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669B1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669B1
KR102528669B1 KR1020160072193A KR20160072193A KR102528669B1 KR 102528669 B1 KR102528669 B1 KR 102528669B1 KR 1020160072193 A KR1020160072193 A KR 1020160072193A KR 20160072193 A KR20160072193 A KR 20160072193A KR 102528669 B1 KR102528669 B1 KR 102528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auxiliary
link
main
sp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2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9801A (ko
Inventor
우세영
표준호
최규형
이태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2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669B1/ko
Priority to AU2017278898A priority patent/AU2017278898B2/en
Priority to PCT/KR2017/004997 priority patent/WO2017213355A1/ko
Priority to CN201710422128.0A priority patent/CN107485354B/zh
Priority to EP17174948.4A priority patent/EP3254602B1/en
Priority to US15/617,897 priority patent/US10660499B2/en
Publication of KR20170139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2Arrangements to change or modify spray pattern or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47L15/23Rotary spraying devices moved by means of the spray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세척조와, 세척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척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메인 암과, 메인 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척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보조 암과, 세척조 내부에 고정되어 메인 암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외주면에 기어이가 형성되는 고정 기어부와, 메인 암에 회전가능 하게 장착되어 고정 기어부에 치합되며, 메인 암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편심 기어부와, 메인 암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편심 기어부의 회전력을 탄성력에 의해 보조 암으로 전달하여 보조 암을 회동시키는 링크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기 세척기의 분사 암 구조를 개선하여 세척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 세척기는 세제와 세척수를 이용하여 식기나 조리도구 등(이하, ′세척대상′)에 뭍은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오물을 세척하는 기기이다.
식기 세척기는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세척조, 세척조 내에 구비되어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랙(dish rack), 랙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암,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분사 암에 공급하는 공급유로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암의 회전을 통해 세척대상에 골고루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의 세척을 수행한다. 최근에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암이 회전할 때 분사 암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분사 암의 회전에 따라 분사 암의 세척수 분사와 구분되어 분사 암의 원호궤적을 따라 왕복운동(rolling : 롤링)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보조 암을 추가로 구비하여 세척력을 향상시킨 식기 세척기가 개발되고 있다.
선행 문헌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2-0126598호에는 이러한 식기 세척기에 관한 사상이 개시된다. 선행 문헌에 개시된 식기 세척기의 경우, 세척조 내부에 수용된 분사 암의 노즐을 통해 세척수를 상방으로 분사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세척 대상인 그릇에 세척수 분사 시 세척수를 그릇 표면에 골고루 분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세척수를 다각도에서 분사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경우 분사 암이 회전함으로써 분사노즐이 회전하는 효과가 있으나, 보다 효율적인 세척을 위해 분사 각도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식기 세척기의 분사 암의 구조를 개선하여 분사 암에 의해 부사되는 세척수의 분사영역 및 세척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세척수 분사에 의한 추력을 이용하여 분사 암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분사 암을 구성하는 메인 암과 메인 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조 암을 구비하여 분사 암의 회전에 따라 보조 암의 분사 각도를 가변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분사 암을 구성하는 메인 암과 메인 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조 암을 구비하여 메인 암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보조 암을 왕복 회전시키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분사 암을 구성하는 메인 암과 메인 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조 암을 구비하여 메인 암의 회전은 보조 암의 회전에 구속되지만, 보조 암이 회전 불가능해지더라도 메인 암은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세척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암과, 외주면에 기어이가 형성되는 고정 기어부와, 분사 암의 회전에 의해 고정 기어부의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편심 기어부와, 편심 기어부 및 분사 암과 연결되는 링크 부재를 포함하고 분사 암은 한 쌍의 암을 포함하는 메인 암 및 메인 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보조 암을 포함하고 링크 부재는 편심 기어부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여 각각의 보조 암을 밀어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편심 기어부의 회전에 의해 링크 부재가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식기 세척기는 편심 기어부의 회전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제공되며 링크 부재에 삽입되는 편심돌기를 더 포함하고 링크 부재에는 편심돌기가 삽입되는 장홀 또는 장홀 형태의 삽입부가 형성되며 편심돌기는 편심 기어부의 회전에 의해 원운동하여 링크 부재를 왕복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편심 기어부의 회전력을 링크 부재의 왕복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식기 세척기는 메인 암에 구비되며 링크 부재에 삽입되어 링크 부재가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하고 메인 연장부에는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 암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링크 부재는 분사 암 홀더 결합부가 삽입되는 림부와, 림부로부터 연장되며 메인 암에 구비된 한 쌍의 암의 하측에 배치되는 메인 연장부와, 림부로부터 연장되며 각각의 보조 암의 하측에 배치되는 보조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보조 암이 회전 불가능한 상태에서도 메인 암의 회전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분사 암은 편심 기어부가 삽입되는 기어 회전축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편심 기어부는 기어 회전축이 삽입되는 회전축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분사 암은 메인 암 또는 각각의 보조 암에 형성된 분사구에서 세척수가 분사됨에 따라 발생하는 추력에 의해 회전됨으로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메인 암을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세척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메인 암과, 상기 메인 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세척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보조 암과, 상기 세척조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 암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외주면에 기어이가 형성되는 고정 기어부와, 상기 메인 암에 회전가능 하게 장착되어 상기 고정 기어부에 치합되며, 상기 메인 암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편심 기어부와, 상기 메인 암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편심 기어부의 회전력을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보조 암으로 전달하여 상기 보조 암을 회동시키는 링크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 따르면 식기 세척기의 분사 암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분사 암에 의해 부사되는 세척수의 분사영역 및 세척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 따르면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세척수 분사에 의한 추력을 이용하여 분사 암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 따르면 분사 암을 구성하는 메인 암과 메인 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조 암을 구비하여 분사 암의 회전에 따라 보조 암의 분사 각도를 가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 따르면 분사 암을 구성하는 메인 암과 메인 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조 암을 구비하여 메인 암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보조 암을 왕복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 따르면 분사 암을 구성하는 메인 암과 메인 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조 암을 구비하여 메인 암의 회전은 보조 암의 회전에 구속되지만, 보조 암이 회전 불가능해지더라도 메인 암은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섬프 커버와 분사 암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분사 암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섬프 커버와 분사 암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메인 암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 암의 상부 하우징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 암의 보조 암 연결부를 타나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 암의 하부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 암의 하부 하우징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암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암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암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B'-B"선 및 C'-C"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 기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 기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D'-D"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 암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 암 홀더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 암 홀더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 암 홀더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로 전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로 전환부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 기어부, 분사 암 홀더, 유로 전환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5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로 전환부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심 기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심 기어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심 기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심 기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 기어부 및 편심 기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크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크 부재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4는 도 32의 E'-E"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크 부재의 제 1탄성 완충부 및 제 1보조 암 결합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6은 도 35의 F'-F"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7은 도 35의 G'-G"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크 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크 부재의 작동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암의 작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1 내지 도 4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 암의 분사영역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암의 분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섬프와 분사 암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분사 암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는 내부에 세척공간이 형성되는 세척조(10), 세척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30), 세척조(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랙(40), 세척조(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미도시), 및 세척조(10) 내부에 구비되어 랙(40)에 수용된 세척대상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암 어셈블리(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랙(40)은 세척조(10)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랙(40)은 세척조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상부랙 또는 하부랙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각 랙(40)을 세척조 전방으로 인출시켜 세척대상을 수납시키거나 인출할 수 있다.
상기 섬프는 섬프 커버(50)와, 섬프 커버(50)에 구비되는 세척대상을 세척한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70) 및 필터 커버(60)를 구비할 수 있다. 섬프는 급수관(80)을 통해 외부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별도의 배수부(미도시)를 통하여 세척조(10) 내부에 분사된 세척수 등을 배수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섬프 내부에는 섬프 내부에 저장된 세척수를 분사 암 어셈블리(100)로 전달하기 위한 급수펌프(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섬프 커버(50)에는 세척조(10) 내부로 분사된 세척수는 섬프커버에 구비되는 필터(70) 및 필터 커버(60)에 의해 세척수에 포함된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질이 필터링 된다. 필터(70) 및 필터 커버(60)를 통해 섬프 내부로 회수된 세척수는 섬프 내부에 구비되는 급수펌프에 의해 다시 분사 암 어셈블리(100)로 순환 공급될 수 있다. 즉, 급수관(80)을 통해 공급된 세척수는 다수회로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필터 커버(60)는 섬프 커버(50)의 일부를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세척조의 하부 전방(즉, 도어(30)에 인접한 세척조(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터 커버(60)의 중앙부에 필터(70)가 필터 커버(60)에 삽입되어 마련된다. 이러한 필터 커버(60)는 필터(70)의 탈착시 필터(70)의 이탈에 따라 필터(70)와 같이 섬프 커버(50)에서 이탈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필터 커버(60)의 중앙부에는 분사 암 어셈블리(100)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됨과 동시에 세척수를 공급받기 위한 분사 암 홀더 안착부(53)가 형성된다. 분사 암 홀더 안착부(53) 중앙에는 세척수가 공급되기 위한 급수홀(59)이 함입되어 형성되며, 분사 암 홀더 안착부(53) 양측에는 후술할 분사 암 어셈블리(100)의 고정 기어부(500)가 고정되기 위한 한 쌍의 결합보스(5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분사 암 홀더 안착부(53)의 상측에는 분사 암 홀더 안착부(53)에 안착된 분사 암 홀더(600)를 지지하는 위한 지지보스(55)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지지보스(55)는 섬프 커버(50)로 유입되는 세척수 또는 이물질이 분사 암 홀더 안착부(53)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 높이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분사 암 홀더 안착부(53)의 중앙부에는 세척수가 이동하기 위한 급수홀(59)이 형성되며 급수홀(59)의 끝단 내주면은 분사 암 홀더 안착부(53)에 삽입되는 분사 암 홀더(600)의 단부 형상에 대응되어 분사 암 홀더(600) 측으로 상향되는 안착 리브(57)가 형성된다.
여기서, 안착 리브(57)의 경우 분사 암 홀더(600)에 형성되는 확장부(636)를 하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분사 암 홀더(600)와 분사 암 홀더 안착부(53) 사이의 누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분사 암 홀더 안착부(53)에 대해서는 분사 암 홀더(600)를 설명할 때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분사 암 어셈블리(1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섬프 커버(50)에 장착되어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랙에 수납된 세척대상으로 분사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의 따른 식기 세척기(1)의 경우 분사 암 어셈블리(100) 이외에 상부랙과 하부랙 사이에 구비되는 상부 분사 암(미도시), 상부랙의 상측에 위치하는 탑 분사 암(미도시)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분사 암 어셈블리(100)는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메인 암(300) 및 메인 암(3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암(400a, 400b)을 구비하는 분사 암(200)과, 분사 암(2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섬프 커버(5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음과 동시에 분사 암(2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분사 암 홀더(600)와, 섬프 커버(50)에 고정되어 분사 암 홀더(6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 기어부(500)와, 분사 암(2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고정 기어부(500)에 치합되어 분사 암(200)이 회전됨에 따라 고정 기어부(50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및 공전하는 편심 기어부(800)와 분사 암(200)에 왕복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편심 기어부(800)의 회전에 따라 왕복 이동되어 보조 암(400a, 400b)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링크 부재(90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분사 암 어셈블리(100)는 도시된 것과 달리 랙(40)의 하부뿐만 아니라 랙(40)의 상부에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분사 암 어셈블리(100)는 다수개가 구비되어 랙(40)의 상부 및 하부에 세척수를 각각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분사 암(200)은 메인 암 상부 하우징(310) 및 메인 암 하부 하우징(34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메인 암(300)과, 메인 암(300)의 메인 암 상부 하우징(3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암(400a, 400b)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암(300)은 분사 암 어셈블리(10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2메인 암(300a, 300b)이 형성되며, 보조 암(400a, 400b)은 분사 암 어셈블리(10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제 1, 2메인 암(300a, 300b)의 사이에서 제 1, 2메인 암(300a, 300b)에 대하여 이격되는 각도로 결합되는 제 1, 2보조 암(400a, 400b)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 1, 2메인 암(300a, 300b)의 상측에는 메인 암(300)으로 유입된 세척수가 분사되는 다수의 분사구(314a, 315a, 314b, 315b, 317b)가 형성될 수 있다. 섬프로부터 메인 암(300)으로 유입되는 세척수는, 다수의 분사구(314a, 315a, 314b, 315b, 317b)를 통해 메인 암(300)의 상방 및 메인 암(300)의 회전 반대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암(300)은 다수의 분사구(314a, 315a, 314b, 315b, 317b)로부터 분사된 세척수에 의해 랙(40)에 수납된 세척대상을 세척함과 동시에 메인 암(300)이 회전될 수 있는 추력을 얻을 수 있다.
메인 암(300)의 메인 암 하부 하우징(340)은 메인 암(300)의 저면에 형성하며 분사 암 홀더(6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는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메인 암(300)은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를 통하여 세척수가 제 1, 2메인 암(300a, 300b) 및 제 1, 2보조 암(400a, 400b)으로 공급된다.
한편, 메인 암(300)에는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를 중심으로 방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연장부(300c)및 제 2연장부(300d) 포함할 수 있다. 제 1연장부(300c) 및 제 2연장부(300d)에는 각각 보조 암(400a, 400b)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2보조 암 연결부(330a, 330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2메인 암(300a, 300b) 및 제 1, 2연장부(300c, 300d)의 내부에는 암 홀더를 통하여 유입되는 세척수가 제 1, 2메인 암(300a, 300b)으로 안내되는 제 1, 2메인 유로(301a, 301b) 및 제 1, 2연장부(300c, 300d)로 안내되는 제 1, 2보조 유로(301c, 301d)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2보조 암(400a, 400b)은 메인 암(300)이 제 1, 2메인 암(300a, 300b)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에 의해 발생되는 추력에 의해 회전될 때 메인 암(300)의 회전에 연동되는 링크 부재(900)에 의해 소정의 각도범위 이내에서 왕복 회전할 수 있다. 제 1, 2보조 암(400a, 400b)에도 메인 암(300)으로 유입되는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분사구(414a, 415a, 414b, 415b, 422a, 422b)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보조 암(400a, 400b)은 제 1연장부(300c)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보조 암(400a)과 제 2연장부(300d)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보조 암(400b)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암(300)으로 유입된 세척수 중 일부는 제 1, 2보조 암(400a, 400b)의 내부에 형성된 제 1, 2보조 유로(301c, 301d)(도 14 참고)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분사 암(200)의 상면에는 분사 암(200)의 상면을 덮는 별도의 데코패널(430a)이 부착될 수 있다.
분사 암(200)은 별도의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다만, 분사 암(200)은 제 1, 2메인 암(300a, 300b)에 형성되는 각 분사구(314a, 315a, 314b, 315b, 317b) 또는 제 1, 2보조 암(400a, 400b)에 형성되는 각 분사구(414a, 415a, 414b, 415b, 422a, 422b)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추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즉, 분사 암(200)은 모터 등 별도의 구동 장치 없이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발생하는 추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세척수 분사에 의한 분사 암(200)의 회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분사 암 홀더(600)는 분사 암(200)의 하부에 결합하여 분사 암(2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사 암 홀더(600)는 분사 암(200)과 함께 회전하며, 분사 암(200)의 회전 중심축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분사 암 홀더(600)는 메인 암(300)에 형성되는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메인 암 삽입부(610)와, 메인 암 삽입부(610) 하부에서 돌출되어 고정 기어부(5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620)와, 섬프 커버(50)의 분사 암 홀더 안착부(53)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섬프 삽입부(630)를 구비한다.
이러한, 분사 암 홀더(600)는 분사 암(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섬프 커버(50)의 분사 암 홀더 안착부(53)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섬프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는 분사 암 홀더 안착부(53)의 급수홀(59)을 통하여 분사 암 홀더(600) 내부로 공급되고, 분사 암 홀더(600)로 유입된 세척수는 유로 전환부(700)에 의해 제 1, 2메인 유로(301a, 301b) 또는 제 1, 2보조 유로(301c, 301d)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유로 전환부(700)는 분사 암 홀더(600) 내부에 수용되며 분사 암 홀더(600)로부터 분사 암(200)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유로를 제 1, 2메인 유로(301a, 301b) 또는 제 1, 2보조 유로(301c, 301d)로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유로 전환부(700)는 메인 암(300)의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 내측에 삽입되며 세척수의 공급 및 차단에 따라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의 내측에서 승강하여 세척수의 유로를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유로 전환부(700)는 다수의 개방홀(722a, 722b)이 형성되는 회전판(710)과, 세척수의 공급에 따라 유로 전환부(700)가 상승할 때 회전판(710)을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다수의 상부 경사돌기(720a, 720b, 720c, 720d)와, 세척수의 공급 중지에 따라 유로 전환부(700)가 하강할 때 회전판을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다수의 하부 경사돌기(730a, 730b, 730c, 730d)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 기어부(500)는 섬프 커버(50)에 고정되어 분사 암(200)에 결합된 분사 암 홀더(600)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분사 암(200)이 회전 가능하도록 분사 암 홀더(6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기어부(500)는 메인 암(300)에 형성된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가 회전가능하게 관통하고 외주면에 기어가 형성되는 림부(510)와, 림부(510)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섬프 커버(50)의 결합보스(51)에 결합되는 체결부(530)가 형성된다.
한편, 고정 기어부(500)는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가 삽입된 상태에서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에 분사 암 홀더(600)가 결합된다. 이후, 고정 기어부(500)는 섬프 커버(50)에 구비되는 결합보스(51)에 별도의 체결부제(예를 들어 나사 등, 미도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기어부(500)는 섬프 커버(50)에 고정된 상태에서 분사 암 홀더(600)가 섬프 커버(50)의 분사 암 홀더 안착부(5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분사 암(200)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편심 기어부(800)는 분사 암(200)의 저면에서 고정 기어부(500)에 치합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편심 기어부(800)는 분사 암(200)이 회전함에 따라 섬프 커버(50)에 고정된 고정 기어부(500)의 둘레를 따라 공전함과 동시에 고정 기어부(500)에 맞물려 자전할 수 있다.
이러한 편심 기어부(800)는 외주면에 고정 기어부(500)의 기어에 치합되는 기어가 구비되는 림부(810)와, 림부(810)의 내측에 구비되어 메인 암(300)의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지지돌기(820)와, 회전축 지지돌기(820)의 회전 중심에서 이격되며 링크 부재(900)로 회전력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전환하여 전달하는 편심돌기(830)가 구비된다.
상기 링크 부재(900)는 분사 암(200)의 하부에 유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분사 암(200)의 회전과 같이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링크 부재(900)는 분사 암의 회전에 따라 편심 기어부(800)가 자전함에 따라 보조 암(400a, 400b)을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왕복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링크 부재(900)는 메인 암의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에 대하여 소정 간격을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장방형의 관통공을 갖는 림형 몸체(910)와, 림형 몸체(910)에서 연장되어 제 1, 2메인 암(300a, 300b)에 대하여 직선 이동하게 결합되는 제 1, 2메인 링크(920a, 920b)와, 림형 몸체(910)에서 제 1, 2메인 링크(920a, 920b)에 대하여 소정 각도 이격 연장되어 제 1, 2보조 암(400a, 400b)에 결합되며 림형 몸체(910)의 이동에 따라 제 1, 2보조 암(400a, 400b)을 왕복 회전 시키는 제 1, 2보조 링크(950a, 950b)가 구비된다. 여기서 제 2메인 링크(920b)에는 편심 기어부(800)를 지지함과 동시에 편심 기어부(800)의 편심돌기(830)가 삽입되는 편심 기어 수용부(940)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분사 암 어셈블리(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의 체결과정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섬프 커버와 분사 암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메인 암(300)의 제 1, 2보조 암 연결부(330a, 330b)에 제 1, 2보조 암(400a, 400b)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분사 암(200)의 하부에 형성된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가 링크 부재(900)의 림형 몸체(910)에 삽입된다.
여기서, 링크 부재(900)의 제 1, 2메인 링크(920a, 920b)는 메인 암(300)의 제 1, 2메인 암(300a, 300b)에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링크 부재(900)의 제 1, 2보조 링크(950a, 950b)는 링크 부재(900)의 왕복 이동에 따라 제 1, 2보조 암(400a, 400b)을 회전시키도록 제 1, 2보조 암(400a, 400b)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편심 기어부(800)는 제 2메인 링크(920b)에 형성된 편심 기어 수용부(940)에 편심돌기(830)가 삽입된 상태로 지지되어 메인 암(30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후, 분사 암(200)의 하부에 형성된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에 고정 기어부(500)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메인 링크(920b)의 편심 기어 수용부(940)에 지지되는 편심 기어부(800)는 고정 기어부(500)에 형성된 기어와 치합되어 메인 암(300)의 회전에 따라 고정 기어부(500)의 외주면을 따라 공전 및 자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의 내측에는 유로 전환부(700)가 삽입된다. 이러한 유로 전환부(700)는 분사 암 홀더(600)에 구비되는 메인 암 삽입부(6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 전환부(700)는 메인 암 삽입부(610)에 세척수가 유입됨에 따라 세척수의 이동 압력에 의해 메인 암 삽입부(610) 상측으로 이동하고, 세척수 유입이 중단되면 메인 암 삽입부(610) 내부의 수압이 낮아지면서 유로 전환부(700)는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의 하부에서 분사 암 홀더(600)가 체결된다. 따라서 고정 기어부(500)는 분사 암 홀더(600)에 의해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에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후, 분사 암 홀더(600) 하부에 형성된 섬프 삽입부(630)에 삽입됨과 동시에 고정 기어부(500)의 체결부(530)가 섬프 커버(50)의 결합보스(51)에 결합되고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고정 기어부(500)가 섬프 커버(50)에 고정된다.
즉, 분사 암(200)의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에 고정 기어부(500)가 먼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고정 기어부(500)의 하측에서 분사 암 홀더(600)가 분사 암(20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후 섬프 커버(50)의 분사 암 홀더 안착부(53)에 분사 암 홀더(600)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고 고정 기어부(500)가 섬프 커버(50)에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분사 암 어셈블리(100)의 구성 중 고정 기어부(500)만이 섬프 커버(50)에 고정된 상태이며 분사 암 어셈블리(100)의 분사 암(200), 분사 암 홀더(600), 링크 부재(900)는 섬프 커버(5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때 분사 암 홀더(600)는 고정 기어부(500)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분사 암 홀더 안착부(53)에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 암 어셈블리(100)의 작동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급수관(80)을 통해 유입된 세척수는 별도의 급수펌프에 의해 섬프로 이동하며 섬프 커버(50)의 분사 암 홀더 안착부(53)에 형성된 급수홀(59)을 통하여 분사 암 어셈블리(100)로 유입된다. 분사 암 어셈블리(100)로 유입된 세척수는 분사 암(200)의 제 1, 2메인 암(300a, 300b) 또는 제 1, 2 보조 암(400a, 400b)에 의해 세척대상으로 분사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2메인 암(300a, 300b) 또는 제 1, 2 보조 암(400a, 400b)의 세척수 분사에 따라 세척수가 분사되는 추력에 의해 분사 암(200)이 세척수의 분사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2메인 암(300a, 300b) 또는 제 1, 2보조 암(400a, 400b)으로의 세척수 공급은 급수 펌프(미도시)에 의한 세척수의 공급 및 차단에 따른 유로 전환부(700)의 급수 유로 전환 작동에 의해 전환될 수 있다.
한편, 분사 암(200)이 회전됨에 따라 메인 암(300)의 하부에 구비되는 편심 기어부(800)가 고정 기어부(500)의 외주면을 따라 공전함과 동시에 자전하게 된다. 즉, 고정 기어부(500)는 섬프 커버(50)에 고정된 상태로 분사 암(200)의 회전과 상관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편심 기어부(800)의 경우 메인 암(3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 기어부(500)에 치합되어 있어 메인 암(300)이 회전함에 따라 고정 기어부(500)의 외주면을 따라서 공전 및 자전할 수 있다.
한편, 링크 부재(900)의 제 2메인 링크(920b)에는 편심 기어부(800)의 편심돌기(830)가 삽입되어 있으며, 편심 기어부(800)의 자전에 따라 편심돌기(830)가 편심 기어부(800)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원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편심돌기(830)가 삽입된 링크 부재(900)는 편심돌기(830)의 회전에 의해 메인 암(300)의 하부에서 직선 왕복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링크 부재(900)의 제 1, 2보조 링크(950a, 950b)에는 제 1, 2보조 암(400a, 400b)이 연결되어 있으며 링크 부재(900)의 왕복 이동에 따라 제 1, 2보조 링크(950a, 950b)에 연결된 제 1, 2보조 암(400a, 400b)이 왕복 회전 운동하여 제 1, 2보조 암(400a, 400b)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 각도를 전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분사 암 어셈블리(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 암 어셈블리(100)의 주요 구성인 메인 암(300)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메인 암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암(300)은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비대칭 구조의 제 1, 2메인 암(300a, 300b)과, 제 1, 2메인 암(300a, 300b)의 사이에서 제 1, 2메인 암(300a, 300b)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1, 2연장부(300c, 300d)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2연장부(300c, 300d)의 단부에는 제 1, 2보조 암(400a, 400b)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 1, 2보조 암 연결부(330a, 330b)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메인 암(300)은 내부에 세척수가 이동되는 유로가 형성되어야 함으로 메인 암(300)의 상부를 형성하는 메인 암 상부 하우징(310)과, 메인 암 하부 하우징(34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암 상부 하우징(310)에는 제 1, 2메인 암(300a, 300b)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 1, 2상부 메인 암(312a, 312b) 및 제 1, 2연장부(300c, 300d)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 1, 2상부 연장부(322a, 322b)가 형성된다.
그리고 메인 암 하부 하우징(340)에는 제 1, 2메인 암(300a, 300b)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 1, 2하부 메인 암(341a, 341b) 및 제 1, 2연장부(300c, 300d)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 1, 2하부 연장부(351a, 351b)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2보조 암 연결부(330a, 330b)는 제 1, 2상부 메인 암(312a, 312b)의 단부에 제 1, 2상부 메인 암(312a, 312b)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메인 암(300a)(또는 제 2메인 암(300b))과, 제 1연장부(300c)(또는 제 2연장부)는 둔각(D2)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제 1메인 암(300a)(또는 제 2메인 암(300b))과, 제 2연장부(300d)(또는 제 1연장부)는 예각(D1)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2메인 암(300a, 300b)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과, 제 1, 2연장부(300c, 300d)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의 경우 메인 암(300)의 회전 중심에서 소정 각도로 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2메인 암(300a, 300b)과 제 1, 2연장부(300c, 300d) 사이에 둔각을 형성하는 이유는 분사 암(200)의 하부에 위치하는 필터(70) 및 필터 커버(60)의 착탈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제 1, 2메인 암(300a, 300b)과 제 1, 2연장부(300c, 300d) 사이의 각도와 상관없이 필터(70) 및 필터 커버(60)의 착탈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면 제 1, 2메인 암(300a, 300b)과 제 1, 2연장부(300c, 300d) 사이의 각도는 가변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르게는 제 1, 2메인 암(300a, 300b)과 제 1, 2연장부(300c, 300d) 사이의 각도가 직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메인 암의 설계 변경에 따라 다양한 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제 1, 2메인 암(300a, 300b)과 제 1, 2연장부(300c, 300d) 사이의 각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 1, 2메인 암(300a, 300b)은 제 1, 2연장부(300c, 300d)를 중심으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제 1, 2메인 암(300a, 300b)의 형성 상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 1, 2메인 암(300a, 300b)이 제 1, 2연장부(300c, 300d)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메인 암(300)은 메인 암 상부 하우징(310)과 메인 암 하부 하우징(340)의 결합에 의해 세척수가 이동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암(300)은 메인 암 상부 하우징(310)과 메인 암 하부 하우징(34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암 상부 하우징(310)과 메인 암 하부 하우징(340)은 열/초음파 융착에 의해 일체화 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암 상부 하우징(310)의 하면에는 제 1, 2메인 암(300a, 300b)의 제 1, 2메인 유로(301a, 301b) 및 제 1, 2연장부(300c, 300d)의 제 1, 2보조 유로(301c, 301d)를 형성함과 동시에 메인 암 하부 하우징(340)에 융착될 수 있는 융착리브(327)가 돌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메인 암 하부 하우징(340)의 상면에는 융착리브(327)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융착리브(327)가 융착되기 위한 융착 단턱(357)이 제 1, 2메인 암(300a, 300b)의 제 1, 2메인 유로(301a, 301b) 및 제 1, 2연장부(300c, 300d)의 제 1, 2보조 유로(301c, 301d)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융착리브(327) 및 융착 단턱(357)에 대해서는 메인 암 상부 하우징(310)과 메인 암 하부 하우징(340)의 설명시 상세히 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 암(300)의 메인 암 상부 하우징(310)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도 5를 참고하여 메인 암 상부 하우징(310)의 상면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암 상부 하우징(310)의 제 1상부 메인 암(312a)의 상면에는 분사 암(200)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제 1경사면(313a)이 형성되고, 제 2상부 메인 암(312b)의 상면에는 분사 암(200)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제 2경사면(313b)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2경사면(313a, 313b)은 제 1, 2상부 연장부(322a, 322b)로 경사지게 만곡되는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 1, 2경사면(313a, 313b)은 제 1상부 메인 암(312a)과 제 2상부 메인 암(312b)에 형성되는 다수의 분사구(314a, 315a, 314b, 315b)의 분사각도 형성 범위를 확장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경사면(313a)에는 분사 암(200)의 수직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 1분사구(314a)와, 분사 암(200)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분사 암(200)이 회전할 수 있는 추력을 발생시키는 제 1경사 분사구(315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경사면(313b)에는 분사 암(200)의 수직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 2분사구(314b)와, 분사 암(200)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분사 암(200)이 회전할 수 있는 추력을 발생시키는 제 2경사 분사구(315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2분사구(314a, 314b) 및 제 1, 2경사 분사구(315a, 315b)는 메인 암 상부 하우징(310)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각기 다른 반경으로 형성되거나, 각기 다른 분사 영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2분사구(314a, 314b) 및 제 1, 2경사 분사구(315a, 315b)의 경우 세척수의 분사 영역 확보 및 분사 암(200)의 회전을 위한 추력을 형성을 위하여 필요에 따라 그 개수가 증감될 수 있으며, 형성위치 및 분사 방향이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제 1, 2경사 분사구(315a, 315b)들의 경우 세척 영역의 확보를 위하여 다양한 분사 각도를 형성할 수 있으나, 제 1, 2경사 분사구(315a, 315b)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한 추력의 합이 분사 암(200)의 회전을 위한 최소 추력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제 1상부 메인 암(312a)의 표면에는 메인 암 상부 하우징(310)과 메인 암 하부 하우징(340)의 융착시 메인 암 상부 하우징(310)의 융착 방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특정 도형 또는 문자 형태의 상부 표시부(317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상부 메인 암(312a) 또는 제 2상부 메인 암(312b)의 회전중심 측에는 메인 암(300)의 회전 중심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별도의 중심 분사구(317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2상부 메인 암(312a, 312b)에 형성되는 각 분사구(314a, 315a, 314b, 315b)의 경우 비교적 제 1, 2상부 메인 암(312a, 312b)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므로 중심 분사구(317b)는 제 1상부 메인 암(312a) 또는 제 2상부 메인 암(312b) 중 일측에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2상부 연장부(322a, 322b)는 제 1, 2 보조 암(400a, 400b)이 회전 가능하도록 제 1, 2보조 암(400a, 400b)을 지지하는 제 1, 2보조 암 연결부(330a, 330b)가 형성된다. 제 1, 2상부 연장부(322a, 322b)의 단부에는 제 1, 2보조 암 연결부(330a, 330b)와 연통되기 위한 제 1, 2토출구(324a, 324b)(도 7 참조)가 형성된다.
한편, 제 1, 2상부 연장부(322a, 322b)의 회전중심 측에는 메인 암(300)의 회전 중심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별도의 제 1, 2중심 분사구(326a, 326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2상부 연장부(322a, 322b)의 경우 제 1, 2보조 암(400a, 400b)에만 분사구(414a, 415a, 414b, 415b, 422a, 422b)(도 12참고)가 형성되어 있어 제 1, 2상부 연장부(322a, 322b)의 중심측으로는 비교적 적은 량의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2상부 연장부(322a, 322b)에 별도의 제 1, 2중심 분사구(326a, 326b)를 더 형성 할 수 있다.
또한 제 1, 2중심 분사구(326a, 326b)는 메인 암(300)의 회전 중심에서 각기 다른 방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각기 다른 세척효율을 가질 수 있도록 제 1, 2중심 분사구(326a, 326b)의 형태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중심 분사구(326a)의 경우 슬롯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중심 분사구(326b)의 경우 원형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 암의 상부 하우징(310)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한편 메인 암 상부 하우징(310)의 하면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암 하부 하우징(340)과 융착을 위한 융착리브(327)가 형성된다. 여기서 융착리브(327)는 제 1, 2메인 유로(301a, 301b) 및 제 1, 2보조 유로(301c, 301d)를 형성하도록 제 1, 2상부 메인 암(312a, 312b) 및 제 1, 2상부 연장부(322a, 322b)를 구획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메인 암 상부 하우징(310)의 회전 중심에는 후술할 메인 암 하부 하우징(340)을 통하여 유입되는 세척수가 제 1, 2메인 유로(301a, 301b) 및 제 1, 2보조 유로(301c, 301d)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로를 구획하도록 십자 형태의 상부 유로 형성리브(328)가 형성된다.
한편, 제 1, 2메인 유로(301a, 301b) 및 제 1, 2보조 유로(301c, 301d)는 융착리브(327)의 내측(즉 각 유로를 형성하는 내측)으로 제 1, 2메인 유로(301a, 301b) 및 제 1, 2보조 유로(301c, 301d)를 이동하는 세척수의 이동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다수의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2메인 유로(301a, 301b)에 형성되는 제 1, 2상부 리브(316a, 316b)는 상부 유로 형성리브(328)로부터 제 1, 2메인 유로(301a, 301b)의 내측면에 돌출 연장되며, 후술할 메인 암 하부 하우징(340)에 형성되는 제 1, 2하부 리브(342a, 342b)와 접하여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 1, 2보조 유로(301c, 301d)에 형성되는 제 1, 2연장 상부 리브(325a, 325b)는 상부 유로 형성리브(328)로부터 제 1, 2보조 유로(301c, 301d)의 내측면에 돌출 연장되며, 후술할 메인 암 하부 하우징(340)에 형성되는 제 1, 2연장 하부 리브(352a, 352b )와 접하여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 2보조 유로(301c, 301d)에 형성되는 제 1, 2연장 상부 리브(325a, 325b)의 경우 제 1, 2보조 유로(301c, 301d)를 이동하는 세탁수가 제 1, 2연장부(300c, 300d)에 형성되는 제 1, 2토출구(324a, 324b)로 원활히 유입될 수 있도록 제 1, 2토출구(324a, 324b)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2보조 암 연결부(330a, 330b)는 제 1, 2상부 연장부(322a, 322b)의 단부에 제 1, 2연장부(300c, 300d)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2보조 암 연결부(330a, 330b)는 동일한 형태로 각기 대향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 1상부 연장부(322a)에 형성되는 제 1보조 암 연결부(330a)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 암의 보조 암 연결부를 타나낸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보조 암 연결부(330a)는 제 1상부 연장부(322a)의 제 1토출구(324a)에 연통되는 연장관(331)과, 연장관(331)의 단부에 연통되며 세척수의 유로를 상방향으로 전환하는 유로부(334)와, 유로부(334)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제 1보조 암(400a)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338)가 구비된다.
여기서, 연장관(331)의 외주면에는 제 1보조 암(400a)과의 수밀을 위하여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실링 리브(332a, 332b, 332c)와, 연장관(331)과 유로부(334) 사이에 구비되어 연장관(331)으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일부가 실링리브(332a, 332b, 332c)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연장관(331)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유로 형성돌기(333a)가 형성된다.
여기서, 실링 리브(332a, 332b, 332c) 및 유로 형성돌기(333a)의 경우 제 1보조 암(400a)의 내주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실링 리브(332a, 332b, 332c) 및 유로 형성돌기(333a)의 경우 제 1보조 암(400a)에 완전히 밀착될 경우 제 1보조 암(400a)이 마찰력에 의해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보조 암(400a)과 실링 리브(332a, 332b, 332c) 및 유로 형성돌기(333a)의 일정 간격을 형성하여 제 1보조 암(400a)의 회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수의 실링리브(332a, 332b, 332c) 중 적어도 한 쌍의 실링리브의 간격은 후술할 제 1보조 암(400a)에 형성되는 이물질 배출홀(419a)(도 13 참고)의 폭보다 같거나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 1보조 암(400a)에 형성되는 이물질 배출홀(41a)의 경우 제 1보조 암(400a)으로 세척수가 유입될 때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일부 세척수가 유로 형성돌기(333a)를 통하여 연장관(331)과 제 1보조 암(400a) 사이로 유입되며, 유입된 세척수는 연장관(331)과 제 1보조 암(400a) 사이로 유입된 이물질을 이물질 배출홀(419a)로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연장관(331)의 전방 상면과 후방 하면에는 상부 지지돌기(333b)와 하부 지지돌기(333c)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부 지지돌기(333b)와 하부 지지돌기(333c)는 제 1보조 암(400a)의 내부로 연장관(331)이 삽입될 때 삽입 오차에 의해 실링리브(332a, 332b, 332c) 및 유로 형성돌기(333a)가 파손되거나, 제 1보조 암(400a)이 결합된 상태에서 분사 암 어셈블리(100)가 이동될 때 실링리브(332a, 332b, 332c) 및 유로 형성돌기(333a)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부 지지돌기(333b)와 하부 지지돌기(333c)는 실링리브(332a, 332b, 332c) 또는 유로 형성돌기(333a)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나 비교적 넒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실링리브(332a, 332b, 332c) 또는 유로 형성돌기(333a)보다 강도가 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유로부(334)는 연장관(331)의 단부에서 연장되며 상부가 개방되는 소정 길이의 함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부(334)는 연장관(331)을 통과한 세척수가 제 1보조 암(400a)의 분사구(414a, 415a, 422a)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세척수의 방향을 상측 방향으로 전환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유로부(334)의 내측에는 유로부(33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유로 형성리브(335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유로 형성리브(335a)는 유로부(334)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유로부(334)의 내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유로부(334)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유로부(334)의 내부 부피를 축소하여 유로부(334)를 통과하는 세척수가 일시적으로 압력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유로 형성리브(335a)의 선단(즉, 연장관(331)을 향하는 측)에는 연장관(331)에서 유입되는 세척수와 함께 이물질이 유입되었을 경우 유로 형성리브(335a)에 이물질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장관(331) 측으로 하향 되는 경사부(335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로부(334)의 양측에는 유로부(334)에 가해지는 수평방향의 충격으로부터 유로부(334)를 보강하기 위하여 다수의 수평 보강리브(337a)가 형성되며, 유로부(334)의 상부 및 하부에도 유로부(334)에 가해지는 수직 방향의 충격 및 하중으로부터 유로부(334)를 보강하기 위하여 다수의 수직 보강리브(336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로부(334)에 가해지는 충격의 경우 수평 방향 보다는 수직 방향의 충격 및 하중이 더 크게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수평 보강리브(337a) 보다는 수직 보강리브(336a)의 개수가 더 많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직 보강리브(336a) 및 수평 보강리브(337a)의 경우 제 1보조 암(400a)의 내주면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로 형성리브(335a)의 기능과 동일하게 제 1보조 암(400a)의 내부 부피를 축소하여 제 1보조 암(400a)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압력을 일시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수직 보강리브(336a) 및 수평 보강리브(337a)의 외측부에는 제 1보조 암(400a)에 형성되는 분사구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함입홈(336b, 337b)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직 보강리브(336a) 및 수평 보강리브(337a)의 경우 제 1보조 암(400a)의 내측면에 삽입되며 제 1보조 암(400a)의 내주면에 근접되도록 형성되어 제 1보조 암(400a)의 회전시 제 1보조 암(400a)에 형성된 분사구(414a, 415a, 422a)가 수직 보강리브(336a) 및 수평 보강리브(337a)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직 보강리브(336a) 및 수평 보강리브(337a)의 외측부에는 제 1보조 암이 회전될 때 분사구(414a, 415a, 422a)로 세척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함입부(36b, 337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338)는 유로부(334)의 끝 단부에서 돌출 연장되어 제 1보조 암(400a)의 내측 끝단에 삽입되어 제 1보조 암(400a)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샤프트(339)는 제 1보조 암(400a)의 하중을 분산할 수 있도록 가능한 연장관(331)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샤프트(339)의 단부 일측에는 삽입키(338a)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삽입키(338a)는 제 1보조 암(400a)에 형성되는 키홈(417a)(도 14 참조)에 삽입되어 제 1보조 암(400a)이 샤프트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삽입키(338a)와 키홈(417a)은 제 1보조 암(400a)의 정상 설치상태에서는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1보조 암(400a)이 제 1보조 암 연결부(330a)에 결합될 때 상하면이 뒤집어진 상태로 삽입되어 샤프트(339)의 삽입키(338a)가 제 1보조 암(400a)의 키홈(417a)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되며 제 1보조 암(400a)이 완전히 삽입된 이후 상하면을 다시 뒤집어 샤프트(339)의 삽입키(338a)가 키홈(417a)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 암(300)의 메인 암 하부 하우징(340)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 암의 하부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인 암의 하부 하우징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암 하부 하우징(3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2메인 암(300a, 300b)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 1, 2하부 메인 암(341a, 341b) 및 제 1, 2연장부(300c, 300d)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 1, 2하부 연장부(351a, 351b)가 형성되며, 메인 암 하부 하우징(340)의 회전 중심 하부에는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2하부 메인 암(341a, 341b) 및 제 1, 2하부 연장부(351a, 351b)는 상술한 메인 암 상부 하우징의 제 1, 2상부 메인 암(312a, 312b) 및 제 1, 2상부 연장부(322a, 322b)에 대응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2하부 메인 암(341a, 341b) 및 제 1, 2하부 연장부(351a, 351b)의 형성 방향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메인 암 하부 하우징(340)의 상면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암 상부 하우징(310)의 융착리브(327)가 융착되는 융착 단턱(357)이 형성된다. 여기서 융착 단턱(357)은 제 1, 2메인 유로(301a, 301b) 및 제 1, 2보조 유로(301c, 301d)를 형성하도록 제 1, 2하부 메인 암(341a, 341b) 및 제 1, 2하부 연장부(351a, 351b)를 구획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의 중앙부에는 유입되는 세척수가 제 1, 2메인 유로(301a, 301b) 및 제 1, 2보조 유로(301c, 301d)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로를 구획하도록 십자 형태의 하부 유로 형성리브(354)가 형성된다.
한편, 제 1, 2메인 유로(301a, 301b) 및 제 1, 2보조 유로(301c, 301d)는 융착 단턱(357)의 내측(즉 각 유로를 형성하는 내측)으로 메인 암 상부 하우징(310)의 각 상부 리브(316a, 316b, 325a, 325b)에 접하여 제 1, 2메인 유로(301a, 301b) 및 제 1, 2보조 유로(301c, 301d)를 이동하는 세척수의 이동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다수의 하부리브(342a, 342b, 352a, 352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2하부 리브(342a, 342b)는 하부 유로 형성리브(335a)로부터 제 1, 2메인 유로(301a, 301b)의 내측면에 돌출 연장되며, 메인 암 상부 하우징(310)에 형성되는 제 1, 2상부 리브(316a, 316b)와 접하여 제 1, 2메인 유로(301a, 301b)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2연장 하부리브(352a, 352b)는 하부 유로 형성리브(335a)로부터 제 1, 2보조 유로(301c, 301d)의 내측면에 돌출 연장되며, 메인 암 상부 하우징(310)에 형성되는 제 1, 2연장 상부 리브(325a, 325b)와 접하여 제 1, 2보조 유로(301c, 301d)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2보조 유로(301c, 301d)에 형성되는 제 1, 2연장 하부 리브(352a, 352b)의 경우 제 1, 2보조 유로(301c, 301d)를 이동하는 세탁수가 제 1, 2연장부(300c, 300d)에 형성되는 제 1, 2토출구(324a, 324b)로 원활히 유입될 수 있도록 제 1, 2토출구(324a, 324b)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 양측 하부에 분사 암 홀더(600)가 결합되는 분사 암 홀더 결합돌기(356a)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에는 분사 암 홀더(600)의 메인 암 삽입부(610)가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분사 암 홀더(6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일측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분사 암 홀더(600)가 분사암 홀더 결합돌기(356a)에 거치되어 분사 암 홀더(600)가 고정되고, 분사 암 홀더(600)가 타측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분사 암 홀더(600)가 분사암 홀더 결합돌기(356a)에 이탈되어 분사 암 홀더(600)가 분리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암 하부 하우징의 하면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가 형성되며,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의 내측에는 하부 유로 형성리브(354)가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 유로 형성리브(354)에 의해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의 내측이 각각 제 1, 2메인 유로(301a, 301b) 및 제 1, 2보조 유로(301c, 301d)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 1, 2메인 유로 유입구(354a, 354b) 및 제 1, 3연장 유로 유입구(354c, 354d)로 구획된다.
여기서, 제 1, 2메인 유로 유입구(354a, 354b) 및 제 1, 3연장 유로 유입구(354c, 354d)는 각각 제 1, 2메인 유로(301a, 301b)와 제 1, 2보조 유로(301c, 301d)와 연통되며, 후술할 유로 전환부(700)에 의해 제 1, 2메인 유로 유입구(354a, 354b) 및 제 1, 3연장 유로 유입구(354c, 354d)가 순차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한편, 제 1하부 메인 암(341a)의 끝단부에는 분사 암 어셈블리(100)의 회전축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 분사구(343a)가 형성된다. 세척 분사구(343a)는 분사 암(200)의 회전시 회전축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조(10)의 하부 및 섬프 커버(50)에 잔류하는 이물질들이 필터 커버(60) 및 필터(7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1하부 메인 암의 중앙부에는 메인 암 상부 하우징(310)과 메인 암 하부 하우징(340)의 융착시 메인 암 하부 하우징(340)의 융착 방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특정 도형 또는 문자 형태의 하부 표시부(344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2하부 메인 암(341a, 341b)에는 각각 링크 부재(900)의 제 1, 2메인 링크(920a, 920b)가 왕복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2가이드 돌기(345a, 345b)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 1, 2가이드 돌기(345a, 345b)는 링크 부재(900)의 제 1, 2메인 링크(920a, 920b)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제 1, 2메인 링크(920a, 920b)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2확장 단턱(346a, 346b)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2하부 메인 암(341b)에는 편심 기어부(8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어 회전축(347b)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2가이드 돌기(345a, 345b)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 부재(900)는 기어 회전축(347b)에 결합된 편심 기어부(800)의 회전에 따라 제 1, 2가이드 돌기(345a, 345b)를 따라 왕복이동하게 된다. 또한 링크 부재(900)는 링크 부재(900)의 림형 몸체(910)에 분사 암 홀더(600)가 삽입된 상태로 분사 암 홀더(600)에 의해 이동이 제한 될 수 있다.
따라서 링크 부재(9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1, 2가이드 돌기(345a, 345b)와 편심 기어부(800)가 결합되는 기어 회전축(347b)과, 링크 부재(900)에 삽입되는 분사 암 홀더(600)의 중심은 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의 외주면으로는 제 1, 2하부 메인 암(341a, 341b) 및 제 1, 2하부 연장부(351a, 351b)의 사이로 연장되는 다수의 배수유로(356b)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배수유로(356b)는 메인 암 하부 하우징(340)의 상면에 형성되는 융착 단턱(357)을 따라 메인 암 하부 하우징(34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수유로(356b)는 분사 암(200)의 회전시 메인 암 하부 하우징(340)의 하면에 잔류하는 이물질 및 세척수가 분사 암(200)의 회전에 따라 원심력에 의해 메인 암 하부 하우징(340)에서 이탈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 암 어셈블리(100)의 주요 구성인 제 1, 2보조 암(400a, 400b)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암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암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2보조 암(400a, 400b)의 경우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갖으며, 제 1, 2보조 암(400a, 400b)에 형성되는 다수의 분사구(414a, 415a, 414b, 415b, 422a, 422b)의 형성 위치 및 형상에 있어서 다소의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 1, 2보조 암(400a, 400b)을 분리하여 설명하지 않으며 제 1보조 암(400a)을 대표로 하여 설명하며, 제 1보조 암(400a)과 다른 구조를 갖는 제 2보조 암(400b)에 대해서는 제 1보조 암(400a)의 설명시 추가하도록 한다.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보조 암(400a)은 제 1보조 암 연결부(330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링크 부재(900) 작동에 따라 회전되면서 제 1보조 암 연결부(330a)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보조 암 하우징(410a)과, 보조 암 하우징(410a)의 상부에 체결되어 보조 암(400a, 400b)의 상면을 형성하는 데코패널(430a)을 구비한다.
보조 암 하우징(410a)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보조 암 연결부(330a)가 삽입되는 보조 암 유로(412a)가 형성되는 보조 암 유로부(411a)와, 보조 암 유로부(411a)의 상측에서 보조 암 유로부(411a)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제 1연장부(300c)의 외곽 형상에 대응되어 대칭되는 형태의 확장리브(423a)(도 36 참조)가 형성된다.
여기서, 확장리브(423a)는 보조 암 유로부(411a)의 상면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보조 암 유로부(411a)의 길이 방향 양측에서 보조 암 유로부(411a)에 대하여 하향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확장리브(423a)의 외측면에는 데코패널(430a)이 고정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보조 암 유로부(411a)의 상측에는 제 1보조 암(400a)에 대하여 비교적 수직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 1보조 분사구(414a)와, 제 1보조 암(400a)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 1보조 암(400a)에 의해 세척수가 분사될 때 분사 암(200)이 회전할 수 있는 추력을 발생시키는 제 1보조 경사 분사구(415a)가 형성될 수 있다.
데코패널(430a)은 보조 암 하우징(410a)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소정 두께의 광택이 있는 금속판 재질로 보조 암 하우징(410a)의 상면 굴곡 형상에 대응되도록 프레스 성형될 수 있다.
한편, 데코패널(430a)의 내측부에는 보조 암 하우징(410a)의 제 1보조 분사구(414a) 또는 제 1보조 경사 분사구(415a)에 대응되는 위치로 제 1보조 분사구(414a) 또는 제 1보조 경사 분사구(415a)가 노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홀(431a, 432b, 432c)이 형성된다.
그리고 데코패널(430a)의 외주면에는 데코패널(430a)의 설치시 보조 암 하우징(410a)의 확장리브(423)에 거치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핀(434a)이 형성된다. 고정핀(434a)은 확장리브(423)의 하측 내부로 휘어지면서 데코패널(430a)을 보조 암 하우징(410a)에 고정한다. 다르게는 고정핀(434a)에 더하여 데코패널(430a)과 보조 암 하우징(410a) 사이에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데코패널(430a)을 보조 암 하우징(410a)에 부착 고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보조 암 유로부(411a)의 하부에는 링크 부재(900)의 제 1보조 링크(950a)가 결합되는 회동돌기(425a)가 형성된다. 회동돌기(425a)의 끝단에는 회동돌기(425a)에서 절곡되어 제 1보조 링크(950a)의 하면을 거치하는 이탈방지돌기(427a)가 형성된다. 이탈방지돌기(427a)는 제 1보조 링크(950a)와의 결합성을 위하여 분사 암(200)의 중심측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탈방지돌기(427a)는 적어도 제 1보조 링크(950a)에 형성되는 제 1회동장홀(971a)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링크 부재(900)의 설치시 제 1회동장홀(971a)에 거치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도 35 참조).
한편, 제 1보조 분사구(414a) 및 제 1보조 경사 분사구(415a)는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 영역을 확장시키기 위하여 원형의 홀 또는 슬롯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보조 분사구(414a) 및 제 1보조 경사 분사구(415a)의 분사 방향은 제 1보조 암(400a)의 회전시에도 항상 분사 암(200)이 회전될 수 있는 추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제 1보조 암(400a)의 회전에 따라 제 1보조 분사구(414a) 또는 제 1보조 경사 분사구(415a)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한 추력의 크기는 증감될 수 있으나 제 1보조 분사구(414a) 또는 제 1보조 경사 분사구(415a)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한 추력의 방향은 항상 일정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암 유로(412a)의 내측 끝 단부에는 제 1보조 암 연결부(330a)의 샤프트(339)가 삽입되는 결합홀(416a)이 형성되며, 결합홀(416a)의 일측에는 샤프트(339)에 형성된 삽입키(338a)가 삽입되는 키홈(417a)이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홀(416a)에 형성되는 키홈(417a)은 제 1보조 암(400a)의 정상 설치 상태에서의 삽입키(338a)의 위치에 대향되는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보조 암(400a)은 설치시 상/하가 뒤집어진 상태에서 제 1보조 암 연결부(330a)가 삽입되어 제 1보조 암 연결부(330a)의 샤프트(339)가 결합홀(416a)에 삽입됨과 동시에 샤프트(339)의 삽입키(338a)가 결합홀(416a)의 키홈(417a)에 삽입된다.
이후 제 1보조 암(400a)에 제 1보조 암 연결부(330a)가 완전히 삽입되면 제 1보조 암(400a)을 회전시켜 결합홀(416a)의 키홈(417a)의 위치가 샤프트(339)의 삽입키(338a)의 위치와 이격되도록 하여 제 1보조 암(400a)이 제 1보조 암 연결부(330a)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한편 제 1보조 암(400a)의 결합홀(416a)의 외측에는 결합홀(416a) 및 키홈(417a)으로 배출되는 세척수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반사판(418a)이 형성된다. 제 1보조 암(400a)의 결합홀(416a) 및 키홈(417a)의 경우 세척수가 이동되는 보조 암 유로(412a)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 1보조 암(400a)의 제 1보조 분사구(414a) 또는 제 1보조 경사 분사구(415a)에서 세척수가 분사될 때 결합홀(416a) 및 키홈(417a)으로도 소량의 세척수가 배출될 수 있으며 결합홀(416a) 및 키홈(417a)으로 배출되는 세척수는 의도하지 않는 세척조(10)의 내벽으로 비산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홀(416a) 및 키홈(417a)으로 배출되는 세척수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섬프 커버(50)로 낙하될 수 있도록 반사판(418a)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암 유로부(411a)의 선단부(즉, 제 1보조 암 연결부(330a)의 연장관(331)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보조 암 유로부(411a)의 보조 암 유로(412a)로 유입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이물질 배출홀(419a)이 형성된다. 이물질 배출홀(419a)은 제 1보조 암 연결부(330a)의 연장관(331)에 형성된 다수의 실링 리브(332a, 332b, 332c) 중 적어도 한 쌍의 실리리브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 1보조 암(400a)의 보조 암 유로(412a)로 세척수가 유입될 때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일부 세척수가 유로 형성돌기(333a)를 통하여 연장관(331)과 제 1보조 암(400a) 사이로 유입되며, 유입된 세척수는 연장관(331)과 제 1보조 암(400a) 사이로 유입된 이물질을 이물질 배출홀(419a)로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보조 암(400a)의 경우 분사 암(200)의 회전에 따라 제 1보조 암 연결부(330a)를 축으로 하여 왕복 회전운동을 수행하며 제 1보조 분사구(414a) 및 제 1보조 경사 분사구(415b)에서 세척수를 분사함으로 분사구(414a, 415a)에 의해 발생되는 추력이 일정한 주기를 갖으며 증감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제 1보조 암(400a)의 추력변화는 분사 암(200)의 회전 속도를 가변시키거나 세척수에 의한 세척 효율을 저하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보조 암(400a)의 세척수 분사에 따른 추력을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보조 암 유로부(411a)의 단부에는 제 1보조 암(400a)의 추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 1추력 분사구(422a)(도 12 참고)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추력 분사구(422a)는 제 1보조 암(400a)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제 1보조 경사 분사구(415a)에 의해 발생되는 추력보다 큰 추력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 1추력 분사구(422a)의 경우 제 1보조 암(400a)의 추력 발생을 위로 형성되는 것이나 추가적으로 세척조(10) 외곽부분을 세척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 1추력 분사구(422a)로의 세척수 공급을 위하여 보조 암 유로(412a)의 단부에는 보조 암 유로(412a)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보조 암 분지유로(413a)(도 14(c) 참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암 분지유로(413a)는 세척수가 이동되는 유로의 단면적으로 축소함으로써 제 1추력 분사구(422a)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압력을 증대 시킬 수 있다.
한편, 제 1, 2보조 암(400a, 400b)의 경우 외형적으로 매우 유사한 구조를 갖으나 실질적으로 제 1보조 분사구(414a) 및 제 1보조 경사 분사구(415a)의 위치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2보조 암(400a, 400b)에 형성되는 제 1, 2보조 분사구(414a, 414b) 및 제 1, 2보조 경사 분사구(415a, 415b)의 경우 분사 암(200)의 회전시 각기 다른 분사 영역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2보조 암 연결부(330a, 330b)에 각각 동일한 제 1보조 암(400a)(또는 제 2보조 암(400b))이 설치될 경우 설치된 제 1보조 암(400a)(또는 제 2보조 암(400b))에 의해 동일한 분사 영역을 갖게 되어 세척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2보조 암(400a, 400b)을 구별하기 위하여 보조 암 표시부(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암 표시부는 보조 암 하우징(410a)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특정 도형 또는 문자 형태의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는, 보조 암 하우징(410a)을 형성하는 확장리브(423)의 강도 보강을 위하여 별도의 보강리브(424a)(도 13 참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2보조 암(400a, 400b)에 형성되는 보강리브(424a)의 형성위치를 다르게 함으로써 제 1, 2보조 암(400a, 400b)을 구별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보조 암(400a)에 형성되는 보강리브(424a)의 설치 위치가 L1일 경우 제 2보조 암(400b)에 형성되는 보강리브(424a)의 설치 위치를 L2로 하여 제 1, 2보조 암(400a, 400b)을 구별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 1보조 암(400a)의 끝단부의 하면은 분사 암(200)의 외측방향으로 소정 각도(D3) 상향되는 상향 경사면(428a)(도 14(a)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상향 경사면(428a)은 분사암의 회전 및 정지 시에 세척조(10)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 암 어셈블리(100)의 고정 기어부(500)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 기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 기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D'-D"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기어부(500)는 메인 암 하부 하우징(340)에 형성된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가 회전가능하게 관통하고 외주면에 다수의 제 1기어이(512)가 형성되는 림부(510)와, 림부(510)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섬프 커버(50)의 결합보스(51)에 결합되는 체결부(530)와, 림부(510)의 일측에 하향 연장되어 고정 기어부(500) 내측을 차폐하는 차폐리브(520)가 형성된다.
여기서, 림부(510)는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의 외주면보다 확장되는 링 형태로 상부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제 1기어이(512)가 형성되며, 림부(510)의 내주면에는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와의 간격 유지 및 마찰 방지를 위하여 적어도 3개 이상의 유격 유지돌기(51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한편, 제 1기어이(512)의 상면 및 제 1기어이(512)가 형성되는 림부(510)의 상면은 림부(510)의 외측으로 소정 각도(D4)로 하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세척수에 의한 세척시 제 1기어이(512)의 상부로 세척수 및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으며 유입된 세척수 및 이물질의 배수 및 배출을 위하여 제 1기어이(512)의 상면 및 제 1기어이(512)가 형성되는 림부(510)의 상면이 림부(510)의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림부(510)의 하면은 분사 암 홀더(600)의 이탈 방지부(620)에 접하는 지지면(516)이 형성되며, 지지면(516)은 림부(510)의 중심측으로 상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분사 암(200)의 회전시 분사 암(200)에 결합된 분사 암 홀더(600)가 같이 회전되며 분사 암 홀더(600)는 섬프 커버(50)의 분사 암 홀더 안착부(53)에 삽입된 상태에서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압력을 받으며 부유 상태로 회전된다. 여기서 분사 암 홀더(600)는 분사 암 홀더(600)와, 분사 암 홀더(600) 사이의 유격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림부(510)의 지지면(516)은 분사 암 홀더(600)가 분사 암의 회전에 따라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상승할 때 분사 암 홀더(600)의 이탈 방지부(620)가 지지면(516)의 경사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530)는 림부(510)의 양측에서 림부(510)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섬프 커버(50)의 결합보스(51)가 삽입되는 체결홀(532)이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부(532)는 별도의 체결부제(예를 들어 나사 등, 미도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차폐리브(520)는 림부(510)의 전방측(즉, 도어(30) 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고정 기어부(500) 내측에 위치하는 분사 암 홀더(600)를 차폐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차폐리브(520)는 차폐리브(520)의 전방에 위치하는 필터(70) 및 필터 커버(60)의 착탈시 고정 기어부(500)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 암 어셈블리(100)의 분사 암 홀더(600)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 암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 암 홀더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 암 홀더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 암 홀더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사 암 홀더(600)는 분사 암(200)의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에 삽입되며 유로 전환부(700)의 설치 공간을 형성하는 메인 암 삽입부(610)와, 메인 암 삽입부(6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에 고정되며 고정 기어부(500)의 지지면(516)에 거치되는 이탈 방지부(620)와, 메인 암 삽입부(610)의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섬프 커버(50)의 분사 암 홀더 안착부(53)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섬프 삽입부(630)를 구비한다.
여기서 메인 암 삽입부(610)는 외주면이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의 내주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유로 전환부(700)가 삽입되는 밸브 챔버(612)가 형성된다. 밸브 챔버(612)의 하면에는 유로 전환부(700)의 하부 경사돌기(730a, 730b, 730c, 730d)에 접하여 유로 전환부(700)를 회전시키는 다수의 지지돌기(614)가 형성되며, 밸브 챔버(612)의 하부 중앙에는 세탁수가 유입되는 중공이 형성된다.
여기서, 지지돌기(614)는 분사 암(200)에 형성되는 유로의 개수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2메인 유로(301a, 301b)와 제 1, 2보조 유로(301c, 301d)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적어도 4개의 지지돌기(61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지지돌기(614)는 제 1, 2메인 암 유입구(354a, 354b) 및 제 1, 2연장부 유입구(354c, 354d)를 형성하는 하부 유로 형성리브(354)에 형성 각도에 대하여 30도-45도 내외로 회전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탈 방지부(620)는 메인 암 삽입부(610)의 하부에서 메인 암 삽입부(610)보다 확장되며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의 하단이 접하는 메인 암 안착부(622)가 형성되며, 메인 암 안착부(622)의 외주면에는 분사 암 홀더(600)를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에 장착하기 위한 손잡이부(624)가 형성된다.
여기서, 메인 암 안착부(622)의 내주면에는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의 외주면에 형성된 분사 암 홀더 결합돌기(356a)에 거치되는 걸림돌기(622a)가 형성되며, 분사 암 홀더 결합돌기(356a)와 걸림돌기(622a)는 분사 암 홀더(600)의 회전에 따라 고정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손잡이부(624)의 상면에는 이탈 방지부(620)가 고정 기어부(500)의 지지면(516)에 접하며 회전될 때 지지면(516)과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수의 마찰방지돌기(626)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손잡이부(624)의 외주면에는 분사 암 홀더(600)의 장착시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다수의 걸림홈(624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메인 암 삽입부(610)의 하면에는 분사 암 홀더(600)가 분사 암 홀더 안착부(53)에 삽입되었을 때 분사 암 홀더 안착부(53)의 지지보스(55)와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마모 방지리브(616)가 형성된다.
한편, 섬프 삽입부(630)는 메인 암 삽입부(610) 하면 중앙에 연통되어 형성되며 섬프에서 공급되는 세척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섬프 삽입부(630)의 하단부는 섬프 커버(50)의 분사 암 홀더 안착부(53)에 형성되는 안착 리브(57)에 안착될 수 있도록 확장되는 확장부(636)가 형성된다.
그리고 섬프 삽입부(630)의 외주면 하측에는 분사 암 홀더 안착부(53)의 내주면 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실링 리브(634)가 형성되며, 섬프 삽입부(630)의 외주면 상측에는 분사 암 홀더 안착부(53) 내주면과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다수의 간격유지돌기(6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 암 어셈블리(100)의 유로 전환부(700)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로 전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로 전환부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 기어부, 암 홀더, 유로 전환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2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 전환부(700)는 분사 암 홀더(600)의 밸브 챔버(612)에 삽입되는 원판 형상의 회전판(710)과, 회전판(710) 상부에 형성되며 메인 암 하부 하우징(340)의 하부 유로 형성리브(354)에 삽입되어 회전판(710)을 회전시키는 제 1, 2, 3, 4상부 경사돌기(720a, 720b, 720c, 720d)와, 회전판(710) 하부에 형성되며 분사 암 홀더(600)의 밸브 챔버(612)에 형성된 지지돌기(614)에 거치되어 회전판(710)을 회전시키는 제 1, 2, 3, 4하부 경사돌기(730a, 730b, 730c, 730d)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판(710)은 분사 암 홀더(600)의 밸브 챔버(612)의 내부에 수용되며, 밸브 챔버(612)를 통과하는 세척수의 수압에 따라 밸브 챔버(612)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돌 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판(710)은 밸브 챔버(612)의 단면 형상과 대응하도록 디스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회전판(710)의 외주면에는 밸브 챔버(612)의 내주면과의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다수의 간격 유지돌기(712)가 형성된다.
한편, 회전판(710)의 제 1, 3상부 경사돌기(721a, 721c)의 외측에 세척수가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제 1, 2개방홀(722a, 722c)이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상부 경사돌기(720a, 720b, 720c, 720d)가 메인 암 하부 하우징(340)의 하부 유로 형성리브(354)에 삽입될 경우 제 1, 2개방홀(722a, 722c)은 메인 암 하부 하우징(340)의 제 1, 2메인 암 유입구(354a, 534b) 또는 제 1, 2연장부 유입구(354c, 354d)와 연통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2, 3, 4상부 경사돌기(720a, 720b, 720c, 720d)는 메인 암 하부 하우징(340)의 하부 유로 형성리브(354)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2메인 암 유입구(354a, 534b) 및 제 1, 2연장부 유입구(354c, 354d)의 위치에 대응 되는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2, 3, 4상부 경사돌기(720a, 720b, 720c, 720d)는 회전판(710)의 중심과 회전판(710)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제 1, 2개방홀(722a, 722c)은 제 1, 2, 3, 4상부 경사돌기(720a, 720b, 720c, 720d) 중 서로 마주보는 제 1, 3상부 경사돌기(720a, 720c)의 외측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3상부 경사돌기(720a, 720c)와 회전판(710) 사이에는 제 1, 2회전 경사면(721a, 721b)이 더 형성된다. 제 1, 2회전 경사면(721a, 721b)은 유로 전환부(700)의 상승 및 하강시 제 1, 2개방홀(722a, 722c)을 통과하는 세척수에 의해 유로 전환부(7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 저항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세척수의 공급시 제 1, 2개방홀(722a, 722c)을 통과하는 세척수에 의해 유로 전환부(700)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세척수의 공급 중단시에도 유로 전환부(700)가 하중에 의해 내려갈 때 제 1, 2개방홀(722a, 722c)을 통과하는 세척수에 의해 유로 전환부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제 2, 4상부 경사돌기(720b, 720d)의 내측에는 제 2, 4상부 경사돌기(720b, 720d)에 대하여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 1, 2메인 암 유입구(354a, 534b)(또는 제 1, 2연장부 유입구(354c, 354d))를 밀폐하는 제 1, 2유입 방지돌기(726a, 726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2유입 방지돌기(726a, 726b)는 제 1, 2개방홀(722a, 722c)에 의해 제 1, 2메인 암 유입구(354a, 534b)(또는 제 1, 2연장부 유입구(354c, 354d))가 개방되었을 때 제 1, 2연장부 유입구(354c, 354d)(또는 제 1, 2메인 암 유입구(354a, 534b))에 삽입되어 개방되지 않는 유입구를 밀폐 할 수 있다.
또한, 제 1, 2, 3, 4상부 경사돌기(720a, 720b, 720c, 720d)는 각각 제 1상부 경사면(723a)과 제 2상부 경사면(723b)이 형성되며 제 1, 2상부 경사면(723a, 725a) 사이에는 상부 모서리(727a)가 형성된다.
여기서, 유로 전환부(700)의 회전 방향의 제 1상부 경사면(723a)이 형성되고,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행에 제 2상부 경사면(725a)이 형성된다. 제 1, 2상부 경사면(723a, 725a)의 경우 각기 다른 기울기로 형성되며 제 1상부 경사면(723a)의 경사 각도가 제 2상부 경사면(725a)의 경사 각도보가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1, 2, 3, 4하부 경사돌기(730a, 730b, 730c, 730d)는 밸브 챔버(612)에 구비되는 지지돌기(614)에 안착되어 회전판(710)을 회전시키도록 마련된다. 제 1, 2, 3, 4하부 경사돌기(730a, 730b, 730c, 730d)는 회전판(710)의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90도 간격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2, 3, 4하부 경사돌기(730a, 730b, 730c, 730d)는 각각 제 1, 2하부 경사면(733a, 735a)과 제 1, 2하부 경사면(733a, 735a)의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 모서리(737a)가 형성된다.
여기서, 유로 전환부(700)의 회전 방향의 제 1하부 경사면(733a)이 형성되고,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행에 제 2하부 경사면(735a)이 형성된다. 제 1, 2하부 경사면(733a, 735a)의 경우 각기 다른 기울기로 형성되며 제 1하부 경사면(733a)의 경사 각도가 제 2하부 경사면(735a)의 경사 각도보가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유로 전환부(700)에 의해 제 1, 2메인 암 유입구(354a, 354b) 또는 제 1, 2연장부 유입구(354c, 354d)가 개방 또는 폐쇄하는 구체적인 과정에 대해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5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로 전환부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다.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 암 홀더(600)의 섬프 삽입부(630)에 형성된 유입부(638)를 통해 세척수가 공급되면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밸브 챔버(612)에 위치하는 유로 전환부(700)가 상측으로 이동된다.
유로 전환부(700)가 상승함에 따라 유로 전환부(700)에 구비되는 제 1, 2, 3, 4상부 경사돌기(720a, 720b, 720c, 720d)는 메인 암 하부 하우징(340)에 형성된 하부 유로 형성리브(354)의 제 1, 2메인 암 유입구(354a, 354b) 및 제 1, 2연장부 유입구(354c, 354d)에 각각 삽입된다.
이때, 유입부(638)로 유입된 세척수는 제 1개방홀(722a)을 통과하여 제 1메인 암 유입구(354a)로 유입되고, 제 2개방홀(722c)을 통과한 세척수는 제 2메인 암 유입구(354b)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제 1연장부 유입구(354c) 및 제 2연장부 유입구(354d)는 회전판(710)에 의해 폐쇄된다. 이에 따라, 제 1, 2연장부 유입구(354c, 354d)를 통한 세척수 유입이 차단된다.
한편, 세척수의 공급이 중단되면 유로 전환부(70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세척수의 압력이 제거되면서 유로 전환부(700)가 자중에 의해 하강된다. 이때 하강하는 유로 전환부(700)의 제 1, 2개방홀(722a, 722c)로 세척수가 통과하게 되며 제 1, 2개방홀(722a, 722c)에 형성된 제 1, 2회전 경사면(721a, 721b)에 의해 유로 전환부(700)가 일측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된다.
이에 따라, 유로 전환부(700)에 구비되는 제 1, 2, 3, 4하부 경사돌기(730a, 730b, 730c, 730d)는 분사 암 홀더(600)에 구비되는 지지돌기(614)를 미끄러지면서 일측 방향으로 소정 각도 더 회전되어 지지돌기(614)에 거치된다.
여기서, 유로 전환부(700)가 하강할 때에는 제 1, 2, 3, 4하부 경사돌기(730a, 730b, 730c, 730d)가 지지돌기(614)에 거치되면서, 유로 전환부(700)가 일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한다.
이때, 유로 전환부(700)는 대략 90도 정도 회전할 수 있다. 이는, 제 1, 2, 3, 4하부 경사돌기(730a, 730b, 730c, 730d)에 구비된 제 1, 2하부 경사면(733a, 735a)이 회전판(710)의 원주 상에서 90도의 각도만큼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유로 전환부(700)가 하강한 이후 다시 섬프 삽입부(630)에 형성된 유입부(638)를 통해 세척수가 유입되면, 유로 전환부(700)가 상승함에 따라 유로 전환부(700)에 구비되는 제 1, 2, 3, 4상부 경사돌기(720a, 720b, 720c, 720d)는 메인 암 하부 하우징(340)에 형성된 하부 유로 형성리브(354)의 제 1, 2메인 암 유입구(354a, 354b) 및 제 1, 2연장부 유입구(354c, 354d)에 각각 삽입된다.
여기서, 세척수가 공급됨에 따라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유로 전환부(700)가 상승하게 되며, 상승되는 유로 전환부(700)의 제 1, 2개방홀(722a, 722c)로 세척수가 통과한다. 여기서, 제 1, 2개방홀(722a, 722c)을 통과하는 세척수는 제 1, 2개방홀(722a, 722c)에 형성되는 제 1, 2회전 경사면(721a, 721b)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세척수에 의해 제 1, 2회전 경사면(721a, 721b)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유로 전환부(700)가 일측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된다.
이때 유로 전환부(700)의 제 1, 2, 3, 4상부 경사돌기(720a, 720b, 720c, 720d)가 유로 형성리브(335a)의 제 1, 2메인 암 유입구(354a, 354b) 및 제 1, 2연장부 유입구(354c, 354d)에 삽입되면서 유로 전환부(700)가 일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 더 회전한다.
이때, 유로 전환부(700)는 대략 90도 정도 회전할 수 있다. 이는, 제 1, 2, 3, 4상부 경사돌기(720a, 720b, 720c, 720d)에 구비된 제 1, 2상부 경사면(723a, 725a)이 회전판(710)의 원주 상에서 90도의 각도만큼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이때, 유로 전환부(700)의 제 1, 2개방홀(722a, 722c)은 제 1, 2메인 암 유입구(354a, 354b)가 아닌 제 1, 2연장부 유입구(354c, 354d)를 연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유입부(638)로 유입된 세척수는 제 1개방홀(722a)을 통과하여 제 1연장부 유입구(354c)로 유입되고, 제 2개방홀(722c)을 통과한 세척수는 제 2연장부 유입구(354d)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제 1메인 암 유입구(354a) 및 제 2메인 암 유입구(354b)는 회전판(710)에 의해 폐쇄된다. 이에 따라, 제 1, 2메인 암(300a, 300b)을 통한 세척수 유입이 차단된다.
섬프에 구비되는 급수펌프는 세척수 공급시 세척수를 단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정시간 동안 분사 암 홀더(600)로 세척수를 공급한 뒤, 일정시간 동안 세척수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즉, 섬프는 세척수의 공급 및 중단을 교번하여 수행한다. 따라서 유로 전환부(700)는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면서 회전함에 따라, 제 1, 2메인 암 유입구(354a, 354b)와 제 1, 2연장부 유입구(354c, 354d)를 교대로 개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 암 어셈블리(100)의 편심 기어부(800)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심 기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심 기어부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고, 도 2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심 기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심 기어부(800)는 외주면에 다수의 제 2기어이(812)가 형성되는 림부(810)와, 기어 회전축(347b)이 수용되는 회전축 지지돌기(820)와, 링크 부재(900)에 삽입되어 링크 부재(900)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편심돌기(8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림부(810)는 링 형태로 형성되며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제 2기어이(812)가 형성되며, 림부(810)의 하면에는 편심 기어부(800)를 지지하는 링크 부재(900)의 편심 기어 수용부(940)와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마찰 방지리브(816)가 돌출 연장되어 형성된다.
한편, 제 2기어이(812)의 상면은 림부(810)의 외측으로 소정 각도(D5)로 하향되도록 경사지는 경사면(814)이 형성된다. 즉, 세척수에 의한 세척시 제 2기어이(812)의 상부로 세척수 및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으며 유입된 세척수 및 이물질의 배수 및 배출을 위하여 제 2기어이(812)의 상면이 림부(810)의 외측으로 소정 각도(D5)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81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회전축 지지돌기(820)는 편심 기어부(800)를 형성하는 림부(810)의 내주면에서 다수개가 돌출되어 메인 암 하부 하우징(340)의 제 2하부 메인 암(341b)에 형성된 기어 회전축(347b)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회전축 지지돌기(834)는 기어 회전축(347b)과 선접촉하여 기어 회전축(347b)과의 마찰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회전축 지지돌기(820)의 경우 편심 기어부(800)의 림부(810)의 내주면에서 다수개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즉, 회전축 지지돌기(820)의 사이에는 다수의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축 지지돌기(820) 사이의 공간은 회전축 지지돌기(820)가 탄성 변형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즉, 편심 기어부(800)의 림부(810)에 외력이 작용할 경우 회전축 지지돌기(820)가 인접한 공간으로 변형되면서 림부(810)가 변형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회전축 지지돌기(820)의 각 끝단부에는 기어 회전축(347b)과의 지지상태를 확보하기 위한 돌출부(822)가 형성된다. 회전축 지지돌기(820)에 의한 기어 회전축(347b) 지지의 경우 편심 기어부(800)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 지지돌기(820) 사이의 공간의 유격 때문에 편심 기어부(800)의 유동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기어 회전축(347b)의 지지상태를 확보하기 위하여 돌출부(822)가 소정 높이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822)의 경우 편심 기어부(800)의 설치 위치를 확보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편심 기어부(800)의 경우 제 2하부 메인 암(341b)의 하부에 설치되며, 링크 부재(90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한편, 제 2하부 메인 암(341b)의 하부에는 링크 부재(900)가 위치하며 적어도 링크 부재(900)의 두께 만큼 편심 기어부(800)의 설치 위치가 하향되거나 편심 기어부(800)의 두께를 증가 시켜야 된다. 따라서 돌출부(822)를 링크 부재의 두께 보다 두꺼운 높이(L3)로 형성함으로써 편심 기어부(800)의 두께를 늘리지 않고 편심 기어부(800)의 설치 위치를 확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돌출부(822)의 끝 단부에는 기어 회전축(347b)에 원주 방향으로 선접촉하는 회전축링(82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 지지돌기(820)에 돌출부(822)를 형성하여 기어 회전축(347b)의 지지상태를 어느 정도 추가 확보할 수 있으나 돌출부(822)의 경우 회전축 지지돌기(820)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회전축 지지돌기(820) 및 돌출부(822) 사이의 공간의 유격 때문에 편심 기어부(800)의 비교적 유동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기어 회전축(347b)의 지지상태를 더욱 확보하기 위하여 회전축링(82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편심돌기(830)는 편심 기어부(800)의 하부에서 편심 기어부(800)의 회전축에서 소정 간격(L4) 이격되어 연장 돌출된다. 또한, 편심돌기(830)는 편심 기어부(800)가 수용되는 링크 부재(900)의 편심 기어 수용부(940)의 삽입된다. 따라서 적어도 편심 기어 수용부(940)의 두께보다 두꺼운 높이(L5)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편심돌기(830)는 편심 기어부(800)가 고정 기어부(500)에 치합되어 고정 기어부(500)의 외주면을 따라 공전 및 자전할 때 편심 기어부(800)의 회전력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하여 링크 부재(900)로 전달한다.
여기서, 편심돌기(830)와 회전축 사이의 간격 L4는 링크 부재(900)의 왕복 이동거리에 연관되며, 링크 부재(900)에 의해 왕복 회전되는 제 1, 2보조 암(400a, 400b)의 회전 각도에 연관된다. 즉, 편심돌기(830)와 회전축 사이의 간격이 커질수록 링크 부재(900)의 왕복 이동거리가 커지며 링크 부재(900)의 왕복 이동거리가 커짐에 따라 제 1, 2보조 암(400a, 400b)의 회전 각도도 커질 수 있다.
여기서, 편심돌기(830)는 편심 기어부(800)의 회전축 지지돌기(820)에서 돌출부(822)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편심돌기(830)의 편심 위치가 회전축 지지돌기(820)에 의해 지지되는 기어 회전축(347b)의 삽입 영역과 중복될 경우 편심돌기(830)의 내측(즉, 기어 회전축(347b)이 삽입되는 영역)에는 기어 회전축(347b)이 삽입되는 위한 회전축홈(83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홈(832)의 경우 회전축 지지돌기(834)와 마찬가지로 기어 회전축(347b) 외주면과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어 회전축(347b)의 외주면에 선접촉하여 기어 회전축(347b)을 지지하는 회전축홈 지지돌기(83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편심 기어부(800)를 형성하는 림부(810), 회전축 지지돌기(820), 편심돌기(83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일체로 사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편심 기어부(800)를 형성하는 림부(810), 회전축 지지돌기(820), 편심돌기(830) 중 적어도 하나는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되어 조립 될 수 있다.
이하, 고정 기어부와 편심 기어부의 결합상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기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 기어부 및 회전 기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0 내지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심 기어부(800)는 메인 암 하부 하우징(340)의 제 2하부 메인 암(341b)에 형성된 기어 회전축(347b)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링크 부재(900)의 편심 기어 수용부(940)에 의해 지지되며, 편심 기어부의 제 2기어이(812)의 경우 고정 기어부(500)의 제 1기어이(512)와 치합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편심 기어부(800)에 형성되는 제 2기어이(812)와 고정 기어부(500)에 형성되는 제 1기어이(512)의 개수는 분사 암(200)의 회전과 제 1, 2보조 암(400a, 400b)의 회전운동에 연관되어 질 수 있다.
여기서, 고정 기어부(500)의 제 1기어이(512)와 편심 기어부(800)의 제 2기어이(812)가 특정 배수관계에 있을 경우 분사 암(200)의 회전과 주기와, 제 1, 2보조 암(400a, 400b)의 회전 운동 패턴이 제 1, 2기어이(512, 812)의 배수관계 따라 특정 주기를 갖게 될 수 있다.
즉, 제 1, 2기어이(512, 812)의 배수관계에 있을 경우 분사 암(200)의 회전 위치에 따른 제 1, 2보조 암(400a, 400b)의 회전 운동이 항상 일정하게 반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2보조 암(400a, 400b)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 패턴도 항상 일정한 위치로 반복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경우 분사 암(20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 패턴과, 제 1, 2보조 암(400a, 400b)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 패턴 및 영역이 특정 주기로 반복되어 제 1, 2보조 암(400a, 400b)에 의해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위치가 항상 일정한 위치에 분사된다.
즉, 제 1, 2보조 암(400a, 400b)에 의해 분사되는 세척수가 일정한 영역만을 세척할 수밖에 없는 경우 제 1, 2보조 암(400a, 400b)에 의한 세척수 분사 영역이 제한되어 제 1, 2보조 암(400a, 400b)에 의한 세척력의 저하를 갖고 올 수밖에 없으며, 제 1, 2보조 암(400a, 400b)에 의한 세척수의 분사 패턴이 일정해지면 세척수의 분사 범위도 일정해지며 이는 식기 세척기(1)의 세척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 2보조 암(400a, 400b)에 의해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패턴을 보다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고정 기어부(500)의 제 1기어이(512)의 개수와 편심 기어부(800)의 제 2기어이(812)의 개수를 서로소(relative prime) 관계로 형성할 수 있다. 고정 기어부(500)의 제 1기어이(512)의 개수와 편심 기어부(800)의 제 2기어이(812)의 개수를 서로소 관계로 형성할 경우 고정 기어부(500)와, 편심 기어부(800)의 회전 패턴 주기가 제 1, 2기어이(512, 812)의 배수관계보다 매우 길어져 제 1, 2보조 암(400a, 400b)에 의해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패턴이 다양해 질 수 있다.
한편, 편심 기어부(800)의 제 2기어이(812)의 경우 고정 기어부(500)의 제 1기어이(512)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을 갖고 있으며, 제 1기어이(512)와의 마찰에 의해 제 2기어이(812)에 언더 컷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기어이(812)의 경우 마찰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언더 컷홈(812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기어이(512)가 형성되는 고정 기어부(500)와 제 2기어이(812)가 형성되는 편심 기어부(800)의 경우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경우 상호 마찰에 의한 동일한 마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정 기어부(500)와 편심 기어부(800)의 유지보수에 불합리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제 1기어이(512)가 형성되는 고정 기어부(500)와 제 2기어이가 형성되는 편심 기어부(800)를 각기 다른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기어부(500)의 재질이 편심 기어부(800)의 재질보다 단단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고정 기어부(500)의 제 1기어이(512)와, 편심 기어부(800)의 제 2기어이(812) 사이에는 세척시 발생하는 이물질 등이 끼어 편심 기어부(800)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될 수 있다. 편심 기어부(800)가 회전 불가능하게 된 경우, 고정 기어부(500)와 편심 기어부(800)가 맞물려 있으면 편심 기어부(800)가 분사 암(20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편심 기어부(800)의 경우 기어 회전축(347b)에 다수의 회전축 지지돌기(820)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회전축 지지돌기(820)는 각 회전축 지지돌기(820) 사이에 간격(L5)이 형성되어 있어 간격(L5) 공간으로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편심 기어부(800)의 제 2기어이(812)와 고정 기어부(500)의 제 1기어이(512) 사이에 이물질이 끼일 경우 이물질의 부피에 의해 편심 기어부(800) 림부(810)에 외력이 가해지고 림부(810) 내측의 회전축 지지돌기(820)가 탄성 변형되어 제 1, 2기어이에 끼인 이물질에 상관없이 편심 기어부(800)가 고정 기어부(500)를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 암 어셈블리(100)의 링크 부재(900)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크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크 부재를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34는 도 32의 E'-E"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2내지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부재(900)는 메인 암 하부 하우징(340)의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장홀 형태의 홀을 갖는 림형 몸체(910)와, 림형 몸체(910)에서 제 1메인 암(300a)측으로 연장되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메인 링크(920a)와, 림형 몸체(910)에서 제 2메인 암(300b)측으로 연장되어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편심 기어부(800)에 연결되는 제 2메인 링크(920b)와, 제 1연장부(300c)측으로 연장되어 제 1보조 암(400a)에 연결되는 제 1보조 링크(950a)와, 제 2연장부(300d)측으로 연장되어 제 2보조 암(400b)에 연결되는 제 2보조 링크(950b)를 포함한다.
여기서, 림형 몸체(910)는 내측에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가 삽입되며 분사 암 홀더(600)에 대하여 링크 부재(900)가 이동 가능하도록 폭은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의 지름에 대응되고 길이는 링크 부재(900)의 이동거리에 대응되는 장방형 홀(911)이 형성된다. 이러한 장방형 홀(911)은 링크부재의 이동거리에 따라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 보다 다소 확장되는 홀(H1)의 중심이 링크 부재(900)의 이동거리 L6 만큼 이격되는 다른 홀(H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장방형 홀(911)의 내주면에는 림형 몸체(91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상향 보강리브(913)가 림형 몸체(910)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림형 몸체(910)의 외주면에는 림형 몸체(91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하향 보강리브(914)가 림형 몸체(910)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향 보강리브(913) 및 하향 보강리브(914)는 림형 몸체(910)의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링크 부재(900)의 상부로 유입되는 세척수 및 이물질을 림형 몸체(910)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즉, 링크 부재(900)의 상부로 유입되는 세척수 및 이물질은 림형 몸체(910) 내측에 상향되어 형성되는 상향 보강리브(913)에 의해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 측으로의 유입이 방지되며, 림형 몸체(910) 외측에 하향되어 형성되는 하향 보강리브(914)를 따라 링크 부재(900)의 하측으로 유도된다.
또한, 하향 보강리브(914)의 경우 제 1, 2메인 링크(920a, 920b) 및 제 1, 2보조 링크(950a, 950b)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향 보강리브(914)의 경우 제 1, 2메인 링크(920a, 920b) 및 제 1, 2보조 링크(950a, 950b)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제 1, 2메인 링크(920a, 920b) 및 제 1, 2보조 링크(950a, 950b)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림형 몸체(910)의 외주면 일측에는 분사 암(200)의 형태에 대응되어 링크 부재(900)가 분사 암(20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컷팅부(918)가 형성된다. 컷팅부(918)는 예를 들어 제 1메인 암(300a)과 제 1연장부(300c) 사이와, 제 2메인 암(300b)과 제 2연장부(300d)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메인 암(300a)과 제 1연장부(300c) 사이와, 제 2메인 암(300b)과 제 2연장부(300d) 사이의 경우 둔각(D2, 도 5참고)을 갖고 있어 분사 암(200) 하부의 링크 부재(900)가 분사 암(200)의 상부로 쉽게 노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컷팅부(918)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메인 링크(920a)는 림형 몸체(910)의 하향 보강리브(914)에서 제 1메인 암(300a)측으로 연장되는 제 1연장 플레이트(921a)와, 제 1연장 플레이트(921a) 내측에 형성되는 제 1배수홀(927a)과, 제 1연장 플레이트(921a) 단부에 형성되어 제 1하부 메인 암(341a)의 제 1가이드 돌기(345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이동 장홀(929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연장 플레이트(921a)는 제 1메인 암(300a)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연장되며 제 1연장 플레이트(921a)의 내주면(즉, 제 1배수홀(927a)의 외주면)에는 제 1연장 플레이트(921a)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보강리브(923a)가 형성된다. 제 1연장 플레이트(921a)의 상면에는 제 1하부 메인 암(341a)과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제 1마모 방지돌기(925a)가 형성된다.
한편, 제 1보강리브(923a)는 제 1연장 플레이트(921a) 상부로 세척수 및 이물질이 유입되었을 경우 세척수 및 이물질을 제 1연장 플레이트(921a)의 하측으로 안내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그리고 제 1이동 장홀(929a)은 링크 부재(900)의 왕복 이동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제 1이동 장홀(929a)의 길이는 링크 부재(900)의 왕복 이동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메인 링크는 림형 몸체(910)의 하향 보강리브(914)에서 제 2메인 암(300b)측으로 연장되는 제 2연장 플레이트(921b)와, 제 2연장 플레이트(921b)의 중앙부에서 하측으로 함입되어 편심 기어부(800)를 수용하는 편심 기어 수용부(940)와 제 2연장 플레이트(921b) 단부에 형성되어 제 2하부 메인 암(341b)의 제 2가이드 돌기(345b)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이동 장홀(939b)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2연장 플레이트(921b)는 제 2메인 암(300b)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연장되며 제 2연장 플레이트(921b)의 내측에 편심 기어 수용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 2이동 장홀(939b)은 링크 부재(900)의 왕복 이동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제 2이동 장홀(939b)의 길이는 링크 부재(900)의 왕복 이동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2연장 플레이트(921b)가 형성되는 하향 보강리브(914)에는 편심 기어 수용부(940)에 수용되는 편심 기어부(800)가 고정 기어부(500)로 노출되는 회전기어 삽입슬롯(917)이 형성되고, 편심 기어 수용부(940)는 하향 보강리브(914)의 하측에서 제 2메인 암(300b)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편심 기어 수용부(940)는 적어도 편심 기어부(80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편심 기어부(800)의 편심돌기(830)를 제외한 높이보다 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편심 기어 수용부(940)의 상면에는 편심 기어부(800)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함입부(941)가 형성되며 함입부(941)에는 편심 기어부(800)의 마찰 방지리브(916)에 접하는 마모방지리브(943)가 적어도 3개 이상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편심 기어 수용부(940)의 함입부(941)에는 편심 기어부(800)의 편심돌기(830)가 삽입되는 편심돌기 삽입슬롯(945)과, 편심 기어부(800) 및 편심 기어 수용부(940)로 유입되는 세척수 및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제 2배수홀(947)이 형성된다.
여기서 편심돌기 삽입슬롯(945)은 링크 부재의 이동방향에 직교된 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기어 회전축(347b)에 삽입된 편심 기어부(800)가 회전됨에 따라 편심 기어부(800)의 편심돌기(830)가 편심돌기 삽입슬롯(945)에 제 1, 2이동 장홀(929a, 939b)에 나란한 방향으로 외력이 발생하여 링크 부재(900)가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편심돌기 삽입슬롯(945)은 적어도 편심돌기(830)의 회전 반경보다는 크게 형성되며, 편심돌기 삽입슬롯(945)의 형성 방향은 링크 부재(900)의 이동 거리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편심돌기 삽입슬롯(945)의 형성방향이 링크 부재(900)에 이동방향에 직교할 경우 링크 부재(900)의 왕복이동거리가 가장 크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림형 몸체(910)의 장방형 홀(911), 제 1메인 링크(920a)의 제 1이동 장홀(929a), 제 2메인 링크(920b)의 제 2이동 장홀(939b), 편심 기어 수용부(940)의 편심돌기 삽입슬롯(945)의 중심은 일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편심 기어부(800)에 의한 링크 부재(900)의 왕복이동에 따라 링크 부재(900)의 왕복 이동이 가장 효율적으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 1보조 링크(950a)는 제 1연장부(300c)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1연장부(300c)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 1보조 암(400a)의 하부에 형성된 1회동돌기(425a)에 결합된다. 여기서, 제 1보조 링크(950a)는 림형 몸체(910)의 하향 보강리브(914)에서 제 1연장부(300c)측으로 연장되는 제 1탄성 완충부(960a)와, 제 1탄성 완충부(960a)의 끝단에 형성되어 회동돌기(425a)에 체결되는 제 1보조 암 결합부(970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보조 링크(950b)는 제 2연장부(300d)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2연장부(300d)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 2보조 암(400b)의 하부에 형성된 회동돌기(425a)에 결합된다. 여기서, 제 2보조 링크(950b)는 림형 몸체(910)의 하향 보강리브(914)에서 제 2연장부(300d)측으로 연장되는 제 2탄성 완충부(960b)와, 제 2탄성 완충부(960b)의 끝단에 형성되어 회동돌기(425a)에 체결되는 제 2보조 암 결합부(970b)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링크 부재(900)를 형성성하는 림형 몸체(910), 제 1, 2메인 링크(920a, 920b), 제 1, 2보조 링크(950a, 950b)들은 각각 개별적인 구성으로 형성되어 조립될 수 있으나, 제조의 편의성을 위하여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 1, 2탄성 완충부(960a, 960b) 및 제 1, 2보조 암 결합부(970a, 970b)는 동일한 형태로 림형 몸체(910)에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2탄성 완충부(960a, 960b) 및 제 1, 2보조 암 결합부(970a, 970b) 각각 분리하여 설명하지 않으며 제 1탄성 완충부(960a) 및 제 1보조 암 결합부를 대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크 부재의 제 1탄성 완충부 및 제 1보조 암 결합부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36은 도 35의 F'-F"선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7은 도 35의 G'-G"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보조 암 결합부(970a)는 제 1보조 링크(950a)의 단부에 형성되어 제 1보조 암(400a)의 하부에 형성된 회동돌기(425a)가 삽입되는 제 1회동장홀(971a)이 형성되며, 제 1보조 암 결합부(970a)의 하면 제 1회동장홀(971a)의 인접부위에는 제 1보조 암(400a)의 회동시 회동 돌기의 회동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제 1경사면(973a)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1보조 암 결합부(970a)의 상면은 제 1보조 암(400a)의 하부 형상에 대응되어 제 1회동장홀(971a)측이 오목하고, 제 1보조 암 결합부(970a)의 양측이 상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도 36참조). 한편 제 1보조 암 결합부(970a)의 상부로 유입되는 세척수 및 이물질은 제 1보조 암 결합부(970a)의 상부 형상에 따라 제 1보조 암 결합부(970a)의 양측에서 제 1회동장홀(971a)측으로 이동되어 제 1회동장홀(971a)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할 있다.
한편, 제 1회동장홀(971a)은 제 1보조 암(400a)에 형성된 회동돌기(425a)가 삽입될 수 있는 소정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제 1회동장홀(971a)의 길이는 회동돌기(425a)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427a)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회동장홀(971a)의 폭은 제 1보조 암(400a)의 회전을 위하여 링크 부재(900)가 왕복 이동될 때 회동돌기(425a)와 제 1회동장홀(971a) 사이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을 정도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보조 암 결합부(970a)의 위치는 제 1보조 암 결합부(970a)에 형성된 제 1회동장홀(971a)에 제 1보조 암(400a)의 회동돌기(425a)가 삽입되었을 때 제 1회동장홀(971a)과 회동돌기(425a)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거나 제 1회동장홀(971a)과 회동돌기(425a)가 최소의 접촉력을 형성할 수 있는 위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1보조 암(400a)의 화전을 위하여 링크 부재(900)가 왕복 이동될 때 제 1보조 암 결합부(970a)의 회동장홀(971a)이 회동돌기(425a)를 가압하여 제 1보조 암(400a)을 회전시키므로 회동돌기(425a) 또는 제 1회동장홀(971a)에 마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회동장홀(971a)과 회동돌기(425a)의 접촉력을 최소하여 제 1회동장홀(971a)과 회동돌기(425a)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 1탄성 완충부(960a)는 림형 몸체(910)의 하향 보강리브(914)에서 제 1보조 암 연결부(330a)의 중심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연장링크(961a)와, 제 1보조 암 연결부(330a)의 외측에서 한 쌍의 제 1연장링크(961a)의 각 외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제 2연장링크(965a)와, 한 쌍의 제 1연장링크(961a)의 외측과 한 쌍의 제 2연장링크(965a)의 내측에서 각 제 1연장링크(961a)의 단부와 각 제 2연장링크(965a)의 단부를 연결하는 탄성링크(963a)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제 1연장링크(961a)는 하향 보강리브(914)에서 연장될수록 단면적이 축소되는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 1연장링크(961a)는 각 제 1연장링크(961a) 사이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 1연장링크(961a)가 소정의 탄성력을 가짐과 동시에 편심 기어부(800)의 회전에 따라 림형 몸체(910)가 왕복 이동됨에 따라 제 1보조 암 연결부(330a)로 왕복이동에 따른 운동력을 전달하고, 림형 몸체(910)와의 강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즉, 한 쌍의 제 1연장링크(61a)는 림형 몸체(910)의 왕복 운동에 따른 운동방향에 따라 강도를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다.
한편, 한 쌍의 제 2연장링크(965a)는 제 1보조 암 연결부(330a)에서 림형 몸체(910) 측으로 한 쌍의 제 1연장링크(961a)의 외측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여 연장된다. 여기서 제 2연장링크는 제 1보조 암 연결부(330a)에서 림형 몸체(910)측으로 연장될수록 단면적이 확대되는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 2연장링크(965a)는 각 제 1연장링크(961a) 사이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탄성링크(963a)는 제 1연장링크(961a)의 단부와 제 2연장링크(965a)의 단부를 연결하며 제 1보조 암 연결부(330a)의 왕복 이동방향 나란한 방향 및 직교한 방향에 대하여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다.
즉, 제 1, 2연장링크(961a, 965a)의 경우 각각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어 제 1, 2연장링크(961a, 965a)의 형성방향에 직교한 방향의 운동력에 대해서는 탄성력을 발휘 할 수 있다. 하지만 제 1, 2연장링크(961a, 965a)의 형성방향에 나란한 방향의 운동력에 대해서는 탄성력을 발휘 할 수 없다.
따라서 탄성링크(963a)는 제 1, 2연장링크(961a, 965a)의 각 단부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결하여 제 1, 2연장링크에서 발휘할 수 없는 다른 방향의 탄성력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링크(963a)는 제 1연장링크(961a)에 연결되는 일측과 제 2연장링크(965a)에 연결되는 타측에 각각 반대 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만곡부(964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만곡부는 탄성링크(963a)에서 발휘할 수 있는 탄성력의 방향성을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 1연장링크(961a)와, 제 2연장링크(965a), 탄성링크(963a)의 접점부에는 각 링크가 반복적으로 탄성력을 받을 경우 응력집중에 따른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연장링크(961a)와, 제 2연장링크(965a), 탄성링크(963a)의 접점부에는 응력집중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링크보강부(967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링크보강부(967a)는 각 링크의 단부가 외주면의 길이 방향으로 접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연장링크(961a)와, 제 2연장링크(965a), 탄성링크(963a)는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탄성 완충부(960a)의 상부로 세척수 및 이물질이 유입되었을 경우 세척수 및 이물질의 배출을 위하여 제 1연장링크(961a)와, 제 2연장링크(965a), 탄성링크(963a)의 각 단면의 좌우 폭이 상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1연장링크(961a)와, 제 2연장링크(965a), 탄성링크(963a)의 좌우 폭이 넓을 경우 제 1연장링크(961a)와, 제 2연장링크(965a), 탄성링크(963a)의 상부에 세척수 및 이물질이 잔류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 1연장링크(961a)와, 제 2연장링크(965a), 탄성링크(963a)의 단면 형상이 좌우 폭이 상하 폭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 제 1탄성 완충부(960a)의 완충작용에도 효과적일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연장링크(961a)와, 제 2연장링크(965a), 탄성링크(963a)의 단면이 형성될 경우 링크 부재(900)의 경우 왕복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게 형성됨으로 링크 부재(900)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탄성력을 효과적으로 발휘 할 수 있다.
또한, 제 1탄성 완충부(960a)의 탄성력은 제 1연장링크(961a)와, 제 2연장링크(965a), 탄성링크(963a)의 재질, 형상 등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즉, 제 1연장링크(961a)와, 제 2연장링크(965a), 탄성링크(963a)를 탄성 변형률이 다른 재질을 사용하여 제 1탄성 완충부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르게는 제 1연장링크(961a)와, 제 2연장링크(965a), 탄성링크(963a)의 두께, 길이, 폭 등을 가변하여 제 1탄성 완충부(960a)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제 1연장링크(961a)와 제 2연장링크(965a)를 연결하는 탄성링크(963a)의 형성 각도, 형상을 가변하여 제 1탄성 완충부(960a)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제 1탄성 완충부(960a)의 탄성 변형 범위는 제 1연장링크(961a)와, 제 2연장링크(965a), 탄성링크(963a) 사이의 간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연장링크(961a)와, 제 2연장링크(965a), 탄성링크(963a) 사이의 간격을 넓게 할 경우 제 1탄성 완충부(960a)의 탄성 변형 범위가 커질 수 있으며, 제 1연장링크(961a)와, 제 2연장링크(965a), 탄성링크(963a) 사이의 간격을 좁게 할 경우 제 1탄성 완충부(960a)의 탄성 변형 범위가 좁아 질 수 있다.
또한, 제 1연장링크(961a)와, 제 2연장링크(965a), 탄성링크(963a)는 제 1탄성 완충부(960a)가 위치하는 제 1연장부(300c)의 하면 형상에 대응되어 각기 다른 높이 및 다른 상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탄성 완충부(960a)의 탄성력은 편심 기어부(800)의 회전에 따라 링크 부재(900)가 왕복 이동될 링크 부재(900)의 운동력을 제 1보조 암(400a)으로 전달하여 제 1보조 암(400a)을 회전시킬 수 있는 최소의 탄성력과, 제 1보조 암(400a)이 구속되었을 때 링크 부재(900)의 운동력을 제 1보조 암(400a)으로 전달하지 않고 완충할 수 있는 탄성력을 만족하여야 한다.
한편, 제 1보조 암(400a)은 이물질 퇴적 등 어떠한 원인에 의해 회전 구속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 회전이 구속된 제 1보조 암(400a)에 의해 제 1보조 암(400a)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링크 부재(900), 편심 기어부(800), 분사 암(200), 고정 기어부(500)의 구동이 연쇄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즉, 제 1보조 암(400a)의 회전이 구속될 경우 제 1보조 암(400a)을 회전시키는 링크 부재(900)의 왕복이동이 제 1보조 암(400a)에 의해 구속되며, 링크 부재(900)의 왕복이동이 구속됨에 따라 링크 부재(900)를 왕복 이동시키는 편심 기어부(800)가 링크 부재(900)에 의해 회전이 구속되고, 편심 기어부(800)의 회전이 구속됨에 따라 편심 기어부(800)와 고정 기어부(500)의 상대적 회전이 구속되어 편심 기어부(800)가 결합된 분사 암(200)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이때, 제 1보조 링크(950a)의 제 1탄성 완충부(960a)는 제 1보조 암(400a)의 회전이 구속될 경우 링크 부재(900)에서 전달되는 힘을 소정의 탄성력으로 완충 흡수하여 링크 부재(900)가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보조 암(400a)이 회전이 구속되더라도 제 1보조 암(400a)을 회전시키려는 링크 부재(900)가 왕복 이동할 수 있어 제 1보조 암(400a)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링크 부재(900), 편심 기어부(800), 분사 암(200), 고정 기어부(500)의 구동이 가능하다.
이하, 링크 부재(900)의 설치상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크 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38 및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암(300)의 제 1연장부(300c) 및 제 2연장부(300d)에 제 1보조 암(400a) 및 제 2보조 암(400b)이 각각 결합되고, 편심 기어부(800)는 분사 암(200)의 제 2메인 암(300b)에 형성된 기어 회전축(347b)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링크 부재(900)는 링크 부재(900)의 림형 몸체(910)가 장방형 홀에 메인 암(300)의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링크 부재(900)의 제 1, 2메인 링크(920a, 920b)는 제 1, 2메인 암(300a, 300b)의 제 1, 2가이드 돌기(345a, 345b)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 2보조 링크(950a, 950b)는 제 1, 2보조 암(400a, 400b)의 회동돌기에 결합된다.
먼저, 제 1보조 링크(950a)의 제 1회동장홀(971a)은 제 1보조 암(400a)의 회동돌기(425a)가 유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때 제 1보조 링크(950a)의 제 1회동장홀(971a)은 회동돌기(425a)에 거치될 때 회동돌기(425a)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427a)가 삽입되기 위하여 제 1보조 링크(950a)에 형성된 제 1탄성 완충부(960a)가 탄성력에 의해 소정 거리 인장됨과 동시에 휘어져 제 1회동장홀(971a)에 이탈방지돌기(427a)가 삽입된다. 이후, 제 1탄성 완충부(960a)는 이탈방지돌기(427a)의 삽입 후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제 1회동장홀(971a)에 회동돌기(425a)에 거치된다.
그리고 제 2보조 링크(950b)의 제 2회동장홀(971b)은 제 2보조 암(400b)의 회동돌기(425a)가 유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때 제 2보조 링크(950b)의 제 2회동장홀(971b)은 회동돌기(425a)에 거치될 때 회동돌기(425a)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425a)가 삽입되기 위하여 제 2보조 링크(950b)에 형성된 제 2탄성 완충부(960b)가 탄성력에 의해 소정 거리 인장됨과 동시에 휘어져 제 2회동장홀(971b)에 이탈방지돌기(427b)가 삽입된다. 이후, 제 2탄성 완충부(960b)는 이탈방지돌기(427b)의 삽입 후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제 2회동장홀(971b)에 회동돌기(425a)에 거치된다.
한편, 제 1메인 링크(920a)의 제 1이동 장홀(929a)은 제 1메인 암(300a)의 제 1가이드 돌기(345a)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제 1이동 장홀(929a)은 제 1가이드 돌기(345a)에 형성된 제 1확장단턱(346a)을 억지끼움으로 끼워져 제 1가이드 돌기(345a)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제 1확장단턱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제 2메인 링크(920b)의 제 2이동 장홀(939b)은 제 2메인 암(300b)의 제 2가이드 돌기(345b)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제 2이동 장홀(939b)은 제 2가이드 돌기(345b)에 형성된 제 2확장단턱(346b)을 억지끼움으로 끼워져 제 2가이드 돌기(345b)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제 2확장단턱(346b)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이때, 제 2메인 암(300b)의 하부의 기어 회전축(347b)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편심 기어부(800)는 제 2메인 링크(920b)의 편심 기어 수용부(940)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편심 기어부(800)의 편심돌기(830)는 제 2메인 링크(920b)의 편심 기어 수용부(940)에 형성된 편심돌기 삽입슬롯(945)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고정 기어부(500)가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에 추가적으로 결합한다. 고정 기어부(500)는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의 둘레를 감싸도록 장착된다. 즉, 고정 기어부(500)의 림부(510)에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가 삽입된다. 이때, 고정 기어부(500)의 제 1기어이(512)는 편심 기어부(800)의 제 2기어이(812)와 치합된다.
다음으로, 분사 암 홀더(600)가 분사 암(200)에 추가적으로 결합한다. 먼저, 분사 암 홀더(600)를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에 삽입한 후, 분사 암 홀더(600)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면 분사 암 홀더(600)의 걸림돌기(622a)가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의 분사 암 홀더 결합돌기(656a)에 거치되어 분사 암 홀더(600)가 분사 암 홀더 결합부(356)에 고정된다.
이후, 분사암 홀더(600)의 섬프 삽입부(630)를 분사 암 홀더 안착부(53)에 삽입하고, 고정 기어부(500)의 체결부(530)를 섬프 커버(50)의 결합보스(51)와 결합시킴으로써 분사 암(2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링크 부재(900)의 왕복이동에 따른 제 1, 2보조 암(400a, 400b)의 왕복 회전을 설명한다.
도 3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링크 부재의 작동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암의 작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여기서, 도 39의 (a), (b), (c), (d)는 각각 편심 기어부(800)가 0도, 90도, 180도, 270도 회전한 경우의 분사 암 어셈블리(100)의 저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0(a)은 제 1분사 암이 회전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0(b)은 제 1분사암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9(a) 및 도 40(a)을 참조하면, 편심 기어부(800)가 회전하지 않은 초기 상태의 경우, 편심돌기(830)는 편심돌기 삽입슬롯(945) 내의 일측에 위치한다. 이 때, 제 1보조 암(400a)은 메인 암(300)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분사 암(200)으로 세척수가 공급되면 제 1, 2메인 암(300a, 300b) 또는 제 1, 2보조 암(400a, 400b)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분사 암(200)의 회전이 시작된다.
분사 암(200)이 회전함에 따라 분사 암(200)에 구비되는 편심 기어부(800)가 섬프 커버(50)에 고정된 고정 기어부(500)에 치합되어 고정 기어부(500)의 외주면을 따라 공전 및 자전하여 회전된다.
도 39(b) 및 도 40(b)을 참조하면, 분사 암(200)이 회전함에 따라 편심 기어부(800)가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경우, 링크 부재(900)의 편심돌기 삽입슬롯(945)에 삽입된 편심돌기(830)가 편심돌기 삽입슬롯(945)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링크 부재(900)를 일측 방향(A)으로 이동시킨다.
링크 부재(900)가 일측 방향(A)로 이동됨에 따라 제 1, 2메인 링크(920a, 920b)는 제 1, 2메인 암(300a, 300b)에 형성된 제 1, 2가이드 돌기(345a, 345b)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되며, 제 1보조 링크(950a)는 제 1, 2보조 암(400a, 400b)의 회동돌기(425a)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제 1, 2보조 암(400a, 400b)은 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한다. 여기서, 제 1, 2보조 암(400a, 400b)이 회전될 수 있는 각도는 대략 15도에서 40도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도 39(c)를 참조하면, 분사 암(200)이 더욱 회전함에 따라 편심 기어부(800)가 반시계 방향으로 90도만큼 더 회전한 경우, 링크 부재(900)의 편심돌기 삽입슬롯(945)에 삽입된 편심돌기(830)가 편심돌기 삽입슬롯(945)의 타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링크 부재(900)를 A방향의 반대 방향인 B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이에 따라, 링크 부재(900)는 도 39(a) 및 도 40(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위치로 복귀된다. 동시에 제 1, 2보조 암(400a, 400b)은 제 1, 2연장부(300c, 300d)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원 위치로 복귀된다.
도 39(d)를 참조하면, 분사 암(200)이 더욱 회전함에 따라 편심 기어부(800)가 반시계 방향으로 90도만큼 더 회전한 경우, 링크 부재(900)는 편심돌기(830)에 의해 B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이 때, 제 1보조 암(400a)은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즉 도 40(b)의 반대방향)한다. 제 여기서, 제 1, 2보조 암(400a, 400b)이 회전될 수 있는 각도는 대략 15도에서 40도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제 1보조 암(400a)과 제 2보조 암(400b)은 링크 부재(900)에 동시에 같은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링크 부재(900)는 편심 기어부(800)의 회전에 의해 편심 기어부(800)의 회전중심과 편심돌기(830) 사이의 거리만큼 왕복하여 운동할 수 있다.
이하, 제 1, 2메인 암과 제 1, 2보조 암(400a, 400b)에서 세척수가 분사됨에 따라 분사 암(200)이 회전하는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41 내지 도 4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 암의 분사영역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암의 분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여기서, 41은 제 1, 2메인 암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42는 제 1, 2보조 암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2메인 암(300a, 300b)은 복수 개의 제 1, 2분사구(314a, 314b)와, 제 1, 2경사 분사구(315a, 315b)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 1메인 암(300a)은 복수 개의 제 1분사구(314a) 및 제 1경사 분사구(315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메인 암(300b)도 복수 개의 제 2분사구(314b) 및 제 2경사 분사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 전환부(700)에 의해 제 1, 2메인 암 유입구(354a, 354b)가 개방되면 복수 개의 제 1, 2분사구(314a, 314b)와, 복수 개의 제 1, 2경사 분사구(315a, 315b)에서 세척수가 동시에 분사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2경사 분사구(315a, 315b)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제 1, 2메인 암(300a, 300b)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며, 제 1, 2경사 분사구(315a, 315b)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제 1, 2메인 암(300a, 300b)의 회전 평면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편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암(300)은 편향된 제 1, 2경사 분사구(315a, 315b)에서 세척수가 분사됨으로써 발생하는 추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즉, 제 1, 2경사 분사구(315a, 315b)에서 세척수가 분사됨으로써 분사 암(200)이 회전될 수 있는 소정의 토크 값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제 1메인 암(300a)의 제 1경사 분사구(315a)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분사 암(200)에 작용하는 토크와, 제 1메인 암(300a)의 제 1경사 분사구(315a)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분사 암(200)에 작용하는 토크는 분사 암(20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성을 갖는다.
한편, 제 1경사 분사구(315a)와, 제 2경사 분사구(315b) 중 적어도 각 하나 이상은 분사 암(200)의 회전 궤적의 접선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편향될 수 있다. 이 경우, 세척수 분사에 의한 회전력이 더욱 커질 수 있다.
그리고 제 1분사구(314a) 및 제 2분사구(314b)는 분사 암(200)의 수직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거나, 제 1, 2경사 분사구(315a, 315b)와 같은 방향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2분사구(314a, 314b) 및 제 1, 2경사 분사구(315a, 315b)는 다양한 각도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서로 다른 각도로 편향될 수 있다. 또한 제1, 2분사구(314a, 314b)와 제 1, 2경사 분사구(315a, 315b)는 분사 암(200)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각기 다른 거리로 이격되어 중첩되지 않는 분사 영역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2보조 암(400a, 400b)은 복수 개의 제 1, 2보조 분사구(414a, 414b)와, 제 1, 2보조 경사 분사구(415a, 415b)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 1보조 암(400a)은 복수 개의 제 1보조 분사구(414a) 및 제 1보조 경사 분사구(415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보조 암(400b)도 복수 개의 제 2보조 분사구(414b) 및 제 2보조 경사 분사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 전환부(700)에 의해 제 1, 2연장부 유입구(354c, 354d)가 개방되면 복수 개의 제 1, 2보조 분사구(414a, 414b)와, 복수 개의 제 1, 2보조 경사 분사구(415a, 415b)에서 세척수가 동시에 분사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2보조 경사 분사구(415a, 415b)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제 1, 2보조 암(400a, 400b)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며, 제 1, 2보조 경사 분사구(415a, 415b)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제 1, 2보조 암(400a, 400b)의 회전 평면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도록 편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암(300)은 편향된 제 1, 2보조 경사 분사구(415a, 415b)에서 세척수가 분사됨으로써 발생하는 추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즉, 제 1, 2보조 경사 분사구(415a, 415b)에서 세척수가 분사됨으로써 분사 암(200)이 회전될 수 있는 소정의 토크 값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제 1보조 암(400a) 및 제 2보조 암(400b)의 경우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제 1, 2보조 분사구(414a, 414b) 및 제 1, 2보조 경사 분사구(415a, 415b)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한 토크의 크기와 방향이 바뀔 수 있다.
이하, 제 1, 2보조 암(400a, 400b)의 제 1, 2보조 분사구(414a, 414b) 및 제 1, 2보조 경사 분사구(415a, 415b)에서의 세척수 분사 방향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제 1, 2보조 암(400a, 400b)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며, 동일한 방향의 토크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 1보조 암(400a)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고 제 2보조 암(400b)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제 1보조 암(400a)의 왕복 회전 시의 세척수의 분사 방향의 변화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암의 분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여기서, 도 43(a)의 경우 제 1보조 암(400a)이 회전하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며, 도 43(b)의 경우 제 1보조 암(400a)이 시계방향으로 최대한 회전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3(c)의 경우 제 1보조 암(400a)이 반시계방향으로 최대한 회전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3(a)을 참조하면, 제 1보조 분사구(414a) 및 제 1보조 경사 분사구(415a)에서 동시에 세척수가 분사된다. 제 1보조 분사구(414a)에서의 세척수 분사방향(A1) 및 제 1보조 경사 분사구(415a)에서의 세척수 분사방향(A2)은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 상방을 향할 수 있다.
또한, 제 1보조 분사구(414a) 및 제 1보조 경사 분사구(415a)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방향(A1, A2)은 항상 분사 암(200)의 회전 평면에 대하여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보조 분사구(414a) 및 제 1보조 경사 분사구(415a)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제 1보조 암(400a)에는 분사 암(200)의 회전방향으로 회전 토크가 가해질 수 있다.
도 43(b)을 참조하면, 제 1보조 암(400a)이 일측 방향으로 최대한 회전한 경우에도, 제 1보조 분사구(414a) 및 제 1보조 경사 분사구(415a)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방향(A1, A2)은 분사 암(200)의 회전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분사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보조 암(400a)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도, 제 1보조 암(400a)에는 분사 암(200)의 회전방향으로 회전 토크가 가해질 수 있다.
도 43(c)을 참조하면, 제 1보조 암(400a)이 타측 방향으로 최대한 회전한 경우에도, 제 1보조 분사구(414a) 및 제 1보조 경사 분사구(415a)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방향(A1, A2)은 분사 암(200)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보조 암(400a)이 타측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도, 제 1보조 암(400a)에는 분사 암(200)의 회전방향으로 토크가 가해질 수 있다.
다만, 제 1보조 분사구(414a)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방향(A1)의 경우 제 1보조 암(400a)이 타측 방향으로 최대한 회전되었을 때 분사 암(200)의 수직 상방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 경우, 분사 암(200)에 작용하는 토크의 방향이 바뀔 수 있어 문제된다.
따라서 제 1보조 암(400a)의 회전 각도는, 제 1보조 분사구(414a)의 분사각보다 작아야 한다. 제 1보조 분사구(414a)의 분사각은 제 1보조 암(400a)이 회전 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제 1보조 분사구(414a)에서의 세척수 분사방향(A1)과 제 1보조 암(400a)을 통과하는 수직선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또한, 제 1보조 암(400a)의 회전 각도는 제 1보조 경사 분사구(4152a)의 분사각보다 작아야 한다. 제 1보조 경사 분사구(415a)의 분사각은 제 1보조 암(400a)이 회전 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제 1보조 경사 분사구(415a)에서의 세척수 분사방향(A2)과 제 1보조 암(400a)을 통과하는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제 1보조 암(400a)이 양측 방향을 최대한 회전되더라도 제 1보조 분사구의 분사방향(A1)과 제 1보조 경사 분사구의 분사방향(A2)이 항상 분사 암(200)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어 제 1보조 암(400a)에는 분사 암(200)의 회전방향으로 회전 토크가 가해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식기 세척기(1)는 제 1, 2보조 암(400a, 400b)이 메인 암(3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메인 암(300)의 회전과 별개로 왕복 회전 하므로 분사 각도가 다양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기 세척기(1)에 의한 세척 효율이 증가한다.
또한,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발생하는 추력에 의해 메인 암(300)을 회전시킴과 동시 제 1, 2분사 암(200)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구동원이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또한, 고정 기어부(500)와, 편심 기어부(800) 및 링크 부재(900)의 상호작용에 의해 분사 암(200)의 회전력을 제 1, 2보조 암(400a, 400b)을 왕복 회전시키는 힘으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2보조 암(400a, 400b)을 회전시키는 별도의 구동원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식기 세척기 10: 세척조
30: 도어 50: 섬프 커버
51: 결합보스 53: 분사 암 홀더 안착부
100: 분사 암 어셈블리 200: 분사 암
300: 메인 암 310: 메인 암 상부 하우징
312a, 312b: 제 1, 2상부 메인 암 322a, 322b: 제 1상부 연장부
330a, 330b: 제 1, 2보조 암 연결부 340: 메인 암 하부 하우징
341a, 341b:제 1, 2하부 메인 암 351a, 351b: 제 1, 2하부 연장부
354: 하부 유로 형성리브 356: 분사 암 홀더 결합부
400a, 400b: 제 1, 2보조 암 410a, 420a: 보조 암 하우징
430a, 430b: 데코패널 500: 고정 기어부
510: 림부 520: 차폐 리브
530: 체결부 600: 분사 암 홀더
610: 메인 암 삽입부 620: 이탈 방지부
630: 섬프 삽입부 700: 유로 전환부
720a, 720b, 720c, 720d: 제 1, 2, 3, 4상부 경사돌기
730a, 730b, 730c, 730d: 제 1, 2, 3, 4하부 경사돌기
800: 편심 기어부 810: 림부
820: 회전축 지지돌기 830: 편심돌기
900: 링크 부재 910: 림형 몸체
920a, 920b: 제 1, 2메인 링크 950a, 950b: 제 1, 2보조 링크
960a, 960b:제 1, 2탄성 완충부 970a, 970b: 제 1, 2보조암 결합부

Claims (14)

  1.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 중심에 대하여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세척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메인 암;
    상기 메인 암의 상기 회전 중심에서 상기 메인 암에 대하여 소정각도 이격되어 연장되며 연장방향을 회동축으로 왕복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메인 암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세척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보조 암;
    상기 세척조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 암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외주면에 기어이가 형성되는 고정 기어부;
    상기 메인 암에 회전가능 하게 장착되어 상기 고정 기어부에 치합되며, 상기 메인 암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편심 기어부; 및
    상기 메인 암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편심 기어부의 회전력을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보조 암으로 전달하여 상기 보조 암을 회동시키는 링크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메인 암의 회전력을 상기 보조 암으로 전달하되, 상기 보조 암이 회전 가능할 경우 상기 메인 암의 회전력을 상기 보조 암으로 전달하여 상기 보조 암이 상기 회동축을 축으로 회동되도록 하며, 상기 보조 암의 회전이 구속될 경우 상기 메인 암의 회전력을 탄성력으로 완충하여 상기 보조 암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부재는,
    링형상의 림형 몸체;
    상기 림형 몸체에서 상기 메인 암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메인 암에 연결되는 메인 링크;
    상기 메인 링크에 대하여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보조 암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보조 암에 연결되는 보조 링크; 및
    상기 림형 몸체와 상기 보조 링크 사이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형성하는 탄성 완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완충부는 상기 보조 링크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완충부는
    상기 림형 몸체에서 상기 보조 링크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1연장링크;
    상기 보조링크 외측에서 상기 림형 몸체 측으로 연장되는 제 2연장링크; 및
    상기 제 1연장링크와, 상기 제 2연장링크를 연결하는 탄성링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연장링크, 상기 제 2연장링크 및 상기 탄성링크 사이에는 보강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연장링크, 상기 제 2연장링크, 상기 탄성링크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바(bar)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연장링크, 상기 제 2연장링크, 상기 탄성링크 중 적어도 하나는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연장링크, 상기 제 2연장링크, 상기 탄성링크 중 적어도 하나는 각 단면의 좌우 폭이 상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림형 몸체, 상기 보조 링크, 상기 메인 링크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암은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링크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링크부재가 상기 가이드 돌기를 따라 상기 메인 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 기어부는 편심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 링크는 상기 편심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링크 부재가 상기 메인 암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도록 장홀형태의 편심돌기 삽입슬록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부재는 상기 편심 기어부의 회전에 의해 왕복 이동하여, 상기 보조 암을 상기 메인 암의 원호궤적을 따라 왕복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암은
    상기 고정 기어부를 중심으로 일측에 구비되어 세척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 1 분사구;
    상기 고정 기어부를 중심으로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 1분사구의 반대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 2 분사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암은
    상기 링크 부재에 의한 회동에 따라 상기 메인 암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토크가 발생되도록 세척수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KR1020160072193A 2016-06-10 2016-06-10 식기 세척기 KR102528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193A KR102528669B1 (ko) 2016-06-10 2016-06-10 식기 세척기
AU2017278898A AU2017278898B2 (en) 2016-06-10 2017-05-15 Dishwasher
PCT/KR2017/004997 WO2017213355A1 (ko) 2016-06-10 2017-05-15 식기 세척기
CN201710422128.0A CN107485354B (zh) 2016-06-10 2017-06-07 洗碗机
EP17174948.4A EP3254602B1 (en) 2016-06-10 2017-06-08 Dishwasher
US15/617,897 US10660499B2 (en) 2016-06-10 2017-06-08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193A KR102528669B1 (ko) 2016-06-10 2016-06-10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801A KR20170139801A (ko) 2017-12-20
KR102528669B1 true KR102528669B1 (ko) 2023-05-04

Family

ID=59030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193A KR102528669B1 (ko) 2016-06-10 2016-06-10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60499B2 (ko)
EP (1) EP3254602B1 (ko)
KR (1) KR102528669B1 (ko)
CN (1) CN107485354B (ko)
AU (1) AU2017278898B2 (ko)
WO (1) WO20172133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14148B (zh) * 2016-07-08 2022-02-22 伊莱克斯电器股份公司 洗涤臂组件和包括洗涤臂组件的洗碗机
PL3481269T3 (pl) * 2016-07-08 2021-09-13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Zespół ramienia myjącego
EP3703545A1 (en) 2017-10-31 2020-09-09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Wash arm assembly
US11464391B2 (en) 2017-10-31 2022-10-11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Spray arm assembly
CN108523808A (zh) * 2018-04-16 2018-09-14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喷臂和洗碗机
CN108836221B (zh) * 2018-07-25 2023-08-29 宁波欧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洗碗机水路系统及洗碗机
KR102588120B1 (ko) * 2018-11-27 2023-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N112294215B (zh) * 2019-07-30 2022-06-14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旋转轴线可调的洗碗机
CN112806941B (zh) * 2019-11-18 2022-11-18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装载篮和家用电器
KR20220125563A (ko) * 2021-03-05 2022-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2502764B1 (ko) * 2021-07-16 2023-02-23 주식회사 에스엠뿌레 분무기 노즐 어셈블리
USD1008579S1 (en) * 2021-11-10 2023-1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zzle for dishwasher
AU2022291458B2 (en) 2021-12-24 2024-05-09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KR20230097825A (ko) * 2021-12-24 2023-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20230097824A (ko) * 2021-12-24 2023-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20240013341A (ko) 2022-07-22 2024-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46734A1 (en) * 2009-12-21 2011-06-23 Whirlpool Corporation Spray arm assembly for a dishwasher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5575A (en) * 1978-03-27 1979-11-27 General Electric Company Dishwasher with oscillating rotary spray arm
KR930006002B1 (ko) * 1988-04-30 1993-07-01 주식회사 금성사 식기세척기 노즐의 편심회전장치
GB9119983D0 (en) * 1991-09-19 1991-11-06 Erba Carlo Spa Dihydropyridine derivatives useful in antitumor therapy
US5415350A (en) * 1993-03-06 1995-05-16 Goldstar Co., Ltd. Water spraying device for tableware washer
KR950002714A (ko) * 1993-07-22 1995-02-16 모리시타 요이찌 카오스응용기기
JPH0889467A (ja) * 1994-09-21 1996-04-09 Sharp Corp 食器洗い機
US5464482A (en) * 1994-11-07 1995-11-07 Maytag Corporation Washarm assembly for dishwasher
CN201234966Y (zh) * 2008-07-15 2009-05-13 美的集团有限公司 一种洗碗机的喷水组件
KR101769378B1 (ko) 2011-05-12 2017-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1821201B1 (ko) * 2011-06-02 2018-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00919B1 (ko) * 2011-07-21 2013-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US9220393B2 (en) * 2012-09-13 2015-12-29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controlled rotation of lower spray arm
KR101980706B1 (ko) * 2012-09-25 2019-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EP2898810A1 (en) * 2014-01-28 2015-07-29 Bonferraro S.p.A. Revolving sprinkling assembly for dishwasher
CN104706293B (zh) * 2014-07-16 2017-06-23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喷臂装置及洗碗机
CN104545744B (zh) * 2015-01-09 2017-11-14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的喷射系统和具有其的洗碗机
CN105832267B (zh) * 2015-02-02 2019-11-12 Lg电子株式会社 洗碗机
CN106805922B (zh) * 2015-02-04 2020-07-10 Lg电子株式会社 洗碗机
CN104644097B (zh) * 2015-03-02 2017-09-22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洗碗机的喷臂组件和洗碗机
CN104739346B (zh) * 2015-04-14 2017-09-29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的喷臂组件及其洗碗机
CN104757921B (zh) * 2015-04-22 2017-06-30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洗碗机的喷臂组件及具有它的洗碗机
AU2016295237B2 (en) * 2015-07-23 2018-11-15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EP3384821B1 (en) * 2015-12-01 2022-02-02 Foshan Shunde Midea Washing Appliances Mfg. Co., Ltd. Spraying arm assembly of dish washer and dish washer having same
CN105534443A (zh) * 2016-01-22 2016-05-04 宁波欧琳厨具有限公司 水槽式清洁设备的水槽结构
CN105615808B (zh) * 2016-01-26 2019-01-22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洗碗机的喷臂装置及具有它的洗碗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46734A1 (en) * 2009-12-21 2011-06-23 Whirlpool Corporation Spray arm assembly for a dishwas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60499B2 (en) 2020-05-26
AU2017278898A1 (en) 2019-01-24
KR20170139801A (ko) 2017-12-20
EP3254602B1 (en) 2019-08-07
US20170354312A1 (en) 2017-12-14
AU2017278898B2 (en) 2020-05-14
EP3254602A1 (en) 2017-12-13
CN107485354B (zh) 2021-08-31
CN107485354A (zh) 2017-12-19
WO2017213355A1 (ko) 2017-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5551B1 (ko) 식기 세척기
KR102528669B1 (ko) 식기 세척기
US10743741B2 (en) Dishwasher
US11903543B2 (en) Dish washer with eccentric protrusion in power transfer assembly
KR102627717B1 (ko) 식기세척기
RU2665614C1 (ru) Посуд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KR20190096165A (ko) 식기세척기
EP3189766B1 (en) Dishwasher
US20230065270A1 (en) Mounting for a rack assembly of a dishwasher appliance
KR102487215B1 (ko) 식기 세척기
KR200341844Y1 (ko) 식기세척기용 상부로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