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986B1 - 단열완충재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 - Google Patents

단열완충재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986B1
KR102528986B1 KR1020210085324A KR20210085324A KR102528986B1 KR 102528986 B1 KR102528986 B1 KR 102528986B1 KR 1020210085324 A KR1020210085324 A KR 1020210085324A KR 20210085324 A KR20210085324 A KR 20210085324A KR 102528986 B1 KR102528986 B1 KR 102528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support
insulation buffer
elastic
support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3799A (ko
Inventor
박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민철내
주식회사 엠씨케이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민철내, 주식회사 엠씨케이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민철내
Priority to KR1020210085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986B1/ko
Publication of KR20230003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3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1Insulating layer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looring or the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래브 상측에 설치되는 단열완충재; 상기 슬래브와 단열완충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단열완충재 상측의 상부 하중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단열완충재 하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평판 형상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원기둥이 누운 형상인 탄성지지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완충재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래브와 단열완충재 사이에 탄성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상부 하중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충격감쇄장치 및 탄성지지부재에서 상부 하중이나 충격을 분산하여 흡수할 수 있으므로 슬래브로 전달되는 충격 및 소음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열완충재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Supporting structure of insulation buffer and floor structure for noise reduction between floors using it}
본 발명은 단열완충재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택의 슬래브 상측의 상부 하중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층간소음을 저감하는 단열완충재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라나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이나 단독주택의 층간은 콘크리트로 슬래브층이 형성되고, 이 슬래브층에는 기포를 포함한 기포콘크리트층이 형성되고, 기포콘크리트층에는 난방용 배관이 설치된 후, 모르타르층 등의 바닥재가 형성된다.
상기의 구성은 상기 바닥재 상측의 바닥충격음이 모르타르층과 기포콘크리트층 및 슬래브층을 통해 아래에 그대로 전달되어 심한 층간소음을 겪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상기 층간소음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슬래브의 두께를 좀더 두껍게 할 수 있으나, 이는 실질적인 층간소음을 해결할 수 없고, 철근 및 콘크리트 등 원재료의 증가로 공사비가 늘어나 경제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61047호에 충격 및 소음 방지 건식 바닥구조가 공개된 바 있다. 이 종래기술은 건물의 바닥슬래브와 단열재 사이에 충격감쇄장치들을 격자형으로 배치하여 바닥슬래브와 단열재의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상부 하중이나 충격이 충격감쇄장치들에 집중됨으로써, 충격감쇄장치들이 전체 상부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정도로 설계되어야 하고, 그에 따라 충격감쇄장치들의 크기가 증가하거나 개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충격감쇄장치들의 사이의 상부하중은 충격감쇄장치들의 사이에 걸쳐 설치되는 받침틀에 의해 지지됨으로서 받침틀 역시 상부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두께나 강도가 필요하여 받침틀의 두께나 강도를 증가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받침틀의 강도나 두께가 불충분한 경우, 또는 시간의 경과에 의해 바닥의 평활도가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706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충격감쇄장치들의 사이사이에 탄성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충격감쇄장치들에 가해지는 상부 하중을 분담함으로써, 충격감쇄장치들의 개수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시공비용이 절약되는 단열완충재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충격감쇄장치들의 사이사이에 탄성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충격감쇄장치들의 사이사이의 지지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충격감쇄장치들의 사이사이의 받침틀의 두께나 강도를 줄여 시공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단열완충재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충격감쇄장치들의 사이사이에 탄성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충격감쇄장치들의 사이사이의 지지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충격감쇄장치들의 사이사이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단열완충재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일례에 따른 단열완충재 지지구조는, 슬래브 상측에 설치되는 단열완충재; 상기 슬래브와 단열완충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단열완충재 상측의 상부 하중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단열완충재 하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평판 형상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원기둥이 누운 형상인 탄성지지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는 속이 빈 원기둥 형상이고, 상기 지지판과 상기 탄성지지부가 접하는 부분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는 속이 빈 원기둥 형상이고, 상기 지지판과 탄성지지부가 접하는 부분 반대편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는 속이 빈 원기둥 형상이고, 상기 탄성지지부는 폐합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는 속이 빈 원기둥 형상이고, 상기 탄성지지부의 내부에 긴밀히 삽입되는 속이 비거나 찬 원기둥 형상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는 속이 찬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다른 례에 따른 단열완충재 지지구조는, 슬래브 상측에 설치되는 단열완충재; 상기 단열완충재 상측에 설치되어 상부 하중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단열완충재 상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평판 형상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원기둥이 누운 형상인 탄성지지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들의 상측에 구비되는 평판 형상의 제2지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단열완충재 지지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는, 단열완충재 지지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에 있어서, 슬래브 상측에 서로 이격되게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충격감쇄장치들; 상기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충격감쇄장치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단열완충재 지지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충격감쇄장치들과 상기 충격감쇄장치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단열완충재 지지구조를 전체적으로 덮는 바닥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감쇄장치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부에 압축, 충진된 고무칩들을 포함하고, 상부 하중이나 충격에 대해 상기 용기와 고무칩들이 신축함에 의해 상부 하중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단열완충재 지지구조 및 충격감쇄장치들 상측에 비닐이 전체적으로 포설된 후 상기 바닥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충격감쇄장치들 각각을 덮는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충격감쇄장치들의 사이사이에 탄성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충격감쇄장치들에 가해지는 상부 하중을 분담함으로써, 충격감쇄장치들의 개수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시공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또한, 충격감쇄장치들의 사이사이에 탄성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충격감쇄장치들의 사이사이의 지지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충격감쇄장치들의 사이사이의 받침틀의 두께나 강도를 줄여 시공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충격감쇄장치들의 사이사이에 탄성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충격감쇄장치들의 사이사이의 지지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충격감쇄장치들의 사이사이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단열완충재 지지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단열완충재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단열완충재 지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다른 단열완충재 지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또 다른 단열완충재 지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또 다른 단열완충재 지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의 또 다른 단열완충재 지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의 또 다른 단열완충재 지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a는 도 1의 또 다른 단열완충재 지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례에 따른 단열완충재 지지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례에 따른 단열완충재 지지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의 단열완충재 지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8의 다른 단열완충재 지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8의 또 다른 단열완충재 지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8의 또 다른 단열완충재 지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8의 또 다른 단열완충재 지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8의 또 다른 단열완충재 지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4a는 도 8의 또 다른 단열완충재 지지구조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단열완충재 지지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단열완충재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단열완충재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단열완충재 지지구조(130)는, 슬래브(110)와 단열완충재(131) 사이에 설치되어 단열완충재(131) 상측의 상부 하중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것으로, 단열완충재(131), 탄성지지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완충재(131)는 난방열의 하부 전달 등을 방지하고, 상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소음이 하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열완충재(131)는 스티로폼, EPS, EVA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단열완충재(131)는 그 상부로 작업자의 이동 등이 이루어지므로 이 경우 쉽게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탄성지지부재(132)는 슬래브(110)와 단열완충재(131)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하중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것으로, 지지판(132a), 탄성지지부(132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132a)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열완충재(131) 저면에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지지판(132a)은 목질판, PVC판, 철재판 등으로 형성되고, 단열완충재(131)를 지지하여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지지부(132b)는 지지판(132a)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부 하중 및 충격을 흡수하는 것으로, 철재, PVC, 염화비닐, 고무, EVA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132a)과 탄성지지부(132b)는 일체로 제작되거나, 별도로 준비한 후 용접, 접착 등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철사, 밴드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탄성지지부(132b)는 속이 빈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지지판(132a)과 탄성지지부(132b)는 접하는 부분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접하는 부분이 개방된 형상인 경우, 개방부에 의한 벌어짐, 탄성지지부(132b)의 변형, 지지판(132a)의 변형 등으로 상부에서 가해지는 상부 하중에 대해 탄성적으로 잘 대응함으로써, 상부의 충격 등의 전달을 감쇄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탄성부재(132c)를 탄성지지부(132b)에 삽입하는 것은, 양측의 지지판(132a)에 작업자가 하중을 가하여 탄성지지부(132b)가 확장되게 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지판(132a)과 탄성지지부(132b)가 접하는 부분 반대편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판(132a)과 탄성지지부(132b)가 접하는 부분 반대편이 개방된 형상인 경우, 전체 지지판(132a)의 안정성을 확보하면서, 개방된 탄성지지부(132b)가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면서 상부 하중을 탄성적으로 잘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탄성부재(132c)를 삽입하는 경우, 탄성지지부(132b) 상측에서 지지판(132a)을 지지하면서 탄성지지부(132b) 양측을 상측으로 밀어서 탄성지지부(132b)가 확장되게 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즉, 탄성지지부(132b)는 후술하는 충격감쇄장치(120)의 상하 신축에 대응하여 변형함으로써 바닥구조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상하 신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탄성지지부(132b)는 충격감쇄장치(120)에 상부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중을 분산 시킴으로써, 충격감쇄장치(120)의 설치 개수와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아울러, 탄성지지부(132b)는 단열완충재(131)를 지지함으로써, 단열완충재(131)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바닥구조의 평평도들 유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탄성지지부(132b)는 속이 빈 원기둥으로 폐합 형상일 수 있다. 원기둥 형상의 폐합된 탄성지지부(132b)는 탄력성과 우수한 지지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탄성지지부(132b)는 속이 빈 원기둥 형상이고, 탄성지지부(132b)의 내부에 긴밀히 삽입되는 속이 비거나 찬 원기둥 형상의 탄성부재(13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32c)는 고무, PVC, 염화비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32c)는 탄성지지부(132b)의 탄력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32c)는 충격감쇄장치(120)의 탄성력, 배치 간격 등으로 고려하여 탄성지지부(132b)의 탄성력을 조절하는데 매우 유리하다. 결과적으로 탄성부재(132c)를 적절히 선택 삽입함으로써, 정밀하고 정확한 바닥구조를 시공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탄성지지부(132b)는 속이 찬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특히, 고무 등의 탄력성 재질의 속이 찬 탄성지지부(132b)는 단열완충재(131)의 지지 능력이 우수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탄성지지부(132b)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상이면서 측면에 호형상의 오목부가 구비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사각기둥 형상인 경우 측면 방향으로 길이가 긴 바 형상일 수 있다.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상인 경우 지지판(132a) 하측에 격자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길이가 긴 바 형상인 경우 지지판(132a) 하측에 길게 설치될 수 있다. 탄성지지부(132b)의 측면에 구비되는 호형상의 오목부의 크기, 형상은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이나 충격, 충격감쇄장치(120)와의 관계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계될 수 있고, 미리 설계된 형상의 오목부가 구비된 탄성지지부(132b)를 지지판(132a) 하측에 부착, 용접 등의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다. 탄성지지부(132b)의 측면에 구비되는 호형상의 오목부는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이나 충격에 대해 완충작용을 잘 수행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례에 따른 단열완충재 지지구조(130')는, 슬래브(110) 상측에 설치된 단열완충재(131)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부 하중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것으로, 단열완충재(131), 탄성지지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완충재(131)는 난방열의 하부 전달을 방지하고, 상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소음이 하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열완충재(131)는 스티로폼, EPS, EVA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단열완충재(131)는 그 상부로 작업자의 이동 및 작업이 실시될 수 있으므로 쉽게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탄성지지부재(132')는 단열완충재(131) 상측에 설치되어 상부 하중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것으로, 지지판(132a), 탄성지지부(132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132a)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열완충재(131) 상면에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지지판(132a)은 목질판, PVC판, 철재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지지부재(132')의 지지판(132a)이 단열완충재(131) 상측에 접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작업자 등에 의한 단열완충재(13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넓은 지지면으로 인하여 상측으로부터의 하중에 대해 잘 대응할 수 있다.
탄성지지부(132b)는 지지판(132a)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부 하중 및 충격을 흡수하는 것으로, 철재, PVC, 염화비닐, 고무, EVA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지지부재(132')의 지지판(132a)과 탄성지지부(132b)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다, 따라서 상세한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생략된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가 참조될 수 있다.
지지판(132a)과 탄성지지부(132b)가 일체로 형성하거나, 별도로 준비한 후 용접, 접착 등으로 결합할 수 있다.
탄성지지부(132b)는 속이 빈 원기둥 형상이고, 상기 지지판(132a)과 탄성지지부(132b)가 접하는 부분이 개방된 형상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탄성지지부(132b)는 속이 빈 원기둥 형상이고, 상기 지지판(132a)과 탄성지지부(132b)가 접하는 부분 반대편 즉, 상측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탄성지지부재(132')는 충격감쇄장치(120)의 상하 신축에 대응하여 변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바닥구조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상하 신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탄성지지부(132b)는 속이 빈 원기둥 형상이거나 속이 찬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탄성지지부(132b)는 속이 빈 원기둥 형상이고, 탄성지지부(132b)의 내부에 긴밀히 삽입되는 속이 비거나 찬 원기둥 형상의 탄성부재(13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32c)는 고무, PVC, 염화비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4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지지부(132b) 상측에 구비되는 평판 형상의 제2지지판(132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탄성지지부(132b) 상측과 하측에 지지판이 구비된 형상일 수 있다.
제2지지판(132a') 역시 목질판, PVC판, 철재판 등으로 형성되어 하기에서 설명하는 바닥재(140)를 형성하는 마감몰탈층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132b)와 지지판(132a) 또는 탄성지지부(132b)와 지지판(132a) 및 제2지지판(132a')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로 준비되어 용접 결합 또는 접착 결합될 수 있다.
도 14a를 참조하면, 전술한 원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길이가 긴 바 형상이면서 측면에 호형상의 오목부가 구비된 탄성지지부(132b)는 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탄성지지부재(132')의 지지판(132a)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열완충재(131) 상면에 밀착되게 설치되고, 지지판(132a)의 상측에 측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탄성지지부(132b)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탄성지지부(132b)의 상측에 제2지지판(132a')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단열완충재 지지구조(130)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100)의 시공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설계 도면에 따라 슬래브(110) 상측에 서로 이격되게 격자 형상으로 충격감쇄장치(120)들이 배치될 수 있다. 충격감쇄장치(120)는 용기(121)와, 용기(121) 내부에 압축, 충진된 고무칩(122)들을 포함하고, 상기 충격감쇄장치(120)들의 용기(121)를 각각 덮는 캡(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감쇄장치(120)들 사이의 슬래브(110) 상측에 탄성지지부재(132)를 위치시키는데, 상기 슬래브(110) 상면에는 탄성지지부재(132)의 탄성지지부(132b)가 안착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지지부재(132)의 지지판(132a) 상측에 단열완충재(131)를 안착시키고, 상기 단열완충재(131) 상측에 바닥재(140)를 구성하는 난방관 배관, 난방관을 매설하는 마감몰탈층, 마감모탈층 상측을 덮는 마감판을 시공할 수 있다.
상기 단열완충재(131)와 충격감쇄장치(120) 상측에 비닐 또는 반사판이 전체적으로 포설된 후, 바닥재(140)를 구성하는 마감몰타층을 타설할 수 있다. 상기 바닥재(140)는 마감몰탈층(모르타르, 콘크리트) 외 목재 등일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캡(123)은 단면이 H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캡(123)의 평면 형상은 원형 또는 사각형 등으로 형성되고, 수직 단면은 H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H자 형상의 전체 높이에 해당되도록 단열완충재(131)를 설치하고, 단열완충재(131) 상측과 H자 형상의 상측 요홈에 마감몰탈층을 일체로 타설할 수 있다. 따라서 마감몰탈층은 충격감쇄장치(120) 상측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격감쇄장치(120) 상측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지지부를 구비하고 전체적으로 판 형상으로 형성된 마감몰탈층은 충격감쇄장치(120)에 좀 큰 지지력을 분담시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마감몰탈층은 충격감쇄장치(120)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전후좌우 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예로 본 발명 단열완충재 지지구조(130')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100)는 설계 도면에 따라 슬래브(110) 상측에 서로 이격되게 격자 형상으로 충격감쇄장치(120)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충격감쇄장치(120)들 사이의 슬래브(110) 상측에 단열완충재(131)를 안착시키고, 상기 단열완충재(131) 상측에 탄성지지부재(132')를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지지부재(132')의 지지판(132a)이 단열완충재(131)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32a)에 돌출된 탄성지지부(132b)에 지지판(132a)과 대응되는 별도의 판을 안착시키거나 지지판(132a)과 대응되는 제2지지판(132a')을 설치한 후 바닥재(140)를 구성하는 난방관 배관, 난방관이 매설되도록 마감몰탈층 타설, 마감모탈층 상측에 마감판을 덮음으로써 시공이 완료될 수 있다.
상기 마감몰탈층은 단열완충재 지지구조(130')와 충격감쇄장치(120) 상측에 비닐 또는 반사판이 전체적으로 포설된 후, 타설될 수도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캡(123)은 단면이 H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H자 형상의 전체 높이에 해당되도록 탄성지지부재(132')를 설치하고, 탄성지지부재(132') 상측과 H자 형상의 상측 요홈에 마감몰탈층을 일체로 타설할 수 있다. 따라서 마감몰탈층은 충격감쇄장치(120) 상측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격감쇄장치(120) 상측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지지부를 구비하고 전체적으로 판 형상으로 형성된 마감몰탈층은 충격감쇄장치(120)에 좀 큰 지지력을 분담시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마감몰탈층은 충격감쇄장치(120)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전후좌우 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시공된 바닥재(140) 상면에 물건이 정리되거나 바닥재(140) 상면으로 사람이 이동하면, 물건의 하중 또는 이동하는 사람의 충격 하중이 바닥재(140) 상면으로 전달되나, 충격감쇄장치(120)와 단열완충재 지지구조(130)(130')에 의해 감쇄되어 하부로의 전달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충격감쇄장치(120)로 전달되는 충격은 충격감쇄장치(120)의 고무칩(122)의 탄성 작용에 의해 완화되고, 단열완충재 지지구조(130)(130')로 전달되는 충격은 탄성지지부(132b) 또는 탄성지지부(132b)와 탄성부재(132c)에 의해 완화될 수 있다.
이때, 탄성지지부재의 지지판(132a)은 단열완충재(131) 저면 또는 슬래브(110) 상면에 밀착되거나 단열완충재(131) 저면과 슬래브(110) 상면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상부 하중이나 충격을 탄성지지부로 잘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지지부들은 상부 하중이나 충격에 의해 변형되면서 충격 및 소음을 흡수하여 슬래브(110)로 전달되는 충격 및 소음을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충격감쇄장치(120)와 탄성지지부재(132)에서 분산하여 흡수할 수 있으므로 슬래브(110)로 전달되는 충격 및 소음을 완벽하게 방지하고,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
110: 슬래브
120: 충격감쇄장치
121: 용기
122: 고무칩
123: 캡
130,130': 단열완충재 지지구조
131: 단열완충재
132,132': 탄성지지부재
132a: 지지판
132b: 탄성지지부
132c: 탄성부재
140: 바닥재

Claims (13)

  1. 슬래브 상측에 설치되는 단열완충재;
    상기 슬래브와 단열완충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단열완충재 상측의 상부 하중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단열완충재 하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평판 형상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원기둥이 누운 형상인 탄성지지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지지부는 속이 빈 원기둥 형상이고, 상기 지지판과 상기 탄성지지부가 접하는 부분이 개방된 형상이거나, 또는 상기 지지판과 탄성지지부가 접하는 부분 반대편이 개방된 형상이고,
    상기 지지판과 상기 탄성지지부가 접하는 부분이 개방된 형상인 경우 상기 탄성지지부 양측의 지지판에 하중을 가하여 탄성지지부가 확장되게 한 상태에서 속이 비거나 찬 원기둥 형상의 탄성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지지판과 탄성지지부가 접하는 부분 반대편이 개방된 형상인 경우 상기 탄성지지부 상측에서 지지판을 지지하면서 탄성지지부 양측을 상측으로 밀어서 탄성지지부가 확장되게 한 상태에서 속이 비거나 찬 원기둥 형상의 탄성부재를 삽입하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탄성지지부들 중에서 선택적으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완충재 지지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의 단열완충재 지지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에 있어서,
    슬래브 상측에 서로 이격되게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충격감쇄장치들;
    상기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충격감쇄장치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단열완충재 지지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격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충격감쇄장치들과 상기 충격감쇄장치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단열완충재 지지구조를 전체적으로 덮는 바닥재;를 더 포함하는 단열완충재 지지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충격감쇄장치는 용기와, 상기 용기 내부에 압축, 충진된 고무칩들을 포함하고, 상부 하중이나 충격에 대해 상기 용기와 고무칩들이 신축함에 의해 상부 하중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완충재 지지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단열완충재 지지구조 및 충격감쇄장치들 상측에 비닐이 전체적으로 포설된 후 상기 바닥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완충재 지지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충격감쇄장치들 각각을 덮는 캡을 더 포함하는 단열완충재 지지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
KR1020210085324A 2021-06-30 2021-06-30 단열완충재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 KR102528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324A KR102528986B1 (ko) 2021-06-30 2021-06-30 단열완충재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324A KR102528986B1 (ko) 2021-06-30 2021-06-30 단열완충재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3799A KR20230003799A (ko) 2023-01-06
KR102528986B1 true KR102528986B1 (ko) 2023-05-03

Family

ID=84924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324A KR102528986B1 (ko) 2021-06-30 2021-06-30 단열완충재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9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609Y1 (ko) * 2005-12-08 2006-03-14 이병헌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KR101290753B1 (ko) * 2012-09-27 2013-07-29 김학성 건축물 바닥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82434B1 (ko) * 2013-08-22 2015-01-14 주식회사 포스코 공진회피 시스템을 구비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069Y1 (ko) 2005-05-04 2005-09-29 (주)비엠아이건설 층간소음 흡수를 위한 차음재 구조
KR20080003310U (ko) * 2007-02-09 2008-08-13 이병헌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KR200448992Y1 (ko) * 2008-05-22 2010-06-09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구조스프링을 이용한 층간차음재
KR101586880B1 (ko) * 2013-07-11 2016-01-20 방윤배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
KR102272884B1 (ko) * 2019-11-19 2021-07-05 주식회사 민철내 충격 및 소음 방지 건식 바닥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609Y1 (ko) * 2005-12-08 2006-03-14 이병헌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KR101290753B1 (ko) * 2012-09-27 2013-07-29 김학성 건축물 바닥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82434B1 (ko) * 2013-08-22 2015-01-14 주식회사 포스코 공진회피 시스템을 구비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3799A (ko) 202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9793B2 (en) Earthquake force absorption system
US5433049A (en) Prefabricated building foundation element
JP2017515029A (ja) 建築物の床施工用コンクリートパネル及び衝撃吸収ユニット、並びにこれを含む建築物の床施工構造
KR20070014427A (ko) 이중바닥 방음장치
KR200440875Y1 (ko) 난방용 패널의 지주
KR102528986B1 (ko) 단열완충재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
KR20130094040A (ko) 난방배관용 및 층간소음 저감용 온돌패널
US3389521A (en) Concrete form structure for floors
KR102341255B1 (ko) 충격 흡수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층간소음 차단구조
KR101588669B1 (ko)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충격 흡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KR100980143B1 (ko) 건물 바닥용 완충층의 방수구조
JP2010047926A (ja) 既存建物の補強構造
KR102169525B1 (ko) 단열재 고정 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7064705B2 (ja) ウレタン断熱耐力壁
KR10204992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코너부 마감프레임 구조
KR200452855Y1 (ko) 지지판 연결부재를 이용한 인접한 완충층의 연결구조
JP3897648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建物の制震構造
JP5283990B2 (ja) 床の断熱構造
JP2516074B2 (ja) 建物の耐振破壊防止用上下連結装置
KR100929006B1 (ko) 콘크리트 전단외벽의 보강구조
CN218952547U (zh) 一种装配式减震楼板
KR102615547B1 (ko) 단열 조립체가 구비된 시스템 거푸집
KR102450887B1 (ko) 단열과 공기 단축을 고려한 단열재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조적 구조물의 건식 마감공법
JP2000204693A (ja) 耐震断熱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耐震断熱構造
KR100980141B1 (ko) 보강판을 이용한 건물 바닥용 완충층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