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552B1 -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 Google Patents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552B1
KR102329552B1 KR1020210039478A KR20210039478A KR102329552B1 KR 102329552 B1 KR102329552 B1 KR 102329552B1 KR 1020210039478 A KR1020210039478 A KR 1020210039478A KR 20210039478 A KR20210039478 A KR 20210039478A KR 102329552 B1 KR102329552 B1 KR 102329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ntact
solenoid core
movable contact
soleno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엽
이광재
유영식
이선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텔라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텔라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텔라움
Priority to KR1020210039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5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22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having electrothermal release and no other automatic release
    • H01H73/24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having electrothermal release and no other automatic release reset by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009Interconnected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고정접점이 형성된 고정접점부 및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 및 접촉해제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접점이 형성된 가동접점부 및 상기 가동접점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 일측이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 및 상기 가동접점부와 상기 핸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핸들의 초기위치로의 회동시 상기 가동접점부를 가압하여 상기 가동접점을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시키는 가압부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 중 상기 핸들의 측방에 설치되고, 전류의 공급시 솔레노이드코어의 하강에 의해 상기 핸들을 초기위치로 회동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 및 상기 핸들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솔레노이드코어의 하강력을 상기 핸들로 전달하는 링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링크부는 하단부가 상기 솔레노이드코어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부가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수직부와, 일단부가 상기 제1수직부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핸들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형성되는 수평부와, 상단부가 상기 수평부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수평부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수직부를 포함하는 구동링크 및 하단부가 상기 제2수직부의 하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부가 상기 핸들의 상단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동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솔레노이드코어의 승강력을 핸들로 전달하는 링크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작은 힘으로도 핸들을 쉽게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누전차단기의 동작 신뢰도가 크게 향상된다.
또한, 핸들의 회동시 솔레노이드코어가 수직상태를 유지하면서 승강함에 따라 솔레노이드코어가 승강 동작 중에 기울어져 동작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Auto recovery type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솔레노이드코어의 승강력을 핸들로 전달하는 링크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작은 힘으로도 핸들을 쉽게 회동시킴과 아울러, 핸들의 회동시 솔레노이드코어가 수직상태를 유지하면서 승강할 수 있도록 한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누전차단기는 이상전류 발생시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통신 중계기, 교통 제어함, 가로등 배전함, 분전반, 교통통제시스템, 서지 보호기, 각종 제어기 및 감시시스템 등에 적용된다.
상기한 누전차단기는 전원 측과 부하 측 사이에 영상변류기와 차단기구를 설치하고 영상변류기에 의해 감지된 전류차를 이상전류 검출부에서 감지하여 이상전류가 발생될 경우, 차단기구를 작동시켜 부하 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그런데 기존 누전차단기는 과부하, 단락 이외의 일시적 누전, 낙뢰, 서지와 같은 일회성 원인 및 오동작 등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가 발생하면, 관리 인원이 직접 현장에 투입되어야 복구가 가능하므로, 인력 손실과 유지보수 비용이 높아 비효율적이다.
특히, 최근 우리나라의 기후가 아열대성 기후로 점차 변모해가는 동시에 7월 8월 장마철에는 낙뢰가 발생하는 빈도가 굉장히 높아졌는데, 낙뢰가 주변에 떨어지면 임펄스성 충격파로 인하여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누전차단기들이 오작동을 유발하여 누전차단기 오프(OFF)라는 심각한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위와 같은 비효율적인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470435호에는 누전차단기용 조작노브의 자동 리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누전차단기용 조작노브의 자동 리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에 돌출된 상태로 내장되어 외부동력에 의해 회전축(13)을 중심점으로 회전하는 조작노브(14)와, 조작노브(14)의 하부측에 힌지식으로 결합된 트립바(15)를 이용하여 하우징(11)의 바닥면에 구성된 한 쌍의 접촉스위치(16)를 개폐시키도록 된 누전차단기로서, 조작노브(14)의 측부에 보조축(21)을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된 회동레버(22)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솔레노이드밸브(15)가 장착되고, 회동레버(22)의 일측부에 솔레이노이드밸브(25)의 솔레노이드코어(25a)와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링크(23)가 힌지식으로 연결되며, 회동레버(22)의 타측부에 조작노브(14)와 트립바(15)에 힌지식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동링크(24)가 힌지식으로 연결된다.
전술한 누전차단기용 조작노브의 자동 리턴장치는 솔레노이드밸브(25)에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접촉스위치(16)를 접촉시켜 누전차단기(10)을 온(ON) 상태로 복구시키는 리턴장치가 솔레노이드코어(25a)에 힌지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동링크(23)와, 구동링크(23)에 힌지연결된 회동레버(22)와, 회동레버(22)에 힌지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동링크(24)를 구비한다.
즉, 조작노브(14)와 솔레노이드코어(25a) 사이에 설치되는 조작노브의 자동 리턴장치가 복잡한 다수의 링크구조로 이루어져 다수의 링크 간에 형성되는 유격에 의해 심한 유동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작노브의 복구를 위한 솔레노이드코어(25a)의 하강시 솔레노이드코어(25a)가 수직한 상태를 유지한 채 하강하지 않고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솔레노이드코어(25a)와 솔레노이드밸브(25) 내면 간의 마찰로 솔레노이드코어(25a)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작동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피동링크(24)를 통해 조작노브(14)의 하단부를 후방으로 밀어 회동시키는 방식으로 조작노브(14)를 복구시킴에 따라 조작노브(14)를 회동시키는데 상대적으로 큰 힘이 요구되므로 전자석을 이용한 솔레노이드밸브(25)로는 조작노브(14)를 회동시키기에 충분한 힘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아울러, 다수의 링크구조로 인한 구성 부품수의 증가로 원가비용 및 제작비용이 상승하고, 다수의 링크구조의 원활한 링크운동을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 누전차단기 케이스 내의 제한된 공간 내에서 원활하게 작동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47043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솔레노이드코어의 승강력을 핸들로 전달하는 링크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작은 힘으로도 핸들을 쉽게 회동시킴과 아울러, 핸들의 회동시 솔레노이드코어가 수직상태를 유지하면서 승강할 수 있도록 한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고정접점이 형성된 고정접점부 및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 및 접촉해제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접점이 형성된 가동접점부 및 상기 가동접점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 일측이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 및 상기 가동접점부와 상기 핸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핸들의 초기위치로의 회동시 상기 가동접점부를 가압하여 상기 가동접점을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시키는 가압부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 중 상기 핸들의 측방에 설치되고, 전류의 공급시 솔레노이드코어의 하강에 의해 상기 핸들을 초기위치로 회동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 및 상기 핸들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솔레노이드코어의 하강력을 상기 핸들로 전달하는 링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링크부는 하단부가 상기 솔레노이드코어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부가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수직부와, 일단부가 상기 제1수직부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핸들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형성되는 수평부와, 상단부가 상기 수평부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수평부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수직부를 포함하는 구동링크 및 하단부가 상기 제2수직부의 하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부가 상기 핸들의 상단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동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링크는 제1수직부의 하단이 상기 수평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솔레노이드코어의 승강력을 핸들로 전달하는 링크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작은 힘으로도 핸들을 쉽게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누전차단기의 동작 신뢰도가 크게 향상된다.
또한, 핸들의 회동시 솔레노이드코어가 수직상태를 유지하면서 승강함에 따라 솔레노이드코어가 승강 동작 중에 기울어져 동작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누전차단기용 조작노브의 자동 리턴장치를 도시한 것.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의 솔레노이드코어의 승하강시 구동링크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의 구동링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의 구동링크의 동작에 따른 솔레노이드 코어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의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1)는 하우징(10), 고정접점부(20), 가동접점부(30), 핸들(40), 가압부(50), 솔레노이드밸브(60) 및 링크부(7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된 직사각형의 함체형상으로서, 고정접점부(20), 가동접점부(30), 핸들(40), 가압부(50), 솔레노이드밸브(60) 및 링크부(70)의 설치영역을 제공한다.
고정접점부(20)는 하우징(10)의 내부 중 폭 방향의 대향하는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플레이트(21)와 각각의 고정플레이트(21)의 상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접점(22)을 포함한다.
가동접점부(30)는 일단부가 하우징(10)의 내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가 고정접점(22)의 상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동플레이트(31)와, 고정접점(22)과 대응되는 각각의 가동플레이트(31)의 타단부 저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동접점(32)을 포함한다.
핸들(40)은 가동접점(32)을 고정접점(22)에 접촉시키는 초기위치와 가동접점(32)을 고정접점(22)으로부터 접촉해제시키는 해제위치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몸체(41), 노브(42) 및 연장바(43)를 포함한다.
몸체(41)는 대략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위치한 원호 중심이 하우징(1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된 프레임(F)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노브(42)는 원호부의 외면 일측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수동조작시 파지영역을 제공한다.
연장바(43)는 몸체(41)의 하부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후술하는 가압부(50)의 가압핀(53)이 결합되는 영역을 제공한다.
가압부(50)는 가동접점부(30)와 핸들(40) 사이에 설치되고, 핸들(40)의 초기위치로의 회동시 가동접점부(30)를 가압하여 가동접점(31)을 고정접점(12)에 접촉시키는 것으로서, 크로스바(51), 가압레버(52) 및 가압핀(53)을 포함한다.
크로스바(51)는 하우징(10)의 내부에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양단부가 각각의 가동플레이트의 타단부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압레버(52)는 일단부가 크로스바(51)의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타단부가 크로스바(51)의 후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중앙 일측이 가압핀(53)의 하단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가압레버(52)는 핸들(40)이 초기위치로 회동되어 일단부가 크로스바(51)의 상부를 가압하는 경우, 타단부가 후방에 위치하는 트립바(80)의 걸림턱(81)에 지지되어 크로스바(51)의 상부를 가압하는 일단부의 가압상태가 유지되므로 가동접점(32)과 고정접점(22)의 접촉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가압레버(52)는 트립바(80)가 후방으로 회동되어 걸림턱(81)에 지지된 타단부의 지지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크로스바(51)의 상부를 가압하는 일단부의 가압상태도 해제되어 크로스바(51)가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가동접점(32)과 고정접점(22)의 접촉상태가 해제된다.
가압핀(53)은 상단부가 핸들(40)의 연장바(43)의 하단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가 가압레버(52)의 중앙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가압핀(53)은 핸들(40)이 초기위치로 회동하는 경우, 회전하는 연장바(43)의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변환하여 가압레버(52)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솔레노이드밸브(60)는 하우징(10)의 내부 일측 중 핸들(40)의 측방에 설치되고, 전류의 공급시 핸들(40)을 초기위치로 회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솔레노이드몸체(61), 솔레노이드코일(62) 및 솔레노이드코어(63)를 포함한다.
솔레노이드몸체(61)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우징(10)의 내부 일측 중 핸들(40)의 측방에 설치된다.
솔레노이드코일(62)은 솔레노이드몸체(61)의 외주면에 권취되어 외부로부터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솔레노이드몸체(61)를 전자석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솔레노이드코어(63)는 원통형상으로서 솔레노이드몸체(61)의 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류의 공급에 의해 솔레노이드몸체(61)가 전자석으로 유도되는 경우, 하방으로 이동하여 후술하는 링크부(70)를 통해 핸들(40)을 초기위치로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링크부(70)는 솔레노이드코어(63)의 하강력을 핸들(4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구동링크(71) 및 피동링크(72)를 포함한다.
구동링크(71)는 판상의 부재로서 하단부가 솔레노이드코어(63)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단부가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수직부(71a)와, 일단부가 제1수직부(71a)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핸들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형성되는 수평부(71b)와, 상단부가 수평부(71b)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수평부(71b)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수직부(71c)를 포함하는 '∩'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피동링크(72)는 판상의 부재로서 하단부가 제2수직부(71a)의 하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부가 핸들(40)의 몸체(41) 상단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1)의 동작을 살펴보면, 전원의 복구를 위해 솔레노이드코일(62)에 전류가 공급되면, 솔레노이드몸체(61)가 전자석으로 유도됨에 따라 상부에 위치하고 있던 솔레노이드코어(63)가 하강한다.
그러면, 하단부가 솔레노이드코어(63)의 상단부와 결합된 구동링크(71)의 제1수직부(71a)가 하강함과 동시에 하단부가 피동링크(72)의 하단부와 결합된 구동링크(71)의 제2수직부(71c)가 하강한다.
그리고, 하강하는 제2수직부(71c)에 의해 피동링크(72)의 하단부가 하강하면, 핸들 몸체(41)의 상단부 일측에 연결된 피동링크(72)의 상단부가 핸들 몸체(41)의 상단부 일측 하방으로 잡아당겨 핸들(4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초기위치로 복구된다.
핸들(40)이 초기위치로 회동되면, 핸들 몸체(41)의 하부로 연장형성된 연장바(4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가압핀(53)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가압핀(53)이 하강하고, 이와 동시에 가압핀(53)과 연결된 가압레버(52)가 하강한다.
그러면, 하강하는 가압레버(52)의 타단부는 트립바(80)의 걸림턱(81)에 지지되고, 가압레버(52)의 일단부는 크로스바(51)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크로스바(51)는 가동플레이트(31)의 타단부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가동접점(32)을 고정접점(22)에 접촉시켜 전원을 복구시키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1)는 솔레노이드코어(63)의 하강시 제1수직부(71a)와 동반하강하는 구동링크(71)의 제2수직부(71c)를 통해 피동링크(72)의 하단부를 하방으로 잡아당겨 이와 연결된 핸들(40) 몸체(41)의 상단부 일측을 하방으로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핸들(40)을 초기위치로 회동시킴에 따라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핸들(40)을 초기위치로 쉽게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누전차단기의 동작 신뢰도가 크게 향상된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의 솔레노이드코어의 상하 이동시 구동링크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1)는 도 4a의 확대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링크(71)의 제1수직부(71a) 하단이 솔레노이드코어(63)의 상단과 이격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솔레노이드코어(63)가 하강하는 경우, 솔레노이드코어(63)와 동반 하강하는 구동링크(71)의 제1수직부(71a) 하단이 솔레노이드코어(63)의 상단과 이격되어 있어 도4a의 확대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링크(71)가 솔레노이드코어(63)의 하강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하강함에 따라 솔레노이드코어(63)의 상단부가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1)는 도 4b의 확대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링크(71)의 제1수직부(71a) 하단이 솔레노이드코어(63)의 상단과 밀착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솔레노이드코어(63)가 상승하는 경우, 솔레노이드코어(63)와 동반 상승하는 구동링크(71)의 제1수직부(71a) 하단이 솔레노이드코어(63)의 상단과 밀착되어 있어 도 4b의 확대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링크(71)가 솔레노이드코어(63)의 상승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승함에 따라 구동링크(71)의 제1수직부(71a) 하단이 솔레노이드코어(63)의 상부를 가압하여 솔레노이드코어(63)가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1)는 솔레노이드코어(63)와 동반 승강하는 구동링크(71)가 승강하는 과정에서 반시계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솔레노이드코어(63)가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코어(63)가 솔레노이드몸체(61)에 끼어 제대로 동작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의 구동링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의 구동링크의 동작에 따른 솔레노이드 코어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1)는 솔레노이드코어(63)가 승강하는 과정에서 일측방향으로 회동하는 구동링크(71)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링크(71)의 제1수직부(71a) 하단이 수평부(71b)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절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1)는 구동링크(71)의 제1수직부(71a) 하단이 수평부(71b)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절개형성됨에 따라 솔레노이드코어(63)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개 형성되지 않은 구동링크(71)의 제1수직부(71a) 하단 일측이 솔레노이드코어(63)의 상단에 지지됨에 따라 구동링크(71)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지 않아 솔레노이드코어(63)가 기울어지지 않고 수직한 상태로 하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코어(63)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링크(71)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더라도 구동링크(71)의 제1수직부(71a) 하단에 형성된 절개부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구동링크의 제1수직부 하단(71a)이 솔레노이드코어(63)의 상단을 가압하지 않으므로 솔레노이드코어(63)가 기울어지지 않고 수직한 상태로 상승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1)는 핸들(40)의 회동시 승강하는 솔레노이드코어(63)가 수직상태를 유지하면서 승강하므로 솔레노이드코어(63)가 솔레노이드몸체(61)에 끼어 제대로 동작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10 : 하우징
20 : 고정접점부 21 : 고정플레이트
22 : 고정접점 30 : 가동접점부
31 : 가동플레이트 32 : 가동접점
40 : 핸들 41 : 몸체
42 : 노브 43 : 연장바
50 : 가압부 51 : 크로스바
52 : 가압레버 53 : 가압핀
60 : 솔레노이드밸브 61 : 솔레노이드몸체
62 : 솔레노이드코일 63 : 솔레노이드코어
70 : 링크부 71 : 구동링크
71a : 제1수직부 71b : 수평부
71c : 제2수직부 72 : 피동링크
80 : 트립바 81 : 걸림턱
F : 프레임

Claims (2)

  1.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고정접점이 형성된 고정접점부와;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 및 접촉해제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접점이 형성된 가동접점부와;
    상기 가동접점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 일측이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과;
    상기 가동접점부와 상기 핸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핸들의 초기위치로의 회동시 상기 가동접점부를 가압하여 상기 가동접점을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시키는 가압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 중 상기 핸들의 측방에 설치되고, 전류의 공급시 솔레노이드코어의 하강에 의해 상기 핸들을 초기위치로 회동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핸들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솔레노이드코어의 하강력을 상기 핸들로 전달하는 링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링크부는
    하단부가 상기 솔레노이드코어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부가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수직부와, 일단부가 상기 제1수직부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핸들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형성되는 수평부와, 상단부가 상기 수평부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수평부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수직부를 포함하는 구동링크와;
    하단부가 상기 제2수직부의 하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부가 상기 핸들의 상단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동링크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링크는 상기 솔레노이드코어의 상단에 접촉되는 상기 제1수직부의 하단이 상기 솔레노이드코어의 상단과 점진적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수평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절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2. 삭제
KR1020210039478A 2021-03-26 2021-03-26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KR102329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478A KR102329552B1 (ko) 2021-03-26 2021-03-26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478A KR102329552B1 (ko) 2021-03-26 2021-03-26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552B1 true KR102329552B1 (ko) 2021-11-23

Family

ID=78694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478A KR102329552B1 (ko) 2021-03-26 2021-03-26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5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435B1 (ko) 2004-11-04 2005-02-07 새턴정보통신(주) 누전차단기용 조작노브의 자동 리턴 장치
KR101437138B1 (ko) * 2013-04-30 2014-09-03 주식회사 지엠티 누전차단기
KR20170087997A (ko) * 2016-01-21 2017-08-01 주식회사 삼호이즈 누전차단기용 조작노브의 자동 복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435B1 (ko) 2004-11-04 2005-02-07 새턴정보통신(주) 누전차단기용 조작노브의 자동 리턴 장치
KR101437138B1 (ko) * 2013-04-30 2014-09-03 주식회사 지엠티 누전차단기
KR20170087997A (ko) * 2016-01-21 2017-08-01 주식회사 삼호이즈 누전차단기용 조작노브의 자동 복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94684B (zh) 能指示触点状态的开关机构和有该机构的模制封装断路器
US11508540B2 (en) Circuit breaker
US6577221B1 (en) Safety switch
KR101492222B1 (ko) 누전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KR101071097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102329552B1 (ko) 자동복구형 누전차단기
KR100834851B1 (ko) 모터 구동방식의 자동복구 형 누전차단기
KR101318287B1 (ko) 누전차단기의 자동복귀장치
CN115333052B (zh) 一种集成电路设备上安装的紧急保护装置
KR101783693B1 (ko) 누전차단기용 조작노브의 자동 복귀장치
KR101018651B1 (ko) 진공차단기 조작기부의 인터록장치
US6498310B1 (en) Reverse alarm switch circuit breaker
CN215266118U (zh) 电器开关的接通分断机构
KR200438734Y1 (ko) 누전 차단기의 상부접점 승강 구조
KR102541247B1 (ko) 가로등용 버튼식 자동 복구형 누전차단기
KR100662887B1 (ko) 배선용 차단기
KR102072688B1 (ko) 모터 보호용 차단기
KR102539220B1 (ko) 자동 복구 누전 차단기용 핸들 구동 장치
CN110165596B (zh) 配电开关设备及其航空插联锁装置
CN216120145U (zh) 断路器
KR102329133B1 (ko) 진공차단기용 인터록 장치
CN211629011U (zh) 万能断路器
CN211404342U (zh) 一种断路器用连锁机构
CN111180228B (zh) 互锁装置
KR102535782B1 (ko) 보조접점 기구부를 구비하는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