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034B1 - 독성 성분이 불활성화된 정제사독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독성 성분이 불활성화된 정제사독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034B1
KR102530034B1 KR1020220120265A KR20220120265A KR102530034B1 KR 102530034 B1 KR102530034 B1 KR 102530034B1 KR 1020220120265 A KR1020220120265 A KR 1020220120265A KR 20220120265 A KR20220120265 A KR 20220120265A KR 102530034 B1 KR102530034 B1 KR 102530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om
purified
dermatitis
snake venom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0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훈
임효선
윤보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톡시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톡시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톡시온
Priority to KR1020220120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0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8Preparations for oil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성 성분이 불활성화된 정제사독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독의 독성을 불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제사독 제조방법으로 수득한 수용액 상태의 정제사독이 안전성 및 장기보존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고, COX-2(cyclooxygenase-2) 및 TNF-α(tumour necrosis factor α)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사독의 독성을 불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제사독 제조방법 또는 상기 제조방법으로 수득한 정제사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독성 성분이 불활성화된 정제사독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purified snake venom with inactivated toxic components}
본 발명은 독성 성분이 불활성화된 정제사독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독(Snake venom)은 뱀이 지닌 독으로 신경독(neurotoxin), 세포독(cytotoxin), 혈류독(hemotoxin), 포스포리파아제(PLA2), 신경성장인자(NGF) 등의 성분을 함유한다. 뱀의 종별로 사독의 구성성분비는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40~60%의 세포독과 20~30%의 포스포리파아제, 3~10%의 신경독 및 0.1~1% 남짓의 신경성장인자로 구성된다. 사독은 예로부터 한방의학에서 중풍, 구안와사와 같은 마비질환, 비증, 역절풍 등의 관절질환 및 악성 피부질환에 뛰어난 효과를 지닌 약재로 기록되어 있고, 주로 병이 깊고 오래된 난치질환에 적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항염, 항통 및 면역조절의 작용을 기반으로 하는 버거씨병, 류마티스 관절염, 아토피 등에 효능이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사독(snake venom)의 성분인 세포독과 혈류독, 특히 포스포리파아제(phospholipase A2)는 세포막의 탈분극 및 골격근 손상, 항응고작용, 세포용해 등의 알레르기 작용과 독성을 지니고 있어, 사독을 정제 또는 성분 분리하여 사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사독의 독성을 불활성화하는 정제사독 제조방법이 개발되고 있고,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정제사독(Purified snake venom)은 까치살모사(Gloydius intermedius)를 포함하는 살무사과(Viperadae)와 인도코브라(Naja naja)를 포함하는 코브라과(Elapidae)의 뱀으로부터 채취한 사독 원료를 빠르게 동결건조, 수용정제, 여과, 동결건조 등의 공정을 거쳐 가공한 결과물이며, 원료사독과 정제사독의 생리활성은 유사하나 정제사독의 안전성이 더욱 뛰어나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42258호(2020.04.23.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독성 성분이 불활성화된 정제사독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수득한 독성 성분이 불활성화된 정제사독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제사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뱀으로부터 채취한 사독(snake venom)을 여과한 후, 정제수 및 사독을 95 내지 99.99 대 0.01 내지 5(w/w)의 중량비율로 참가하고 용해하여 사독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제1단계); 상기 제1단계의 사독 조성물을 60 내지 130℃에서 5 내지 60분간 중탕하여 독성을 불활성화시키는 단계(제2단계); 및 상기 제2단계의 사독 조성물을 0.1 내지 0.45μm 기공 크기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 및 -80 내지 -20℃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제3단계)를 포함하는, 독성 성분이 불활성화된 정제사독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수득한 독성 성분이 불활성화된 정제사독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제사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독의 독성을 불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제사독 제조방법으로 수득한 수용액 상태의 정제사독이 안전성 및 장기보존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고, COX-2(cyclooxygenase-2) 및 TNF-α(tumour necrosis factor α)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사독의 독성을 불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제사독 제조방법 또는 상기 제조방법으로 수득한 정제사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코브라독의 독성 활성 및 불활성 상태에 따른 HPLC(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성분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빨간색 크로마토그램은 독성 불활성 상태의 사독을, 파란색 크로마토그램은 독성 활성 상태의 사독을 나타낸다.
도 2는 칠점사독의 독성 활성 및 불활성 상태에 따른 HPLC 성분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빨간색 크로마토그램은 독성 불활성 상태의 사독을, 파란색 크로마토그램은 독성 활성 상태의 사독을 나타낸다.
도 3은 살무사독의 독성 활성 및 불활성 상태에 따른 HPLC 성분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빨간색 크로마토그램은 독성 불활성 상태의 사독을, 파란색 크로마토그램은 독성 활성 상태의 사독을 나타낸다.
도 4는 원료사독의 독성 활성 및 불활성 상태에 따른 세포독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5는 원료사독의 독성 활성 및 불활성 상태에 따른 COX-2(cyclooxygenase-2) 및 TNF-α(tumour necrosis factor α) 발현 억제 효과를 분석한 결과이다.
도 6은 독성 불활성화 및 정제 과정을 거치지 않은 원료사독과 독성 불활성화 및 정제 과정을 거친 정제사독의 단백질 안정성을 브래드포드 평가(Bradford assay)로 분석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뱀으로부터 채취한 사독(snake venom)을 여과한 후, 정제수 및 사독을 95 내지 99.99 대 0.01 내지 5(w/w)의 중량비율로 참가하고 용해하여 사독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제1단계); 상기 제1단계의 사독 조성물을 60 내지 130℃에서 5 내지 60분간 중탕하여 독성을 불활성화시키는 단계(제2단계); 및 상기 제2단계의 사독 조성물을 0.1 내지 0.45μm 기공 크기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 및 -80 내지 -20℃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제3단계)를 포함하는, 독성 성분이 불활성화된 정제사독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뱀은 살무사과(Viperidae) 또는 코브라과(Elapidae)의 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수득한 독성 성분이 불활성화된 정제사독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제사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염증성 피부질환은 접촉피부염, 자극 접촉피부염, 알레르기 접촉피부염, 광독성 및 광알레르기 접촉 피부염, 접촉 두드러기 증후군, 자가 감작 피부염, 울체 피부염, 여드름,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구진상 두드러기, 습진 및 건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코브로톡신은 독성에 대해 불활성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사독은 살무사과(Viperidae) 또는 코브라과(Elapidae)의 사독(snake venom)으로부터 정제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정제사독은 COX-2(cyclooxygenase-2) 또는 TNF-α(tumour necrosis factor α)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란,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개선의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화장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성 화장료는 일반 화장료와 달리 생리활성적인 효능, 효과가 강조된 전문적인 기능성을 갖는 것으로, 화장품법에 정의된 바에 따라 피부 미백 등 특정 효능과 효과가 강조된 화장료를 의미한다.
상기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은 염증성 피부질환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유효량을 함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의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의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의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 등의 메이크업 제거제; 또는 클렌징 폼, 비누, 바디워시 등의 세정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피부 외용제는, 연고, 패치, 겔, 크림 또는 분무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 필수성분 외에 제형의 종류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들이 적절히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예컨대,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고, 스프레이의 경우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또는 유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사용될 수 있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브틸글리콜 오일이 사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현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 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최종 제품의 품질이나 기능에 따라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 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보조제 및 그 혼합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준비예 1] 독성 불활성화 사독 조성물 제조
1-1. 사독 조성물 제조
뱀(코브라, 칠점사 및 살무사)으로부터 채취하여 동결건조한 사독분말 20mg을 0.2μm 필터에 여과한 증류수 10ml에 2:1000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2. 독성 불활성화 사독 조성물 제조
상기 제조한 사독 조성물을 100℃의 온도에서 10분간 중탕하여 사독 조성물의 독성을 불활성화시키고, 45μm 기공 사이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40℃에서 동결건조하였다. 사독 조성물의 독성 활성 및 불활성화 상태에 따른 HPLC(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성분분석 결과는 도 1, 2 및 3에 나타난 바와 같다.
[ 실험예 1] 사독의 독성 활성 및 불활성 상태에 따른 세포독성 분석
상기 준비예 1에서 제조한 사독 조성물의 독성 활성 및 불활성 상태에 따른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멜라닌형성세포(B16F10), 대식세포(RAW264.7), 비만세포(RBL-2H3), 각질형성세포(HaCaT) 및 인간진피섬유아세포(HDF)를 사용하였다. 상기 세포들의 세포주를 배양 접시의 바닥에 접종한 후, 페니실린(100IU/mL), 스트렙토마이신(100μg/mL) 및 10% FBS(fetal bovine serum)를 함유하는 DMEM(Dulbecco' Modifide Eagle' Medium) 배지를 넣고 37℃ 및 5% CO2 조건의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세포주를 96-웰 플레이트에 1×10⁴cells/well 농도로 분주한 후, 세포배양조건에서 24시간 동안 37℃ 및 5% CO2 조건의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지를 버리고 1 × PBS로 세척한 다음 새로운 배지에 일정농도(0, 0.1, 0.5, 1, 2, 4, 8 및 10μg/mL)로 시험물질인 독성 활성 또는 불활성 상태의 사독 조성물을 처리한 후 24시간 또는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에 MTT 용액(0.5% 3-(4,5-dimethylthiazol-2-yl)-2,5 dephenyl-2H-tetrazolium bromide)을 각 웰(well)에 100μL씩 넣고, 포마잔(formazan)이 형성될 때까지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4시간 후에 배양액을 제거한 다음 DMSO(dimethylsulfoxide) 용액을 200μL씩 넣고 5분간 흔들어 준 다음 microplate reader VICTOR X3(PerkinElmer Inc., Waltham, MA, USA)로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효능에 대한 분석은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비율을 100으로 설정하고, 대조군 대비 세포 생존율이 90% 이상인 경우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며, 90% 미만인 경우는 세포독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 실험예 2] 사독의 독성 활성 및 불활성 상태에 따른 염증 억제 효과 분석
상기 사독 조성물의 독성 활성 및 불활성 상태에 따른 염증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염증 발생과정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COX-2(cyclooxygenase-2) 및 TNF-α(tumour necrosis factor α)의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대식세포 RAW264.7(한국세포주은행, 대한민국 서울)를 6-웰 플레이트에 4 × 105 cells/well 농도로 분주하고, 세포가 부착되면 독성 활성 또는 불활성 상태의 사독 조성물을 농도별로(0.1~2μg/mL) LPS(1μg/mL)와 함께 처리하고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TrizolTM(Ambion, Thermo, USA)로 total RNA를 추출하고, cDNA 합성 키트(ECDNA100, NanoHelix, Daejeon, Korea)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이후 프리미어 qPCR 키트(PQL-S500, NanoHelix, Daejeon, Korea)를 사용하여 Real-Time PCR(CFX Connect, Biorad) 기계로 하기 표 1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COX-2 및 TNF-α의 mRNA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COX-2 양성 대조군으로 셀레콕시브(celecoxib; CEL, 5μM), TNF-α 양성 대조군으로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DEX, 100μM)을 사용하였다. 효능에 대한 분석은 LPS 처리군의 비율을 1로 설정하고, 이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Gene Primer sequences
COX-2 Forward (5´→ 3´) TGA GTA CCG CAA ACG CTT CTC
Reverse (3´→5´) TGG ACG AGG TTT TTC CAC CAG
TNF-α Forward (5´→ 3´) TCT CAA AAT TCG AGT GAC AAG CC
Reverse (3´→5´) AAA TCG GCT GAC GGT GTG G
β-actin Forward (5´→ 3´) GGC TAC AGC TTC ACC ACC A
Reverse (3´→5´) CTG GAA AAG AGC CTC AGG GC
[ 실험예 3] 사독의 독성 활성 및 불활성 상태에 따른 단백질 안정성 분석
상기 사독 조성물의 독성 활성 및 불활성화 상태에 따른 단백질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독성 불활성화 과정을 거치지 않은 사독 조성물 및 독성 불활성화 과정을 거친 정제사독 조성물 1mg/ml를 각각 준비하여 40℃ 온도의 가속조건에서 단백질 안정성을 10일 단위로 30일간 측정하였다. 시료의 채취는 1ml를 0.2μm 여과지로 여과하여 침전된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의 전체 단백질량을 브래드포드 평가(Bradford assay)로 분석하였다.
또한, 독성 불활성화 과정을 거치지 않은 사독 조성물 및 독성 불활성화 과정을 거친 정제사독 조성물 1mg/ml를 각각 준비하여 실온에서 단백질 안정성을 1개월 단위로 6개월간 측정하였다. 시료의 채취는 1ml를 0.2μm 여과지로 여과하여 침전된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의 전체 단백질량을 브래드포드 평가로 분석하였다.
[ 실시예 1] 사독의 독성 활성 및 불활성 상태에 따른 세포독성 분석
상기 실험예 1에 따라, 사독 조성물의 독성 활성 및 불활성 상태에 따른 세포독성을 분석한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독성 활성 상태의 경우, B16F10 세포 24h 처리군에서 0.1μg/mL까지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48h 처리군에서는 모든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RBL-2H3, HaCaT 및 HDF 세포에서는 4μg/mL까지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RAW264.7 세포에서는 10μg/mL까지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독성 불활성 상태의 경우, HaCaT, HDF 및 B16F10 세포 24h 처리군에서는 모든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B16F10 세포 48h 처리군에서는 8μg/mL까지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RBL-2H3 세포에서는 4μg/mL까지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사독은 독성 활성 상태보다 불활성 상태에서 세포 안정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 실시예 2] 사독의 독성 활성 및 불활성 상태에 따른 염증 억제 효과 분석
상기 실험예 2에 따라, 사독의 독성 활성 및 불활성 상태에 따른 염증 억제 효과를 분석한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활성 및 불활성 상태 모두 LPS 자극에 의해 증가된 COX-2 및 TNF-α의 발현을 유의성 있게 억제시켜 항염증 효과가 나타났으나, 동일 농도 기준 독성 불활성 상태에서 더 우수한 COX-2 및 TNF-α 발현 억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3] 사독의 독성 활성 및 불활성 상태에 따른 단백질 안정성 분석
상기 실험예 3에 따라, 사독 조성물의 단백질 안정성을 분석한 결과,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독성 불활성화 과정을 거치지 않은 사독 조성물은 시간 경과에 따라, 단백질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반면, 독성 불활성화 과정을 거친 정제사독 조성물은 시간이 경과함에도 단백질 농도가 거의 감소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사독의 독성 불활성화가 단백질 안정화 효과를 나타냄을 의미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즉,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

Claims (4)

  1. 뱀으로부터 채취한 사독(snake venom)을 여과한 후, 정제수 및 사독을 95 내지 99.99 대 0.01 내지 5(w/w)의 중량비율로 참가하고 용해하여 사독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제1단계);
    상기 제1단계의 사독 조성물을 100 내지 130℃에서 9 내지 13분간 중탕하여 독성을 불활성화시키는 단계(제2단계); 및
    상기 제2단계의 사독 조성물을 0.1 내지 0.45μm 기공 크기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 및 -80 내지 -20℃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제3단계)를 포함하는, 독성 성분이 불활성화된 정제사독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뱀은 살무사과(Viperidae) 또는 코브라과(Elapidae)의 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수득한 독성 성분이 불활성화된 정제사독.
  4. 청구항 3에 따른 불활성화된 정제사독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염증성 피부질환은 접촉피부염, 자극 접촉피부염, 알레르기 접촉피부염, 광독성 및 광알레르기 접촉 피부염, 접촉 두드러기 증후군, 자가 감작 피부염, 울체 피부염, 여드름,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구진상 두드러기, 습진 및 건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20120265A 2022-09-22 2022-09-22 독성 성분이 불활성화된 정제사독 제조방법 KR102530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265A KR102530034B1 (ko) 2022-09-22 2022-09-22 독성 성분이 불활성화된 정제사독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265A KR102530034B1 (ko) 2022-09-22 2022-09-22 독성 성분이 불활성화된 정제사독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0034B1 true KR102530034B1 (ko) 2023-05-10

Family

ID=86385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0265A KR102530034B1 (ko) 2022-09-22 2022-09-22 독성 성분이 불활성화된 정제사독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03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937A (ko) * 2017-02-03 2018-08-14 주식회사 제롬바이오메디슨 정제뱀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90054608A (ko) * 2017-11-14 2019-05-22 주식회사 제롬바이오메디슨 분리 정제된 코브라 뱀 독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KR20190102909A (ko) * 2018-02-27 2019-09-04 주식회사 제롬바이오메디슨 열 처리된 뱀 독으로부터 분리된 저분자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42826A (ko) * 2018-06-19 2019-12-30 주식회사 베네스 뱀독의 독성 성분이 분리된 분리정제뱀독의 제조방법
KR102061977B1 (ko) * 2018-08-03 2020-01-02 주식회사 노톡스테라피 뱀독의 독성을 중화시키는 무독화 방법 및 그 무독화 물
KR20200042258A (ko) 2018-10-15 2020-04-23 문성현 정제된 코브로톡신의 검출 및 대량 생산방법
KR20220074501A (ko) *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사띠 항염/항진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937A (ko) * 2017-02-03 2018-08-14 주식회사 제롬바이오메디슨 정제뱀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90054608A (ko) * 2017-11-14 2019-05-22 주식회사 제롬바이오메디슨 분리 정제된 코브라 뱀 독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KR20190102909A (ko) * 2018-02-27 2019-09-04 주식회사 제롬바이오메디슨 열 처리된 뱀 독으로부터 분리된 저분자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42826A (ko) * 2018-06-19 2019-12-30 주식회사 베네스 뱀독의 독성 성분이 분리된 분리정제뱀독의 제조방법
KR102061977B1 (ko) * 2018-08-03 2020-01-02 주식회사 노톡스테라피 뱀독의 독성을 중화시키는 무독화 방법 및 그 무독화 물
KR20200042258A (ko) 2018-10-15 2020-04-23 문성현 정제된 코브로톡신의 검출 및 대량 생산방법
KR20220074501A (ko) * 2020-11-27 2022-06-03 주식회사사띠 항염/항진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828B1 (ko) 쉰다리 전통 발효 기술에 의해 피부 미백 효능이 증진된 삼백초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85195B1 (ko) 목서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58753B1 (ko) 어성초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74467B1 (ko) 꽃벵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6991B1 (ko) 초피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리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생물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48148B1 (ko) 그라비올라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90965B1 (ko) 옥시레스베라트롤과 디오스신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200029323A (ko) 우방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68736B1 (ko)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55172A (ko) 중머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48776B1 (ko) 토란 생물전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30034B1 (ko) 독성 성분이 불활성화된 정제사독 제조방법
KR101997805B1 (ko) 흑노호 유래 리그난 화합물 및 그의 수득 방법
KR102221627B1 (ko) 붉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2290424B1 (ko) 영실 추출물 또는 이의 분리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생물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43014A (ko) 블랙커민(Nigella sativa)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0679087B1 (fr) Composition cosmetique ou pharmaceutique, notamment dermatologique, contenant un extrait de vismia
KR102064602B1 (ko) 초록입 홍합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9622B1 (ko) 수수새싹 추출액의 발효액 또는 이의 발효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55118A (ko) 대두, 겨우살이, 모근의 혼합 발효 추출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보습 및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88533B1 (ko) 검은콩 발효 여과물 유래 고 기능성 항염 성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활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210086172A (ko) 만노실에리트리톨 리피드를 포함하는 항염증용, 항산화용, 주름 개선용, 피부 자극 개선 및 진정용 조성물
KR102525091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47998B1 (ko) 탱자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22691B1 (ko) 벌나무추출물 및 이의 분리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광에 의한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