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782B1 - 보조접점 기구부를 구비하는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 - Google Patents

보조접점 기구부를 구비하는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782B1
KR102535782B1 KR1020160013675A KR20160013675A KR102535782B1 KR 102535782 B1 KR102535782 B1 KR 102535782B1 KR 1020160013675 A KR1020160013675 A KR 1020160013675A KR 20160013675 A KR20160013675 A KR 20160013675A KR 102535782 B1 KR102535782 B1 KR 102535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contact
crossbar
lever
circuit breaker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2401A (ko
Inventor
조현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160013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782B1/ko
Publication of KR20170092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46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having means for operating auxiliary contacts additional to the main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04Conta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Manual Motor Starter, 약칭 MMS)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접점 기구부를 구비하는 모터보호용 배선용 차단기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레버의 조작에 따라 승하강 동작하는 본체 크로스바; 상기 본체 크로스바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본체 크로스바와 일체로 승하강하는 보조접점 레버; 상기 보조접점 레버에 의하여 승하강동작하는 보조접점 크로스바; 상기 보조접점 크로스바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는 상부고정 보조접점; 상기 보조접점 크로스바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는 하부고정 보조접점; 상기 보조접점 크로스와 함께 승하강하며 상기 상부고정 보조접점을 온/오프 시키는 상부 가동접점; 및 상기 보조접점 크로스와 함께 승하강하며 상기 하부고정 보조접점을 온/오프 시키는 하부 가동접점;을 포함하는 보조접점 기구부를 구비하는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보조접점 기구부를 구비하는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MANUAL MOTOR STARTER HAVING AUXILIARY CONTACTOR MECHANISM}
본 발명은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Manual Motor Starter, 약칭 MMS)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접점 기구부를 구비하는 모터보호용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는 모터의 운전과 정지 제어를 위한 수동 운전 조작기이다.
또한,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는 전원측과 모터간의 회로상 과전류 또는 단락전류와 같은 사고전류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회로를 차단함으로써 모터를 사고전류에 의한 소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저전압 전력기기이다.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는 모터의 운전과 정지 제어를 위한 조작핸들과 고정접촉자 및 고정접촉자에 접촉하는 또는 고정접촉자로부터 분리되는 오프(off) 또는 트립(trip) 위치로 이동 가능한 가동접촉자와 가동접촉자를 구동하는 기구부(mechanism)를 포함하는 개폐기구(switching mechanism)와, 회로상 사고전류를 검출하여 해당 개폐기구를 트립 위치로 동작하도록 트리거(trigger)하는 트립 기구(trip mechanism)을 포함한다.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는 일반적으로 전원 및 부하(모터)측과 각각 연결되는 3상 회로용으로 3개의 단자를 전원측 및 부하측에 각각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에 있어서, 보조접점 기구부의 동작이 차단기 본체의 기구부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조접점 기구부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보조접점 기구부의 조립성을 개선하고 동작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조접점 기구부의 동작이 차단기본체의 메카니즘 하중으로 이루어지는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접점 기구부를 구비하는 모터모호용 배선용차단기는 개폐 동작에 따라 승하강 동작하는 본체 크로스바; 상기 본체 크로스바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 크로스바와 일체로 동작하는 보조접점 레버; 상기 보조접점 레버에 의하여 승하강동작하는 보조접점 크로스바; 보조접점 기구부 케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보조접점 크로스바의 상부 양측에 배치되는 상부고정 보조접점; 상기 보조접점 기구부 케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보조접점 크로스바의 하부 양측에 배치되는 하부고정 보조접점; 상기 보조접점 크로스와 함께 승하강하며 상기 상부고정 보조접점을 온/오프 시키는 상부 가동접점; 및 상기 보조접점 크로스와 함께 승하강하며 상기 하부고정 보조접점을 온/오프 시키는 하부 가동접점;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가동접점 및 상기 상부고정 보조접점이 상기 상부고정 보조접점과 상기 하부고정 보조접점에 밀착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접압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 크로스바는 끼움홈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접점 레버는 상기 끼움홈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보조접점 레버가 상기 본체 크로스바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 크로스바는 본체 케이스에 끼워지는 힌지축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접점 레버는 보조접점 기구부 케이스에 끼워지는 힌지공을 구비하며, 상기 힌지축과 상기 힌지공은 동일축상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접점 크로스바는 상기 보조접점 레버측으로 돌출 형성된 작동암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접점 레버는 상기 작동암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상부지지돌기와, 상기 작동암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형태로, 상기 보조접점 크로스바는 상기 보조접점 레버측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작동암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접점 레버는 상기 한 쌍의 작동암의 사이에 삽입되는 지지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는 보조접점 기구부의 동작이 차단기 본체의 기구부와 직결되어 동작되므로, 보조접점 기구부의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는 보조접점 기구부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보조접점 기구부의 조립성을 개선하고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보조접점 기구부를 구비하는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가 오프(off) 상태일 때 보조접점 기구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가 온(on) 상태일 때 보조접점 기구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접점 기구부를 구비하는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접점 기구부를 구비하는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의 본체 크로스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접점 기구부를 구비하는 모터보호용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접점 레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가 오프(off) 상태일 때 보조접점 기구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가 온(on) 상태일 때 보조접점 기구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보조접점 기구부를 구비하는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가 오프(off) 상태일 때 보조접점 기구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가 온(on) 상태일 때 보조접점 기구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100)는 일측면에 보조접점기구부가 조립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시한 도면은 보조접점기구부의 외부케이스를 생략하고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차단기 본체(120)의 경우에는 보조접점기구부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본체 크로스바(122) 부분을 절단하여 도시한 것이다.
보조접점 기구부는 차단기 본체(120)의 기구부 구성의 하나인 본체 크로스바(122)와 연동되어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본체 크로스바(122)는 개폐기구부의 동작에 따라서 승하강 동작하며 차단기 본체의 접점을 온/오프 동작시키는 구성이다.
보조접점 기구부는 본체 크로스바(122)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보조접점 레버(131)와, 상기 보조접점 레버(131)와 연계되어 동작하는 보조접점 크로스바(132)와, 상기 보조접점 크로스바(132)의 위치에 따라 접점의 온,오프 상태가 전환되는 보조접점을 포함한다.
보조접점은 보조접점 크로스바(132)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는 상부고정 보조접점(133)과, 보조접점 크로스바(132)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는 하부고정 보조접점(134)과, 상기 보조접점 크로스바(132)와 함께 승하강하며 상기 상부고정 보조접점(133)을 온오프 시키는 상부 가동접점(133a)과, 상기 보조접점 크로스바(132)와 함께 승하강하며 상기 하부고정 보조접점(134)을 온오프 시키는 하부 가동접점(134a)을 포함한다.
또한, 보조접점 기구부는 보조접점 크로스바(132)가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135)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가 오프(off) 상태인 경우에는 본체 크로스바(122)는 하강한 상태가 되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가 온(on) 상태인 경우에는 본체 크로스바(122)가 상승한 상태가 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가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본체 크로스바(122)가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보조접점 레버(131)도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보조접점 크로스바(132)도 하강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보조접점 크로스바(132)가 하강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상부고정 보조접점(133)은 상부 가동접점(133a)에 의하여 접속된 상태(on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하부고정 보조접점(134)도 하부 가동접점(133a)에 의하여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 보조접점 크로스바(132)가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하중은 코일스프링(135)에 의하여 제공된다. 다시말해 보조접점 크로스바(132)가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중은 본체 크로스바(122)에 의해서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보조접점 크로스바(132)에 연결되는 코일 스프링(135)에 의하여 제공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가 온 상태인 경우에는 본체 크로스바(122)가 상승한 상태가 되며, 그에 따라 보조접점 레버(131)와, 보조접점 크로스바(132)도 상승한 상태가 되어, 상부 가동접점(133a) 및 하부 가동접점(134a)이 각각 상부고정 보조접점(133a) 및 하부고정 보조접점(134a)으로부터 이격되어 오프 상태가 된다.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될 때, 본체 크로스바(122)가 보조접점 레버(131)를 들어올리도록 동작하고, 보조접점 레버(131)가 들어올려지면서, 보조접점 크로스바(132)를 상승시켜 보조접점 크로스바(132)에 연결된 상부 가동접점(133a) 및 하부고정 보조접점(134a)가 상승한 상태로 전환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 때 보조접점 크로스바(132)가 상승하면서 코일스프링(135)에는 탄성력이 저장된다.
본체 크로스바(122)의 상승 하중에 의하여 코일스프링(135)에 탄성력이 저장되므로, 코일스프링(135)의 탄성력이 본체 크로스바(122)의 상승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한편,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될 때에는, 본체 크로스바(122)가 하강한다. 그런데, 이 때 본체 크로스바(122)의 하강 하중이 보조접점 레버(131)로 전달되지는 않는다. 본체 크로스바(122)가 하강할 때 본체 크로스바(122)의 하강으로 인한 하중이 보조접점 레버(131)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고, 보조접점 크로스바(132)에 연결된 코일스프링(135)에 저장되어 있던 탄성력으로 인하여 보조접점 크로스바(132)가 하강하게 되며, 보조접점 크로스바(132)의 하강에 의하여 보조접점 레버(132)도 하강한다.
정리하면,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될 때에는 본체 크로스바(122)가 상승하게 되는데, 본체 크로스바(122)의 동작 하중으로 보조접점 레버(131)가 상승하고, 보조접점 레버(131)가 보조접점 크로스바(132)를 상승시키는 것이고,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가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될 때에는 본체 크로스바(122)가 하강하게 되는데, 본체 크로스바(122)의 동작 하중이 보조접점 레버(131)에 전달되지 않고, 오히려 보조접점 크로스(132)의 하강 하중이 보조접점 레버(131)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러한 보조접점 기구부는 보조접점 크로스바(132)를 하강하기 위한 코일스프링(135)의 탄성력이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 본체 크로스바(122)의 상승 동작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어, 코일스프링(135)의 탄성력이 과도할 경우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의 본체 크로스바(122) 동작을 방해할 우려가 있으며, 반대로 코일스프링(135)의 탄성력이 부족할 경우 보조접점 크로스바(132)의 하강을 위한 하중이 부족하여 보조접점 기구부에서 동작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코일스프링(135)은 조립성이 좋지 못하여 보조접점 기구부 주요한 조립 불량 요소로 작용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보조접점 기구부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보조접점 크로스바의 하강 동작이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의 본체 크로스바의 동작 하중에 의하여 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코일스프링을 삭제하여 제품의 조립성을 개선하고, 보조접점 기구부의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접점 기구부를 구비하는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접점 기구부를 구비하는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의 본체 크로스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접점 기구부를 구비하는 모터보호용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접점 레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조접점 기구부를 구비하는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200)는 레버(20)의 조작에 따라 승하강 동작하는 본체 크로스바(210)와, 상기 본체 크로스바(210)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 크로스바의 승하강 하중을 전달받는 보조접점 레버(220)와, 상기 보조접점 레버(220)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접점 레버(220)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보조접점 크로스바(2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접점 기구부는 보조접점 레버(220)가 본체 크로스바(210)의 하강시의 하중만을 전달 받는 것이 아니라, 본체 크로스바(210)의 상승시의 하중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조접점 기구부는 보조접점 레버(220)가 본체 크로스바(210)의 하강 하중을 보조접점 크로스바(230)에 전달하고, 본체 크로스바(210)의 상승 하중도 보조접점 크로스바(230)로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종래의 경우 본체 크로스바의 상승 하중만이 보조접점 크로스바로 전달되고, 보조접점 크로스바의 하강 하중은 별도의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제공되던 것에 비하여, 본원발명의 보조접점 기구부는 본체 크로스바(210)의 상승 하중과 하강 하중이 모두 보조접점 크로스바(230)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보조접점 크로스바(230)의 승하강 동작이 모두 본체 크로스바(210)의 동작 하중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보조접점 크로스바(23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부 가동접점(250)과 하부 가동접점(270)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접점 기구부는 보조접점 크로스바(230)가 본체 메카니즘부의 본체 크로스바(210)와 일체로 승하강하는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상부 가동접점(250)과 하부 가동접점(270)이 상부고정 보조접점(240)과 하부고정 보조접점(260)에 접촉하는 하중을 부여하기 위한 접압스프링(255,275)이 구비되어야 한다. 접압스프링(255,275)은 보조접점 크로스바(230)에 대하여 상부 가동접점(250)과 하부 가동접점(270)이 하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여, 보조접점 크로스바(230)가 하강한 상태에서 상부 가동접점(250)과 하부 가동접점(270)이 상부고정 보조접점(240)과 하부고정 보조접점(260)에 안정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접점 기구부를 구비하는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는 보조접점 크로스바에 하강하는 방향의 하중을 부여하던 코일 스프링을 삭제하고, 본체 크로스바의 상승 하중이 보조접점 크로스바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체 크로스바(210)의 하중은 보조접점 레버(220)를 통해서 전달되는 것으로, 본체 크로스바(210)와 보조접점 레버(220)는 상하 방향으로 일체로 회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의 본체 크로스바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체 크로스바(210)는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의 기구부 구성으로, 레버의 조작에 따라 승하강 동작하도록 형성된다.
본체 크로스바(210)는 케이스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축(212)을 구비하며, 일측면에 보조접점 레버(220)가 결합되는 끼움홈(21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본체 크로스바는 끼움홈으로 보조접점 레버가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본체 크로스바에 지지면을 형성하여, 본체 크로스바가 상승하는 경우에 본체 크로스바에 형성된 지지면이, 지지면에 지지된 보조접점 레버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만 하중이 전달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본체 크로스바(210)는 상승 방향의 하중과 하강 방향의 하중을 모두 보조접점 레버(220)로 전달할 수 있도록, 끼움홈(214)을 구비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의 보조접점 레버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보조접점 레버(220)는 본체 크로스바(210)의 승하강 하중을 보조접점 크로스바(23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종래의 보조접점 레버가 본체 크로스바의 상승 하중만을 전달하였던 것과 달리 본원발명의 보조접점 레버(220)는 본체 크로스바(210)의 하강 하중도 보조접점 크로스바(230)로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보조접점 레버(220)는 상술한 본체 크로스바(210)의 끼움홈(214)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돌기(224)를 구비하여, 본체 크로스바(210)와 일체로 승하강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끼움돌기(224)는 도면에서 지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면에서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또한, 보조접점 레버(220)는 보조접점 크로스바(도 3의 230)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된 작동암(도 4의 232)을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종래의 보조접점 레버는 작동암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돌기만을 구비하여, 보조접점 레버가 상승하는 방향의 하중만이 보조접점 크로스바로 전달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나, 본원발명의 보조접점 레버(220)는 하부지지돌기(226)와 상부지지돌기(228)를 구비하여, 하부지지돌기(226)와 상부지지돌기(228) 사이에 보조접점 크로스바(230)의 작동암(232)이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보조접점 레버(220)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하부지지돌기(226)가 보조접점 크로스바(230)의 작동암(232)에 상승하는 방향의 하중을 전달하게 되고, 보조접점 레버(220)가 하강하는 경우에는 상부지지돌기(228)가 보조접점 크로스바(230)의 작동암(232)에 하강하는 방향의 하중을 전달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종래의 보조접점 크로스바(230) 부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접점 레버(220)의 형상에 변형을 준 것이나, 보조접점 크로스바(230)의 작동암의 형상에 변형을 줄 수도 있다. 보조접점 레버(220)에서 하나의 지지돌기를 형성하고, 보조접점 크로스바(230)의 작동암을 상기 지지돌기의 상하에 형성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보조접점 레버(220)는 보조접점 기구부 케이스에 형성된 힌지축에 결합되는 힌지공(222)을 구비한다. 보조접점 레버(220)는 힌지공(222)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힌지공(222)의 회전중심은 본체 크로스바(210)의 힌지축(212)과 동일축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 크로스바(210)와 보조접점 레버(220)가 동일축으로 기준으로 상하로 힌지회동 가능하도록 하고, 본체 크로스바(210)의 끼움홈(214)에 보조접점 레버(220)의 끼움돌기(224)가 끼움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본체 크로스바(210)와 보조접점 레버(220)가 일체로 상하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가 오프(off) 상태일 때 보조접점 기구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가 온(on) 상태일 때 보조접점 기구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가 오프 상태에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본체 크로스바(210)가 상승함에 따라 그에 끼워진 보조접점 레버(220)가 일체로 상승하게 되고, 보조접점 레버(220)의 하부지지돌기(226)가 보조접점 크로스바(230)의 작동암(232)을 밀어올려 보조접점 크로스바(230)가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모터보호용 배선용 차단기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온 상태에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오프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본체 크로스바(210)가 하강함에 따란 그에 끼워진 보조접점 레버(220)가 일체로 하강하게 되고, 보조접점 레버(220)의 상부지지돌기(228)가 보조접점 크로스바(230)의 작동암(232)을 밀어내려 보조접점 크로스바(230)가 하강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모터보호용 배선용 차단기는 본체 크로스바(210)의 승하강 동작하중이 보조접점 레버(220)를 통해 모두 보조접점 크로스바(230)로 전달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 모터보호용 배선용 차단기
202 : 레버 210 : 본체 크로스바
212 : 힌지축 214 : 끼움홈
220 : 보조접점 레버 222 : 힌지공
224 : 끼움돌기 226 : 하부지지돌기
228 : 상부지지돌기 230 : 보조접점 크로스바
232 : 작동암 240 : 상부고정 보조접점
250 : 상부 가동접점 255 : 접압 스프링
260 : 하부고정 보조접점 270 : 하부 가동접점
275 : 접압 스프링

Claims (6)

  1. 개폐 동작에 따라 승하강 동작하는 본체 크로스바;
    상기 본체 크로스바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 크로스바와 일체로 동작하는 보조접점 레버;
    상기 보조접점 레버에 의하여 승하강 동작하는 보조접점 크로스바;
    보조 접점기구부의 케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보조접점 크로스바의 상부 양측에 배치되는 상부고정 보조접점;
    상기 보조접점 기구부 케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보조접점 크로스바의 하부 양측에 배치되는 하부고정 보조접점;
    상기 보조접점 크로스바와 함께 승하강하며 상기 상부고정 보조접점을 온/오프 시키는 상부 가동접점; 및
    상기 보조접점 크로스바와 함께 승하강하며 상기 하부고정 보조접점을 온/오프 시키는 하부 가동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크로스바의 끼움홈에 상기 보조접점 레버의 끼움돌기가 끼움결합되고, 상기 보조접점 레버의 하부지지돌기와 상부지지돌기 사이에 상기 보조접점 크로스바의 작동암이 끼워지고,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본체 크로스바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보조접점 레버가 일체로 상승하게 되고, 상기 보조접점 레버의 상기 하부지지돌기가 상기 보조접점 크로스바의 상기 작동암을 밀어올려 상기 보조접점 크로스바가 상승하고, 상기 모터보호용 배선용 차단기가 온 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본체 크로스바가 하강함에 따란 상기 보조접점 레버가 일체로 하강하게 되고, 상기 보조접점 레버의 상기 상부지지돌기가 상기 보조접점 크로스바의 상기 작동암을 밀어내려 상기 보조접점 크로스바가 하강하는 보조접점 기구부를 구비하는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동접점 및 상기 하부 가동접점이 상기 상부고정 보조접점과 상기 하부고정 보조접점에 밀착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접압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접점 기구부를 구비하는, 모터보호용 배선용 차단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크로스바는 본체 케이스에 끼워지는 힌지축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접점 레버는 보조접점 기구부 케이스에 끼워지는 힌지공을 구비하며, 상기 힌지축과 상기 힌지공은 동일축 상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접점 기구부를 구비하는, 모터보호용 배선용 차단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접점 크로스바는 상기 보조접점 레버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작동암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접점 레버는 상기 작동암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상기 상부지지돌기와, 상기 작동암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상기 하부지지돌기를 구비하는, 모터보호용 배선용 차단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접점 레버는 상기 힌지공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본체 크로스바와 상기 보조접점 레버가 일체로 상하로 회동하는, 모터보호용 배선용 차단기.
KR1020160013675A 2016-02-03 2016-02-03 보조접점 기구부를 구비하는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 KR102535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675A KR102535782B1 (ko) 2016-02-03 2016-02-03 보조접점 기구부를 구비하는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675A KR102535782B1 (ko) 2016-02-03 2016-02-03 보조접점 기구부를 구비하는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401A KR20170092401A (ko) 2017-08-11
KR102535782B1 true KR102535782B1 (ko) 2023-05-22

Family

ID=59651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675A KR102535782B1 (ko) 2016-02-03 2016-02-03 보조접점 기구부를 구비하는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78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669Y1 (ko) * 2003-12-19 2004-03-24 엘지산전 주식회사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개폐 기구부 구조
JP2005085498A (ja) * 2003-09-04 2005-03-31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回路遮断器の外部付属スイッチユニット
JP2012038644A (ja) * 2010-08-10 2012-02-23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電磁接触器の補助接点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5498A (ja) * 2003-09-04 2005-03-31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回路遮断器の外部付属スイッチユニット
KR200345669Y1 (ko) * 2003-12-19 2004-03-24 엘지산전 주식회사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개폐 기구부 구조
JP2012038644A (ja) * 2010-08-10 2012-02-23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電磁接触器の補助接点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401A (ko) 2017-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52903A1 (en) Breaking Device with Arc Breaking Shield
KR20100079907A (ko) 접점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기구 및 그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WO2017167086A1 (zh) 电器开关的接通分断机构
JPH0765688A (ja) 接触器/保護継電器型保護開閉器
KR101071097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102535782B1 (ko) 보조접점 기구부를 구비하는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
JPH0119313Y2 (ko)
CN101042961B (zh) 具有特殊触头结构的电器元件
US6400242B1 (en) High current auxiliary switch for a circuit breaker
US2549441A (en) Electric switch operator
JP6123084B2 (ja) 漏電遮断器
CN205177735U (zh) 电动操作机构的指示装置
CN102646543B (zh) 高压开关设备用联锁装置
KR102329133B1 (ko) 진공차단기용 인터록 장치
CN219575427U (zh) 一种让位机构和双电源控制机构
EP3051569B1 (en) Structure of crossbar for manual motor starter
KR101915722B1 (ko) 스탑버튼 구조를 개선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CN101170031A (zh) 快速分断低压电路断路器
CN210607152U (zh) 断路器
CN214099489U (zh) 一种电力弹簧操动机构的手动分闸壁锁装置
KR102329552B1 (ko)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CN109585196B (zh) 永磁式组合式接触器联锁机构
RU2721374C1 (ru) Улучшенный прерыватель для сильноточных или высоковольтных применений при постоянном токе, например, для промышленных и/или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применений
CN209357676U (zh) 具有绝缘槽的继电器
KR100662887B1 (ko) 배선용 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