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594B1 - 파팅라인에서 조각 성형이 가능한 유리용기제조용 몰드 - Google Patents

파팅라인에서 조각 성형이 가능한 유리용기제조용 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594B1
KR102533594B1 KR1020210058345A KR20210058345A KR102533594B1 KR 102533594 B1 KR102533594 B1 KR 102533594B1 KR 1020210058345 A KR1020210058345 A KR 1020210058345A KR 20210058345 A KR20210058345 A KR 20210058345A KR 102533594 B1 KR102533594 B1 KR 102533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driving
separation
driving pin
guid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2407A (ko
Inventor
최승호
최병일
박현서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엠씨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엠씨지 filed Critical (주)에스엠씨지
Priority to KR1020210058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594B1/ko
Publication of KR20220152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2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9/00Blowing glass; Production of hollow glass articles
    • C03B9/30Details of blowing glass; Use of materials for the moulds
    • C03B9/32Giving special shapes to parts of hollow glass articles
    • C03B9/33Making hollow glass articles with feet or projections; Mould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9/00Blowing glass; Production of hollow glass articles
    • C03B9/30Details of blowing glass; Use of materials for the moulds
    • C03B9/34Glass-blowing mou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3B9/347Construction of the blank or blow mould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용기제조용 몰드에 관한 것으로서, 좌측몰드 및 우측몰드를 포함하는 유리용기제조용 몰드에서 있어서, 상기 좌측몰드는, 좌측고정몰드; 및 상기 좌측고정몰드의 측면에 위치되는 좌측분리몰드를 포함하며, 상기 우측몰드는, 우측고정몰드; 및 상기 우측고정몰드의 측면에 위치되는 우측분리몰드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분리몰드는 상기 좌측고정몰드가 정지된 상태에서 전후진 이동가능하며, 상기 우측분리몰드는 상기 우측고정몰드가 정지된 상태에서 전후진 이동가능한 유리용기제조용 몰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팅라인에서 조각 성형이 가능한 유리용기제조용 몰드{A mould for manufacturing glass container}
본 발명은 파팅라인에서 조각 성형이 가능한 유리용기제조용 몰드에 관한 것으로서, 유리용기의 심미감을 증대시키기 위해 유리용기의 외측면에 일정한 길이로 돌출된 조각들을 성형하는 과정 중, 유리용기의 전체 외측면 중 좌측몰드와 우측몰드가 밀착되거나 분리되는 부분인 파팅라인 부분에서 성형된 조각들에 있어서, 좌측몰드와 우측몰드가 회전되면서 분리되는 과정 중에 이러한 성형된 조각들에 스크래치가 발생되어, 유리용기의 외측면 중 파팅라인 부분에 조각들이 성형될 수 없었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유리용기의 외측면 360도 전체에 균일하게 조각들이 성형될 수 있는 유리용기제조용 몰드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용기는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또는 유리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합성수지재질보다 유리재질인 화장품 유리용기의 장점으로 화장료의 변질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장료가 수용된 채 화장료가 오랫동안 변질되지 않은 상태에서 보관될 수 있다.
나아가, 화장품 용기의 환경문제에 있어서 합성수지재질보다 유리재질이 재활용성이 뛰어나, 폐기처분시 자연환경에 그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하여, 제조시 합성수지재질보다 유리재질에서 환경유해성분이 덜 배출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나아가, 합성수지재질보다 유리재질의 화장품 용기의 경우, 심미감이 우수하다. 즉, 합성수지재질로부터 느낄 수 없는 미감이나 시각적 효과에 따른 심미감이 유리재질에서 발휘되는 바, 화장료의 고급스러움을 더하고자 화장품 용기로 선호되고 있다.
한편, 합성수지재질보다 유리재질인 화장품 유리용기의 단점으로, 다양한 형태의 용기로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는 합성수지재질보다, 유리재질의 경우 그 형태를 성형하는데 있어서, 유리재질의 특성상 그 제한이 따르게 된다. 즉, 원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합성수지재질의 경우 그 제조에 제한없이 성형 가능한 범위가 매우 넓지만, 유리용기의 경우 원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조함에 있어서 그 성형 가능한 범위가 매우 좁은 것이 현실정이다.
화장품 유리용기의 경우, 유리재질의 고급스러움으로 인하여 화장품 용기의 심미감을 증대시킬 수 있는데, 이에 더하여 유리용기에 추가적인 장식 또는 성형으로 유리용기의 심미감을 증대시키고자 유리용기의 성형에 대한 관심이 계속적으로 증대되고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유리재질의 경우 성형 가능한 범위가 매우 좁아서 추가적인 성형이나 장식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지 않은 실정이다.
특히, 유리용기의 심미감을 증대시키기 위해 유리용기의 외측면에 일정한 길이로 돌출되는 다수의 조각을 균일하게 성형시키고자 하는데 있어서, 종래기술에 따르면 상술한 유리재질의 특성상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제한적인 문제점을 설명하면, 유리용기의 외측면에 일정한 길이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균일하게 돌출된 조각들을 성형하는 과정 중, 유리용기의 전체 외측면 중 좌측몰드와 우측몰드가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부분인 파팅라인 부분에서, 좌측몰드와 우측몰드가 일정한 회전각도로 분리되는 과정 중에 파팅라인 부분에 성형된 조각에 접촉됨에 따라 조각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문제점으로, 결국 조각을 성형할 수 없어 파팅라인 부분은 밋밋하게 성형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었다.
즉, 유리용기의 외측면 360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조각들이 성형될 수 없고, 밋밋한 파팅라인 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에서만 조각이 성형될 수 있어서 심미감의 증대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이에, 유리용기의 외측면 360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조각들이 성형될 수 있는 유리용기제조용 몰드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KR20-0133570 B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유리용기를 제조함에 있어서 심미감 증대를 위하여 파팅라인을 포함하여 유리용기의 외측면 360도 전체에 균일하게 조각이 성형될 수 있는 유기용기제조용 몰드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유리용기제조용 몰드는, 좌측몰드(100) 및 우측몰드(200)를 포함하는 유리용기제조용 몰드에서 있어서, 상기 좌측몰드(100)는, 좌측고정몰드(120); 및 상기 좌측고정몰드(120)의 측면에 위치되는 좌측분리몰드(130)를 포함하며,
상기 우측몰드(200)는, 우측고정몰드(220); 및 상기 우측고정몰드(220)의 측면에 위치되는 우측분리몰드(230)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분리몰드(130)는 상기 좌측고정몰드(120)가 정지된 상태에서 전후진 이동가능하며,
상기 우측분리몰드(230)는 상기 우측고정몰드(220)가 정지된 상태에서 전후진 이동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측분리몰드(130)에는 수직방향으로 좌측구동핀관통홀(1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우측분리몰드(230)에는 수직방향으로 우측구동핀관통홀(2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구동핀관통홀(132)로 좌측구동핀(150)이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좌측구동핀(150)이 상하이동 가능하며. 상기 우측구동핀관통홀(232)로 우측구동핀(250)이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우측구동핀(250)이 상하이동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측구동핀(150)은, 좌측구동제1가이드부(152); 상기 좌측구동제1가이드부(152)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아래에 위치되는 좌측구동제2가이드부(154); 및 상기 좌측구동제1가이드부(152)와 상기 좌측구동제2가이드부(154)를 연결하는 좌측구동연결부(153)를 포함하며,
상기 우측구동핀(250)은, 우측구동제1가이드부(252); 상기 우측구동제1가이드부(252)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아래에 위치되는 우측구동제2가이드부(254); 및 상기 우측구동제1가이드부(252)와 상기 우측구동제2가이드부(254)를 연결하는 우측구동연결부(253)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구동연결부(153)의 상단면은 상기 좌측구동제1가이드부(152)의 하단면의 일부분에 연결되되, 상기 좌측구동제1가이드부(152)의 하단면 중 앞쪽으로 치우친 일부분에 연결되며,
상기 좌측구동연결부(153)의 하단면은 상기 좌측구동제2가이드부(154)의 상단면의 일부분에 연결되되, 상기 좌측구동제2가이드부(154)의 상단면 중 뒤쪽으로 치우친 일부분에 연결되며,
상기 우측구동연결부(253)의 상단면은 상기 우측구동제1가이드부(252)의 하단면의 일부분에 연결되되, 상기 우측구동제1가이드부(252)의 하단면 중 앞쪽으로 치우친 일부분에 연결되며,
상기 우측구동연결부(253)의 하단면은 상기 우측구동제2가이드부(254)의 상단면의 일부분에 연결되되, 상기 우측구동제2가이드부(254)의 상단면 중 뒤쪽으로 치우친 일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측몰드(100)는, 상기 좌측고정몰드(120)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좌측고정몰드(120) 및 상기 좌측분리몰드(130)의 아래에 위치되는 좌측바텀부(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우측몰드(200)는, 상기 우측고정몰드(220)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우측고정몰드(220) 및 상기 우측분리몰드(230)의 아래에 위치되는 우측바텀부(2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좌측바텀부(140)에는 수직방향으로 좌측구동핀바텀관통홀(14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좌측구동핀바텀관통홀(142)로 상기 좌측구동제2가이드부(154)가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된 상태이며,
상기 좌측구동핀바텀관통홀(142)의 하부에 제1탄성부재(160)가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좌측구동제2가이드부(154)의 하단면이 상기 제1탄성부재(160)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우측바텀부(240)에는 수직방향으로 우측구동핀바텀관통홀(24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우측구동핀바텀관통홀(242)로 상기 우측구동제2가이드부(254)가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된 상태이며,
상기 우측구동핀바텀관통홀(242)의 하부에 제2탄성부재(260)가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우측구동제2가이드부(254)의 하단면이 상기 제2탄성부재(260)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측분리몰드(130)는 상기 좌측몰드(100)와 상기 우측몰드(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형성된 내측의 중심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되고, 상기 우측분리몰드(230)는 상기 좌측몰드(100)와 상기 우측몰드(200)가 밀착된 상태에서 형성된 내측의 중심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되며,
상기 좌측구동연결부(153)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좌측분리몰드(130)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좌측구동핀관통홀(132) 중 일부분은 상기 좌측구동연결부(153)의 다각형 형태에 상응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우측구동연결부(253)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우측분리몰드(230)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우측구동핀관통홀(232) 중 일부분은 상기 우측구동연결부(253)의 다각형 형태에 상응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좌측분리몰드(130)는 상기 좌측고정몰드(120)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우측분리몰드(230)는 상기 우측고정몰드(220)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해결수단으로 인하여, 몰드에서 조각 성형이 이루어지고 난 이후 좌측몰드와 우측몰드가 분리되는 과정 중, 좌측몰드 및 우측몰드 중 유리용기의 파팅라인 부분이 성형되는 파팅라인 몰드에 해당되는 좌측분리몰드 및 우측분리몰드가 뒤로 후진된 상태에서 좌측몰드와 우측몰드가 분리되되, 좌측분리몰드 및 우측분리몰드에서 조각 성형에 필요한 몰드의 내측면에 형성된 돌출부가 일정한 정도로 뒤로 후진된 상태에서 회전되면서 분리되는 바, 유리용기의 외측면 중 파팅라인에 조각이 성형되더라도 좌측몰드와 우측몰드가 회전되면서 분리되는 과정 중 이러한 조각에 스크래치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아, 유리용기의 외측면 360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조각이 성형될 수 있어 유리용기의 심미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제조된 유리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용기제조용 몰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용기제조용 몰드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용기제조용 몰드에서 좌측분리몰드 및 우측분리몰드의 전후진 이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용기제조용 몰드에 따라 유리용기가 제조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용기제조용 몰드는 좌측몰드(100) 및 우측몰드(200)를 포함한다.
제1차성형물(F)은 유리 용융물이 일정한 형태의 제1차성형몰드에 떨어진 상태에서 화장료가 수용되는 공간 등 필요한 형태에 맞게 1차적으로 성형된 상태이다.
제2차성형물(S)이 성형되는 제2차성형 과정은, 제1차성형물(F)의 내측으로 에어가 블로우되어 가열된 상태의 제1차성형물(F)이 제2차성형물용 좌측몰드(100) 및 우측몰드(200)의 내측에서 팽창하면서 좌측몰드(100) 및 우측몰드(200)의 내측면의 형태에 맞게 제2성형물이 형성되는 과정이거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용기제조용 몰드의 내측으로 제1차성형물(F)이 위치된 상태에서, 좌측몰드(100)와 우측몰드(200)가 밀착된 상태에서 유리용기의 심미감을 증대시키기 위해 제1차성형물(F)의 외측면에 조각들이 성형되는 과정일 수 있다. 상술한 2가지 과정이 별도로 진행되거나 동시에 진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제2차성형물(S)이 냉각되어 최종적으로 화장품 유리용기가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좌측몰드(100) 및 우측몰드(200)의 내측면은 최종적으로 성형될 유리용기의 외측면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좌측몰드(100)는 좌측고정몰드(120), 좌측분리몰드(130) 및 좌측바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고정몰드(120)는 유리용기의 외측면이 성형되는 부분으로서, 좌측고정몰드(120)의 내측면은 유리용기의 외측면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유리용기의 외측면에 균일하게 다수의 조각이 성형되도록 좌측고정몰드(120)의 내측면은 이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좌측바텀부(140)는 좌측고정몰드(120)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된 상태에서 좌측고정몰드(120) 및 좌측분리몰드(130)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좌측바텀부(140)는 좌측고정몰드(120)와 좌측분리몰드(130)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유리용기 중 이러한 좌측바텀부(140)에서 성형되는 부분은 조각들이 성형되지 않은 유리용기의 하부 등이 성형될 수 있다.
좌측분리몰드(130)는 좌측바텀부(14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좌측고정몰드(120)의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좌측고정몰드(120)의 양측면에 각각 좌측분리몰드(130)가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좌측몰드(100)는 좌측바텀부(140)의 위에 위치되는 좌측고정몰드(120)와, 좌측고정몰드(120)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된 2개의 좌측분리몰드(130)로서 3개로 분리된 몰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좌측분리몰드(130)는 좌측바텀부(140)의 위에 위치된 상태에서, 좌측고정몰드(120)가 정지된 상태에서 전후진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전진된 상태는 좌측몰드(100)와 우측몰드(200)가 밀착된 상태로서 유리용기의 외측면 360도 전체에 조각들이 성형되는 상태이고, 후진된 상태는 조각들이 성형된 상태에서 좌측몰드(100)와 우측몰드(200)가 일정한 회전각도로 분리되기 전의 상태일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우측몰드(200)는 우측고정몰드(220), 우측분리몰드(230) 및 우측바텀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측고정몰드(220)는 유리용기의 외측면이 성형되는 부분으로서, 우측고정몰드(220)의 내측면은 유리용기의 외측면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됨은 물론이다. 따라서, 유리용기의 외측면에 균일하게 다수의 조각이 성형되도록 우측고정몰드(220)의 내측면은 이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우측바텀부(240)는 우측고정몰드(220)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된 상태에서 우측고정몰드(220) 및 우측분리몰드(230)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우측바텀부(240)는 우측고정몰드(220)와 우측분리몰드(230)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유리용기 중 이러한 우측바텀부(240)에서 성형되는 부분은 조각들이 성형되지 않은 유리용기의 하부 등이 성형될 수 있다.
우측분리몰드(230)는 우측바텀부(24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우측고정몰드(220)의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우측고정몰드(220)의 양측면에 각각 우측분리몰드(230)가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우측몰드(200)는 우측바텀부(240)의 위에 위치되는 우측고정몰드(220)와, 우측고정몰드(220)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된 2개의 우측분리몰드(230)로서 3개로 분리된 몰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우측분리몰드(230)는 우측바텀부(240)의 위에 위치된 상태에서, 우측고정몰드(220)가 정지된 상태에서 전후진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전진된 상태는 좌측몰드(100)와 우측몰드(200)가 밀착된 상태로서 유리용기의 외측면 360도 전체에 조각들이 성형되는 상태이고, 후진된 상태는 조각들이 성형된 상태에서 좌측몰드(100)와 우측몰드(200)가 일정한 회전각도로 분리되기 전의 상태일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리용기제조용 몰드에서 유리용기의 외측면에 조각이 성형되는데 해당되는 몰드는 좌측고정몰드(120), 2개의 좌측분리몰드(130), 우측고정몰드(220), 2개의 우측분리몰드(230)로 총 6개의 몰드로 구성될 수 있다.
좌측몰드(100)는 좌측구동핀(150) 및 제1탄성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좌측분리몰드(130)에는 수직방향으로 좌측구동핀관통홀(1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좌측구동핀(150)이 이러한 좌측구동핀관통홀(132)로 관통된 상태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하다.
좌측구동핀(150) 중 좌측구동제1가이드부(152)가 좌측구동핀관통홀(132)의 상부에 삽입된 상태일 수 있으며, 좌측구동제1가이드부(152)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좌측구동연결부(153)가 이러한 좌측구동핀관통홀(132)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일 수 있으며, 좌측구동연결부(153)에서 아래에 연장된 좌측구동제2가이드부(154)가 좌측구동핀관통홀(132)의 하부에 삽입된 상태일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좌측구동핀(150)이 상하이동될 수 있다.
이때, 좌측바텀부(140)에는 수직방향으로 좌측구동핀바텀관통홀(142)이 형성되어 있어, 상술한 좌측구동제2가이드부(154)가 이러한 좌측구동핀바텀관통홀(14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좌측구동핀(150)이 최대한 위로 이동된 상태에서도, 좌측구동제2가이드부(154)의 일부분이 좌측구동핀관통홀(132)의 하부에 삽입되고 나머지 부분은 여전히 좌측구동핀바텀관통홀(142)에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측구동핀관통홀(132)과 좌측구동핀바텀관통홀(142)은 수직방향으로 연통된 상태일 수 있다.
좌측구동핀바텀관통홀(142)의 하부에는 제1탄성부재(160)가 위치된 상태이며, 이에 따라 일정한 수단으로 폐쇄된 상태의 좌측구동핀바텀관통홀(142)의 하단면이 이러한 제1탄성부재(160)에 밀착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좌측구동핀(150)이 제1탄성부재(160)의 탄성력으로 위로 이동된 상태에서, 블로워헤드가 좌측몰드(100) 및 우측몰드(200)의 상부면에 밀착되면서 좌측구동핀(150)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이러한 외력에 의해 좌측구동핀(150)이 아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블로워헤드가 좌측몰드(100) 및 우측몰드(200)의 상부면에서 분리된 경우, 제1탄성부재(160)의 탄성력으로 좌측구동핀(150)이 윗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좌측구동핀(150)이 좌측구동핀관통홀(132) 및 좌측구동핀바텀관통홀(14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하다.
좌측구동핀(150) 중 좌측구동제2가이드부(154)가 고정된 상태의 좌측구동핀바텀관통홀(142)에 삽입된 상태인 바, 이러한 좌측구동핀(150)은 상하이동만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좌측몰드(100)는 좌측고정몰드(120) 및 좌측분리몰드(130)의 상부면에 위치된 좌측가이드커버(10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좌측가이드커버(101)에는 좌측구동제1가이드부(152)가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어, 좌측구동핀(150)이 이러한 고정된 좌측가이드커버(101)로 관통된 상태인 바, 마찬가지로 좌측구동핀(150)은 이러한 좌측가이드커버(101)에 의해서 상하이동만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좌측분리몰드(130)가 좌측가이드커버(101)에 의해 윗 방향으로의 이동이 차단된 상태인바, 좌측분리몰드(130)는 좌측구동핀(15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전후진 이동만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좌측분리몰드(130)가 상하이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좌측구동핀(150)이 윗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아랫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좌측분리몰드(130)의 좌측구동핀관통홀(132)의 내측에서 좌측구동연결부(153)가 어느 부분에 위치되느냐에 따라 좌측분리몰드(130)가 전진된 상태로 위치되거나 후진된 상태로 위치될 뿐이다.
이러한 좌측구동핀(150)의 상하이동에 따른 좌측구동연결부(153)와 좌측분리몰드(130)와의 구동관계는 후술한다.
우측몰드(200)는 우측구동핀(250) 및 제2탄성부재(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측분리몰드(230)에는 수직방향으로 우측구동핀관통홀(2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우측구동핀(250)이 이러한 우측구동핀관통홀(232)로 관통된 상태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하다.
우측구동핀(250) 중 우측구동제1가이드부(252)가 우측구동핀관통홀(232)의 상부에 삽입된 상태일 수 있으며, 우측구동제1가이드부(252)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우측구동연결부(253)가 이러한 우측구동핀관통홀(232)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일 수 있으며, 우측구동연결부(253)에서 아래로 연장된 우측구동제2가이드부(254)가 우측구동핀관통홀(232)의 하부에 삽입된 상태일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우측구동핀(250)이 상하이동될 수 있다.
이때, 우측바텀부(240)에는 수직방향으로 우측구동핀바텀관통홀(242)이 형성되어 있어, 상술한 우측구동제2가이드부(254)가 이러한 우측구동핀바텀관통홀(24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우측구동핀(250)이 최대한 위로 이동된 상태에서도, 우측구동제2가이드부(254)의 일부분이 우측구동핀관통홀(232)의 하부에 삽입되고 나머지 부분은 여전히 우측구동핀바텀관통홀(242)에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우측구동핀관통홀(232)과 우측구동핀바텀관통홀(242)은 수직방향으로 연통된 상태일 수 있다.
우측구동핀바텀관통홀(242)의 하부에는 제2탄성부재(260)가 위치된 상태이며, 이에 따라 일정한 수단으로 폐쇄된 상태의 우측구동핀바텀관통홀(242)의 하단면이 이러한 제2탄성부재(260)에 밀착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우측구동핀(250)이 제2탄성부재(260)의 탄성력으로 위로 이동된 상태에서, 블로워헤드가 좌측몰드(100) 및 우측몰드(200)의 상부면에 밀착되면서 우측구동핀(250)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이러한 외력에 의해 우측구동핀(250)이 아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블로워헤드가 좌측몰드(100) 및 우측몰드(200)의 상부면에서 분리된 경우, 제2탄성부재(260)의 탄성력으로 우측구동핀(250)이 윗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우측구동핀(250)이 우측구동핀관통홀(232) 및 우측구동핀바텀관통홀(24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하다.
우측구동핀(250) 중 우측구동제2가이드부(254)가 고정된 상태의 우측구동핀바텀관통홀(242)에 삽입된 상태인 바, 이러한 우측구동핀(250)은 상하 이동만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우측몰드(200)는 우측고정몰드(120) 및 우측분리몰드(230)의 상부면에 위치된 우측가이드커버(20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우측가이드커버(201)에는 우측구동제1가이드부(252)가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어, 우측구동핀(250)이 이러한 고정된 우측가이드커버(201)로 관통된 상태인 바, 마찬가지로 우측구동핀(250)은 이러한 우측가이드커버(201)에 의해서 상하이동만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우측분리몰드(230)가 우측가이드커버(201)에 의해 윗 방향으로 이동이 차단된 상태인바, 우측분리몰드(230)는 우측구동핀(25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전후진 이동만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우측분리몰드(230)가 상하이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우측구동핀(250)이 윗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아랫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우측분리몰드(230)의 우측구동핀관통홀(232)의 내측에서 우측구동연결부(253)가 어느 부분에 위치되느냐에 따라 우측분리몰드(230)가 전진된 상태로 위치되거나 후진된 상태로 위치될 뿐이다.
이러한 우측구동핀(250)의 상하이동에 따른 우측구동연결부(253)와 우측분리몰드(230)와의 구동관계는 후술한다.
좌측구동핀(15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좌측구동핀(1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좌측구동제1가이드부(152), 좌측구동제1가이드부(152)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아래에 위치되는 좌측구동제2가이드부(154) 및 좌측구동제1가이드부(152)와 좌측구동제2가이드부(154)를 연결하는 좌측구동연결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좌측구동연결부(153)의 상단면은 좌측구동제1가이드부(152)의 하단면의 일부분에 연결되되, 좌측구동제1가이드부(152)의 하단면 중 앞쪽으로 치우친 일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좌측구동연결부(153)의 하단면은 좌측구동제2가이드부(154)의 상단면의 일부분에 연결되되, 좌측구동제2가이드부(154)의 상단면 중 뒤쪽으로 치우친 일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좌측구동제1가이드부(152)와 좌측구동제2가이드부(154)는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된 상태일 수 있으나, 좌측구동연결부(153)는 이러한 수직선에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좌측구동제1가이드부(152)와 좌측구동제2가이드부(154)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좌측구동연결부(153)는 어느 형태이든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측분리몰드(130)의 내측에 형성된 좌측구동핀관통홀(132) 중 일부분은 좌측구동연결부(153)의 다각형 형태에 상응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좌측구동연결부(153)가 아랫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좌측구동핀관통홀(132)의 내측의 위치가 좌측구동연결부(153)의 윗 부분에 해당되고, 이러한 좌측구동연결부(153)의 윗 부분은 앞쪽으로 치우쳐 위치되어 좌측분리몰드(130)의 내측방향(즉, 몰드의 중심방향)으로 치우쳐 위치되는 바, 이러한 좌측구동연결부(153)의 윗 부분에 위치되는 좌측분리몰드(130)가 당연히 전진이동된 상태일 수 있다(도 5의 (a).
반면, 좌측구동연결부(153)가 윗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좌측구동핀관통홀(132)의 내측의 위치가 좌측구동연결부(153)의 아랫 부분에 해당되고, 이러한 좌측구동연결부(153)의 아랫 부분은 뒤쪽으로 치우쳐 위치되어 좌측분리몰드(130)의 외측방향(즉, 몰드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치우쳐 위치되는 바, 이러한 좌측구동연결부(153)의 아랫 부분에 위치되는 좌측분리몰드(130)가 당연히 후진이동된 상태일 수 있다(도 5의 (b).
즉, 좌측구동핀(150)의 상하이동에 따라. 좌측분리몰드(130)가 좌측몰드(100)와 우측몰드(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형성된 내측의 중심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 이동될 수 있다.
우측구동핀(250)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좌측구동핀(150)의 설명에서 좌측구동제1가이드부(152), 좌측구동연결부(153) 및 좌측구동제2가이드부(154)를 각각 우측구동제1가이드부(252), 우측구동연결부(253) 및 우측구동제2가이드부(254)로 변경한 상태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나아가, 우측구동핀(250)과 우측분리몰드(230)의 구성요소 간의 관계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좌측구동핀(150)과 좌측분리몰드(130)의 구성요소 간의 관계에 대한 설명에서 좌측구동핀(150) 및 좌측분리몰드(130)를 각각 우측구동핀(250) 및 우측분리몰드(230)로 변경한 상태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이에 따라, 우측구동핀(250)의 상하이동에 따라. 우측분리몰드(230)가 좌측몰드(100)와 우측몰드(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형성된 내측의 중심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 이동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리용기제조용 몰드를 이용하여 유기용기가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의 (c)는 유리 용융물이 일정한 형태의 제1차성형몰드에 떨어진 상태에서 화장료가 수용되는 공간 등 필요한 형태에 맞게 1차적으로 성형된 상태의 제1차성형물(F)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차성형물(F)의 외측면에는 아직 조각들이 성형되기 전의 상태이다.
도 6의 (d)는 좌측몰드(100)와 우측몰드(200)가 밀착된 상태에서 형성된 중공의 내측에 제1차성형물(F)이 위치된 상태에서, 블로워헤드가 좌측몰드(100)와 우측몰드(200)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좌측몰드(100)의 내측면과 우측몰드(200)의 내측면은 유리용기의 외측면에 성형될 조각들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좌측구동핀(150) 및 우측구동핀(250)이 블로워헤드의 안착으로 인하여 아래로 이동된 상태인 바, 좌측구동연결부(153) 및 우측구동연결부(253)의 윗 부분에 좌측분리몰드(130) 및 우측분리몰드(230)의 내측이 위치되어, 결국 좌측분리몰드(130) 및 우측분리몰드(230)가 중공의 내측 중심 방향으로 전진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좌측고정몰드(120), 2개의 좌측분리몰드(130), 우측고정몰드(220) 및 2개의 우측분리몰드(230)의 내측면이 연속으로 이어져 유리용기의 외측면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배열된 상태이다.
이 경우, 좌측분리몰드(130) 및 우측분리몰드(230)가 후진된 상태에서 전진 이동되는 바, 좌측분리몰드(130) 및 우측분리몰드(230)가 상술한 몰드의 중공의 내측의 중심 방향으로 전진이동되어야 6개의 몰드의 내측면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좌측분리몰드(130) 및 우측분리몰드(230)가 상술한 몰드의 중공의 내측의 중심 방향으로 전진이동이 가이드되도록, 좌측분리몰드(130)의 상부면 및 우측분리몰드(230)의 상부면에는 좌측분리몰드가이드홈(134) 및 우측분리몰드가이드홈(234)이 형성될 수 있고, 좌측가이드커버(101)의 하부면에는 좌측분리몰드가이드홈(134)에 대응되는 위치에 좌측분리몰드가이드돌출부(105)가 형성될 수 있고, 우측가이드커버(201)의 하부면에는 우측분리몰드가이드홈(234)에 대응되는 위치에 우측분리몰드가이드돌출부(20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측분리몰드가이드돌출부(105) 및 우측분리몰드가이드돌출부(205)가 각각 좌측분리몰드가이드홈(134) 및 우측분리몰드가이드홈(234)에 삽입된 상태에서, 좌측분리몰드(130) 및 우측분리몰드(230)가 전진 또는 후진 이동되는 바, 좌측분리몰드(130) 및 우측분리몰드(230)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나아가, 좌측고정몰드(120)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된 좌측분리몰드(130)와 우측고정몰드(220)의 양측면에서 각각 위치된 우측분리몰드(230)는 각각 서로 밀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즉, 좌측몰드(100)와 우측몰드(200)가 밀착된 상태에서는 서로 밀착된 좌측분리몰드(130)와 우측분리몰드(230)가 밀착된 상태에서 동시에 전진 이동되어야 하거나 동시에 후진 이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좌측몰드(100)와 우측몰드(200)가 밀착된 상태에서 좌측분리몰드(130)와 우측분리몰드(230)가 동시에 이동되도록, 좌측분리몰드(130)의 측면에는 장착홈(13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좌측분리몰드(130)의 장착홈(135)에 대응되는 우측분리몰드(230)의 측면에는 장착돌출부(235)가 형성될 수 있다.
좌측몰드(100)와 우측몰드(200)가 밀착된 상태에서, 장착돌출부(235)가 장착홈(135)에 장착된 상태에서 좌측분리몰드(130)와 우측분리몰드(230)가 전후진 이동되는 바, 좌측분리몰드(130) 및 우측분리몰드(230)가 동시에 전후진 이동될 수 있다.
도 6의 (e)는 좌측몰드(100) 및 우측몰드(200)의 상부면에서 블로워헤드가 벗어난 상태에서 좌측구동핀(150) 및 우측구동핀(250)이 제1탄성부재(160) 및 제2탄성부재(260)의 탄성력으로 위로 이동된 상태인 바, 좌측구동연결부(153) 및 우측구동연결부(253)의 아랫 부분에 좌측분리몰드(130) 및 우측분리몰드(230)의 내측이 위치되어, 결국 좌측분리몰드(130) 및 우측분리몰드(230)가 후진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좌측고정몰드(120) 및 우측고정몰드(220)는 상대적으로 전진된 상태이고, 2개의 좌측분리몰드(130) 및 2개의 우측분리몰드(230)는 상대적으로 후진된 상태이다. 좌측고정몰드(120) 및 우측고정몰드(220)의 내측면과 2개의 좌측분리몰드(130) 및 2개의 우측분리몰드(230)의 내측면이 연속적이지 않은 상태이다.
도 6의 (f)는 유리용기의 외측면 360도 전체에 조각들이 성형된 상태에서, 좌측몰드(100)와 우측몰드(20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f)는 좌측구동핀(150) 및 우측구동핀(250)의 위치에 따른 좌측분리몰드(130)와 우측분리몰드(230)의 전후진 이동을 도시하기 위하여, 좌측가이드커버(101)와 우측가이드커버(201)가 제거된 상태에서 도시되었다.
종래기술에서는, 좌측몰드와 우측몰드가 분리되는 과정 중, 좌측몰드 중 유리용기의 파팅라인에 해당되는 몰드 부분에 형성된 돌출된 부분이, 회전되면서 분리되는 과정 중 유리용기의 파팅라인에 이미 성형된 조각들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면서 분리되는 바, 파팅라인에 이미 성형된 조각들로서 일정한 길이로 돌출된 조각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됨에 따라 조각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우측몰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유리용기의 외측면에 조각이 성형된 상태에서, 좌측몰드(100)와 우측몰드(200)가 회전되면서 분리되기 전에 파팅라인에 해당되는 몰드인 좌측분리몰드(130) 및 우측분리몰드(230)가 뒤로 후진된 상태에서 회전되면서 분리되는 바, 파팅라인에 이미 성형된 조각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팅라인에 성형된 조각에 대한 스크래치 문제점 등이 발생되지 않아, 결국 유리용기 외측면 360도 전체에 균일하게 조각들이 성형될 수 있어 유리용기의 심미감이 증대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좌측몰드
101: 좌측가이드커버 105: 좌측분리몰드가이드돌출부
120: 좌측고정몰드
130: 좌측분리몰드
132: 좌측구동핀관통홀 134: 좌측분리몰드가이드홈 135: 장착홈
140: 좌측바텀부 142: 좌측구동핀바텀관통홀
150: 좌측구동핀 152: 좌측구동제1가이드부 153: 좌측구동연결부 154: 좌측구동제2가이드부
160: 제1탄성부재
200: 우측몰드
201: 우측가이드커버 205: 우측분리몰드가이드돌출부
220: 우측고정몰드
230: 우측분리몰드
232: 우측구동핀관통홀 234: 우측분리몰드가이드홈 235: 장착돌출부
240: 우측바텀부 242: 우측구동핀바텀관통홀
250: 우측구동핀 252: 우측구동제1가이드부 253: 우측구동연결부 254: 우측구동제2가이드부
260: 제2탄성부재

Claims (5)

  1. 좌측몰드(100)와 우측몰드(200)가 분리되되 일정한 각도로 회전되면서 분리되는 유리용기제조용 몰드에서 있어서,
    상기 좌측몰드(100)는, 좌측고정몰드(120); 및 상기 좌측고정몰드(120)의 측면에 위치되는 좌측분리몰드(130)를 포함하며,
    상기 우측몰드(200)는, 우측고정몰드(220); 및 상기 우측고정몰드(220)의 측면에 위치되는 우측분리몰드(230)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분리몰드(130)는 상기 좌측고정몰드(120)가 정지된 상태에서 전후진 이동가능하며,
    상기 우측분리몰드(230)는 상기 우측고정몰드(220)가 정지된 상태에서 전후진 이동가능하며,
    상기 좌측분리몰드(130)는 상기 좌측고정몰드(120)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우측분리몰드(230)는 상기 우측고정몰드(220)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좌측분리몰드(130)에는 수직방향으로 좌측구동핀관통홀(1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우측분리몰드(230)에는 수직방향으로 우측구동핀관통홀(2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구동핀관통홀(132)로 좌측구동핀(150)이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좌측구동핀(150)이 상하이동 가능하며.
    상기 우측구동핀관통홀(232)로 우측구동핀(250)이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우측구동핀(250)이 상하이동 가능하며,
    블로워헤드가 상기 좌측몰드(100)와 우측몰드(200)의 상부면에 안착됨에 따라, 상기 좌측구동핀(150) 및 우측구동핀(250)이 아래로 이동되면서 상기 좌측분리몰드(130) 및 우측분리몰드(230)가 전진되며,
    상기 블로워헤드가 상기 좌측몰드(100)와 우측몰드(200)의 상부면에서 벗어남에 따라, 상기 좌측구동핀(150) 및 우측구동핀(250)이 위로 이동되면서 상기 좌측분리몰드(130) 및 우측분리몰드(230)가 후진되며,
    상기 좌측분리몰드(130) 및 우측분리몰드(230)가 후진된 상태에서, 상기 좌측분리몰드(130)와 우측분리몰드(230)가 일정한 각도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분리되는 유리용기제조용 몰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구동핀(150)은, 좌측구동제1가이드부(152); 상기 좌측구동제1가이드부(152)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아래에 위치되는 좌측구동제2가이드부(154); 및 상기 좌측구동제1가이드부(152)와 상기 좌측구동제2가이드부(154)를 연결하는 좌측구동연결부(153)를 포함하며,
    상기 우측구동핀(250)은, 우측구동제1가이드부(252); 상기 우측구동제1가이드부(252)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아래에 위치되는 우측구동제2가이드부(254); 및 상기 우측구동제1가이드부(252)와 상기 우측구동제2가이드부(254)를 연결하는 우측구동연결부(253)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구동연결부(153)의 상단면은 상기 좌측구동제1가이드부(152)의 하단면의 일부분에 연결되되, 상기 좌측구동제1가이드부(152)의 하단면 중 앞쪽으로 치우친 일부분에 연결되며,
    상기 좌측구동연결부(153)의 하단면은 상기 좌측구동제2가이드부(154)의 상단면의 일부분에 연결되되, 상기 좌측구동제2가이드부(154)의 상단면 중 뒤쪽으로 치우친 일부분에 연결되며,
    상기 우측구동연결부(253)의 상단면은 상기 우측구동제1가이드부(252)의 하단면의 일부분에 연결되되, 상기 우측구동제1가이드부(252)의 하단면 중 앞쪽으로 치우친 일부분에 연결되며,
    상기 우측구동연결부(253)의 하단면은 상기 우측구동제2가이드부(254)의 상단면의 일부분에 연결되되, 상기 우측구동제2가이드부(254)의 상단면 중 뒤쪽으로 치우친 일부분에 연결되는 유리용기제조용 몰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몰드(100)는, 상기 좌측고정몰드(120)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좌측고정몰드(120) 및 상기 좌측분리몰드(130)의 아래에 위치되는 좌측바텀부(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우측몰드(200)는, 상기 우측고정몰드(220)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우측고정몰드(220) 및 상기 우측분리몰드(230)의 아래에 위치되는 우측바텀부(2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좌측바텀부(140)에는 수직방향으로 좌측구동핀바텀관통홀(14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좌측구동핀바텀관통홀(142)로 상기 좌측구동제2가이드부(154)가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된 상태이며,
    상기 좌측구동핀바텀관통홀(142)의 하부에 제1탄성부재(160)가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좌측구동제2가이드부(154)의 하단면이 상기 제1탄성부재(160)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우측바텀부(240)에는 수직방향으로 우측구동핀바텀관통홀(24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우측구동핀바텀관통홀(242)로 상기 우측구동제2가이드부(254)가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된 상태이며,
    상기 우측구동핀바텀관통홀(242)의 하부에 제2탄성부재(260)가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우측구동제2가이드부(254)의 하단면이 상기 제2탄성부재(260)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는 유리용기제조용 몰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분리몰드(130)는 상기 좌측몰드(100)와 상기 우측몰드(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형성된 내측의 중심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되고, 상기 우측분리몰드(230)는 상기 좌측몰드(100)와 상기 우측몰드(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형성된 내측의 중심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되며,
    상기 좌측구동연결부(153)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좌측분리몰드(130)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좌측구동핀관통홀(132) 중 일부분은 상기 좌측구동연결부(153)의 다각형 형태에 상응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우측구동연결부(253)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우측분리몰드(230)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우측구동핀관통홀(232) 중 일부분은 상기 우측구동연결부(253)의 다각형 형태에 상응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유리용기제조용 몰드.
KR1020210058345A 2021-05-06 2021-05-06 파팅라인에서 조각 성형이 가능한 유리용기제조용 몰드 KR102533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345A KR102533594B1 (ko) 2021-05-06 2021-05-06 파팅라인에서 조각 성형이 가능한 유리용기제조용 몰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345A KR102533594B1 (ko) 2021-05-06 2021-05-06 파팅라인에서 조각 성형이 가능한 유리용기제조용 몰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407A KR20220152407A (ko) 2022-11-16
KR102533594B1 true KR102533594B1 (ko) 2023-05-18

Family

ID=84235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345A KR102533594B1 (ko) 2021-05-06 2021-05-06 파팅라인에서 조각 성형이 가능한 유리용기제조용 몰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5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8928A1 (ko) * 2022-08-18 2024-02-22 (주)에스엠씨지 파팅라인에서 조각 성형이 가능한 유리용기제조용 몰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7012B2 (ja) 2000-12-27 2007-09-1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アンダーカット付き容器及びその容器の成形に適したブロー成形用金型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6770B2 (ja) * 1997-02-06 1999-05-31 ナックス株式会社 樹脂成形容器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
KR101401402B1 (ko) * 2012-10-04 2014-05-29 (주)대동몰드 블로우 성형용 금형
EP3068832B1 (de) * 2013-11-14 2022-11-02 Ems-Chemie Ag Polyamidformmassen für grosse formteile
KR20180012024A (ko) * 2016-07-26 2018-02-05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프리폼 성형 장치
KR101918724B1 (ko) * 2016-08-25 2018-11-14 주식회사 디알비동일 자동차 유리창 일체형 글라스런용 인서트 사출 금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7012B2 (ja) 2000-12-27 2007-09-1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アンダーカット付き容器及びその容器の成形に適したブロー成形用金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407A (ko) 202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3594B1 (ko) 파팅라인에서 조각 성형이 가능한 유리용기제조용 몰드
US5980805A (en) Method of making multilayer molded article
KR100625868B1 (ko) 사출성형용 금형장치
US5081329A (en) Key assembly, switch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JP7296323B2 (ja) 樹脂製の容器部品の製造方法、金型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るブロー成形機
GB2350308B (en) Elastomeric doll head,method for molding same and mold therefore
KR101673207B1 (ko) 사출물의 게이트 컷팅 블록 및 게이트 컷팅 장치
BR0203872A (pt) Máquina para a moldagem de recipientes feitos de material plástico
KR20240037419A (ko) 파팅라인에서 조각 성형이 가능한 유리용기 제조방법
GB2065544A (en) Apparatus for injection moulding a preform
JPH01235619A (ja) 蝶番および容器の一体製造方法
KR101988595B1 (ko) 다촛점 작동 콘택트렌즈 캐스팅 성형방법
JP2011020423A (ja) 射出成形用金型および射出成形品
CN211334302U (zh) 无晕色的双色配光镜及双色配光镜模具
KR102248903B1 (ko) 사출 성형 금형
CN213006303U (zh) 汽车车灯透镜的注塑模具
CN205202035U (zh) 一种滑块的注塑模具
JP3859215B2 (ja) 車両灯具用樹脂部品の親子取り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KR102386866B1 (ko) 일체형 손잡이를 갖는 용기의 프리폼 사출금형
WO2020017505A1 (ja) ブロー成形用金型、これを用いた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樹脂製の容器
KR200209509Y1 (ko) 슬라이드방식의 블로우 금형
JP7079657B2 (ja) 金型を用いたスライド部材を備えた3構成物品の同時成形方法及びその金型
KR20200001229U (ko) 일체형 광학렌즈 몰드 및 그를 이용하여 제작된 광학 렌즈
JPH0746499Y2 (ja) 樹脂成形用金型
CN214448092U (zh) 一种高精度塑料注塑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