92466B2 (ko)
JP (1) JP7277505B2 (ko)
KR (1) KR102535938B1 (ko)
TW (1) TWI7559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98127B (zh) * 2021-07-07 2023-04-01 旺矽科技股份有限公司 垂直式探針頭
KR20230171557A (ko) 2022-06-14 2023-12-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용 흡열 파우치 어셈블리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9047A (ja) 2001-05-31 2002-12-13 Enplas Corp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2002359025A (ja) 2001-05-31 2002-12-13 Enplas Corp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2003317845A (ja) 2002-04-22 2003-11-07 Enplas Corp コンタクトピン、コンタクトピンの成形方法、電気部品用ソケット及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の製造方法
JP2010159997A (ja) 2009-01-06 2010-07-22 Japan Electronic Materials Corp コンタクトプローブ及びコンタクトプローブ用のコンタクトチップ
JP2011133354A (ja) 2009-12-24 2011-07-07 Nhk Spring Co Ltd コンタクトプローブおよびプローブユニット
JP2015534079A (ja) * 2012-10-31 2015-11-26 フォームファクタ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ガイド穴での所望しない移動を阻害するバネ機構を有するプローブ
KR101859388B1 (ko) 2016-09-19 2018-06-28 피엠피(주) 수직 프로브 카드
CN210514407U (zh) * 2019-07-08 2020-05-12 技鼎股份有限公司 探针头及其导电探针
KR102145398B1 (ko) 2020-07-09 2020-08-19 피엠피(주) 수직형 프로브 핀 및 이를 구비한 프로브 카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59949B2 (en) * 2004-05-21 2010-07-20 Microprobe, Inc. Probes with self-cleaning blunt skates for contacting conductive pads
US9329205B2 (en) * 2012-03-20 2016-05-03 Star Technologies Inc. High-precision semiconductor device probing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TWI458987B (zh) * 2013-04-26 2014-11-01 Mpi Corp 探針模組
WO2016146499A1 (en) * 2015-03-13 2016-09-22 Technoprobe S.P.A. Testing head with vertical probes having an improved sliding movement within respective guide holes and correct holding of the probes within the testing head under different operative conditions
IT201600084921A1 (it) * 2016-08-11 2018-02-11 Technoprobe Spa Sonda di contatto e relativa testa di misura di un’apparecchiatura di test di dispositivi elettronici
TWI620938B (zh) * 2017-07-21 2018-04-11 中華精測科技股份有限公司 探針裝置
JP2020071052A (ja) * 2018-10-29 2020-05-07 株式会社エンプラス コンタクトピン及びソケット
TWI709750B (zh) * 2019-03-22 2020-11-11 中華精測科技股份有限公司 垂直式探針卡及其矩形探針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9047A (ja) 2001-05-31 2002-12-13 Enplas Corp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2002359025A (ja) 2001-05-31 2002-12-13 Enplas Corp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2003317845A (ja) 2002-04-22 2003-11-07 Enplas Corp コンタクトピン、コンタクトピンの成形方法、電気部品用ソケット及び電気部品用ソケットの製造方法
JP2010159997A (ja) 2009-01-06 2010-07-22 Japan Electronic Materials Corp コンタクトプローブ及びコンタクトプローブ用のコンタクトチップ
JP2011133354A (ja) 2009-12-24 2011-07-07 Nhk Spring Co Ltd コンタクトプローブおよびプローブユニット
JP2015534079A (ja) * 2012-10-31 2015-11-26 フォームファクタ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ガイド穴での所望しない移動を阻害するバネ機構を有するプローブ
KR101859388B1 (ko) 2016-09-19 2018-06-28 피엠피(주) 수직 프로브 카드
CN210514407U (zh) * 2019-07-08 2020-05-12 技鼎股份有限公司 探针头及其导电探针
KR102145398B1 (ko) 2020-07-09 2020-08-19 피엠피(주) 수직형 프로브 핀 및 이를 구비한 프로브 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92466B2 (en) 2023-02-28
TWI755945B (zh) 2022-02-21
US20220163565A1 (en) 2022-05-26
JP7277505B2 (ja) 2023-05-19
TW202221329A (zh) 2022-06-01
KR20220071856A (ko) 2022-05-31
JP2022083380A (ja)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5938B1 (ko) 프로브 카드 장치
KR100536037B1 (ko) 코일 스프링 콘택트 방식 커넥터
CN109283371B (zh) 探针装置
KR100305261B1 (ko) 플라스틱제지지요소
KR102494901B1 (ko)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US7884688B2 (en) Waveguide connector and assembly using deformable convex conductive portions
TWI554763B (zh) 彈簧式探針頭
US11009524B2 (en) High speed probe card device and rectangular probe
US11287576B2 (en) Optical connector and apparatus equipped therewith
US8558568B2 (en) Connector and semiconductor test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2631577B1 (ko) 프로브 카드 장치 및 스프링형 프로브
US20210098903A1 (en) Connector
KR102548472B1 (ko) 프로브 카드 장치 및 듀얼 암 프로브
US20220271470A1 (en) Connector
JPH06325825A (ja) コネクタ装置
JP2013246951A (ja) コネクタ
JP7149312B2 (ja) プローブカード装置及びそのファンアウト型プローブ
WO2020255648A1 (ja) コネクタ
CN113917205A (zh) 探针卡装置及其扇出式探针
TWI756949B (zh) 探針卡裝置及多臂式探針
JP2023063208A (ja) 片持ち梁型プローブ構造体
TWI771214B (zh) 具有多臂式探針的探針卡裝置
JPH08162238A (ja) パッケージ用ソケットコネクタ
US11387605B2 (en) Conductive sheet structure and high-speed connector
CN115963300A (zh) 探针卡装置及双臂式探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