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267B1 -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 - Google Patents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267B1
KR102530267B1 KR1020210055571A KR20210055571A KR102530267B1 KR 102530267 B1 KR102530267 B1 KR 102530267B1 KR 1020210055571 A KR1020210055571 A KR 1020210055571A KR 20210055571 A KR20210055571 A KR 20210055571A KR 102530267 B1 KR102530267 B1 KR 102530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sting device
along
moving
blasting
extending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8482A (ko
Inventor
최준식
Original Assignee
(주)엠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에스이 filed Critical (주)엠에스이
Priority to KR1020210055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267B1/ko
Publication of KR20220148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8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 B24C3/1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for treating extern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8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 B24C3/16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for treating internal su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중공을 구비하는 파이프형 가공 물품의 표면에 연마재를 분사할 수 있는 블라스팅 장치로서, 상기 가공 물품의 중공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가공 물품의 내부 표면에 연마재를 분사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분사 장치;를 구비하는 내부 블라스팅 장치; 상기 가공 물품의 외부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가공 물품의 외부 표면에 연마재를 분사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분사 장치;를 구비하는 외부 블라스팅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블라스팅 장치와 상기 외부 블라스팅 장치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왕복 위치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블라스팅 장치 및 외부 블라스팅 장치를 사용하여, 가공 물품의 내외부 표면을 동시에 신속하게 표면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Blasting Apparatus of Dual Type}
본 발명은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파이프형 가공 물품의 내외부 표면을 동시에 신속하게 표면 처리할 수 있는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블라스팅(blasting) 공법은, 강재와 같은 가공 물품의 표면을 처리하는 공법의 일종으로서, 모래, 철 가루, 그리트(grit), 규석 입자, 연소재 등 비교적 경도가 큰 연마재를 첨가한 물 등을 압축 공기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강력하게 분사하여, 강재의 표면에 있는 이물질(녹, 오일, 도막, 스케일(scale) 등)을 제거하는 세척 공법이다.
상기 블라스팅 공법은, 도장을 위한 전처리의 핵심 공정으로서, 규사나 연마재 등의 광물 입자를 투사하는 샌드 블라스팅(sand blasting), 철 가루나 커트 와이어를 투사하는 쇼트(shot) 블라스팅, 예리한 각이 있는 철 조각을 투사하는 그리트(grit) 블라스팅 등이 있다.
특히, 풍력발전을 위한 윈드 타워(Wind Tower), 대형 저장 용기(Vessel) 등 크기나 부피가 매우 큰 물품의 외부 표면 처리가 조선 및 기타 대형 플랜트를 다루는 공장에서 자주 수행되고 있는데, 현재는 가공 물품이 있는 작업장 내에 투입된 작업자가 가공 물품의 표면에 고압의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연마재를 직접 수작업으로 분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블라스팅 작업은, 가공 물품의 길이나 부피가 클 경우에는, 작업자가 인력으로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져 전체적인 작업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유해한 분진으로 인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으며, 장시간의 작업과 연마재의 강력 분사로 인하여 작업자의 안전 사고 위험도 매우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파이프형 가공 물품의 내외부 표면을 동시에 신속하게 표면 처리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중공을 구비하는 파이프형 가공 물품의 표면에 연마재를 분사할 수 있는 블라스팅 장치로서, 상기 가공 물품의 중공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가공 물품의 내부 표면에 연마재를 분사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분사 장치;를 구비하는 내부 블라스팅 장치; 상기 가공 물품의 외부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가공 물품의 외부 표면에 연마재를 분사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분사 장치;를 구비하는 외부 블라스팅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블라스팅 장치와 상기 외부 블라스팅 장치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왕복 위치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 블라스팅 장치는, 상기 분사 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본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1 레일; 상기 본체를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왕복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제1 이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내부 블라스팅 장치는, 상기 분사 장치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왕복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제2 이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 이동 장치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부재로서, 전단부에는 상기 분사 장치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2 레일; 상기 이동 부재의 후단부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쌍으로 마련되며, 구름 운동 가능하게 상기 제2 레일과 결합되어 있는 제2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바퀴는, 적어도 두 쌍이 마련되며, 각 쌍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한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내부 블라스팅 장치는, 상기 분사 장치를 제3 방향을 따라 연장된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왕복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 진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내부 블라스팅 장치의 분사 장치가 일단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가로보;와 상기 가로보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있는 본체;를 구비하는 이송 차량;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 차량은, 상기 가로보가 상기 가공 물품의 중공에 삽입되는 사용 위치와, 상기 가로보가 상기 가공 물품의 중공으로부터 이탈되는 이탈 위치 사이에서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내부 블라스팅 장치의 분사 장치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상기 가로보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외부 블라스팅 장치는, 상기 분사 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본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1 레일을 구비하는 프레임 구조물; 상기 본체를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왕복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제1 이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외부 블라스팅 장치는, 상기 분사 장치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왕복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제2 이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 이동 장치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부재로서, 전단부에는 상기 분사 장치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2 레일; 상기 이동 부재의 후단부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쌍으로 마련되며, 구름 운동 가능하게 상기 제2 레일과 결합되어 있는 제2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바퀴는, 적어도 두 쌍이 마련되며, 각 쌍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한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외부 블라스팅 장치는, 상기 분사 장치를 제3 방향을 따라 연장된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왕복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 진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 진동 장치는, 진동용 모터; 상기 진동용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크랭크 부재; 상기 크랭크 부재에 의하여, 상기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왕복 회전 운동하는 로드 부재;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연장된 축으로서, 상기 로드 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됨으로써 왕복 회전 운동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중공을 구비하는 파이프형 가공 물품의 표면에 연마재를 분사할 수 있는 블라스팅 장치로서, 상기 가공 물품의 중공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가공 물품의 내부 표면에 연마재를 분사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분사 장치;를 구비하는 내부 블라스팅 장치; 상기 가공 물품의 외부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가공 물품의 외부 표면에 연마재를 분사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분사 장치;를 구비하는 외부 블라스팅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블라스팅 장치와 상기 외부 블라스팅 장치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왕복 위치 이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가공 물품의 내외부 표면을 동시에 신속하게 표면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의 측면 프레임 일부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외부 이동형 블라스팅 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외부 이동형 블라스팅 장치의 제1 이동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외부 이동형 블라스팅 장치의 제1 이동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외부 이동형 블라스팅 장치의 제1 이동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외부 이동형 블라스팅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외부 이동형 블라스팅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외부 이동형 블라스팅 장치의 회전 진동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외부 이동형 블라스팅 장치의 회전 진동 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외부 이동형 블라스팅 장치의 회전 진동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외부 이동형 블라스팅 장치의 회전 진동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4에 도시된 내부 이동형 블라스팅 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내부 이동형 블라스팅 장치의 다른 확대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내부 이동형 블라스팅 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내부 이동형 블라스팅 장치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의 측면 프레임 일부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1000)는, 풍력발전을 위한 윈드 타워(Wind Tower), 대형 저장 용기(Vessel) 등 크기나 부피가 매우 큰 가공 물품(M)의 표면에 연마재(F)를 분사하는 블라스팅(blasting) 장치로서, 내부 블라스팅 장치(A100)와 외부 블라스팅 장치(B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가공 물품(M)이 제1 방향(C1)을 따라 길게 연장된 윈드 타워용 파이프(M)로서 중공을 구비하며, 상기 윈드 타워용 파이프가 물품 지지대(S)에 의하여 제1 방향(C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외부 블라스팅 장치(B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공 물품(M)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블라스팅 장치로서,, 상기 가공 물품(M)의 외부 표면에 연마재(F)를 분사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분사 장치이다.
상기 외부 블라스팅 장치(B100)는, 프레임 구조물(B10)과 본체(B20)와 제1 이동 장치(B30)와 제2 이동 장치(B40)와 회전 진동 장치(B50)와 분사 장치(B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 구조물(B1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제로 제작된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작업장의 바닥에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 구조물(B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연장된 측면 프레임(B11)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측면 프레임(B11)으로부터 상기 가공 물품(M)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 프레임(B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 프레임(B11) 및 상기 돌출 프레임(B12)는,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제1 방향(C1)을 따라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나열되어 있다.
상기 돌출 프레임(B12)의 전단부 상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방향(C1)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1 가이드 빔(B13)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빔(B1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연장된 웹(B131)과, 상기 웹(B131)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된 한 쌍의 플랜지(B132)를 포함하는 "I"형 빔이다.
상기 제1 가이드 빔(B13)의 상면에는, 상기 제1 방향(C1)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레일(B15)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레일(B15)은 상기 제1 가이드 빔(B13)에 의하여 받쳐서 지지된다.
상기 돌출 프레임(B12)의 후단부 하면에는, 상기 제1 방향(C1)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2 가이드 빔(B14)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 가이드 빔(B14)은, 상기 제1 가이드 빔(B13)과 마찬가지로 상하로 연장된 웹과, 상기 웹의 상단 및 하단에 배치된 한 쌍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I"형 빔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가이드 빔(B14)의 웹이 상기 제1 가이드 빔(B13)의 웹(B131)보다 상하 길이가 짧다.
상기 돌출 프레임(B12)의 상방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방향(C1)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행거 레일(B16)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행거 레일(B16)에는, 상기 제1 방향(C1)을 따라 왕복 슬라이딩 운동 가능한 케이블 행거(B17)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케이블 행거(B17)는, 전원 공급 및 전기적 제어를 위한 케이블(B18) 등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케이블 행거(B17)에는, 상기 케이블(B18)을 수납하여 안내하는 케이블 유입부(B19)의 상단부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케이블(B18)은, 상기 제1 이동 장치(B30)와 상기 본체(B20)와 상기 제2 이동 장치(B40)와 상기 회전 진동 장치(B50)에 전원 및 각종 신호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본체(B20)는, 상기 외부 블라스팅 장치(B100)의 본체로서, 전단부 본체(B21)와 후단부 본체(B22)를 포함한다.
상기 전단부 본체(B21)는, 상기 제1 레일(B15)을 기준으로 가공 물품(M)에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된 부분이다.
상기 전단부 본체(B21)는,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경사면(B211)과, 평평한 형태의 뒷면(B21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단부 본체(B21)의 상단부가 상기 제1 이동 장치(B30)의 전단부 하면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후단부 본체(B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단부 본체(B21)의 후방에 배치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1 방향(C1)과 수직하게 교차하는 제2 방향(C2)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부분이다.
상기 후단부 본체(B22)의 전단부는 상기 전단부 본체(B21)의 뒷면(B212)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후단부 본체(B22)의 후단부는 상기 제2 방향(C2)을 따라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후단부 본체(B22)의 후단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가이드 빔(B14)에 접촉하여 구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3 가이드 롤러(B3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3 가이드 롤러(B36)는 상기 제2 가이드 빔(B14)의 하단 플랜지의 하면에 접촉하여 구름 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 이동 장치(B30)는, 상기 본체(B20)를 상기 제1 레일(B15)을 따라 양방향(P3)으로 왕복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장치로서, 제1 이동 장치 본체(B31)와 제1 가이드 롤러(B32)와 제1 모터(B33)와 제1 바퀴(B3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이동 장치 본체(B31)는, 상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경사면(B311)과, 평평한 형태의 아랫면(B31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롤러(B32)는, 상기 제1 레일(B15)의 측면 또는 하면에 접촉하여 구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롤러로서, 상기 제1 이동 장치 본체(B31)의 아랫면(B312)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롤러(B3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한 쌍이 마련되어 미리 정한 거리(L1) 이상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 가이드 빔(B13)의 웹(B131)의 좌우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가이드 롤러(B32)는, 상기 제1 방향(C1)을 따라 미리 정한 거리(L2)만큼 서로 이격된 2개의 쌍이 마련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바퀴(B34)로부터 미리 정한 거리(L4)만큼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한 쌍씩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롤러(B32)는, 상기 웹(B131)의 측면 또는 상기 웹(B131)의 상단에 배치된 플랜지(B132)의 하면에 접촉하여 구름 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가이드 롤러(B32)가, 상기 제1 레일(B15)에 직접 접촉하는 대신에, 상기 웹(B131)의 상단에 배치된 플랜지(B132)의 하면에 접촉하여 구름 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가이드 빔(B13)은 상기 제1 레일(B15)의 일부 구성으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터(B33)는, 전기로 작동하며 감속기가 내장된 회전 모터로서, 한 쌍이 마련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방향(C1)을 따라 미리 정한 거리(L3) 이상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 이동 장치 본체(B31)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바퀴(B34)는, 상기 제1 모터(B33)에 의하여 구동되는 바퀴로서, 한 쌍이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모터(B33) 각각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구동된다.
상기 한 쌍의 제1 바퀴(B34)는, 상기 제1 방향(C1)을 따라 미리 정한 거리(L2) 이상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 이동 장치 본체(B31)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바퀴(B34)의 이격 거리(L2)는 상기 제1 모터(B33)의 이격 거리(L3)보다 크다.
상기 제1 바퀴(B34)는, 상기 제1 이동 장치 본체(B3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레일(B15)의 상면에 접촉하여 구름 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 이동 장치 본체(B31)의 내부에는, 상기 제1 바퀴(B34)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로터리 엔코더(encoder)(B37)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로터리 엔코더(B37)는, 회전하는 기계의 회전수를 감지해서 다른 제어기기에 디지털신호나 아날로그신호를 보내는 제어기의 일종으로서,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와, 그 회전수를 디지털신호나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전자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 이동 장치(B40)는, 상기 분사 장치(B60)를 상기 제1 방향(C1)과 수직하게 교차하는 제2 방향(C2)을 따라 왕복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장치로서, 이동 부재(B41)와 제2 레일(B42)과 제2 바퀴(B43)와 제2 모터(B44)와 볼 스크류(B47)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부재(B41)는, 상기 제2 방향(C2)을 따라 연장된 원형 파이프 부재로서, 전단부에는 상기 회전 진동 장치(B5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방향(C2)을 따라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이동 부재(B41)는, 상기 후단부 본체(B22)의 하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단부 본체(B21)의 중간부를 관통하고 있다.
상기 제2 레일(B42)은, 상기 제2 방향(C2)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레일로서, "ㄷ"자 형의 단면으로 가지고 있다.
상기 제2 레일(B42)은, 한 쌍이 마련되어 상기 후단부 본체(B22)의 내부에 배치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홈이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상기 제1 방향(C1)을 따라 미리 정한 거리(L7)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제2 바퀴(B43)는, 구름 운동 가능하게 상기 제2 레일(B42)의 "ㄷ"자 홈에 수용된 상태로 결합되는 바퀴이다.
상기 제2 바퀴(B43)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부재(B41)의 후단부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쌍으로 마련되며, 적어도 두 쌍이 마련되어 상기 제2 방향(C2)을 따라 미리 정한 거리(L8)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제2 모터(B44)는, 전기로 작동하며 감속기가 내장된 회전 모터로서, 상기 후단부 본체(B2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볼 스크류(B47)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볼 스크류(Ball screw)로서, 상기 이동 부재(B41)를 왕복 직선 운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방향(C2)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볼 스크류(B47)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구성인 바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볼 스크류(B47)의 양단에는 베어링(B48)이 각각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모터(B44)에 장착된 스프라켓(B45)과, 상기 스프라켓(B45)에 연결된 체인(B46)에 의하여 상기 볼 스크류(B47)가 구동된다.
상기 볼 스크류(B47)는 상기 이동 부재(B41)의 후단부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 모터(B44)가 회전하면 상기 이동 부재(B41)가 상기 가공 물품(M)을 향하여 상기 제2 방향(C2)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상기 회전 진동 장치(B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 장치(B60)를 제3 방향(C3)을 따라 연장된 회전 중심축(C3)을 중심으로 왕복 회전시킬 수 있는 진동 장치로서, 진동용 모터(B51)와 크랭크 부재(B52)와 로드 부재(B53)와 회전축(B54)과 노즐 고정 부재(B56)와 행거(B58)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용 모터(B51)는, 전기로 작동하며 감속기가 내장된 회전 모터로서 상기 회전 진동 장치(B5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크랭크 부재(B52)는, 상기 진동용 모터(B51)에 의하여 회전하는 부재로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용 모터(B51)의 회전축(B511)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돌기(B52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로드 부재(B53)는, 상기 크랭크 부재(B52)에 의하여, 상기 회전 중심축(C3)을 중심으로 왕복 회전 운동할 수 있는 막대 부재이다.
상기 로드 부재(B53)의 상단부에는 상기 돌기(B52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가이드 구멍(B5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구멍(B531)은 상기 로드 부재(B5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한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구멍(B531)의 내측면에는, 상기 돌기(B521)가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돌기(B521)를 수용하는 걸림턱(B5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B54)은, 상기 제3 방향(C3)을 따라 연장된 축으로서, 한 쌍의 베어링(B55)에 의하여 상기 제3 방향(C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방향(C3)은 상기 제1 방향(C1)과 평행하다.
상기 회전축(B54)의 일단부는 상기 로드 부재(B53)의 하단부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노즐 고정 부재(B56)는, 커플러(B57)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B54)의 타단부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판형 부재이다.
상기 노즐 고정 부재(B56)는, 상기 회전축(B54)의 하방으로 길게 연장된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행거(B58)는, 상기 분사 장치(B60)의 노즐(B61)을 고정할 수 있는 원형 고리 형상의 부재로서, 하나 이상 마련되어 상기 노즐 고정 부재(B56)의 외부 표면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행거(B58)는, 중공(B581)이 가공 물품(M)을 향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노즐 고정 부재(B56)에 대하여 최적의 각도를 가질 수 있도록 조절 가능하다.
상기 분사 장치(B6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마재(F)를 분사하는 장치로서 노즐(B61)과 호스(B6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마재(F)는 모래, 철 가루, 그리트(grit), 규석 입자, 연소재 등 비교적 경도가 큰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B61)은, 상기 연마재(F)를 분사하는 노즐로서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행거(B58)에 각각 장착된다.
상기 호스(B62)는, 외부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연마재(F)를 상기 노즐(B61)로 공급하는 호스로서,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노즐(B61)의 후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본체(B20)와 상기 제1 이동 장치(B30)와 상기 제2 이동 장치(B40) 각각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방향(C2)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본체(B20)와 상기 제1 이동 장치(B30)와 상기 제2 이동 장치(B40)와 회전 진동 장치(B50) 각각은, 방습과 방진을 위하여 전체적으로 기밀 또는 수밀되는 패널(panel)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외부 블라스팅 장치(B100)의 무게 중심(CG)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레일(B15)로부터 지면으로 연장된 가상의 수직선(V)으로부터 미리 정한 거리 이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무게 중심(CG)이 상기 가상의 수직선(V) 위에 있다.
상기 외부 블라스팅 장치(B100)는, 미리 프로그램된 제어 계획에 따라 컴퓨터 제어에 의하여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제어되거나 작업자가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이동 장치(B30)는 8 내지 15 m/min의 속도로 상기 제1 방향(C1)을 따라 주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이동 장치(B40)의 이동 부재(B41)는 200 내지 400 mm/min의 속도로 상기 제2 방향(C2)을 따라 전후진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진동 장치(B50)는 상기 회전축(B54)이 20 내지 35도의 각도 범위에서 40 내지 60 cycle/min의 주파수로 회전 진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이동 장치(B30) 및 제2 이동 장치(B40)는, 과도한 위치 이동에 의한 충돌이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리밋 스위치(Limit Switch)(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내부 블라스팅 장치(A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공 물품(M)의 중공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블라스팅 장치로서,, 상기 가공 물품(M)의 내부 표면에 연마재(F)를 분사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분사 장치이다.
상기 내부 블라스팅 장치(A100)는, 본체(A10)와 제1 이동 장치(A20)와 제2 이동 장치(A30)와 이송 차량(A40)과 회전 진동 장치(B50)와 분사 장치(B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A10)는, 상기 내부 블라스팅 장치(A100)의 본체로서, 상기 가공 물품(M)의 중공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이동 장치(A20)는, 상기 본체(A10)를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양방향(P2)으로 왕복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장치로서, 제1 모터(A21)와 제1 바퀴(A22)와 제1 레일(A23)과 가이드 롤러(A24)와 체인(A2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모터(A21)는, 전기로 작동하며 감속기가 내장된 회전 모터로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A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바퀴(A22)는, 상기 제1 모터(A21)에 의하여 구동되는 바퀴로서, 한 쌍이 마련되어 상기 제1 모터(A21)에 의하여 구동된다.
상기 한 쌍의 제1 바퀴(A22)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방향(C1)을 따라 미리 정한 거리 이상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본체(A10)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바퀴(A22)는, 상기 본체(A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레일(A23)의 상면에 접촉하여 구름 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 레일(A23)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방향(C1)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레일로서, 후술할 가로보(A42)의 상면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A24)는, 상기 가로보(A42)의 측면에 접촉하여 구름 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롤러로서, 상기 본체(A10)의 아랫면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A24)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한 쌍이 마련되어 미리 정한 거리 이상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가로보(A42)의 좌우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롤러(A24)는, 상기 제1 방향(C1)을 따라 미리 정한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 2개의 쌍이 마련되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바퀴(A22)로부터 미리 정한 거리만큼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한 쌍씩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A24)는, 상기 가로보(A42)의 하면에 접촉하여 구름 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체인(A25)은, 상기 제1 모터(A21)와 상기 제1 바퀴(A22)를 서로 동력적으로 연결해주는 체인으로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체인(A25) 중 하나는, 상기 제1 모터(A21)와 상기 제1 바퀴(A22) 중 하나를 연결하고 있고, 상기 체인(A25)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서로 이격된 상기 제1 바퀴(A22)들을 서로 연결하고 있다.
상기 제2 이동 장치(A30)는, 상기 분사 장치(A60)를 상기 제1 방향(C1)과 교차하는 제2 방향(C2)을 따라 왕복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장치로서, 이동 부재(A31)와 제2 레일(A32)과 제2 바퀴(A33)와 제2 모터(A34)와 볼 스크류(A37)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부재(A31)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방향(C2)을 따라 연장된 원형 파이프 부재로서, 전단부에는 상기 회전 진동 장치(A5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방향(C2)을 따라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이동 부재(A31)는, 상기 본체(A10)의 내부에 배치되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A10)를 관통하고 있다.
상기 제2 레일(A32)은, 상기 제2 방향(C2)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레일로서, "ㄷ"자 형의 단면으로 가지고 있다.
상기 제2 레일(A32)은, 한 쌍이 마련되어 상기 본체(A10)의 내부에 배치되며, "ㄷ"자 홈이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상기 제1 방향(C1)을 따라 미리 정한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제2 바퀴(A33)는, 구름 운동 가능하게 상기 제2 레일(A32)의 "ㄷ"자 홈에 수용된 상태로 결합되는 바퀴이다.
상기 제2 바퀴(A33)는, 상기 이동 부재(A31)의 후단부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쌍으로 마련되며, 적어도 두 쌍이 마련되어 상기 제2 방향(C2)을 따라 미리 정한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제2 모터(A34)는, 전기로 작동하며 감속기가 내장된 회전 모터로서, 상기 본체(A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볼 스크류(A37)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볼 스크류(Ball screw)로서, 상기 이동 부재(A31)를 왕복 직선 운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방향(C2)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볼 스크류(A37)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구성인 바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볼 스크류(A37)의 양단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A38)이 각각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모터(A34)에 장착된 스프라켓(A35)과, 상기 스프라켓(A35)에 연결된 체인(A36)에 의하여 상기 볼 스크류(A37)가 구동된다.
상기 볼 스크류(A37)는 상기 이동 부재(A31)의 후단부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 모터(A34)가 회전하면 상기 이동 부재(A31)가 상기 가공 물품(M)을 향하여 상기 제2 방향(C2)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상기 이송 차량(A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블라스팅 장치(A100)를 이송하기 위한 차량으로서, 본체(A41)와 가로보(A42)와 레일(A43)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A41)는, 철제로 제작된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작업장의 바닥에서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한 구조물이다.
상기 본체(A41)의 하면에는 상기 레일(A43)의 상면에서 구름 운동 가능한 제3 바퀴(A41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3 바퀴(A411)는, 두 쌍이 마련되어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A41)의 후단부에는, 상기 이송 차량(A40)의 무게 중심이 상기 두 쌍의 제3 바퀴(A411)의 중간 정도에 위치할 수 있도록, 중량체(A41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중량체(A412)는, 금속 재질 또는 콘크리트 재질의 중량체로서, 상기 가로보(A42) 및 내부 블라스팅 장치(A100)의 무게를 상쇄할 수 있을 정도의 무게를 가진다.
상기 가로보(A42)는, 상기 제1 방향(C1)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철제 프레임으로서, 상기 가공 물품(M)의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진다.
상기 가로보(A42)는, 상기 내부 블라스팅 장치(A100)를 받쳐서 지지하는 구조물로서, 상기 가공 물품(M)의 중공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가로보(A42)의 일단부는 상기 본체(A41)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레일(A43)은,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레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장의 바닥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이송 차량(A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보(A42)가 상기 가공 물품(M)의 중공에 삽입되는 사용 위치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보(A42)가 상기 가공 물품(M)의 중공으로부터 이탈되는 이탈 위치 사이에서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하다.
상기 회전 진동 장치(A5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 장치(A60)를 제3 방향(C3)을 따라 연장된 회전 중심축(C3)을 중심으로 왕복 회전시킬 수 있는 진동 장치로서, 진동용 모터(A51)와 크랭크 부재(A52)와 로드 부재(A53)와 회전축(A54)과 노즐 고정 부재(A56)와 행거(A58)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진동 장치(A50)의 세부 구성은 전술한 외부 블라스팅 장치(B100)의 회전 진동 장치(B50)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분사 장치(A60)는, 상기 연마재(F)를 분사하는 장치로서 노즐(A61)과 호스(A62)를 포함한다.
상기 분사 장치(A60)의 세부 구성은 전술한 외부 블라스팅 장치(B100)의 분사 장치(B60)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본체(A10)와 상기 제1 이동 장치(A20)와 상기 제2 이동 장치(A30)와 회전 진동 장치(A50) 각각은, 방습과 방진을 위하여 전체적으로 기밀 또는 수밀되는 패널(panel)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1000)를 사용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가공 물품(M)을 상기 물품 지지대(S) 위에 올려놓은 후, 상기 외부 블라스팅 장치(B100)의 제1 이동 장치(B30)를 이용하여 상기 분사 장치(B60)를 가공 물품(M)의 외부 표면의 일단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상기 이송 차량(A40)을 상기 사용 위치로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내부 블라스팅 장치(A100)를 가공 물품(M)의 중공 내부에 삽입시킨다. 여기서 상기 이송 차량(A40)은 가공 물품(M)의 표면 처리 중에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렇게 상기 내부 블라스팅 장치(A100)을 상기 가공 물품(M)의 중공 내부에 위치시킨 후, 상기 제1 이동 장치(A20)를 조작하여 상기 내부 블라스팅 장치(A100)를 상기 가로보(A42) 상의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키면, 상기 내부 블라스팅 장치(A100) 및 외부 블라스팅 장치(B100)의 초기 위치 조정이 완료된다.
이렇게 상기 내부 블라스팅 장치(A100) 및 외부 블라스팅 장치(B100)의 위치 조정을 완료한 후, 상기 제2 이동 장치(A30, B40)를 작동시켜 상기 분사 장치(A60, B60)와 가공 물품(M) 사이의 거리를 최적의 값으로 조절한 후, 상기 회전 진동 장치(A50, B50) 및 분사 장치(A60, B60)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가공 물품(M)의 내외부 표면 처리가 진행된다.
이렇게 상기 회전 진동 장치(A50, B50) 및 분사 장치(A60, B60)이 작동되면, 상기 노즐(A61, B61)이 상하로 회전 진동하는 상태에서, 상기 노즐(A61, B61)로부터 연마재(F)가 분사된다. 이때, 상기 내부 블라스팅 장치(A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한 속도로 상기 제1 방향(C1)을 따라 상기 가로보(A42)위를 천천히 이동하게 되며, 상기 외부 블라스팅 장치(B100)도 상기 제1 방향(C1)을 따라 상기 제1 레일(B15) 위를 천천히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가공 물품(M)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다란 띠 형태의 영역을 표면 처리한 후에, 상기 물품 지지대(S)를 이용하여 가공 물품(M)을 일정한 각도만큼 상기 제1 방향(C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가공 물품(M)의 내외부 표면 중 표면 처리되지 않은 부분이 상기 분사 장치(A60, B60)와 마주하게 되며, 상기 제1 이동 장치(A20, B30),회전 진동 장치(A50, B50), 분사 장치(A60, B60)를 다시 재작동시키면, 가공 물품(M)의 또 다른 띠 형태 부분이 표면 처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물품 지지대(S)를 이용하여 가공 물품(M)을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시키고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이동 장치(A20, B30)를 상기 제1 방향(C1)을 따라 양방향(P2, P3)왕복시키면서 표면 처리하는 공정을 복수 회 반복하면, 복수 개의 띠 형태의 영역이 표면 처리됨으로써, 가공 물품(M)의 전체 내외부 표면 처리가 완료된다.
상술한 구성의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1000)는, 제1 방향(C1)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중공을 구비하는 파이프형 가공 물품(M)의 표면에 연마재(F)를 분사할 수 있는 블라스팅 장치로서, 상기 가공 물품(M)의 중공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가공 물품(M)의 내부 표면에 연마재(F)를 분사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분사 장치(A60);를 구비하는 내부 블라스팅 장치(A100); 상기 가공 물품(M)의 외부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가공 물품(M)의 외부 표면에 연마재(F)를 분사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분사 장치(B60);를 구비하는 외부 블라스팅 장치(B100);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블라스팅 장치(A100)와 상기 외부 블라스팅 장치(B100)는, 상기 제1 방향(C1)을 따라 왕복 위치 이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가공 물품(M)의 내외부 표면을 동시에 신속하게 표면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1000)는, 상기 내부 블라스팅 장치(A100)가, 상기 분사 장치(A60)가 장착되어 있는 본체(A10); 상기 제1 방향(C1)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1 레일(A32); 상기 본체(A10)를 상기 제1 레일(A32)을 따라 왕복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제1 이동 장치(A20);를 포함하므로, 작업자의 수작업 없이 전 공정이 자동화될 수 있는바, 가공 물품(M)의 길이나 부피가 큰 경우에도 전체적인 작업 시간이 감소되며, 장시간의 작업과 연마재의 강력 분사 및 유해한 분진으로 인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해칠 염려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1000)는, 상기 내부 블라스팅 장치(A100)가, 상기 분사 장치(A60)를 상기 제1 방향(C1)과 교차하는 제2 방향(C2)을 따라 왕복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제2 이동 장치(A30)를 포함하므로, 다양한 크기를 가진 가공 물품(M)에 대응하여 상기 분사 장치(A60)와 가공 물품(M) 간의 거리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1000)는, 상기 제2 이동 장치(A30)가, 상기 제2 방향(C2)을 따라 연장된 부재로서, 전단부에는 상기 분사 장치(A6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방향(C2)을 따라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A31); 상기 제2 방향(C2)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2 레일(A32); 상기 이동 부재(A31)의 후단부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쌍으로 마련되며, 구름 운동 가능하게 상기 제2 레일(A32)과 결합되어 있는 제2 바퀴(A33);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바퀴(A33)는, 적어도 두 쌍이 마련되며, 각 쌍은 상기 제2 방향(C2)을 따라 미리 정한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상기 분사 장치(A60)의 전후진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상기 분사 장치(A60) 및 상기 회전 진동 장치(A50)에 의하여 발생되는 힘(force)과 모멘트(Moment)를 상기 제2 바퀴(A33)가 감당하기 용이하여, 상기 이동 부재(A31)의 전단부가 아래로 처지거나 진동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1000)는, 상기 내부 블라스팅 장치(A100)가, 상기 분사 장치(A60)를 제3 방향(C3)을 따라 연장된 회전 중심축(C3)을 중심으로 왕복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 진동 장치(A50)를 포함하므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61)을 상하로 회전 진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1000)는, 상기 내부 블라스팅 장치(A100)의 분사 장치(A60)가 일단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방향(C1)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가로보(A42);와 상기 가로보(A42)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있는 본체(A41);를 구비하는 이송 차량(A40);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 차량(A40)은, 상기 가로보(A42)가 상기 가공 물품(M)의 중공에 삽입되는 사용 위치와, 상기 가로보(A42)가 상기 가공 물품(M)의 중공으로부터 이탈되는 이탈 위치 사이에서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하므로, 상기 내부 블라스팅 장치(A100)를 상기 가공 물품(M)의 중공 내부에 삽입하기 용이하며, 상기 내부 블라스팅 장치(A100)가 상기 가로보(A42)의 상면에서 왕복 위치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1000)는, 상기 내부 블라스팅 장치(A100)의 분사 장치(A60)가, 상기 제1 방향(C1)을 따라 양방향(P2)으로 상기 가로보(A42)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므로, 상기 이송 차량(A40)이 이동하지 않더라도 상기 가공 물품(M)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 내부 표면의 표면 처리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1000)는, 상기 외부 블라스팅 장치(B100)가, 상기 분사 장치(B60)가 장착되어 있는 본체(B20); 상기 제1 방향(C1)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1 레일(B15)을 구비하는 프레임 구조물(B10); 상기 본체(B20)를 상기 제1 레일(B15)을 따라 왕복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제1 이동 장치(B30);를 포함하므로, 상기 분사 장치(B60)의 왕복 위치 이동 구조를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1000)는, 상기 외부 블라스팅 장치(B100)가, 상기 분사 장치(B60)를 상기 제1 방향(C1)과 교차하는 제2 방향(C2)을 따라 왕복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제2 이동 장치(B40)를 포함하므로, 다양한 크기를 가진 가공 물품(M)에 대응하여 상기 분사 장치(B60)와 가공 물품(M) 간의 거리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1000)는, 상기 제2 이동 장치(B40)가, 상기 제2 방향(C2)을 따라 연장된 부재로서, 전단부에는 상기 분사 장치(B6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방향(C2)을 따라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B41); 상기 제2 방향(C2)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2 레일(B42); 상기 이동 부재(B41)의 후단부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쌍으로 마련되며, 구름 운동 가능하게 상기 제2 레일(B42)과 결합되어 있는 제2 바퀴(B43);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바퀴(B43)는, 적어도 두 쌍이 마련되며, 각 쌍은 상기 제2 방향(C2)을 따라 미리 정한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상기 분사 장치(B60)의 전후진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상기 분사 장치(B60) 및 상기 회전 진동 장치(B50)에 의하여 발생되는 힘(force)과 모멘트(Moment)를 상기 제2 바퀴(B43)가 감당하기 용이하여, 상기 이동 부재(B41)의 전단부가 아래로 처지거나 진동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1000)는, 상기 외부 블라스팅 장치(B100)가, 상기 분사 장치(B60)를 제3 방향(C3)을 따라 연장된 회전 중심축(C3)을 중심으로 왕복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 진동 장치(B50)를 포함하므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B61)을 상하로 회전 진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1000)는, 상기 회전 진동 장치(A50, B50)가, 진동용 모터(A51, B51); 상기 진동용 모터(A51, B51)에 의하여 회전하는 크랭크 부재(A52, B52); 상기 크랭크 부재(A52, B52)에 의하여, 상기 회전 중심축(C3)을 중심으로 왕복 회전 운동하는 로드 부재(A53, B53); 상기 제3 방향(C3)을 따라 연장된 축으로서, 상기 로드 부재(A53, B53)의 타단부에 결합됨으로써 왕복 회전 운동하는 회전축(A54, B54);을 포함하므로, 상기 진동용 모터(A51, B51)의 회전 운동을 상기 회전축(A54, B54)의 왕복 회전 진동으로 변환시키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부 블라스팅 장치(A100)가 상기 제1 방향(C1)을 따라 양방향(P2)으로 상기 가로보(A42)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나, 상기 내부 블라스팅 장치(A100)가 상기 가로보(A42)에 고정되고 상기 이송 차량(A40)이 상기 제1 방향(C1)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이동 장치(A20, B30)가 상기 제1 모터(A21, B33)와 제1 바퀴(A22, B34)를 포함하고 있으나, 상기 제1 모터(A21, B33)와 제1 바퀴(A22, B34) 대신에, 리니어 모터, 래크와 피니언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이동 장치(A30, B40)가 상기 제2 모터(A34, B44)와 볼 스크류(A37, B47)을 포함하고 있으나 상기 제2 모터(A34, B44)와 볼 스크류(A37, B47) 대신에, 리니어 모터, 래크와 피니언, 유공압 실린더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레일(B15)이 상기 제1 방향(C1)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으나, 가공 물품(M)의 형상에 대응하여 임의의 경로를 따라 곡선적으로 연장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 롤러(A24, B32, B36)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서 다른 부재들과 접촉한 상태로 구름 운동하고 있으나, 그외의 다른 부재 또는 다른 위치에 접촉한 상태로 구름 운동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0: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
A100: 내부 블라스팅 장치
A10: 본체
A20: 제1 이동 장치
A21: 제1 모터
A22: 제1 바퀴
A23: 제1 레일
A24: 가이드 롤러
A25: 체인
A30: 제2 이동 장치
A31: 이동 부재
A32: 레일
A33: 제2 바퀴
A34: 제2 모터
A35: 스프라켓
A36: 연결된 체인
A37: 볼 스크류
A38: 베어링
A40: 이송 차량
A41: 본체
A411: 제3 바퀴
A412: 중량체
A42: 가로보
A43: 레일
A50: 회전 진동 장치
A51: 진동용 모터
A52: 크랭크 부재
A53: 로드 부재
A54: 회전축
A56: 노즐 고정 부재
A58: 행거
A60: 분사 장치
A61: 노즐
A62: 호스
B100: 외부 블라스팅 장치
B10: 프레임 구조물
B11: 측면 프레임
B12: 돌출 프레임
B13: 제1 가이드 빔
B131: 웹
B132: 플랜지
B14: 제2 가이드 빔
B15: 제1 레일
B16: 행거 레일
B17: 케이블 행거
B18: 케이블
B19: 케이블 유입부
B20: 본체
B21: 전단부 본체
B211: 경사면
B212: 뒷면
B22: 후단부 본체
B30: 제1 이동 장치
B31: 제1 이동 장치 본체
B311: 경사면
B312: 아랫면
B32: 제1 가이드 롤러
B33: 제1 모터
B34: 제1 바퀴
B36: 제3 가이드 롤러
B37: 로터리 엔코더
B40: 제2 이동 장치
B41: 이동 부재
B42: 제2 레일
B43: 제2 바퀴
B44: 제2 모터
B45: 스프라켓
B46: 연결된 체인
B47: 볼 스크류
B48: 베어링
B50: 회전 진동 장치
B51: 진동용 모터
B511: 회전축
B52: 크랭크 부재
B521: 돌기
B53: 로드 부재
B531: 가이드 구멍
B532: 걸림턱
B54: 회전축
B55: 베어링
B56: 노즐 고정 부재
B57: 커플러
B58: 행거
B581: 중공
B60: 분사 장치
B61: 노즐
B62: 호스
C1: 제1 방향
C2: 제2 방향
C3: 제3 방향, 회전 중심축
CG : 무게 중심
F: 연마재
M: 가공 물품
S: 물품 지지대
V: 가상의 수직선

Claims (12)

  1.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중공을 구비하는 파이프형 가공 물품의 표면에 연마재를 분사할 수 있는 블라스팅 장치로서,
    상기 가공 물품의 중공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가공 물품의 내부 표면에 연마재를 분사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분사 장치;를 구비하는 내부 블라스팅 장치;
    상기 가공 물품의 외부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가공 물품의 외부 표면에 연마재를 분사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분사 장치;를 구비하는 외부 블라스팅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블라스팅 장치와 상기 외부 블라스팅 장치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왕복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블라스팅 장치의 분사 장치가 일단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가로보;와 상기 가로보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있는 본체;를 구비하는 이송 차량;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 차량은, 상기 가로보가 상기 가공 물품의 중공에 삽입되는 사용 위치와, 상기 가로보가 상기 가공 물품의 중공으로부터 이탈되는 이탈 위치 사이에서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하며,
    상기 가공 물품의 내부 표면 처리 중에는, 상기 이송 차량은 상기 사용 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가공 물품의 내부 표면 처리 중에는, 상기 내부 블라스팅 장치의 분사 장치가, 상기 가로보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주행하면서 연마재를 분사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블라스팅 장치는,
    상기 분사 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본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1 레일;
    상기 본체를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왕복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제1 이동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블라스팅 장치는,
    상기 분사 장치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왕복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제2 이동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이동 장치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부재로서, 전단부에는 상기 분사 장치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2 레일;
    상기 이동 부재의 후단부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쌍으로 마련되며, 구름 운동 가능하게 상기 제2 레일과 결합되어 있는 제2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바퀴는, 적어도 두 쌍이 마련되며, 각 쌍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한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블라스팅 장치는,
    상기 분사 장치를 제3 방향을 따라 연장된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왕복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 진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블라스팅 장치는,
    상기 분사 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본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1 레일을 구비하는 프레임 구조물;
    상기 본체를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왕복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제1 이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블라스팅 장치는,
    상기 분사 장치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왕복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제2 이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장치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부재로서, 전단부에는 상기 분사 장치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왕복 위치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2 레일;
    상기 이동 부재의 후단부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쌍으로 마련되며, 구름 운동 가능하게 상기 제2 레일과 결합되어 있는 제2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바퀴는, 적어도 두 쌍이 마련되며, 각 쌍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한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블라스팅 장치는,
    상기 분사 장치를 제3 방향을 따라 연장된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왕복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 진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
  12. 제 5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진동 장치는,
    진동용 모터;
    상기 진동용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크랭크 부재;
    상기 크랭크 부재에 의하여, 상기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왕복 회전 운동하는 로드 부재;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연장된 축으로서, 상기 로드 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됨으로써 왕복 회전 운동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
KR1020210055571A 2021-04-29 2021-04-29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 KR102530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571A KR102530267B1 (ko) 2021-04-29 2021-04-29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571A KR102530267B1 (ko) 2021-04-29 2021-04-29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482A KR20220148482A (ko) 2022-11-07
KR102530267B1 true KR102530267B1 (ko) 2023-05-09

Family

ID=84043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571A KR102530267B1 (ko) 2021-04-29 2021-04-29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26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729B1 (ko) * 2013-07-18 2013-12-11 문병조 샌딩장치
KR101870705B1 (ko) * 2017-05-26 2018-06-25 최준식 이동형 블라스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5969A (ja) * 1996-04-19 1997-11-04 Toshiba Ceramics Co Ltd 管状製品の内面ブラスト装置
KR100720268B1 (ko) * 2003-03-26 2007-05-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 내면 블라스팅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729B1 (ko) * 2013-07-18 2013-12-11 문병조 샌딩장치
KR101870705B1 (ko) * 2017-05-26 2018-06-25 최준식 이동형 블라스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482A (ko) 202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484271U (zh) 数控异形工件喷漆机
CN207839241U (zh) 一种全自动喷漆系统
CN203484273U (zh) 数控多功能自动喷漆机
EP3205406A1 (en) Machine for spraying paints or powders onto surfaces of items
CN108031590A (zh) 一种木地板自动喷漆设备
CN202490722U (zh) 喷涂装置
WO2016047244A1 (ja) 螺旋走行台車及び螺旋走行洗浄機
KR101185074B1 (ko) 호이스트행거가 구비된 트래버스형 도장설비
KR102530267B1 (ko) 듀얼형 블라스팅 장치
KR101870705B1 (ko) 이동형 블라스팅 장치
CN104959258A (zh) 爬壁机器人装置
CN105195364A (zh) 自动着色机
CN107243844B (zh) 大桥钢箱梁自动喷砂机
CN210875864U (zh) 一种多喷头实木大板自动喷漆机
CN201058325Y (zh) 自动喷漆装置
CN209772459U (zh) 一种能够均匀喷漆的钢结构喷漆装置
CN205042663U (zh) 一种远程操纵喷涂臂装置
CN215964396U (zh) 自动式工件喷涂装置
CN214213452U (zh) 一种喷砂系统
CN211217164U (zh) 一种钢管喷塑设备
KR102281823B1 (ko) 대구경 관로 내외 도장장치
KR101476338B1 (ko) 다 자유도를 가진 고효율 자동화 도장 장치
CN208757862U (zh) 一种工业喷涂装置
WO2020144609A1 (en) The device for abrasive blast treatment of dimensional surfaces of workpieces and the method for treatment of dimensional surfaces of workpieces using this device
CN109822730A (zh) 边模清理机及其清理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