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696B1 -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방열구조 - Google Patents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방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696B1
KR102533696B1 KR1020210024084A KR20210024084A KR102533696B1 KR 102533696 B1 KR102533696 B1 KR 102533696B1 KR 1020210024084 A KR1020210024084 A KR 1020210024084A KR 20210024084 A KR20210024084 A KR 20210024084A KR 102533696 B1 KR102533696 B1 KR 102533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terminal
terminals
heat dissipatio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0241A (ko
Inventor
엄재홍
Original Assignee
(주) 대하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하전선 filed Critical (주) 대하전선
Priority to KR1020210024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696B1/ko
Publication of KR20220120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H02S40/345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with cooling means associated with the electrical connection means, e.g. cooling means associated with or applied to the junction bo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방열구조에 관한 것으로, 터미널의 저면에 복수 개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용접에 의해 접속 연결되고, 상기 터미널이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수용되도록 구비된 고정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인해, 태양광 모듈 사이의 발전 전압간 전위차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역전류로 복수 개의 바이패스 다이오드에서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게 방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방열구조{Heat dissipation structure of junction box for solar module}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방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터미널의 저면에 복수 개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용접에 의해 접속 연결되고, 상기 터미널이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수용되도록 구비된 고정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인해, 복수 개의 바이패스 다이오드에서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게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한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방열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반도체의 pn접합(p-n junction)에 빛을 조사하면 광전효과에 의해 광기전력이 일어나는 것을 이용한 것이 태양광 전지(Solar Cell)라 하며, 이 전지를 여러 개 직ㆍ병렬로 연결한 것이 모듈이라고 하는데 모듈에서 나오는 전기를 서로 안정적으로 연결할 때 쓰는 부품을 정션박스 하며 통상적으로 모듈 뒤쪽에 설치하며 정션박스 내부에는 발전시 역 전류를 막기 위한 바이패스 다이오드(Bypass diodes)와 케이블을 연결하는 접속점 및 컨넥터가 내장되어 있고 이를 거친 외부환경으로부터 차단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재질의 함으로 보호되어 있다.
이러한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는 특허출원번호 10-2018-0027677호에 제안된 바 있다.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는, 케이블이 접속되고 복수 개의 다이오드가 설치가능하게 구비되는 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을 상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내부로 수용하여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사각 틀 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덮기 위해 구비되는 커버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터미널은 케이블결합부를 갖추어 제1,2,3터미널로 구분 형성되고, 상기 제1터미널에는 가로로 다이오드가 설치되고, 상기 제1터미널과 제2,3터미널 사이에는 "ㅅ" 형상으로 다이오드가 설치되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터미널에는 방열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2,3터미널에는, 경사부와 절개부를 갖는 고정벽을 형성하여, 다이오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2,3터미널에는 고정공을 형성하여, 터미널의 하부에 위치하는 브라켓과 결합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제1,2,3터미널 사이에는 상호 연결되는 컷팅부를 형상하여 일체로 제작한 후, 다이오드 장착시에는 제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터미널에는 세로로 벽공을 형성하여, 제1터미널의 하부에서 결합하는 브라켓에 구성한 결합벽과 결합되게 구성된다.
상기한 브라켓은 사각 형상의 판 상으로 형성되되, 상면에는 고정공과 결합되도록 돌기 형상의 결합체가 복수 개 형성되고, 중간에는 방열을 위해 가로로 여러 개의 브라켓방열공이 형성되며, 가운데 부분에는 터미널의 벽공에 끼워지도록 세로로 결합벽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결합벽의 좌,우에는 컷팅부 사이의 컷팅공간에 삽입되도록 나란히 제2벽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 외주에는 케이스와의 결합을 위해 여러 개의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케이스는 터미널이 고정된 브라켓을 매부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사각 형상의 틀로 형성되되, 내부면에는 상기 브라켓의 끼움돌기를 수용하도록 요홈이 복수 개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케이스의 양측면에는 커버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걸림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커버는 상기 브라켓이 고정된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덮어 걸림돌기를 통하여 고정되도록 양내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를 걸림시킬 수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다이오드가 방열기능도 갖는 터미널에 최소한으로 접속되어 고정되므로 다이오드에서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게 방열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결합벽과 제2벽에 의해 터미널의 벽공과 컷팅공간이 막혀 있어서 방수 및 방열기능을 갖는 포팅액 충진시 브라켓과 터미널 사이로의 충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어 포팅액으로 인한 방열효과가 떨어질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특허출원번호 10-2018-0027677호, 출원일; 2018년03월08일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터미널의 저면에 복수 개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용접에 의해 접속 연결되고, 상기 터미널이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수용되도록 구비된 고정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인해, 태양광 모듈 사이의 발전 전압간 전위차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역전류로 복수 개의 바이패스 다이오드에서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게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한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방열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부는 덮개부재(11)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구비되고, 저면 양측은 케이블(C)을 배선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하우징(12)에 내설되어 태양광 모듈 사이의 발전 전압간 전위차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역전류로 복수 개의 바이패스 다이오드(13)에서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게 방열시킬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방열구조는, 컷팅용 연결편(111)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조립시 컷팅용 연결편(111)이 제거되는 것에 의해 방수 및 방열을 위해 충진되는 포팅액의 유입이 용이하게 서로에 대하여 이격된 제1,2,3터미널(112,113,114)로 구분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2터미널(112,113)의 각 일측에는 저면으로 바이패스 다이오드(13)를 수용하여 리드부를 용접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1리드부 접속홈(115)과 제1다이오드 수용홈(116)이 형성되고, 상기 제2터미널(113) 타측과 제3터미널(114) 일측에는 저면으로 또 다른 바이패스 다이오드(13)를 수용하여 리드부를 용접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2리드부 접속홈(117)과 제2다이오드 수용홈(118)이 형성되며, 판상에는 한 쌍으로 구성된 복수 개의 제1,2,3고정홀(112a,113a,114a)이 형성되고, 하부 양측은 절개되어 커넥터가 부설된 케이블(C)을 각각 접속시키도록 제1,2접속부(119,119')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터미널(110)과, 상기 터미널(110)이 상면에 위치되어 고정되도록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제1,2,3고정홀(112a,113a,114a)에 각각 삽입되는 것에 의해 걸림되어 상기 터미널(11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 복수 개의 제1,2,3고정돌기(121,122,123)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돌기(121)와 제2고정돌기(122) 그리고 제2고정돌기(122)와 제3고정돌기(123) 사이에는, 상기 터미널(110)의 저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 바이패스 다이오드(13)를 수용가능하도록 사각 형상의 제1,2수용홈(124,125)이 형성되되, 상기 제1,2수용홈(124,125)의 일부는 포팅액 충진시 상기 제1,2수용홈(124,125) 내측으로 포팅액이 공극 없이 유입가능하도록 제1,2개구부(124a,125a)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고정브라켓(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터미널(110)의 제1,2,3터미널(112,113,114)의 각 상단에는, 포팅액이 주입될 수 있도록 제1,2,3포팅액주입홀(112b,113b,114c)이 형성되고, 상기 제1,2,3포팅액주입홀(112b,113b,114c)의 각 하단에는 태양광모듈측으로부터 배선된 연결선을 배선시켜 제1,2,3터미널(112,113,114)과 각각 용접에 의해 접속시킬 수 있도록 제1,2,3배선홀(112c,113c,114c)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고정브라켓(120)의 제1,2수용홈(124,125) 상부에는, 상기 터미널(110)이 고정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2,3배선홀(112c,113c,114c)과 일치되어 태양광 모듈측으로부터 배선된 연결선을 배선시키도록 제1,2,3고정브라켓용 배선홀(126,127,128)이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2,3고정브라켓용 배선홀(126,127,128) 내주면에는 연결선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1,2,3이탈방지돌기(126a,127a,128a)가 더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방열구조에 따르면, 터미널의 저면에 복수 개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용접에 의해 접속 연결되고, 상기 터미널이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수용되도록 구비된 고정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으로 인해, 태양광 모듈 사이의 발전 전압간 전위차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역전류로 복수 개의 바이패스 다이오드에서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게 방출시킬 수 있어서 태양광 모듈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방열구조를 덮개부재와 하우징 그리고 케이블과 함께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방열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방열구조가 하우징에 고정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방열구조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덮개부재(11)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구비되고, 저면 양측은 케이블(C)을 배선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하우징(12)에 내설되어 태양광 모듈 사이의 발전 전압간 전위차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역전류로 복수 개의 바이패스 다이오드(13)에서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게 방열시킬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방열구조(100)는,
컷팅용 연결편(111)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조립시 컷팅용 연결편(111)이 제거되는 것에 의해 방수 및 방열을 위해 충진되는 포팅액의 유입이 용이하게 서로에 대하여 이격된 제1,2,3터미널(112,113,114)로 구분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2터미널(112,113)의 각 일측에는 저면으로 바이패스 다이오드(13)를 수용하여 리드부와 몸체의 음극부를 용접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1리드부 접속홈(115)과 제1다이오드 수용홈(116)이 형성되고, 상기 제2터미널(113) 타측과 제3터미널(114) 일측에는 저면으로 또 다른 바이패스 다이오드(13)를 수용하여 리드부와 몸체의 음극부를 용접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2리드부 접속홈(117)과 제2다이오드 수용홈(118)이 형성되며, 판상에는 한 쌍으로 구성된 복수 개의 제1,2,3고정홀(112a,113a,114a)이 형성되고, 하부 양측은 절개되어 커넥터가 부설된 케이블(C)을 각각 접속시키도록 제1,2접속부(119,119')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터미널(110)과, 상기 터미널(110)이 상면에 위치되어 고정되도록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제1,2,3고정홀(112a,113a,114a)에 각각 삽입되는 것에 의해 걸림되어 상기 터미널(11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 복수 개의 제1,2,3고정돌기(121,122,123)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돌기(121)와 제2고정돌기(122) 그리고 제2고정돌기(122)와 제3고정돌기(123) 사이에는, 상기 터미널(110)의 저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 바이패스 다이오드(13)를 수용가능하도록 사각 형상의 제1,2수용홈(124,125)이 형성되되, 상기 제1,2수용홈(124,125)의 일부는 포팅액 충진시 상기 제1,2수용홈(124,125) 내측으로 포팅액이 공극 없이 유입가능하도록 제1,2개구부(124a,125a)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고정브라켓(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방열구조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방열구조(100)는 상부가 덮개부재(11)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구비되고 저면 양측은 케이블(C)을 배선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하우징(12)에 내설되어 태양광 모듈 사이의 발전 전압간 전위차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역전류로 복수 개의 바이패스 다이오드(13)에서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게 방열시킬 수 있도록 터미널(110)과, 고정브라켓(12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방열구조의 터미널(110)은, 복수 개의 바이패스 다이오드(13)가 용접에 의해 접속 설치됨에 따른 제거되는 컷팅용 연결편(111)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에 의해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컷팅용 연결편(111)을 제거함에 따른 포팅액 유입이 용이하게 서로에 대하여 이격된 제1,2,3터미널(112,113,114)로 구분되고, 상기 제1,3터미널(113,114) 각 일측에는 케이블(C)을 각각 접속시키도록 제1,2접속부가 형성되되며, 상기 제1,2,3터미널(112,113,114) 각 상단에는 포팅액이 주입될 수 있도록 제1,2,3포팅액주입홀(112b,113b,114c)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제1,2,3포팅액주입홀(112b,113b,114c)의 각 하단에는 태양광모듈측으로부터 배선된 연결선을 배선시켜 제1,2,3터미널(112,113,114)과 각각 용접에 의해 접속시킬 수 있도록 제1,2,3배선홀(112c,113c,114c)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13)는, 상기 터미널(110)의 제1,2터미널(112,113)에 형성된 제1리드부 접속홈(115)과 제1다이오드 수용홈(116)과 제2터미널(113)과 제3터미널(114)에 형성된 제2리드부 접속홈(117)과 제2다이오드 수용홈(118)에 수용되어 리드부가 용접에 의해 제1리드부 접속홈(115)과 제2리드부 접속홈(117) 바닥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터미널(110)의 저면에 위치되어 태양광 모듈 사이의 발전 전압간 전위차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역전류를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바이패스 다이오드(13)가 제1다이오드 수용홈(116)과 제2다이오드수용홈(118)에 선접촉이 아닌 면접촉되게 설치되므로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13)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터미널(110)측으로 신속하게 방출시킬 수 있다.
상기한 고정브라켓(120)은 상기 터미널(110)이 상면에 위치되어 고정되도록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서로에 대하여 이격된 복수 개의 제1,2,3고정돌기(121,122,123)가 복수 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홀(112a,113a,114a)에 각각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터미널의 제1,2,3터미널(112,113,114)을 각각 걸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2수용홈(124,125) 상부에는 상기 터미널(110)이 고정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2,3배선홀(112c,113c,114c)과 일치되어 태양광모듈측으로부터 배선된 연결선을 배선시키도록 제1,2,3고정브라켓용 배선홀(126,127,128)이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2,3고정브라켓용 배선홀(126,127,128) 내주면에는 연결선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1,2,3이탈방지돌기(126a,127a,128a)가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제1,2,3고정브라켓용 배선홀(126,127,128) 상부에는 상기 터미널(110)이 고정 설치되는 것에 의해 제1,2,3포팅액주입홀(112b,113b,114b)과 일치되어 포팅액이 유입됨에 따른 제1,2,3고정브라켓용 배선홀(126,127,128)측으로 신속하게 유입시킬 수 있도록 각 일면이 상기 제1,2,3고정브라켓용 배선홀(126,127,128)과 연통되게 형성된 제1,2,3고정브라켓용 포팅액 유입홀(120a,120b,120c)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고정브라켓(120)의 좌,우측면 및 전,후면에는 상기 하우징(12)의 저면으로부터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가압돌기(120d)가 복수 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압돌기(120d)와 가압돌기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12)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턱(120e)이 복수 개 형성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제1,2,3고정돌기(121,122,123)는 상기 터미널(110)의 제1,2,3터미널(112,113,114)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1,2,3고정홀(112a,113a,114a)에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2,3터미널(112,113,114)을 각각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브라켓(12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수직되게 돌출된 제1,2,3고정돌기용 수직부(121a,122a,123a)와, 상기 제1,2,3고정돌기용 수직부(121a,122a,123a)의 타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절곡 연장되는 것에 의해 끝단부는 고정브라켓(120)의 상면과 이격되게 형성된 제1,2,3고정돌기용 절곡부(121b,122b,123b)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제1,2,3고정돌기(121,122,123)의 제1,2,3고정돌기용 절곡부(121b,122b,123b)는 상기 제1,2,3터미널(112,113,114)의 고정을 위해 서로에 대하여 대향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2,3고정돌기(121,122,123)를 통하여 터미널(110)이 고정브라켓(120)의 상면에 고정됨에 따른 좌,우 및 전,후 그리고 상,하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하우징(12)은 상기 터미널(110)이 상면에 고정된 고정브라켓(120)을 하부에서 상부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고정브라켓(120)을 고정시키면서 전면은 제1,2접속부(119,119')에 접속 연결된 케이블(C)을 배선시킬 수 있도록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비된다.
즉, 상기한 하우징(12)은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측면 하부에는 상기 고정브라켓(120)의 가압돌기(120d)를 가압되게 수용가능하도록 대응되는 단면 형상의 가압고정용 수용홈(12a)이 복 수개 형성되고, 상기 가압고정용 수용홈(12a)과 가압고정용 수용홈(12a) 사이에는 걸림턱(120e)에 걸림되는 것에 의해 상기 고정브라켓(12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걸림돌기(12b)가 돌출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방열구조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110)의 제1다이오드수용홈(116)과 제2다이오드수용홈(118)에 바이패스 다이오드(13)의 몸체부가 각각 면접촉되게 용접으로 고정되고, 제1리드부 접속홈(115)과 제2리드부 접속홈(117)에 리드부가 각각 용접으로 고정 접속된 터미널(110)이 고정브라켓(120)의 제1,2,3고정돌기(121,122,123)를 통하여 상면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13)가 제1,2수용홈(124,125)에 수용되며, 상기와 같이 상면에 터미널(110)이 고정된 고정브라켓(120)을 하우징(12) 저면에서 내측으로 삽입시킨 후, 방수 및 방열을 위해 포팅액을 고정브라켓(120)이 고정된 하우징(12)내측으로 충진시켜 덮개부재(11)로 상기 하우징(12)의 상부를 덮는 것에 의해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를 태양광 모듈에 사용하는 중에 태양광 모듈 사이의 발전 전압간 전위차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역전류로 바이패스 다이오드(13)에서 열이 발생되면, 열은 터미널(110)과 포팅액을 통하여 신속하게 방출된다.
즉, 상기한 바이패스 다이오드(13)에서 발생된 열은,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13)와 면접촉된 상기 터미널(110)의 제1다이오드수용홈(116)과 제2다이오드수용홈(118) 바닥면을 통하여 열전달이 이루어진고, 상기 제1다이오드수용홈(116)과 제2다이오드수용홈(118) 바닥면측으로 전달된 열은 충진된 포팅액을 통하여 신속하게 방출된다.
그로 인해, 태양광 모듈의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 ; 케이블 11 ; 덮개부재
12 ; 하우징 13 ; 바이패스 다이오드
100 ;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방열구조
110 ; 터미널 120 ; 고정브라켓

Claims (4)

  1. 상부는 덮개부재(11)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구비되고, 저면 양측은 케이블(C)을 배선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하우징(12)에 내설되어 태양광 모듈 사이의 발전 전압간 전위차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역전류로 복수 개의 바이패스 다이오드(13)에서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게 방열시킬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방열구조는,
    컷팅용 연결편(111)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조립시 컷팅용 연결편(111)이 제거되는 것에 의해 방수 및 방열을 위해 충진되는 포팅액의 유입이 용이하게 서로에 대하여 이격된 제1,2,3터미널(112,113,114)로 구분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2터미널(112,113)의 각 일측에는 저면으로 바이패스 다이오드(13)를 수용하여 리드부를 용접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1리드부 접속홈(115)과 제1다이오드 수용홈(116)이 형성되고, 상기 제2터미널(113) 타측과 제3터미널(114) 일측에는 저면으로 또 다른 바이패스 다이오드(13)를 수용하여 리드부를 용접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2리드부 접속홈(117)과 제2다이오드 수용홈(118)이 형성되며, 판상에는 한 쌍으로 구성된 복수 개의 제1,2,3고정홀(112a,113a,114a)이 형성되고, 하부 양측은 절개되어 커넥터가 부설된 케이블(C)을 각각 접속시키도록 제1,2접속부(119,119')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터미널(110)과;
    상기 터미널(110)이 상면에 위치되어 고정되도록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제1,2,3고정홀(112a,113a,114a)에 각각 삽입되는 것에 의해 걸림되어 상기 터미널(11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 복수 개의 제1,2,3고정돌기(121,122,123)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돌기(121)와 제2고정돌기(122) 그리고 제2고정돌기(122)와 제3고정돌기(123) 사이에는, 상기 터미널(110)의 저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 바이패스 다이오드(13)를 수용가능하도록 사각 형상의 제1,2수용홈(124,125)이 형성되되, 상기 제1,2수용홈(124,125)의 일부는 포팅액 충진시 상기 제1,2수용홈(124,125) 내측으로 포팅액이 공극 없이 유입가능하도록 제1,2개구부(124a,125a)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고정브라켓(12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라켓(120)의 제1,2수용홈(124,125) 상부에는, 태양광 모듈측으로부터 배선된 연결선을 배선시키도록 제1,2,3고정브라켓용 배선홀(126,127,128)이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2,3고정브라켓용 배선홀(126,127,128) 내주면에는 연결선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1,2,3이탈방지돌기(126a,127a,128a)가 더 형성되어 구비되며,
    상기 고정브라켓(120)의 제1,2,3고정돌기(121,122,123)는, 상기 터미널(110)의 제1,2,3터미널(112,113,114)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1,2,3고정홀(112a,113a,114a)에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2,3터미널(112,113,114)을 각각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브라켓(12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수직되게 돌출된 제1,2,3고정돌기용 수직부(121a,122a,123a)와, 상기 제1,2,3고정돌기용 수직부(121a,122a,123a)의 타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절곡 연장되는 것에 의해 끝단부는 고정브라켓(120)의 상면과 이격되게 형성된 제1,2,3고정돌기용 절곡부(121b,122b,123b)로 구성되되,
    상기 제1,2,3고정돌기(121,122,123)의 제1,2,3고정돌기용 절곡부(121b,122b,123b)는, 상기 터미널(110)의 제1,2,3터미널(112,113,114)이 고정브라켓(120)의 상면에 상기 제1,2,3고정돌기(121,122,123)를 통하여 고정됨에 따른 좌,우 및 전,후 그리고 상,하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하여 대향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방열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110)의 제1,2,3터미널(112,113,114)의 각 상단에는, 포팅액이 주입될 수 있도록 제1,2,3포팅액주입홀(112b,113b,114c)이 형성되고, 상기 제1,2,3포팅액주입홀(112b,113b,114c)의 각 하단에는 태양광모듈측으로부터 배선된 연결선을 배선시켜 제1,2,3터미널(112,113,114)과 각각 용접에 의해 접속시킬 수 있도록 제1,2,3배선홀(112c,113c,114c)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방열구조.
  3. 삭제
  4. 삭제
KR1020210024084A 2021-02-23 2021-02-23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방열구조 KR102533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084A KR102533696B1 (ko) 2021-02-23 2021-02-23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방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084A KR102533696B1 (ko) 2021-02-23 2021-02-23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방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241A KR20220120241A (ko) 2022-08-30
KR102533696B1 true KR102533696B1 (ko) 2023-05-17

Family

ID=83114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084A KR102533696B1 (ko) 2021-02-23 2021-02-23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방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6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961B1 (ko) * 2022-09-08 2023-03-14 주식회사 에스앤지코리아 태양광 접속함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499B1 (ko) * 2011-03-16 2012-06-20 주식회사 엘스콤 이중사출구조로 일체화된 태양전지모듈용 접속단자함
JP2015032672A (ja) * 2013-08-01 2015-02-16 日本端子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
JP2018148761A (ja) 2017-03-09 2018-09-20 エンゼル工業株式会社 端子ボックス付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部分封止端子ボックスと区画端子ボックス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5286B1 (ko) 2016-09-05 2023-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시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제어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이온 빔 장비,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기 기억 소자의 제조방법
KR20190106338A (ko) * 2018-03-08 2019-09-18 (주) 대하전선 태양광 모듈의 단자 박스 내에 들어가는 터미널의 조립구조
KR20190106334A (ko) * 2018-03-08 2019-09-18 (주) 대하전선 태양광 모듈의 단자 박스 내에 들어가는 터미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499B1 (ko) * 2011-03-16 2012-06-20 주식회사 엘스콤 이중사출구조로 일체화된 태양전지모듈용 접속단자함
JP2015032672A (ja) * 2013-08-01 2015-02-16 日本端子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
JP2018148761A (ja) 2017-03-09 2018-09-20 エンゼル工業株式会社 端子ボックス付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部分封止端子ボックスと区画端子ボック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241A (ko)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783Y1 (ko) 건축물적용 태양광발전장치의 분리형 분기장치
AU637749B2 (en) Assemblies for mounting connectors
KR20150089768A (ko) 태양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장치
US11418145B2 (en) Photovoltaic module having an external electrical connector
JP4418397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
US8979597B2 (en) Leadframe having selectively removable bridges between terminals and contacts
US9647441B2 (en) Terminal box
KR102533696B1 (ko)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방열구조
KR20150052755A (ko) 배터리 셀 연결보드
CN108701797B (zh) 布线模块及蓄电模块
EP2448007A1 (en) Terminal box for solar cell module
KR101611435B1 (ko) 태양전지 패널용 정션박스
KR102390907B1 (ko) 양면형 태양광모듈용 콤팩트 정션박스
KR101608465B1 (ko) 태양광 모듈용 병렬 케이블의 커넥터 어셈블리
KR101039786B1 (ko) 태양전지판 정션박스
KR102397788B1 (ko) 코너와 대향용 전기적 커넥터 포트를 갖는 광전 조립체
JP2018518934A (ja) 汎用光起電力積層物
KR102193871B1 (ko) 일체형 인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 전지 모듈
KR20100109322A (ko) 태양전지 모듈
CN109148803B (zh) 导体模块装接结构
KR102533702B1 (ko)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
JP3580306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装置
KR101539653B1 (ko) 결정질 모듈용 태양광 정션박스
JP2011187974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
KR20110009367U (ko) 고효율 태양광 모듈 접속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