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910B1 -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괄 얼라인 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괄 얼라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910B1
KR102528910B1 KR1020220093232A KR20220093232A KR102528910B1 KR 102528910 B1 KR102528910 B1 KR 102528910B1 KR 1020220093232 A KR1020220093232 A KR 1020220093232A KR 20220093232 A KR20220093232 A KR 20220093232A KR 102528910 B1 KR102528910 B1 KR 102528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printed circuit
alignment
circuit boards
al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3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혜영
고형래
Original Assignee
고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혜영 filed Critical 고혜영
Priority to KR1020220093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9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910B1/ko
Priority to PCT/KR2023/010731 priority patent/WO202402529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1/00Devices for conveying sheets through 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3/00Indicating, counting, warning, control or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3/00Indicating, counting, warning, control or safety devices
    • B41F33/0009Central control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1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screen printing or stencil printing
    • H05K3/1233Methods or means for supplying the conductive material and for forcing it through the screen or stencil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괄 얼라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크린프린터의 인쇄부에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한 번의 인쇄작업으로 솔더 인쇄가 가능하도록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에 대응되는 복수의 인쇄패턴이 형성된 하나의 마스크가 상단에 구비되고, 마스크에 형성된 복수의 인쇄패턴 직하로 대응되도록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이 정렬되도록 마련된 스크린프린터의 얼라인 장치에 있어서, 하부 중앙으로 실린더 로드(122)가 상하작동되는 실린더(120)가 구비되고, 상부면에 가이드 샤프트(110)가 형성되며, 마스크 하측으로 형성된 판상의 베이스패널(100)과; 상기 베이스패널(100) 상부면에 가이드 샤프트(110)와 결합되고, 실린더 로드(122) 선단이 중앙측에 결합되어 실린더 로드(122)의 작동에 따라 상하 이동하며, 평면상 X축과 Y축으로 일정거리가 조정되도록 마련된 얼라인 구동부(200)와; 상기 얼라인 구동부(200) 상측에 결합되고, 인쇄회로기판(P)을 진공흡착하도록 마련된 진공흡착부(300)와;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상부면에 안치되고, 마스크 하측으로 투입되는 캐리어보트(400)와; 상기 얼라인 구동부(200)와의 간섭없이 캐리어보트(400)의 좌우폭에 대응되게 좌우 폭이 조절되도록 상기 베이스패널(100) 상부면에 결합되고,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안치된 캐리어보트(400)가 와이어밸트을 따라 투입되어 마스크 하측으로 위치되도록 전후 대칭되게 마련된 폭조절 컨베이어유닛(500)과;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캐리어보트(400)에 안치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에 대응되는 복수의 얼라인홀(602)이 형성되고, 캐리어보트와 일정간격 상향 이격된 상태로 마스크와 정렬되어 상기 폭조절 컨베이어유닛(500) 상부에 좌우 양단이 안치결합되는 얼라인 지그(60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괄 얼라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괄 얼라인 방법{Batch alignment device for screen printers and batch alignment method using this}
본 발명은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괄 얼라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에서 중형사이즈의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한 번의 스크린프린터를 통해 솔더 인쇄가 일괄 진행가능하도록 평면상의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의 X축과 Y축을 동시에 정밀하게 일괄 정렬되도록 함으로써, 한 번의 인쇄작업으로도 높은 인쇄품질을 가진 복수의 인쇄회로기판 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 향상과 전체 생산공정시간의 단축을 통한 대량 생산과 생산비 절감이 가능한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괄 얼라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산업의 발전과 함께 인쇄회로기판은 주로 표면실장(Surface Mount Technology; SMT) 공정에 의존해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표면실장 공정에는 인쇄회로기판에 특정 패턴을 솔더링 하기 위해 스크린프린터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에 인쇄하는 솔더링 전처리 작업으로서, 인쇄회로기판 상에 웨이퍼칩을 솔더링 할 수 있도록 인쇄회로기판을 투입하여 작업위치로 이송하는 사이드 컨베이어와, 마스크 위에 올린 납볼(솔더크림)을 밀어주는 스퀴즈와, 작업 플레이트 및 작업컨베이어와 얼라인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크 하부에 구비되는 스크린프린팅작업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스크린프린터는 투입측 사이드 컨베이어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을 투입하고 언라인장치를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 상의 솔더면들과 이에 대응되게 마스크에 천공된 납투입구들을 얼라인시키고, 이어서 작업컨베이어를 상승시킴과 아울러 마스크와 스퀴즈를 하강하여 마스크와 인쇄회로기판이 밀착되게 한 후, 스퀴즈를 전후방 이동시켜 마스크 위에 올려진 납볼이 마스크 상의 납투입구를 통과하게 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 상의 솔더면에 납볼을 배열하게 하고 이후 납볼이 배열된 인쇄회로기판이 중앙컨베이어로부터 배출측 사이드 컨베이어로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스크린프린트에 채용된 종래의 언라인장치는 리니어모터(linear motor, 直線型電動機)를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이 고정된 다단의 각 지그를 θ축 및 X축과 Y축으로 이송시켜 인쇄회로기판의 솔더면들을 마스크의 납투입구에 얼라인시켰던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스크린프린터에 채용된 언라인장치는 X축과 Y축 및 θ축을 얼라인해야 함에 따라 얼라인시간이 증가되고, 이로 인해 스크린프린터를 통한 인쇄공정시간이 증가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쇄대상물을 개별적으로 각각 얼라인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다수를 동시에 얼라인하고자 할 경우 다수의 얼라인장비가 구비되어야 함에 따라 설비비용의 증가와 생산성저하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다수의 인쇄대상물을 하나씩 개별적으로 X축과 Y축, θ축을 조정함에 따른 시간적 제약과 인쇄대상물 각각을 얼라인하기 위한 개별적 부가장비의 설치에 따른 설비비용의 증가 등으로 인해 생산효율 및 제품의 품질에도 나쁜 영향을 주는 경우가 빈번하다. 그리고, 인쇄대상물을 한꺼번에 다수를 인쇄하고자 할경우 개별적으로 작동되는 얼라인장치의 정밀성이 떨어져 인쇄회로기판상의 인쇄불량이 발생되고, 이는 곧 제품불량으로 이어져 불량률이 현저히 늘어나게 된다. 더욱이, 이로 인한 생산손실이 발생되어 결국에는 생산성이 저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개시되고 있는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51609호, 공개일자 2013년05월21일. 스크린프린터의 얼라인장치가 있다. 상기 얼라인장치는 X축과 Y축 이동장공이 형성된 메인테이블 상에 X축, Y축 정렬장공이 형성된 흡착고정테이블이 결합되며, 흡착고정테이블 상부면에 X축, Y축 걸림기준부재가 결합되고, X축, Y축 이동장공과 동일 수직선상으로 연통되는 X축, Y축 정렬장공에 X축, 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X축, Y축 정렬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을 통한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인쇄회로기판이 흡착고정테이블에 안치되고, 이후, X축, Y축 정렬을 위해서 X축 이동장공을 통해 X축 정렬장공으로 돌출결합된 X축 정렬수단의 X축 정렬샤프트가 인쇄회로기판의 X축 방향으로 흡착고정테이블상에서 X축 걸림기준부재측으로 밀어 X축 걸림기준부재에 대응되도록 정렬하고, 인쇄회로기판의 Y축 역시 동일한 방법으로 정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얼라인장치는 동시에 다수의 인쇄회로기판을 정렬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다음과 같은 다수의 문제점이 있다.
첫째,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인쇄하기 위한 얼라인 작동상에서 X축, Y축 정렬 정밀성이 떨어진다. 우선, X축 ,Y축 이동장공이 형성된 메인테이블을 제조시, 과정에서 X축과 Y축 이동장공을 연속 가공시, 이동장공간의 거리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한 정밀성이 떨어지게 되어 얼라인이 진행되더라도 이동장공간의 거리 오차에 대한 부분이 그대로 반영되어 실질적으로 제조의 어려움이 있고, 이로 인한 인쇄회로기판의 인쇄불량으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흡착고정테이블의 X축, Y축 정렬장공의 가공 역시 동일한 문제점과 더불어 이동장공과 정렬장공이 정확히 일치되어야만 X축, Y축 정렬샤프트의 X축, Y축 이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이 또한 인쇄회뢰기판의 얼라인 과정에서 정밀성이 떨어진다.
둘째, X축과 Y축 정렬을 위한 정렬샤프트를 포함한 정렬수단이 상당히 복잡한 구성으로 유지보수의 어려움이 있고, 얼라인 장치의 무게가 과도하게 증가되어 얼라인 속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과 더불어 이로 인한 인쇄회로기판의 솔더 인쇄공정의 생산속도가 저하되는 문제로 이어진다.
셋째, 내구성이 떨어지고, 이로 인한 얼라인 불량이 발생된다. 즉, 정렬수단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의 X축, Y축 이동시 X축, Y축 걸림기준부재에 접하는 충격에 의힌 피로강도증가 및 별도의 나사체결을 통한 결합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나사풀림으로 인한 오차 발생이 빈번하여 이 또한 인쇄불량으로 이어질 수 있다.
넷째, 부품의 수가 현저히 많고, 이에 따른 공정 증가와 더불어 유지보수의 어려움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대하여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의 X축과 Y축 정렬에 있어 얼라인 불량을 초래할 수 있는 베이스패널의 이동장공과 흡착고정테이블의 정렬장공의 정밀성과 일치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정렬수단의 정렬샤프트의 이동거리 제약과 더불어 정렬샤프트의 직경의 동일성 여부에 따라 이동거리에도 오차가 발생될 수 있어 X축과 Y축 정렬에 어려움이 따른다. 더욱이, 걸림기준부재의 설치 정밀성 역시 인쇄회로기판의 얼라인에 영향을 주게 되며, 특허 걸림기준부재의 나사체결을 통한 결합과정에서 단일 구성일 때에는 큰 영향이 없지만 복수로 구성시에는 동일한 위치에 고정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나사결합의 특성상 나사 피치나 체결 회전수에 따라서 오차가 발생될 수 있어 동시에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동일하게 정렬하는데에는 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앞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얼라인 장치의 구성을 위한 부품수가 증가하여 그에 따른 유지보수의 문제점과 더불어 전체 무게의 증가로 인해 작업자가 유지보수 및 교체과정에서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즉, 종래 얼라인장치는 정밀성을 요하면서 일치시켜야 할 부품수가 많고, 이로 인한 설치의 어려움과 더불어 전체적인 작동과정에서 정밀성과 동일성이 유기적으로 작용하기 어렵다는 가장 큰 문제점으로 인해 얼라인 정밀성이 떨어지게 되어 여전히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동시에 일괄 정렬하기에는 어려움이 크다.
따라서, 부품의 간소화와 더불어 동일성을 요하지 않더라도 인쇄회로기판의 X축과 Y축 정렬이 용이하고, X축과 Y축의 정렬과 동시에 마스크의 인쇄패턴과도 일치될 수 있어 신속한 인쇄회로기판의 얼라인과 솔더인쇄가 가능한 얼라인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51609호, 공개일자 2013년05월21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창출한 것으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동시에 일괄적으로 신속하게 얼라인이 가능하여 생산공정 및 시간의 단축과 생산성 향상 및 이를 통해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부품수의 간소화와 더불어 장치의 경량화가 가능한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괄 얼라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스크와 얼라인지그가 일치된 가운데 인쇄회로기판의 평면상의 X축과 Y축만을 얼라인 지그 내에서 정렬함에 따라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의 얼라인 완료와 동시에 신속하게 얼라인 지그와 마스크의 인쇄패턴에 일치된 고품질 인쇄가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에 동시에 가능한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괄 얼라인 방법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정형화된 인쇄회로기판 이외에 불규칙적인 형상의 인쇄회로기판이라고 하더라도 X축과 Y축만으로 동시 정렬이 가능하여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동시에 고품질 인쇄가 가능한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괄 얼라인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는 스크린프린터의 인쇄부에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한 번의 인쇄작업으로 솔더 인쇄가 가능하도록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에 대응되는 복수의 인쇄패턴이 형성된 하나의 마스크가 상단에 구비되고, 마스크에 형성된 복수의 인쇄패턴 직하로 대응되도록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이 정렬되도록 마련된 스크린프린터의 얼라인 장치에 있어서, 하부 중앙으로 실린더 로드(122)가 상하작동되는 실린더(120)가 구비되고, 상부면에 가이드 샤프트(110)가 형성되며, 마스크 하측으로 형성된 판상의 베이스패널(100)과; 상기 베이스패널(100) 상부면에 가이드 샤프트(110)와 결합되고, 실린더 로드(122) 선단이 중앙측에 결합되어 실린더 로드(122)의 작동에 따라 상하 이동하며, 평면상 X축과 Y축으로 일정거리가 조정되도록 마련된 얼라인 구동부(200)와; 상기 얼라인 구동부(200) 상측에 결합되고, 인쇄회로기판(P)을 진공흡착하도록 마련된 진공흡착부(300)와;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상부면에 안치되고, 마스크 하측으로 투입되는 캐리어보트(400)와; 상기 얼라인 구동부(200)와의 간섭없이 캐리어보트(400)의 좌우폭에 대응되게 좌우 폭이 조절되도록 상기 베이스패널(100) 상부면에 결합되고,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안치된 캐리어보트(400)가 와이어밸트을 따라 투입되어 마스크 하측으로 위치되도록 전후 대칭되게 마련된 폭조절 컨베이어유닛(500)과;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캐리어보트(400)에 안치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에 대응되는 복수의 얼라인홀(602)이 형성되고, 캐리어보트와 일정간격 상향 이격된 상태로 마스크와 정렬되어 상기 폭조절 컨베이어유닛(500) 상부에 좌우 양단이 안치결합되는 얼라인 지그(60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얼라인 구동부(200)는 상기 베이스패널(100)의 상부면에 형성된 가이드샤프트(110)와 축결합되는 가이드하우징(212)이 마련되고, 중앙으로 실린더 로드(122)의 상하 작동과 간섭이 없도록 베이스 로드통공(214)이 형성된 구동부 베이스 패널(210)과; 상기 구동부 베이스패널(210)의 상부면 전후측 중 어느 한 측에 결합되는 X축 얼라인모터(220)와; 상기 X축 얼라인모터(220)의 모터축과 결합되고, 얼라인모터의 구동에 따라 평면상 전후측에 해당되는 X축을 따라 전후이동하여 상기 캐리어보트(400)에 안치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동시에 X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조절하도록 하부면에 X축 레일부재(232)가 결합되며, 중앙으로 X축을 따라 좌우이동에 간섭이 없도록 실린더 로드(122)가 관통되는 X축 로드통공(234)이 형성된 판상의 X축 조정패널(230)과; 상기 X축 조정패널(230)의 상부면 좌우측 중 어느 한 측에 결합되는 Y축 얼라인모터(240)와; 상기 Y축 얼라인모터(240)의 모터축과 결합되고, 얼라인모터의 구동에 따라 평면상 좌우측에 해당되는 Y축을 따라 좌우이동하여 상기 캐리어보트(400)에 안치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을 동시에 Y축 방향으로 조절하도록 하부면에 Y축 레일부재(252)가 결합되며, 중앙으로 실린더 로드(122) 선단이 끼움관통되어 실린더 로드가 진공흡착부(300) 직하로 결합되어 진공흡착부가 승하강하도록 로드 끼움통공(254)이 형성된 판상의 Y축 조정패널(25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얼라인 구동부(200)의 베이스 로드통공(214)과 X축 로드통공(234)의 지름은 전후 Y축과 좌우 X축의 얼라인 조정을 위한 거리보다 크게 형성되되, X축 조정판넬(230)의 전후 이동간에 실린더 로드(122)가 베이스 로드통공(214) 내에서 간섭없이 이동가능하고, Y축 조정판넬(250)의 좌우 이동간에 실린더 로드(122)가 X축 로드통공(234) 내에서 간섭없이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진공흡착부(300)는 실린더 로드(122)의 선단이 결합되는 결합공(312)이 하부면 중앙으로 상기 Y축 조정패널(250)에 형성된 로드 끼움통공(254)과 동일수직선상에 형성되고, 상기 Y축 조정패널 상부면에 고정결합되어 실린더 로드의 작동에 따라 상기 얼라인구동부(200)와 함께 승하강 작동되는 버큠베이스(310)와; 상기 버큠베이스(310) 상부면에 상기 캐리어보트(400)에 안치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과 대응되도록 기립형성되고, 상부면에 요입형성된 진공부(322)가 형성되며, 진공부 중앙으로 진공흡입공(324)이 형성되고, 진공부 둘레면을 따라 인쇄회로기판(P) 바닥면의 둘레측에 최소로 접하는 접촉안치띠(326)가 형성된 버큠부재(32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캐리어보트(400)는 사각의 판체로 형성되고, 평면상에 진공흡착부(300)가 인쇄회로기판 바닥면을 흡착하여 얼라인 지그로 승강하도록 마련된 다수의 관통흡착부(410)와; 상기 관통흡착부(410)의 외측 둘레측에 인쇄회로기판이 X축과 Y축선상에서 유동을 제한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 마련된 한 쌍의 안치고정핀(42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폭조절 컨베이어유닛(500)은 상기 베이스패널(100) 상부면 전후로 대칭형성된 LM레일(510)과; 상기 LM레일(510)에 레일결합하여 좌우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이 폭이 좁혀지거나 넓혀지도록 레일이동하는 전후 대칭형성되는 레일블럭(520)과;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로 정역 나사산이 형성되고, 전후로 대칭형성된 LM레일(510) 사이에 전후대칭형성되는 폭조절 나선축(530)과; 전후 대칭형성되는 상기 폭조절 나선축(530)이 동시에 정역회전하도록 밸트와 풀리로 형성된 폭조절 구동전달부(540); 및 폭조절 구동모터(550)와; 상기 전후 레일블럭(520)에 전후단이 결합되고, 상기 폭조절 나선축(530)이 나사결합되어 좌우 대칭구비되며, 상기 폭조절 구동모터(550)와 폭조절 구동전달부(540)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폭조절 나선축(530)에 의해 좌우로 폭이 조절되도록 "┏┓"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안치된 캐리어보트(400)가 스크린프린터의 인쇄부측인 마스크 직하로 로딩되도록 와이어밸트가 마련되며, 일측으로 와이어밸트를 구동하는 와이어구동모터가 결합된 컨베이어 프레임(56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얼라인 지그(600)는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캐리어보트(400)에 안치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진공흡착부(300)에 의해 바닥면이 흡착된 상태로 실린더 로드의 작동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의 X축과 Y축 측면이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얼라인 구동부(200)의 X축과 Y축 이동작동에 의해 일괄 정렬되도록 마련된 복수의 얼라인홀(602)과; 상부면에 상기 마스크와 정렬하도록 피니셜 마크(60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얼라인 홀(602)의 내측면으로부터 인쇄회로기판(P)의 외측면까지의 거리가 0.25mm~0.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를 이용한 일괄 얼라인 방법은 스크린프린터의 인쇄부에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을 한 번의 인쇄작업으로 솔더 인쇄가 가능하도록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에 대응되는 복수의 인쇄패턴이 형성된 하나의 마스크가 상단에 구비되고, 마스크에 형성된 복수의 인쇄패턴 직하로 대응되도록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이 정렬되도록 마련된 스크린프린터의 얼라인 장치를 이용한 일괄 얼라인 방법에 있어서, 사각의 판체로 형성되고, 인쇄할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에 대응되는 수로 관통 형성된 관통흡착부(410) 둘레에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이 안치되면서 안치고정핀(420)에 의해 1차 정렬되도록 마련된 캐리어보트(400)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폭조절 컨베이어 유닛(500)의 컨베이어 프레임(560)을 폭조절하는 얼라인준비1단계(S100); 상기 폭조절 컨베이어유닛(500)의 캐리어보트의 폭에 대응되도록 폭조절된 컨베이어 프레임(560) 상단에 얼라인지그(600)를 안치고정하고, 마스크와 얼라인 지그(600)를 일치시켜 정렬하는 얼라인 준비2단계(S200)와;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얼라인 준비1단계를 통해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안치된 상태의 캐리어보트(400)가 마스크와 얼라인 지그가 정렬된 얼라인지그 하측으로 위치되는 캐리어보트 로딩단계(S300)와; 캐리어보트 로딩단계를 통해 얼라인 지그(600) 직하로 로딩된 캐리어보트(400) 하측으로 구비된 베이스패널(100)의 실린더 로드(122) 승강 작동으로 진공흡착부(300)가 캐리어보트에 안치된 인쇄회로기판 바닥에 근접하여 진공흡착하고,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동시에 캐리어보트 상측으로 일괄 분리하도록 마련된 얼라인 준비3단계(S400)와; 상기 얼라인 준비3단계를 통해 캐리어보트로부터 진공흡착부에 의해 일괄 분리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얼라인지그(600)의 얼라인 홀(602) 내로 동시 진입하도록 실린더 로드(122)가 상향으로 더 작동하여 얼라인지그(600)의 상부면과 얼라인 홀 내로 일괄 진입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의 상부면이 동일면상으로 위치되도록 마련된 얼라인 준비4단계(S500)와; 상기 얼라인 구동부(200)의 X축 조정패널(230)과 Y축 조정패널(250)이 미세 조정됨에 따라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얼라인 홀(602) 내에서 X축과 Y축선상으로 일정 거리만큼 조정되어 일괄 정렬되는 일괄 얼라인 단계(S600)와; 마스크에 형성된 인쇄패턴에 따라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상에 솔더 인쇄하도록 상기 일괄 얼라인 단계를 통해 X축과 Y축선상으로 일괄 정렬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을 얼라인 지그(600)의 상부면과 동일면상에서 진공흡착부(300)에 의해 유동없이 흡착고정하는 일괄 얼라인 마감단계(S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일괄 얼라인 단계(S600)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진공흡착부(300)에 의해 얼라인 지그(600)의 얼라인 홀(602) 내에 각각의 인쇄회로기판(P)이 진입위치되어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의 상부면과 얼라인 지그(600)의 상부면이 동일면을 이루도록 위치되되, 구동부 베이스 패널(210)에 레일결합되는 X축 조정패널(230)이 X축 얼라인모터(220)의 미세 구동에 따라 진공흡착부(300)가 X축상으로 미세구동하고,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진공흡착부(300)의 미세구동에 따라 얼라인 홀(602) 내에서 동시에 전후의 X축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하여 얼라인 홀(602) 내의 Y축선상의 내측면에 일괄 정렬되어 일치되는 X축 일괄 정렬단계(S610)와; 축 조정패널(230)에 레일결합되는 Y축 조정패널(250)이 Y축 얼라인모터(240)의 미세 구동에 따라 진공흡착부가 Y축상으로 미세구동하고,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진공흡착부(300)의 미세구동에 따라 얼라인 홀(602) 내에서 동시에 좌우의 Y축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하여 얼라인 홀(602) 내의 X축선상의 내측면에 일괄 정렬되어 일치되는 Y축 일괄 정렬단계(S620)와; X축, Y축 일괄 정렬 단계를 통해 X, Y축선상의 얼라인 홀(602) 내측면에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동시에 일괄 정렬되어 일치된 후, 얼라인 홀의 중앙으로 진공흡착부(300)가 이동하여 마스크와 얼라인지그가 마킹정렬된 위치로 인쇄회로기판이 이동하도록 X축, Y축 조정패널(230,250)이 구동하여 솔더인쇄가 가능한 얼라인 지그(600)의 얼라인 홀(602) 중심에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 각각의 중앙과 일치되는 위치로 정렬되는 마감정렬단계(S63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얼라인 홀(602)의 내측면에서 얼라인 홀(602)의 상부면과 인쇄회로기판의 상부면이 일치되는 위치의 얼라인 홀(602) 내로 진입된 인쇄회로기판(P) 외측면까지의 거리가 0.25mm~0.5mm 로 형성되고, 상기 진공흡착판(300)에 흡착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얼라인 홀(602) 내에서 X축과 Y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일괄 정렬하기 위한 일정거리는 0.5mm~1.0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하나의 얼라인 지그에 복수 형성된 얼라인 홀 내에서 동시에 일괄적으로 신속하게 얼라인이 가능하여 부품의 간소화, 장치의 경량화가 가능하고, 생산공정 및 시간의 단축과 생산성 향상 및 이를 통해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마스크와 얼라인지그가 일치된 가운데 인쇄회로기판의 평면상의 X축과 Y축만을 얼라인 지그 내에서 정렬함에 따라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의 얼라인 완료와 동시에 신속하게 얼라인 지그와 마스크의 인쇄패턴에 일치된 고품질 인쇄가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에 동시에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형화된 인쇄회로기판 이외에 불규칙적인 형상의 인쇄회로기판이라고 하더라도 얼라인 지그의 얼라인 홀상에서 X축과 Y축만으로 동시 정렬이 가능하여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동시에 고품질 인쇄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의 좌측면에서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의 우측면에서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의 베이스패널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의 얼라인 구동수단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의 얼라인 구동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의 얼라인 구동수단의 평면 상태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의 진공흡착수단의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의 캐리어보트의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의 얼라인지그의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의 폭조절 컨베이어유닛의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의 얼라인 구동수단에 의한 작동관계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의 진공흡착부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의 얼라인 지그에 진입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고 1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의 얼라인 작동관계를 도시한 평면도 및 요부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의 다른 형태의 인쇄회로기판의 얼라인 작동 상태 요부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를 이용한 얼라인 방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를 이용한 얼라인 방법의 세부 얼라인 작동방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수의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괄 얼라인 방법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의 좌측면에서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의 우측면에서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의 베이스패널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의 얼라인 구동수단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의 얼라인 구동수단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의 얼라인 구동수단의 평면 상태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의 진공흡착수단의 요부확대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의 캐리어보트의 요부확대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의 얼라인지그의 요부확대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의 폭조절 컨베이어유닛의 요부확대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의 얼라인 구동수단에 의한 작동관계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의 진공흡착부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의 얼라인 지그에 진입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고, 도 14 내지 고 1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의 얼라인 작동관계를 도시한 평면도 및 요부 평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의 다른 형태의 인쇄회로기판의 얼라인 작동 상태 요부 평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를 이용한 얼라인 방법을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를 이용한 얼라인 방법의 세부 얼라인 작동방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는 스크린프린터의 인쇄부에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한 번의 인쇄작업으로 솔더 인쇄가 가능하도록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에 대응되는 복수의 인쇄패턴이 형성된 하나의 마스크가 상단에 구비되고, 마스크에 형성된 복수의 인쇄패턴 직하로 대응되도록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이 정렬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부품의 간소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면서 신속한 얼라인이 가능하여 빠른 솔더인쇄가 가능하도록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패널(100), 얼라인 구동부(200), 진공흡착부(300), 캐리어보트(400), 폭조절 컨베이어유닛(500), 얼라인 지그(60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패널(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프린터의 솔더인쇄를 위한 마스크 하측으로 위치되는 것으로, 하부 중앙으로 실린더 로드(122)가 상하작동되는 실린더(120)가 구비되고, 상부면에 가이드 샤프트(110)가 형성되며, 판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판상의 상기 베이스패널(100) 중앙에는 실린더가 결합되기 용이하도록 직사각형상의 결합공(부호생략)이 관통형성된다. 또한, 가이드샤프트(110)는 후술되는 얼라인 구동부(200)가 수직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수직선상을 벗어낮 않고 곧게 수직상승이 가능하도록 안내되도록 적어도 2개 이상 마련된다.
상기 얼라인 구동부(200)는 후술되는 캐리어보트에 1차 정렬되어 안치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동시에 얼라인 지그로 수직 상승한 후,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이 동시에 X축과 Y축을 일괄 조정하여 정렬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패널(100) 상부면에 가이드 샤프트(110)와 결합되고, 실린더 로드(122) 선단이 중앙측에 결합되어 실린더 로드(122)의 작동에 따라 상하 이동하며, 평면상 X축과 Y축으로 일정거리가 조정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얼라인 구동부(200)는 구동부 베이스 패널(210), X축 얼라인모터(220), X축 조정패널(230), Y축 얼라인모터(240), Y축 조정패널(250)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 베이스패널(210)은 후술되는 X축 조정패널(230)이 X축 방향으로 레일이동되도록 받침역할과 베이스패널에 구비된 실린더 로드(122)의 수직 상승작동에 대하여 수직선상으로 후술되는 X축 조정패널, Y축 조정패널, 진공흡착부와 함께 수직상승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상기 베이스패널(100)의 상부면에 형성된 가이드샤프트(110)와 축결합되는 가이드하우징(212)이 마련되고, 중앙으로 실린더 로드(122)의 상하 작동과 간섭이 없도록 베이스 로드통공(21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 베이스 패널(210)은 사각의 판체로 형성되고, 중앙에 형성된 베이스 로드통공(214)으로는 실린더 로드(122)가 관통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베이스 로드통공(214)은 후술되는 X축, Y축 조정패널의 X축과 Y축으로의 얼라인 조정거리에 실린더 로드(122)가 베이스로드통공(214) 내에서 자유롭게 위치가 이동될 수 있도록 직격이 확장된 원형 내지는 사각 형상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로드통공(214)은 X축, Y축 조정패널의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의 이동거리에 간섭이 없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X축 얼라인모터(220)는 후술되는 X축 조정패널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얼라인 지그 상에서 X축 방향으로 전체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전술한 상기 구동부 베이스패널(210)의 상부면 전후측 중 어느 한 측에 결합된다. 즉, 상기 X축 얼라인모터(220)의 바디는 구동부 베이스패널(210)에 결합되고, 회전력에 의해 직선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된 모터축 부분은 후술되는 X축 조정패널에 결합되어 정역 회전력에 의한 직선왕복운동에 따라 X축 방향으로의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X축 조정패널(230)은 전술한 X축 얼라인모터의 구동에 따라 X축 방향에서 전후진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X축 얼라인모터(220)의 모터축과 결합되고, 얼라인모터의 구동에 따라 평면상 전후측에 해당되는 X축을 따라 전후이동하여 후술되는 캐리어보트(400)에 안치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동시에 X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X축 조정패널은 하부면에 X축 방향으로 수평선상에서 전후이동하도록 X축 레일부재(232)가 결합되며, 중앙으로 X축을 따라 좌우이동에 간섭이 없도록 실린더 로드(122)가 관통되는 X축 로드통공(23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X축 로드통공(234) 역시 앞서 상술한 베이스 로드통공과 동일한 작용을 하도록 직경이 확대 형성되어 X축 조정패널과 Y축 조정패널이 X축과 Y축 방향으로 이동간에 실린더 로드가 로드통공 내주연에 걸림되는 간섭이 없도록 직경이 확장된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X 얼라인모터(240)는 후술되는 Y축 조정패널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얼라인 지그 상에서 Y축 방향으로 전체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전술한 상기 X축 조정패널(230)의 상부면 좌우측 중 어느 한 측에 결합된다. 즉, 상기 Y축 얼라인모터(220)의 바디는 X축 조정패널(230)에 결합되고, 회전력에 의해 직선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된 모터축 부분은 후술되는 Y축 조정패널에 결합되어 정역 회전력에 의한 직선왕복운동에 따라 Y축 방향으로의 좌우에서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Y축 조정패널(250)은 전술한 Y축 얼라인모터의 구동에 따라 Y축 방향에서 전후진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Y축 얼라인모터(240)의 모터축과 결합되고, 얼라인모터의 구동에 따라 평면상 좌우측에 해당되는 Y축을 따라 좌우이동하여 후술되는 캐리어보트(400)에 안치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을 동시에 Y축 방향으로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Y축 조정패널은 하부면에 Y축 레일부재(252)가 결합되며, 중앙으로 실린더 로드(122) 선단이 끼움관통되어 실린더 로드가 후술되는 진공흡착부(300) 직하로 결합되어 진공흡착부가 승하강하도록 로드 끼움통공(25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로드 끼움통공(254)은 실린더 로드(122)가 진공흡착부에 결합되어 승하강이 가능한 상태로 직경이 실린더 로드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구성됨에 따라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의 X축과 Y축 방향으로의 얼라인 과정에서 진공흡착부와 상기 Y축 조정패널(250)은 함께 X축과 Y축 방향으로 함께 이동된다. 즉, 앞서 상술한 베이스 로드통공은 X축 방향으로의 얼라인 조정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X축 로드통공은 Y축 방향의 얼라인 조정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즉, 상기 얼라인 구동부(200)의 베이스 로드통공(214)과 X축 로드통공(234)의 지름은 전후 Y축과 좌우 X축의 얼라인 조정을 위한 거리보다 크게 형성되어야만 X축 조정패널과 Y축 조정패널의 레일이동 작동과정에서 실린더 로드도 함께 이동되기 대문에 이에 대한 간섭을 없애기 위한 것으로, X축 조정판넬(230)의 전후 이동간에 실린더 로드(122)가 베이스 로드통공(214) 내에서 간섭없이 이동가능하고, Y축 조정판넬(250)의 좌우 이동간에 실린더 로드(122)가 X축 로드통공(234) 내에서 간섭없이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진공흡착부(300)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얼라인 구동부의 Y축 조정패널 상부면 중앙으로 결합되고,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얼라인 지그의 얼라인 홀 내부에서 X축과 Y축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얼라인 구동부(200) 상측 즉, Y축 고정패널 상부면에 결합되고,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을 진공흡착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은 상기 진공흡착부(300)는 버큠베이스(310), 버큠베이스(3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버큠베이스(310)는 통상의 컴프레셔와 연결되어 상단에 결합되는 버큠부재의 진공부 내를 진공상태로 유지하여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흡착하도록 마련되면서 동시에 얼라인 구동부의 X축과 Y축 이동에 따라 함께 조정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실린더 로드(122)의 선단이 결합되는 결합공(312)이 하부면 중앙으로 상기 Y축 조정패널(250)에 형성된 로드 끼움통공(254)과 동일수직선상에 형성되고, 상기 Y축 조정패널 상부면에 고정결합되어 실린더 로드의 작동에 따라 상기 얼라인구동부(200)와 함께 승하강 작동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버큠부재(320)는 는 전술한 버큠베이스(310)로부터 진공흡입되도록 연결형성되도록 상기 버큠베이스(310) 상부면에 캐리어보트(400)에 안치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과 대응되도록 기립형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의 갯수에 대응되도록 구성하면서, 하나의 단위체 상부면에는 요입형성된 진공부(322)가 형성되며, 진공부 중앙으로 진공흡입공(324)이 형성되고, 진공부 둘레면을 따라 인쇄회로기판(P) 바닥면의 둘레측에 최소로 접하는 접촉안치띠(326)가 형성된다.
즉, 상기 버큠부재(320)는 캐리어보트 직하로 위치된 상태에서 실린더의 실린더로드(122) 작동에 의해 캐리어보트 하측에서 상측으로 관통하면서 언라인 지그측으로 수직상승하고, 이때, 인쇄회로기판의 바닥면이 접촉안치띠(326)에 접하면서 진공부(322)가 밀폐되고, 밀폐된 진공부(322)의 잔류공기를 진공흡입공(324)를 통해 흡입하여 진공부 내부가 진공상태를 이루도록 하여 캐리어보트에 1차정렬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의 한 번의 승강작동으로 얼라인 지그측에 근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캐리어보트(400)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1차 정렬하면서 스크린프린터의 인쇄부로 후술되는 폭조절 컨베이어유닛(500) 컨베이어 프레임의 와이어 레일 상으로 로딩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상부면에 안치되고, 마스크 하측의 컨베이어 프레임 상에 투입(로딩)된다. 이에 따른 상기 캐리어보트(400)는 관통 흡착부(410), 안치고정핀(420)이 형성된 사각의 판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관통흡착부(410)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에 대응되는 갯수로 구성되고, 사각의 판체로 형성된 평면상에 사각으로 관통되되, 전술한 진공흡착부(300)의 각각의 개별단위체로 구성된 버큠부재가 관통흡착부를 통과하면서 관통흡착부 상부에 안치된 인쇄회로기판의 바닥면을 흡착하여 언라인 지그의 얼라인 홀까지 수직상승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흡착부의 크기는 인쇄회로기판보다는 작고, 진공흡착부의 버큠부재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상기 안치고정핀(420)은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이 1차 얼라인 조정이 되면서 안치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흡착부 둘레측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관통흡착부(410)의 외측 둘레측에 인쇄회로기판이 X축과 Y축선상에서 유동을 제한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안치고정핀이 사각의 대각선 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 마련된다. 즉, 상기 안치고정핀(420)은 사각의 인쇄회로기판의 변과 변이 만나는 모서리측의 양측 변측으로 관통흡착부 둘레 외측에 형성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의 대각선 방향의 모서리측에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측이 위치됨에 따라 X축과 Y축 방향의 인쇄회로기판이 1차 정렬된다. 즉, 인쇄회로기판이 캐리어보트의 로딩과정에서 X축과 Y축 방향 중 특정 방향으로 과도하게 삐뚤어지거나 진공흡착부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의 바닥면에 접하면서 진공상태로 흡착하는 과정에서 인쇄회로기판이 비뚤어지지 않고 1차 정렬된 상태 그대로 수직상승이 되도록 구성된다.
즉, 안치고정핀(420)은 인쇄회로기판의 1차 얼라인 작동과 더불어 수직상승시 인쇄회로기판의 X축과 Y축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유동하거나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최소 단위로 사각의 인쇄회로기판의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기립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상에는 인쇄회로기판의 4변에 각각 형성되면서 4개의 모서리에 형성되게 함으로써, 후술되는 얼라인 지그에 의한 X축과 Y축의 조정 이전에 캐리어보트를 통한 인쇄회로기판의 1차 정렬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폭조절 컨베이어유닛(500)은 전술한 캐리어보트의 투입과 마스크의 얼라인 지그와의 정렬과정에서 꼭 필요한 것으로, 캐리어보트의 크기에 적합하 폭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결과적으로는 얼라인 조작과정에서 X축과 Y축의 얼라인을 위한 이동거리가 최소화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폭조절 컨베이어유닛(500)은 전술한 상기 얼라인 구동부(200)와의 간섭없이 캐리어보트(400)의 좌우폭에 대응되게 좌우 폭이 조절되도록 상기 베이스패널(100) 상부면에 결합되고,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안치된 캐리어보트(400)가 와이어밸트을 따라 투입되어 마스크 하측으로 위치되도록 전후 대칭되게 마련된다.
이에 상기 폭조절 컨베이어유닛(500)은 일반적인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에 솔더 인쇄를 위해 스크린프린터 투입부로부터 마스크 직하로 로딩하는 것과 동일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동시에 수용하는 캐리어보트와 캐리어보트에 수용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동시에 얼라인하기 위한 마스크 직하로 로딩하도록 구성된다. 즉, 일반적인 인쇄회로기판은 단일체로 투입되어 인쇄되기 때문에 별도의 캐리어보트가 필요없고, 얼라인지그 역시 필요없이 인쇄회로기판의 마킹점과 마스크의 마킹점을 일치시킴으로써, 마스크 패턴의 솔더인쇄가 가능하지만 본원 발명과 같은 단일체로 투입되지 못하는 사이즈의 인쇄회로기판이나 한 번의 인쇄작업으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에 인쇄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마스크의 마킹점과 일치하지 않고, 마스크의 마킹점과 일치된 얼라인 지그 내에서 X축과 Y축으로 정렬하여 인쇄가 동시에 이루어져 생산효율을 높이고, 생산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폭조절 컨베이어 유닛(500)은 통상의 인쇄회로기판의 투입구조와 크게 다르지 않아 간략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구성과의 연결관계에 대하여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상기 폭조절 컨베이어 유닛(5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LM레일(510), 레일블럭(520), 폭조절 나선축(530), 폭조절 구동전달부(540), 폭조절 구동모터(550), 컨베이어 프레임(560)으로 구성된다.
상기 LM레일(510)은 이동간의 거리에 있어 정밀성이 요할 때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패널(100) 상부면 전후로 대칭형성된다. 이는 캐리어보트가 후술되는 컨베이어 프레임의 전후로 투입되기 때문에 캐리어보트의 좌우 폭에 대응되어야만 안정적으로 캐리어보트가 마스크 직하로 위치가 가능하다.
상기 레일블럭(520)은 전술한 LM레일(510)에 레일결합하여 좌우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이 폭이 좁혀지거나 넓혀지도록 레일이동하도록 전후 대칭형성된다. 한편, 폭조절 나선축(530)은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로 정역 나사산이 형성되고, 전후로 대칭형성된 LM레일(510) 사이에 전후대칭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폭조절 나선축(530)은 절반은 정회전 나사산이 형성되고, 나머지 절반은 역회전 나사산이 형성되어 폭조절 구동전달부의 구동력에 의해 후술되는 컨베이어 프레임이 중심측으로 좁혀졌다 넓어졌다로 폭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폭의 조절은 전후 대칭형성되는 상기 폭조절 나선축(530)이 동시에 정역회전하도록 밸트와 풀리로 형성된 폭조절 구동전달부(540); 및 폭조절 구동모터(550)에 의해 전후대칭된 폭조절 나선축을 정역회전하게 되고, 상기 폭조절 나선축에 나사결합된 컨베이어 프레임(560)어 좌우로 대칭되어 폭을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560)은 상기 전후 레일블럭(520)에 전후단이 결합되고, 상기 폭조절 나선축(530)이 나사결합되어 좌우 대칭구비되며, 상기 폭조절 구동모터(550)와 폭조절 구동전달부(540)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폭조절 나선축(530)에 의해 좌우로 폭이 조절되도록 "┏┓"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안치된 캐리어보트(400)가 스크린프린터의 인쇄부측인 마스크 직하로 로딩되도록 와이어밸트가 마련되며, 일측으로 와이어밸트를 구동하는 와이어구동모터(도시없음)가 결합된다.
여기서, 컨베이어 프레임(560)의 폭조절은 캐리어보트의 좌우 폭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즉, 마스크와 얼라인 지그가 변경되면 캐리어보트 역시 그 크기가 변경되기 때문에 이에 따른 폭을 조절하여 솔더 인쇄가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얼라인 지그(600)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캐리어보트(400)에 안치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에 대응되는 복수의 얼라인홀(602)이 형성되고, 캐리어보트와 일정간격 상향 이격된 상태로 마스크와 정렬되어 상기 폭조절 컨베이어유닛(500) 상부에 좌우 양단이 안치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얼라인 지그(6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라인 홀(602), 피니셜마크(604)로 구성된다.
상기 얼라인 홀(602)은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진공흡착부에 의해 흡착된 상태에서 동시에 일괄적으로 X축과 Y축이 조정되어 정렬하기 위한 기준자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캐리어보트(400)에 안치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에 대응되도록 사각의 판상에 복수 형성되고,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진공흡착부(300)에 의해 바닥면이 흡착된 상태로 실린더 로드의 작동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의 X축과 Y축 측면이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얼라인 구동부(200)의 X축과 Y축 이동작동에 의해 일괄 정렬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피니셜마크(604)는 캐리어보트에 결합되는 크기의 인쇄회로기판이 아닌 통상의 일반적으로 솔더인쇄를 하는 단일체의 인쇄회로기판에 마킹점과 마스크의 마킹점을 일치시켜 인쇄하도록 구성된 것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얼라인 지그 상부면에 상기 마스크와 정렬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피니셜 마크(604)는 마킹점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여 얼라인 지그를 마스크와 일치시킴으로써, 마스크의 인쇄패턴 부분과 인쇄를 위해 얼라인 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의 위치가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높은 품질의 솔더 인쇄가 가능하고, 불량률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얼라인 홀(602)의 내측면으로부터 인쇄회로기판(P)의 외측면까지의 거리가 0.25mm~0.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캐리어보트에 인쇄회로기판이 안치되면서 실질적으로는 1차 정렬이 되지만 캐리어보트에서 진공흡착부가 인쇄회로기판을 흡착하는 과정에서 일부가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 , X축과 Y축 방향으로 미세하게 비뚤어지는 문제가 발생되고, 이로 인한 인쇄불량은 미세하게 변경된 위치에 비하여 상당한 인쇄불량으로 발생될 수 있다. 즉, 인쇄회로기판이 진공흡착부에 의해 얼라인 지그의 얼라인 홀로 수직상승 이전 진공흡착부에 의해 흡착하는 과정에서 위치가 변화되기 때문에 이를 정렬하여 인쇄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미세 위치 변화는 인쇄회로기판의 외측과 얼라인 홀 내측까지의 거리가 0.25mm~0.5mm가 가장 중심에 위치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인쇄회로기판의 위치가 변화될 수 있는 거리는 얼라인 홀과 인쇄회로기판과의 최적 이격거리의 ×2 내에서 고품질 인쇄를 위한 얼라인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의 작동관계를 간략히 살펴보면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캐리어보트(400)의 관통흡착부(410)에 인쇄회로기판을 안치시킨다. 이때, 안치고정핀에 의해 관통흡착부(410) 상부에서 인쇄회로기판은 1차 정렬이 된 상태로 캐리어보트(400)에 안치된다.
다음으로, 캐리어보트(400)의 폭에 대하여 폭조절 컨베이어 유닛(500)의 좌우로 대칭형성된 컨베이어 프레임(560)에 캐리어보트(400)가 로딩될 수 있도록 좌우 폭을 조절한다. 이때, 좌우폭 조절은 오른 나사산과 왼나사산이 양측으로 형성된 폭조절나선축(530)을 폭조절 구동모터(550)의 작동에 의해 작동되는 폭조절 구동전달부(540)가 회전시켜 좌우 대칭형성된 컨베이어 프레임(560)이 결합된 레일블럭(520)을 LM레일(510)을 따라 레일이동하여 캐리어보트(400)의 좌우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조절하다.
다음으로, 캐리어보트(400)가 컨베이어 프레임(560)으로 로딩되어 마스크 하측으로 위치되고, 좌우 대칭형성된 컨베이어 프레임(560) 상단에 얼라인 지그(600)좌우측이 안치되고, 얼라인 지그(600)에 형성된 얼라인 홀(602) 직하로 캐리어보트(400)의 관통흡착부(410)가 위치됨에 따라 관통흡착부 상부에 안치된 인쇄회로기판 역시 얼라인 홀(602) 직하로 위치된다. 여기서, 얼라인 지그는 컨베이어 프레임에 안치되면서 마스크의 마킹점에 피니셜마크(604)가 일치되도록 하여 안치고정하게 됨으로써, 얼라인 홀(602) 내에서의 인쇄회로기판의 X축과 Y축 정렬만으로도 얼라인이 완료되어 고품질의 인쇄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실린더 로드(122)는 X축 조정패널(230)을 거쳐 Y축 조정패널(250) 상부면에 결합되는 진공흡착부(300)의 버큠베이스(310) 하부 중앙의 결합공(312)에 선단이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패널(100) 하부 중앙으로 결합되는 실린더(120)의 실린더로드(122)가 작동하면 진공흡착부(300)는 캐리어보트의 관통흡착부(410)에 각각 대응되는 버큠부재(320)가 각각 대응되도록 수직상승한다. 이후, 관통흡착부(410) 측으로 수직상승한 버큠부재(320)의 접촉안치띠(326) 부분이 인쇄회로기판의 바닥면측 둘레를 따라 선접촉하고, 이후 진공작동에 따라 진공부(322) 내의 진공흡입공(324)을 통해 진공부 내부 공기가 배출되어 진공상태로 인쇄회로기판의 바닥면을 흡착하여 고정한 상태로 계속해서 수직상승한다.
다음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해서 수직상승하는 인쇄회로기판은 얼라인 지그(600)의 안치홀(602)로 진입하고, 최종적으로 얼라인 지그(600)의 상부면과 인쇄회로기판(P)의 상부면이 동일면상에 위치되는 부분까지 수직상승하여 실린더 작동을 멈추게 된다.
다음으로,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이 동시에 일괄적으로 얼라인 지그의 얼라인 홀 내에서 X축과 Y축이 동시에 정렬되도록 X축, Y축 조정패널을 X축, Y축 얼라인모터의 구동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이 얼라인 홀 내에서 X축과 Y축 방향으로 정렬하면서 얼라인을 조정한다.
여기서, X축과 Y축 정렬방법은 얼라인 홀(602) 내로 위치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은 캐리어보트에서 1차 정렬 되었지만 진공흡착부의 흡착과정에서 미세하게 변경되게 된다. 따라서, 위치변경에 따른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의 정렬을 얼라인 홀(602) 내에서 진행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의 둘레 면으로부터 얼라인 홀의 내측면까지 거리가 0.5mm가 최적일 때, 가장 크게 변경된 인쇄회로기판의 경우에는 X축을 기준으로 볼 때, 좌측에서 0.5mm 우측에서 0.5mm가 최적 정렬된 거리가 되고, 위치가 변경되면 좌측과 우측의 거리를 합한 최대 1.0mm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인쇄회로기판 중 어느 하나 내지는 그 이상이 X축 방향에서 위치가 변경된다고 가정하면 인쇄회로기판 중 어느 하나는 우측으로 0.3mm가 변경되었다고 하면 좌측의 거리는 0.7mm가 이격된 상태이고, 좌측으로 0.2mm가 변경되었다면 우측 거리는 0.8mm가 이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전체를 동일하게 조정하기 위해서는 X축 조정패널(230)을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측을 기준으로 하여 X축 방향으로 최대 1.0mm까지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1.0mm로 이동하면 우측으로 0.3mm가 변경된 인쇄회로기판이나 좌측으로 0.2mm가 변경된 인쇄회로기판 모두 X축 방향의 좌우측 중 어느 한측의 Y축 방향의 얼라인 홀(602) 내측면에 일치되게 된다. 물론, 정위치에 놓인 나머지 인쇄회로기판 역시 동시에 얼라인 홀(602)의 Y축 방향의 내측면에 일치되게 되어 동시에 X축 방향으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 전체가 일괄 정렬되어 얼라인 조정이 X축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복합적으로 Y축 방향까지도 변경된 부분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Y축 조정패널(250)을 이동시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 전체가 동시에 얼라인 홀 X축 내측면에 맞닿아 일치되게 됨에 따라 X축과 Y축이 얼라인 조정되게 된다.
여기서, X축과 Y축 조정으로 마스크 패턴과 동일하게 얼라인 지그가 일치된 상태라면 X축과 Y축 조정만으로도 얼라인 조정이 완료되어 솔더인쇄가 가능하지만 얼라인지그와 마스크의 일치는 인쇄패턴이 중심에 가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얼라인 홀의 0.5mm로 좌우 및 전후로 이격된 상태가 마스크 인쇄패턴과 일치되는 지점이라면 X축과 Y축 얼라인 조정이 완료된 후, X축 조정패널과 Y축 조정패널을 각가 0.5mm씩 이동함으로써, 최종 얼라인 조정이 완료되고, 이를 통해 인쇄불량 없는 고품질의 솔더인쇄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개별적으로 수행하거나 할 필요가 없고, 종래 개시된 기술과 같이 샤프트에 의해 X축과 Y축으로 밀어 맞추는 구성의 문제점인 부품수의 증가와 무게증가 및 조립불량으로 인한 얼라인 불량, 유지보수의 어려움 및 인쇄회로기판의 크기나 형상에 범용적 사용이 불가능한 점을 개선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를 이용한 일괄 얼라인 방법을 살펴보면 스크린프린터의 인쇄부에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을 한 번의 인쇄작업으로 솔더 인쇄가 가능하도록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에 대응되는 복수의 인쇄패턴이 형성된 하나의 마스크가 상단에 구비되고, 마스크에 형성된 복수의 인쇄패턴 직하로 대응되도록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이 정렬되도록 마련된 스크린프린터의 얼라인 장치를 이용한 일괄 얼라인 방법으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라인준비1단계(S100), 얼라인준비2단계(S200), 캐리어보트 로딩단계(S300), 얼라인준비3단계(S400), ,얼라인준비4단계(S500), 일괄얼라인단계(S600), 일괄 얼라인 마감단계(S700)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얼라인준비1단계(S1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각의 판체로 형성되고, 인쇄할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에 대응되는 수로 관통 형성된 관통흡착부(410) 둘레에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이 안치되면서 안치고정핀(420)에 의해 1차 정렬되도록 마련된 캐리어보트(400)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폭조절 컨베이어 유닛(500)의 컨베이어 프레임(560)을 폭조절한다. 여기서, 안치고정핀(420)은 관통흡착부(410) 상부에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측 2곳의 면상에 접하여 인쇄회로기판의 X축과 Y축이 정렬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1차 정렬이 가능하고, 캐리어보트에 안치시킴으로써,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처럼 로딩할 수 있다.
상기 얼라인준비2단계(S200)는
상기 폭조절 컨베이어유닛(500)의 캐리어보트의 폭에 대응되도록 폭조절된 컨베이어 프레임(560) 상단에 얼라인지그(600)를 안치고정하고, 마스크와 얼라인 지그(600)를 일치시켜 정렬한다. 여기서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이 안치된 캐리어보트에 의해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처럼 투입은 먼저하거나 후에 하도록 된 상태에서 얼라인지그를 정렬하되, 진공흡착부-캐리어보트-얼라인지그-마스크가 동일 수직선상에 최대한 위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리어보트 로딩단계(S300)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얼라인 준비1단계를 통해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안치된 상태의 캐리어보트(400)가 마스크와 얼라인 지그가 정렬된 얼라인지그 하측으로 위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캐리어보트를 먼저 로딩하여 진공흡착부의 동일 수직선상 상측으로 위치시켜도 동일한 결과를 가진다.
상기 단계까지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후 단계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으로,
상기 얼라인준비3단계(S400)는
캐리어보트 로딩단계를 통해 얼라인 지그(600) 직하로 로딩되거나 캐리어보트가 로딩된 후, 얼라인 지그가 캐리어보트 상측으로 위치되면 캐리어보트(400) 하측으로 구비된 베이스패널(100)의 실린더 로드(122) 승강 작동으로 진공흡착부(300)가 캐리어보트에 안치된 인쇄회로기판 바닥에 근접하여 진공흡착하고,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동시에 캐리어보트 상측으로 일괄 분리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1차 정렬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 중 일부 내지는 전체가 1차 정렬된 위치로부터 위치가 변경되기 때문에 얼라인 지그를 통한 일괄적인 얼라인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얼라인준비4단계(S500)는
상기 얼라인 준비3단계를 통해 캐리어보트로부터 진공흡착부에 의해 일괄 분리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얼라인지그(600)의 얼라인 홀(602) 내로 동시 진입하도록 실린더 로드(122)가 상향으로 더 작동하여 얼라인지그(600)의 상부면과 얼라인 홀 내로 일괄 진입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의 상부면이 동일면상으로 위치되도록 마련된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라인 지그 상부면과 인쇄회로기판이 동일면상에 위치되면 마스크가 하강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솔더 인쇄를 수행하게 되는 데 이때, 인쇄회로기판이 얼라인 지그의 얼라인 홀보다 아래쪽에 위치되면 솔더인쇄 불량이 발생되고, 얼라인 지그의 상부면보다 높게 되면 마스크로 솔더인쇄시 인쇄회로기판간에 굴곡이 발생되어 이 또한 인쇄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다음 단계부터는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일괄 얼라인 단계(S600)는
상기 얼라인 구동부(200)의 X축 조정패널(230)과 Y축 조정패널(250)이 미세 조정됨에 따라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얼라인 홀(602) 내에서 X축과 Y축선상으로 일정 거리만큼 조정되어 일괄 정렬한다. 즉,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얼라인 지그의 얼라인 홀(602) 내측면과 인쇄회로기판의 둘레면과의 최적 거리가 설계상에서 설정된 상태에서 진공흡착부를 통한 흡착과정에서 미세한 위치변화가 발생되게 되고, 이를 얼라인 홀 내에서 X축과 Y축으로 일괄 조정함으로써, 정확한 마스크의 인쇄패턴상에서 인쇄회로기판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일괄 얼라인 단계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진공흡착부(300)에 의해 얼라인 지그(600)의 얼라인 홀(602) 내에 각각의 인쇄회로기판(P)이 진입위치되어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의 상부면과 얼라인 지그(600)의 상부면이 동일면을 이루도록 위치되되,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일괄 정렬단계(S610), Y축 일괄 정렬단계(S620), 마감정렬단계(S630)의 세부 단계를 가진다.
상기 X축 일괄 정렬단계(S610)는
구동부 베이스 패널(210)에 레일결합되는 X축 조정패널(230)이 X축 얼라인모터(220)의 미세 구동에 따라 진공흡착부(300)가 X축상으로 미세구동하고,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진공흡착부(300)의 미세구동에 따라 얼라인 홀(602) 내에서 동시에 전후의 X축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하여 얼라인 홀(602) 내의 Y축선상의 내측면에 일괄 정렬하여 일치하도록 한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의 둘레 면으로부터 얼라인 홀의 내측면까지 거리가 0.5mm가 최적일 때, 가장 크게 변경된 인쇄회로기판의 경우에는 X축을 기준으로 볼 때, 좌측에서 0.5mm 우측에서 0.5mm가 최적 정렬된 거리가 되고, 위치가 변경되면 좌측과 우측의 거리를 합한 최대 1.0mm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인쇄회로기판 중 어느 하나 내지는 그 이상이 X축 방향에서 위치가 변경된다고 가정하면 인쇄회로기판 중 어느 하나는 우측으로 0.3mm가 변경되었다고 하면 좌측의 거리는 0.7mm가 이격된 상태이고, 좌측으로 0.2mm가 변경되었다면 우측 거리는 0.8mm가 이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전체를 동일하게 조정하기 위해서는 X축 조정패널(230)을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측을 기준으로 하여 X축 방향으로 최대 1.0mm까지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1.0mm로 이동하면 우측으로 0.3mm가 변경된 인쇄회로기판이나 좌측으로 0.2mm가 변경된 인쇄회로기판 모두 X축 방향의 좌우측 중 어느 한측의 Y축 방향의 얼라인 홀(602) 내측면에 일치되게 된다. 물론, 정위치에 놓인 나머지 인쇄회로기판 역시 동시에 얼라인 홀(602)의 Y축 방향의 내측면에 일치되게 되어 동시에 X축 방향으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 전체가 일괄 정렬되어 얼라인 조정이 X축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Y축 일괄 정렬단계(S620)는
X축 조정패널(230)에 레일결합되는 Y축 조정패널(250)이 Y축 얼라인모터(240)의 미세 구동에 따라 진공흡착부가 Y축상으로 미세구동하고,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진공흡착부(300)의 미세구동에 따라 얼라인 홀(602) 내에서 동시에 좌우의 Y축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하여 얼라인 홀(602) 내의 X축선상의 내측면에 일괄 정렬되어 일치된다.
이에 대한 예도 앞서 X축 일괄 정렬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쇄회로기판의 둘레 면으로부터 얼라인 홀의 내측면까지 거리가 0.5mm가 최적일 때, 가장 크게 변경된 인쇄회로기판의 경우에는 Y축을 기준으로 볼 때, 전방측에서 0.5mm 후방측에서 0.5mm가 최적 정렬된 거리가 되고, 위치가 변경되면 전후의 거리를 합한 최대 1.0mm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인쇄회로기판 중 어느 하나 내지는 그 이상이 Y축 방향에서 위치가 변경된다고 가정하면 인쇄회로기판 중 어느 하나는 전방측으로 0.5mm가 변경되었다고 하면 후방측의 거리는 1.0mm로 최대 이격된 상태이고, 후방측으로 0.1mm가 변경되었다면 전방측 거리는 0.9mm가 이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전체를 동일하게 조정하기 위해서는 Y축 조정패널(250)을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측을 기준으로 하여 X축 방향으로 최대 1.0mm까지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1.0mm로 이동하면 전방측으로 0.5mm가 변경된 인쇄회로기판이나 후방측으로 0.1mm가 변경된 인쇄회로기판 모두 Y축 방향의 전후측 중 어느 한측의 X축 방향의 얼라인 홀(602) 내측면에 일치되게 된다. 물론, 정위치에 놓인 나머지 인쇄회로기판 역시 동시에 얼라인 홀(602)의 X축 방향의 내측면에 일치되게 되어 동시에 Y축 방향으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 전체가 일괄 정렬되어 얼라인 조정이 Y축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X축과 Y축을 얼라인 홀의 내측면을 기준으로 조정함에 따라 복수의 인쇄회로기판 전체가 일괄 정렬되어 얼라인 조정 시간의 단축을 통한 생산성 향상과 생산시간 단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마감정렬단계(S630)는
X축, Y축 일괄 정렬 단계를 통해 X, Y축선상의 얼라인 홀(602) 내측면에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동시에 일괄 정렬되어 일치된 후, 얼라인 홀의 중앙으로 진공흡착부(300)가 이동하여 마스크와 얼라인지그가 마킹정렬된 위치로 인쇄회로기판이 이동하도록 X축, Y축 조정패널(230,250)이 구동하여 솔더인쇄가 가능한 얼라인 지그(600)의 얼라인 홀(602) 중심에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 각각의 중앙과 일치되는 위치로 정렬하는 것이다.
즉, 앞서 X축과 Y축으로 얼라인 조정된 이후, 얼라인홀과 인쇄회로기판과의 최적 이격거리가 0.5mm를 기준으로 설계됨에 따라 X축과 Y축으로 얼라인 구동부를 각각 0.5mm 씩 조정하게 되면 솔더 인쇄의 중심에 해당되는 위치로 이동하여 정밀한 솔더인쇄가 가능하고, 인쇄불량 없이 고품질의 솔더인쇄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일괄 얼라인 마감단계(S700)는
마스크에 형성된 인쇄패턴에 따라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상에 솔더 인쇄하도록 상기 일괄 얼라인 단계를 통해 X축과 Y축선상으로 일괄 정렬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을 얼라인 지그(600)의 상부면과 동일면상에서 진공흡착부(300)에 의해 유동없이 흡착고정한다. 즉, 마스크가 근접하여 스퀴지에 의해 솔더크림에 의해 인쇄하는 과정에서 인쇄회로기판이 스퀴지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밀리지 않도록 완전 고정한다. 또한, 얼라인 지그의 상부면과 동일면상에서 인쇄회로기판 상부면이 위치되도록 고정함으로써, 얼라인 지그의 상부면과 인쇄회로기판 상부면의 높낮이 변화로 인한 인쇄불량을 방지하도록 하여 최종 솔더인쇄를 통해 완료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괄 얼라인 방법을 통해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동시에 일괄적으로 X축과 Y축 정렬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 생산성 향상과 더블어 전체 생산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을 인쇄하는 것과 같은 인쇄정밀성과 고품질 인쇄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각형상의 인쇄회로기판을 도시하였으나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라인 홀 내에서 땅콩 형상, 원형이나 특수한 장비에 요구되는 불규칙한 형상의 인쇄회로기판 역시 얼라인 홀과 인쇄회로기판과의 최적이격거리 설계를 통해 X축과 Y축 정렬이 가능하다. 즉, 기존 샤프트에 의한 방식은 인쇄회로기판의 어느 한면을 밀어 정렬하기 때문에 곡면이 있는 인쇄회로기판의 경우 면 정렬을 위한 설정이 어렵고, 어느 한 면을 설정하더라도 Y축 방향의 곡면부분이 있다면 곡면을 따라 밀리는 현상으로 인해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동시에 일괄정렬이 어렵지만 본원 발명은 불규칙한 곡면을 가진 형상의 인쇄회로기판이라고 하더라도 얼라인 홀 내에 X축과 Y축 방향으로이 이동거리만큼 해당되는 위치로 이동하여 정렬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상의 인쇄회로기판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수의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명백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100 : 베이스패널 110 : 가이드샤프트
120 : 실린더 122 : 실린더 로드
200 : 얼라인 구동부 210 : 구동부 베이스패널
212 : 가이드 하우징 214 : 베이스 로드통공
220 : X축 얼라인모터 230 : X축 조정패널
232 : X축 레일부재 234 : X축 로드통공
240 : Y축 얼라인모터 250 : Y축 조정패널
252 : Y축 레일부재 254 : 로드 끼움통공
300 : 진공흡착부 310 : 버큠베이스
312 : 결합공 320 : 버큠부재
322 : 진공부 324 : 진공흡입공
326 : 접촉안치띠 400 : 캐리어보트
410 : 관통흡착부 420 : 안치고정핀
500 : 폭조절 컨베이어유닛 510 : LM레일
520 : 레일블럭 530 : 폭조절 나선축
540 : 폭조절 구동전달부 550 : 폭조절 구동모터
560 : 컨베이어 프레임 600 : 얼라인 지그
602 : 얼라인 홀 604 : 피니셜 마크
S100 : 얼라인준비1단계 S200 : 얼라인준비2단계
S300 : 캐리어보트 로딩단계 S400 : 얼라인준비3단계
S500 : 얼라인준비4단계 S600 : 일괄 얼라인 단계
S610 : X축 일괄 정렬단계 S620 : Y축 일괄 정렬단계
S630 : 마감정렬단계 S700 : 얼라인 마감단계
P : 인쇄회로기판 M : 마스크

Claims (11)

  1. 스크린프린터의 인쇄부에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한 번의 인쇄작업으로 솔더 인쇄가 가능하도록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에 대응되는 복수의 인쇄패턴이 형성된 하나의 마스크가 상단에 구비되고, 마스크에 형성된 복수의 인쇄패턴 직하로 대응되도록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이 정렬되도록 마련된 스크린프린터의 얼라인 장치에 있어서,
    하부 중앙으로 실린더 로드(122)가 상하작동되는 실린더(120)가 구비되고, 상부면에 가이드 샤프트(110)가 형성되며, 마스크 하측으로 형성된 판상의 베이스패널(100)과;
    상기 베이스패널(100) 상부면에 가이드 샤프트(110)와 결합되고, 실린더 로드(122) 선단이 중앙측에 결합되어 실린더 로드(122)의 작동에 따라 상하 이동하며, 평면상 X축과 Y축으로 일정거리가 조정되도록 마련된 얼라인 구동부(200)와;
    상기 얼라인 구동부(200) 상측에 결합되고, 인쇄회로기판(P)을 진공흡착하도록 마련된 진공흡착부(300)와;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상부면에 안치되고, 마스크 하측으로 투입되는 캐리어보트(400)와;
    상기 얼라인 구동부(200)와의 간섭없이 캐리어보트(400)의 좌우폭에 대응되게 좌우 폭이 조절되도록 상기 베이스패널(100) 상부면에 결합되고,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안치된 캐리어보트(400)가 와이어밸트을 따라 투입되어 마스크 하측으로 위치되도록 전후 대칭되게 마련된 폭조절 컨베이어유닛(500)과;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캐리어보트(400)에 안치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에 대응되는 복수의 얼라인홀(602)이 형성되고, 캐리어보트와 일정간격 상향 이격된 상태로 마스크와 정렬되어 상기 폭조절 컨베이어유닛(500) 상부에 좌우 양단이 안치결합되는 얼라인 지그(60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구동부(200)는 상기 베이스패널(100)의 상부면에 형성된 가이드샤프트(110)와 축결합되는 가이드하우징(212)이 마련되고, 중앙으로 실린더 로드(122)의 상하 작동과 간섭이 없도록 베이스 로드통공(214)이 형성된 구동부 베이스 패널(210)과;
    상기 구동부 베이스패널(210)의 상부면 전후측 중 어느 한 측에 결합되는 X축 얼라인모터(220)와;
    상기 X축 얼라인모터(220)의 모터축과 결합되고, 얼라인모터의 구동에 따라 평면상 전후측에 해당되는 X축을 따라 전후이동하여 상기 캐리어보트(400)에 안치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동시에 X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조절하도록 하부면에 X축 레일부재(232)가 결합되며, 중앙으로 X축을 따라 좌우이동에 간섭이 없도록 실린더 로드(122)가 관통되는 X축 로드통공(234)이 형성된 판상의 X축 조정패널(230)과;
    상기 X축 조정패널(230)의 상부면 좌우측 중 어느 한 측에 결합되는 Y축 얼라인모터(240)와;
    상기 Y축 얼라인모터(240)의 모터축과 결합되고, 얼라인모터의 구동에 따라 평면상 좌우측에 해당되는 Y축을 따라 좌우이동하여 상기 캐리어보트(400)에 안치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을 동시에 Y축 방향으로 조절하도록 하부면에 Y축 레일부재(252)가 결합되며, 중앙으로 실린더 로드(122) 선단이 끼움관통되어 실린더 로드가 진공흡착부(300) 직하로 결합되어 진공흡착부가 승하강하도록 로드 끼움통공(254)이 형성된 판상의 Y축 조정패널(25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구동부(200)의 베이스 로드통공(214)과 X축 로드통공(234)의 지름은 전후 Y축과 좌우 X축의 얼라인 조정을 위한 거리보다 크게 형성되되,
    X축 조정판넬(230)의 전후 이동간에 실린더 로드(122)가 베이스 로드통공(214) 내에서 간섭없이 이동가능하고,
    Y축 조정판넬(250)의 좌우 이동간에 실린더 로드(122)가 X축 로드통공(234) 내에서 간섭없이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착부(300)는 실린더 로드(122)의 선단이 결합되는 결합공(312)이 하부면 중앙으로 상기 Y축 조정패널(250)에 형성된 로드 끼움통공(254)과 동일수직선상에 형성되고, 상기 Y축 조정패널 상부면에 고정결합되어 실린더 로드의 작동에 따라 상기 얼라인구동부(200)와 함께 승하강 작동되는 버큠베이스(310)와;
    상기 버큠베이스(310) 상부면에 상기 캐리어보트(400)에 안치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과 대응되도록 기립형성되고, 상부면에 요입형성된 진공부(322)가 형성되며, 진공부 중앙으로 진공흡입공(324)이 형성되고, 진공부 둘레면을 따라 인쇄회로기판(P) 바닥면의 둘레측에 최소로 접하는 접촉안치띠(326)가 형성된 버큠부재(32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프린터의 일괄얼라인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보트(400)는 사각의 판체로 형성되고, 평면상에 진공흡착부(300)가 인쇄회로기판 바닥면을 흡착하여 얼라인 지그로 승강하도록 마련된 다수의 관통흡착부(410)와;
    상기 관통흡착부(410)의 외측 둘레측에 인쇄회로기판이 X축과 Y축선상에서 유동을 제한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 마련된 한 쌍의 안치고정핀(42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폭조절 컨베이어유닛(500)은 상기 베이스패널(100) 상부면 전후로 대칭형성된 LM레일(510)과;
    상기 LM레일(510)에 레일결합하여 좌우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이 폭이 좁혀지거나 넓혀지도록 레일이동하는 전후 대칭형성되는 레일블럭(520)과;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로 정역 나사산이 형성되고, 전후로 대칭형성된 LM레일(510) 사이에 전후대칭형성되는 폭조절 나선축(530)과;
    전후 대칭형성되는 상기 폭조절 나선축(530)이 동시에 정역회전하도록 밸트와 풀리로 형성된 폭조절 구동전달부(540); 및 폭조절 구동모터(550)와;
    상기 전후 레일블럭(520)에 전후단이 결합되고, 상기 폭조절 나선축(530)이 나사결합되어 좌우 대칭구비되며, 상기 폭조절 구동모터(550)와 폭조절 구동전달부(540)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폭조절 나선축(530)에 의해 좌우로 폭이 조절되도록 "┏┓"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안치된 캐리어보트(400)가 스크린프린터의 인쇄부측인 마스크 직하로 로딩되도록 와이어밸트가 마련되며, 일측으로 와이어밸트를 구동하는 와이어구동모터가 결합된 컨베이어 프레임(56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지그(600)는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캐리어보트(400)에 안치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진공흡착부(300)에 의해 바닥면이 흡착된 상태로 실린더 로드의 작동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의 X축과 Y축 측면이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얼라인 구동부(200)의 X축과 Y축 이동작동에 의해 일괄 정렬되도록 마련된 복수의 얼라인홀(602)과;
    상부면에 상기 마스크와 정렬하도록 피니셜 마크(60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홀(602)의 내측면으로부터 인쇄회로기판(P)의 외측면까지의 거리가 0.25mm~0.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
  9. 스크린프린터의 인쇄부에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을 한 번의 인쇄작업으로 솔더 인쇄가 가능하도록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에 대응되는 복수의 인쇄패턴이 형성된 하나의 마스크가 상단에 구비되고, 마스크에 형성된 복수의 인쇄패턴 직하로 대응되도록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이 정렬되도록 마련된 스크린프린터의 얼라인 장치를 이용한 일괄 얼라인 방법에 있어서,
    사각의 판체로 형성되고, 인쇄할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에 대응되는 수로 관통 형성된 관통흡착부(410) 둘레에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이 안치되면서 안치고정핀(420)에 의해 1차 정렬되도록 마련된 캐리어보트(400)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폭조절 컨베이어 유닛(500)의 컨베이어 프레임(560)을 폭조절하는 얼라인준비1단계(S100);
    상기 폭조절 컨베이어유닛(500)의 캐리어보트의 폭에 대응되도록 폭조절된 컨베이어 프레임(560) 상단에 얼라인지그(600)를 안치고정하고, 마스크와 얼라인 지그(600)를 일치시켜 정렬하는 얼라인 준비2단계(S200)와;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얼라인 준비1단계를 통해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안치된 상태의 캐리어보트(400)가 마스크와 얼라인 지그가 정렬된 얼라인지그 하측으로 위치되는 캐리어보트 로딩단계(S300)와;
    캐리어보트 로딩단계를 통해 얼라인 지그(600) 직하로 로딩된 캐리어보트(400) 하측으로 구비된 베이스패널(100)의 실린더 로드(122) 승강 작동으로 진공흡착부(300)가 캐리어보트에 안치된 인쇄회로기판 바닥에 근접하여 진공흡착하고,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동시에 캐리어보트 상측으로 일괄 분리하도록 마련된 얼라인 준비3단계(S400)와;
    상기 얼라인 준비3단계를 통해 캐리어보트로부터 진공흡착부에 의해 일괄 분리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얼라인지그(600)의 얼라인 홀(602) 내로 동시 진입하도록 실린더 로드(122)가 상향으로 더 작동하여 얼라인지그(600)의 상부면과 얼라인 홀 내로 일괄 진입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의 상부면이 동일면상으로 위치되도록 마련된 얼라인 준비4단계(S500)와;
    상기 얼라인 구동부(200)의 X축 조정패널(230)과 Y축 조정패널(250)이 미세 조정됨에 따라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얼라인 홀(602) 내에서 X축과 Y축선상으로 일정 거리만큼 조정되어 일괄 정렬되는 일괄 얼라인 단계(S600)와;
    마스크에 형성된 인쇄패턴에 따라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상에 솔더 인쇄하도록 상기 일괄 얼라인 단계를 통해 X축과 Y축선상으로 일괄 정렬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을 얼라인 지그(600)의 상부면과 동일면상에서 진공흡착부(300)에 의해 유동없이 흡착고정하는 일괄 얼라인 마감단계(S700);를 포함하는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를 이용한 일괄 얼라인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일괄 얼라인 단계(S600)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진공흡착부(300)에 의해 얼라인 지그(600)의 얼라인 홀(602) 내에 각각의 인쇄회로기판(P)이 진입위치되어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의 상부면과 얼라인 지그(600)의 상부면이 동일면을 이루도록 위치되되,
    구동부 베이스 패널(210)에 레일결합되는 X축 조정패널(230)이 X축 얼라인모터(220)의 미세 구동에 따라 진공흡착부(300)가 X축상으로 미세구동하고,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진공흡착부(300)의 미세구동에 따라 얼라인 홀(602) 내에서 동시에 전후의 X축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하여 얼라인 홀(602) 내의 Y축선상의 내측면에 일괄 정렬되어 일치되는 X축 일괄 정렬단계(S610)와;
    X축 조정패널(230)에 레일결합되는 Y축 조정패널(250)이 Y축 얼라인모터(240)의 미세 구동에 따라 진공흡착부가 Y축상으로 미세구동하고,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진공흡착부(300)의 미세구동에 따라 얼라인 홀(602) 내에서 동시에 좌우의 Y축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하여 얼라인 홀(602) 내의 X축선상의 내측면에 일괄 정렬되어 일치되는 Y축 일괄 정렬단계(S620)와;
    X축, Y축 일괄 정렬 단계를 통해 X, Y축선상의 얼라인 홀(602) 내측면에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동시에 일괄 정렬되어 일치된 후, 얼라인 홀의 중앙으로 진공흡착부(300)가 이동하여 마스크와 얼라인지그가 마킹정렬된 위치로 인쇄회로기판이 이동하도록 X축, Y축 조정패널(230,250)이 구동하여 솔더인쇄가 가능한 얼라인 지그(600)의 얼라인 홀(602) 중심에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 각각의 중앙과 일치되는 위치로 정렬되는 마감정렬단계(S63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를 이용한 일괄 얼라인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홀(602)의 내측면에서 얼라인 홀(602)의 상부면과 인쇄회로기판의 상부면이 일치되는 위치의 얼라인 홀(602) 내로 진입된 인쇄회로기판(P) 외측면까지의 거리가 0.25mm~0.5mm 로 형성되고,
    상기 진공흡착부(300)에 흡착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P)이 얼라인 홀(602) 내에서 X축과 Y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일괄 정렬하기 위한 일정거리는 0.5mm~1.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를 이용한 일괄 얼라인 방법.
KR1020220093232A 2022-07-27 2022-07-27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괄 얼라인 방법 KR102528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232A KR102528910B1 (ko) 2022-07-27 2022-07-27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괄 얼라인 방법
PCT/KR2023/010731 WO2024025295A1 (ko) 2022-07-27 2023-07-25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괄 얼라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232A KR102528910B1 (ko) 2022-07-27 2022-07-27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괄 얼라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8910B1 true KR102528910B1 (ko) 2023-05-03

Family

ID=86380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3232A KR102528910B1 (ko) 2022-07-27 2022-07-27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괄 얼라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28910B1 (ko)
WO (1) WO202402529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63589A (zh) * 2023-11-03 2023-12-05 武汉宏联电线电缆有限公司 线路板的加工用自动化运输传送装置
WO2024025295A1 (ko) * 2022-07-27 2024-02-01 고혜영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괄 얼라인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1609A (ko) 2011-11-10 2013-05-21 주식회사이에스이 스크린프린터의 얼라인장치
JP6120453B2 (ja) * 2012-11-27 2017-04-26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基板印刷装置
KR101740493B1 (ko) * 2016-11-14 2017-05-26 유원근 납빠짐성이 개선된 스크린프린터와 이것의 제어방법
JP2019072976A (ja) * 2017-10-19 2019-05-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WO2020008761A1 (ja) * 2018-07-04 2020-01-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405B1 (ko) * 2015-03-11 2016-01-14 주식회사 에스제이이노테크 스크린 프린터용 얼라인먼트 장치
KR101754853B1 (ko) * 2016-05-26 2017-07-19 고형래 스크린프린터의 인쇄회로기판 교체에 따른 마스크 자동교체장치
JP6744426B2 (ja) * 2016-12-05 2020-08-19 株式会社Fuji 印刷装置及び収納装置
KR102258824B1 (ko) * 2020-06-04 2021-05-31 주식회사 에스제이이노테크 스크린프린터용 얼라인테이블 구동장치
KR102528910B1 (ko) * 2022-07-27 2023-05-03 고혜영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괄 얼라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1609A (ko) 2011-11-10 2013-05-21 주식회사이에스이 스크린프린터의 얼라인장치
JP6120453B2 (ja) * 2012-11-27 2017-04-26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基板印刷装置
KR101740493B1 (ko) * 2016-11-14 2017-05-26 유원근 납빠짐성이 개선된 스크린프린터와 이것의 제어방법
JP2019072976A (ja) * 2017-10-19 2019-05-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WO2020008761A1 (ja) * 2018-07-04 2020-01-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5295A1 (ko) * 2022-07-27 2024-02-01 고혜영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괄 얼라인 방법
CN117163589A (zh) * 2023-11-03 2023-12-05 武汉宏联电线电缆有限公司 线路板的加工用自动化运输传送装置
CN117163589B (zh) * 2023-11-03 2024-04-09 武汉宏联电线电缆有限公司 线路板的加工用自动化运输传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25295A1 (ko)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8910B1 (ko) 스크린프린터의 일괄 얼라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괄 얼라인 방법
KR102031812B1 (ko) 전자부품 실장장치
JP2000288969A (ja) 表面実装機のマウンタヘッド
CN101366111A (zh) 基板交换装置和基板处理装置以及基板检查装置
KR102407911B1 (ko) 단일화 소재 정렬
JP2010056182A (ja) スクリーン印刷機の基板位置決め装置及び基板位置決め方法
JP2000323898A (ja) 表面実装機の印刷回路基板平面度の補正装置
US20200344889A1 (en) Backup block and screen-printing machine
KR100853319B1 (ko) 표면 실장 장치의 다수의 인쇄회로기판 정렬 장치
KR100651816B1 (ko) 부품 실장기용 헤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부품 실장기
JP2009135215A (ja) 基板位置決め装置及び基板位置決め方法
KR101141806B1 (ko) 도포 장치와 그 도포 위치 보정 방법
CN111747079B (zh) 均能整列原板和分离板的θ轴的混合型显示面板检查装置
KR20060109272A (ko) 인쇄회로기판 표면 실장용 스크린 프린터의 다수개의인쇄회로기판 각도조정 및 정렬장치
CN213716643U (zh) 一种贴片式电阻基板振动插入结构
KR200389844Y1 (ko) 인쇄회로기판 표면 실장용 스크린 프린터의 다수개의인쇄회로기판 각도조정 및 정렬장치
US20230415472A1 (en) Alignment of singulated substrates
CN220290779U (zh) 一种中转台、校准装置及固晶机
KR102040941B1 (ko) 부품장착기용 노즐 조립체의 구동 시스템
US20230051231A1 (en) Apparatus for aligning device having fine pitch and method therefor
KR20240023250A (ko) 피시비 코이닝 시스템
KR102384915B1 (ko) 기판처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기판처리장치
KR100651810B1 (ko) 부품실장방법 및 이를 채택한 부품 실장기
KR100271664B1 (ko) 표면실장기의부품실장방법및그장치
TW202236913A (zh) 起槽加工裝置的印刷基板的固定方法及起槽加工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