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263B1 -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 - Google Patents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263B1
KR102436263B1 KR1020210040647A KR20210040647A KR102436263B1 KR 102436263 B1 KR102436263 B1 KR 102436263B1 KR 1020210040647 A KR1020210040647 A KR 1020210040647A KR 20210040647 A KR20210040647 A KR 20210040647A KR 102436263 B1 KR102436263 B1 KR 102436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r
film
bed
flow path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국
Original Assignee
에이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0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2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45Platform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24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layers of liquid which are selectively solidif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5Housings, e.g. machine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55Enclosures for the building material, e.g. powde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가 개시된다.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molding bed)는, 상기 3D 프린터에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성형 베드가 상기 3D 프린터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필름은 상기 3D 프린터의 지지대의 일 면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필름의 팽창에 저항을 제공하고, 상기 지지대 및 상기 필름 사이에는 유체층이 형성되고, 상기 유체층 내의 유체는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MOLDING BED FOR 3D PRINTER}
본 발명은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광 경화수지를 저장하는 성형 베드의 필름과 지지대 사이에 형성되는 유체층의 배출을 위한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에 관한 것이다.
3D 프린터는, 컴퓨터 설계 프로그램으로 만든 3차원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물의 입체 모양 그대로 성형품을 제작할 수 있는 프린터이다. 3D 프린터는 열에 녹는 고체 플라스틱 소재를 실타래처럼 뽑아 이것을 조금씩 녹여가며 쌓는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방식, 광 경화수지에 레이저 광을 주사하여 주사된 부분이 경화되는 원리를 이용한 SLA(stereo lithography apparatus) 방식, SLA 방식에서 광 경화수지 대신에 기능성 고분자 또는 금속분말을 사용하며 레이저 광선을 주사하여 고결시켜 성형하는 원리를 이용한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방식, 광 경화수지가 저장된 저장조의 하부로 광을 조사하여 부분적으로 경화되는 원리를 이용한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성형품을 제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3D 프린터는 압출헤드에 의해 지지되는 노즐을 통해 생성 재료(통상, ABS 수지)를 플레이트에 출력하고, 생성 재료를 적층함으로써 성형품을 출력한다.
3D 프린터의 플레이트는 성형 베드에 대해 직교 좌표계에서 X, Y, Z의 세 축 방향 또는 일부 방향으로 이동하며 성형 베드에 수용된 광 경화성 소재를 플레이트 상에 정해진 위치에 적층한다.
3D 프린터의 작동 시, 플레이트는 성형 베드의 필름과 접촉하며, 플레이트의 상승 시, 필름 역시 상승함으로써 필름에 유체층이 형성될 수 있다. 필름에 형성된 유체층은 플레이트의 위치와 자세에 영향을 주며, 3D 프린터의 적층 성능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3D 프린터의 작업 품질이 향상되지 못하고, 출력물의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성형 베드를 이용하여 플레이트에 구조물을 출력하기 전에 플레이트의 필름에 형성된 유체층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는 3D 프린터용 성형 플랫폼 장치를 이용하여 3D 프린팅을 수행함에 있어, 광 경화수지를 저장하는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필름에 형성된 유체층을 제거하고, 플레이트의 수평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3D 프린터의 적층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molding bed)에 있어서, 상기 성형 베드는, 상기 3D 프린터에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성형 베드가 상기 3D 프린터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필름은 상기 3D 프린터의 지지대의 일 면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필름의 팽창에 저항을 제공하고, 상기 지지대 및 상기 필름 사이에는 유체층이 형성되고, 상기 유체층 내의 유체는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로는, 상기 지지대,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필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는, 광투과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로는, 상기 지지대와 접촉하는 상기 하우징의 표면 상에 형성되는 제1 유로 형성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로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 상에서 형성되는 제2 유로 형성부에 의해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3D 프린터의 고정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체층 내의 유체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고정 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외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외부 프레임의 결합면 상에 위치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molding bed)에 있어서, 상기 성형 베드는, 상기 3D 프린터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필름; 및 상기 필름의 일면에 위치하여 상기 필름의 팽창에 저항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 및 상기 필름 사이에는 유체층이 형성되고, 상기 유체층 내의 유체는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D 프린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필름; 및 상기 필름의 일면에 위치하여 상기 필름의 팽창에 저항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 및 상기 필름 사이에는 유체층이 형성되고, 상기 유체층 내의 유체는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대하여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특징들은 후술하는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의 예시적인 양상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따르면, 3D 프린터용 성형 플랫폼 장치를 이용하여 3D 프린팅을 수행함에 있어, 광 경화수지를 저장하는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필름에 형성된 유체층을 제거하고, 플레이트의 수평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3D 프린터의 적층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에 따르면,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필름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필름의 장력을 유지하고, 3D 프린터의 적층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D 프린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 및 3D 프린터용 성형 플랫폼을 포함하는 3D 프린터의 일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외부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외부 프레임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내부 결합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 시스템의 동작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 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 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 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개시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D 프린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3D 프린터 시스템은 3D 프린팅 기법을 이용하여 인공 치아를 출력하기 위한 3D 프린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3D 프린터는 성형 베드(1), 3D 프린터용 성형 플랫폼 장치(2), 및 3D 프린터용 성형 플랫폼 장치(2)와 연결되는 승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성형 베드(1)는 광 경화수지를 수용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며, 하우징 및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은 베이스 플레이트 및 외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성형 베드(1)의 저면에 위치하고, 필름 및 외부 프레임과 결합할 수 있다. 필름은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위치하고, 3D 프린터용 성형 플랫폼 장치(2)와 접촉하는 면에 위치될 수 있다. 필름의 소재는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일 수 있다. 외부 프레임은 중앙에 중공이 형성된 틀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프레임의 형상은 소정의 높이를 갖는 틀 형상일 수 있다.
3D 프린터용 성형 플랫폼 장치(2)는 플레이트, 레벨링, 슬리브, 클램프 및 상단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의 일단은 광 경화수지를 저장하는 성형 베드(1)의 일면과 접촉하고 성형물을 적층한다. 여기서, 플레이트의 일단은 지면에 수평한 것으로 가정한다.
레벨링은 상부의 회동을 통해 플레이트를 광 경화수지를 저장하는 성형 베드(1)의 일면과 수평하도록 정렬한다. 레벨링의 상부의 형상은 구형 형상일 수 있고, 하부의 형상은 실린더 형상일 수 있다.
슬리브는 레벨링의 상하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슬리브는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리브는 내부의 탄성체와 연결되고, 일정한 예압을 작용한다.
클램프는 레벨링 및 슬리브의 외측에 체결되어, 레벨링과 슬리브를 고정하고, 레벨링의 회동을 방지한다. 그리고 클램프의 상단에는 상단 커버가 위치한다. 상단 커버는 내측으로 함입되고, 함입되는 상단 커버의 내측에는 슬리브가 삽입된다. 상단 커버의 외측 형상은 실린더형일 수 있다. 3D 프린터용 성형 플랫폼 장치(2)의 상단 커버의 상부 중심에는 3D 프린터용 승강 장치와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결속 볼트와 나사 결합되는 결속 너트홈을 구비한다.
승강 장치는 Z축 스테이지 암(Z-axis stage arm)(3), 볼 스크류(4), 및 LM 가이드(5)를 포함할 수 있다. Z축 스테이지 암(3)은 3D 프린터용 성형 플랫폼 장치(2)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Z축 스테이지 암(3)은 3D 프린터용 성형 플랫폼 장치(2)의 상단에 위치하는 결속 볼트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Z 축 스테이지 암의 일단부에는 스테이지 결합부가 형성되며, 스테이지 결합부는 볼 스크류(4)와 결합된다. 볼 스크류(4)는 지면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볼 스크류(4)의 저면은 모터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볼 스크류(4)는 모터의 회전에 의해 Z축 스테이지 암(3)의 위치를 상하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Z축 스테이지 암(3)은 LM 가이드(5)와 결합되고, LM 가이드(5)는 Z축 스테이지 암(3)의 상하 이동 시, Z축 스테이지 암(3)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Z축 스테이지 암(3)에 결합된 3D 프린터용 성형 플랫폼 장치(2)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3D 프린터 시스템은 수평 이동부(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이동부(6)의 일면은 성형 베드(1)의 내측 저면에 위치하고, 수평 운동을 수행함으로써, 성형 베드(1) 내에 수용된 광 경화수지의 수면을 평탄화할 수 있다. 수평 이동부(6)의 일면은 필름의 일변의 길이에 상응하고, 필름의 타변의 길이 보다 작은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성형 베드(1)는 3D 프린터에 결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3D 프린터의 고정 프레임(7)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성형 베드(1)는 고정 프레임(7)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7)의 저면에는 3D 프린터의 지지대가 위치할 수 있다. 지지대는 필름의 팽창에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지지대는 광투과성 소재로 제작되고, 성형 베드에 수용된 광 경화수지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스크린일 수 있다. 지지대의 표면은 투명할 수 있다.
성형 베드(1)와 지지대의 하부에는 광원을 포함하는 빔 프로젝터가 배치될 수 있다. 3D 프린터는 성형 베드(1)의 하부에 배치되는 빔 프로젝터를 구동함으로써 발생한 빔을 지지대를 통해 광 경화수지에 조사함으로써, 광 경화수지를 출력하고자 하는 형상에 따라 경화시킬 수 있다.
도 2는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 및 3D 프린터용 성형 플랫폼을 포함하는 3D 프린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3D 프린터는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1) 및 3D 프린터용 성형 플랫폼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3D 프린터는 아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동작한다.
3D 프린터용 성형 플랫폼 장치(2)를 포함하는 3D 프린터를 통해 성형물을 프린트하고자 하는 경우, 3D 프린터는 성형 플랫폼 장치(2)를 하강시킨다. 하강되는 성형 플랫폼 장치(2)의 플레이트는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1)의 일면에 밀착한다. 3D 프린터의 성형 베드(1)는 광 경화수지 등으로 채워질 수 있다.
3D 프린터용 성형 플랫폼의 플레이트가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1)의 일면에 완전히 밀착되는 경우, 3D 프린터용 성형 플랫폼 장치(2)는 플레이트를 조정함으로써,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1)의 일면에 수평으로 정렬된 플레이트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플레이트가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1)의 일면에 수평으로 정렬된 상태를 초기 정렬 상태로 지칭한다.
3D 프린터용 성형 플랫폼 장치(2)가 초기 정렬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플레이트가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1)의 일면에 완전 밀착된 경우, 3D 프린터는 성형 베드(1)의 하부에 배치되는 빔 프로젝터를 구동함으로써 발생한 빔을 3D 프린터의 지지대를 통해 광 경화수지에 조사함으로써, 원하는 형상의 성형물을 형성한다.
성형물을 프린트하는 과정에서, 성형물의 슬라이스를 출력 완료한 경우, 3D 프린터용 성형 플랫폼 장치(2)는 상부로 상승하고, 플레이트 역시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1)의 일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1)의 하우징에 결합되는 필름은 3D 프린터의 지지대의 일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경화된 수지 경화물이 부착된 플레이트가 상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필름의 탄성으로 인해 필름과 3D 프린터의 지지대 사이가 이격되었다가 원위치로 복원한다. 이 때 필름과 3D 프린터의 지지대 사이에 유체층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필름과 3D 프린터의 지지대 사이에 유체층이 형성되는 경우,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1) 내부로 광 조사 시 유체층으로 인한 인쇄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는 필름과 3D 프린터의 지지대 사이에 유체층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1)가 개시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3D 프린터에 결합되는 하우징 및 하우징에 결합되는 필름을 포함한다.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1)는 상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하우징의 내부에 광 경화수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1)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1)에 광 경화수지가 주입될 수 있으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은 광 경화수지를 수용할 수 있다.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1)의 하면은 탄성을 가지는 필름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필름은 투명성을 가지는 재질의 막으로서, 프로젝터에 의해 조사되는 빛을 투과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젝터는 광 경화수지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1)의 외부 측면 상에는 하나 이상의 홈들이 함입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1)의 구성들 각각은 아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는 베이스 플레이트(10), 제1 실링 부재(22), 필름(30), 제2 실링 부재(24), 및 외부 프레임(40)을 포함한다. 그리고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는 3D 프린터의 지지대의 일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3D 프린터의 지지대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3D 프린터의 지지대는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일면에 위치하고, 일 실시예에 따르면,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저면에 위치할 수 있다. 3D 프린터의 지지대는 3D 프린터의 광 조사 장치에 의해 조사되는 빛을 투과할 수 있다. 따라서, 3D 프린터의 광 조사 장치에 의해 조사되는 빛은 성형 베드의 필름(30)을 거쳐 성형 베드에 수용되는 광 경화수지에 조사될 수 있다.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하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가 위치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형상은 중앙에 중공이 형성된 틀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돌출부들 각각의 형상은 동일한 규격의 원주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서로 다른 돌출부들 사이에는 나사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에는 제1 실링 부재(22)가 위치한다. 제1 실링 부재(22)는 필름(30)에 마찰력을 작용할 수 있으며, 필름(30)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실링 부재(22)의 재질은 실리콘 등의 재질일 수 있다. 제1 실링 부재(22)의 형상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실링 부재(22)의 표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돌출부에 상응하는 형상의 개구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나사 홈에 상응하는 형상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에는 필름(30)이 위치한다. 필름(30)은 탄성을 가지는 소재일 수 있다. 필름(30)은 성형 베드의 광 경화수지 수용 공간의 저면에 위치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필름(30)은 베이스 플레이트(10)에 형성된 중공을 폐쇄할 수 있다. 그리고 필름(30)의 표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돌출부에 상응하는 형상의 개구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나사 홈에 상응하는 형상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에는 제2 실링 부재(24)가 위치한다. 제2 실링 부재(24)는 필름(30)에 마찰력을 작용할 수 있어, 필름(30)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실링 부재(24)의 재질은 실리콘 등의 재질일 수 있다. 제2 실링 부재(24)의 형상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실링 부재(24)의 표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돌출부에 상응하는 형상의 개구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나사 홈에 상응하는 형상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 및 필름(30)의 상면에는 외부 프레임(40)이 위치한다. 외부 프레임(40)의 형상은 중앙에 중공이 형성된 틀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프레임(40)의 형상은 소정의 높이를 갖는 틀 형상일 수 있다.
외부 프레임(40)의 하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형상에 상응하는 홈이 함입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프레임(40)의 하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하나 이상의 나사 홈들과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나사 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프레임(40)은 베이스 플레이트(10)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의해 저면이 폐쇄된 외부 프레임(40)은 내측에 액상의 광 경화수지를 수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저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는 3D 프린터의 고정 프레임에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즉, 도 5는 고정 프레임에 결합된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고정 프레임의 저면에는 지지대가 위치할 수 있으며, 지지대는 광 투과성 소재로 제작된 투명한 스크린일 수 있다.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형상은 중앙에 중공이 형성된 사각틀 형상일 수 있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10)는 내측 둘레가 직사각형인 사각 고리 형상을 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일면에는 필름(30)이 결합된다. 필름(30)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면에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필름(30)의 적어도 일부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저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중공은 필름(3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0) 및 필름(30)의 하부면은 3D 프린터의 지지대(50)와 접촉한다. 필름(30)은 3D 프린터의 지지대(50)의 일면에 밀착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와 고정 프레임 사이에는 성형 베드의 저면에 위치하는 3D 프린터의 지지대(50)와 필름 사이에 형성되는 유체층의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유로는 지지대, 하우징, 필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체층 내의 유체는 지지대, 하우징, 필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다르면, 유로는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하우징의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로는 지지대와 접촉하는 하우징의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대와 접촉하는 하우징의 표면을 하우징의 저면으로 지칭하고, 하우징의 저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위치한다.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저면에는 하나 이상의 홈들(11)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저면에 형성된 홈들(11)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저면에 형성된 홈들(11) 각각의 형상은 서로 동일한 규격의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저면에 형성된 홈들(11) 각각의 너비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고리 형상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필름(30)과 3D 프린터의 지지대(50) 사이에 유체층이 생성되는 경우, 생성된 유체층의 유체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저면에 형성된 홈들(11)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외부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외부 프레임(40)의 형상은 소정의 높이를 갖는 틀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는 광 경화소재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성형 베드의 외부 프레임(40)은 광 경화소재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하우징의 표면에는 고정 프레임(7)의 3D 프린터의 지지대(50)와 필름 사이에 형성되는 유체층의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로는 하우징의 외측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외부 프레임(40)의 외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외부 프레임(4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홈들은 측면 유로 형성부들(42)로 지칭될 수 있다. 여기서,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외부 프레임(4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측면 유로 형성부들(42) 각각은 반 실린더(half cylinder) 형상의 홈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측면 유로 형성부들(42) 각각은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외부 프레임(40)의 외측 상에는 하나 이상의 홈들이 함입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프레임(40)의 외측 상에 함입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홈들은 외부 프레임(40)의 하부 유로 형성부들(44)로 지칭될 수 있다. 하부 유로 형성부들(44) 각각은 외부 프레임(40)의 측면 유로 형성부들(42) 각각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유로 형성부들(44) 각각의 너비는 측면 유로 형성부의 너비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즉, 측면 유로 형성부들(42) 각각은 하부 유로 형성부들(44)에 의해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40)의 하부 유로 형성부(44)에 의해 함입되는 공간은 외부 프레임(40)의 측면 유로 형성부에 의해 함입되는 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외부 프레임(40)의 하부 유로 형성부(44)에 의해 유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 유로 형성부(44)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는 측면 유로 형성부(42)에 의해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필름(30)과 3D 프린터의 지지대(50) 사이에 유체층이 형성되는 경우, 유체층 내부의 유체는 외부 프레임(40)의 하부 유로 형성부(44)를 거쳐 외부 프레임(40)의 측면 유로 형성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저면에 하나 이상의 홈들이 형성되는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저면에 하나 이상의 홈들 각각은 외부 프레임(40)의 하부 유로 형성부(44)에 의해 함입되는 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저면의 하나 이상의 홈들은 외부 프레임(40)의 하부 유로 형성부(44) 및 측면 유로 형성부에 의해 함입되는 공간과 연결되어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필름(30)과 3D 프린터의 지지대(50) 사이에 유체층이 형성되는 경우, 유체층 내부의 유체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하부 면의 홈 및 외부 프레임(40)의 하부 유로 형성부(44)를 거쳐 외부 프레임(40)의 측면 유로 형성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외부 프레임의 저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외부 프레임(40)의 형상은 소정의 높이를 갖는 틀 형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사각틀 형상일 수 있다. 외부 프레임(40)의 사각틀의 두께는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외부 프레임(40)의 외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측면 유로 형성부들(42)이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측면 유로 형성부들(42) 각각은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측면 유로 형성부들(42)이 성형 베드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하부 유로 형성부들(44)이 형성될 수 있다.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외부 프레임(40)의 저면에 베이스 플레이트(10)와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결합부(46)가 형성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40)의 저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가 사각 틀 형상인 경우, 외부 프레임(40)의 저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형상과 상응하는 사각 틀 형상의 홈이 형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0)가 돌출부를 포함하는 경우, 외부 프레임(40)의 저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돌출부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홈들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0)가 하나 이상의 나사 홈들을 포함하는 경우, 외부 프레임(40)의 저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하나 이상의 나사 홈들과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나사 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사 홈의 직경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돌출부에 상응하는 홈의 직경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그리고 나사 홈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돌출부에 상응하는 서로 다른 홈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내부 결합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의 내부의 구조는 베이스 플레이트(10), 제1 실리콘, 필름(30), 제2 실리콘 및 외부 프레임(40)이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단에 제1 실링 부재(22)가 결합될 수 있다. 필름(30)은 베이스 플레이트(10)와 결합되며, 구체적으로 제1 실링 부재(22) 상단에 위치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단에 제2 실링 부재(24)가 결합되며, 구체적으로 제2 실링 부재(24)는 필름(30)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0)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실링 부재(22), 필름(30) 및 제2 실링 부재(24) 각각의 표면에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돌출부와 상응하는 형상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돌출부는 제1 실링 부재(22), 필름(30) 및 제2 실링 부재(24)들 각각의 개구를 관통할 수 있다.
즉, 필름(30)은 제1 실링 부재(22)와 제2 실링 부재(24) 사이에 위치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실링 부재(22)와 제2 실링 부재(24)는 필름(30)에 마찰력을 작용할 수 있으므로, 3D 프린터의 성형 플랫폼 장치가 필름(30)에 접촉하는 경우에도 필름(3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외부 프레임(40)과 결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외부 프레임(40)의 결합 홈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나사 홈부와 외부 프레임(40)의 나사 홈부는 동일한 볼트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필름(30)은 베이스 플레이트(10) 및 외부 프레임(40)의 결합면에 의해 수직으로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필름(30)이 절곡됨으로 인해, 필름(30)의 장력이 유지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3D 프린터 시스템의 동작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S901 단계에서, 3D 프린터 시스템은 성형 플랫폼 장치를 성형 베드 방향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3D 프린터 시스템은 성형 플랫폼 장치의 하강 시, 성형 플랫폼 장치의 플레이트를 성형 베드의 일면에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S903 단계에서, 3D 프린터 시스템은 레벨링을 회동시킬 수 있다. 3D 프린터 시스템은 성형 플랫폼 장치를 하강시킬 수 있으며, 성형 플랫폼 장치의 하강으로 인해 레벨링을 회동시킴으로써, 성형 플랫폼 장치의 플레이트의 저면을 성형 베드의 면과 수평하도록 할 수 있다.
S905 단계에서, 3D 프린터 시스템은 플레이트의 저면이 성형 베드와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레벨링을 고정할 수 있다. 레벨링의 외측에 구비되는 슬리브에 의해서, 레벨링에는 예압이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슬리브에 결합된 탄성체 및/또는 스페이서에 의해서, 레벨링에는 일정한 압력이 작용할 수 있다. 3D 프린터 시스템은 성형 플랫폼 장치의 슬리브에 외측에 구비된 클램프를 체결함으로써 슬리브 및 레벨링을 고정할 수 있다.
S907 단계에서, 3D 프린터 시스템은 성형 플랫폼 장치를 상승시킬 수 있다. 성형 플랫폼 장치의 상승 및 하강 이동에도 불구하고, 성형 플랫폼 장치의 플레이트는 성형 베드와의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S909 단계에서, 3D 프린터 시스템은 성형 베드에 광 경화수지를 주입할 수 있다. 성형 베드는 광 경화수지를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3D 프린터 시스템은 슬라이스의 출력에 앞서, 수평 이동부를 성형 베드의 내측면의 일측에서부터 타측까지 이동시킴으로써, 광 경화수지의 수면을 평탄화할 수 있다.
S911 단계에서, 슬라이스를 출력한 3D 프린터 시스템은 수평 이동부를 성형 베드의 내측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3D 프린터 시스템은 수평 이동부를 성형 베드의 내측면의 일측에서부터 타측까지 이동시킴으로써, 광 경화수지의 수면을 평탄화할 수 있다.
S913 단계에서, 3D 프린터 시스템은 성형 플랫폼 장치를 성형 베드 방향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3D 프린터 시스템은 성형 플랫폼 장치의 하강 시, 출력물의 높이 값을 반영함으로써, 출력물과 필름의 접촉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915 단계에서, 3D 프린터 시스템은 광원 장치를 통해 성형 베드에 수용된 광 경화수지에 빛을 조사함으로써 광 경화수지를 경화시킬 수 있다. 3D 프린터가 광 경화수지에 빛을 조사함으로써, 광 경화수지는 출력하고자 하는 슬라이스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경화된다. 경화된 광 경화수지는 플레이트에 부착될 수 있다.
S917 단계에서, 3D 프린터 시스템은 성형 플랫폼 장치를 상승시킬 수 있다. 성형 플랫폼 장치의 상승 시, 필름과 지지대 사이로 유체가 유로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유로를 통해 필름과 지지대 사이로 유체가 유입됨으로써, 필름은 플랫폼의 상승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다. 필름이 팽창되면서, 필름과 경화된 슬라이스 간의 접촉각이 생기고, 출력된 슬라이스는 필름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된다.
S919 단계에서, 3D 프린터 시스템은 성형물의 출력 완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성형물이 출력 완료되지 않은 경우, 3D 프린터 시스템은 S911 단계 내지 S917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성형물의 다음 슬라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성형물이 출력 완료된 경우, 3D 프린터 시스템은 성형물의 출력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열한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대표적인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1: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
2: 3D 프린터용 성형 플랫폼 장치
3: Z축 스테이지 암
4: 볼 스크류
5: LM 가이드
6: 수평 이동부
10: 베이스 플레이트
22: 제1 실링 부재
24: 제2 실링 부재
30: 필름
40: 외부 프레임

Claims (10)

  1.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molding bed)에 있어서,
    상기 성형 베드는,
    상기 3D 프린터에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성형 베드가 상기 3D 프린터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필름은 상기 3D 프린터의 지지대의 일 면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필름의 팽창에 저항을 제공하고,
    상기 지지대 및 상기 필름 사이에는 유체층이 형성되고,
    상기 유체층 내의 유체는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유로는,
    상기 지지대와 접촉하는 상기 하우징의 표면 상에 형성되는 제1 유로 형성부 및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유로 형성부를 연장하는 제2 유로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지지대,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필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형성되는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광투과성 소재로 제작된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3D 프린터의 고정 프레임에 결합되는,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체층 내의 유체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고정 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통해 배출되는,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외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외부 프레임의 결합면 상에 위치함으로써 고정되는,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
  9.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molding bed)에 있어서,
    상기 성형 베드는,
    상기 3D 프린터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필름; 및
    상기 필름의 일면에 위치하여 상기 필름의 팽창에 저항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 및 상기 필름 사이에는 유체층이 형성되고,
    상기 유체층 내의 유체는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유로는,
    상기 지지대와 접촉하는 상기 하우징의 표면 상에 형성되는 제1 유로 형성부 및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유로 형성부를 연장하는 제2 유로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
  10.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필름; 및
    상기 필름의 일면에 위치하여 상기 필름의 팽창에 저항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 및 상기 필름 사이에는 유체층이 형성되고,
    상기 유체층 내의 유체는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유로는,
    상기 지지대와 접촉하는 상기 하우징의 표면 상에 형성되는 제1 유로 형성부 및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유로 형성부를 연장하는 제2 유로 형성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터.
KR1020210040647A 2021-03-29 2021-03-29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 KR102436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647A KR102436263B1 (ko) 2021-03-29 2021-03-29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647A KR102436263B1 (ko) 2021-03-29 2021-03-29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6263B1 true KR102436263B1 (ko) 2022-08-25

Family

ID=83111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647A KR102436263B1 (ko) 2021-03-29 2021-03-29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26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6838A (ja) * 1993-02-26 1994-09-06 Teijin Seiki Co Ltd 光造形装置
JP2015527227A (ja) * 2012-07-09 2015-09-17 エクスワン ゲーエムベーハー 構成要素を開梱する方法及び装置
US20180194080A1 (en) * 2017-01-12 2018-07-12 Global Filtration Systems, A Dba Of Gulf Filtration Systems Inc. Method of making three-dimensional objects using both continuous and discontinuous solidification
US20190099948A1 (en) * 2017-10-02 2019-04-04 Global Filtration Systems, A Dba Of Gulf Filtration Systems Inc. Method of stabilizing a photohardening inhibitor-permeable film in the manufacture of three-dimensional objects
KR20190115529A (ko) * 2018-03-22 2019-10-14 신창희 Dlp방식 3d 프린터의 레진수조
JP2020521648A (ja) * 2017-06-02 2020-07-27 スリーディー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自動化機構を有する三次元プリント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6838A (ja) * 1993-02-26 1994-09-06 Teijin Seiki Co Ltd 光造形装置
JP2015527227A (ja) * 2012-07-09 2015-09-17 エクスワン ゲーエムベーハー 構成要素を開梱する方法及び装置
US20180194080A1 (en) * 2017-01-12 2018-07-12 Global Filtration Systems, A Dba Of Gulf Filtration Systems Inc. Method of making three-dimensional objects using both continuous and discontinuous solidification
JP2020521648A (ja) * 2017-06-02 2020-07-27 スリーディー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自動化機構を有する三次元プリントシステム
US20190099948A1 (en) * 2017-10-02 2019-04-04 Global Filtration Systems, A Dba Of Gulf Filtration Systems Inc. Method of stabilizing a photohardening inhibitor-permeable film in the manufacture of three-dimensional objects
KR20190115529A (ko) * 2018-03-22 2019-10-14 신창희 Dlp방식 3d 프린터의 레진수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58819B2 (ja) 3次元物体の作製
JP5018076B2 (ja) 光造形装置及び光造形方法
JP4957242B2 (ja) 光造形装置
US2022019399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 stereolithographic object
US20150140152A1 (en) Three-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US20150183168A1 (en) Apparatus for production of three-dimensional objects by stereolithography
CN105856573A (zh) 一种高精度高速度连续3d打印机及其打印方法
US10173411B2 (en) Three-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KR102436263B1 (ko) 3d 프린터용 성형 베드
US20210260819A1 (en)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ree dimensional objects via continuously curing photopolymers, utilising a vessel containing an interface fluid
CN206011731U (zh) 一种高精度高速度连续3d打印机
JP2008162189A (ja) 光造形装置
JP6692942B2 (ja) 3dプリンティング装置
CN110461607B (zh) 三维打印机处理图像信息以提供优化的机械控制信号
KR102022020B1 (ko) 음파 부양을 이용한 프린터 장치
CN108177337B (zh) 立体列印装置与立体列印方法
KR102294723B1 (ko) 선택적으로 수조를 이용하여 사물을 성형하는 3d 프린팅 방법 및 장치
CN114290665B (zh) 光固化3d打印方法
KR20220001436A (ko) 3d 프린터용 성형 플랫폼 장치
KR101776778B1 (ko) 수지저장부 틸팅 장치를 구비한 3차원 프린터
KR102273474B1 (ko)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 3d 프린터
KR102171813B1 (ko) 3d 프린터의 광조사 장치
KR102078571B1 (ko) 3차원 프린터
JP2004155156A (ja) 3次元造形装置および3次元造形方法
KR102416785B1 (ko) 3차원 프린터 및 이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