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1201B1 -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1201B1
KR101821201B1 KR1020110053230A KR20110053230A KR101821201B1 KR 101821201 B1 KR101821201 B1 KR 101821201B1 KR 1020110053230 A KR1020110053230 A KR 1020110053230A KR 20110053230 A KR20110053230 A KR 20110053230A KR 101821201 B1 KR101821201 B1 KR 101821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sump
washing water
wash wat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4370A (ko
Inventor
주병현
정문기
표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3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201B1/ko
Publication of KR20120134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20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력이 향상된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공급유로에 연결된 제1암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세척대상 및 필터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2암, 제1암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세척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3암을 구비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DISHWAHS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 세척기는 세제와 세척수를 이용하여 식기나 조리도구 등(이하, '세척대상')에 뭍은 음식물 찌꺼기와 같은 오물을 세척하는 기기이다.
일반적인 식기세척기는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에 구비되어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랙(dish rack), 상기 랙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암에 공급하는 공급유로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술한 구성을 구비한 식기세척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세척코스에 따라 랙에 수용된 세척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대상으로부터 오물을 제거하며, 오물제거가 완료된 세척대상은 열풍을 통해 건조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세척력이 향상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수 여과를 위해 구비되는 필터의 세척이 가능한 분사암을 구비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급유로에 연결된 제1암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세척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2암, 제1암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세척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3암을 구비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터브, 상기 터브에 수용된 세척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상기 분사암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집수되는 섬프, 상기 섬프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섬프로 유입되는 세척수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암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세척대상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1암, 상기 제1암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회전하도록 상기 제1암에 결합되고, 상기 제1암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상기 필터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2암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세척대상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1암과 상기 제1암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암에 결합되어 상기 제1암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상기 세척대상에 분사하는 제2암이 구비된 분사암, 상기 분사암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집수되는 섬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암은 상기 제2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2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암은 상기 제2암 삽입부가 수용되는 제1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암 연결부와 상기 제2암 삽입부 사이에는 상기 제2암 내부의 세척수 중 일부가 상기 제1암 및 제2암의 외부로 배출되는 유로가 구비된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세척대상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1암과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암에 결합되어 상기 제1암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상기 세척대상에 분사하는 제2암이 구비된 분사암, 상기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펌프, 상기 제1암에 구비되는 주동기어, 상기 주동기어에 치합되는 종동기어, 상기 제2암이 왕복회전하도록 상기 종동기어와 상기 제2암을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급펌프를 구동시켜 상기 분사암을 통해 상기 세척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단계, 상기 세척단계의 진행 중 실시되되 상기 세척단계에 설정된 공급펌프의 목표 RPM보다 높은 RPM으로 상기 공급펌프를 구동시키는 초과RPM유지단계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초과RPM유지단계는 소정시간 동안 진행되되 상기 세척단계의 개시 시점 또는 상기 세척단계의 개시 시점으로부터 소정시간 이후에 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척력이 향상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수 여과를 위해 구비되는 필터의 세척이 가능한 분사암을 구비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급유로에 연결된 제1암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세척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2암, 제1암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세척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3암을 구비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구비되는 분사암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제1암과 제2암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구비되는 공급펌프 RPM제어 과정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구조도로 본 발명 식기세척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2),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식기 등의 세척대상의 수납이 가능한 랙(5), 상기 랙에 수용된 세척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6)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에는 상기 랙으로부터 세척대상의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도어(11)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11)에는 사용자가 식기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1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2) 내부에는 상기 랙(5)을 지지하기 위한 서포터(21)가 상기 터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랙(5)은 상기 서포터에 의해 지지되는 휠(51)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랙(5)은 상기 도어(11)가 개방된 때 상기 터브(2)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다.
상기 분사암(6)은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랙에 수납된 세척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한다.
상기 분사암(6)은 식기세척기의 외부에 구비된 급수원(미도시)으로부터 직접 세척수를 공급 받아 상기 랙(5)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프(3)로 회수된 세척수를 공급 받아 세척대상에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본 발명 식기세척기는 터브(2)의 하부에 위치하여 터브 내부에 분사된 세척수를 집수하는 섬프(3), 상기 섬프에 회수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암에 공급하는 공급유로(8) 및 공급펌프(7)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섬프(3)는 식기세척기의 외부에 구비된 급수원(미도시)에 연결된 공급부(31)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게 되는데 상기 공급부(31)는 상기 섬프와 급수원을 열결하는 공급호스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세척대상의 세척 완료 후 섬프(3)에 저장된 세척수의 배출을 위해 상기 섬프(3)는 배수호스(333) 및 배수펌프(3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유로(8)는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가 상기 분사암(6)으로 이동할 수 있는 유로이고, 상기 공급펌프(7)는 상기 섬프(3)에 저장된 세척수를 공급유로(8)를 통해 상기 분사암(6)에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식기세척기를 작동시키면 상기 공급부(31)를 통해 깨끗한 세척수가 섬프에 공급되고, 섬프에 일정량의 세척수가 공급되면 상기 공급펌프(7)가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공급유로(8)를 통해 분사암(6)에 공급하며, 분사암에 공급된 세척수는 랙에 수납된 세척대상에 분사되어 세척대상의 세척이 가능하다.
한편, 세척대상에 분사된 뒤 섬프(3)로 회수된 세척수를 분사암(6)에 재공급하는 구조에서는 섬프로 회수되는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제거가 필요하다.
분사암(6)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대상의 표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한 뒤 섬프(3)로 이동하므로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지 않고 분사암(6)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면 세척수에 섞여 있는 이물질에 의해 공급펌프(7)의 오작동이나 분사암(6)의 오작동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섬프로 회수되는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장치가 더 구비될 필요가 있는데 본 발명 식기세척기(100)는 터브(2)와 섬프(3)를 구분시키는 섬프커버(35)에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프커버(35)는 터브가 제공하는 세척공간과 섬프가 제공하는 집수공간을 구분시키며 섬프(3)의 상부(또는 터브의 하부)에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필터(4)는 상기 섬프커버(35)를 관통하는 다수의 홀 또는 그물망형태로 구비되는 보조필터(43)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섬프커버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메인필터(41)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보조필터 및 메인필터를 모두 구비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인필터 및 보조필터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메인필터(41)는 섬프커버(35)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필터(413)와, 상기 제1필터 내부에 삽입된 제2필터(413), 상기 섬프커버에 잔류하는 세척수가 메인필터(41)로 유입되는 필터유입구(41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필터와 제2필터는 그물망 형태로 구비되되 제1필터(411)에 구비된 홀의 크기가 제2필터(413)에 구비된 홀의 크기보다 더 크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1필터(411)를 통해서는 비교적 크기가 큰 이물질만을 여과하고 제2필터(413)를 통해서는 제1필터를 통과한 비교적 크기가 작은 이물질을 여과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세척수를 여과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인필터(41)의 청소를 원할 경우 섬프커버(35)로부터 메인필터(41)를 분리시켜 제1필터와 제2필터의 세척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보조필터(43)는 상기 메인필터(41)가 이물질에 막혀 섬프(3) 내부로 세척수를 원활히 공급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구비되는 필터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구조는 분사암(3)을 통해 세척대상에 분사된 세척수가 메인필터(41)를 거쳐 섬프로 회수되어야만 공급펌프(7)을 통해 분사암(6)에 재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필터(41)에 이물질이 쌓여 세척수가 섬프로 원활히 회수되지 못하면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원활히 공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 식기세척기(100)는 섬프커버(35)를 관통하는 다수의 홀 또는 그물망 형태로 구비된 보조필터(43)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필터(41)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더라도 섬프로 세척수를 원활히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 식기세척기(100)에 구비된 분사암(6)은 공급유로(8)에 연통하도록 구비되되 터브 내부에서 회전하는 제1암(61), 상기 제1암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세척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되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회전하는 제2암(63), 상기 제1암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세척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3암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상기 분사암(6)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제1암(61)은 상기 공급유로(8)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유로연결부(611), 상기 유로연결부로 유입된 세척수가 유동하는 챔버(613, 도 3참고), 상기 챔버로 유입된 세척수를 세척대상에 분사하는 제1암 분사홀(615)을 포함한다.
상기 제1암(61)은 모터와 같은 별도의 구동수단을 통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나 도 2는 제1암에 구비된 제1암 분사홀(615)을 통해 제1암이 회전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제1암 분사홀(615)은 상기 챔버(613)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세척수가 제1암의 상부면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분사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1암 분사홀(615)을 통해 세척수가 분사될 때 그 반발력에 의해 제1암(61)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자면 제1암의 길이방향을 Y축으로 하고, 상기 Y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X축 및 Z축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1암 분사홀(615)은 세척수가 X-Z평면에서 X축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분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암 분사홀(615)이 유로연결부(611)의 오른쪽에만 구비될 경우 다수의 제1암 분사홀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방향은 모두 동일하게 구비되어야 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1암 분사홀(615)이 유로연결부(611)의 왼쪽과 오른쪽에 모두 구비될 경우에는 유로연결부의 왼쪽에 구비된 제1암 분사홀과 유로연결부의 오른쪽에 구비된 제1암 분사홀의 분사방향은 서로 다르도록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제2암(63)은 식기세척기의 세척효율 향상을 위해 구비되는 구성으로 상기 제2암(63)은 제1암(61)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 받아 랙(5)에 수납된 세척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되 상기 제1암을 기준으로(제1암의 길이방향에 나란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회전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암의 길이방향을 Y축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2암은 상기 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소정각도 범위(A) 내에서 왕복회전한다. 이 경우, 제2암에서 분사된 세척수의 궤적은 X-Z평면 내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암(63)은 랙에 수납된 세척대상에 다양한 각도로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세척대상의 표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암은 상기 제1암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제1암의 일단에 제1암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제2암 구동부(65)에 의해 왕복회전의 동력을 전달 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과 도 2(b)를 참고하여 제1암과 제2암의 결합구조 및 제2암 구동부(65)의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암(61)과 제2암(63)은 제1암의 일단이 제2암에 삽입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암(61)은 챔버(613)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2암 삽입부(61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암(63)은 상기 제2암 삽입부가 수용되는 제1암 연결부(631)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2암 구동부(65)는 상기 제2암이 제1암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회전 가능한 한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 (b)는 주동기어(651), 종동기어(653) 및 연결바(657)을 통해 제2암이 왕복회전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주동기어(651)는 상기 제1암의 회전 시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제1암의 유로연결부(611)에 구비되고, 상기 종동기어(653)는 상기 주동기어(651)에 치합되도록 고정축(6531)을 통해 상기 제1암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바(655)는 제1암에 구비된 지지축(657)에 의해 지지되며 연결바의 일단은 상기 종동기어에 결합하고 연결바의 타단은 제2암에 구비된 바 연결축(637)에 결합된다.
제1암(61)은 공급유로(8)에 유로연결부(611)를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공급펌프(7)가 섬프(3)에 저장된 세척수를 공급유로(8)로 공급하면 제1암(61)은 회전하게 된다.
제1암이 회전하면 유로연결부(611)에 구비된 주동기어(651)가 회전하고, 주동기어에 치합된 종동기어(653)도 고정축(6531)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종동기어의 회전 시 종동기어에 고정된 연결바(655)의 일단은 원궤적을 그리며 운동하나 연결바(655)가 지지축(657)에 의해 지지되므로 연결바의 타단은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운동하게 된다.
즉 도 2 (c)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종동기어에 결합된 연결바(655) 일단의 궤적은 원궤적(C1)을 형성하게 되나 연결바가 지지축(657)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기 때문에 연결바의 타단은 왕복운동 궤적(C2)을 형성하게 될 것이다.
도 2 (c)에 도시된 왕복운동 궤적(C2)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연결바(655)는 상기 지지축(657)이 삽입되되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연결바 슬릿(6551)과 바 연결축이 삽입되되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연결축 슬릿(6553)을 포함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연결바 슬릿(6551)과 연결축 슬릿(6553)은 연결바(655)의 일단이 원궤적(C1)을 그리면서 운동하는 동안 연결축의 위치변경(B1, B2)을 고려하여 구비되어야 한다.
한편, 제2암은 제1암 연결부(631)에 제1암의 제2암 삽입부(617)가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된 상태이므로 연결바의 타단이 궤적 C2를 따라 왕복운동하면 제2암은 제1암의 길이방향에 나란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1암에서 제2암 내부로 유입된 세척수는 제2암에 구비된 제2암 분사홀(633)을 통해 세척대상으로 분사되되 제2암의 왕복운동 각도에 따라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 경로를 달리하며 세척대상에 분사되므로 본 발명 식기세척기는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암(63)은 분사암의 하부에 위치한 필터(4)의 세척을 위해 세척수가 분사되는 필터세척홀(6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암(6)이 랙(5)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4)는 상기 분사암의 하부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2암 분사홀(633)은 제2암의 상부면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세척홀(635)은 제2암의 하부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암에 제1암에서 공급되는 세척수가 유입되면 일부는 상기 제2암 분사홀(633)을 통해 랙(5)에 수납된 세척대상으로 분사되고, 제2암에 유입된 세척수 중 일부는 상기 필터세척홀(635)를 통해 필터(4) 방향으로 분사된다.
도 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암(61)은 제1암 분사홀(615)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반발력에 의해 회전하므로 제1암에 구비된 제2암도 제1암의 회전 궤도를 따라 터브 내부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2암은 제2암 구동부(65)에 의해 제1암의 일단에서 소정각도 범위(A) 내에서 왕복회전하므로 제2암 분사홀(633) 및 필터세척홀(635)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는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 분사방향을 달리하며 분사된다.
상기 필터분사홀(635)은 메인필터(41) 및 보조필터(43)에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나 도 2 (a)는 세척수가 보조필터(43)에 집중적으로 분사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필터분사홀(635)이 제2암에 구비되면 필터분사홀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 분사방향을 달리하므로 보조필터(43)의 보다 넓은 영역의 세척이 가능해진다.
소정각도 범위(A) 내에서 왕복회전하지 않는 제2암에 필터분사홀가 구비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필터분사홀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하나의 반지름을 가지는 원궤적(D)을 형성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회전하는 제2암에 필터분사홀(635)이 구비되면 필터분사홀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크기가 다른 두 개의 반지름을 가지는 원궤적(세척밴드, E)을 형성하게 되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보조필터(43)를 세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분사암(6)은 제1암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세척대상에 분사하되 상기 제1암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3암(6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암(67)은 제1암 연결부(671)를 통해 제1암의 챔버(613, 도 3참고)에 연통하며, 제1암 연결부(671)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3암의 상부면에는 제1암 연결부로 유입된 세척수가 세척대상으로 분사되는 제3암 분사홀(673)이 구비된다.
제3암의 길이방향을 Y축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3암 분사홀(673)은 세척수가 X-Z평면에서 X축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분사되도록 구비됨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3암 분사홀(673)을 통해 세척수가 분사될 때 그 반발력에 의해 제3암(67)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1암의 제2암 삽입부(617)와 제2암의 제1암 연결부(631)의 결합공간에는 이물질이 잔류할 수 있는데 본 발명 식기세척기는 제2암 삽입부와 제1암 연결부의 결합공간에 잔류하는 이물질의 배출 및 제2암으로 유입된 이물질의 배출을 위한 유로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유로(618)는 제2암 삽입부(617)의 외주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제2암이 제1암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결합돌기(619)가 상기 제2암 삽입부(617)의 외주면에 구비될 경우 상기 결합돌기(619)는 제2암 삽입부(617)의 외주면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유로(618)는 하나의 결합돌기와 다른 하나의 결합돌기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암 내부로 세척수가 유입되면 세척수 중 일부는 제2암 분사홀(633)을 통해 세척대상으로 분사되고, 세척수 중 일부는 필터세척홀(635)를 통해 필터(4) 방향으로 분사되며 세척수 중 일부는 상기 유로(618)를 통해 제2암의 외부로 배출된다.
만약, 제2암 삽입부(617)과 제1암 연결부(631) 사이에 이물질이 존재하면 상기 유로(618)를 유동하는 세척수에 의해 제2암 외부로 배출될 것이고, 제2암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도 상기 유로(618)를 통해 제2암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로(618)는 제2암 삽입부(617)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유로(6181)와 상기 제2암 삽입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유로(618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유로(6183)의 폭이 상부유로(6181)의 폭보다 더 크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암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은 자중에 의해 제2암의 바닥면을 향해 이동할 것이므로 하부유로(6183)의 폭을 넓게 함으로써 제2암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이 제2암의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유로(618)가 하나의 결합돌기와 다른 하나의 결합돌기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정의될 경우 제2암 삽입부(617)의 상부에 위치한 결합돌기의 이격거리는 제2암 삽입부의 하부에 위치한 결합돌기의 이격거리에 비해 짧도록 구비되어야 한다.
나아가, 상기 유로(618)를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는 상기 제2암 구동부(65) 방향으로 분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유로(618)로 배출되는 세척수를 이용하여 제2암 구동부(65)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세척함으로써 제2암(65)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제2암 구동부를 통해 제1암에 구비된 제2암을 왕복회전시키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제2암 구동부(65)는 기어를 통해 제2암(63)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식기세척기의 구동초기 제2암의 왕복회전을 위한 큰 동력이 요구되며 제2암 구동부에 이물질이 잔류하는 경우라면 더욱 더 큰 동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급펌프(7)를 구동시켜 분사암(6)을 통해 세척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단계, 상기 세척단계의 진행 중 실시되되 상기 세척단계에 설정된 공급펌프의 목표 RPM보다 높은 RPM으로 상기 공급펌프를 구동시키는 초과 RPM 유지단계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목표 RPM은 세척단계의 진행 중 공급펌프(7)가 유지하고자 하는 RPM(정상상태 RPM)으로 정의되며, 상기 초과RPM유지단계는 소정시간 동안 진행되되 상기 세척단계의 개시 시점 또는 상기 세척단계의 개시 시점으로부터 소정시간 이후에 시작되는 단계이다.
즉 상술한 제어방법은 세척단계의 개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한 뒤(또는 세척단계의 개시와 동시)에 목표 RPM보다 높은 RPM으로 공급펌프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암에 높은 압력의 세척수를 공급한다.
제1암에 공급되는 세척수의 압력이 높으면 제1암의 회전력이 증가하고, 제1암의 회전력이 증가하면 주동기어(651)를 통해 종동기어(653)에 전달되는 힘이 증가하므로 제2암의 왕복회전에 필요한 초기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식기세척기: 100 캐비닛: 1 도어: 11
컨트롤패널: 13 터브: 2 섬프: 3
섬프커버: 35 필터: 4 메인필터: 41
보조필터: 43 랙: 5 분사암: 6
제1암: 61 제2암: 63 제2암 구동부: 65
제3암: 67 공급펌프: 7 공급유로: 8

Claims (1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세척대상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1암, 상기 제1암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암에 결합되어 상기 제1암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상기 세척대상에 분사하는 제2암이 구비된 분사암;
    상기 제1암이 회전될 때 상기 제1암의 회전력을 왕복운동으로 전환하여 제2암으로 전달하는 제 2암 구동부;
    상기 분사암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집수되는 섬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암은 상기 제2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2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암은 상기 제2암 삽입부가 수용되는 제1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암 연결부와 상기 제2암 삽입부 사이에는 상기 제2암 내부의 세척수 중 일부가 상기 제1암 및 제2암의 외부로 배출되는 유로가 구비되고,
    상기 제2암 삽입부는,
    상기 제1암 연결부 내주면에 접하도록 상기 제2암 삽입부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결합돌기는 상기 제2암 삽입부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유로는 하나의 결합돌기와 다른 하나의 결합돌기 사이의 이격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유로는,
    상기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가 상기 제2암 구동부 방향으로 분사되어 상기 제2암 구동부를 세척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암 삽입부의 하단에 구비된 상기 유로의 폭은 상기 제2암 삽입부의 상단에 구비된 상기 유로의 폭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섬프와 상기 제1암을 연통시키되 상기 제1암이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공급유로;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제1암에 공급하는 공급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섬프는 상기 터브와 상기 섬프를 구분하도록 상기 섬프의 상부에 구비되는 섬프커버; 및
    상기 섬프커버를 관통하는 다수의 홀로 형성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암은 상기 제1암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상기 필터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필터세척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암 구동부는
    상기 제1암의 회전 시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암에 구비되는 주동기어;
    상기 제1암에 구비되되 상기 주동기어에 치합하는 종동기어;
    일단은 상기 종동기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암에 연결된 연결바;
    상기 제1암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바를 지지하는 지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6. 삭제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암은
    상기 제1암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상기 세척대상에 분사하는 제3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암은 제1암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8. 삭제
  19. 삭제
KR1020110053230A 2011-06-02 2011-06-02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21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230A KR101821201B1 (ko) 2011-06-02 2011-06-02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230A KR101821201B1 (ko) 2011-06-02 2011-06-02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370A KR20120134370A (ko) 2012-12-12
KR101821201B1 true KR101821201B1 (ko) 2018-01-23

Family

ID=47902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230A KR101821201B1 (ko) 2011-06-02 2011-06-02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12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54312A1 (en) * 2016-06-10 2017-12-14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838B1 (ko) * 2015-04-15 201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102355621B1 (ko) * 2015-02-02 2022-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101669972B1 (ko) * 2015-02-02 2016-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CN105832267B (zh) * 2015-02-02 2019-11-12 Lg电子株式会社 洗碗机
KR102358751B1 (ko) * 2015-02-04 2022-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CN106805922B (zh) * 2015-02-04 2020-07-10 Lg电子株式会社 洗碗机
KR101598753B1 (ko) * 2015-02-04 2016-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US10638909B2 (en) 2015-04-14 2020-05-05 Foshan Shunde Midea Washing Appliances Mfg. Co., Ltd. Spray arm assembly of dish washer and dish washer having same
KR102431974B1 (ko) * 2015-07-23 2022-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102401640B1 (ko) * 2015-07-23 2022-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AU2016295237B2 (en) 2015-07-23 2018-11-15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KR102396038B1 (ko) * 2015-07-23 202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102431978B1 (ko) * 2016-01-05 2022-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102565551B1 (ko) * 2016-06-10 2023-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102614488B1 (ko) * 2016-08-12 2023-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CN108498048A (zh) * 2018-04-25 2018-09-07 浙江欧琳生活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脉冲式洗碗机供水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2666A (ja) * 2001-03-15 2002-09-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い機
JP3437241B2 (ja) * 1993-03-06 2003-08-18 エルジー電子株式会社 食器洗浄機の洗浄水噴射装置
KR100438270B1 (ko) * 2001-05-07 200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JP4144114B2 (ja) * 1999-05-24 2008-09-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い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7241B2 (ja) * 1993-03-06 2003-08-18 エルジー電子株式会社 食器洗浄機の洗浄水噴射装置
JP4144114B2 (ja) * 1999-05-24 2008-09-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い機
JP2002272666A (ja) * 2001-03-15 2002-09-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い機
KR100438270B1 (ko) * 2001-05-07 200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54312A1 (en) * 2016-06-10 2017-12-14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370A (ko)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1201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US9700196B2 (en) Dishwasher with filter assembly
US8215322B2 (en) Dishwasher with soil removal
US9107559B2 (en) Dishwasher with filter assembly
KR101938710B1 (ko) 식기 세척기
US20110120508A1 (en) Dishwasher
KR101995421B1 (ko) 식기세척기
CN110192806A (zh) 吸尘器
KR20140099692A (ko) 식기세척기
JP2008073131A (ja) 食器洗い機
KR101877387B1 (ko) 식기세척기
KR101769378B1 (ko) 식기세척기
KR101980706B1 (ko) 식기세척기
EP3488757B1 (en) Dishwasher
KR102431200B1 (ko) 식기세척기
KR100769777B1 (ko) 식기 세척기
KR20120126596A (ko) 식기세척기
EP3339489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209613633U (zh) 一种手套生产线用喷淋清洗装置
TWI291343B (en) Tableware cleaner
JP5848004B2 (ja) 調理鍋の洗浄装置
CN109402937B (zh) 一种超声波洗涤装置及控制方法
EP0455151A1 (en) Dishwashing machine
KR20140100072A (ko) 식기세척기
KR101749113B1 (ko) 식기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