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710B1 -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1710B1
KR102531710B1 KR1020210125911A KR20210125911A KR102531710B1 KR 102531710 B1 KR102531710 B1 KR 102531710B1 KR 1020210125911 A KR1020210125911 A KR 1020210125911A KR 20210125911 A KR20210125911 A KR 20210125911A KR 102531710 B1 KR102531710 B1 KR 102531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ir
height limiting
rotation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2978A (ko
Inventor
고재윤
Original Assignee
고재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재윤 filed Critical 고재윤
Priority to KR1020210125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710B1/ko
Publication of KR20230042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2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96Overhead structures, e.g. gantries; Foundation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되는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에 의하면, 차량이 통행하는 차량 도로에 설치되는 차량 통과 시설물의 진입구에 적용되어 상기 차량 통과 시설물에 진입할 수 있는 상기 차량의 높이를 제한시키는 것으로서, 지주부와, 수평보와, 상측 회전 부재와, 하측 회전 부재 및 차량 높이 제한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차량 통과 시설의 상기 진입구로 진입하는 상기 차량에 대한 높이를 제한할 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차량의 높이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진입하여 상기 차량이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에 부딪히게 되더라도 상기 상측 회전 부재와 상기 하측 회전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차량과 상기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상측 회전 부재와 상기 하측 회전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회전되는 것을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확인하게 됨으로써 상기 차량이 상기 차량 통과 시설물과 부딪히는 사고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Vehicle traffic road height limiter with turn function}
본 발명은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통행하는 차량 도로에는 주변 환경 특성 등의 필요에 따라 육교, 터널, 지하차도, 차량 도로 상공의 구조물 등의 차량 통과 시설물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상기 차량 통과 시설물에는 탑재물이 쌓인 화물 트럭 등 차량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차량이 진입하다가 상기 차량 통과 시설물과 상기 차량이 충돌되어 상기 차량 통과 시설물 및 상기 차량 중 적어도 하나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차량 통과 시설물에서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진입구에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들이다.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는 상기 차량 도로의 상기 진입구 상에 세워지는 지주부와, 상기 지주부에 소정 각도를 가지면서 연결되는 수평보와, 상기 수평보에 매달리는 형태로 상기 진입구 상의 소정 높이에 배치되어 상기 진입구에 진입되는 상기 차량의 높이를 제한시키는 높이 제한 부재로 구성되는데, 종래의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에 의하면, 상기 높이 제한 부재가 상기 진입구 상의 소정 높이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확인하는 것은 가능하였으나, 상기 높이 제한 부재가 상기 수평보에 고정된 형태로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운전자가 상기 높이 제한 부재의 높이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진입할 경우, 상기 높이 제한 부재에 상기 차량이 부딪혀 상기 차량, 상기 높이 제한 부재 및 상기 차량 통과 시설물 중 적어도 하나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실용신안 제 20-2008-0006418 호, 공개일자: 2008.12.22., 발명의 명칭: 차량높이 제한 장치
본 발명은 차량 통과 시설의 진입구로 진입하는 차량에 대한 높이를 제한하면서도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차량의 높이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진입하여 상기 차량이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에 부딪히게 되더라도 상기 차량과 상기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통과 시설물과 부딪히는 사고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는 차량이 통행하는 차량 도로에 설치되는 차량 통과 시설물의 진입구에 적용되어 상기 차량 통과 시설물에 진입할 수 있는 상기 차량의 높이를 제한시키는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로서, 상기 진입구의 설치면 상에서 소정 길이로 길게 세워지는 지주부; 상기 지주부의 상측 말단부에서 상기 지주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결되는 수평보; 상기 수평보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수평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측 회전 부재; 상기 상측 회전 부재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상측 회전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측 회전 부재; 및 상기 하측 회전 부재로부터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면서 상기 하측 회전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진입구의 상공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 통과 시설물에 진입할 수 있는 상기 차량의 높이를 제한시키는 차량 높이 제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진입구 상의 소정 높이에 배치된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에 의해 상기 진입구로 진입 가능한 상기 차량의 높이가 확인될 수 있고, 상기 차량이 상기 진입구로 진입되다가 상기 상측 회전 부재, 상기 하측 회전 부재 및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부딪히게 되면, 상기 하측 회전 부재 및 상기 상측 회전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상측 회전 부재, 상기 하측 회전 부재 및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상측 회전 부재는 상기 진입구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고, 한 쌍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상측 회전 몸체와, 상기 각 상측 회전 몸체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보가 삽입되어 상기 수평보에 상기 상측 회전 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상측 회전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회전 연결부는 소정 곡률을 가진 아치(arch)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보의 일부분을 덮게 되는 제 1 연결체와, 소정 곡률을 가진 아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보 중 상기 제 1 연결체에 의해 덮인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덮게 되는 제 2 연결체와, 상기 제 1 연결체와 상기 제 2 연결체를 서로 연결시켜 상기 수평보에 대한 상기 상측 회전 연결부의 연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상측 회전 연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체 및 상기 제 2 연결체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과 상기 수평보 사이에는 소정 간격의 유격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보에 대한 상기 상측 회전 연결부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각 상측 회전 몸체의 하측부에는 서로 다른 높이의 상측 관통 홀이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하측 회전 부재는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면서 한 쌍의 상기 상측 회전 몸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상측부에 하측 관통 홀이 형성된 한 쌍의 하측 회전 몸체와, 상기 각 하측 회전 몸체를 상기 각 상측 회전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하측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하측 회전축이 상기 상측 관통 홀 및 상기 하측 관통 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측 회전 몸체가 상기 상측 회전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하측 회전축이 복수 개의 상기 상측 관통 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진입구 상에 배치되는 상기 하측 회전 몸체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고,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는 상기 하측 회전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하측 회전 몸체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차량 높이 제한 몸체와, 상기 각 하측 회전 몸체에 상기 각 차량 높이 제한 몸체를 결합시키는 차량 높이 제한측 결합 수단과, 한 쌍의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몸체의 하측 말단부를 연결시키는 차량 높이 제한측 연결봉과, 탄성 변경 가능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량 높이 제한측 연결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탄성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진입구로 진입되던 상기 차량이 상기 탄성 회전체와 부딪히게 되면, 상기 탄성 회전체가 탄성 변형됨과 동시에 상기 차량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차량 및 상기 탄성 회전체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는 상기 진입구로 진입하는 상기 차량과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가 부딪혀서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 및 상기 하측 회전 부재가 상기 차량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었다가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때,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 및 상기 하측 회전 부재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복귀 회전의 속도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복귀 회전 감속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귀 회전 감속 부재는 상기 차량 높이 제한측 연결봉에서 상기 탄성 회전체와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탄성 회전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그 내부에 에어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피충격체와,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 및 상기 하측 회전 부재에 대해 상기 복귀 회전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하측 회전축에 접하여 상기 복귀 회전의 회전 속도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복귀 회전 감속부와, 상기 피충격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상기 에어를 상기 피충격체에서 상기 복귀 회전 감속부로 전달시키는 에어 전달부와, 상기 피충격체와 상기 에어 전달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에어 전달부에 의해 상기 에어가 상기 복귀 회전 감속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피충격체의 상기 에어를 상기 에어 전달부로 이동시키는 에어 이동관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 전달부는 상기 하측 회전 몸체의 상측부에 배치되고, 그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에어 전달 몸체와, 상기 에어 전달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그 내부가 상기 에어 이동관과 연통되어 상기 피충격체로부터 이동된 상기 에어가 수용되는 에어 수용체와, 상기 에어 전달 몸체의 내측면과 상기 에어 수용체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 수용체가 가압되도록 상기 에어 수용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압 탄성체와, 상기 에어 수용체의 내부 중 상기 에어 이동관이 연결되는 부분에 배치되고, 일측 말단은 상기 에어 수용체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타측 말단은 상기 에어 수용체의 내측면과 이격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에어 이동관을 따라 이동되던 상기 에어가 상기 에어 수용체로 유입되는 것은 허용되되, 상기 에어 수용체에 수용된 상기 에어가 상기 에어 이동관으로 배출되는 것은 방지되도록 하는 역류 방지체와, 상기 에어 수용체에 수용된 상기 에어를 상기 복귀 회전 감속부로 전달시키는 에어 전달관을 포함하고, 상기 복귀 회전 감속부는 상기 에어 전달 몸체의 하측에 배치되는 복귀 회전 감속 몸체와, 상기 복수 회전 감속 몸체의 저면에서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과, 상기 함몰홈의 개방된 하부를 막으면서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하방으로 부풀어 오를 수 있는 팽창체와, 상기 함몰홈과 상기 복귀 회전 감속 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배출홀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 이동관의 내부 직경은 상기 에어 전달관의 내부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에어 전달관의 내부 직경은 상기 배출홀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진입구로 진입한 상기 차량이 상기 피충격체에 부딪히게 되면,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 및 상기 하측 회전 부재가 상기 차량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부딪힘 회전 후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상기 복귀 회전이 진행되고, 상기 차량의 부딪힘에 의해 상기 피충격체가 가압되면서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 및 상기 하측 회전 부재가 상기 차량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는 상기 부딪힘 회전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피충격체의 내부에 있던 상기 에어가 상기 에어 이동관을 통해 상기 에어 수용체에 수용되어 상기 에어 수용체가 점진적으로 부풀어 오르게 되면서 상기 가압 탄성체에는 복원력이 축적되고, 상기 부딪힘 회전이 진행되는 동안 부풀어 오른 상기 에어 수용체의 내부 압력에 의해 상기 역류 방지체가 상기 에어 이동관을 막게 되고, 상기 역류 방지체가 상기 에어 이동관을 막은 상태에서 상기 가압 탄성체는 축적된 복원력이 복원되면서 상기 에어 수용체를 가압하게 되고, 상기 가압 탄성체에 의한 상기 에어 수용체의 가압에 의해 상기 에어 수용체 내부에 수용된 상기 에어가 상기 에어 전달관을 통해 상기 함몰홈으로 전달되어 상기 팽창체가 부풀어 오르게 되고, 부풀어 오른 상기 팽창체가 상기 하측 회전축에 접하게 됨으로써,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 및 상기 하측 회전 부재에 대해 상기 복귀 회전이 수행될 때의 회전 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에 의하면, 차량이 통행하는 차량 도로에 설치되는 차량 통과 시설물의 진입구에 적용되어 상기 차량 통과 시설물에 진입할 수 있는 상기 차량의 높이를 제한시키는 것으로서, 지주부와, 수평보와, 상측 회전 부재와, 하측 회전 부재 및 차량 높이 제한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차량 통과 시설의 상기 진입구로 진입하는 상기 차량에 대한 높이를 제한할 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차량의 높이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진입하여 상기 차량이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에 부딪히게 되더라도 상기 상측 회전 부재와, 하측 회전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차량과 상기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상측 회전 부재와, 하측 회전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회전되는 것을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확인하게 됨으로써 상기 차량이 상기 차량 통과 시설물과 부딪히는 사고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의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를 구성하는 상측 회전 부재, 하측 회전 부재, 차량 높이 제한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4는 도 2의 나머지 일부를 확대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5는 도 2의 측면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를 구성하는 상측 회전 부재, 하측 회전 부재, 차량 높이 제한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를 구성하는 복귀 회전 감속 부재를 확대한 도면.
도 8은 도 7의 복귀 회전 감속 부재가 작동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의 모습을 보이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의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를 구성하는 상측 회전 부재, 하측 회전 부재, 차량 높이 제한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나머지 일부를 확대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측면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100)는 차량이 통행하는 차량 도로에 설치되는 차량 통과 시설물의 진입구에 적용되어 상기 차량 통과 시설물에 진입할 수 있는 상기 차량의 높이를 제한시키는 것으로서, 지주부(110)와, 수평보(115)와, 상측 회전 부재(120)와, 하측 회전 부재(130) 및 차량 높이 제한 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100)가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진입구 상의 소정 높이에 배치된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140)에 의해 상기 진입구로 진입 가능한 상기 차량의 높이가 확인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상기 차량은 상기 차량 도로 상에서 통행하는 자동차 및 상기 자동차에 탑재된 탑재물까지도 함께 지칭하고, 상기 차량의 높이는 상기 자동차의 높이와 상기 탑재물의 높이 중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상기 지주부(110)는 상기 진입구의 설치면 상에서 소정 길이 길게 세워지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으로 세워진 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수평보(115)는 상기 지주부(110)의 상측 말단부에서 상기 지주부(1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결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주부(110)와 수직되게 연장되어 상기 설치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바아(bar)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상측 회전 부재(120)는 상기 수평보(115)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수평보(11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상측 회전 부재(120)는 상측 회전 몸체(121)와, 상측 회전 연결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상측 회전 몸체(121)는 상기 진입구 상에서 바아(bar) 형태를 가지면서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고, 한 쌍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각 상측 회전 몸체(121)의 하측부에는 서로 다른 높이의 상측 관통 홀(128)이 복수 개 형성된다.
상기 상측 회전 몸체(121)는 상기 상측 관통 홀(128)을 통해 상기 하측 회전 부재(130)와 연결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면 번호 129는 봉 형태로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상측 회전 몸체(121) 사이에 연결되어 한 쌍의 상기 상측 회전 몸체(121)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하는 상측 강성 보강체이다.
상기 상측 강성 보강체(129)는 한 쌍의 상기 상측 회전 몸체(121)의 길이에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회전 연결부(122)는 상기 각 상측 회전 몸체(121)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보(115)가 삽입되어 상기 수평보(115)에 상기 상측 회전 몸체(121)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것으로, 제 1 연결체(123)와, 제 2 연결체(125)와, 상측 회전 연결 수단(127)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연결체(123)는 소정 곡률을 가진 아치(arch)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보(115)의 일부분을 덮게 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제 1 연결체(123)는 상기 제 1 연결체(123)의 중앙부가 최고부가 되는 볼록한 반원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수평보(115)의 상측부를 덮게 된다.
상기 제 1 연결체(123)의 일측 말단에는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제 1 연결체 일측 돌기(124a)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연결체(123)의 타측 말단에는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제 1 연결체 타측 돌기(124b)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연결체 일측 돌기(124a) 및 상기 제 1 연결체 타측 돌기(124b)는 상기 제 1 연결체(123)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연결체(125)는 소정 곡률을 가진 아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보(115) 중 상기 제 1 연결체(123)에 의해 덮인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덮게 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제 2 연결체(125)는 상기 제 2 연결체(125)의 중아부가 최저부가 되는 오목한 반원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수평보(115)의 하측부를 덮게 된다.
상기 제 2 연결체(125)의 일측 말단에는 상기 제 1 연결체 일측 돌기(124a)와 대면되면서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제 2 연결체 일측 돌기(126a)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연결체(125)의 타측 말단에는 상기 제 1 연결체 타측 돌기(124b)와 대면되면서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제 2 연결체 타측 돌기(126b)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연결체 일측 돌기(126a) 및 상기 제 2 연결체 타측 돌기(126b)는 상기 제 2 연결체(125)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연결체(123), 상기 제 1 연결체 일측 돌기(124a), 상기 제 1 연결체 타측 돌기(124b)는 상기 제 2 연결체(125), 상기 제 2 연결체 일측 돌기(126a), 상기 제 2 연결체 타측 돌기(126b)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연결체 일측 돌기(124a) 및 상기 제 2 연결체 일측 돌기(126a)가 밀착되고, 상기 제 1 연결체 타측 돌기(124b) 및 상기 제 2 연결체 타측 돌기(126b)가 밀착되면, 상기 제 1 연결체(123)와 상기 제 2 연결체(125)에 의해 둘러싸인 원형 단면 형태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 단면 형태의 공간에 상기 수평보(115)가 삽입된다.
상기 제 1 연결체(123) 및 상기 제 2 연결체(125)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의 단면은 상기 수평보(115)의 단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연결체(123) 및 상기 제 2 연결체(125)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과 상기 수평보(115) 사이에는 소정 간격의 유격(125a)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보(115)에 대한 상기 상측 회전 연결부(122)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상측 회전 연결 수단(127)은 상기 제 1 연결체(123)와 상기 제 2 연결체(125)를 서로 연결시켜 상기 수평보(115)에 대한 상기 상측 회전 연결부(122)의 연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볼트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측 회전 연결 수단(127)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상기 회전 연결 수단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 1 연결체 일측 돌기(124a) 및 상기 제 2 연결체 일측 돌기(126a)에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한 쌍의 상기 회전 연결 수단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 1 연결체 타측 돌기(124b) 및 상기 제 2 연결체 타측 돌기(126b)에 순차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 연결체(123) 및 상기 제 2 연결체(125)가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회전 연결 수단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 2 연결체 일측 돌기(126a) 및 상기 제 1 연결체 일측 돌기(124a)에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한 쌍의 상기 회전 연결 수단 중 다른 하나가 상기 제 2 연결체 타측 돌기(126b) 및 상기 제 1 연결체 타측 돌기(124b)에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하측 회전 부재(130)는 상기 상측 회전 부재(120)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상측 회전 부재(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한 쌍의 하측 회전 몸체(131)와, 하측 회전축(132)을 포함한다.
한 쌍의 상기 하측 회전 몸체(131)는 바아(bar) 형태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면서 한 쌍의 상기 상측 회전 몸체(121)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상측부에 하측 관통 홀(133)이 형성된 것이다.
도면 번호 134는 봉 형태로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하측 회전 몸체(131) 사이에 연결되어 한 쌍의 상기 하측 회전 몸체(131)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하는 하측 강성 보강체이다.
상기 하측 강성 보강체(134)는 한 쌍의 상기 하측 회전 몸체(131)의 길이에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면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측 강성 보강체(134)는 두 개로 이루어지고, 하나는 한 쌍의 상기 하측 회전 몸체(131)의 상측부에 각각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한 쌍의 상기 하측 회전 몸체(131)의 하측부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하측 회전축(132)은 상기 각 하측 회전 몸체(131)를 상기 각 상측 회전 몸체(1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것으로, 평행핀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하측 회전축(132)이 상기 상측 관통 홀(128) 및 상기 하측 관통 홀(13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측 회전 몸체(131)가 상기 상측 회전 몸체(12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각 상측 회전 몸체(121)의 하측부에는 서로 다른 높이의 상측 관통 홀(128)이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하측 회전축(132)이 복수 개의 상기 상측 관통 홀(128)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진입구 상에 배치되는 상기 하측 회전 몸체(131)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측 회전축(132)이 복수 개의 상기 상측 관통 홀(128) 중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배치된 것과 상기 하측 관통 홀(133)에 삽입되면, 상기 진입구의 설치면 상에서 상기 하측 회전 부재(130)는 상대적으로 높은 상공에 배치되고, 상기 하측 회전축(132)이 복수 개의 상기 상측 관통 홀(128) 중 상대적으로 낮은 곳에 배치된 것과 상기 하측 관통 홀(133)에 삽입되면, 상기 진입구의 설치면 상에서 상기 하측 회전 부재(130)는 상대적으로 낮은 상공에 배치되고, 그에 따라 상기 하측 회전 부재(130)와 연결되는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140)도 상기 진입구의 설치면 상에서 배치되는 높이가 함께 가변된다.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140)는 상기 하측 회전 부재(130)로부터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면서 상기 하측 회전 부재(130)에 결합되고, 상기 진입구의 상공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 통과 시설물에 진입할 수 있는 상기 차량의 높이를 제한시키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140)는 한 쌍의 차량 높이 제한 몸체(141)와, 차량 높이 제한측 결합 수단(1420과, 차량 높이 제한측 연결봉(143)과, 탄성 회전체(144)를 포함한다.
한 쌍의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몸체(141)는 상기 하측 회전 몸체(131)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길게 바아(bar) 형태로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하측 회전 몸체(131)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다.
도면 번호 145는 봉 형태로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몸체(141) 사이에 연결되어 한 쌍의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몸체(141)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하는 차량 높이 제한측 강성 보강체이다.
상기 차량 높이 제한측 강성 보강체(145)는 한 쌍의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몸체(141)의 길이에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면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량 높이 제한측 결합 수단(1420은 상기 각 하측 회전 몸체(131)에 상기 각 차량 높이 제한 몸체(141)를 결합시키는 것으로 볼트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차량 높이 제한측 연결봉(143)은 소정 길이의 봉 형태로 형성되어 한 쌍의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몸체(141)의 하측 말단부를 연결시키는 것으로, 상기 차량 높이 제한측 연결봉(143)의 일측 말단과 타측 말단이 한 쌍의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몸체(141)의 내벽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탄성 회전체(144)는 고무 등의 탄성 변경 가능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량 높이 제한측 연결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 회전체(144)는 상기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100)의 최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진입구로 진입하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로 하여금 상기 차량 통과 시설물에서 제한되는 높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측 회전 부재(120), 상기 하측 회전 부재(130) 및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140)는 자중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상측 회전 부재(120), 상기 하측 회전 부재(130) 및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140)가 상하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이 상기 진입구로 진입되다가 상기 상측 회전 부재(120), 상기 하측 회전 부재(130) 및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140) 중 적어도 하나에 부딪히게 되면, 상기 하측 회전 부재(130) 및 상기 상측 회전 부재(120) 중 적어도 하나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상측 회전 부재(120), 상기 하측 회전 부재(130) 및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140) 중 적어도 하나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진입구로 진입되던 상기 차량이 상기 탄성 회전체(144)와 부딪히게 되면, 상기 탄성 회전체(144)가 탄성 변형됨과 동시에 상기 차량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차량 및 상기 탄성 회전체(144)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탄성 회전체(144)는 상기 운전자가 상기 차량의 높이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상태로 진입하여 상기 차량의 상측 부분이 상기 탄성 회전체(144)에 접하게 될 경우 상기 차량의 진입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운전자가 상기 차량의 높이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상태로 진입하여 상기 차량의 상측 부분이 상기 탄성 회전체(144)에 부딪히게 될 경우 탄성 변형되었다가 복원됨으로써, 상기 차량 및 상기 탄성 회전체(144)의 파손이 함께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상측 회전 부재(120), 상기 하측 회전 부재(130) 및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140)가 자중에 의해 상하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이 상기 진입구로 진입되다가 상기 차량의 상측 부분이 상기 탄성 회전체(144)에 접하게 되면, 상기 탄성 회전체(144)가 상기 차량의 진입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상측 회전 부재(120), 상기 하측 회전 부재(130) 및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140)가 자중에 의해 상하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이 상기 진입구로 진입되다가 상기 차량의 상측 부분이 상기 탄성 회전체(144)에 부딪히게 되면, 상기 탄성 회전체(144)는 탄성 변형되었다가 복원되고, 이 때 상기 상측 회전 부재(120), 상기 하측 회전 부재(130) 및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140) 중 적어도 하나도 상기 차량이 진입하는 진입 방향으로 회전되었다가 상기 차량이 진입된 후에는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상측 회전 부재(120), 상기 하측 회전 부재(130) 및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140)가 자중에 의해 상하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이 상기 진입구로 진입되다가 상기 상측 회전 부재(120), 상기 하측 회전 부재(130) 및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140) 중 적어도 하나에 부딪히게 되면, 상기 하측 회전 부재(130) 및 상기 상측 회전 부재(120)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차량이 진행하는 방향 쪽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상측 회전 부재(120), 상기 하측 회전 부재(130) 및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140) 중 적어도 하나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차량의 파손도 함께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100)가 상기 지주부(110)와, 상기 수평보(115)와, 상기 상측 회전 부재(120)와, 상기 하측 회전 부재(130) 및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140)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차량 통과 시설의 상기 진입구로 진입하는 상기 차량에 대한 높이를 제한하면서도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차량의 높이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진입하여 상기 차량이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에 부딪히게 되더라도 상기 상측 회전 부재(120)와, 상기 하측 회전 부재(130) 중 적어도 하나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차량과 상기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상측 회전 부재(120)와, 상기 하측 회전 부재(130) 중 적어도 하나가 회전되는 것을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확인하게 됨으로써 상기 차량이 상기 차량 통과 시설물과 부딪히는 사고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를 구성하는 상측 회전 부재, 하측 회전 부재, 차량 높이 제한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를 구성하는 복귀 회전 감속 부재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복귀 회전 감속 부재가 작동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가 지주부와, 수평보와, 상측 회전 부재와, 하측 회전 부재와, 차량 높이 제한 부재(240) 및 복귀 회전 감속 부재(250)를 포함한다.
상기 지주부는 상기 진입구의 설치면 상에서 소정 길이로 길게 세워지는 것이다.
상기 수평보는 상기 지주부의 상측 말단부에서 상기 지주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상측 회전 부재는 상기 수평보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수평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하측 회전 부재는 상기 상측 회전 부재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상측 회전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240)는 상기 하측 회전 부재로부터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면서 상기 하측 회전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진입구의 상공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 통과 시설물에 진입할 수 있는 상기 차량의 높이를 제한시키는 것이다.
상기 복귀 회전 감속 부재(250)는 진입구로 진입하는 상기 차량과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240)가 부딪혀서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240) 및 상기 하측 회전 부재가 상기 차량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었다가 자중에 의해 상기 차량이 진입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원위치로 복귀될 때, 원위치로 복귀되는 복귀 회전의 속도를 댐핑시켜 상기 복귀 회전의 속도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귀 회전 감속 부재(25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의 양측 말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한 쌍의 상기 하측 회전축(232)에 각각 접하면서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게 된다.
상세히, 상기 복귀 회전 감속 부재(250)는 피충격체(251)와, 에어 전달부(253)와, 에어 이동관(252)과, 복귀 회전 감속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피충격체(251)는 차량 높이 제한측 연결봉에서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240)를 구성하는 탄성 회전체(244)와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탄성 회전체(244)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그 내부에 에어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피충격체(251)는 상기 차량 높이 제한측 연결봉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 회전체(244)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차량이 상기 탄성 회전체(244)에 접하는 형태로 상기 진입구를 진입할 경우에는 그 상태 그대로 유지되고, 상기 탄성 회전체(244)의 일부분이 상기 차량에 부딪힐 만큼 상기 차량의 높이가 상기 탄성 회전체(244)의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 상기 탄성 회전체(244)의 일부분과 함께 상기 차량에 의해 부딪히게 된다.
상기 피충격체(251)에 상기 차량이 부딪히게 되면, 상기 피충격체(251)가 가압되면서 상기 피충격체(25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상기 에어가 상기 에어 이동관(252)을 통해 상기 에어 전달부(253)로 이동된다.
상기 에어 전달부(253)는 상기 피충격체(25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상기 에어를 상기 피충격체(251)에서 상기 복귀 회전 감속부(260)로 전달시키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에어 전달부(253)는 에어 전달 몸체(254)와, 에어 수용체(255)와, 가압 탄성체(256)와, 역류 방지체(257)와, 에어 전달관(258)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 전달 몸체(254)는 상기 하측 회전 몸체의 상측부에 배치되고, 그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정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에어 수용체(255)는 상기 에어 전달 몸체(254)의 내부에 배치되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그 내부가 상기 에어 이동관(252)과 연통되어 상기 피충격체(251)로부터 이동된 상기 에어가 수용되는 것이다.
상기 가압 탄성체(256)는 상기 에어 전달 몸체(254)의 내측면과 상기 에어 수용체(255)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 수용체(255)가 가압되도록 상기 에어 수용체(255)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압축 스프링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가압 탄성체(256)는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되어 복수 지점에서 상기 에어 수용체(255)를 각각 가압하게 된다.
상기 역류 방지체(257)는 상기 에어 수용체(255)의 내부 중 상기 에어 이동관(252)이 연결되는 부분에 배치되고, 일측 말단은 상기 에어 수용체(255)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타측 말단은 상기 에어 수용체(255)의 내측면과 이격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에어 이동관(252)을 따라 이동되던 상기 에어가 상기 에어 수용체(255)로 유입되는 것은 허용되되, 상기 에어 수용체(255)에 수용된 상기 에어가 상기 에어 이동관(252)으로 배출되는 것은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역류 방지체(257)는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 수용체(255)의 내측면에 접할 수 있도록 상기 에어 수용체(255)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에어 전달관(258)은 상기 에어 수용체(255)에 수용된 상기 에어를 상기 복귀 회전 감속부(260)로 전달시키는 것이다.
상기 에어 이동관(252)은 상기 에어 전달부(253)가 상기 에어를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피충격체(251)와 상기 에어 전달부(253)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에어 전달부(253)에 의해 상기 에어가 상기 복귀 회전 감속부(260)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피충격체(251)의 상기 에어를 상기 에어 전달부(253)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소정 길이의 호스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복귀 회전 감속부(260)는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240) 및 상기 하측 회전 부재에 대해 상기 복귀 회전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하측 회전 부재를 구성하는 하측 회전축(232)에 접하여 상기 복귀 회전의 회전 속도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복귀 회전 감속부(260)는 복귀 회전 감속 몸체(261)와, 함몰홈(262)과, 팽창체(263)와, 배출홀(264)을 포함한다.
상기 복귀 회전 감속 몸체(261)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 전달 몸체(254)의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함몰홈(262)은 상기 복수 회전 감속 몸체의 저면에서 내측을 향해 소정 깊이로 함몰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팽창체(263)는 상기 함몰홈(262)의 개방된 하부를 막으면서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하방으로 부풀어 오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출홀(264)은 상기 함몰홈(262)과 상기 복귀 회전 감속 몸체(261)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것으로, 상기 함몰홈(262) 및 상기 팽창체(263)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상기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에어 이동관(252)의 내부 직경은 상기 에어 전달관(258)의 내부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에어 전달관(258)의 내부 직경은 상기 배출홀(264)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에어 이동관(252)을 경유하는 상기 에어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빠르고, 상기 배출홀(26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에어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느려서 상기 피충격체(251)에서 상기 에어 이동관(252)을 통해 이동되어 상기 에어 수용체(255)에 수용된 상기 에어는 상기 에어 수용체(255)의 내부와 상기 함몰홈(262)의 공간에서 소정 시간동안 머물러 있다가 상기 배출홀(26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복귀 회전 감속 부재(250)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진입구로 진입한 상기 차량이 상기 피충격체(251)에 부딪히게 되면,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240) 및 상기 하측 회전 부재가 상기 차량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부딪힘 회전이 진행된 후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상기 복귀 회전이 진행되고, 상기 차량의 부딪힘에 의해 상기 피충격체(251)가 가압되면서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240) 및 상기 하측 회전 부재가 상기 차량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는 상기 부딪힘 회전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차량의 부딪힘에 의해 상기 피충격체(251)의 내부에 있던 상기 에어가 상기 에어 이동관(252)을 통해 상기 에어 수용체(255)에 수용되어 상기 에어 수용체(255)가 점진적으로 부풀어 오르게 되면서 상기 가압 탄성체(256)에는 복원력이 축적된다.
그러다가, 상기 부딪힘 회전이 진행되는 동안 부풀어 오른 상기 에어 수용체(255)의 내부 압력에 의해 상기 역류 방지체(257)가 상기 에어 이동관(252)을 막게 되고, 상기 역류 방지체(257)가 상기 에어 이동관(252)을 막은 상태에서 상기 가압 탄성체(256)는 축적된 복원력이 복원되면서 상기 에어 수용체(255)를 가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 탄성체(256)에 의한 상기 에어 수용체(255)의 가압에 의해 상기 에어 수용체(255) 내부에 수용된 상기 에어가 상기 에어 전달관(258)을 통해 상기 함몰홈(262)으로 전달되어 상기 팽창체(263)가 부풀어 오르게 되고, 부풀어 오른 상기 팽창체(263)가 하측 회전축(232)에 접하게 됨으로써,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240) 및 상기 하측 회전 부재에 대해 상기 복귀 회전이 수행될 때의 회전 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함몰홈(262)으로 전달된 상기 에어는 상기 팽창체(263)를 부풀어 오르게 한 후 상기 배출홀(26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상기 에어 전달관(258)의 내부 직경에 비해 상기 배출홀(264)의 내부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에어는 상기 팽창체(263) 내부에서 소정 시간동안 머물러 있다가 서서히 상기 배출홀(264)을 통해 배출되고, 그에 따라 상기 팽창체(263)와 상기 하측 회전축(232)은 상기 복귀 회전이 진행될 동안 접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의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가 광을 반사시키는 광 반사체(3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광 반사체(370)는 상측 회전 부재(320) 및 하측 회전 부재(330) 중 적어도 하나의 전면, 즉, 차량이 주행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주행하는 상기 차량과 대면되는 면에 장착되고, 상기 차량의 등 또는 주변의 불빛 등의 광을 반사시켜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상기 상측 회전 부재(320) 및 상기 하측 회전 부재(330)의 위치를 확인시키는 것이다.
상기 광 반사체(370)는 상기 광 반사체(370)로 입사되는 광을 광원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시트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광 반사체(370)가 형성되면, 상기 차량의 야간 운전 시 차량 도로 주변의 상기 광을 반사시켜 상기 상측 회전 부재(320) 및 상기 하측 회전 부재(330)의 위치가 확인될 뿐만 아니라, 상기 광 반사체(370)에 차량 통과 시설물과 상기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 사이의 이격 거리 등에 대한 글자 또는 문자를 기입하여 상기 차량의 안전 운전을 위한 정보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에 의하면, 차량이 통행하는 차량 도로에 설치되는 차량 통과 시설물의 진입구에 적용되어 상기 진입구로 진입하는 상기 차량에 대한 높이를 제한할 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차량의 높이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진입하여 상기 차량이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에 부딪히게 되더라도 상기 차량과 상기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
110 : 지주부
115 : 수평보
120 : 상측 회전 부재
130 : 하측 회전 부재
140 : 차량 높이 제한 부재
250 : 복귀 회전 감속 부재
370 : 광 반사체

Claims (5)

  1. 차량이 통행하는 차량 도로에 설치되는 차량 통과 시설물의 진입구에 적용되어 상기 차량 통과 시설물에 진입할 수 있는 상기 차량의 높이를 제한시키는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로서,
    상기 진입구의 설치면 상에서 소정 길이로 길게 세워지는 지주부;
    상기 지주부의 상측 말단부에서 상기 지주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결되는 수평보;
    상기 수평보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수평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측 회전 부재;
    상기 상측 회전 부재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상측 회전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측 회전 부재; 및
    상기 하측 회전 부재로부터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면서 상기 하측 회전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진입구의 상공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 통과 시설물에 진입할 수 있는 상기 차량의 높이를 제한시키는 차량 높이 제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진입구 상의 소정 높이에 배치된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에 의해 상기 진입구로 진입 가능한 상기 차량의 높이가 확인될 수 있고,
    상기 차량이 상기 진입구로 진입되다가 상기 상측 회전 부재, 상기 하측 회전 부재 및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부딪히게 되면, 상기 하측 회전 부재 및 상기 상측 회전 부재 중 적어도 하나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상측 회전 부재, 상기 하측 회전 부재 및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상측 회전 부재는
    상기 진입구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고, 한 쌍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상측 회전 몸체와,
    상기 각 상측 회전 몸체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보가 삽입되어 상기 수평보에 상기 상측 회전 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상측 회전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회전 연결부는
    소정 곡률을 가진 아치(arch)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보의 일부분을 덮게 되는 제 1 연결체와,
    소정 곡률을 가진 아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보 중 상기 제 1 연결체에 의해 덮인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덮게 되는 제 2 연결체와,
    상기 제 1 연결체와 상기 제 2 연결체를 서로 연결시켜 상기 수평보에 대한 상기 상측 회전 연결부의 연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상측 회전 연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체 및 상기 제 2 연결체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과 상기 수평보 사이에는 소정 간격의 유격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보에 대한 상기 상측 회전 연결부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각 상측 회전 몸체의 하측부에는 서로 다른 높이의 상측 관통 홀이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하측 회전 부재는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면서 한 쌍의 상기 상측 회전 몸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상측부에 하측 관통 홀이 형성된 한 쌍의 하측 회전 몸체와,
    상기 각 하측 회전 몸체를 상기 각 상측 회전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하측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하측 회전축이 상기 상측 관통 홀 및 상기 하측 관통 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하측 회전 몸체가 상기 상측 회전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하측 회전축이 복수 개의 상기 상측 관통 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진입구 상에 배치되는 상기 하측 회전 몸체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고,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는
    상기 하측 회전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하측 회전 몸체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차량 높이 제한 몸체와,
    상기 각 하측 회전 몸체에 상기 각 차량 높이 제한 몸체를 결합시키는 차량 높이 제한측 결합 수단과,
    한 쌍의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몸체의 하측 말단부를 연결시키는 차량 높이 제한측 연결봉과,
    탄성 변경 가능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량 높이 제한측 연결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탄성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진입구로 진입되던 상기 차량이 상기 탄성 회전체와 부딪히게 되면, 상기 탄성 회전체가 탄성 변형됨과 동시에 상기 차량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차량 및 상기 탄성 회전체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는
    상기 진입구로 진입하는 상기 차량과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가 부딪혀서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 및 상기 하측 회전 부재가 상기 차량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었다가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때,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 및 상기 하측 회전 부재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복귀 회전의 속도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복귀 회전 감속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귀 회전 감속 부재는
    상기 차량 높이 제한측 연결봉에서 상기 탄성 회전체와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탄성 회전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그 내부에 에어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피충격체와,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 및 상기 하측 회전 부재에 대해 상기 복귀 회전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하측 회전축에 접하여 상기 복귀 회전의 회전 속도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복귀 회전 감속부와,
    상기 피충격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상기 에어를 상기 피충격체에서 상기 복귀 회전 감속부로 전달시키는 에어 전달부와,
    상기 피충격체와 상기 에어 전달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에어 전달부에 의해 상기 에어가 상기 복귀 회전 감속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피충격체의 상기 에어를 상기 에어 전달부로 이동시키는 에어 이동관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 전달부는
    상기 하측 회전 몸체의 상측부에 배치되고, 그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에어 전달 몸체와,
    상기 에어 전달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그 내부가 상기 에어 이동관과 연통되어 상기 피충격체로부터 이동된 상기 에어가 수용되는 에어 수용체와,
    상기 에어 전달 몸체의 내측면과 상기 에어 수용체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 수용체가 가압되도록 상기 에어 수용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압 탄성체와,
    상기 에어 수용체의 내부 중 상기 에어 이동관이 연결되는 부분에 배치되고, 일측 말단은 상기 에어 수용체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타측 말단은 상기 에어 수용체의 내측면과 이격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에어 이동관을 따라 이동되던 상기 에어가 상기 에어 수용체로 유입되는 것은 허용되되, 상기 에어 수용체에 수용된 상기 에어가 상기 에어 이동관으로 배출되는 것은 방지되도록 하는 역류 방지체와,
    상기 에어 수용체에 수용된 상기 에어를 상기 복귀 회전 감속부로 전달시키는 에어 전달관을 포함하고,
    상기 복귀 회전 감속부는
    상기 에어 전달 몸체의 하측에 배치되는 복귀 회전 감속 몸체와,
    상기 복수 회전 감속 몸체의 저면에서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과,
    상기 함몰홈의 개방된 하부를 막으면서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하방으로 부풀어 오를 수 있는 팽창체와,
    상기 함몰홈과 상기 복귀 회전 감속 몸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배출홀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 이동관의 내부 직경은 상기 에어 전달관의 내부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에어 전달관의 내부 직경은 상기 배출홀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진입구로 진입한 상기 차량이 상기 피충격체에 부딪히게 되면,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 및 상기 하측 회전 부재가 상기 차량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부딪힘 회전 후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상기 복귀 회전이 진행되고,
    상기 차량의 부딪힘에 의해 상기 피충격체가 가압되면서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 및 상기 하측 회전 부재가 상기 차량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는 상기 부딪힘 회전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피충격체의 내부에 있던 상기 에어가 상기 에어 이동관을 통해 상기 에어 수용체에 수용되어 상기 에어 수용체가 점진적으로 부풀어 오르게 되면서 상기 가압 탄성체에는 복원력이 축적되고,
    상기 부딪힘 회전이 진행되는 동안 부풀어 오른 상기 에어 수용체의 내부 압력에 의해 상기 역류 방지체가 상기 에어 이동관을 막게 되고, 상기 역류 방지체가 상기 에어 이동관을 막은 상태에서 상기 가압 탄성체는 축적된 복원력이 복원되면서 상기 에어 수용체를 가압하게 되고,
    상기 가압 탄성체에 의한 상기 에어 수용체의 가압에 의해 상기 에어 수용체 내부에 수용된 상기 에어가 상기 에어 전달관을 통해 상기 함몰홈으로 전달되어 상기 팽창체가 부풀어 오르게 되고, 부풀어 오른 상기 팽창체가 상기 하측 회전축에 접하게 됨으로써, 상기 차량 높이 제한 부재 및 상기 하측 회전 부재에 대해 상기 복귀 회전이 수행될 때의 회전 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25911A 2021-09-23 2021-09-23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 KR102531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911A KR102531710B1 (ko) 2021-09-23 2021-09-23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911A KR102531710B1 (ko) 2021-09-23 2021-09-23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2978A KR20230042978A (ko) 2023-03-30
KR102531710B1 true KR102531710B1 (ko) 2023-05-10

Family

ID=85985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911A KR102531710B1 (ko) 2021-09-23 2021-09-23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17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687B1 (ko) 2023-09-15 2024-02-06 주식회사 더 케이앤씨 전동식 차량 높이 제한 개폐 시설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215Y1 (ko) * 2004-08-25 2004-11-10 주식회사 거도산업 차량의 통과높이 제한장치
KR200385888Y1 (ko) * 2005-03-09 2005-06-07 서윤산업주식회사 피난터널 차량높이제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6418U (ko) 2008-12-02 2008-12-22 장현진 차량높이제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215Y1 (ko) * 2004-08-25 2004-11-10 주식회사 거도산업 차량의 통과높이 제한장치
KR200385888Y1 (ko) * 2005-03-09 2005-06-07 서윤산업주식회사 피난터널 차량높이제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687B1 (ko) 2023-09-15 2024-02-06 주식회사 더 케이앤씨 전동식 차량 높이 제한 개폐 시설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2978A (ko) 2023-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1302A (en) Energy absorbing barrier
KR102531710B1 (ko) 회전 기능을 가진 차량 통과 높이 제한 장치
US5507546A (en) Underride protection bumper
US7547157B2 (en) Barrier device with foam interior
AU2002322601B2 (en) Energy absorption apparatus with collapsible modules
US20020096894A1 (en) Damped crash attenuator
ES2357034T3 (es) Sistema de absorción de energía de explosión montado en remolque.
NO331365B1 (no) Kollisjonssikringsanordning og fremgangsmate for a forhindre eller redusere skade ved kollisjon med et autovern
AU2002322601A1 (en) Energy absorption apparatus with collapsible modules
KR101542365B1 (ko) 차단바가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EP1612333A1 (en) Post
KR102369213B1 (ko) 양방향 차단용 매설형 로드블록
CN201981497U (zh) 护栏端头防护系统
CN114635357A (zh) 一种桥梁用防护能力较好的护栏
EP3686346B1 (en) Crash cushion
KR100503500B1 (ko) 차량의 충격흡수장치
KR101550564B1 (ko) 외충격력을 흡수하는 상하이동식 자동볼라드
ES2284280T3 (es) Dispositivo guardarrailes.
KR101073539B1 (ko) 차량충돌 완충장치
KR200387087Y1 (ko) 가이드레일용 충격흡수대
EP1611289B1 (en) Crash barrier
EP1918460B1 (en) Improved system for contention of lateral vehicle impact, with a high capacity of contention and of energy absorption
KR100457890B1 (ko) 충격완화 되는 도로용 가드 레일
KR102411708B1 (ko) 차량 이탈 방지장치
CN217325159U (zh) 露天矿运输桥涵用交通护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