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722B1 - 스탑버튼 구조를 개선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 Google Patents

스탑버튼 구조를 개선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722B1
KR101915722B1 KR1020150055534A KR20150055534A KR101915722B1 KR 101915722 B1 KR101915722 B1 KR 101915722B1 KR 1020150055534 A KR1020150055534 A KR 1020150055534A KR 20150055534 A KR20150055534 A KR 20150055534A KR 101915722 B1 KR101915722 B1 KR 101915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ovable
stop button
contactor
bi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5007A (ko
Inventor
이경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5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722B1/ko
Publication of KR20160125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1/00Electrothermal relays
    • H01H61/01Details
    • H01H61/0107Details making use of shape memory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74Means for adjusting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device will function to provide protection
    • H01H71/7427Adjusting only the electrothermal mechanism
    • H01H71/7436Adjusting the position (or prestrain) of the bimet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1/00Electrothermal relays
    • H01H61/01Details
    • H01H61/0107Details making use of shape memory materials
    • H01H2061/0122Two SMA actuators, e.g. one for closing or resetting contacts and one for opening them

Abstract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thermal overload relay)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탑버튼의 구조를 개선하여 부품수를 감소시키고 스탑버튼 동작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제1가동접촉자와 제1고정접촉자를 구비하고, 회로에 정상 전류가 흐를 때 폐로 상태인 상시 폐로 접점부; 제2가동접촉자와 제2고정접촉자를 구비하고, 상기 회로에 정상 전류가 흐를 때 개로 상태인 상시 개로 접점부; 회로상의 과전류 발생시 만곡하여 상기 상시 폐로 접점부의 제1가동접촉자를 제1고정접촉자로부터 분리되는 트립 위치로 동작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바이메탈; 상기 바이메탈에 접속되며, 상기 바이메탈의 만곡시 회동하여 상기 상시 개로 접점부의 제2가동접촉자를 제2고정접촉자에 접촉하는 위치로 가압하는 석방레버;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가동접촉자 및 상기 제1가동접촉자와 함께 승하강하는 홀더;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고, 하강시 석방레버를 가압하며, 상기 상시 개로 접점부의 접촉 이전 위치에서 상기 홀더의 상승을 저지하는 스탑버튼;을 포함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탑버튼 구조를 개선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THERMAL OVERLOAD RELAY HAVING STOP BURTON}
본 발명은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thermal overload relay)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탑버튼의 구조를 개선하여 부품수를 감소시키고 스탑버튼 동작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전동기의 운전 또는 정지를 위해서, 전동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접점의 개폐가 가능하고 제어신호에 의해서 점점 개폐 제어가 가능한 전자접촉기(magnetic contactor)가 이용된다. 이러한 전자접촉기는 단순히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개폐기능만을 가지므로, 회로상의 과전류로부터 전동기를 보호하기 위해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를 전자접촉기에 결합하여 많이 사용한다.
이와 같이 전자접촉기와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조합품을 전자개폐기(magnetic switch)라고 부르고 있다. 이러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는 기능상 바이메탈(bimetal)과, 상시 폐로 접점부 및 상시 개로 접점부 및 바이메탈의 변위를 상시 폐로 접점부 및 상시 개로 접점부에 전달하는 기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는 회로상 과전류가 발생했을 때 바이메탈이 만곡하여, 만곡하는 바이메탈에 접속되는 기구부가 상시 폐로 접점부를 개로 상태(접점이 분리된 상태)로 구동함과 동시에 상시 개로 접점부를 폐로 상태 즉 접점이 접촉한 상태로 구동하여, 상시 개로 접점부의 접촉에 따라 발생되는 신호를 전자접촉기에 전달하여 전자접촉기를 전원을 차단하는 위치 즉 개로 위치로 동작시킨다.
여기서 신호의 발생과 전달은 상시 개로 접점부의 접촉에 따른 제어전원의 공급중단의 형태로 발생되고 신호선의 접속에 의해 접속된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가동접점을 고정접점에 접촉하는 위치로 전자기력으로 흡인하는 코일(coil)에 대한 제어전원의 공급 중단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는 스탑 동작을 위한 스탑 버튼을 구비한다.
도 1은 종래의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리셋 상태를 나타낸 내부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스탑 상태를 나타낸 내부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리셋 상태에서는 상시 폐로 접점(1)이 접촉한 상태고, 상시 개로 접점(2)이 분리된 상태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스탑 상태는 상시 폐로 접점(1)과 상시 개로 접점(2)이 모두 분리된 상태이다.
리셋 상태에서 스탑 상태로 전환하게 되는 동작은 스탑버튼(5)을 누르는 것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3은 종래의 스탑 버튼 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의 스탑버튼과 커버의 조립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종래의 스탑버튼의 가압으로 인한 스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의 스탑버튼의 구조를 살펴보면, 외부로 돌출되는 스탑 버튼 몸체(5)와, 상기 스탑 버튼 몸체(5)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6)와, 상기 스탑 버튼 몸체(5)와 연동하여 상시 폐로 접점(1)을 분리하는 링크 부재(7)를 포함한다.
스탑 버튼 몸체(5)는 하단에 상기 링크 부재(7)에 결합되는 수평축(5a)을 구비한다.
상기 링크부재(7)는 상기 수평축(5a)이 결합되는 장공(7a)과 상시 폐로 접점(1)의 가동접촉자를 밀어 올리기 위한 돌기부(7b)와, 커버의 힌지축(8a)에 결합되는 힌지공(7c)을 포함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스탑 버튼 구조는 스탑버튼 몸체(5)와 링크 부재(7)가 수평축(5a)과 장공(7a)으로 결합되어야 하고, 링크 부재(7)의 힌지공(7c)은 다시 커버(8)의 힌지축(8a)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조립이 번거롭고 동작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스탑 동작 구조를 단순화하여, 링크부재를 삭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잡하게 조립되어야 했던 링크부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 불량을 개선하고, 동작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가동접촉자와 제1고정접촉자를 구비하고, 회로에 정상 전류가 흐를 때 폐로 상태인 상시 폐로 접점부; 제2가동접촉자와 제2고정접촉자를 구비하고, 상기 회로에 정상 전류가 흐를 때 개로 상태인 상시 개로 접점부; 회로상의 과전류 발생시 만곡하여 상기 상시 폐로 접점부의 제1가동접촉자를 제1고정접촉자로부터 분리되는 트립 위치로 동작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바이메탈; 상기 바이메탈에 접속되며, 상기 바이메탈의 만곡시 회동하여 상기 상시 개로 접점부의 제2가동접촉자를 제2고정접촉자에 접촉하는 위치로 가압하는 석방레버;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가동접촉자 및 상기 제1가동접촉자와 함께 승하강하는 홀더;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고, 하강시 석방레버를 가압하며, 상기 상시 개로 접점부의 접촉 이전 위치에서 상기 홀더의 상승을 저지하는 스탑버튼;을 포함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를 제공한다.
상기 홀더는 상기 상시 개로 접점부의 제2가동접촉자를 상하방향으로 구속하는 제1돌부와, 상기 상시 폐로 접점부의 제1가동접촉자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돌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탑버튼은 상기 석방레버를 가압하는 제1돌기와, 상기 홀더의 상기 제1돌부에 간섭하여 상기 제2가동접촉자가 상기 제2고정접촉자에 접촉하기 이전 위치에서 상기 홀더를 저지하는 제2돌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탑버튼의 복원은 상기 바이메탈의 복원력과 상기 제1가동접촉자의 복원력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탑버튼이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탑버튼이 상승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제2고정접촉자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바이메탈의 만곡으로 인한 트립 동작시 상기 상시 개로 접점부의 접촉에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는 스탑 동작이 단일 부품인 스탑 버튼만으로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부품수를 절감하고 조립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단일 부품인 스탑 버튼의 승하강 만으로 스탑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스탑 동작의 안정적인 구현이 가능한 효과도 가져온다.
도 1은 종래의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리셋 상태를 나타낸 내부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스탑 상태를 나타낸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스탑 버튼 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스탑버튼과 커버의 조립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스탑 버튼의 스탑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리셋 상태를 나타낸 내부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스탑 상태를 나타낸 내부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스탑 버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스탑 버튼과 레버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스탑 버튼과 홀더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리셋 상태를 나타낸 내부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스탑 상태를 나타낸 내부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시 폐로 접점부(10), 상기 개로 접점부(20), 바이어스 스프링(30), 바이메탈(40), 석방레버(50), 홀더(60) 및 스탑버튼(70)을 포함한다.
상기 폐로 접점부(10)는 단자(1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단자(15)를 통해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회로는 전동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전동기에 연결되는 전원회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폐로 접점부(10)는 제1가동접촉자(12)와, 제1고정접촉자(11)를 구비하고, 상기 회로에 정상 전류가 흐를 때 폐로 상태, 즉 제1가동접촉자(12)와 제1고정접촉자(11)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개로 접점부(20)는 제2가동접촉자(22)와 제2고정접촉자(21)를 구비한다. 상기 개로 접점부(20)는 상기 회로에 정상 전류가 흐를 때 개로 상태, 즉 제2가동접촉자(22)와 제2고정접촉자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상태에 있게 된다. 제2가동접촉자(22)는 길이가 길고 짧은 2개의 얇은 금속판을 맡대어 구성되며, 해당 금속판들은 일단부가 케이스(90)의 지지부에 고정 및 지지된다. 제2가동접촉자(22)중 길이가 긴 금속판의 단부에는 제2고정접촉자(21)를 마주보게 접점이 부착된다.
바이어스 스프링(30)은 상기 상시 개로 접점부(20)의 제2가동접촉자(22)에 설치되어, 제2가동접촉자(22)를 제2고정접촉자(21)로부터 분리되는 개로 위치로 탄성 가압한다. 바이어스 스프링(30)은 제2가동접촉자(22)의 길이가 길고 짧은 2개의 얇은 금속판에 걸쳐 설치되어 제2가동접촉자(22) 중 길이가 긴 금속판에 제2고정접촉자(21)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과한다.
바이메탈(40)은 회로상의 과전류 발생시 만곡하여 상기 상시 폐로 접점부(10)의 제1가동접촉자(12)를 제1고정접촉자(11)로부터 분리되는 트립 위치로 동작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바이메탈(40)은 단자(15)를 통해서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바이메탈(40)의 외주면에 히터를 감아서 바이메탈(40)의 열 변위 특성 즉 접합한 2종의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바이메탈(40)에 있어서 두 금속소재간 열팽창율 차이에 의해 바이메탈(40)이 휘는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석방레버(50)는 대략 '┛'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이 케이스(9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지지된다. 또한 바이메탈(40)의 상부는 상기 석방레버(50)의 세로변에 연결되며, 바이메탈(40)의 하단은 케이스(90)의 바닥에 구속되어 있다.
따라서, 바이메탈(40)의 만곡 여부에 따라서 석방레버(50)가 회동되는 구조이다.
석방레버(50)는 바이메탈(40)의 만곡시 회동하여 상기 상시 개로 접점부(20)의 제2가동접촉자(22)를 제2고정접촉자(21)에 접촉하는 위치로 가압하게 된다. 석방레버(50)가 도 6에서 우측방향으로 만곡하는 바이메탈(40)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가동접촉자(22)의 중간부분을 누를 수 있도록, 석방레버(50)의 길이 및 설치 위치가 결정되며, 제2가동접촉자(22)중 목적하는 중간위치를 집중하여 효과적으로 누르는데 적합하도록 석방레버(50)의 누름 부위는 하방으로 뾰족하게 연장되는 돌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2가동접촉자(22)는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므로 석방레버(50)가 제2가동접촉자의 길이방향의 중간부위를 누르면, 바이어스 스프링(30)에 의해 제2고정접촉자(21)로부터 분리된 위치를 갖도록 탄성 바이어스되고 있던 제2가동접촉자(22)의 접점부분이 반전하여 제2고정접촉자(21)측으로 접근하게 된다.
홀더(60)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개로 접점부(20)의 제2가동접촉자(22)의 운동을 상기 폐로 접점부(10)의 제1가동접촉자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제2가동접촉자(22)는 석방레버(50)의 가압에 의하여 반전되며 상부의 제2고정접촉자(21)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홀더(60)는 상기 제2가동접촉자(22)의 단부와 상기 제1가동접촉자(12)의 단부를 구속하여, 상기 제2가동접촉자(22)의 운동시에 상기 제1가동접촉자(12)가 함께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해준다. 다시말해, 상기 제2가동접촉자(22)의 단부와, 상기 제1가동접촉자(12)의 단부가 상기 홀더(60)에 연결되어, 이들이 일체로 승하강 운동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홀더(60)는 제2가동접촉자(22)의 선단을 상하방향으로 구속하기 위한 제2돌부(62)와, 제1가동접촉자(12)의 하단을 지지하여, 홀더(60)의 상승시 제1가동접촉자(12)가 홀더(60)와 함께 상승하도록 하는 제1돌부(61)를 구비한다.
또한 홀더(60)는 승하강하며 케이스(90)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트립표시부(65)를 회동시켜, 트립표시부(65)가 외부로 트립 동작하였음을 표시하도록 한다.
종래의 스탑 버튼은 독자적으로 제1가동접촉자(12)만을 상승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링크 부재를 이용하여 제1가동접촉자(12)를 상승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나, 본 발명의 스탑 버튼은 스탑버튼(70)이 석방레버(50) 및 홀더(60)와 연계 동작을 통하여 제1가동접촉자(12)를 상승시켜 스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탑버튼의 구조를 간소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스탑 버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스탑버튼(70)은 단일 부품으로 구성되며, 석방레버(50)를 가압하기 위한 제1돌기(72)와, 홀더(60)에 간섭하여 홀더의 상승을 억제하는 제2돌기(7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제2돌기(74)는 상시 개로 접점부(20)의 제2가동접촉자(22)가 제2고정접촉자(21)에 접촉하기 이전의 위치에서 홀더(60)의 상승을 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스탑 버튼과 레버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스탑 버튼은 석방레버(50)를 위에서 아래로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돌기(72)가 형성된다. 스탑버튼(70)을 누르게 되면, 제1돌기(72)가 석방레버(50)를 가압하게 되고, 석방레버(50)는 제2가동접촉자(22)를 가압하게 된다. 제2가동접촉자(22)가 석방레버(50)에 의하여 가압되면 바이메탈(40)의 만곡시와 마찬가지로 제2가동접촉자(22)는 상부로 반전되며 제2고정접촉자 측으로 접근하게 되는데, 이 때 제2고정접접촉자(21)와 함께 홀더(60)가 승하며, 홀더(60)에 연결된 제1가동접촉자(12)가 제1고정접점으로 분리된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스탑 버튼과 홀더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탑버튼(70)에는 홀더 측으로 연장 형성된 암(75)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암(75)의 단부에 제2돌기(74)가 형성된다. 종래에는 상기 암(75)이 홀더(60)에 지지되며 스탑버튼(70)의 승하강 운동을 안내하는 기능만을 수행하였으나, 본 발명의 경우 암(75)의 끝단부에 홀더(60)의 제2돌부(62)에 간섭되는 제2돌기(74)를 구비한다.
홀더(60)에는 제1가동접촉자(12)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돌부(61)와, 제2가동접촉자(22)의 상하를 구속하기 위한 제2돌부(62)를 구비한다. 상기 제2돌기(74)는 상기 제2가동접촉자(22)의 상하를 구속하기 위한 제2돌부(62)에 간섭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스탑버튼(70)을 누르기 전의 상태(도 6 참조)에서는 스탑버튼(70)의 제2돌기(74)는 제2고정접촉자(21) 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제2돌기(74)로 인하여 트립 동작시 제2가동접촉자(22)가 제2고정접촉자(21)에 접촉할 수 없기 때문이다.
스탑버튼(70)은 일시적으로 눌러 스탑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스탑버튼(70)이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여 한다. 이를 위하여 스탑버튼(70)이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스탑버튼(70)은 제1돌기(72)가 석방레버(50)의 상부면에 지지되고 있으므로, 탄성부재(75)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스탑버튼(70)이 상승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탄성부재(75)의 생략이 가능하다.
스탑버튼(70)을 가압하여 누르게 되면, 석방레버(50)가 눌려지게 되는데, 이 때 석방레버(50)와 연결된 바이메탈(40)이 휘어지며 바이메탈(40)에 탄성력이 저장되므로, 스탑버튼(70)의 가압이 해제되면 바이메탈(40)의 복원력으로 석방레버(50)가 원위치로 복귀되며 이와 함께 스탑버튼(70)도 상승하게 된다. 물론, 탄성부재(75)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스탑버튼(70)을 상승사키는 복원력이 탄성부재(75)에 의하여 추가적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더욱 원활한 복원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10 : 상기 폐로 접점부
11 : 제1고정접촉자
12 : 제1가동접촉자
20 : 상기 개로 접접부
21 : 제2고정접촉자
22 : 제2가동접촉자
30 : 바이어스 스프링
40 : 바이메탈
50 : 석방레버
60 : 홀더
61 : 제1돌부
62 : 제2돌부
70 : 스탑버튼
72 : 제1돌기부
74 : 제2돌기부
75 : 암(arm)

Claims (6)

  1. 제1가동접촉자와 제1고정접촉자를 구비하고, 회로에 정상 전류가 흐를 때 폐로 상태인 상시 폐로 접점부;
    제2가동접촉자와 제2고정접촉자를 구비하고, 상기 회로에 정상 전류가 흐를 때 개로 상태인 상시 개로 접점부;
    회로상의 과전류 발생시 만곡하여 상기 상시 폐로 접점부의 제1가동접촉자를 제1고정접촉자로부터 분리되는 트립 위치로 동작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바이메탈;
    상기 바이메탈에 접속되며, 상기 바이메탈의 만곡시 회동하여 상기 상시 개로 접점부의 제2가동접촉자를 제2고정접촉자에 접촉하는 위치로 가압하는 석방레버;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가동접촉자 및 상기 제1가동접촉자와 함께 승하강하는 홀더;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고, 하강시 석방레버를 가압하며, 상기 상시 개로 접점부의 접촉 이전 위치에서 상기 홀더의 상승을 저지하는 스탑버튼;을 포함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상시 개로 접점부의 제2가동접촉자를 상하방향으로 구속하는 제1돌부와,
    상기 상시 폐로 접점부의 제1가동접촉자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돌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탑버튼은
    상기 석방레버를 가압하는 제1돌기와,
    상기 홀더의 상기 제1돌부에 간섭하여 상기 제2가동접촉자가 상기 제2고정접촉자에 접촉하기 이전 위치에서 상기 홀더를 저지하는 제2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탑버튼의 복원은 상기 바이메탈의 복원력과 상기 제1가동접촉자의 복원력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탑버튼이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탑버튼이 상승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제2고정접촉자의 상부에 위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KR1020150055534A 2015-04-20 2015-04-20 스탑버튼 구조를 개선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KR101915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534A KR101915722B1 (ko) 2015-04-20 2015-04-20 스탑버튼 구조를 개선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534A KR101915722B1 (ko) 2015-04-20 2015-04-20 스탑버튼 구조를 개선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007A KR20160125007A (ko) 2016-10-31
KR101915722B1 true KR101915722B1 (ko) 2018-11-07

Family

ID=57445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534A KR101915722B1 (ko) 2015-04-20 2015-04-20 스탑버튼 구조를 개선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72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007A (ko) 2016-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66447B2 (ja) 継電器
US6661319B2 (en) Bounce-reduced relay
EP3373319B1 (en) Circuit breaker with instant trip mechanism
JP6744339B2 (ja) 高電圧直流リレー
KR20010043645A (ko) 전기적 과부하에 대한 접점 메커니즘
JP4127967B2 (ja) 電子式過負荷継電器のための接点機構
KR101789224B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US6307455B1 (en) Control mechanism for a circuit breaker
KR101915722B1 (ko) 스탑버튼 구조를 개선한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JP2002516457A (ja) 電子式過負荷継電器のための接点機構
KR100689321B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KR102081698B1 (ko) 배선용 차단기
KR101052715B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KR200453499Y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트립 기구
US6774750B2 (en) Circuit breaker
KR20150134388A (ko) 스위치 장치용 구동부
JP2018067538A (ja) 直接アーマチュア結合を備える電気スイッチング素子
KR101759597B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KR101276923B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JP4258699B2 (ja) 回路遮断器
JPS5936821Y2 (ja) ブレ−カの引外し装置
US1293691A (en) Circuit-breaker and switch.
JP3835043B2 (ja) 熱動形過負荷継電器
KR200345665Y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
KR102535782B1 (ko) 보조접점 기구부를 구비하는 모터보호용 배선용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