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880B1 -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 - Google Patents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880B1
KR101586880B1 KR1020130081653A KR20130081653A KR101586880B1 KR 101586880 B1 KR101586880 B1 KR 101586880B1 KR 1020130081653 A KR1020130081653 A KR 1020130081653A KR 20130081653 A KR20130081653 A KR 20130081653A KR 101586880 B1 KR101586880 B1 KR 101586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ing
noise
preventing
floor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1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7553A (ko
Inventor
방윤배
Original Assignee
방윤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윤배 filed Critical 방윤배
Priority to KR1020130081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880B1/ko
Publication of KR20150007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04F15/225Shock absorber memb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등과 같이 다층으로 건축하는 공동주택의 위층에서 발생하는 충격소음 등이 아래층에 그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는,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되며 양면 중 일면의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결속편(11)과 다른 일면의 중간에 상기 결속편을 끼워 결속하게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결속홈(12)을 구비하는 판재(10)와, 상기 판재의 하면에 상면을 부착하게 동일한 폭과 길이의 판 형태로 되게 탄성재로 형성되며 하면에 일정간격으로 격리되게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완충돌기(21)와 상기 완충돌기들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수용부(22)를 구비하는 완충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 {Flooring for inter layer noiseproof}
본 발명은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 등과 같이 다층으로 건축하는 공동주택의 위층에서 발생하는 충격소음 등이 아래층에 그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상복합아파트 또는 빌라 등과 같이 다층으로 건축하는 공동주택에서 각 층을 구획하는 슬래브가 위층에서는 바닥이 되고 아래층에서는 천장이 되는데, 이러한 슬래브가 위층에서 발생하는 경량충격소음 등을 효과적으로 완화 또는 흡수소멸시켜 그대로 아래층에 전달되지 않도록 시공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층간소음으로 인해 주거환경이 크게 훼손되었음은 물론 심한 경우에는 이웃 간에 분쟁이 유발되어 심각한 불상사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최근에는 사회문제로 대두 된 층간소음방지를 위해 슬래브를 시공할 때 두께는 210mm(단 기둥식 구조는 150mm) 이상으로 하고 물건이 떨어지는 소리에 해당하는 경량충격소음은 58dB 이하를 아이들이 쿵쿵 뛰는 소리에 해당하는 중량충격소음은 50dB 이하를 모두 만족해야 한다는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의 일부개정안이 발의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개정안은 새로 건축하는 공동주택부터 적용되는 것으로서 개정 전에 완공된 공동주택에는 적용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종래에는 특히 어린이가 있는 가정에서는 스티로폼이나 폴리프로필렌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나 폴리에틸렌 등을 발포시켜 만든 쿠션매트 등을 별도로 구입하여 슬래브의 바닥에 이미 시공되어 있는 원목이나 합성목재 등으로 된 바닥재 또는 장판 등의 위에 깔아서 충격소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쿠션매트는, 비록 쿠션이 있어 천천히 걸을 때 발생하는 경량충격소음 등은 어느 정도 흡수소멸시켜 주는 반면에 그 두께를 두껍게 하는데 한계가 따르므로 어린이들이 뛰어놀 때 등에 발생하는 경량충격소음은 효과적으로 흡수소멸시켜 주지 못하기 때문에 중량충격소음이 아래층에 전달되는 것은 방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쿠션매트는 별도로 구입하여 바닥에 시공되어 있는 바닥판이나 장판 등의 위에 깔아야 주는 것이므로 별도의 구입비용이 들게 되는 것임은 물론 발포제품이어서 어린이들의 장난에 의해서도 뜯겨지는 등 쉽게 손상되기 때문에 수명단축이 초래되어 자주 교체하여야 하므로 비용부담이 늘어나게 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완충 및 흡수소멸시켜 줌으로써 쾌적한 주거환경이 유지되도록 함은 물론 이에 따라 이웃 간에 분쟁이 유발되지 않도록 하는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로 쿠션매트를 구입하여 깔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부담이 크지 않으면서도 수명단축이 방지되어 자주 교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원목이나 합성목재 등으로 길게 형성되며 양면 중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는 결속편과 다른 일면에 상기 결속편을 끼워 결속하게 길이방향으로 함몰되는 결속홈을 구비하는 판재와, 탄성이 우수한 실리콘이나 고무 등으로 상기 판재의 하면에 부착하게 판 형태로 길게 형성되며 하면에 일정간격으로 길게 돌출되는 복수의 완충돌기와 상기 완충돌기들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수용부를 구비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슬래브의 바닥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충격소음이 발생하면 완충부재자체는 물론 그 하면에 구비된 완충돌기들과 각 수용부에 수용되는 공기에 의해 충격소음이 분산되면서 효과적으로 완충 및 흡수소멸되어 층간소음이 아래층에는 전달되지 않게 하는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목이나 합성목재 등으로 길게 형성되며 양면 중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는 결속편과 다른 일면에 상기 결속편을 끼워 결속하게 길이방향으로 함몰되는 결속홈과 하면에 일정간격으로 길게 함몰되는 복수의 고정홈을 구비하는 판재와, 탄성이 우수한 실리콘이나 고무 등으로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고정홈에 각각 삽입고정하여 하부가 하방으로 노출되게 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슬래브의 바닥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충격소음이 발생하면 완충부재들 자체는 물론 하방으로 노출된 하부와 각 하부들 사이의 각 수용부에 수용되는 공기에 의해 충격소음이 분산되면서 효과적으로 완충 및 흡수소멸되어 층간소음이 아래층에는 전달되지 않게 하는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목이나 합성목재 등으로 길게 형성되며 원목이나 합성목재 등으로 길게 형성되며 각 양면 중 일면의 하단과 상단에 하면과 상면이 서로 밀착하게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상·하편으로 형성되는 결속편과 하면과 상면에 서로 마주하게 일정간격으로 함몰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홈을 구비하는 상·하판부재로 되는 판재와, 탄성이 우수한 실리콘이나 고무 등으로 형성되며 각 상단부는 상기 상판부재 하면의 각 고정홈에 결합고정하고 각 하단부는 상기 하부판재 상면의 각 고정홈에 결합고정하여 상·하판부재의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개재되게 설치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슬래브의 바닥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충격소음이 발생하면 완충부재들 자체는 물론 완충부재들에 의해 상·하판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부에 수용되는 공기에 의해 충격소음이 분산되면서 효과적으로 완충 및 흡수소멸되어 층간소음이 아래층에는 전달되지 않게 하는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는,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흡수소멸시켜 주는 특징이 있으며, 이에 따라 위층에서 강한 층간소음이 발생하여도 아래층에는 그대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항상 쾌적한 주거환경이 유지되게 함은 물론 이웃 간에 층간소음으로 유발되던 분쟁도 해소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래브의 바닥에 직접 깔아 설치하는 것이므로 매트를 별도로 구입하여 이미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바닥판재의 상면에 깔던 것에 비하여 비용부담이 크지 않게 됨은 물론 쉽게 손상되지 않기 때문에 한번 설치하면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경제적인 장점도 있다.
도 1a는 본 발명 제1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분리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설치상태를 일부발췌확대하여 보인 정 단면도
도 1c는 도 1a의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일 설치 예 일부를 보인 평면도
도 2a는 본 발명 제2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분리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설치상태 일부를 발췌확대하여 보인 정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 제3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분리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설치상태 일부를 발췌확대하여 보인 정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 제4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분리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설치상태 일부를 발췌확대하여 보인 정 단면도
도 4c는 도 4a의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에 적용되는 완충부재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d는 도 4a의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에 적용되는 완충부재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 제5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분리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설치상태 일부를 발췌확대하여 보인 정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 제6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분리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설치상태 일부를 발췌확대하여 보인 정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 제7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분리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설치상태 일부를 발췌확대하여 보인 정 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 제8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분리 사시도
도 8b는 도 8a의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설치상태 일부를 발췌확대하여 보인 정 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 제9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분리 사시도
도 9b는 도 9a의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설치상태 일부를 발췌확대하여 보인 측 단면도
도 10a는 본 발명 제10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분리 사시도
도 10b는 도 1a의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설치상태 일부를 발췌확대하여 보인 정 단면도
도 11a는 본 발명 제11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분리 사시도
도 11b는 도 11a의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설치상태 일부를 발췌확대하여 보인 정 단면도
이하,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 제1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설치상태를 일부발췌확대하여 보인 정 단면도이고, 도 1c는 도 1a의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일 설치 예 일부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a~c의 본 발명 제1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는,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되는 판재(10)와, 상기 판재의 하면에 상면을 부착하게 동일한 폭과 길이의 판 형태로 형성되는 완충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판재(10)는 원목이나 합성목재 등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양면 중 일면의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결속편(11)과, 다른 일면의 중간에 상기 결속편을 끼워 결속하게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결속홈(12)을 구비하여 된다.
완충부재(20)는 탄성이 우수한 실리콘이나 고무 등의 탄성재로 형성되며, 하면에 일정간격으로 격리되게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완충돌기(21)와 상기 완충돌기들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수용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발명 제1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는, 하면에 완충부재(20)가 부착된 판재(10)를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도 1c의 일 예서와 같이 슬래브(1)의 바닥에 종횡으로 연속하여 이어지는 상태로 설치되게 직접 깔아 준다.
즉, 바닥재를 횡으로 이어지게 할 때에는 각 판재(10)의 결속편(11)은 횡으로 인접하는 다른 판재(10)의 결속홈(12)에 끼워 단단히 결속되게 설치하고, 종으로 이어지게 할 때에는 전·후단면(13)을 종으로 인접하는 다른 판재(10)들의 후·전단면(13)에 각각 밀착되게 설치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바닥재를 슬래브(1)의 바닥에 종횡으로 연속하여 이어지게 깔아 주면, 판재(10)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는 탄성체인 완충부재(20)의 각 완충돌기(21)들 하면이 바닥에 밀착되기 때문에 바닥재는 어느 방향으로도 밀리지 않게 안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하면, 각 완충돌기(21)에 의해 바닥재의 하면과 슬래브(1)의 바닥 사이가 격리되면서 상기 완충돌기들 사이의 각 수용부(22)에는 공기가 수용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판재(10)의 위에서 천천히 걸을 때 발생하는 정도의 경량충격소음은 물론이고 특히 어린이들이 뛰어놀 때 등에 발생하는 중량충격소음이 발생하면 완충부재(20)의 각 완충돌기(21)들에 의해 분산되면서 이들 자체의 탄성과 각 수용부(22)에 수용되어 있는 공기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완충 및 흡수소멸된다.
이에 따라, 위층에서 층간소음이 발생하여도 아래층에 그대로 전달되지 않게 되므로 쾌적한 주거환경을 훼손하거나 이웃 간의 분쟁 등이 유발되던 현상을 간단하고도 효과적으로 해소시켜 주는 특징이 있다.
또한,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쿠션매트를 별도로 구입하여 슬래브(1)의 바닥에 시공되어 있는 바닥판이나 장판 등의 위에 까는 것이 아니라 상기 슬래브의 바닥에 직접 깔아 설치하는 것임은 물론 수명단축이 초래되지 않고 비용부담이 크지 않아 매우 경제적이면서도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장점도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바닥재를 슬래브(1)의 바닥에 종횡으로 연속하여 이어지게 깔아 주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슬래브의 바닥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바닥재를 깔아서 각 완충돌기(21)의 하면이 바닥에 부착되게 할 수도 있다.
도 2a는 본 발명 제2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설치상태 일부를 발췌확대하여 보인 정 단면도이다.
도 2a,b의 본 발명 제2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는, 원목이나 합성목재 등으로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되며 양면 중 일면의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결속편(11)과 다른 일면의 중간에 상기 결속편을 끼워 결속하게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결속홈(12)을 구비하는 판재(10)의 하면에는 복수의 고정홈(14)을 일정간격으로 격리되게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하고, 탄성이 우수한 실리콘이나 고무 등의 탄성재로 제조되는 완충부재(20)는 상부를 상기 고정홈에 길이방향으로 결합하여 고정하는 원형의 봉 형태로 되게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홈(14)은 사각형태로 함몰형성되며, 그 좌우 간격을 완충부재(20)의 지름보다 짧게 한다.
따라서, 완충부재(20)의 상부를 고정홈(14)에 결합하면 상기 완충부재의 지름과 고정홈의 좌우 간격차이에 비례하여 완충부재의 상부가 압축결합되기 때문에 자체 탄성에 의한 복원력이 작용하여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단단히 결합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바닥재를 슬래브(1)의 바닥에 설치할 때에는, 상기의 제1실시 예에서와 같이 각 판재(10)의 결속편(11)은 횡으로 인접하는 다른 판재(10)의 결속홈(12)에 끼워 서로 단단히 결속되게 연결하여 횡으로 이어지게 설치하고, 각 전·후단면(13)은 종으로 인접하는 다른 판재(10)들의 후단면(13)과 전단면(13)에 각각 밀착되게 연결하여 횡으로 이어지게 설치하면 된다.
이렇게 바닥재를 슬래브(1)의 바닥에 종횡으로 연속하여 이어지게 깔아 주면, 판재(10)의 하면에 결합고정된 탄성체인 완충부재(20)들의 하면이 바닥에 밀착되어 안정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어느 방향으로도 밀리지 않게 고정된다.
그리고, 완충부재(20)들에 의해 바닥재의 하면과 슬래브(1)의 바닥 사이가 격리되면서 상기 완충부재들 사이에 형성된 각 수용부(22)에는 공기가 수용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판재(10)의 위에서 천천히 걸을 때 발생하는 정도의 경량충격소음은 물론이고 특히 어린이들이 뛰어놀 때 등에 발생하는 중량충격소음이 발생하면 완충부재(20)들에 의해 분산되면서 이들 자체의 탄성과 각 수용부(22)에 수용되어 있는 공기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완충 및 흡수소멸되기 때문에 층간소음이 아래층에 그대로 전달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3a는 본 발명 제3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설치상태 일부를 발췌확대하여 보인 정 단면도이다.
도 3a,b의 본 발명 제3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는, 원목이나 합성목재 등으로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되며 양면 중 일면의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결속편(11)과 다른 일면의 중간에 상기 결속편을 끼워 결속하게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결속홈(12)을 구비하는 판재(10)의 하면에는 복수의 고정홈(14)을 일정간격으로 격리되게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하고, 탄성이 우수한 실리콘이나 고무 등의 탄성재로 제조되는 완충부재(20)는 상기 고정홈에 길이방향으로 결합하는 상부(20a)는 사각형으로 되고 하부(20b)는 하단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게 연장되는 사각이나 5각 등의 다각형의 봉 형태로 되게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홈(14)은 사각형태로 함몰형성되며, 그 좌우 간격이 완충부재(20)의 상부 좌우 간격보다 좁게 된다.
따라서, 완충부재(20)의 상부(20a)를 고정홈(14)에 결합하면 상기 상부와 고정홈의 좌우 간격차이에 비례하여 완충부재의 상부가 압축결합되기 때문에 자체 탄성에 의한 복원력이 작용하여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단단히 결합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바닥재를 슬래브(1)의 바닥에 설치할 때에는, 상기의 제1,2실시 예에서와 같이 각 판재(10)의 결속편(11)은 횡으로 인접하는 다른 판재(10)의 결속홈(12)에 끼워 서로 단단히 결속되게 연결하여 횡으로 이어지게 설치하고, 각 전·후단면(13)은 종으로 인접하는 다른 판재(10)들의 후단면(13)과 전단면(13)에 각각 밀착되게 연결하여 횡으로 이어지게 설치하면 된다.
이렇게 바닥재를 슬래브(1)의 바닥에 종횡으로 연속하여 이어지게 깔아 주면, 판재(10)의 하면에 결합고정된 탄성체인 완충부재(20)들의 하면이 바닥에 밀착되어 안정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어느 방향으로도 밀리지 않게 고정된다.
그리고, 완충부재(20)들에 의해 바닥재의 하면과 슬래브(1)의 바닥 사이가 격리되면서 상기 완충부재들 사이에 형성된 각 수용부(22)에는 공기가 수용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판재(10)의 위에서 천천히 걸을 때 발생하는 정도의 경량충격소음은 물론이고 특히 어린이들이 뛰어놀 때 발생하는 정도의 중량충격소음 등이 발생하면 각 완충부재(20)들로 분산되면서 이들의 자체 탄성과 양면에 형성된 각 완충홈(23) 및 각 수용부(22)에 수용되어 있는 공기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완충 및 흡수소멸되기 때문에 층간소음이 아래층에 그대로 전달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4a는 본 발명 제4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설치상태 일부를 발췌확대하여 보인 정 단면도이다.
도 4a,b의 본 발명 제4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는, 원목이나 합성목재 등으로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되며 양면 중 일면의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결속편(11)과 다른 일면의 중간에 상기 결속편을 끼워 결속하게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결속홈(12)을 구비하는 판재(10)의 하면에는 복수의 고정홈(14)을 일정간격으로 격리되게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하고, 탄성이 우수한 실리콘이나 고무 등의 탄성재로 제조되는 완충부재(20)는 상부를 상기 고정홈에 길이방향으로 결합하여 고정하며 양면의 중간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함몰되는 완충홈(23)을 구비하는 사각형의 봉 형태로 되게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홈(14)은 사각형태로 함몰형성되며, 그 좌우 간격이 완충부재(20)의 상부 좌우 간격보다 좁게 된다.
따라서, 완충부재(20)의 상부를 고정홈(14)에 결합하면 상기 완충부재의 상부와 고정홈의 좌우 간격차이에 비례하여 완충부재의 상부가 압축결합되기 때문에 자체 탄성에 의한 복원력이 작용하여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단단히 고정되며, 이때 양면에 함몰형성된 완충홈(23)들은 상기 고정홈의 하단 직 하방으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바닥재를 슬래브(1)의 바닥에 설치할 때에는, 상기의 제1,2실시 예에서와 같이 각 판재(10)의 결속편(11)은 횡으로 인접하는 다른 판재(10)의 결속홈(12)에 끼워 서로 단단히 결속되게 연결하여 횡으로 이어지게 설치하고, 각 전·후단면(13)은 종으로 인접하는 다른 판재(10)들의 후단면(13)과 전단면(13)에 각각 밀착되게 연결하여 횡으로 이어지게 설치하면 된다.
이렇게 바닥재를 슬래브(1)의 바닥에 종횡으로 연속하여 이어지게 깔아 주면, 판재(10)의 하면에 결합고정된 탄성체인 완충부재(20)의 하면이 바닥에 밀착되기 때문에 바닥재는 어느 방향으로도 밀리지 않게 안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완충부재(20)들에 의해 바닥재의 하면과 슬래브(1)의 바닥 사이가 격리되면서 상기 완충부재들 사이에 형성되는 각 수용부(22)에는 공기가 수용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판재(10)의 위에서 천천히 걸을 때 발생하는 정도의 경량충격소음은 물론이고 어린이들이 뛰어놀 때 등에 발생하는 중량충격소음이 완충부재(20)들에 분산 전달되면 이들 자체의 탄성은 물론 양면 중간에 함몰형성된 완충홈(23)과 각 수용부(22)에 수용되어 있는 공기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완충 및 흡수소멸되기 때문에 층간소음이 아래층에 그대로 전달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의 제4실시 예에서는 완충홈(23)이 사각형의 봉 형태로 되는 완충부재(20)의 양면의 중간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함몰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완충부재가 원형은 물론 5각 등의 다각형의 봉 형태로 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c는 도 4a의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에 적용되는 완충부재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c에 따른 완충부재(20)는, 도 4a에서와 같이 상부를 고정홈(14)에 길이방향으로 결합하여 고정하며 양면의 중간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함몰되는 완충홈(23)을 구비하는 사각형의 봉 형태로 되게 탄성이 우수한 실리콘이나 고무 등의 탄성재로 제조되는 완충부재(20)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의 상·하부에 완충공(24)(24')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완충부재(20)의 상·하부에 완충공(24)(24')을 관통하게 형성하면, 상기 완충부재의 신축성이 크게 향상됨과 동시에 그 내부에는 공기가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층간소음을 더욱 신속하고도 효과적으로 흡수 소멸시켜 주게 된다.
한편, 상기 다른 예에 따른 완충공(24)(24')은 사각형의 봉 형태로 된 완충부재(20)에서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완충부재가 원형 또는 오각 등의 다각형으로 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도 4d는 도 4a의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에 적용되는 완충부재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d에 따른 완충부재(20)는, 도 4c에서와 같이 상부를 고정홈(14)에 길이방향으로 결합하여 고정하며 양면의 중간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함몰되는 완충홈(23)을 구비하는 사각형의 봉 형태로 되게 탄성이 우수한 실리콘이나 고무 등의 탄성재로 되며 상·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는 완충공(24)(24')을 구비하는 완충부재(20)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의 하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완충돌기(2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완충부재(20)의 하면에 복수의 완충돌기(21)를 부설하면, 자체 탄성에 의한 밀착력이 증가하여 바닥재의 설치상태가 더욱 안정되게 함은 물론 도 4c에 따른 완충부재에 비하여 층간소음의 완충 및 흡수소멸 효과를 대폭적으로 향상시켜 주는 장점도 있다.
한편, 상기 또 다른 예에 따른 완충돌기(21)는 사각형의 봉 형태로 된 완충부재(20)의 하면에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완충부재가 원형 또는 오각 등의 다각형으로 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도 5a는 본 발명 제5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설치상태 일부를 발췌확대하여 보인 정 단면도이다.
도 5a,b의 본 발명 제5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는, 원목이나 합성목재 등으로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되며 양면 중 일면의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결속편(11)과 다른 일면의 중간에 상기 결속편을 끼워 결속하게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결속홈(12)을 구비하는 판재(10)의 하면에 고정홈(14)을 종횡일정간격으로 격리되게 수직함몰형성하고, 탄성이 우수한 실리콘이나 고무 등의 탄성재로 제조되는 완충부재(20)는 상부를 상기 고정홈들에 각각 수직으로 끼워 결합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홈(14)과 완충부재(20)는 원형이나 사각형 또는 오각형 등의 다각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의 지름과 깊이는 완충부재의 지름과 길이보다 작고 된다.
따라서, 완충부재(20)의 상부를 고정홈(14)에 결합하면 이들 지름의 차이에 비례하여 완충부재의 상부가 압축결합되기 때문에 자체 탄성에 의한 복원력이 작용하여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단단히 결합고정됨과 동시에 깊이와 길이의 차이에 비례하여 완충부재의 하부는 고정홈의 하방으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바닥재는, 상기 제1실시 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각 판재(10)를 슬래브(1)의 바닥에 종횡으로 연속하여 이어지게 설치하면 된다.
이렇게 바닥재를 슬래브(1)의 바닥에 설치하면, 판재(10)의 하면에 결합고정된 탄성체인 완충부재(20)들의 하면이 바닥에 밀착되어 안정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어느 방향으로도 밀리지 않게 고정된다.
그리고, 완충부재(20)들에 의해 바닥재의 하면과 슬래브(1)의 바닥 사이가 격리되면서 상기 완충부재들 사이에 형성되는 각 수용부(22)에는 공기가 수용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판재(10)의 위에서 천천히 걸을 때 발생하는 정도의 경량충격소음은 물론이고 특히 어린이들이 뛰어놀 때 등에 발생하는 중량충격소음이 발생하면 완충부재(20)들에 의해 분산되면서 이들 자체의 탄성과 각 수용부(22)에 수용되어 있는 공기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완충 및 흡수소멸되기 때문에 층간소음이 아래층에 그대로 전달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6a는 본 발명 제6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설치상태 일부를 발췌확대하여 보인 정 단면도이다.
도 6a,b의 본 발명 제6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는, 원목이나 합성목재 등으로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되며 양면 중 일면의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결속편(11)과 다른 일면의 중간에 상기 결속편을 끼워 결속하게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결속홈(12)을 구비하는 판재(10)의 하면에는 테두리부(15)가 구비되게 고정홈(14)을 함몰형성하고, 탄성이 우수한 실리콘이나 고무 등의 탄성재로 제조되는 완충부재(20)는 상부를 상기 고정홈에 수직으로 끼워 결합하게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홈(14)과 완충부재(20)는 동일한 폭과 넓이의 직사각형태로 되며, 상기 고정홈의 깊이는 완충부재의 두께보다 얕게 하여 완충부재의 상부를 고정홈에 결합하면 이들의 두께와 깊이의 차이에 비례하여 완충부재의 하부가 고정홈의 하방으로 노출되게 한다.
그리고, 완충부재(20)의 상부를 고정홈(14)에 결합할 때 상기 완충부재의 상면이나 고정홈의 바닥면 중 어느 하나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부착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바닥재는, 상기 제1실시 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각 판재(10)를 슬래브(1)의 바닥에 종횡으로 연속하여 이어지게 설치하면 된다.
이렇게 바닥재를 슬래브(1)의 바닥에 설치하면, 판재(10)의 하면에 결합고정된 탄성체인 완충부재(20)의 하면이 바닥에 밀착되어 안정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어느 방향으로도 밀리지 않게 고정되어 그 자체의 탄성에 의해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완충 및 흡수소멸시켜 주어 아래층에 그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도 7a는 본 발명 제7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설치상태 일부를 발췌확대하여 보인 정 단면도이다.
도 7a,b의 본 발명 제7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는, 원목이나 합성목재 등으로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되며 양면 중 일면의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결속편(11)과 다른 일면의 중간에 상기 결속편을 끼워 결속하게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결속홈(12)을 구비하는 판재(10)의 하면에는 테두리부(15)가 구비되게 고정홈(14)을 함몰형성하고, 탄성이 우수한 실리콘이나 고무 등의 탄성재로 제조되는 완충부재(20)는 벌집 형태로 되며 상부를 상기 고정홈에 수직으로 끼워 결합하게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홈(14)과 완충부재(20)는 폭과 넓이가 동일하게 되며, 상기 고정홈의 깊이는 완충부재의 두께보다 얕게 하여 완충부재의 상부를 고정홈에 결합하면 이들의 두께와 깊이의 차이에 비례하여 완충부재의 하부가 고정홈의 하방으로 노출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바닥재는, 상기 제1실시 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각 판재(10)를 슬래브(1)의 바닥에 종횡으로 연속하여 이어지게 설치하면 된다.
이렇게 바닥재를 슬래브(1)의 바닥에 설치하면, 판재(10)의 하면에 결합고정된 탄성체인 완충부재(20)의 하면이 바닥에 밀착되어 안정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어느 방향으로도 밀리지 않게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완충부재가 벌집 형태로 되는 것이므로 그 자체의 탄성은 물론 무수한 수용부(22)에 수용되는 공기에 의해 층간소음이 효과적으로 완충 및 흡수소멸되어 아래층에 그대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도 8a는 본 발명 제8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설치상태 일부를 발췌확대하여 보인 정 단면도이다.
도 8a,b의 본 발명 제8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는, 원목이나 합성목재 등으로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되며 각 양면 중 일면의 하단과 상단에 하면과 상면이 서로 밀착하게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상·하편(11a)(11b)으로 형성되는 결속편(11)과 하면과 상면에 서로 마주하게 일정간격으로 함몰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홈(14)(14')을 각각 구비하는 상·하판부재(10a)(10b)로 되는 판재(10)와, 탄성이 우수한 실리콘이나 고무 등으로 길게 형성되며 각 상단부는 상기 상판부재 하면의 각 고정홈에 결합고정하고 각 하단부는 상기 하부판재 상면의 각 고정홈에 결합고정하여 상·하판부재의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개재되게 설치되는 완충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판재(10)는, 상·하편(11a)(11b)의 하면과 상면이 서로 밀착하게 상·하판부재(10a)(10b)를 합치면 상기 결속편을 제외한 상·하판부재의 하면과 상면 사이가 밀착된 결속편들의 두께에 비례하는 간격(t)으로 격리된다.
이러한 간격(t)에 의해 상·하판부재(10a)(10b)의 하면과 상면에 서로 마주하게 일정간격으로 함몰형성된 고정홈(14)(14')에 완충부재(20)들의 각 상·하단부를 결합고정하면 상기 완충부재들 사이에는 공기가 수용되는 수용부(22)가 형성됨과 동시에 우측 단부에는 결속편(11)을 삽입결속하는 결속홈(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하판부재(10a)(10b)를 합쳐서 판재(10)를 형성할 때에는 상·하편(11a)(11b)의 하면과 상면을 접착제로 부착고정하여 한 몸체로 되게 하여 상기 상·하판부재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결속편(11)을 결속홈(12)의 삽입결속할 때 이들의 결속면을 접착제로 부착고정하여 결속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바닥재는, 상기 제1실시 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각 판재(10)를 슬래브(1)의 바닥에 종횡으로 연속하여 이어지게 설치하면 된다.
이렇게 설치된 바닥재는, 판재(10)의 상면에서 충격소음이 발생하면 상·하판부재(10a)(10b)의 사이에 개재된 완충부재(20)들에 의해 분산되면서 그 자체의 탄성과 각 수용부(22)에 수용되어 있는 공기에 의해 충격소음이 효과적으로 완충 및 흡수소멸되어 아래층에 그대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도 9a는 본 발명 제9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의 설치상태 일부를 발췌확대하여 보인 측 단면도이다.
도 9a,b의 본 발명 제9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는, 원목이나 합성목재 등으로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되며 양면 중 일면의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결속편(11)과 다른 일면의 중간에 상기 결속편을 끼워 결속하게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결속홈(12)과 하면에 일정간격으로 격리되게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홈(14)을 구비하는 판재(10)와, 상기 고정홈에 상부를 결합고정하게 탄성이 우수한 실리콘이나 고무 등의 탄성재로 길게 제조되는 완충부재(20)로 구성되는 것은 상기 제2~4실시 예와 동일하다.
다만, 완충부재(20)를 전후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지름이 큰 복수의 완충부(20a)와 지름이 작으며 상기 완충부들 사이에 개재되어 전후의 완충부를 일체로 되게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20b)가 교대로 연속반복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완충부재(20)를 고정홈(14)에 결합할 때에는, 상기 제2~4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홈의 좌우 간격이 완충부(20a)의 지름보다 짧기 때문에 상기 완충부의 상부를 고정홈에 결합하면 이들의 지름과 좌우 간격차이에 비례하여 완충부의 상부가 압축결합되기 때문에 자체 탄성에 의한 복원력이 작용하여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단단히 결합고정된다.
이렇게 완충부재(20)를 각 고정홈(14)에 결합시킨 바닥재를 슬래브(1)의 바닥에 직접 종횡으로 이어지게 깔아 설치하면, 제1~8실시 예와 같이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완충 및 흡수소멸시켜 주게 된다.
그러나, 완충부재(20)를 교대로 연속반복하는 지름이 큰 완충부(20a)와 지름이 작은 연결부(20b)로 구성함으로써 재료의 소모량은 물론 생산원가도 크게 절감시켜 주는 매우 경제적인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0a,b의 본 발명 제10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는, 원목이나 합성목재 등으로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되며 양면 중 일면의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결속편(11)과 다른 일면의 중간에 상기 결속편을 끼워 결속하게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결속홈(12)과 하면에 일정간격으로 격리되게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홈(14)을 구비하는 판재(10)와, 상기 고정홈에 상부를 결합고정하게 탄성이 우수한 실리콘이나 고무 등의 탄성재로 길게 제조되는 완충부재(20)로 구성되는 것은 상기 제2~4실시 예와 동일하다.
다만, 완충부재(20)는 코일스프링형태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제2~4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부를 고정홈(14)에 길이방향으로 결합하면 압축결합되어 자체 탄성에 의한 복원력이 작용하여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단단히 결합고정됨과 동시에 하부는 하방으로 노출된다.
이러한 완충부재(20)를 각 고정홈(14)에 결합시킨 바닥재를 슬래브(1)의 바닥에 직접 종횡으로 이어지게 깔아 설치하면, 상기 완충부재의 자체 탄성과 완충부재들 사이의 수용부(22)에 수용되는 공기에 의해 층간소음이 효과적으로 완충 및 흡수소멸되는 것은 상기 제1~9실시 예와 같다.
도 11a,b의 본 발명 제11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는, 원목이나 합성목재 등으로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되며 양면 중 일면의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결속편(11)과 다른 일면의 중간에 상기 결속편을 끼워 결속하게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결속홈(12)과 하면에 일정간격으로 격리되게 수직으로 함몰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홈(14)을 구비하는 판재(10)와, 내 부식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되는 강선을 사용하여 스프링형태로 형성되며 상부를 상기 고정홈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완충부재(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완충부재(20)의 지름은 상부를 고정홈(14)에 강제로 끼워 고정할 수 있게 하는 크기로 되며, 나선의 개수는 2~3회 정도로 하되 나선의 상하 간격과 강선의 굵기는 원하는 탄성에 맞게 달리하면 된다.
이러한 완충부재(20)의 상부를 고정홈(14)에 수직으로 강제삽입하여 결합하면 임의로 분리되지않게 고정됨과 동시에 하부는 하방으로 노출되며, 이에 따라 상기 완충부재를 각 고정홈에 결합시킨 바닥재를 슬래브(1)의 바닥에 직접 종횡으로 이어지게 깔아 설치하면 상기 완충부재의 각 하단이 바닥에 밀착설치되므로, 층간소음이 발생하면 상기 완충부재의 자체 탄성과 완충부재들 사이의 수용부(22)에 수용되는 공기에 의해 효과적으로 완충 및 흡수소멸되는 것은 상기 제1~10실시 예와 같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제1~11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는, 층간소음을 효과적으로 완충 및 흡수소멸시켜 주기 때문에 항상 쾌적한 주거환경이 유지되게 하며, 이에 따라 이웃 간의 분쟁이나 심각한 불상사가 유발되지 않도록 하는 진 특징이 있다.
또한, 슬래브의 바닥에 직접 깔아 설치하는 것이므로 매트를 별도로 구입하여 이미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바닥판재의 상면에 깔던 것에 비하여 비용이 대폭적으로 절감됨과 동시에 매트에 비해 쉽게 손상되지 않기 때문에 한번 설치하면 장기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 매우 경제적인 이점도 있다.
10 : 판재 11 : 결속편
12 : 결속홈 14,14' : 고정홈
15 : 테두리부 10a,10b: 상·하판부재
11a,11b : 상·하편 20 : 완충부재
21 : 완충돌기 22 : 수용부
23 : 완충홈 24,24' : 완충공
20a : 완충부 20b : 연결부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되며 양면 중 일면의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결속편(11)과 다른 일면의 중간에 결속편(11)을 끼워 결속하게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되는 결속홈(12)을 구비하는 판재(10)와, 탄성재로 되며 상기 판재(10)에 결합하는 완충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판재(10)는, 양면 중 일면의 하단과 상단에 하면과 상면이 서로 밀착하게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상·하편(11a)(11b)으로 되는 결속편(11)과, 각 하면과 상면에 서로 마주하게 일정간격으로 함몰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홈(14)(14')을 각각 구비하는 상·하판부재(10a)(10b)로 구성되며;
    상기 완충부재(20)는, 각 상단부는 상기 상판부재(10a) 하면의 각 고정홈(14)에 결합고정하고 각 하단부는 상기 하부판재(10b) 상면의 각 고정홈(14')에 결합고정하여 상·하판부재(10a)(10b)의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개재되게 길게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30081653A 2013-07-11 2013-07-11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 KR101586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653A KR101586880B1 (ko) 2013-07-11 2013-07-11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653A KR101586880B1 (ko) 2013-07-11 2013-07-11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553A KR20150007553A (ko) 2015-01-21
KR101586880B1 true KR101586880B1 (ko) 2016-01-20

Family

ID=52570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653A KR101586880B1 (ko) 2013-07-11 2013-07-11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88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835B1 (ko) 2019-11-25 2020-12-23 김현진 이중 뜬바닥 구조를 갖는 층간소음방지용 바닥구조재
KR102194828B1 (ko) 2020-08-05 2020-12-23 김현진 방진구를 이용한 층간소음방지용 바닥구조재
KR20210106179A (ko) 2020-02-20 2021-08-30 김현진 다중 뜬바닥 구조를 갖는 층간소음방지용 바닥구조재
KR20220017802A (ko) 2020-08-05 2022-02-14 김현진 이중 뜬바닥 구조를 갖는 층간소음방지용 바닥구조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986B1 (ko) * 2021-06-30 2023-05-03 주식회사 민철내 단열완충재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바닥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9670A (ja) * 2008-02-05 2009-09-17 Noda Corp 床下地構造における支持脚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8937Y2 (ja) * 1992-07-24 1999-08-23 株式会社日平トヤマ 加工機カバーの扉装置
JPH10102752A (ja) * 1996-09-30 1998-04-21 Dantani Plywood Co Ltd 防音用床材
KR101208475B1 (ko) * 2010-08-31 2012-12-05 (주)대흥산업 건축용 마루 바닥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9670A (ja) * 2008-02-05 2009-09-17 Noda Corp 床下地構造における支持脚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835B1 (ko) 2019-11-25 2020-12-23 김현진 이중 뜬바닥 구조를 갖는 층간소음방지용 바닥구조재
KR20210106179A (ko) 2020-02-20 2021-08-30 김현진 다중 뜬바닥 구조를 갖는 층간소음방지용 바닥구조재
KR102194828B1 (ko) 2020-08-05 2020-12-23 김현진 방진구를 이용한 층간소음방지용 바닥구조재
KR20220017802A (ko) 2020-08-05 2022-02-14 김현진 이중 뜬바닥 구조를 갖는 층간소음방지용 바닥구조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553A (ko) 201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6880B1 (ko) 층간소음방지용 바닥재
KR100563097B1 (ko)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KR102064958B1 (ko) 층간소음 방지용 매트
KR101589525B1 (ko) 복층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JP3187449U (ja) 高床式フロアボード
KR101477783B1 (ko) 복합자재를 이용한 뜬바닥구조용 층간차음재
KR200386633Y1 (ko) 다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용 방음패드
KR100684686B1 (ko) 층간차음재
JP6118194B2 (ja) 防音床構造
JPH0332673Y2 (ko)
KR100683839B1 (ko) 공동주택 온돌바닥의 중량충격음 소음방지재
KR20150107192A (ko) 층간 소음 방지용 매트
KR20070032769A (ko) 탄성재를 이용한 바닥충격음 완충재
KR100744973B1 (ko) 건축물 조립식 바닥패널
KR200433766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0721850B1 (ko) 에어홀을 갖는 층간 차음시트
KR20180015395A (ko) 바닥충격음이 차단되는 바닥구조시스템
KR100756415B1 (ko) 단열 완충재 및 이를 이용한 바닥충격음 저감구조
KR100977168B1 (ko) 층간 소음 방지용 탄성 바닥재
JP3178630U (ja) 床材及び該床材を用いた床構造
KR101070306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1454900B1 (ko) 층간차음재
JPH055356A (ja) 防音緩衝材およびこれを有する木質系防音床材
KR100825889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200378945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저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