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9803B1 - 터미널을 구비하는 전자부품 - Google Patents

터미널을 구비하는 전자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803B1
KR102529803B1 KR1020200125138A KR20200125138A KR102529803B1 KR 102529803 B1 KR102529803 B1 KR 102529803B1 KR 1020200125138 A KR1020200125138 A KR 1020200125138A KR 20200125138 A KR20200125138 A KR 20200125138A KR 102529803 B1 KR102529803 B1 KR 102529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terminals
mold members
terminal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1629A (ko
Inventor
김태환
김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포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포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포리텍
Priority to KR1020200125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803B1/ko
Publication of KR20220041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45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strain relief being achieved by molding parts around cable an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Landscapes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터미널을 구비하는 전자부품을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을 구비하는 잔자부품은 터미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자; 상기 복수의 단자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몸체; 사출성형 되고, 상기 연결몸체가 그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에 인서트 되어 일체화 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몸체는, 상기 복수의 단자가 그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에 인서트 되어 일체화 되고, 상호 조립되어 한 몸을 이루는 복수의 프리몰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터미널을 구비하는 전자부품{electronic components with terminal}
터미널을 구비하는 전자부품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와 같이 터미널을 구비하는 다양한 전자부품의 하우징은 대부분 사출성형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부품을 제조할 때는 터미널을 형성하는 단자를 하우징을 사출 성형하기 위한 금형에 인서트시킴으로써, 터미널이 하우징의 사출 성형 과정에서 하우징에 일체화되도록 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이때, 단자는 하우징의 성형시 하우징과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금형 상에서 정위치를 유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터미널을 구성하는 단자의 수가 많은 전자부품의 경우, 많은 수의 단자를 개별적으로 하우징 성형을 위한 금형 상의 정위치에 지지되도록 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복수의 단자를 하우징의 성형 전에 미리 사출성형 되는 프리몰드부재를 통해 일체화시킨 상태에서 이러한 프리몰드부재를 하우징 성형을 위한 금형에 인서트 시키는 방식으로 다수의 단자를 하우징에 보다 간편하게 일체화 시키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자부품 제조방식에서도 프리몰드부재에 일체화되는 단자의 수가 많아 지거나, 복열 구조를 이루는 등 단자들의 배열이 단순한 형태를 벗어날 경우, 프리몰드부재의 성형을 위한 금형에 다수의 단자가 정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등록특허 제10-0178600호(1996.01.25. 공개)
터미널을 구성하는 단자들의 숫자가 많거나, 단자들이 복열구조를 이루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터미널을 구비하는 전자부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을 구비하는 전자부품은 터미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자; 상기 복수의 단자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몸체; 사출성형 되고, 상기 연결몸체가 그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에 인서트 되어 일체화 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몸체는, 상기 복수의 단자가 그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에 인서트 되어 일체화 되고, 상호 조립되어 한 몸을 이루는 복수의 프리몰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프리몰드 부재에 마련되는 단자들은 서로 평행한 상태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단자들이 복열구조를 이루도록 복수의 상기 프리몰드 부재는 일방향으로 적층되면서 상호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프리몰드 부재는, 상기 프리몰드 부재 상호 간의 조립을 위한 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는 상기 프리몰드 부재 사이가 적층방향으로 걸림구조를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을 구비하는 전자부품은 터미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자; 상기 복수의 단자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몸체; 사출성형 되고, 상기 연결몸체가 그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에 인서트 되어 일체화 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몸체는, 한 몸을 이루도록 상호 조립 가능하게 마련되고, 개별적으로 사출성형 되는 복수의 단위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몸체는, 상기 단자가 그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에 하나씩 인서트 되어 일체화 되는 프리몰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몰드 부재는, 상기 프리몰드 부재 상호 간의 조립을 위한 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는, 상기 프리몰드 부재 사이를 복수의 방향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상기 프리몰드 부재의 복수의 면에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터미널을 구비하는 전자부품은 상호 조립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프리몰드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터미널을 구성하는 단자들의 숫자가 많거나, 단자들이 복열구조를 이루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을 구비하는 전자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하우징에 인서트 되는 단자와 연결몸체가 외부로 보이도록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터미널을 구비하는 전자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하우징에 인서트 되는 단자와 연결몸체의 사시도로, 연결몸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프리몰드 부재 사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을 구비하는 전자부품에 있어서, 프리몰드 부재 사이의 조립구조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을 구비하는 전자부품의 요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 하우징에 인서트 되는 단자와 연결몸체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다른 터미널을 구비하는 전자부품(설명 상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간단히 줄여 '전자부품'으로 표기한다.)은 터미널(20)을 구성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10)와, 하우징(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자부품은 터미널(20)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자(10)와 하우징(30)을 구비하는 범위 내에서 커넥터를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부품이 될 수 있다. 하우징(30)은 수지를 통해 사출성형 될 수 있다.
커넥터는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또는 기기 내부 단위들 사이를 연결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하는 접속 기구를 가리킨다.
단자(10)는 복수의 제1단자(11)와 복수의 제2단자(12)를 포함하여 2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단자(10)는 연결몸체(40)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고, 연결몸체(40)는 사출성형 되는 하우징(30)의 금형(미도시)에 인서트 되어 하우징(30)의 성형과정에서 하우징(30)과 일체화 될 수 있다.
도 1에서 미설명 부호 31 및 32는 하우징(30)에 있어서 단자(10)들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각각 외부로 노출되도록 수용하는 접속홈을 가리킨다.
복수의 단자(10)는 접속기능을 담당하는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가 연결몸체(40)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고, 연결몸체(40)에 인접한 부위가 연결몸체(40)와 함께 하우징(30)의 성형을 위한 금형의 성형공간에 인서트 되어 연결몸체(40)와 함께 하우징(30)에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연결몸체(40)는 복수의 단자(10)가 그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미도시)에 인서트 되어 일체화 되는 프리몰드 부재(50,60)를 포함하고, 프리몰드 부재(50,60)는 상호 조립된 상태에서 한 몸을 이루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프리몰드 부재(50,60)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프리몰드 부재(50,60)는 복수의 제1단자(11)들 사이를 연결하는 제1 프리몰드 부재(50)와, 복수의 제2단자(12)들 사이를 연결하는 제2 프리몰드 부재(60)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부품은 연결몸체(40)가 상호 조립되는 복수의 프리몰드 부재(50,60)를 통해 구성됨에 따라 복수의 단자(10)를 하우징(30)에 간단히 일체화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즉, 각각의 프리몰드 부재(50,60)를 통해 일체로 연결된 복수의 단자(10)는 하우징(30)의 성형을 위한 수지의 사출 압력에도 프리몰드 부재(50,60) 상에서 유동이 방지되고, 복수의 프리몰드 부재(50,60) 사이는 상호 지지되도록 조립된 상태에서 금형(미도시)에 인서트 됨에 따라 하우징(30)의 성형을 위한 수지의 사출압력에 의해 금형(미도시) 내부에서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단자(10)가 고정되도록 개별적으로 프리몰드 성형된 복수의 프리몰드 부재(50,60)를 한 몸을 이루도록 상호 조립된 상태에서 하우징(30)의 성형을 위한 금형에 인서트 시키면, 하우징(30)을 성형하기 위한 수지가 금형에 주입되도록 사출되는 과정에서 각각의 단자(10)들은 정위치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자부품은 터미널(20)을 구성하는 단자(10)들의 숫자가 많은 경우에도 각 단자(10)를 하우징(30)의 상의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게 된다.
프리몰드 부재(50,60)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미도시)은 그 사이에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고정금형과 가동금형을 포함하게 되는데, 개별적으로 사출성형되는 프리몰드 부재(50,60)는 고정금형과 가동금형 사이에 별도의 슬라이더가 구비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완전한 성형공간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됨은 물론 성형 후 금형의 이형시 원활한 배출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프리몰드 부재(50,60)가 개별적으로 사출성형 된 상태에서 조립되는 전자부품은 그 제조설비가 간소화되도록 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30)에는 전자부품의 조립을 위한 부시(33)가 마련되고, 하우징(30)의 성형시 연결몸체(40)는 부시(33)와 함께 하우징(30)의 성형을 위한 금형에 인서트 될 수 있다.
각각의 프리몰드 부재(50,60)에 마련되는 단자(11,12)들은 일단부에 각각 밴딩부(11a,12a)를 구비하여 서로 평행한 상태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터미널(20)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자(10)들이 복열구조를 이루도록 복수의 프리몰드 부재(50,60)는 일방향으로 적층되면서 상호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리몰드 부재(50,60)의 적층구조에 따르면, 밴딩부(11a,12a)를 구비하여 전자부품에 채용되는 다수의 단자(10)들을 복열구조를 이루도록 간단히 정렬된 상태에서 하우징(30)에 일체화 시킬 수 있다.
프리몰드 부재(50,60)를 통해 연결되는 단자(11,12)들은 프리몰드 부재(50,60)로부터 밴딩부(11a,12a)까지의 거리가 동일하게 되도록 정렬되고, 프리몰드 부재(50,60) 사이는 해당 프리몰드 부재(50,60)를 통해 연결되는 단자(11,12)들의 밴딩부(11a,12a) 사이가 서로 이격될 수 있게 서로 어긋난 상태에서 조립되어 적층될 수 있다.
프리몰드 부재(50a,60)는 프리몰드 부재(50a,60) 사이의 조립을 위한 조립부(70)를 구비할 수 있다.
조립부(70)는 제1 프리몰드 부재(50)에 마련되는 조립돌기(71)와, 조립돌기(71)가 끼워지도록 제2 프리몰드 부재(60)에 마련되는 조립홈(72)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과 같이, 프리몰드 부재(50,60)가 한 쌍으로 마련될 경우, 조립돌기(71)와 조립홈(72)은 양쪽 프리몰드 부재(50,60)의 대응면에 각각 하나씩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프리몰드 부재(50,60)가 3개 이상의 복수로 마련될 경우를 대비하여 각각의 프리몰드 부재(50,60)나, 프리몰드 부재(50,60)들 사이에 배치되는 프리몰드 부재에는 조립돌기(71)와 조립홈(72)이 양면에 각각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조립돌기(71)는 하우징(30)의 성형과정에서 프리몰드 부재(50,60) 사이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조립홈(72)에 압입될 수 있다.
조립돌기(71)를 구비하는 프리몰드 부재(50)와 조립홈(72)을 구비하는 프리몰드 부재(60)는 2개의 성형공간을 구비하는 하나의 금형을 통해 동시에 개별적으로 성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부(80)는 일측의 프리몰드 부재(60)에 마련되는 슬라이딩돌기(81)와, 슬라이딩돌기(8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타측의 프리몰드 부재(50)에 마련되는 슬라이딩홈(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립부(80)의 구조에 따르면, 슬라이딩돌기(81)를 슬라이딩홈(82)에 슬라이딩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프리몰드 부재(50,60) 사이가 간단히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이때는 조립된 프리몰드 부재(50,60) 사이가 상호 간의 적층방향으로 걸림구조를 이루게 되므로, 하우징(30)의 성형과정에서 프리몰드 부재(50,60) 사이가 수지의 사출압력에 의해 이격될 우려를 없앨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몸체(40)는 개별적으로 사출성형 되어 상호 한 몸을 이루도록 조립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단위몸체(90)를 포함하고, 단위몸체(90)는 그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미도시)에 하나씩 인서트 되어 일체화 되는 프리몰드 부재(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몸체(40)의 구조에 따르면, 전자부품의 터미널(20)을 구성하는데 요구되는 단자(10)들의 숫자나 배치구조에 대응하여 개별 단자(10)들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터미널(20)을 형성하는 단자(10)들의 숫자가 많거나 그 배치구조가 복잡한 전자부품의 제조에 보다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프리몰드 부재(100)는 상호 간의 조립을 위한 조립부(110)를 포함하고, 조립부(110)는 프리몰드 부재(100) 사이를 복수의 방향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프리몰드 부재(100)의 복수의 면에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프리몰드 부재(100)는 사각의 블록 형태로 마련되고, 조립부(110)는 단자(10)가 인출되는 프리몰드 부재(100)의 양 단면(101,102)을 제외한 둘레면(103,104,105,106)에 마련될 수 있다.
조립부(110)는 프리몰드 부재(100)의 4개의 둘레면(103,104,105,106)에 있어서 서로 만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둘레면(103,104)에 마련되는 제1조립부(111)와, 나머지 한 쌍의 둘레면(105,106)에 마련되는 제2조립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조립부(111)와 제2조립부(112) 중 어느 하나는 돌기 형태로 마련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돌기가 결합하는 홈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프리몰드 부재(100)들는 전자부품에 요구되는 단자(10)들의 배치구조에 대응하여 상호 간의 구분 없이 양 방향으로 조립되어 연결몸체(40)를 형성할 수 있다.
10: 단자 20: 터미널
30: 하우징 40: 연결몸체
50: 제1 프리몰드 부재 60: 제2 프리몰드 부재
70: 조립부 71: 조립돌기
72: 조립홈

Claims (5)

  1. 터미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자;
    상기 복수의 단자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몸체;
    사출성형 되고, 상기 연결몸체가 그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에 인서트 되어 일체화 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몸체는,
    상기 복수의 단자가 그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에 인서트 되어 일체화 되고, 상호 조립되어 한 몸을 이루는 복수의 프리몰드 부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프리몰드 부재 사이는 일부만 중첩되도록 서로 어긋난 상태에서 상호 지지되도록 적층되고,
    상기 프리몰드 부재들은 각각 상호 간의 조립을 위한 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는,
    일측의 상기 프리몰드 부재에 마련되는 슬라이딩돌기; 및
    상기 슬라이딩돌기가 상기 프리몰드 부재 사이의 적층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타측의 상기 프리몰드 부재에 마련되는 슬라이딩홈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돌기와 슬라이딩홈은 상기 프리몰드 부재 사이가 적층방향의 역방향으로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걸림구조를 형성하는 터미널을 구비하는 전자부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프리몰드 부재에 마련되는 단자들은 서로 평행한 상태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단자들이 복열구조를 이루도록 복수의 상기 프리몰드 부재는 일방향으로 적층되면서 상호 조립되는 터미널을 구비하는 전자부품.
  3. 삭제
  4. 터미널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자;
    상기 복수의 단자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몸체;
    사출성형 되고, 상기 연결몸체가 그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에 인서트 되어 일체화 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몸체는,
    한 몸을 이루도록 상호 조립 가능하게 마련되고, 개별적으로 사출성형 되는 복수의 단위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몸체는,
    상기 단자가 그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에 하나씩 인서트 되어 일체화 되는 프리몰드 부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프리몰드 부재 사이는 일부만 중첩되도록 서로 어긋난 상태에서 상호 지지되도록 적층되고,
    상기 프리몰드 부재들은 상호 간의 조립을 위한 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는,
    일측의 상기 프리몰드 부재에 마련되는 슬라이딩돌기; 및
    상기 슬라이딩돌기가 상기 프리몰드 부재 사이의 적층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타측의 상기 프리몰드 부재에 마련되는 슬라이딩홈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돌기와 슬라이딩홈은 상기 프리몰드 부재 사이가 적층방향의 역방향으로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걸림구조를 형성하는 터미널을 구비하는 전자부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는,
    상기 프리몰드 부재 사이를 복수의 방향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상기 프리몰드 부재의 복수의 면에 복수로 마련되는 터미널을 구비하는 전자부품.
KR1020200125138A 2020-09-25 2020-09-25 터미널을 구비하는 전자부품 KR102529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138A KR102529803B1 (ko) 2020-09-25 2020-09-25 터미널을 구비하는 전자부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138A KR102529803B1 (ko) 2020-09-25 2020-09-25 터미널을 구비하는 전자부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629A KR20220041629A (ko) 2022-04-01
KR102529803B1 true KR102529803B1 (ko) 2023-05-09

Family

ID=81183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138A KR102529803B1 (ko) 2020-09-25 2020-09-25 터미널을 구비하는 전자부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8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6359A (ja) * 1999-05-20 2000-11-28 Hitachi Ltd プリモールド部材を用いた複合一体成形品
JP2006015618A (ja) * 2004-07-02 2006-01-19 Hitachi Ltd 複数部材からなる部品の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2622A (en) 1994-06-09 1995-10-31 Illinois Tool Works Inc. Molding an electrical element within a premold element and an overmold element to provide a one-piece component
KR101593144B1 (ko) * 2014-06-16 2016-02-11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파워 윈도우 모터의 브러시 홀더용 전기 터미널의 몰드 조립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6359A (ja) * 1999-05-20 2000-11-28 Hitachi Ltd プリモールド部材を用いた複合一体成形品
JP2006015618A (ja) * 2004-07-02 2006-01-19 Hitachi Ltd 複数部材からなる部品の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629A (ko) 202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0556B2 (en) Waterproof connector
JP5203436B2 (ja) コネクタ
US7922525B2 (en) USB electrical connector
KR100248972B1 (ko) 단자 모듈을 구비한 전기 커넥터
US8915758B2 (en) Electrical connector
JP5738093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H04162380A (ja) 電気コネクタ
JP4682096B2 (ja) コンデンサ内蔵ジョイント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845351B2 (en) Connector housing with alignment guidance feature
US4881904A (en)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US10044121B2 (en) Press-fit terminal
US10998742B2 (en) Fixing connector with charging module
JP3111777U (ja) 改良されたシェル構造体を備えるコネクタ
US9455533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wafer sub-assemblies
KR102529803B1 (ko) 터미널을 구비하는 전자부품
US9479023B2 (en) Terminal housing for motor and motor employing the same
US9099795B2 (en) Terminal arrangement
JPH10162888A (ja) 二重係止構造のコネクタハウジング
US20180131126A1 (en) Cable connector
CN105164864A (zh) 连接器
EP3340394A1 (en) Fixing connector with charging module
CN109936760B (zh) 一种机顶盒
WO2015110936A1 (en) Modular connector
CN219176730U (zh) 一种可拆卸榫卯结构
KR101758674B1 (ko) 커넥터조립체용 오조립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