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285B1 -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285B1
KR102535285B1 KR1020220032315A KR20220032315A KR102535285B1 KR 102535285 B1 KR102535285 B1 KR 102535285B1 KR 1020220032315 A KR1020220032315 A KR 1020220032315A KR 20220032315 A KR20220032315 A KR 20220032315A KR 102535285 B1 KR102535285 B1 KR 102535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tertiary
primary
mold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두선
Original Assignee
최두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두선 filed Critical 최두선
Priority to KR1020220032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38Accessories for use in connection with riveting, e.g. pliers for upsetting; Hand tools for riveting
    • B21J15/40Accessories for use in connection with riveting, e.g. pliers for upsetting; Hand tools for riveting for forming rivet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1/00Cutt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58Making machine elements rivets
    • B21K1/62Making machine elements rivets special rivets, e.g. with electrical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태양전지, 전동공구 등에 적용되는 중대형 리튬이온 2차 전지용에 사용되는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종래 절삭가공을 통해 제조되던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를 다수 단계의 단조가공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비용을 월등히 절감할 수 있고, 단조가공 후, 이뤄지는 별도의 프레스 가공을 생략하여 제조 소요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단조 가공 중 둘레 버(Burr)가 생성되지 않아 트리밍 가공 및 트리밍 파단면 다듬질 가공을 생략할 수 있어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원재료를 절약할 수 있어 생산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은, 금속 와이어 재료를 이용하여 다수 단계의 단조가공을 통해 리벳 형상의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70)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재료공급부에서 단면 원형 형상의 금속 와이어 재료(1)를 소정길이로 절단하여 1차 성형지지틀(10)로 이송하는 재료공급단계;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과 대향하는 위치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1차 타격부(20)를 이용해 상기 금속 와이어 재료(1)를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 중앙 내부의 1차 성형홀(11) 측으로 타격하여 상기 재료(1)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1차 원형 리벳 머리부(2) 및 후방 지지홈(3)을 형성하고, 상기 1차 원형 리벳 머리부(2)와 상기 후방 지지홈(3) 사이에 리벳 몸체부(4)를 형성하는 1차 가공단계; 상기 1차 가공단계 후, 2차 타격부(30)가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의 대향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2차 타격부(30)가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에 놓인 상기 재료(1)를 타격하여 상기 1차 원형 리벳 머리부(2)를 소정두께로 더 얇고 소정반경으로 반경이 더 긴 2차 원형 리벳 머리부(5)로 가압성형하고, 상기 2차 원형 리벳 머리부(5)로 가압 성형된 상기 재료(1)를 상기 2차 타격부(30)가 이송받아 2차 성형지지틀(40)의 대향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의 2차 배출홀(41) 측으로 상기 재료(1)의 리벳 몸체부(4)를 삽입 이송하는 2차 가공단계; 상기 2차 가공단계 후, 3차 타격부(50)가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의 대향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3차 타격부(50)가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에 놓인 상기 재료(1)를 타격하여 상기 2차 원형 리벳 머리부(5)를 소정두께로 더 얇고 소정반경으로 반경이 더 긴 3차 원형 리벳 머리부(6)로 가압 성형함과 함께, 상기 3차 원형 리벳 머리부(6)의 중심에 소정깊이의 머리부 중앙홈(7)을 형성하는 3차 가공단계; 및, 상기 3차 가공단계 후, 상기 머리부 중앙홈(7)이 형성되는 상기 3차 원형 리벳 머리부(6), 리벳 몸체부(4) 및, 후방 지지홈(3)을 포함하게 가압 성형된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60)를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로부터 분리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The Manufacturing Method of Rivet Type Battery Terminal Plate}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태양전지, 전동공구 등에 적용되는 중대형 리튬이온 2차 전지용에 사용되는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종래 절삭가공을 통해 제조되던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를 다수 단계의 단조가공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비용을 월등히 절감할 수 있고, 단조가공 후, 이뤄지는 별도의 프레스 가공을 생략하여 제조 소요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단조 가공 중 둘레 버(Burr)가 생성되지 않아 트리밍 가공 및 트리밍 파단면 다듬질 가공을 생략할 수 있어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원재료를 절약할 수 있어 생산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환경규제가 엄격해짐에 따라 자동차 시장의 미래 경쟁력은 환경자동차 개발에 달려있다. 이미 1990년대부터 달구어지기 시작한 환경자동차에 대한 관심은 하이브리드 자동차(Hybrid car)라는 이름으로 제일 먼저 상용화되어 개발되었다. 더욱이, 최근 고유가 및 환경 문제 등으로 인해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어, 상기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Hybrid Electric Vehicle) 시장이 매년 60% 이상의 고성장을 이루고 있고, 앞으로도 친환경차의 시장 구매력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잡종, 혼혈"이라는 Hybrid의 뜻처럼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내연기관과 전기모터를 함께 장착한 복합차량으로서, 전기모터로 시동을 건 이후 일정한 속도가 붙을 때까지의 저속주행은 전기모터가 맡고 가속 시에는 엔진이 가동되고 전기모터가 보조동력으로 작동되어 가속성을 증가시키고, 감속할 때에는 자동차가 가던 힘으로 발전기를 돌려 차량의 운동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전환되어 배터리에 저장되게 된다. 그리고,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의 힘으로 모터를 구동시켜 주행하는 전기자동차(전용)도 개발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전기자동차에 탑재되는 배터리는 양의 전극과 음의 전극에 발생되는 전기분해를 통해 전기를 얻어 충전하는 전지이다. 즉, 양이온과 음이온을 포함하고 있는 용액에 양극(구리)과 음극(알루미늄)의 2개의 전극이 서로 떨어져 있는 상태로 잠겨 있는 장치인 리튬이온 2차 전지이다. 이때, 변형이 일어나는 물질은 전극일(활물질) 수도 있고, 용액의 성분일 수도 있으며, 용액 속으로 용해될 수도 있다. 전류(즉 전자)는 음극으로 들어가고, 용액 속에 있는 양전하를 띠고 있는 물질은 이 전극으로 이동, 전자와 결합하여 중성인 원소 또는 분자로 된다. 용액에서 음전하를 띠고 있는 성분은 양극으로 이동해 전자를 잃고 중성인 원소나 분자로 바뀐다. 만약 변화되는 물질이 전극이면 일반적으로 전극이 전자를 잃고 용액 속으로 용해되는 반응이 일어난다. 여기서, 상기 양의 전극과 음의 전극은 배터리의 캔(하우징) 개방부를 차단하는 캡 플레이트에 나사부 고정되는 터미널에 레이저 용접되어 캔 내부에 수용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은 일측 면에 양 전극이 끼워져 고정되는 연결단자가 동일체로 마련되고, 타측 면에는 너트와 결합되어 캔에 고정시키는 한편, 외부의 전선과 연결되는 단부를 제공하는 나사부가 동일체로 마련된다. 이때, 상기 양 전극과 터미널의 연결단자 부분은 레이저 용접을 통해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배터리 터미널은 별도의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에 조립되어 사용되어지는데, 종래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으로는 부피체로 이루어진 피가공재료를 여러 개의 프레스기로 옮겨가면서 다수 번의 단조 가공을 통해 기본적인 형태로 성형한 가공 후, 불필요한 부분을 잘라내고(트리밍가공), 표면을 가공하여 마무리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 제조방법은 피가공재료를 여러 개의 단조 장치로 옮겨가면서 가공을 하게 되므로, 피가공재료는 물론, 가공장치의 이동경로가 길어져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있다.
이에, 본원 발명자가 발명하여 특허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1240452호(발명의 명칭:'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에서는, 다수의 가압금형이 하나의 고정블럭에 고정설치하고, 필요한 단조 가공에 따라 고정금형에 대응되는 각 가압금형을 상기 고정블럭의 이동을 통해 상기 고정금형의 대향 위치로 이동시킨 후, 피가공재료를 가압 성형하도록 구성되어, 피가공재료 및 가공장치의 성형가공에 따른 이동경로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다수 단계의 단조가공 후, 별도 마무리 가공 공정이 복잡하고, 특히, 리벳형의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경우, 단조가공 후에 둘레 버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프레스 가공이 필요하여 제조시간이 증가되고, 프레스 가공 후 둘레 버의 제거 파단면이 거칠어 별도의 다듬질 공정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원 발명자가 발명하여 특허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2100451호(발명의 명칭:'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에서는, 다수 단계의 단조 가공 과정 내에서 이뤄지는 트리밍 가공을 통해 둘레 버(Burr)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프레스 가공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 소요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트리밍 가공단계에서 둘레 버(Burr)가 제거되어 원재료가 다량 소비되고, 제조비용이 증가되며, 트리밍 가공 중 발생되는 파단면의 발생으로 제품 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240452호(발명의 명칭:'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등록특허 제10-2100451호(발명의 명칭:'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종래 절삭가공을 통해 제조되던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를 다수 단계의 단조가공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단조가공 후, 이뤄지는 별도의 프레스 가공을 생략하여 제조 소요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단조 가공 중 둘레 버(Burr)가 생성되지 않도록 하여 단조 가공 중 트리밍 가공을 생략할 수 있게 하고, 트리밍 가공에 따른 파단면 다듬질 가공을 생략하여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며, 원재료의 절약을 통해 생산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금속 와이어 재료를 이용하여 다수 단계의 단조가공을 통해 리벳 형상의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재료공급부에서 단면 원형 형상의 금속 와이어 재료(1)를 소정길이로 절단하여 1차 성형지지틀(10)로 이송하는 재료공급단계;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과 대향하는 위치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1차 타격부(20)를 이용해 상기 금속 와이어 재료(1)를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 중앙 내부의 1차 성형홀(11) 측으로 타격하여 상기 재료(1)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1차 원형 리벳 머리부(2) 및 후방 지지홈(3)을 형성하고, 상기 1차 원형 리벳 머리부(2)와 상기 후방 지지홈(3) 사이에 리벳 몸체부(4)를 형성하는 1차 가공단계; 상기 1차 가공단계 후, 2차 타격부(30)가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의 대향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2차 타격부(30)가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에 놓인 상기 재료(1)를 타격하여 상기 1차 원형 리벳 머리부(2)를 소정두께로 더 얇고 소정반경으로 반경이 더 긴 2차 원형 리벳 머리부(5)로 가압성형하고, 상기 2차 원형 리벳 머리부(5)로 가압 성형된 상기 재료(1)를 상기 2차 타격부(30)가 이송받아 2차 성형지지틀(40)의 대향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의 2차 배출홀(41) 측으로 상기 재료(1)의 리벳 몸체부(4)를 삽입 이송하는 2차 가공단계; 상기 2차 가공단계 후, 3차 타격부(50)가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의 대향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3차 타격부(50)가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에 놓인 상기 재료(1)를 타격하여 상기 2차 원형 리벳 머리부(5)를 소정두께로 더 얇고 소정반경으로 반경이 더 긴 3차 원형 리벳 머리부(6)로 가압 성형함과 함께, 상기 3차 원형 리벳 머리부(6)의 중심에 소정깊이의 머리부 중앙홈(7)을 형성하는 3차 가공단계; 및, 상기 3차 가공단계 후, 상기 머리부 중앙홈(7)이 형성되는 상기 3차 원형 리벳 머리부(6), 리벳 몸체부(4) 및, 후방 지지홈(3)을 포함하게 가압 성형된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60)를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로부터 분리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1차 타격부(20)에는, 전방에 1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21)이 형성되고,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은, 중앙 내부에 상기 1차 성형홀(11)이 소정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1차 성형홀(1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1차 후방 지지로드(12)가 구비되며, 상기 1차 후방 지지로드(12)의 전단에는 후방 지지홈 성형돌기(13)가 구비되고, 상기 1차 후방 지지로드(12)는 상기 후방 지지홈 성형돌기(13)가 상기 1차 성형홀(11)의 전단부에서 후방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상기 1차 성형홀(1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1차 가공단계는, 상기 1차 타격부(20)가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1차 후방 지지로드(12)의 후방 지지홈 성형돌기(13) 측으로 상기 재료(1)를 타격하는 경우, 가압력을 받은 상기 재료(1)의 전방부는 상기 1차 타격부(20)의 1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21)으로 밀려들어가 상기 1차 원형 리벳 머리부(2)를 형성하고, 상기 재료(1)의 후방부는 상기 1차 성형홀(11) 측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후방 지지홈 성형돌기(13)를 통해 후방 지지홈(3)이 성형 가공되고, 상기 1차 원형 리벳 머리부(2) 및 후방 지지홈(3) 사이에 리벳 몸체부(4)가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2차 타격부(30)에는, 2차 타격부 몸체부(31)에 2차 가압로드 이동홀(32)이 소정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2차 가압로드 이동홀(32)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2차 가압로드(33)가 구비되며, 상기 2차 가압로드(33)의 중앙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2차 타격로드 이동홀(34)이 소정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2차 타격로드 이동홀(34)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2차 타격로드(35)가 구비되며, 상기 2차 가압로드(33)의 후방측에는 상기 2차 가압로드(33)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2차 가압로드 탄성지지스프링(36)이 구비되고,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은, 중앙에 소정깊이로 3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42)이 형성되며, 상기 3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42)의 중앙에는 소정길이로 형성되는 상기 2차 배출홀(41)의 전단부가 통공되게 형성되고, 상기 2차 배출홀(4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2차 배출로드(43)가 구비되고, 상기 2차 배출로드(43)의 전단에는 후방 지지홈 안착돌기(44)가 구비되며, 상기 2차 배출로드(43)는 상기 후방 지지홈 안착돌기(44)가 상기 2차 배출홀(41)의 전단부에서 후방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상기 2차 배출홀(41)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2차 가공단계는, 상기 2차 타격부(30)가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1차 가공단계 후,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 측으로 전진이동하여 상기 2차 가압로드(33)의 전단면이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의 1차 성형홀(11) 전단 둘레면과 맞닿게 되고, 상기 2차 타격부(30)가 상기 2차 가압로드 탄성지지스프링(36)의 탄성력보다 더 큰 가압력으로 상기 2차 타격부 몸체부(31)가 전진이동하면, 상기 2차 가압로드(33)의 전단면이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의 1차 성형홀(11) 전단 둘레면과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2차 가압로드(33)는 상대적으로 상기 2차 가압로드 이동홀(32)을 따라 후진이동되면서 상기 탄성지지스프링(36)를 압축하고, 상기 2차 타격부 몸체부(31)와 함께 전진이동하는 상기 2차 타격로드(35)의 전면이 상기 1차 원형 리벳 머리부(2)의 전방을 가압하며, 상기 2차 타격로드(35)의 가압력을 받은 상기 1차 원형 리벳 머리부(2)를 형성하는 상기 재료(1)의 전방이 상기 2차 타력로드의 전면 및 상기 2차 타격로드 이동홀(34)의 전방측이 형성하는 빈 공간으로 밀려들어가 상기 2차 원형 리벳 머리부(5)로 성형되고, 성형된 상기 2차 원형 리벳 머리부(5)가 상기 2차 타격로드 이동홀(34)의 전방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2차 타격부(30)가 후퇴하며,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의 1차 후방 지지로드(12)는 전진이동하여 상기 재료(1)의 후방을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로부터 분리 이탈시키며, 상기 2차 타격부(30)는 상기 2차 원형 리벳 머리부(5)가 상기 2차 타격로드 이동홀(34)의 전방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의 대향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2차 타격로드(43)가 전진이동하여 상기 2차 타격로드 이동홀(34)에 삽입된 상기 2차 원형 리벳 머리부(5)를 상기 2차 타격부(30)로부터 분리 이탈시키면서 상기 리벳 몸체부(4) 및 후방 지지홈(3)을 상기 2차 배출홀(41) 측으로 삽입 이송시킬 수 있으며,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3차 타격부(50)는, 3차 타격로드 지지홀(52)이 소정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3차 타격로드 지지홀(52)의 내부에는 3차 타격로드(51)가 상기 3차 타격로드 지지홀(52)의 내측면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전단부가 상기 3차 타격로드 지지홀(52)의 전단부에서 소정거리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3차 타격로드(51)의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지지고무링 안착홈(53)이 소정거리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고무링 안착홈(53)에는 지지고무링(54)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고무링(54)의 외측면은 상기 3차 타격로드 지지홀(52)의 내측면에 접하게 마련되고, 상기 3차 타격로드(51)의 전단면 중앙에는 소정거리 돌출되게 머리부 중앙홈 형성돌기(55)가 구비되며, 상기 3차 타격로드(51)의 전방부가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의 3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42) 측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3차 타격로드(51)의 전방부 외측면이 상기 3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42)의 내측면에 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3차 가공단계는, 상기 3차 타격부(50)가 2차 성형지지틀(40) 측으로 전진이동하여 상기 3차 타격로드(51)의 전방부 외측면이 상기 3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42)의 내측면에 접한 상태로 상기 3차 타격로드(51)의 전방부가 상기 3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42)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되고, 상기 3차 타격로드(51)의 전방부가 상기 3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42)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머리부 중앙홈 형성돌기(55)가 상기 2차 원형 리벳 머리부(5)의 중앙부를 가압하여 머리부 중앙홈(7)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머리부 중앙홈 형성돌기(55)의 가압력 및 상기 3차 타격로드(51) 전방면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2차 원형 리벳 머리부(5)의 일부 재료(1)가 상기 3차 타격로드(51) 전방면 및 3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42)의 내측면이 형성하는 빈 공간으로 밀려 들어가 3차 원형 리벳 머리부(6)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단계는, 상기 3차 타격부(50)가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과 소정거리 이격되는 대향 위치로 후진이동하고,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의 2차 배출로드(43)가 전진이동하여 상기 2차 배출홀(41)의 전방에 삽입된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60)의 후방을 밀어 상기 2차 배출홀(41)로부터 분리 이탈 시키면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은, 종래 절삭가공을 통해 제조되던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를 다수 단계의 단조가공으로 제조할 수 있음과 함께, 단조가공 후, 이뤄지는 별도의 프레스 가공을 생략하여 제조 소요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특히, 단조 가공 중 둘레 버(Burr)가 생성되지 않아 트리밍 가공을 생략할 수 있으며, 트리밍 가공에 따른 파단면 다듬질 가공을 생략할 수 있어 생산효율이 향상되고, 원재료의 절약을 통해 생산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공정 블럭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차 가공단계를 나타내는 단면 공정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2차 가공단계를 나타내는 단면 공정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3차 가공단계 및 배출단계를 나타내는 단면 공정도;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각 가공단계를 거치면서 재료의 성형 변화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공정 블럭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차 가공단계를 나타내는 단면 공정도이며,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2차 가공단계를 나타내는 단면 공정도이다.
또한,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3차 가공단계 및 배출단계를 나타내는 단면 공정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각 가공단계를 거치면서 재료의 성형 변화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은, 금속 와이어 재료(1)를 이용하여 다수 단계의 단조가공을 통해 리벳 형상의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60)를 제조하는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재료공급부에서 소정길이로 절단한 금속 와이어 재료(1)를 공급하는 재료공급단계와, 공급된 재료(1)를 단조 가공하여 전방부에는 1차 원형 리벳 머리부(2)를 형성하고, 후방부에는 후방 지지홈(3)을 형성하며, 상기 머리부와 지지홈 사이에 리벳 몸체부(4)를 형성하는 1차 가공단계와, 상기 1차 원형 리벳 머리부(2)를 2차 원형 리벳 머리부(5)로 성형가공하는 2차 가공단계와, 상기 2차 원형 리벳 머리부(5)를 3차 원형 리벳 머리부(6)로 성형가공하고, 상기 3차 원형 리벳 머리부(6)의 중앙에 머리부 중앙홈(7)을 형성하는 3차 가공단계 및, 상기 1차, 2차 및, 3차 가공단계를 거쳐 성형가공 완료된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60)를 2차 성형지지틀(40)에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단계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재료공급단계는, 단면 원형 형상의 금속 와이어 재료(1)를 재료공급부에서 소정길이로 절단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성형지지틀(10)의 중앙 전방으로 이송하며, 바람직하게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재료공급부를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의 좌, 우측 중 일측방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하여 재료공급부가 단면 원형 형상의 금속 와이어 재료(1)를 절단함과 동시에 절단된 상기 재료(1)를 아래에서 받친 상태로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의 1차 성형홀(11) 측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1차 가공단계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과 대향하는 위치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1차 타격부(20)를 이용해 상기 금속 와이어 재료(1)를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 중앙 내부의 1차 성형홀(11) 측으로 타격하여 상기 재료(1)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1차 원형 리벳 머리부(2) 및 후방 지지홈(3)을 형성하고, 상기 1차 원형 리벳 머리부(2)와 상기 후방 지지홈(3) 사이에 리벳 몸체부(4)를 형성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 타격부(20)는 전방에 1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21)이 형성되고,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은, 중앙 내부에 1차 성형홀(11)이 소정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1차 성형홀(1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1차 후방 지지로드(12)가 구비되며, 상기 1차 후방 지지로드(12)의 전단에는 후방 지지홈 성형돌기(13)가 구비되고, 상기 1차 후방 지지로드(12)는 상기 후방 지지홈 성형돌기(13)가 상기 1차 성형홀(11)의 전단부에서 후방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상기 1차 성형홀(1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1차 가공단계는, 상기 1차 타격부(20)가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1차 후방 지지로드(12)의 후방 지지홈 성형돌기(13) 측으로 상기 재료(1)를 타격하는 경우, 가압력을 받은 상기 재료(1)의 전방부는 상기 1차 타격부(20)의 1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21)으로 밀려들어가 상기 1차 원형 리벳 머리부(2)를 형성하고, 상기 재료(1)의 후방부는 상기 1차 성형홀(11) 측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후방 지지홈 성형돌기(13)를 통해 후방 지지홈(3)이 성형 가공되고, 상기 1차 원형 리벳 머리부(2) 및 후방 지지홈(3) 사이에 리벳 몸체부(4)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타격부(20)에 있어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 타력부 몸체부에 1차 타격로드 이동홀(22)을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구비하고, 상기 1타 타격로드 이동홀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1차 타격로드(23)를 구비하며, 상기 1차 타격로드(23)의 전방면에는 상기 1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21)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1차 타격로드 이동홀(22)의 내부 후방에는, 일측이 1차 타격로드 이동홀(22)의 후단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1차 타격로드(23)의 후방측에 고정되는, 1차 타격로드 가압스프링(24)을 구비하여 상기 가압스프링(24)의 탄성력 조절을 통해 1차 타격로드(23)의 상기 재료(1)에 대한 가압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2차 가공단계는,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 가공단계 후, 2차 타격부(30)가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의 대향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2차 타격부(30)가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에 놓인 상기 재료(1)를 타격하여 상기 1차 원형 리벳 머리부(2)를 소정두께로 더 얇고 소정반경으로 반경이 더 긴 2차 원형 리벳 머리부(5)로 가압성형하고, 상기 2차 원형 리벳 머리부(5)로 가압 성형된 상기 재료(1)를 상기 2차 타격부(30)가 이송받아 2차 성형지지틀(40)의 대향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의 2차 배출홀(41) 측으로 상기 재료(1)의 리벳 몸체부(4)를 삽입 이송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차 타격부(30)에는, 2차 타격부 몸체부(31)에 2차 가압로드 이동홀(32)이 소정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2차 가압로드 이동홀(32)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2차 가압로드(33)가 구비되며, 상기 2차 가압로드(33)의 중앙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2차 타격로드 이동홀(34)이 소정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2차 타격로드 이동홀(34)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2차 타격로드(35)가 구비되며, 상기 2차 가압로드(33)의 후방측에는 상기 2차 가압로드(33)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2차 가압로드 탄성지지스프링(36)이 구비되고,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은, 중앙에 소정깊이로 3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42)이 형성되며, 상기 3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42)의 중앙에는 소정길이로 형성되는 2차 배출홀(41)의 전단부가 통공되게 형성되고, 상기 2차 배출홀(4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2차 배출로드(43)가 구비되고, 상기 2차 배출로드(43)의 전단에는 후방 지지홈 안착돌기(44)가 구비되며, 상기 2차 배출로드(43)는 상기 후방 지지홈 안착돌기(44)가 상기 2차 배출홀(41)의 전단부에서 후방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상기 2차 배출홀(41)의 내부에 구비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상기 2차 타격부(30) 및 2차 성형지지틀(40)을 통해 이뤄지는 상기 2차 가공단계의 성형 가공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2차 타격부(30)가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1차 가공단계 후,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 측으로 전진이동하여 상기 2차 가압로드(33)의 전단면이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의 1차 성형홀(11) 전단 둘레면과 맞닿게 되고, 상기 2차 타격부(30)가 상기 2차 가압로드 탄성지지스프링(36)의 탄성력보다 더 큰 가압력으로 상기 2차 타격부 몸체부(31)가 전진이동하면, 상기 2차 가압로드(33)의 전단면이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의 1차 성형홀(11) 전단 둘레면과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2차 가압로드(33)는 상대적으로 상기 2차 가압로드 이동홀(32)을 따라 후진이동되면서 상기 탄성지지스프링(36)를 압축하고, 상기 2차 타격부 몸체부(31)와 함께 전진이동하는 상기 2차 타격로드(35)의 전면이 상기 1차 원형 리벳 머리부(2)의 전방을 가압하며, 상기 2차 타격로드(35)의 가압력을 받은 상기 1차 원형 리벳 머리부(2)를 형성하는 상기 재료(1)의 전방이 상기 2차 타력로드의 전면 및 상기 2차 타격로드 이동홀(34)의 전방측이 형성하는 빈 공간으로 밀려들어가 소정두께의 원형 플레이트 형상의 상기 2차 원형 리벳 머리부(5)로 성형되고, 성형된 상기 2차 원형 리벳 머리부(5)가 상기 2차 타격로드 이동홀(34)의 전방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2차 타격부(30)가 후퇴하며,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의 1차 후방 지지로드(12)는 전진이동하여 상기 재료(1)의 후방을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로부터 분리 이탈시키며, 상기 2차 타격부(30)는 상기 2차 원형 리벳 머리부(5)가 상기 2차 타격로드 이동홀(34)의 전방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의 대향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2차 타격로드(43)가 전진이동하여 상기 2차 타격로드 이동홀(34)에 삽입된 상기 2차 원형 리벳 머리부(5)를 상기 2차 타격부(30)로부터 분리 이탈시키면서 상기 리벳 몸체부(4) 및 후방 지지홈(3)을 상기 2차 배출홀(41) 측으로 삽입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3차 가공단계는,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차 가공단계 후, 3차 타격부(50)가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의 대향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3차 타격부(50)가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에 놓인 상기 재료(1)를 타격하여 상기 2차 원형 리벳 머리부(5)를 소정두께로 더 얇고 소정반경으로 반경이 더 긴 3차 원형 리벳 머리부(6)로 가압 성형함과 함께, 상기 3차 원형 리벳 머리부(6)의 중심에 소정깊이의 머리부 중앙홈(7)을 형성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차 타격부(50)는, 3차 타격로드 지지홀(52)이 소정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3차 타격로드 지지홀(52)의 내부에는 3차 타격로드(51)가 상기 3차 타격로드 지지홀(52)의 내측면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전단부가 상기 3차 타격로드 지지홀(52)의 전단부에서 소정거리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3차 타격로드(51)의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지지고무링 안착홈(53)이 소정거리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고무링 안착홈(53)에는 지지고무링(54)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고무링(54)의 외측면은 상기 3차 타격로드 지지홀(52)의 내측면에 접하게 마련되고, 상기 3차 타격로드(51)의 전단면 중앙에는 소정거리 돌출되게 머리부 중앙홈 형성돌기(55)가 구비되며, 상기 3차 타격로드(51)의 전방부가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의 3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42) 측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3차 타격로드(51)의 전방부 외측면이 상기 3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42)의 내측면에 접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상기 3차 타격부(50) 및 2차 성형지지틀(40)을 통해 이뤄지는 상기 3차 가공단계의 성형 가공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3차 타격부(50)가 2차 성형지지틀(40) 측으로 전진이동하여 상기 3차 타격로드(51)의 전방부 외측면이 상기 3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42)의 내측면에 접한 상태로 상기 3차 타격로드(51)의 전방부가 상기 3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42)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되고, 상기 3차 타격로드(51)의 전방부가 상기 3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42)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머리부 중앙홈 형성돌기(55)가 상기 2차 원형 리벳 머리부(5)의 중앙부를 가압하여 머리부 중앙홈(7)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머리부 중앙홈 형성돌기(55)의 가압력 및 상기 3차 타격로드(51) 전방면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2차 원형 리벳 머리부(5)의 일부 재료(1)가 상기 3차 타격로드(51) 전방면 및 3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42)의 내측면이 형성하는 빈 공간으로 밀려 들어가 3차 원형 리벳 머리부(6)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3차 타격로드(51)의 전방부가 상기 3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42) 내부로 진입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지지고무링(54)이 탄성 변형이 유격을 제공하여 상기 3차 타격로드(51)의 전방부가 상기 3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42)으로 진입하기 위한 정 위치에서 약간 벗어나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에도, 상기 지지고무링(54)의 탄성 변형을 통해 상기 3차 타격로드(51)의 전방부의 외측면이 3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42)의 내측면에 접하여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출단계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차 가공단계 후, 상기 머리부 중앙홈(7)이 형성되는 상기 3차 원형 리벳 머리부(6), 리벳 몸체부(4) 및, 후방 지지홈(3)을 포함하게 가압 성형된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60)를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로부터 분리시켜 외부로 배출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3차 타격부(50)가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과 소정거리 이격되는 대향 위치로 후진이동하고,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의 2차 배출로드(43)가 전진이동하여 상기 2차 배출홀(41)의 전방에 삽입된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60)의 후방을 밀어 상기 2차 배출홀(41)로부터 분리 이탈 시키면서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은, 종래 절삭가공을 통해 제조되던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를 다수 단계의 단조가공으로 제조할 수 있음과 함께, 단조가공 후, 이뤄지는 별도의 프레스 가공을 생략하여 제조 소요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특히, 단조 가공 중 둘레 버(Burr)가 생성되지 않아 트리밍 가공을 생략할 수 있으며, 트리밍 가공에 따른 파단면 다듬질 가공을 생략할 수 있어 생산효율이 향상되고, 원재료의 절약을 통해 생산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여러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1 : 금속 재료 2 : 1차 원형 리벳 머리부
3 : 후방 지지홈 4 : 리벳 몸체부
5 : 2차 원형 리벳 머리부 6 : 3차 원형 리벳 머리부
7 : 머리부 중앙홈
10 : 1차 성형지지틀 11 : 1차 성형홀
12 : 1차 후방 지지로드 13 : 후방 지지홈 성형돌기
20 : 1차 타격부 21 : 1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
22 : 1차 타격로드 이동홀 23 : 1차 타격로드
24 : 1차 타격로드 가압스프링
30 : 2차 타격부 31 : 2차 타격부 몸체부
32 : 2차 가압로드 이동홀 33 : 2차 가압로드
34 : 2차 타격로드 이동홀 35 : 2차 타격로드
36 : 2차 가압로드 탄성지지스프링
40 : 2차 성형지지틀 41 : 2차 배출홀
42 : 3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 43 : 2차 배출로드
44 : 후방 지지홈 안착돌기
50 : 3차 타격부 51 : 3차 타격로드
52 : 3차 타격로드 지지홀 53 : 지지고무링 안착홈
54 : 지지고무링 55 : 머리부 중앙홈 형성돌기
60 :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 61 : 고정블럭

Claims (4)

  1. 금속 와이어 재료를 이용하여 다수 단계의 단조가공을 통해 리벳 형상의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70)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재료공급부에서 단면 원형 형상의 금속 와이어 재료(1)를 소정길이로 절단하여 1차 성형지지틀(10)로 이송하는 재료공급단계;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과 대향하는 위치에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1차 타격부(20)를 이용해 상기 금속 와이어 재료(1)를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 중앙 내부의 1차 성형홀(11) 측으로 타격하여 상기 재료(1)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1차 원형 리벳 머리부(2) 및 후방 지지홈(3)을 형성하고, 상기 1차 원형 리벳 머리부(2)와 상기 후방 지지홈(3) 사이에 리벳 몸체부(4)를 형성하는 1차 가공단계;
    상기 1차 가공단계 후, 2차 타격부(30)가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의 대향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2차 타격부(30)가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에 놓인 상기 재료(1)를 타격하여 상기 1차 원형 리벳 머리부(2)를 소정두께로 더 얇고 소정반경으로 반경이 더 긴 2차 원형 리벳 머리부(5)로 가압성형하고, 상기 2차 원형 리벳 머리부(5)로 가압 성형된 상기 재료(1)를 상기 2차 타격부(30)가 이송받아 2차 성형지지틀(40)의 대향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의 2차 배출홀(41) 측으로 상기 재료(1)의 리벳 몸체부(4)를 삽입 이송하는 2차 가공단계;
    상기 2차 가공단계 후, 3차 타격부(50)가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의 대향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3차 타격부(50)가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에 놓인 상기 재료(1)를 타격하여 상기 2차 원형 리벳 머리부(5)를 소정두께로 더 얇고 소정반경으로 반경이 더 긴 3차 원형 리벳 머리부(6)로 가압 성형함과 함께, 상기 3차 원형 리벳 머리부(6)의 중심에 소정깊이의 머리부 중앙홈(7)을 형성하는 3차 가공단계; 및,
    상기 3차 가공단계 후, 상기 머리부 중앙홈(7)이 형성되는 상기 3차 원형 리벳 머리부(6), 리벳 몸체부(4) 및, 후방 지지홈(3)을 포함하게 가압 성형된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60)를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로부터 분리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1차 타격부(20)에는, 전방에 1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21)이 형성되고,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은, 중앙 내부에 상기 1차 성형홀(11)이 소정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1차 성형홀(1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1차 후방 지지로드(12)가 구비되며, 상기 1차 후방 지지로드(12)의 전단에는 후방 지지홈 성형돌기(13)가 구비되고, 상기 1차 후방 지지로드(12)는 상기 후방 지지홈 성형돌기(13)가 상기 1차 성형홀(11)의 전단부에서 후방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상기 1차 성형홀(1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1차 가공단계는, 상기 1차 타격부(20)가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1차 후방 지지로드(12)의 후방 지지홈 성형돌기(13) 측으로 상기 재료(1)를 타격하는 경우, 가압력을 받은 상기 재료(1)의 전방부는 상기 1차 타격부(20)의 1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21)으로 밀려들어가 상기 1차 원형 리벳 머리부(2)를 형성하고, 상기 재료(1)의 후방부는 상기 1차 성형홀(11) 측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후방 지지홈 성형돌기(13)를 통해 후방 지지홈(3)이 성형 가공되고, 상기 1차 원형 리벳 머리부(2) 및 후방 지지홈(3) 사이에 리벳 몸체부(4)가 형성되고,

    상기 2차 타격부(30)에는, 2차 타격부 몸체부(31)에 2차 가압로드 이동홀(32)이 소정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2차 가압로드 이동홀(32)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2차 가압로드(33)가 구비되며, 상기 2차 가압로드(33)의 중앙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2차 타격로드 이동홀(34)이 소정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2차 타격로드 이동홀(34)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2차 타격로드(35)가 구비되며, 상기 2차 가압로드(33)의 후방측에는 상기 2차 가압로드(33)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2차 가압로드 탄성지지스프링(36)이 구비되고,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은, 중앙에 소정깊이로 3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42)이 형성되며, 상기 3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42)의 중앙에는 소정길이로 형성되는 상기 2차 배출홀(41)의 전단부가 통공되게 형성되고, 상기 2차 배출홀(4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2차 배출로드(43)가 구비되고, 상기 2차 배출로드(43)의 전단에는 후방 지지홈 안착돌기(44)가 구비되며, 상기 2차 배출로드(43)는 상기 후방 지지홈 안착돌기(44)가 상기 2차 배출홀(41)의 전단부에서 후방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상기 2차 배출홀(41)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2차 가공단계는, 상기 2차 타격부(30)가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1차 가공단계 후,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 측으로 전진이동하여 상기 2차 가압로드(33)의 전단면이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의 1차 성형홀(11) 전단 둘레면과 맞닿게 되고, 상기 2차 타격부(30)가 상기 2차 가압로드 탄성지지스프링(36)의 탄성력보다 더 큰 가압력으로 상기 2차 타격부 몸체부(31)가 전진이동하면, 상기 2차 가압로드(33)의 전단면이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의 1차 성형홀(11) 전단 둘레면과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2차 가압로드(33)는 상대적으로 상기 2차 가압로드 이동홀(32)을 따라 후진이동되면서 상기 탄성지지스프링(36)를 압축하고, 상기 2차 타격부 몸체부(31)와 함께 전진이동하는 상기 2차 타격로드(35)의 전면이 상기 1차 원형 리벳 머리부(2)의 전방을 가압하며, 상기 2차 타격로드(35)의 가압력을 받은 상기 1차 원형 리벳 머리부(2)를 형성하는 상기 재료(1)의 전방이 상기 2차 타격로드(35)의 전면 및 상기 2차 타격로드 이동홀(34)의 전방측이 형성하는 빈 공간으로 밀려들어가 상기 2차 원형 리벳 머리부(5)로 성형되고, 성형된 상기 2차 원형 리벳 머리부(5)가 상기 2차 타격로드 이동홀(34)의 전방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2차 타격부(30)가 후퇴하며,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의 1차 후방 지지로드(12)는 전진이동하여 상기 재료(1)의 후방을 상기 1차 성형지지틀(10)로부터 분리 이탈시키며, 상기 2차 타격부(30)는 상기 2차 원형 리벳 머리부(5)가 상기 2차 타격로드 이동홀(34)의 전방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의 대향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2차 타격로드(35)가 전진이동하여 상기 2차 타격로드 이동홀(34)에 삽입된 상기 2차 원형 리벳 머리부(5)를 상기 2차 타격부(30)로부터 분리 이탈시키면서 상기 리벳 몸체부(4) 및 후방 지지홈(3)을 상기 2차 배출홀(41) 측으로 삽입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70)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 타격부(50)는, 3차 타격로드 지지홀(52)이 소정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3차 타격로드 지지홀(52)의 내부에는 3차 타격로드(51)가 상기 3차 타격로드 지지홀(52)의 내측면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전단부가 상기 3차 타격로드 지지홀(52)의 전단부에서 소정거리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3차 타격로드(51)의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지지고무링 안착홈(53)이 소정거리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고무링 안착홈(53)에는 지지고무링(54)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고무링(54)의 외측면은 상기 3차 타격로드 지지홀(52)의 내측면에 접하게 마련되고, 상기 3차 타격로드(51)의 전단면 중앙에는 소정거리 돌출되게 머리부 중앙홈 형성돌기(55)가 구비되며,
    상기 3차 타격로드(51)의 전방부가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의 3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42) 측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3차 타격로드(51)의 전방부 외측면이 상기 3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42)의 내측면에 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3차 가공단계는, 상기 3차 타격부(50)가 2차 성형지지틀(40) 측으로 전진이동하여 상기 3차 타격로드(51)의 전방부 외측면이 상기 3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42)의 내측면에 접한 상태로 상기 3차 타격로드(51)의 전방부가 상기 3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42)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되고, 상기 3차 타격로드(51)의 전방부가 상기 3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42)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머리부 중앙홈 형성돌기(55)가 상기 2차 원형 리벳 머리부(5)의 중앙부를 가압하여 머리부 중앙홈(7)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머리부 중앙홈 형성돌기(55)의 가압력 및 상기 3차 타격로드(51) 전방면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2차 원형 리벳 머리부(5)의 일부 재료(1)가 상기 3차 타격로드(51) 전방면 및 3차 원형 리벳 머리부 성형홈(42)의 내측면이 형성하는 빈 공간으로 밀려 들어가 3차 원형 리벳 머리부(6)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단계는, 상기 3차 타격부(50)가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과 소정거리 이격되는 대향 위치로 후진이동하고, 상기 2차 성형지지틀(40)의 2차 배출로드(43)가 전진이동하여 상기 2차 배출홀(41)의 전방에 삽입된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60)의 후방을 밀어 상기 2차 배출홀(41)로부터 분리 이탈 시키면서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KR1020220032315A 2022-03-15 2022-03-15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KR102535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315A KR102535285B1 (ko) 2022-03-15 2022-03-15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315A KR102535285B1 (ko) 2022-03-15 2022-03-15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5285B1 true KR102535285B1 (ko) 2023-05-26

Family

ID=86536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315A KR102535285B1 (ko) 2022-03-15 2022-03-15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2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452B1 (ko) 2011-02-28 2013-03-11 김용수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KR20130115448A (ko) * 2012-04-12 2013-10-22 강태인 가공물 성형장치
KR20170039522A (ko) * 2015-10-01 2017-04-11 김창호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KR102100451B1 (ko) 2019-09-11 2020-05-15 최두선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452B1 (ko) 2011-02-28 2013-03-11 김용수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KR20130115448A (ko) * 2012-04-12 2013-10-22 강태인 가공물 성형장치
KR20170039522A (ko) * 2015-10-01 2017-04-11 김창호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KR102100451B1 (ko) 2019-09-11 2020-05-15 최두선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0451B1 (ko)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KR101857096B1 (ko) 전지 극판 가공 절단장치
KR101240452B1 (ko)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KR101691937B1 (ko) 이격된 금형 사이로 유입되는 전지 극판의 절단장치
KR102002551B1 (ko)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하우징 제조방법 및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커버 접합용 구조물
KR101878446B1 (ko) 변경된 내식성을 구비한 배터리 그리드
KR101779464B1 (ko)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KR101737790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전지 극판을 동시에 복수 개 가공하는 프레스 금형장치
KR101616621B1 (ko) 전지 케이스 및 전지 케이스의 안전 밸브의 형성 방법
CN103403920A (zh) 电池端子板的制备装置及制备方法
KR101621253B1 (ko) 2차 전지 케이스의 제조방법
CN207982018U (zh) 一种滑块抽芯压合卷圆模具结构
KR102535285B1 (ko) 리벳형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CN103182449B (zh) 一种汽车车门外板加强板零件模具
KR101381893B1 (ko) 가공물 성형장치
KR101831796B1 (ko)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KR102646893B1 (ko)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KR101240459B1 (ko) 배터리 터미널 플레이트의 제조방법
KR20130115448A (ko) 가공물 성형장치
KR101655675B1 (ko) 캐비티 필터용 튜닝 스크류의 제조 방법
CN217912401U (zh) 一种应用于汽车安全气囊扩散器生产的侧冲孔模具
KR102326468B1 (ko) 차량용 알루미늄 배터리 케이스의 제조방법
JP2000061575A (ja) シートベルト用エネルギ吸収シャフトの製造方法
CN215279366U (zh) 一种锂电池配件加工装置
CN109351863B (zh) 一种汽车驱动后桥制动器防尘罩复合模具及复合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