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9759B1 - 3차원 프린터 - Google Patents

3차원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759B1
KR102529759B1 KR1020210071335A KR20210071335A KR102529759B1 KR 102529759 B1 KR102529759 B1 KR 102529759B1 KR 1020210071335 A KR1020210071335 A KR 1020210071335A KR 20210071335 A KR20210071335 A KR 20210071335A KR 102529759 B1 KR102529759 B1 KR 102529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sliding door
case
printer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3011A (ko
Inventor
변성욱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1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759B1/ko
Publication of KR20220163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3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5Housings, e.g. machine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24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layers of liquid which are selectively solidif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면에 고정되며, 외주면 일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외측을 따라 회동하여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 일부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 슬라이딩도어; 및 상기 슬라이딩도어가 상기 케이스에 상대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도어에 결합되어 반경방향 하중 및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베어링부; 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3차원 프린터{3D PRINTER}
본 발명은 3차원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형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가 원활히 동작가능한 3차원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 형상의 조형물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도면에 의존하여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는 목합 제작 방식과 CNC 밀링에 의한 제작 방법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제품의 설계자가 CAD나 CAM을 이용하여 3차원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3차원 입체 형상의 조형물을 제작하는 이른바 3차원 프린팅 방법이 등장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3차원 프린터는 산업, 생활,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3차원 프린터는 재료의 연속적인 레이어를 2차원 프린터와 같이 출력하여 이를 적층함으로써 대상물을 만드는 제조장치이다. 3차원 프린터는 디지털화된 도면 정보를 바탕으로 빠르게 대상물을 제작할 수 있어서 프로토타입 샘플 제작 등에 주로 사용된다.
3차원 프린터의 제품 성형방식은 광경화성 재료에 레이저 광선을 주사하여 광주사된 부분을 물체로 성형하는 광경화수지 조형 방식(SLA; Stereo Lithography Apparatus) 또는 열가소성 필라멘트를 용융하여 적층하는 선택적 레이저 용융 방식(SLM; Selective laser melting) 등이 있다.
이러한 3차원 프린터의 성형 방식 중에서 광경화수지 조형 방식의 3차원 프린터는 광경화성 액체 수지가 저장된 수조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액체 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3차원 물체를 성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형 슬라이딩 도어에 가해지는 마찰을 최소화하여 도어의 개폐가 원활히 동작되는 3차원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면에 고정되며, 외주면 일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외측을 따라 회동하여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 일부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 슬라이딩도어; 및 상기 슬라이딩도어가 상기 케이스에 상대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도어에 결합되어 반경방향 하중 및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베어링부; 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는, 반경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제 1 베어링; 및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제 2 베어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어링은, 내륜, 외륜 및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사이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베어링은, 상부플레이트, 하부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어링은 볼베어링이고, 상기 제 2 베어링은 스러스트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 상기 외륜 및 상기 슬라이딩도어간 상대적인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 상기 내륜 및 상기 베이스부간 상대적인 이동을 제한하는 베어링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어링 및 상기 제 2 베어링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어링과 상기 제 2 베어링은 동심이며, 상기 제 1 베어링은 상기 제 2 베어링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회동반경은 소정범위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슬라이딩도어는 외주면 절반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도어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단부에서 타측단부까지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내주면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의 양측단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결합가능한 슬럿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슬라이딩도어의 회동시, 복수개의 베어링에 의하여 맞닿는 부품들과의 마찰이 저감되어 소음 및 분진이 제한되고,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부품들간 마찰에 의한 마모가 발생되지 않아, 슬라이딩도어의 회동이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차원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 하부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 손잡이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 차원 프린터의 동작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와 같은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해당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은 서수에 의해 한정되지 않아야 한다.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단계를 다른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용도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차원 프린터(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차원 프린터(1)는 베이스부(100), 케이스(200) 및 슬라이딩도어(30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서, 베이스부(100)의 내부에는 레이저 광선을 주사하기 위한 UV광원, LCD 모듈 등이 수용되며, 상면(110)에는 슬라이딩도어(30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11)이 형성된다. 가이드홈(111)은 원형 형상의 상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깊이를 가지도록 함몰 형성되며, 가이드홈(111)에는 슬라이딩도어(300)가 안착된다.
베이스부(100)는, 후술할 베어링부(400)를 지지하는 지지부(120)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지지부(120)는 베이스부(100)의 상면 일측에서 수직하도록 연장형성되는 수직지지부(121)와, 수직지지부(121)의 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제 1 베어링(410) 및 제 2 베어링(42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부(122)로 이루어진다.
케이스(200)는 베이스부(100)의 상면(110)에 고정되며, 그 내부에는 수지용기, 조형판, 조형판 이동수단 등이 수용된다. 케이스(200)의 외주면(210)은, 얇은 두께를 가지며 외주면(210) 절반이 개방되는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외주면(210)은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상단부가 절단된 반원뿔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면이 원형 형상을 가지는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케이스(200)의 하단부에는 외주면(210) 두께방향으로 돌출되는 단턱부(230)가 형성되고, 단턱부(230)는 베이스부(100) 상면(110)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된다.
케이스(200)의 상면(220)에는 반원 형상의 중심홀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홀의 내주면(221)에는 후술할 베어링고정부(500)의 하우징(530)이 배치되나, 상호간의 접촉에 의한 마찰을 배제하기 위하여 하우징(530)은 상기 내주면(221)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도어(300)는, 케이스(200)의 외측을 따라 회동하며 케이스(200) 외주면(210)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그 외주면(310)은 얇은 두께를 가지며 외주면(310) 절반이 개방되는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도어(300)의 외주면(310)은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상단부가 절단된 반원뿔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면이 원형 형상을 가지는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1) 하부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도어(300)의 하단부는 베이스부(100)의 가이드홈(111)에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도어(300)가 베이스부(100)로부터 이탈되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슬라이딩도어(300)의 하단부는 가이드홈(111)에 대응되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차원 프린터(1)는 슬라이딩도어(300)의 회동시 그에 가해지는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베어링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베어링부(400)는 슬라이딩도어(300)와 지지부(120) 사이의 반경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제 1 베어링(410) 및 슬라이딩도어(300)와 지지부(120)사이의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제 2 베어링(420)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베어링(410)은 수평지지부(122)에 형성되는 제 1 베어링지지홈(510)의 중심부에 안착되며, 슬라이딩도어(300)와 지지부(120) 사이의 반경방향 하중을 받아 수평방향 흔들림을 최소화하며 슬라이딩도어(300)의 회동을 원활하게 하는 것으로서, 제 1 베어링(410)은 홈이 형성되는 외륜(411) 및 내륜(413)과, 외륜(411)과 내륜(413)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볼(412)로 이루어지는 볼베어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종류의 베어링이 적용될 수 있다.
제 2 베어링(420)은 수평지지부(122)에 형성되는 제 1 베어링지지홈(510)에 안착되며, 슬라이딩도어(300)와 지지부(120) 사이의 축방향 하중을 받아 수직방향 흔들림을 최소화하며 슬라이딩도어(300)의 회동을 원활하게 하는 것으로서, 홈이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421) 및 하부플레이트(423)와, 상부플레이트(421)와 하부플레이트(423)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볼(422)로 이루어지는 스러스트베어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종류의 베어링이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베어링(410) 및 제 2 베어링(420)은 서로 동심이 되도록 수평지지부(122) 상에 배치되며, 이 때 제 1 베어링(410)은 상기 제 2 베어링(420)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3차원 프린터(1)는 슬라이딩도어(300)와 지지부(120)가 제 1 베어링(410) 및 제 2 베어링(420)에 의해 원활히 회동할 수 있도록, 제 1 베어링(410) 및 제 2 베어링(420)을 슬라이딩도어(300)와 지지부(120)에 고정시키는 베어링고정부(500)를 더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베어링고정부(500)는, 제 2 베어링(420)의 하부플레이트(423)를 수평지지부(122)에 고정시키는 제 1 베어링지지홈(510), 제 1 베어링(410)의 내륜(413)을 수평지지부(122)에 고정시키는 돌출고정부(520)와 제 1 베어링(410)의 외륜(411) 및 제 2 베어링(420)의 상부플레이트(421)를 슬라이딩도어(300)에 고정시키는 하우징(530)을 포함한다.
제 1 베어링지지홈(510)은 수평지지부(122)의 상면 일측에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제 2 베어링(420)의 하부플레이트(423)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 1 베어링지지홈(510)의 중심부에는 제 1 베어링(410)이 안착지지된다.
돌출고정부(520)는, 수평지지부(122) 결합되며, 제 1 베어링(410)의 중심측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돌출고정부(520)는 내륜(413)과 나사결합되거나,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고정부(520)의 외주면이 내륜(413)의 내주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끼워맞춤결합될 수 있다.
즉, 제 2 베어링(420)의 하부플레이트(423)는 제 1 베어링지지홈(510)에 의해 수평지지부(122)에 고정되고, 제 1 베어링(410)의 내륜(413)은 돌출고정부(520)에 의해 수평지지부(122)에 고정되어, 수평지지부(122)와 제 2 베어링(420)의 하부플레이트(423) 및 제 1 베어링(410)의 내륜(413)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상호간에 상대적인 이동이 제한된다.
아울러, 하우징(530)은 하부가 개방된 고리의 형상으로서, 내부공간에는 제 2 베어링(420)이 수용되며, 중심부에는 제 1 베어링(410)이 수용된다. 상세하게는, 전술한 하우징(530)의 내면에는 제 1 베어링지지홈(510)에 대응되는 제 2 베어링지지홈(531)이 형성되고, 제 2 베어링(420)의 상부플레이트(421)는 상기 제 2 베어링지지홈(531)에 고정결합된다. 아울러, 하우징(530)의 중심홀 내주면에는 제 1 베어링(410)의 외륜(411)이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고정결합된다.
또한, 하우징(530)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결합홀(532)이 두께방향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체결수단(533)이 슬라이딩도어(300)를 통과하여 상기 결합홀(532)에 결합되어, 하우징(530)은 슬라이딩도어(300)에 고정결합된다.
즉, 하우징(530)은 슬라이딩도어(300), 제 2 베어링(420)의 상부플레이트(421) 및 제 1 베어링(410)의 외륜(411)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상호간에 상대적인 이동이 제한된다.
이에, 제 1 베어링(410)의 외륜(411) 및 제 2 베어링(420)의 상부플레이트(421)는, 수평지지부(122)에 고정결합되는 제 1 베어링(410)의 내륜(413) 및 제 2 베어링(420)의 하부플레이트(423) 사이에 위치하는 볼(412, 422)에 의하여 원활히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슬라이딩도어(300)는 회동시 맞닿는 부품들과의 마찰이 저감되어 소음 및 분진이 제한되고,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부품들간 마찰에 의한 마모가 발생되지 않아, 슬라이딩도어(300)의 회동이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고정부(520)의 상면에는 돌출고정부(520) 및 슬라이딩도어(300)의 상면(320) 일부를 덮도록 고정되는 커버(540)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돌출고정부(520)의 단면은 커버(540)와 돌출고정부(520)간의 상대적인 회동이 방지되도록 원이 아닌 형상으로 형성되고, 커버(540)의 하부면에는 상기 돌출고정부(520)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 차원 프린터(1)는 케이스(200)와 슬라이딩도어(300) 모두 외주면(210, 310) 절반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바, 슬라이딩도어(300)가 케이스(200)와 반대측에 위치할 때, 그 내부가 완벽하게 밀폐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도어(300)가 케이스(200)와 동일한 위치에서 겹쳐질 때, 개방되는 공간이 최대화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1)에서는, 슬라이딩도어(300)가 특정위치에 위치했을 때, 개폐효과가 최대화되는 바, 슬라이딩도어(300)의 회동반경은 일정범위 내로 제한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1) 손잡이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도어(300) 외주면(310) 일측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330)가 마련되고, 손잡이(330)에 대향되는 슬라이딩도어(300)의 내측면에는 돌출부(331)가 형성된다. 아울러, 케이스(200)의 양 측단부에는 상기 돌출부(331)에 대응되는 슬럿(240)이 형성된다. 이 경우, 슬라이딩도어(300)가 케이스(200)와 겹쳐져 내부가 최대로 개방되는 경우 돌출부(331)가 케이스(200)의 일 측단부에 형성되는 슬럿(240)에 결합하게 되고, 아울러 슬라이딩도어(300)가 케이스(200)의 정반대측에 위치하여 개방부가 폐쇄될 때, 돌출부(331)가 케이스(200)의 타 측단부에 형성되는 슬럿(240)에 결합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 차원 프린터(1)는 슬라이딩도어(300)의 회동반경을, 케이스(200)의 일측단부에서 케이스(200)의 타측단부로 제한함에 따라, 슬라이딩도어(300)의 불필요한 회동을 제한할 수 있고 이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돌출부(331)는 고무와 같은 탄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331)가 슬럿(240)과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슬라이딩도어(300)와 케이스(200)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3차원 프린터
100: 베이스부
110: 상면, 111: 가이드홈,
120: 지지부, 121: 수직지지부, 122: 수평지지부
200: 케이스
210: 외주면, 220: 상면, 221: 내주면
230: 단턱부, 240: 슬럿
300: 슬라이딩도어
310: 외주면, 320: 상면, 330: 손잡이, 331: 돌출부
400: 베어링부
410: 제 1 베어링, 411: 외륜, 412: 볼, 413: 내륜
420: 제 2 베어링, 421: 상부플레이트, 422: 볼, 423: 하부플레이트
500: 베어링고정부
510: 제 1 베어링지지홈, 520: 돌출고정부
530: 하우징, 531: 제 2 베어링지지홈, 532: 결합홀, 533: 체결수단
540 : 커버

Claims (10)

  1. 상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지지부와 상기 수직 지지부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지지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고정되며, 외주면 일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외측을 따라 회동하여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 일부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 슬라이딩도어; 및
    상기 슬라이딩도어가 상기 케이스에 상대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도어에 결합되어 반경방향 하중 및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베어링부; 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부는,
    반경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제 1 베어링 및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제 2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베어링 및 상기 제 2 베어링은 상기 수평지지부에 지지되고,
    상기 제 1 베어링은, 내륜, 외륜 및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베어링은, 상부플레이트, 하부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베어링과 상기 제 2 베어링은 동심이며, 상기 제 1 베어링은 상기 제 2 베어링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지지부의 상면에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제 1 베어링지지홈, 상기 수평지지부에 결합하며 상기 제 1 베어링의 중심축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고정부 및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도어에 고정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베어링 고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상기 제 1 베어링지지홈에 고정되고 상기 내륜은 상기 돌출고정부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플레이트, 상기 내륜 및 상기 수평지지부는 상호간에 상대적인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가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상기 외륜이 고정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 상기 외륜 및 상기 슬라이딩도어는 상호간에 상대적인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어링은 볼베어링이고,
    상기 제 2 베어링은 스러스트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회동반경은 소정범위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및 상기 슬라이딩도어는 외주면 절반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도어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단부에서 타측단부까지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내주면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의 양측단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결합가능한 슬럿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
KR1020210071335A 2021-06-02 2021-06-02 3차원 프린터 KR102529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335A KR102529759B1 (ko) 2021-06-02 2021-06-02 3차원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335A KR102529759B1 (ko) 2021-06-02 2021-06-02 3차원 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011A KR20220163011A (ko) 2022-12-09
KR102529759B1 true KR102529759B1 (ko) 2023-05-09

Family

ID=84440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335A KR102529759B1 (ko) 2021-06-02 2021-06-02 3차원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7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5229A (ja) * 1999-08-31 2001-03-13 Kimura Giken:Kk 回転ドア装置
JP2016138572A (ja) * 2015-01-26 2016-08-04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ラストころ軸受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408B1 (ko) * 2017-11-03 2020-12-24 주식회사 쓰리딜라이트 3d 프린터용 원형 슬라이딩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3d 프린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5229A (ja) * 1999-08-31 2001-03-13 Kimura Giken:Kk 回転ドア装置
JP2016138572A (ja) * 2015-01-26 2016-08-04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ラストころ軸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3011A (ko) 2022-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9023B2 (en) Storage case
KR102529759B1 (ko) 3차원 프린터
WO1999065032A1 (fr) Cartouche de bande magnetique
US5228023A (en) Turntable assembly, method of manufacturing a turntable assembly, and disc player comprising a turntable assembly
CN211334593U (zh) 成形设备
KR200496062Y1 (ko) 3차원 프린터
KR102361080B1 (ko) 발포 사출 성형용 금형장치
CN100362585C (zh) 圆盘状信息记录介质用转台和圆盘装置
KR102533594B1 (ko) 파팅라인에서 조각 성형이 가능한 유리용기제조용 몰드
KR20120102206A (ko)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
JP3620793B2 (ja) 往復式プリンタのキャリッジアセンブリ
WO2019235153A1 (ja) バックラッシ調整機構及びこれを備える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4436444B2 (ja) 動圧軸受型光偏向器
JP4513614B2 (ja) キー操作による駆動装置
JP2000043150A (ja) 光造形方法及び光造形装置並びに複合機械部品
KR20200063335A (ko) 3d 프린터의 광조사 장치
FR2945236A1 (fr) Moule, installation de soufflag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moule.
JP2008052851A (ja) 光ディスク装置
US20050056134A1 (en) Compliance device for trimming a workpiece
KR102436263B1 (ko)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
US20060050437A1 (en) Recording disk cartridge
JP2020012482A (ja) 直動軸受装置および金型装置
JP3808001B2 (ja) ディスク状情報記録媒体用ターンテーブルおよびディスク装置
JP2011011452A (ja) 成形用金型及びその調整方法
KR20220001436A (ko) 3d 프린터용 성형 플랫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