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2174B1 - 볼 조인트 헤드가 적용된 스탠드 롤러 - Google Patents

볼 조인트 헤드가 적용된 스탠드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2174B1
KR102532174B1 KR1020180109889A KR20180109889A KR102532174B1 KR 102532174 B1 KR102532174 B1 KR 102532174B1 KR 1020180109889 A KR1020180109889 A KR 1020180109889A KR 20180109889 A KR20180109889 A KR 20180109889A KR 102532174 B1 KR102532174 B1 KR 102532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joint
joint head
roller
moor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0994A (ko
Inventor
이동혁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9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174B1/ko
Publication of KR20200030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63B21/10Fairl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with ball-j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체 선수부에 설치된 마운트와 상측의 계선 롤러가 360도 각도로 회전 가능한 볼 조인트 헤드를 통해 조인트 결합됨에 따라, 윈치를 통해 권출되는 2개 이상의 계선줄(MOORING LINE)이 하나의 계선 롤러를 통해 유연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볼 조인트 헤드가 적용된 스탠드 롤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볼 조인트 헤드가 적용된 스탠드 롤러{STAND ROLLER WITH BALL JOINT HEAD}
본 발명은 볼 조인트 헤드가 적용된 스탠드 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체 선수부에 설치된 마운트와 상측의 계선 롤러가 360도 각도로 회전 가능한 볼 조인트 헤드를 통해 조인트 결합됨에 따라, 윈치를 통해 권출되는 2개 이상의 계선줄(MOORING LINE)이 하나의 계선 롤러를 통해 유연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볼 조인트 헤드가 적용된 스탠드 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부두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계선줄(MOORING LINE)이 사용된다. 계선줄은 선박의 법적 비품으로서, 선박의 크기에 따라 일정한 장력을 가져야 하며, 철재 와이어, 합성섬유 재질 등이 적용된다.
이러한 계선줄은 선수부에 설치된 윈치로부터 권출되는데, 보통 2개 이상의 계선줄이 윈치로부터 각각 권출된 후, 각 계선줄의 측면을 지지하여 회전하는 스탠드 롤러와 접하게 된다.
이때, 종래의 스탠드 롤러의 하측 마운트부는 각 계선줄의 권출각도에 따라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데, 그 각도의 영향으로 각각의 계선줄은 개별적인 스탠드 롤러를 필요로 함에 따라 스탠드 롤러의 탑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과 함께 스탠드 롤러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선수부의 배치 공간이 줄어드는 문제점도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38700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선체 선수부에 설치된 마운트와 상측의 계선 롤러가 360도 각도로 회전 가능한 볼 조인트 헤드를 통해 조인트 결합됨에 따라, 윈치를 통해 권출되는 2개 이상의 계선줄(MOORING LINE)이 하나의 계선 롤러를 통해 유연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볼 조인트 헤드가 적용된 스탠드 롤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조인트 헤드가 적용된 스탠드 롤러는 선체의 선수부에 설치되는 마운트, 상기 마운트의 상측에 마련된 볼 조인트 홈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조인트 결합되는 볼 조인트 헤드, 상기 볼 조인트 헤드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계선 롤러(MOORING 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운트는 상기 선수부에 하나가 설치됨에 따라, 상기 선수부로부터 권출되는 2개의 계선줄(MOORING LINE)이 상기 계선 롤러의 측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운트는 하측면이 상기 선수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볼 조인트 헤드의 하측면과 상응하는 형태의 홈이 형성된 볼 조인트 헤드 안착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볼 조인트 헤드 안착부에 안착된 볼 조인트 헤드의 측면과 상응하는 고리(RING)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볼 조인트 헤드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볼 조인트 헤드가 상기 하우징의 상측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이탈 방지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볼 조인트 헤드 안착부와 상기 이탈방지 고리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계선 롤러의 중심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이 결합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축의 상측 말단부에는 결합된 상기 계선 롤러가 상기 회전축의 상측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용 너트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용 너트의 해체 시, 상기 계선 롤러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는 중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이탈 방지용 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이탈 방지 고리가 상기 이탈 방지용 돌출부의 내측 하부와 접하도록 위치됨에 따라, 상기 이탈 방지 고리가 상기 이탈 방지용 돌출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상측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윈치를 통해 권출되는 2개 이상의 계선줄(MOORING LINE)이 하나의 계선 롤러를 통해 유연하게 지지할 수 있어, 각각의 계선줄 별로 개별적인 스탠드 롤러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탑재 비용이 감소될 수 있고, 또한 스탠드 롤러의 개수가 줄어듦에 따라 선수부의 배치 공간이 늘어나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스탠드 롤러의 개수가 줄어듦에 따라 선체의 중량 또한 감소되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스탠드 롤러(1)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조인트 헤드가 적용된 스탠드 롤러(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볼 조인트 헤드(120)가 자유롭게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스탠드 롤러(1)가 설치된 선수부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조인트 헤드가 적용된 스탠드 롤러(100)가 설치된 선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의 스탠드 롤러(1)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종래의 스탠드 롤러(1)는 선수부에 설치되되, 하측면이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는 마운트(1a)와, 마운트(1a)의 상측에 연결되는 계선 롤러(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마운트(1a)의 하측면이 일정한 각도를 형성함에 따라, 마운트(1a)가 선체의 선수부 상측에 설치될 경우 계선 롤러(1b)는 비스듬히 기울어지게 된다.
이는 윈치로부터 권출되는 계선줄(MOORING LINE)의 권출각도에 따른 기울기로서, 이러한 구조적 특성 상 1개의 계선줄은 반드시 1개의 개별적인 스탠드 롤러가 필요하게 된다. 예컨대, 윈치로부터 권출되는 2개의 계선줄의 권출방향 및 권출각도가 상이한 경우, 각각의 계선줄 별로 스탠드 롤러가 필요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스탠드 롤러(1)의 구조는 다수의 계선줄의 개수에 상응하게 스탠드 롤러를 설치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선수부의 배치에 있어서도 제약이 있고, 중량 및 비용에 있어서도 한계점을 가지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조인트 헤드가 적용된 스탠드 롤러(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조인트 헤드가 적용된 스탠드 롤러(100)는 크게 마운트(110), 볼 조인트 헤드(120), 회전축(130) 및 계선 롤러(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마운트(110)는 선체의 선수부에서 윈치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운트(110)는 후술되는 볼 조인트 헤드(12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의 역할과, 계선 롤러(140)가 안정적으로 계선줄을 지지하도록 하는 고정대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이러한 마운트(110)의 하측면은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하게 형성됨에 따라, 선수부에 설치된 후에도 상측면이 비스듬히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마운트(110)는 하우징(111), 볼 조인트 헤드 안착부(112) 및 이탈 방지 고리(11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하우징(111)은 볼 조인트 헤드 안착부(112) 및 이탈 방지 고리(113)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의 역할과, 하측면이 선수부에 고정됨에 따라 후술되는 계선 롤러(140)가 안정적으로 계선줄을 지지하도록 하는 고정대 역할을 한다.
볼 조인트 헤드 안착부(112)는 하우징(111)의 내측 중심부에 위치되는데, 중심부에는 볼 조인트 헤드(120)의 하측면과 접하면서 상응하는 형태의 홈(112a)이 형성된다. 따라서, 볼 조인트 헤드(120)는 볼 조인트 헤드 안착부(112)의 홈(112a)에 안착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하우징(111)의 내측에서 볼 조인트 헤드 안착부(112)의 상부에는 이탈 방지 고리(113)가 위치된다.
이탈 방지 고리(113)는 볼 조인트 헤드 안착부(112)와는 일정한 이격 거리를 형성하면서 하우징(111)의 최상단에 형성된 이탈 방지용 돌출부(111a)의 내측 하부와 접하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이탈 방지 고리(113)는 원형의 고리 형태를 가지되, 지름은 볼 조인트 헤드(120)의 상부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탈 방지 고리(113)에 의해 볼 조인트 헤드(120)는 상측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으면서 자유롭게 회전된다.
이때, 이탈 방지 고리(113)의 내측면은 볼 조인트 헤드(120)의 측면의 곡면과 상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볼 조인트 헤드(120)는 상술한 볼 조인트 헤드 안착부(112)의 상측에 형성된 홈(112a)에 안착되고 이탈 방지 고리(113)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된다.
볼 조인트 헤드(120)의 상부는 평평한 평면형태를 가지는데, 상측 방향으로는 회전축(130)이 돌출 형성된다.
회전축(130)는 후술되는 계선 롤러(140)가 끼움 결합되기 위한 연장대 역할과 함께 계선 롤러(140)가 회전되기 위한 축의 역할을 한다.
계선 롤러(140)는 회전축(130)과 끼움 결합을 통해 볼 조인트 헤드(120)의 상측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중심부에는 관통홀(140a)이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축(130)이 관통홀(140a)에 끼움 결합됨에 따라, 계선 롤러(140)는 회전축(130)에 결합된다.
이때, 회전축(130)의 상측 말단부에는 계선 롤러(140)가 상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용 너트(131)가 마련된다.
따라서, 고정용 너트(131)에 의해 계선 롤러(140)는 회전축(13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고, 고정용 너트(131)의 해체 시에는 계선 롤러(140)가 회전축(130)으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볼 조인트 헤드(120)가 자유롭게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살펴보면, 볼 조인트 헤드(120)는 볼 조인트 헤드 안착부(112)에 안착되고 이탈 방지 고리(113)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함을 알 수 있다.
이때, 볼 조인트 헤드(120)는 원형의 구체이기 때문에 회전 방향, 회전 각도에 제한이 없으며, 다만 상측의 계선 롤러(140)의 하측면이 하우징(111)과 맞닿아 간섭이 발생되는 범위까지 회전될 수 있다.
도 4는 종래의 스탠드 롤러(1)가 설치된 선수부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조인트 헤드가 적용된 스탠드 롤러(100)가 설치된 선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살펴보면, 선수부에는 윈치로부터 권출되는 계선줄이 양갈래로 나뉘는데, 이때 각각의 계선줄 별로 스탠드 롤러(1)가 각각 마련된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스탠드 롤러(1)가 차지하는 공간도 많은 뿐더러, 스탠드 롤러(1)를 설치하기 위한 하중 및 비용 또한 증가하게 된다.
도 4(b)를 살펴보면, 선수부에는 윈치로부터 권출되는 계선줄이 양갈래로 나뉘되 중간의 볼 조인트 헤드가 적용된 스탠드 롤러(100)에 의해 하나로 모아지게 된다.
선수부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의 계선줄은 볼 조인트 헤드가 적용된 스탠드 롤러(100)과 맞닿은 상태에서 우측 방향으로 지지되고, 우측의 계선줄은 볼 조인트 헤드가 적용된 스탠드 롤러(100)와 맞닿은 상태에서 좌측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볼 조인트 헤드가 적용된 스탠드 롤러(100)는 선서부에 하나로 설치되더라도 2개의 계선줄을 각각 다른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종래의 스탠드 롤러
1a: 마운트
1b: 계선 롤러
100: 볼 조인트 헤드가 적용된 스탠드 롤러
110: 마운트
111: 하우징
111a: 이탈 방지용 돌출부
112: 볼 조인트 헤드 안착부
112a: 홈
113: 이탈 방지 고리
120: 볼 조인트 헤드
130: 회전축
131: 고정용 너트
140: 계선 롤러
140a: 관통홀

Claims (7)

  1. 선체의 선수부에 설치되는 마운트;
    상기 마운트의 상측에 마련된 볼 조인트 홈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조인트 결합되는 볼 조인트 헤드;
    상기 볼 조인트 헤드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계선 롤러(MOORING ROLLER);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트는,
    하측면이 상기 선수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볼 조인트 헤드의 하측면과 상응하는 형태의 홈이 형성된 볼 조인트 헤드 안착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볼 조인트 헤드 안착부에 안착된 볼 조인트 헤드의 측면과 상응하는 고리(RING)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볼 조인트 헤드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볼 조인트 헤드가 상기 하우징의 상측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이탈 방지 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볼 조인트 헤드 안착부와 상기 이탈방지 고리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헤드가 적용된 스탠드 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는 상기 선수부에 하나가 설치됨에 따라, 상기 선수부로부터 권출되는 2개의 계선줄(MOORING LINE)이 상기 계선 롤러의 측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헤드가 적용된 스탠드 롤러.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선 롤러의 중심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이 결합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헤드가 적용된 스탠드 롤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상측 말단부에는,
    결합된 상기 계선 롤러가 상기 회전축의 상측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용 너트;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용 너트의 해체 시, 상기 계선 롤러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헤드가 적용된 스탠드 롤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는,
    중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이탈 방지용 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이탈 방지 고리가 상기 이탈 방지용 돌출부의 내측 하부와 접하도록 위치됨에 따라, 상기 이탈 방지 고리가 상기 이탈 방지용 돌출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상측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헤드가 적용된 스탠드 롤러.
KR1020180109889A 2018-09-13 2018-09-13 볼 조인트 헤드가 적용된 스탠드 롤러 KR102532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889A KR102532174B1 (ko) 2018-09-13 2018-09-13 볼 조인트 헤드가 적용된 스탠드 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889A KR102532174B1 (ko) 2018-09-13 2018-09-13 볼 조인트 헤드가 적용된 스탠드 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994A KR20200030994A (ko) 2020-03-23
KR102532174B1 true KR102532174B1 (ko) 2023-05-11

Family

ID=69998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889A KR102532174B1 (ko) 2018-09-13 2018-09-13 볼 조인트 헤드가 적용된 스탠드 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217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0793A (ja) * 2000-04-28 2001-11-06 Molten Corp 船舶係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006B1 (ko) * 2001-09-13 2004-07-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대형차량용 도어 가이드암 보호장치
KR101555344B1 (ko) * 2009-10-22 2015-09-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볼 조인트 연결장치
KR20120117243A (ko) * 2011-04-14 2012-10-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스탠드 볼라드 장치
GB201206197D0 (en) * 2012-04-05 2012-05-23 Greenstick Energy Ltd A mooring device
KR20180038700A (ko) 2016-10-07 2018-04-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회전 계선주가 구비되는 선박의 계류구조 및 이를 이용한 선박 계류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0793A (ja) * 2000-04-28 2001-11-06 Molten Corp 船舶係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994A (ko) 2020-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1497B1 (ko) 선박 보호용 펜더
KR102532174B1 (ko) 볼 조인트 헤드가 적용된 스탠드 롤러
WO2016118006A1 (en) Spread moored chain connector and floating structure comprising such a chain connector
US6708639B2 (en) Single point mooring with suspension turret
US20180313172A1 (en) Steel riser top locking system
KR102050794B1 (ko) 스토퍼가 구비된 선박용 완충장치
KR101304915B1 (ko) 선박의 핸드 레일
KR20190079234A (ko) 계류 장치
US5842434A (en) Mooring assembly
KR102136306B1 (ko) 터렛 구조물
KR101358135B1 (ko) 선박용 계류로프 안내롤러
KR102046336B1 (ko) 선박용 핸드레일
KR101698976B1 (ko) 대형 프로펠러 턴오버 장치
KR20220014232A (ko) 하이브리드 볼라드 장치
KR102050798B1 (ko) 스토퍼가 구비된 선박용 완충장치
KR101456857B1 (ko) 중량물 이송 장치
CN208412047U (zh) 一种船舶用导缆孔
KR20170003142A (ko) 계류 장치
KR102016359B1 (ko) 계류장치
KR20160121196A (ko) 해상용 크레인 장치
KR20210002786U (ko) 오일펜스 와인더
WO2020076160A1 (en) System for restriction of hawser movement in a tandem mooring and loading
JP7062676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水上設置用支持装置および水上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101599444B1 (ko) 터렛 지지장치
KR101985226B1 (ko) 베어링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