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9234A - 계류 장치 - Google Patents

계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9234A
KR20190079234A KR1020170181296A KR20170181296A KR20190079234A KR 20190079234 A KR20190079234 A KR 20190079234A KR 1020170181296 A KR1020170181296 A KR 1020170181296A KR 20170181296 A KR20170181296 A KR 20170181296A KR 20190079234 A KR20190079234 A KR 20190079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rotating
rotating body
mooring line
moo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7577B1 (ko
Inventor
김용수
도한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1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577B1/ko
Publication of KR20190079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계류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류 장치는, 부유식 구조물을 해저면에 계류시키고, 해저면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 고정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회전 부재, 회전 부재의 둘레면에 감겨지고, 일 단부가 부유식 구조물에 연결되는 계류 라인 및 계류 라인의 타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중에 부유하도록 제공되는 부력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계류 장치{MOOR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계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원유 시추 설비, 건설 플랫폼 등과 같은 부유식 구조물은 생산, 시추, 건설 등과 같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해상의 일정 지점에 계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부유식 구조물에는 통상적인 체인 또는 로프와 같은 계류 라인을 이용하는 계류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계류 라인은 부유식 구조물과 해저면 사이에 배치되는데, 계류 라인이 배치되는 방향은 파도의 파동에너지 진행 방향 및 부유식 구조물의 이동 방향과 수직이거나 수직에 가까운 각도를 갖는다. 이에 따라, 파도의 파동에너지나 부유식 구조물의 이동에 따른 관성 하중에 의해 계류 라인은 파동에너지 및 관성 하중의 작용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계류 라인의 이동이 부유식 구조물을 향할 경우, 계류 라인이 부유식 구조물과 충돌하여 부유식 구조물이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부유식 구조물과 해저면 사이에 설치되는 계류 라인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계류 라인을 설치하거나 해체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광범위한 영역에 계류 라인이 설치됨에 따라, 해양 환경이 파괴되는 문제가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22502호 (2014.07.17.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부유식 구조물의 안정적인 계류를 위해 필요한 계류 라인의 길이 및 계류 라인의 설치를 위한 영역을 종래보다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계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부유식 구조물을 해저면에 계류시키기 위해, 상기 해저면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의 둘레면에 감겨지고, 일 단부가 상기 부유식 구조물에 연결되는 계류 라인 및 상기 계류 라인의 타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중에 부유하도록 제공되는 부력 부재를 포함하는, 계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회전체, 및 상기 제 1 회전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둘레면에 상기 계류 라인이 감기는 제 2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전체는 상기 해저면과 수직하는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 2 회전체는 상기 제 1 회전축과 수직하는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회전체는, 상기 고정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결합부 및 상기 회전 결합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 2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 결합부의 상측에 체결되는 체결단 및 상기 체결단의 양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단에는 상기 제 2 회전체의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 부재는,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계류 라인이 연결되는 회전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 부재는, 상기 부력 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와 상호 연통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중공에 해수가 선택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부유식 구조물의 안정적인 계류를 위해 필요한 계류 라인의 길이 및 계류 라인의 설치를 위한 영역을 종래보다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계류 장치의 회전 부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회전 부재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계류 장치의 회전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계류 장치의 부력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부력 부재를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계류 장치가 해수면의 높이 변화에 따른 동작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장치(10)는 부유식 구조물(20)을 해저면(30)에 계류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고정 부재(100), 회전 부재(200), 계류 라인(300), 및 부력 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100)는 해저면(30)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부유식 구조물(20)이 해저면(30)에 견고하게 계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 부재(100)는 부유식 구조물(20)이 배치되는 해상에 발생하는 파도의 파동 에너지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회전 부재(200)는 고정 부재(100)에 상대 회전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회전 부재(200)는 제 1 회전체(210) 및 제 2 회전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회전체(210)는 고정 부재(1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 1 회전체(210)는 해저면(30)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회전체(210)는 고정 부재(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결합부(211) 및 회전 결합부(211)와 결합되어 제 2 회전체(2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212)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회전 결합부(211)에는 베어링과 같은 회전 보조 수단(미도시)이 개재됨에 따라, 제 1 회전체(210)가 고정 부재(100)에 대하여 상대 회전될 수 있다.
지지부(212)는 회전 결합부(211)의 상측에 체결되는 체결단(212a)과, 체결단(212a)의 양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단(212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단(212b)에는 후술할 제 2 회전체(220)의 샤프트(221)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 2 회전체(220)는 제 1 회전체(2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회전체(220)의 둘레면에는 계류 라인(300)이 감길 수 있으며, 제 2 회전체(2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계류 라인(300)이 제 2 회전체(220)에 풀리거나 감길 수 있다. 이때, 제 2 회전체(220)는 해저면(30)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회전축(B)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 1 회전축(A)과 제 2 회전축(B)은 서로 수직일 수 있다.
한편, 제 2 회전체(220)는 계류 라인(300)을 잡아주기 위해, 일 예로,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제 2 회전체(220)는 계류 라인(300)의 종류에 따라 그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류 라인(300)이 로프로 구성되는 경우, 제 2 회전체(220)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부유식 구조물(20)이 해저면(30)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경우, 즉, 제 1 회전체(210)가 고정 부재(100)에 대하여 회전되어 부유식 구조물(20)의 회전으로 인해 계류 장치(10)에 가해질 수 있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 2 회전체(220)와 연결된 계류 라인(300)도 회전되므로, 계류 라인(3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계류 라인(300)은 부유식 구조물(20)을 해저면(30)에 계류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계류 라인(300)의 일 단부는 부유식 구조물(20)에 연결될 수 있으며, 계류 라인(300)의 타 단부는 부력 부재(4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류 라인(300)은 체인, 로프 등 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부력 부재(400)는 계류 라인(300)의 타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중에 부유하도록 제공됨에 따라, 부유식 구조물(20)의 안정적인 계류를 위해 필요한 계류 라인(300)의 길이 및 계류 라인(300)의 설치를 위한 영역을 종래보다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부력 부재(400)는 본체부(410), 회전 연결부(420), 및 돌출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410)는 양성 부력을 가지도록 제공되어, 수중에서 부유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부(410)의 내부에는 중공(4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이러한 본체부(41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411)에는 해수가 선택적으로 유입될 수 있어, 부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연결부(420)에 계류 라인(300)이 연결되면, 별도의 해수 펌프(미도시)를 이용하여 해수를 수용 공간에 유입시키거나 수용 공간으로부터 해수를 유출시킬 수 있다. 이로써, 중공(411)으로 유입된 해수의 양에 따라 부력 부재(400)가 갖는 부력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본체부(410)는 항상 양성 부력을 갖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채로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일 예로, 본체부(410)의 둘레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 연결부(420)는 본체부(410)의 하측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연결부(420)는 본체부(410)의 하측에 고정 결합되는 결합체(421)와, 결합체(421)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회전체(422)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회전체(422)에는 계류 라인(300)이 연결될 수 있으며, 회전체(422)가 결합체(42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제공됨에 따라, 계류 라인(300)이 부력 부재(400)에 대하여 상대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체(422)는 해저면(30)과 수직하는 축, 예컨대, 제 1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돌출부(430)는 본체부(410)의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부(410)가 해류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430)는 본체부(410)와 상호 연통될 수 있으며, 본체부(410)의 둘레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돌출부(430)의 둘레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지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계류 장치(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7을 참조하면, 평균 해수면 높이보다 해수면이 높아지는 경우, 해저면(30)에 대한 부유식 구조물(20)의 높이도 상승하게 되고, 계류 라인(300)을 당기게 된다.
이 경우, 회전 부재(200)의 제 2 회전체(22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 2 회전체(220)에 감겨진 계류 라인(300)이 제 2 회전체(220)로부터 풀리면서 계류 라인(300)에 연결된 부력 부재(400)를 하측으로 당기게 된다. 하측으로 이동되는 부력 부재(400)에 의해 계류 라인(300)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평균 해수면 높이보다 해수면이 낮아지는 경우, 해저면(30)에대한 부유식 구조물(20)의 높이도 낮아진다. 이 경우, 제 2 회전체(220)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고, 계류 라인(300)이 제 2 회전체(220)에 감기면서 계류 라인(300)의 단부에 연결된 부력 부재(400)를 상측으로 밀게 된다. 이와 같이 상측으로 이동되는 부력 부재(400)에 의해 계류 라인(300)이 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계류 장치(10)는 부유식 구조물(20)의 안정적인 계류를 위해 필요한 계류 라인(300)의 길이 및 계류 라인(300)의 설치를 위한 영역을 종래보다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적인 것으로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 계류 장치 20: 부유식 구조물
30: 해저면 100: 고정 부재
200: 회전 부재 210: 제 1 회전체
211: 회전 결합부 212: 지지부
212a: 체결단 212b: 연장단
220: 제 2 회전체 221: 샤프트
300: 계류 라인 400: 부력 부재
410: 본체부 411: 중공
420: 회전 연결부 421: 결합체
422: 회전체 430: 돌출부

Claims (7)

  1. 부유식 구조물을 해저면에 계류시키기 위한 계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해저면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의 둘레면에 감겨지고, 일 단부가 상기 부유식 구조물에 연결되는 계류 라인; 및
    상기 계류 라인의 타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중에 부유하도록 제공되는 부력 부재를 포함하는,
    계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회전체; 및
    상기 제 1 회전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둘레면에 상기 계류 라인이 감기는 제 2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전체는 상기 해저면과 수직하는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 2 회전체는 상기 제 1 회전축과 수직하는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계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체는,
    상기 고정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결합부; 및
    상기 회전 결합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 2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계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 결합부의 상측에 체결되는 체결단; 및
    상기 체결단의 양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단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단에는 상기 제 2 회전체의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계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부재는,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계류 라인이 연결되는 회전 연결부를 포함하는,
    계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와 상호 연통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계류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중공에 해수가 선택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계류 장치.
KR1020170181296A 2017-12-27 2017-12-27 계류 장치 KR102027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296A KR102027577B1 (ko) 2017-12-27 2017-12-27 계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296A KR102027577B1 (ko) 2017-12-27 2017-12-27 계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234A true KR20190079234A (ko) 2019-07-05
KR102027577B1 KR102027577B1 (ko) 2019-10-01

Family

ID=67224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296A KR102027577B1 (ko) 2017-12-27 2017-12-27 계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5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3845A1 (ko) * 2020-01-29 2021-08-05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계류 장치
KR20220158479A (ko) * 2021-05-24 2022-12-01 권오근 수중 부력체에 의한 2점식 계류장치
EP4201798A1 (en) * 2021-12-24 2023-06-28 TotalEnergies OneTech Mooring device for an offshore wind turbin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3100A (ko) * 2010-12-24 2012-07-04 윤삼걸 부력체와 도르레를 이용한 해양생물 관측 장치 및 그 고정방법
KR20120079447A (ko) * 2009-11-08 2012-07-12 에스에스피 테크놀러지스, 인코포레이티드 근해 부력식 시추, 생산, 저장 및 하역 구조물
KR101422502B1 (ko) 2013-03-29 2014-07-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구조물 또는 선박의 계류설비
KR20140105106A (ko) * 2013-02-21 2014-09-01 (주)위닝비즈니스 회전 추적식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KR20160017765A (ko) * 2014-08-04 2016-02-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벙커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9447A (ko) * 2009-11-08 2012-07-12 에스에스피 테크놀러지스, 인코포레이티드 근해 부력식 시추, 생산, 저장 및 하역 구조물
KR20120073100A (ko) * 2010-12-24 2012-07-04 윤삼걸 부력체와 도르레를 이용한 해양생물 관측 장치 및 그 고정방법
KR20140105106A (ko) * 2013-02-21 2014-09-01 (주)위닝비즈니스 회전 추적식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KR101422502B1 (ko) 2013-03-29 2014-07-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구조물 또는 선박의 계류설비
KR20160017765A (ko) * 2014-08-04 2016-02-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벙커링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3845A1 (ko) * 2020-01-29 2021-08-05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계류 장치
KR20220158479A (ko) * 2021-05-24 2022-12-01 권오근 수중 부력체에 의한 2점식 계류장치
EP4201798A1 (en) * 2021-12-24 2023-06-28 TotalEnergies OneTech Mooring device for an offshore wind turbine
WO2023117459A1 (en) * 2021-12-24 2023-06-29 Totalenergies Onetech Mooring device for an offshore wind turb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577B1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96701C2 (ru) Система для загрузки судов в море
KR100943457B1 (ko) 시추선용 계류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시추선
KR20190079234A (ko) 계류 장치
CA1171323A (en) Floating-type offshore structure
JP2796890B2 (ja) 船の繋留方法および浮遊貯蔵船
KR102209053B1 (ko) 계류 장치
JP2006519137A (ja) ライザー・パイプの支持システムおよび支持方法
US20060177273A1 (en) Deep water flexible riser protection
KR20140046681A (ko) Tlp의 계류 시스템
RU2328403C2 (ru)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ибкого восходяще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KR102563565B1 (ko) 수중 부력체에 의한 2점식 계류장치
EP3012184A1 (en) Mooring apparatus and drillship including same
RU2673757C2 (ru) Плавучая платформа с поворачивающейся юбкой килевой части
KR101625515B1 (ko) 무어링 장치
KR102050794B1 (ko) 스토퍼가 구비된 선박용 완충장치
KR20090040608A (ko) 이동 및 위치 조정 가능한 부유식 안벽
WO2011042535A1 (en) Calm buoy
KR20210051044A (ko) 해양 구조물 계류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JP2000203487A (ja) 浮体係留装置
KR20200069022A (ko) 지반침하 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KR102016359B1 (ko) 계류장치
KR101609625B1 (ko) 동요 저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KR102601484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 고정장치
JPH0565096A (ja) 脚付きポンツーン
KR101291254B1 (ko) 해양 구조물의 라이저 프로텍터 및 그 설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