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945B1 - 부품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 Google Patents

부품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945B1
KR102531945B1 KR1020180124605A KR20180124605A KR102531945B1 KR 102531945 B1 KR102531945 B1 KR 102531945B1 KR 1020180124605 A KR1020180124605 A KR 1020180124605A KR 20180124605 A KR20180124605 A KR 20180124605A KR 102531945 B1 KR102531945 B1 KR 102531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ressing part
cover
product body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3785A (ko
Inventor
김광호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4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945B1/ko
Publication of KR20200043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9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connector relating features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pins with the PCB or for mounting the connector body with the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고정장치 및 이를 사용한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품몸체(10)에 고정봉(16)이 형성되고, 상기 제품몸체(10)에 체결되어 상기 제품몸체(10)의 내부를 외부와 차폐하는 커버(20)에 제1 및 제2 누름부(24,24')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봉(16)의 연장방향과 상기 누름부(24,24')의 연장방향은 서로 직교하게 된다. 상기 고정봉(16)의 선단에는 걸이부(18)가 형성되어 상기 제1누름부(24)의 연장레그(26) 선단에 형성된 걸이턱(30)이 걸어진다. 상기 제1누름부(24)와 제2누름부(24')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있고, 이 간격에는 부품(40)의 고정브라켓(43)이 위치하는데, 상기 고정브라켓(43)의 관통공(45)에는 상기 고정봉(16)이 관통한 상태에서 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품몸체(10)와 커버(20)의 결합에 의해 부품(40)이 제품몸체(10) 내에 고정되어 이동되지 않도록 된다.

Description

부품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Parts fastening apparatus and block for vehic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부품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릴레이와 같은 부품이 장착된 상태에서 임의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부품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만들어진 하우징의 내부에 많은 부품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제품에서는 부품의 고정을 위해 볼트와 너트 등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부품은 제품의 전체 부품갯수를 늘릴 뿐 아니라 볼트와 너트의 체결을 위한 공수가 많아지게 하는 문제점도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용 블럭의 경우 블럭몸체 내에 릴레이, 저항, 퓨즈 등등의 부품들이 많이 사용되는데, 이와 같은 부품들을 블록몸체 내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볼트 너트 등의 부품이 필요하고, 이들을 체결하기 위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볼트와 너트는 예를 들어 하나의 릴레이를 블럭몸체에 고정하기 위해 2쌍 이상이 사용되어야 하므로 부품수가 크게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볼트나 너트중 어느 하나는 블럭몸체에 미리 고정되어 있어야 하는데, 고정상태가 견고하지 않으면 부품이 블럭몸체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 20-2011-000070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78394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품몸체와 상기 제품몸체를 덮는 커버를 사용하여 제품몸체에 설치되는 부품을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품몸체와 상기 제품몸체의 내부를 외부와 차폐하는 커버가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제품에서 상기 제품몸체에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부품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품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품몸체의 몸체측벽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부품에 있는 고정브라켓의 관통공을 관통하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봉이 관통하는 고정브라켓의 일측 외면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커버에 구비되는 제1누름부와, 상기 고정봉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봉이 관통하는 고정브라켓의 타측 외면에 인접하여 위치하여 상기 제1누름부와의 사이에 상기 고정브라켓이 위치되게 하며 상기 커버에 구비되는 제2누름부를 포함한다.
제1누름부와 제2누름부는 상기 커버에서 연장되는 한쌍의 연장레그 사이에 상기 고정봉의 외면에 안착되는 누름아치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봉은 상기 제품몸체의 몸체측벽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누름부와 제2누름부는 상기 커버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봉의 선단 양측에는 걸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누름부의 연장레그 선단에는 상기 걸이부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형성된다.
아치형상으로 되는 상기 누름아치의 내면에는 상기 고정봉의 외면이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를 둘러 몸체측벽이 형성되고 부품이 장착되는 제품몸체와, 상기 제품몸체에 체결되어 상기 제품몸체의 내부를 외부와 차폐하는 커버와, 상기 제품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품몸체의 몸체측벽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부품에 있는 고정브라켓의 관통공을 관통하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봉이 관통하는 고정브라켓의 일측 외면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커버에 구비되는 제1누름부와, 상기 고정봉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봉이 관통하는 고정브라켓의 타측 외면에 인접하여 위치하여 상기 제1누름부와의 사이에 상기 고정브라켓이 위치되게 하며 상기 커버에 구비되는 제2누름부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에서 연장되는 한쌍의 연장레그 사이에 상기 고정봉의 외면에 안착되는 누름아치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아치형상으로 되는 상기 누름아치의 내면에는 상기 고정봉의 외면이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고정봉은 상기 제품몸체의 몸체측벽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누름부와 제2누름부는 상기 커버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누름부와 제2누름부는 상기 커버의 측벽 내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봉의 선단 양측에는 걸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누름부의 연장레그 선단에는 상기 걸이부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형성된다.
하나의 상기 부품에 대해서 상기 고정봉과 제1,2누름부의 쌍은 적어도 2개 이상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부품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품몸체에 고정봉을 두고 상기 제품몸체의 내부를 덮는 커버에 부품의 브라켓을 관통한 상기 고정봉을 상기 브라켓의 양측에서 눌러주는 제1누름부와 제2누름부를 두었다. 상기 고정봉과 누름부의 쌍을 적어도 2개 이상 두어서 상기 부품을 제품몸체에 고정하도록 하였으므로 부품고정장치가 사용되는 제품의 부품수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고정봉을 제품몸체에 일체로 형성하게 되면 부품의 브라켓을 고정봉이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의 양측에서 상기 제1 및 제2 누름부가 고정봉을 눌러줌에 의해 브라켓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서, 부품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누름부와 고정봉이 서로 체결되어 제품몸체와 커버 사이의 체결역할도 한다. 따라서, 제품몸체와 커버 사이의 결합을 위한 구성을 제품몸체와 커버 외부에 상대적으로 적게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자동차용 블럭의 설계 자유도가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부품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채용된 자동차용 블럭의 일 실시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2-2'선 단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고정봉을 포함하는 제품몸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누름부를 포함하는 커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부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례의 부품고정장치는 제품의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제품몸체(10)와 상기 제품몸체(10)의 내부를 덮는 커버(20)가 있는 제품에 채용된다.
상기 제품몸체(10)의 바닥을 베이스판(12)이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판(12)은 단순히 판형으로 될 수도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을 위한 다수개의 리브들이 표면에 교차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몸체측벽(14)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측벽(14)은 상기 베이스판(12)의 표면에 대략 직교하게 돌출되어 상기 제품몸체(10) 내부의 공간을 외부와 구획한다.
상기 몸체측벽(14)의 내면에는 고정봉(16)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봉(16)은 본 실시례에서는 원기둥형상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고정봉(16)의 단면 형상을 다양한 것으로 될 수 있다. 상기 고정봉(16)은 상기 몸체측벽(14)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상기 고정봉(16)을 상기 몸체측벽(14)과 별개로 만들어 조립하거나 상기 고정봉(16)이 제품몸체(10)의 어느 부분에라도 일체 또는 별개로 만들어 조립할 수 있다.
상기 고정봉(16)의 선단 양측에는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18)가 있다. 상기 걸이부(18)는 상기 고정봉(16)의 양측을 잘라낸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20)에 있는 걸이턱(30)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봉(16)은 상기 제품몸체(10)에 다수개가 있을 수 있는데,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40)의 고정브라켓(43)의 갯수와 대응되는 갯수가 있다. 상기 고정봉(16)은 하나의 부품(40)에 대해 적어도 2개 이상이 있으면 된다.
상기 제품몸체(10)의 내부를 차폐하도록 커버(20)가 있다. 상기 커버(20)는 상기 제품몸체(10)에 체결되어 고정되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커버(20)와 제품몸체(10)가 체결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커버(20)는 상기 제품몸체(10)의 베이스판(12)과 마주보게 천정판(21)이 있다. 상기 천정판(21)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커버측벽(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측벽(22)은 상기 제품몸체(10)의 몸체측벽(14)과 겹쳐지거나 결합된다.
상기 커버측벽(22)의 내면에 형성된 연결리브(23)에서 연장되어서는 제1누름부(24)와 제2누름부(24')가 있다. 상기 제1누름부(24)와 제2누름부(24')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동일하고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제1누름부(24)와 제2누름부(24') 사이의 간격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40)의 고정브라켓(43)이 위치된다. 이와 같이 고정브라켓(43)이 상기 제1누름부(24)와 제2누름부(24') 사이에 있게 되면 부품이 상기 고정봉(16)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제1누름부(24)와 제2누름부(24')에는 각각 연장레그(26)가 한쌍씩 있다. 상기 연장레그(26)는 상기 연결리브(23)에서 연장된 것이다. 상기 연결리브(23)는 상기 커버측벽(22)에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천정판(21)에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누름부(24)와 제2누름부(24')의 연장레그(26)는 상기 천정판(21)에 일체로 될 수도 있다.
상기 연장레그(26)의 사이를 연결하여서는 누름아치(28)가 있다. 상기 누름아치(28)는 아치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그 내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고정봉(16)의 반경과 같다. 상기 누름아치(28)는 상기 고정봉(16)의 외면을 반드시 눌러주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접촉되거나 밀착되는 정도이면 된다.
상기 연장레그(26)의 연장방향은 상기 고정봉(16)의 연장방향과 직교한다. 이와 같이 고정봉(16)의 연장방향에 직교하게 연장레그(26)를 형성함에 의해 상기 누름아치(28)가 상기 고정봉(16)의 외면에 안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연장레그(26)는 상기 고정봉(16)이 관통하여 있는 고정브라켓(43)이 상기 고정봉(16)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기 커버(20)가 상기 제품몸체(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20)에 있는 상기 제1 및 제2 누름부(24,24')의 연장레그(26) 사이에 고정브라켓(43)이 위치하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제1누름부(24)의 연장레그(26) 선단 일측에는 걸이턱(30)이 있다. 상기 걸이턱(30)은 서로 마주보는 연장레그(26)이 것이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된다. 상기 걸이턱(30)은 상기 고정봉(16)의 걸이부(18)에 걸어지는 것이다. 상기 걸이턱(30)이 상기 고정봉(16)의 걸이부(18)에 걸어짐에 의해 고정봉(16)과 제1누름부(24)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걸이턱(30)은 상기 제2누름부(24')의 연장레그(26)에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턱(30)과 걸이부(18)의 분리시에 작업자의 손이나 공구가 접근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외부에서 상기 커버(20)에 가하는 힘에 의해서 결합이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봉(16)이나 상기 연장레그(26)의 탄성변형 정도를 적절하게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제1누름부(24)의 걸이턱(30)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1누름부(24)에 있는 누름아치(28)에는 절결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절결부(32)는 상기 커버(20)를 제작하는 금형에서 상기 걸이턱(30)의 형성을 위한 코어가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봉(16)과 상기 제1,2누름부(24,24')에 의해 고정되는 부품(4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6에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부품(40)의 외관을 부품몸체(42)가 형성한다. 상기 부품몸체(42)는 대략 육면체 형상이고 양측면에 고정브라켓(43)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43)에는 관통공(4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45)을 상기 고정봉(16)이 관통한다. 상기 부품(40)의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부품고정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품몸체(10)에 있는 고정봉(16)과 상기 커버(20)에 있는 제1누름부(24) 및 제2누름부(24')에 의해 부품(40)의 고정브라켓(43)이 고정되면서 부품(40)이 제품몸체(10) 내에 고정된다.
상기 제품몸체(10)에 상기 부품(40)을 설치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품몸체(42)에 있는 고정브라켓(43)의 관통공(45)에 상기 고정봉(16)이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봉(16)이 상기 관통공(45)을 관통하게 되면 상기 부품(40)은 상기 제품몸체(10)에 가조립된 상태가 된다. 비록 가조립상태이기는 하지만, 상기 부품몸체(42)의 일부면은 상기 제품몸체(10) 측에 접촉되어 있어서 상기 고정봉(16)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외한 나머지 움직임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부품(40)에 커넥터가 결합되는 등에 의해서 상기 부품(40)은 상기 제품몸체(10)에서의 이동이 거의 없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부품(40)이 상기 제품몸체(10)에 가조립되고, 상기 제품몸체(10)에 다른 부품들의 설치가 완성되고 나면, 상기 커버(20)를 상기 제품몸체(10)에 결합한다. 상기 커버(2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20)에 있는 상기 제1누름부(24)와 제2누름부(24')가 상기 고정봉(16)을 눌러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누름부(24)와 제2누름부(24')의 사이에 상기 부품(40)의 고정브라켓(43)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커버(20)를 상기 제품몸체(10)에 체결완료하게 되면, 상기 제1누름부(24)의 걸이턱(30)이 상기 고정봉(16)의 걸이부(18)에 걸어진다. 이 과정에서 상기 걸이턱(30)이 형성된 상기 연장레그(26)의 선단은 약간 탄성변형되었다가 복원되어 상기 고정봉(16)에 결합된다.
상기 부품(40)의 고정브라켓(43)이 양쪽의 고정봉(16)에서 상기 제1누름부(24)와 제2누름부(24') 사이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브라켓(43)의 관통공(35)을 상기 고정봉(16)이 관통하고 상기 제1누름부(24)와 제2누름부(24')가 상기 고정봉(16)을 눌러줌에 의해 상기 고정브라켓(43) 다시 말해 상기 부품(40)의 유동이 방지된다.
상기 제1누름부(24)와 제2누름부(24') 사이에 상기 고정브라켓(43)이 있음에 의해 상기 고정봉(16)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되고, 상기 고정봉(16)에 의해 상기 고정봉(16)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다양한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20)의 제1누름부(24)가 상기 제품몸체(10)의 고정봉(16)에 결합됨에 의해 커버(20)와 제품몸체(10) 사이의 결합도 견고하게 된다. 특히 상기 고정봉(16)이 상기 제품몸체(10)의 몸체측벽(14)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봉(16)이 형성되는 근처의 몸체측벽(14)에서는 커버(20)와의 결합을 위한 구성을 따로 두지 않아도 된다. 참고로 본 발명 실시례가 적용된 자동차용 블럭의 경우에 상기 부품(40)을 2개 이상 사용하는데, 본 발명을 채용하게 되면 제품몸체(10)와 커버(20) 사이의 결합을 위한 구성을 대체하여 제품몸체(10)와 커버(20) 외부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봉(16)이 상기 몸체측벽(14)에 형성되어 상기 부품(40)이 상기 고정봉(16)과 결합되면, 상기 몸체측벽(14)에 상기 부품(40)이 장착되는데, 이와 같이 됨에 의해 제품몸체(10)의 내부 공간을 보다 잘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자동차용 블럭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것을 제시하였으나, 사출성형된 몸체와 커버로 외관이 구성되는 다양한 제품들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10: 제품몸체 12: 베이스판
14: 몸체측벽 16: 고정봉
18: 걸이부 20: 커버
21: 천정판 22: 커버측벽
23: 연결리브 24: 제1누름부
24': 제2누름부 26: 연장레그
28: 누름아치 30: 걸이턱
32: 절결부 40: 부품
42: 부품몸체 43: 고정브라켓
45:관통공

Claims (12)

  1. 제품몸체와 상기 제품몸체의 내부를 외부와 차폐하는 커버가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제품에서 상기 제품몸체에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부품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품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품몸체의 몸체측벽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부품에 있는 고정브라켓의 관통공을 관통하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봉이 관통하는 고정브라켓의 일측 외면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커버에 구비되는 제1누름부와,
    상기 고정봉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봉이 관통하는 고정브라켓의 타측 외면에 인접하여 위치하여 상기 제1누름부와의 사이에 상기 고정브라켓이 위치되게 하며 상기 커버에 구비되는 제2누름부를 포함하는 부품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누름부와 제2누름부는 상기 커버에서 연장되는 한쌍의 연장레그 사이에 상기 고정봉의 외면에 안착되는 누름아치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부품고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봉은 상기 제품몸체의 몸체측벽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누름부와 제2누름부는 상기 커버에 일체로 형성되는 부품고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봉의 선단 양측에는 걸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누름부의 연장레그 선단에는 상기 걸이부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형성되는 부품고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아치형상으로 되는 상기 누름아치의 내면에는 상기 고정봉의 외면이 접촉되거나 밀착되는 부품고정장치.
  6.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가장자리를 둘러 몸체측벽이 형성되고 부품이 장착되는 제품몸체와,
    상기 제품몸체에 체결되어 상기 제품몸체의 내부를 외부와 차폐하는 커버와,
    상기 제품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제품몸체의 몸체측벽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부품에 있는 고정브라켓의 관통공을 관통하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봉이 관통하는 고정브라켓의 일측 외면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커버에 구비되는 제1누름부와,
    상기 고정봉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봉이 관통하는 고정브라켓의 타측 외면에 인접하여 위치하여 상기 제1누름부와의 사이에 상기 고정브라켓이 위치되게 하며 상기 커버에 구비되는 제2누름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블럭.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서 연장되는 한쌍의 연장레그 사이에 상기 고정봉의 외면에 안착되는 누름아치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자동차용 블럭.
  8. 제 7 항에 있어서, 아치형상으로 되는 상기 누름아치의 내면에는 상기 고정봉의 외면이 접촉되거나 밀착되는 자동차용 블럭.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봉은 상기 제품몸체의 몸체측벽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누름부와 제2누름부는 상기 커버에 일체로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누름부와 제2누름부는 상기 커버의 측벽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봉의 선단 양측에는 걸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누름부의 연장레그 선단에는 상기 걸이부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형성되는 자동차용 블럭.
  12. 제 6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부품에 대해서 상기 고정봉과 제1,2누름부의 쌍은 적어도 2개 이상이 구비되는 자동차용 블럭.
KR1020180124605A 2018-10-18 2018-10-18 부품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KR102531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605A KR102531945B1 (ko) 2018-10-18 2018-10-18 부품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605A KR102531945B1 (ko) 2018-10-18 2018-10-18 부품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785A KR20200043785A (ko) 2020-04-28
KR102531945B1 true KR102531945B1 (ko) 2023-05-16

Family

ID=70456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605A KR102531945B1 (ko) 2018-10-18 2018-10-18 부품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9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0221A (ko) 2022-07-15 2024-01-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부품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박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709U (ko) 2009-07-15 2011-01-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용 결합장치
KR101810126B1 (ko) * 2010-11-30 2018-01-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사용한 차량용 기판블록
KR101146497B1 (ko) * 2010-10-27 2012-05-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기판블록
KR101783942B1 (ko) 2016-03-24 2017-11-06 이문재 원터치 보호커버를 구비한 릴레이 소켓
KR20180037485A (ko) * 2016-10-04 2018-04-1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블럭
KR20180091260A (ko) * 2017-02-06 2018-08-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블럭의 커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785A (ko) 202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5784B2 (ja) 電気接続箱
US10532715B2 (en) Steering wheel unit, airbag module, and steering wheel body
US9776578B2 (en) Clip and pillar garnish fixing structure
CN107947069B (zh) 固定构造以及电气接线箱
CN108569235B (zh) 冲击吸收体
US10021796B2 (en) Electronic control unit having rivet fixture
KR20190069342A (ko) 플렉서블 플라스틱 스냅-수용 소켓
KR102531945B1 (ko) 부품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ITTO20120606A1 (it) Dispositivo fermaporta con una porzione di fissaggio senza viti
JP6369391B2 (ja) ポンプ保護部材
CN105270484A (zh) 用于车辆的盖
JP6140767B2 (ja) 透過音遮蔽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透過音遮蔽構造
CN214740628U (zh) 一种用于车辆的把手安装总成及车辆
EP2966393B1 (en) An integrated bracket for automotive heat exchanger
BR112013014939B1 (pt) dispositivo limpador de para-brisa para veículo automotor
US20180216643A1 (en) Support member
JP5925499B2 (ja) 車両用ドアの止水構造
KR20170002387U (ko) 조인트 블럭
JP2017139891A (ja) 樹脂成形体
JP3954257B2 (ja) 電装品のフレームへの固定構造
CN209982878U (zh) 组装构造
JP6231850B2 (ja) ヒューズユニット
KR100745452B1 (ko) 크래쉬패드의 핀 체결구조
KR200457519Y1 (ko) 모터 설치용 클램핑수단
KR100933542B1 (ko) 조립형 퓨즈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