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586B1 -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586B1
KR102533586B1 KR1020200162908A KR20200162908A KR102533586B1 KR 102533586 B1 KR102533586 B1 KR 102533586B1 KR 1020200162908 A KR1020200162908 A KR 1020200162908A KR 20200162908 A KR20200162908 A KR 20200162908A KR 102533586 B1 KR102533586 B1 KR 102533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discharge
metal powder
guide
s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4416A (ko
Inventor
김관중
김석호
Original Assignee
김관중
김석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관중, 김석호 filed Critical 김관중
Priority to KR1020200162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586B1/ko
Publication of KR20220074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재에 혼합된 금속분말을 선별하여 분리하도록 된 선별 분리장치로서, 내부에 작동공간이 마련된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에 모재를 공급하는 모재공급부와, 상기 모재공급부를 통해 전달되는 모재를 안내하는 안내드럼과 상기 안내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모터로 이루어진 모재안내부와, 상기 모재안내부를 통해 이동되는 모재에 포함된 금속분말을 분리하는 방전분리부와, 상기 방전분리부에 의해 금속분말이 제거된 모재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모재배출부와, 상기 방전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금속분말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금속분말배출부로 이루어져, 시멘트와 곡물이 포함되는 금속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며, 금속이물질을 선별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동력이 불필요하여 선별을 위한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 { Metal powder sorting and separating device }
본 발명은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멘트와 곡물이 포함되는 금속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며, 금속이물질을 선별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동력이 불필요하여 선별을 위한 비용이 절감되는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멘트를 제조과정인 원료의 분쇄,제분과 소성과정을 거치면서, 시멘트에 금속가루가 혼합되고 있으며, 곡물을 분쇄한 고춧가루 및 밀가루와 같은 곡물가루는 분쇄기 표면의 마모로 인해 생성되는 금속가루나 아니면 곡물 및 곡물가루의 이송과정에서 이송관 표면의 마모로 인해 생성되는 금속가루가 섞이게 된다.
이와 같이 금속가루가 섞인 시멘트 및 곡물가루과 같은 대상물은 분말 형태이어서 이를 구입한 소비자는 금속가루를 걸러내지 못하므로, 출하 전에 금속가루를 제거해야만 한다.
곡물가루로부터 금속가루를 제거하는 종래 기술들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24812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20406호, 한국등록특허 제10-0911349호 등이 있었으며, 상기 종래 기술들은 자석봉으로 금속가루를 제거함에 있어서 자석봉의 회전으로 곡물가루를 휘젓듯이 하여 곡물가루를 자석봉의 주면에 고르게 접촉시키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하지만, 자석봉으로 세멘트 및 곡물가루를 휘젓듯이 하여 금속가루를 제거하는 방식은, 자석봉에 붙은 금속가루가 시멘트 및 곡물가루에 휩쓸려 곡물가루에 다시 섞이게 될 수 있는 단점을 가지며, 금속가루가 붙은 자석봉을 세정하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들은 자석봉을 이동시키고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설비와 동력이 필요하므로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되고, 유지비용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공개특허 제2009-0124812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시멘트와 곡물이 포함되는 금속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며, 금속이물질을 선별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동력이 불필요하여 선별을 위한 비용이 절감되는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모재에 혼합된 금속분말을 선별하여 분리하도록 된 선별 분리장치로서, 내부에 작동공간이 마련된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에 모재를 공급하는 모재공급부와, 상기 모재공급부를 통해 전달되는 모재를 안내하는 안내드럼과 상기 안내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모터로 이루어진 모재안내부와, 상기 모재안내부를 통해 이동되는 모재에 포함된 금속분말을 분리하는 방전분리부와, 상기 방전분리부에 의해 금속분말이 제거된 모재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모재배출부와, 상기 방전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금속분말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금속분말배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전분리부는 상기 하우징본체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회전되게 축결합되는 회전브라켓과, 상기 회전브라켓에 연결되며, 상기 모재에 혼합된 금속분말을 분리하는 방전유닛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재배출부는 상기 하우징본체에 형성되는 모재호퍼와 상기 모재호퍼에 설치되어 금속분말이 제거된 모재를 안내하여 배출시키는 모재이송스크류로 이루어지며, 상기 금속분말배출부는 상기 하우징본체에 형성되는 분말호퍼와 상기 분말호퍼에 설치되어 모재에서 제거된 금속분말을 안내하여 배출시키는 금속분말이송스크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전유닛은 방전패널과 상기 방전패널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전극단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전유닛은 방전틀과, 상기 방전틀의 내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가로방전봉들과, 상기 방전틀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전극단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전틀의 내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세로방전봉들과, 상기 방전틀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전극단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본체에는 상기 방전분리부를 이동시켜, 상기 모재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모재와의 간격을 줄이거나 늘릴 수 있도록 간격조절장치가 더 마련되며, 상기 간격조절장치는 상기 하우징본체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패널들과, 상기 지지패널들을 연결하며 고정되고 안내슬릿이 형성된 가이드패널과, 상기 안내슬릿에 끼움되어 안내되도록 가이드축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이 연결되는 이송패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는 시멘트와 곡물이 포함되는 금속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며, 금속이물질을 선별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동력이 불필요하여 선별을 위한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의 방전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의 방전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의 방전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를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의 간격조절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의 방전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의 방전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의 방전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를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의 간격조절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선별 분리장치라 명명함)는 모재에 혼합된 금속분말을 선별하여 분리하도록 된 선별 분리장치(10)로서, 이에 이와같은 선별 분리장치(10)는 하우징본체(20)와 모재공급부(30)와 모재안내부(40)와 방전분리부(50)와 모재배출부(60)와 금속분말배출부(7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본체(20)는 내부에 작동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본체(20)는 사각의 하우징구조로 이루어지며, 재질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하우징본체(20)의 하부에는 지주가 마련되고 이동시킬 수 있도록 캐스터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유지보수를 위해 내부로 진입하거나 직업도구가 인입되도록 도어가 마련할 수 있다.
상기 모재공급부(30)는 상기 하우징본체(20)에 모재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모재공급부(30)는 모재를 이송시키는 이송관 또는 컨베이어이며, 상기 하우징본체(20)의 일면에 관통되게 배치되어 외부의 모재를 상기 하우징본체(20)의 내부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모재공급부(30)의 단부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모재안내부(40)의 상측에 배치되어, 전달되는 모재를 상기 모재안내부(40)의 안내드럼(41)에 상부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모재안내부(40)는 상기 모재공급부(30)를 통해 전달되는 모재를 안내하는 안내드럼(41)과 상기 안내드럼(41)을 회전시키는 드럼모터(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내드럼(41)의 양측에 회전축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하우징본체(20)의 양내측면에 설치되는 베어링에 체결되어 회전되고, 상기 드럼모터(42)는 상기 하우징본체(2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과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드럼모터(42)의 구동에 의해 상기 안내드럼(41)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모재안내부(40)로 공급되는 모재는 회전되는 상기 안내드럼(41)에 의해 이동하게 되고, 상기 안내드럼(41)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방전패널(531)에 의해 모재의 금속분말이 분리되어 이동되고, 금속분말이 분리된 모재는 상기 모재안내부(40)의 하부에 배치되는 모재배출부(60)로 떨어져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모재에서 분리된 금속분말은 상기 금속분말배출부(70)로 떨어져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방전분리부(50)는 상기 모재안내부(40)를 통해 이동되는 모재에 포함된 금속분말을 분리하게 된다.
상기 방전분리부(50)는 상기 하우징본체(20)의 내측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고정브라켓(51)과, 상기 고정브라켓(51)에 회전되게 볼트 또는 핀에 의해 축결합되는 회전브라켓(52)과, 상기 회전브라켓(52)에 나사체결되거나 용접연결되며, 상기 모재에 혼합된 금속분말을 분리하는 방전유닛(5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전유닛(53)은 방전패널(531)과 상기 방전패널(531)에 형성되어 외부의 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단자(532)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전패널(531)은 패널구조로 이루어지며 통전되도록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전패널(531)은 전류가 인가되며, 인가된 전류에 의해 생기는 자기장에 의해 모재의 금속분말이 끌려당겨 비금속 재질의 모재로부터 금속분말을 분리하게되고, 분리된 금속분말은 금속분말배출부(70)로 떨어져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방전패널(531)을 자성체로 형성시켜, 금속분말을 자력에 의해 당기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금속분말은 전류가 인가된 상기 방전패널(531)에 부착되고, 상기 방전패널(531)의 전기를 차단하여 금속분말의 자중에 의해 상기 금속분말배출부(70)로 떨어지게 되며, 상기한 전류의 인가와 차단을 반복할 수 있으며, 금속분말이 이동과정중 자중에 의해 상기 금속분말배출부(70)로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모재는 시멘트 곡식 등 이며, 비금속재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방전유닛(53)은 패널구조의 방전패널(531)을 대체하여 상기 회전브라켓(52)에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는 방전틀(533)과, 상기 방전틀(533)의 내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금속의 가로방전봉(534)들과, 상기 방전틀(533)에 형성되는 전극단자(532)로 형성시켜, 전류를 인가받은 상기 가로방전봉(534)의 자기장에 의해 모재에서 금속분말이 분리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방전유닛(53)은 방전틀(533)과, 상기 방전틀(533)의 내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금속의 세로방전봉(535)들과, 상기 방전틀(533)에 형성되는 전극단자(532)로 형성시켜, 전류를 인가받은 상기 세로방전봉(535)의 자기장에 의해 모재에서 금속분말이 분리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방전틀(533)은 전기가 인가되도록 금속재로 형성시키게 되고, 상기 가로방전봉(534)들과 상기 세로방전봉(535)들은 상기 방전틀(533)의 내측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용접 또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방전틀(533)에 상기 가로방전봉(534) 또는 상기 세로방전봉(535)이 일정간격을 이루며 설치되어, 방전봉이 파손시 방전틀(533)에서 파손된 방전봉만 교체하면되므로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어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되고, 상기 방전틀(533)을 상기 모재공급부(30)의 하부에 배치하여 상기 모재가 상기 방전틀(533)을 관통하면서 상기 가로방전봉(534) 또는 상기 세로방전봉(535)과 맞닿도록 함으로써, 금속분말의 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브라켓(52)의 일면에는 바이브레이터인 진동기를 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진동기의 진동이 상기 방전유닛(53)에 전달되어 방전유닛(53)에 달라붙은 금속분말이 탈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재배출부(60)는 상기 방전분리부(50)에 의해 금속분말이 제거된 모재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모재배출부(60)는 상기 하우징본체(20)에 형성되는 모재호퍼(61)와 상기 모재호퍼(61)에 설치되어 금속분말이 제거된 모재를 안내하여 배출시키는 모재이송스크류(62)로 이루지게 된다.
상기 금속분말배출부(70)는 상기 방전분리부(50)에 의해 분리된 금속분말을 외부로 배출시게 된다.
상기 금속분말배출부(70)는 상기 하우징본체(20)에 형성되는 분말호퍼(71)와 상기 분말호퍼(71)에 설치되어 모재에서 제거된 금속분말을 안내하여 배출시키는 금속분말이송스크류(72)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재이송스크류(62)와 상기 금속분말이송스크류(72)는 구동모터와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된다.
상기 하우징본체(20)에는 상기 방전분리부(50)를 이동시켜, 상기 모재공급부(30)를 통해 공급되는 모재와의 간격을 줄이거나 늘릴 수 있도록 간격조절장치(80)가 더 마련된다.
상기 간격조절장치(80)는 상기 하우징본체(2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지지패널(81)들과, 상기 지지패널(81)들을 연결하며 고정되고 안내슬릿(821)이 형성된 가이드패널(82)과, 상기 안내슬릿(821)에 끼움되어 안내되도록 가이드축(83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라켓(51)이 연결되는 이송패널(83)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브라켓(51)이 상기 하우징본체(20)의 내측면이 아닌 상기 이송패널(83)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패널(82)의 안내슬릿(821)을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브라켓(51)에 연결된 방전유닛(53)이 이동되어 모재와의 간격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축(831)은 볼트이며, 상기 이송패널(83)에 형성되는 볼트공에 체결되고, 상기 안내슬릿(821)을 따라 상기 이송패널(83)이 이송된 후 상기 볼트를 조여 상기 가이드패널(82)에 상기 이송패널(83)을 고정시키게 된다.
다르게는 상기 가이드축(831)을 상기 이송패널(83)에 한쌍으로 형성시켜 별도의 조임고정없이 상기 안내슬릿(821)을 따라 이동된 후 상기 이송패널(83) 및 상기 고정브라켓(51)의 자중에 의해 지지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본체(20)의 내측면에는 이송실린더를 나사체결하고, 상기 이송실린더의 축에 상기 이송패널(83)을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이송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기 이송패널(83)이 상기 안내슬릿(821)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선별 분리장치
20 : 하우징본체
30 : 모재공급부
40 : 모재안내부
41 : 안내드럼
42 : 드럼모터
50 : 방전분리부
51 : 고정브라켓
52 : 회전브라켓
53 : 방전유닛
531 : 방전패널
532 : 전극단자
533 : 방전틀
534 : 가로방전봉
535 : 세로방전봉
60 : 모재배출부
61 : 모재호퍼
62 : 모재이송스크류
70 : 금속분말배출부
71 : 분말호퍼
72 : 금속분말이송스크류
80 : 간격조절장치
81 : 지지패널
82 : 가이드패널
821 : 안내슬릿
83 : 이송패널
831 : 가이드축

Claims (7)

  1. 모재에 혼합된 금속분말을 선별하여 분리하도록 된 선별 분리장치로서,
    내부에 작동공간이 마련된 하우징본체;
    상기 하우징본체에 모재를 공급하는 모재공급부;
    상기 모재공급부를 통해 전달되는 모재를 안내하는 안내드럼과 상기 안내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모터로 이루어진 모재안내부;
    상기 모재안내부를 통해 이동되는 모재에 포함된 금속분말을 분리하는 방전분리부;
    상기 방전분리부에 의해 금속분말이 제거된 모재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모재배출부;
    상기 방전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금속분말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금속분말배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전분리부는
    상기 하우징본체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에 회전되게 축결합되는 회전브라켓;
    상기 회전브라켓에 연결되며 상기 모재에 혼합된 금속분말을 분리하는 방전유닛;으로 이루어진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전유닛은
    방전패널;
    상기 방전패널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전극단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배출부는
    상기 하우징본체에 형성되는 모재호퍼;
    상기 모재호퍼에 설치되어 금속분말이 제거된 모재를 안내하여 배출시키는 모재이송스크류;로 이루어지며,
    상기 금속분말배출부는
    상기 하우징본체에 형성되는 분말호퍼;
    상기 분말호퍼에 설치되어 모재에서 제거된 금속분말을 안내하여 배출시키는 금속분말이송스크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유닛은
    방전틀;
    상기 방전틀의 내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가로방전봉들;
    상기 방전틀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전극단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유닛은
    방전틀;
    상기 방전틀의 내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세로방전봉들;
    상기 방전틀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전극단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에는 상기 방전분리부를 이동시켜 상기 모재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모재와의 간격을 줄이거나 늘릴 수 있도록 간격조절장치가 더 마련되며,
    상기 간격조절장치는
    상기 하우징본체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패널들;
    상기 지지패널들을 연결하며 고정되고 안내슬릿이 형성된 가이드패널;
    상기 안내슬릿에 끼움되어 안내되도록 가이드축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이 연결되는 이송패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200162908A 2020-11-27 2020-11-27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 KR102533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908A KR102533586B1 (ko) 2020-11-27 2020-11-27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908A KR102533586B1 (ko) 2020-11-27 2020-11-27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416A KR20220074416A (ko) 2022-06-03
KR102533586B1 true KR102533586B1 (ko) 2023-05-16

Family

ID=81983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908A KR102533586B1 (ko) 2020-11-27 2020-11-27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5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382B1 (ko) * 2010-12-31 2012-06-08 (주) 린테크 폐윤활제의 산화철 선별제거용 마그네틱 분리기 및 그것이 설치된 폐윤활제 재생장치
KR101430527B1 (ko) * 2014-03-26 2014-09-23 한국조명재활용공사 주식회사 폐led조명등의 베이스 분쇄물 분류장치
KR101819349B1 (ko) * 2016-07-25 2018-01-17 주식회사 포스코 비산광 포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624B1 (ko) * 2001-12-26 2008-02-20 주식회사 포스코 수재의 철분분리장치
KR100986813B1 (ko) 2008-05-30 2010-10-08 몽 필 김 고추가루 살균 및 철분제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382B1 (ko) * 2010-12-31 2012-06-08 (주) 린테크 폐윤활제의 산화철 선별제거용 마그네틱 분리기 및 그것이 설치된 폐윤활제 재생장치
KR101430527B1 (ko) * 2014-03-26 2014-09-23 한국조명재활용공사 주식회사 폐led조명등의 베이스 분쇄물 분류장치
KR101819349B1 (ko) * 2016-07-25 2018-01-17 주식회사 포스코 비산광 포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416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41084A1 (en) Recycling plant for gypsum plasterboard
US101890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shing and grading aggregate
KR102533586B1 (ko) 금속 분말 선별 분리장치
CN107486404B (zh) 一种螺栓专用分拣装置
CN108672302B (zh) 一种螺栓筛选机
CN105149207B (zh) 一种固液分离振动筛
KR100793167B1 (ko) 건설폐기물의 파쇄, 입도개선, 몰탈제거, 선별, 모래생산용눈막힘방지장치용 드럼벨
US20100120600A1 (en) Vibrating centrifuge
US20130299397A1 (en) Spiral Separator and Method Therefor
CN215947089U (zh) 加料装置、加料系统和玻璃加工总成
CN110842789A (zh) 喷砂装置
US10543581B2 (en) Multi-stage grit recycler
CN217068975U (zh) 一种砻谷设备
KR100421942B1 (ko) 건설폐기물 진동선별장치의 가변진동발생기
KR101805969B1 (ko) 벌크 재료의 분류 방법 및 그 장치
CN201768615U (zh) 励磁磁选机
CN205341221U (zh) 高效滚筒式筛粒机
JP3200294U (ja) スクリーン式分級機
KR20090070068A (ko) 쓰레기 및 골재 선별장치
KR200195935Y1 (ko) 고추 분쇄장치
CN219965131U (zh) 钙粉研磨装置的进料系统
US20160303572A1 (en) Adjustable Dwell Shredder
CN219111725U (zh) 一种云母粉生产除杂机
CN215507275U (zh) 自卸式除铁器及除铁设备
CN220844287U (zh) 一种石英砂给料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