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474B1 -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 3d 프린터 - Google Patents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 3d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474B1
KR102273474B1 KR1020200013235A KR20200013235A KR102273474B1 KR 102273474 B1 KR102273474 B1 KR 102273474B1 KR 1020200013235 A KR1020200013235 A KR 1020200013235A KR 20200013235 A KR20200013235 A KR 20200013235A KR 102273474 B1 KR102273474 B1 KR 102273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resin
scanning unit
resin tank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도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도리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도리코
Priority to KR1020200013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4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27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45Platform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64Arrangements for ir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Abstract

본 발명은 광경화성 액체 수지에 레이저 광을 주사하여 광주사된 부분을 물체로 성형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 3D 프린터로서, 본체의 상부에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광경화성 액체 수지가 저장되는 레진 탱크; 상기 레진 탱크의 내부에서 조형물을 부착 지지하는 플랫폼; 상기 플랫폼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플랫폼 이송 유닛; 광경화성 액체 수지에 레이저 광을 주사하여 광경화성 액체 수지를 조형물로 경화시키는 광 주사 유닛; 상기 광 주사 유닛을 상기 레진 탱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광 주사 유닛 이송 유닛; 상기 레진 탱크의 중심 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고 상기 레진 탱크의 바닥에 배치되며, 상기 플랫폼의 저면에 부착된 조형물과 밀착되는 곡면 유리; 및 상기 레진 탱크를 틸팅시켜 상기 플랫폼의 저면에 부착된 조형물과 상기 곡면 유리를 박리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 3D 프린터{SLA type 3D printer}
본 발명은 광경화성 레진에 레이저 광을 주사하여 물체를 성형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 3D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3D 프린터는 재료의 연속적인 레이어를 2차원 프린터와 같이 출력하여 이를 적층함으로써 대상물을 만드는 제조 장치로서, 디지털화된 도면 정보를 바탕으로 빠르게 대상물을 제작할 수 있어서 프로토타입 샘플 제작 등에 주로 사용된다.
3D 프린터의 제품 성형방식은 광경화성 레진에 레이저 광선을 주사하여 광주사된 부분을 물체로 성형하는 광경화성 레진 조형 방식(SLA; Stereo Lithography Apparatus), 빛에 반응하는 아크릴이나 에폭시 계열의 광경화성 수지(Photocurable resin)가 들어있는 수조(Vat)에 레이저(Laser) 빔을 주사해 원하는 모델을 조형하는 선택적 레이저 용융 방식(SLM; Selective laser melting) 및 열가소성 필라멘트를 용융하여 적층하는 압출 적층 방식(FDM; Fused Deposition Modeling) 등이 있다.
이러한 3D 프린터의 성형 방식 중에서 광경화성 레진 조형 방식의 3D 프린터는 레진이 저장된 수조에 광을 주사하여 액체 상태의 레진을 경화시킴으로써 3차원 물체를 성형하도록 구성된다.
도 1, 2a 내지 2d는 일반적인 광경화 방식 3D 프린터의 전형적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종래의 광경화 방식 3D 프린터의 조형 방식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 3D 프린터는 광경화성 액체 수지가 저장되는 레진 탱크(10), 레진 탱크(10)의 내부에서 조형 대상물을 지지하는 플랫폼(20), 플랫폼(20)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플랫폼 이송 유닛(30), 광경화성 액체 수지에 레이저 광을 주사하여 광경화성 액체 수지를 조형 대상물로 경화시키는 광 주사 유닛(40)을 포함한다. 여기서, 플랫폼(20)의 하부에는, 즉 레진 탱크(10)의 바닥에는 광 주사 유닛(40)으로부터 주사되는 광이 플랫폼(20)의 저면 측으로 투과되도록 하고 플랫폼(20)의 저면에 균일한 두께의 조형 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평면 유리(50)가 배치된다. 또한, 평면 유리(50)는 레진 탱크(10)를 틸팅시키는 구동 유닛에 의해 틸팅되면서 플랫폼(20)에 부착된 조형 층으로부터 박리될 수 있다.
도 2a와 2b를 참조하면, 광 주사 유닛(40)은 초기 위치에서 레진 탱크(10)에 레이저를 주사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면에서, 빨간색 화살표 중 수평방향 화살표는 광 주사 유닛(40)의 이동방향을 나타내고, 원호방향 화살표는 레진 탱크(10)의 틸딩 방향을 나타내며, 파란색 점선은 광 주사 유닛(40)의 레이저 주사 방향을 나타낸다. 광 주사 유닛(40)이 1회의 수평방향 이동을 완료하면 레진 탱크(10)의 내부에 위치한 플랫폼(20)과 평면 유리(50) 사이에는 일정 두께의 조형 층(60)이 형성된다. 이어서, 도 2c와 2d에 도시된 것처럼, 광 주사 유닛(40)은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하고, 이와 동시에 레진 탱크(10)가 틸팅되면서 평면 유리(50)가 조형 층(60)으로부터 박리된다. 이후, 전술한 레이저 주사 과정과 박리 과정을 반복하면서 복수의 조형 층을 형성함으로써 3차원 조형물이 완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 3D 프린터는 광 주사 유닛(40)이 일방향으로 1회 수평 이동한 후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평면 유리(50)와 조형 층(60)의 박리 과정이 진행되므로, 광 주사 유닛(40)의 수평방향 왕복 이동 시간의 절반 동안만 조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 3D 프린터는 조형 시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 3D 프린터는 평면 유리(50)와 조형 층(60)이 전체적으로 면 접촉하고 있어 평면 유리(50)와 조형 층(60)을 박리시키기 위한 비교적 큰 구동력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레이저 주사와 조형물의 박리가 동시에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조형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조형물의 박리하기 위한 구동력을 줄일 수 있는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 3D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광경화성 액체 수지에 레이저 광을 주사하여 광주사된 부분을 물체로 성형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 3D 프린터로서, 본체의 상부에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광경화성 액체 수지가 저장되는 레진 탱크; 상기 레진 탱크의 내부에서 조형물을 부착 지지하는 플랫폼; 상기 플랫폼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플랫폼 이송 유닛; 광경화성 액체 수지에 레이저 광을 주사하여 광경화성 액체 수지를 조형물로 경화시키는 광 주사 유닛; 상기 광 주사 유닛을 상기 레진 탱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광 주사 유닛 이송 유닛; 상기 레진 탱크의 중심 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고 상기 레진 탱크의 바닥에 배치되며, 상기 플랫폼의 저면에 부착된 조형물과 밀착되는 곡면 유리; 및 상기 레진 탱크를 틸팅시켜 상기 플랫폼의 저면에 부착된 조형물과 상기 곡면 유리를 박리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광 주사 유닛으로부터 상기 레진 탱크 측으로 연장된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아암은 상기 광 주사 유닛과 일체로 이동하면서 상기 레진 탱크의 저면을 가압하여 상기 곡면 유리가 틸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레진 탱크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구비되는 스프링 및 상기 아암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진 탱크와 접촉하는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본체와 상기 레진 탱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곡면 유리가 상기 플랫폼의 저면에 부착된 조형물과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광 주사 유닛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수평 이동하는 동안 상기 플랫폼의 저면에 1개의 조형 층이 형성되도록 레이저를 주사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귀하는 동안 또 하나의 조형 층이 형성되도록 레이저를 주사하며, 상기 광 주사 유닛이 레이저를 주사하여 조형 층이 조형되는 동안, 상기 롤러의 이동 및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곡면 유리가 틸팅되면서 상기 곡면 유리가 조형 층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랫폼 이송 유닛은 상기 광 주사 유닛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수평 이동한 후 조형 층의 높이만큼 상기 플랫폼을 승강시키고, 상기 광 주사 유닛이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귀한 후 조형 층의 높이만큼 상기 플랫폼을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플랫폼 이송 유닛은, 상기 본체의 후방 상부에 설치된 수직 이송 레일; 및 일단이 상기 수직 이송 레일과 연결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하단에는 상기 플랫폼이 연결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 주사 유닛 이송 유닛은, 상기 레진 탱크의 하부에 상기 레진 탱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광 주사 유닛과 연결된 이송 벨트; 및 상기 이송 벨트를 구동하여 상기 광 주사 유닛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 유닛에 의한 곡면 유리의 틸팅 동작에 의해 작은 구동력으로도 곡면 유리와 조형물의 박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광 주사 유닛의 레이저 주사에 의한 조형 과정이 이루어진 직후에 바로 구동 유닛에 의한 곡면 유리와 조형물의 박리가 이루어짐으로써, 광 주사 유닛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수평 이동하는 동안에 하나의 조형 층이 형성되고, 광 주사 유닛이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귀하는 동안에도 또 하나의 조형 층이 형성될 수 있어, 종래의 3D 프린터와 비교하여 조형 시간을 대략 1/2로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 3D 프린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 내지 2d는 종래의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 3D 프린터의 조형 예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 3D 프린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 3D 프린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5a 내지 5f는 본 발명에 따른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 3D 프린터의 조형 예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 3D 프린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3, 4, 5a 내지 5f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 3D 프린터는 광경화성 액체 수지(resin)에 레이저 광을 주사하여 광 주사된 부분을 경화시켜 물체로 성형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SLA; Stereo Lithography Apparatus)의 3D 프린터로서, 광경화성 액체 수지가 저장되는 레진 탱크(110), 조형물이 부착되어 지지되는 플랫폼(120), 플랫폼(120)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플랫폼 이송 유닛(130), 광경화성 액체 수지에 레이저 광을 주사하는 광 주사 유닛(140), 광 주사 유닛(14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광 주사 유닛 이송 유닛(150), 레진 탱크(110)의 바닥에 배치되는 곡면 유리(111) 및 레진 탱크(110)를 틸팅시키는 구동 유닛(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레진 탱크(110)는 상면이 개방된 사각형의 수조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레진 탱크(110)의 내부에는 광경화성 액체 수지가 저장된다. 이 레진 탱크(110)는 후술되는 구동 유닛(150)에 의해 본체(100)의 상부에 틸팅 가능하게 설치된다.
플랫폼(120)은 광경화성 액체 수지가 레이저 광에 의해 경화됨에 따라 생성되는 조형물, 즉 3차원 물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플랫폼(120)은 조형물을 부착하여 지지하는 판형 부재이며, 베드(bed)라고도 불리운다. 이 플랫폼(120)은 레진 탱크(110)의 내부에 잠기도록 배치되고, 후술되는 플랫폼 이송 유닛(13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플랫폼 이송 유닛(130)은 플랫폼(120)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플랫폼 이송 유닛(130)은 이송 레일(131) 및 이동 부재(132)를 포함한다. 이송 레일(131)은 본체(100)의 후방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동 부재(132)는 일단이 이송 레일(131)과 연결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하단이 플랫폼(120)과 연결되어 플랫폼(120)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광 주사 유닛(140)은 레진 탱크(110)에 저장된 광경화성 액체 수지에 설정된 패턴에 따라 레이저 광을 주사하여 광경화성 액체 수지를 3차원 조형물로 경화시킨다. 여기서, 광 주사 유닛(140)은 레진 탱크(110)의 폭방향(도 4에서 수평방향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선형적으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고, 후술되는 광 주사 유닛 이송 유닛(150)에 의해 레진 탱크(110)의 길이방향(도 4에서 수평방향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광 주사 유닛 이송 유닛(150)은 이송 벨트(151) 및 이송 벨트(151)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152)를 포함한다. 이송 벨트(151)는 레진 탱크(110)의 하부에 레진 탱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광 주사 유닛(140)은 이송 벨트(151)에 설치되어 이송 벨트(151)와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구동 모터(152)는 이송 벨트(151)를 구동하여 광 주사 유닛(140)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곡면 유리(111)는 레진 탱크(110)의 중심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는 투명한 유리로서, 레진 탱크(110)의 바닥에 배치된다. 이 곡면 유리(111)는 광경화되어 플랫폼(120)의 저면에 부착된 조형물과 밀착된다. 또한, 곡면 유리(111)는 레진 탱크(110)의 틸팅 동작에 의해 레진 탱크(110)와 일체로 틸딩된다.
구동 유닛(160)은 레진 탱크(110)를 틸팅시켜 플랫폼(120)의 저면에 부착된 조형물과 곡면 유리(111)를 박리시킨다.
구체적으로, 구동 유닛(160)은 광 주사 유닛(140)으로부터 레진 탱크(110) 측으로 연장된 아암(161)을 포함한다. 이 아암(161)은 광 주사 유닛(140)과 일체로 이동하면서 레진 탱크(110)의 저면을 가압하여 레진 탱크(110) 및 곡면 유리(111)가 아암(161)의 단부를 중심으로 틸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구동 유닛(160)은 레진 탱크(110)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구비되는 스프링(162) 및 아암(161)의 단부에 설치되어 레진 탱크(110)와 접촉하는 롤러(163)를 더 포함한다. 스프링(162)은 본체(100)와 레진 탱크(110) 사이에 설치되고, 이 스프링(162)은 곡면 유리(111)가 플랫폼(120)의 저면에 부착된 조형물과 밀착되도록 상방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광 주사 유닛(140)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레이저 광을 주사하여 플랫폼(120)의 저면에 조형 층을 형성하면, 거의 동시에 구동 유닛(160)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레진 탱크(110) 및 곡면 유리(111)를 틸팅시켜 곡면 유리(111)와 조형 층이 박리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 주사 유닛(140)은 제1 위치(도 5a에 도시된 광 주사 유닛(140)의 위치)에서 제2 위치(도 5c에 도시된 광 주사 유닛(140)의 위치)로 수평 이동하는 동안 플랫폼(120)의 저면에 1개의 조형 층(A)이 형성되도록 레이저를 주사한다. 또한, 광 주사 유닛(140)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귀하는 동안에도 조형 층(A)의 아래에 또 하나의 조형 층(B)이 형성되도록 레이저를 주사한다. 그리고, 광 주사 유닛(140)이 레이저를 주사하여 조형 층(B)을 조형하는 동안, 구동 유닛(160)의 롤러(163)의 이동 및 스프링(162)의 탄성력에 의해 곡면 유리(111)가 틸팅되면서 곡면 유리(111)가 조형 층(B)으로부터 쉽게 박리될 수 있다.
여기서, 광 주사 유닛(140)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수평 이동한 후, 플랫폼 이송 유닛(130)은 조형 층(A)의 높이만큼 플랫폼(120)을 승강시키고, 이어서 광 주사 유닛(140)이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귀한 후에 다시 조형 층(B)의 높이만큼 플랫폼(120)을 승강시켜 연속적으로 조형 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광 주사 유닛(140)과 일체로 이동하는 구동 유닛(160)에 의해 곡면 유리(111)가 틸팅되면서 곡면 유리(111)와 조형 층이 쉽게 박리될 수 있어 작은 구동력으로도 곡면 유리(111)와 조형 층을 간단하게 박리시킬 수 있다. 더욱이, 광 주사 유닛(140)의 레이저 주사와 동시에 곡면 유리(111)가 틸팅되기 때문에 광 주사 유닛(140)의 수평방향 왕복 이동 시에 2개의 조형 층(A, B)을 조형할 수 있어, 조형물의 조형 시간을 기존 3D 프린터에 비해 대략 1/2로 단축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며 본 발명에 따른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 3D 프린터의 작동 원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a 내지 5c에 도시된 것처럼, 광 주사 유닛(140)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레이저를 조사하면, 플랫폼(120)의 저면에는 조형 층(A)이 형성된다. 이때, 광 주사 유닛(140)의 이동과 동시에 구동 유닛(160)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곡면 유리(111)를 틸팅시켜 곡면 유리(111)가 조형 층(A)으로부터 박리된다. 즉, 광 주사 유닛(140)의 레이저 주사에 의한 조형 층(A)의 조형 직후에 바로 곡면 유리(111)와 조형 층(A)의 박리 과정이 진행된다.
광 주사 유닛(140)이 제2 위치로 이동하여 1개의 조형 층(A)의 조형이 완료되면, 플랫폼 이송 유닛(130)에 의해 플랫폼(120)이 조형 층(A)의 높이만큼 승강한다. 이어서, 도 5d 내지 5f에 도시된 것처럼, 광 주사 유닛(140)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조형된 조형 층(A) 아래에 또 하나의 조형 층(B)을 형성한다. 이때, 광 주사 유닛(140)의 이동과 동시에 구동 유닛(160)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곡면 유리(111)를 틸팅시켜 곡면 유리(111)가 조형 층(B)으로부터 박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 3D 프린터는 구동 유닛(160)에 의한 곡면 유리(111)의 틸팅 동작에 의해 작은 구동력으로도 곡면 유리(111)와 조형물의 박리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광 주사 유닛(140)의 레이저 주사에 의한 조형 과정이 이루어진 직후에 바로 구동 유닛(160)에 의한 곡면 유리(111)와 조형물의 박리가 이루어짐으로써, 광 주사 유닛(140)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수평 이동하는 동안에 하나의 조형 층(A)이 형성되고, 광 주사 유닛(140)이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귀하는 동안에도 또 하나의 조형 층(B)이 형성될 수 있어, 종래의 3D 프린터와 비교하여 조형 시간을 대략 1/2로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10: 레진 탱크
111: 곡면 유리 120: 플랫폼
130: 플랫폼 이송 유닛 131: 이송 레일
132: 이동 부재 140: 광 주사 유닛
150: 광 주사 유닛 이송 유닛 151: 이송 벨트
152: 구동 모터 160: 구동 유닛
161: 아암 162: 스프링
163: 롤러 A, B: 조형 층

Claims (7)

  1. 광경화성 액체 수지에 레이저 광을 주사하여 광주사된 부분을 물체로 성형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 3D 프린터로서,
    본체의 상부에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광경화성 액체 수지가 저장되는 레진 탱크;
    상기 레진 탱크의 내부에서 조형물을 부착 지지하는 플랫폼;
    상기 플랫폼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플랫폼 이송 유닛;
    광경화성 액체 수지에 레이저 광을 주사하여 광경화성 액체 수지를 조형물로 경화시키는 광 주사 유닛;
    상기 광 주사 유닛을 상기 레진 탱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광 주사 유닛 이송 유닛;
    상기 레진 탱크의 중심 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고 상기 레진 탱크의 바닥에 배치되며, 상기 플랫폼의 저면에 부착된 조형물과 밀착되는 곡면 유리; 및
    상기 레진 탱크를 틸팅시켜 상기 플랫폼의 저면에 부착된 조형물과 상기 곡면 유리를 박리시키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광 주사 유닛으로부터 상기 레진 탱크 측으로 연장된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아암은 상기 광 주사 유닛과 일체로 이동하면서 상기 레진 탱크의 저면을 가압하여 상기 곡면 유리가 틸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 3D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레진 탱크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구비되는 스프링 및 상기 아암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진 탱크와 접촉하는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본체와 상기 레진 탱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곡면 유리가 상기 플랫폼의 저면에 부착된 조형물과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 3D 프린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 주사 유닛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수평 이동하는 동안 상기 플랫폼의 저면에 1개의 조형 층이 형성되도록 레이저를 주사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귀하는 동안 또 하나의 조형 층이 형성되도록 레이저를 주사하며,
    상기 광 주사 유닛이 레이저를 주사하여 조형 층이 조형되는 동안, 상기 롤러의 이동 및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곡면 유리가 틸팅되면서 상기 곡면 유리가 조형 층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 3D 프린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이송 유닛은 상기 광 주사 유닛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수평 이동한 후 조형 층의 높이만큼 상기 플랫폼을 승강시키고, 상기 광 주사 유닛이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귀한 후 조형 층의 높이만큼 상기 플랫폼을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 3D 프린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이송 유닛은,
    상기 본체의 후방 상부에 설치된 수직 이송 레일; 및
    일단이 상기 수직 이송 레일과 연결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하단에는 상기 플랫폼이 연결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 3D 프린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주사 유닛 이송 유닛은,
    상기 레진 탱크의 하부에 상기 레진 탱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광 주사 유닛과 연결된 이송 벨트; 및
    상기 이송 벨트를 구동하여 상기 광 주사 유닛을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 3D 프린터.
  7. 삭제
KR1020200013235A 2020-02-04 2020-02-04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 3d 프린터 KR102273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235A KR102273474B1 (ko) 2020-02-04 2020-02-04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 3d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235A KR102273474B1 (ko) 2020-02-04 2020-02-04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 3d 프린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3474B1 true KR102273474B1 (ko) 2021-07-06

Family

ID=76860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235A KR102273474B1 (ko) 2020-02-04 2020-02-04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 3d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4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011B1 (ko) * 2021-02-18 2022-06-22 (주) 휴비츠 자동 틸팅 구조를 가지는 3d 프린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0757A (ja) * 2010-08-19 2012-03-01 Sony Corp 3次元造形装置、造形物及び造形物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0757A (ja) * 2010-08-19 2012-03-01 Sony Corp 3次元造形装置、造形物及び造形物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011B1 (ko) * 2021-02-18 2022-06-22 (주) 휴비츠 자동 틸팅 구조를 가지는 3d 프린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3374B1 (ko) Dlp 방식 3d 프린터
CN205167579U (zh) 基于立体光固化技术的3d打印机
KR101155684B1 (ko) 고속 적층식 광조형 장치
KR20010051780A (ko) 광경화성 수지 3차원 조형물의 적층 조형 장치 및 그 적층조형 방법
EP27446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n object
CN105856573A (zh) 一种高精度高速度连续3d打印机及其打印方法
JPS61114818A (ja) 立体形状形成装置
US11141911B2 (en) High productivity three-dimensional printer
KR102273474B1 (ko) 광경화성 수지 조형 방식 3d 프린터
KR20160141144A (ko) 3차원 레이저 소결 프린터 장치
CN102785365A (zh) 三维造型装置、模型和制造模型的方法
CN111421815A (zh) 一种dlp 3d生物打印机
CN105690750A (zh) 光固化型3d打印装置及其升降台控制方法
CN105172141A (zh) 一种以led列阵为光源的光敏树脂3d打印机
KR101681974B1 (ko) 3d 프린터
KR101848859B1 (ko) 이종재료 성형 지원형 광경화 3d 프린터
KR20200087324A (ko) 분할 성형 지원형 광경화 3d 프린터
KR101870692B1 (ko) 다중 소재를 적층할 수 있는 3d프린터
CN206011731U (zh) 一种高精度高速度连续3d打印机
JPH0224122A (ja) 光学的造形体の透明化処理方法
KR102044854B1 (ko) 광집적모듈 및 이를 적용한 3d 프린터
JP4141379B2 (ja) 三次元物体の造形方法および造形装置
KR102078571B1 (ko) 3차원 프린터
CN113276408A (zh) 一种液体内连续光固化成型增材制造装置及其制造方法
US11225020B2 (en) Three-dimensional printing system with sloped build pl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