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9113B1 - 식기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식기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113B1
KR101749113B1 KR1020110024788A KR20110024788A KR101749113B1 KR 101749113 B1 KR101749113 B1 KR 101749113B1 KR 1020110024788 A KR1020110024788 A KR 1020110024788A KR 20110024788 A KR20110024788 A KR 20110024788A KR 101749113 B1 KR101749113 B1 KR 101749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processing space
guider
rail
proc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7220A (ko
Inventor
장보영
안미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4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113B1/ko
Publication of KR20120107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7Arrangements for extracting racks, e.g. roller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47L15/23Rotary spraying devices moved by means of the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other means
    • A47L15/3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other means by rotating only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처리대상을 수납하는 다수의 랙이 구비된 식기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식기와 같은 처리대상의 수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을 가진 처리대상의 수납이 가능한 식기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처리장치{Tableware Treating Appratus}
본 발명은 식기의 세척 내지 식기의 건조를 위한 식기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기처리장치는 식기류(tableware, 이하 '처리대상')의 세척, 건조, 살균 등을 위한 기기로 통상 식기세척기와 식기건조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식기건조기는 처리대상을 식기처리장치가 제공하는 처리공간에 수납한 뒤 식기처리장치 내부에 구비된 공기공급장치를 통해 처리대상에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장치를 의미하고, 식기세척기는 처리공간에 처리대상을 수납한 뒤 세척수를 이용하여 처리대상에 잔류하는 오물을 제거(경우에 따라 건조까지 가능)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상술한 식기처리장치의 경우 처리공간을 제공하는 터브(tub), 상기 터브의 전방에 구비되어 처리공간을 개폐시키는 도어, 상기 처리공간 내부에 위치하여 식기 등의 처리대상을 수납하는 다수의 랙(rack)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처리대상의 처리(세척, 건조, 살균 등)를 위해서는 도어를 열어 처리공간 개방, 다수의 랙을 처리공간에서 인출, 랙에 처리대상을 수납함으로써 식기처리장치의 작동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다수의 랙이 처리공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된 경우 상부에 위치한 랙과 하부에 위치한 랙을 처리공간에서 동시에 인출시킨 후 처리대상을 수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상하부에 위치한 랙을 모두 처리공간에서 인출시킨 경우 하부에 위치한 랙에는 상부에 위치한 랙때문에 처리대상을 수납하기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하부 랙 중 어느 하나에 처리대상을 먼저 수납한 뒤 나머지 하나의 랙에 처리대상을 수납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세척이나 건조가 완료된 세척대상을 식기처리장치에서 빼낼 경우에도 상하부 랙 중 어느 하나에 수납된 처리대상을 빼낸 뒤 다른 하나의 랙에 수납된 처리대상을 빼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식기 등의 처리대상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는 식기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을 가진 처리대상의 수납이 가능한 식기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방된 일면이 구비된 처리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처리공간에 구비되며 처리대상을 수용하는 랙을 포함하되 상기 랙은 상기 처리공간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상기 처리공간으로부터 인출 가능하며, 상기 랙이 상기 처리공간으로부터 인출된 때 회전 가능한 식기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본 발명 식기처리장치는 상기 랙을 상기 처리공간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상기 랙을 출입시키고 상기 랙이 상기 처리공간에서 인출된 경우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랙 가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랙은 상기 처리공간 내 서로 다른 높이에 구비되는 상부 랙과 하부 랙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랙 가이더는 상기 상부 랙의 출입 및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부 랙이 상기 처리공간의 개방된 일면으로 출입하도록 상기 처리공간에 구비되는 하부 랙 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랙은 상기 처리공간 내 서로 다른 높이에 구비되는 상부 랙과 하부 랙을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랙 가이더는 상기 상부 랙과 상기 하부 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입 및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랙은 상기 처리공간의 개방된 일면으로 인출된 경우 서로 분리되는 제1 랙과 제2 랙을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랙 가이더는 상기 제1 랙의 출입과 회전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더와 상기 제2 랙의 출입과 회전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더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가이더와 상기 제2 가이더는 상기 처리공간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제1 랙과 제2 랙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랙과 제2 랙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처리공간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상기 처리공간에 출입하는 하부 랙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랙과 제2 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처리대상이 착탈되는 착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착탈부는 상기 제1 랙과 제2 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뒤 상부방향으로 절곡되어 구비되는 행잉후크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만을 구비한 식기처리장치는 식기와 같은 처리대상의 수납이나 건조만을 위한 것이나 처리대상의 세척도 가능하도록 랙에 수납된 식기의 세척을 위해 상기 처리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랙과 제2 랙에 수용된 처리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사암은 상기 제1 랙과 제2 랙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행잉후크는 처리대상이 상기 분사암의 회전반경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수 저장부가 일체로 구비된 식기처리장치의 제공을 위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 상기 분사암과 상기 섬프를 연통시키는 공급유로,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암으로 공급하는 공급펌프를 포함하는 세척수 공급부를 더 포함하여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암은 상기 제1 랙 또는 제2 랙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되 상기 분사암이 구비된 랙이 상기 처리공간 내부에 위치하면 상기 공급유로에 연통하고, 상기 분사암이 구비된 랙이 상기 처리공간에서 인출되면 상기 공급유로에서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랙 가이더는 상기 랙이 상기 처리공간으로 출입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직선운동부, 상기 처리공간에서 인출된 상기 랙을 회전시키는 회전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직선운동부는 상기 랙에 결합하는 소정길이의 레일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운동부는 상기 터브에 힌지 결합된 회전판, 상기 회전판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의 직선왕복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 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랙 가이더는 상기 직선운동부는 상기 랙에 결합되는 레일, 상기 처리공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의 직선왕복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 가이더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운동부는 상기 레일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에 구비되는 회전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식기 등의 처리대상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는 식기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을 가진 처리대상의 수납이 가능한 식기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식기처리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랙이 처리공간 외부로 인출된 경우를 도시한 식기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랙이 처리공간 내부에 위치한 식기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식기처리장치에 구비되는 랙 가이더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랙 가이더의 구조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 식기처리장치는 식기와 같은 처리대상의 수납(식기수납기), 건조(식기건조기), 세척(식기세척기), 살균이 가능한 기기를 의미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처리대상의 세척과 건조를 목적으로 하는 식기세척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 식기처리장치는 식기류(tableware, 이하 '처리대상')의 세척, 건조, 살균 등이 가능한 기기로 통상 식기세척기와 식기건조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처리대상의 세척, 건조를 위한 식기세척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식기처리장치(100)는 처리공간(11)을 제공하는 터브(1), 상기 처리공간의 일면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도어(2), 상기 터브에 구비되어 식기처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패널(CP)을 포함한다.
상기 처리공간(11)은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되 개방된 일면을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도어는 터브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공간의 개방된 일면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처리공간(11) 내부에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3), 식기와 같은 처리대상이 수용되는 랙, 랙에 수납된 처리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섬프(3)는 처리대상의 세척에 필요한 세척수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급수원(미도시)과 섬프를 연통시키는 급수부(31),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식기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31)는 급수호스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배수부(33)는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섬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펌프(333) 및 배수호스(33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랙은 처리공간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랙(41), 상기 상부 랙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랙(43)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랙(41, 43)은 상기 처리공간(11)의 개방된 일면(이하, 개방면)을 통해 처리공간 내부로 출입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사암은 상부 랙(41)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암(51)과 상기 하부 랙(43)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암(5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암(53)은 후술할 하부 공급유로(63)에 연통하되 하부 랙(43)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상부암(51)은 후술할 상부 공급유로(65)에 연통하여 상부 랙(41)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부암(51)은 상부 랙(41)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515), 상기 분사노즐(515)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유로(511)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상부암(51)은 상부 랙(41)의 하부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유로(511)에는 후술할 상부 공급유로(65)의 암착탈부(651)와 연통하는 유로착탈부(513)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하부 분사암(51, 53)은 식기처리장치 외부에 구비된 급수원(미도시)으로부터 직접 세척수를 공급받아 처리대상에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프(3)에 저장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본 발명 식기처리장치는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공급부(6)는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펌핑하는 공급펌프(61), 상기 공급펌프에서 제공되는 세척수를 하부암에 공급하는 하부 공급유로(63), 상기 상부암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상부 공급유로(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공급유로(65)는 상부암(51)의 유로착탈부(513)에 연통하는 암착탈부(651)를 포함한다. 이는 상부암(51)이 상부 랙(41)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부 랙(41)을 처리공간(11)에서 인출하면 상기 상부암(51)은 공급유로(65)에서 분리되나 사용자가 상부 랙(41)을 처리공간으로 밀어넣으면 상부암(51)이 공급유로(65)와 연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구성만을 구비한 식기처리장치는 상부 랙(41)과 하부 랙(43)을 처리공간으로부터 모두 인출시킨 뒤 처리대상을 수납하거나 제거하는데 불편한 구조이다.
즉, 사용자는 상하부 랙 중 어느 하나에 처리대상을 수납한 뒤 나머지 하나의 랙에 처리대상을 수납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세척이나 건조가 완료된 세척대상을 랙에서 제거할 경우에도 상하부 랙 중 어느 하나에 수납된 처리대상을 먼저 제거한 뒤 다른 하나의 랙에 수납된 처리대상을 제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식기처리장치(100)는 처리공간의 개방면으로 인출된 상하부 랙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랙 가이더(8)를 더 포함한다.
상기 랙 가이더(8)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랙(41)에만 구비될 수도 있고, 상하부 랙(41, 43)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처리공간(11)의 내주면에는 상기 하부 랙(43)을 처리공간(11)의 개방면을 통해 출입시키는 하부 랙 서포터(7)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랙(43)은 상기 하부 랙 서포터(7)와 접촉하는 휠(43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랙(43)은 하부 랙 서포터(7)에 의해 처리공간(11)의 개방면 전방으로 단순히 인출되나 상기 상부 랙(41)은 처리공간의 개방면 전방으로 인출된 뒤 하부 랙(43)이 상부 랙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일측으로 회전하므로 상술한 문제가 해소된다.
한편 후자의 경우(상하부 랙(41, 43)에 각각 랙 가이더가 구비되는 경우), 상하부 랙에 각각 구비되는 랙 가이더는 처리공간에서 인출된 상부 랙(41)과 하부 랙(43)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 랙에 구비되는 상부 랙 가이더는 처리공간의 개방면으로 인출된 상부 랙(41)을 개방면의 우측(또는 좌측)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되고, 하부 랙에 구비되는 하부 랙 가이더는 개방면으로 인출된 하부 랙(43)을 개방면의 좌측(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개방면으로 인출된 상부 랙에 의해 하부 랙이 가려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상기 상부 랙(41)은 처리공간(11)의 개방면으로 인출된 경우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제1 랙과 제2 랙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랙(41)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랙 가어더(8)는 제1 가이더와 제2 가이더로 구비되는데 이하에서는 도 2와 3을 참고하여 상부 랙(41)이 제1 랙과 제2 랙을 포함하는 식기처리장치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식기처리장치(100)에 구비되는 상부 랙은 제1 랙(411)과 제2 랙(413)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랙과 제2 랙은 제1 가이더(81)와 제2 가이더(83)에 의해 처리공간의 개방면으로 인출된 때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랙(411)과 제2 랙(4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주면에는 주걱과 같이 랙의 내부에 수납하기 어려운 처리대상(B)을 탈부착 가능한 착탈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편의를 위해 제1 랙에 착탈부가 구비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착탈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랙(411)의 외주면으로 부터 돌출된 뒤 상부로 절곡되어 구비되는 행잉후크(415)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주걱과 같은 처리대상(B)은 제1 랙의 내부에 수납할 경우 접시와 같은 처리대상(A)의 수납공간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랙의 외주면에 주걱과 같은 처리대상을 착탈 가능한 행잉후크(415)를 구비하면 접시와 같은 처리대상의 수납공간의 제한없이 주걱과 같은 처리대상의 수납공간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다만, 상기 행잉후크(4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암(51)의 회전반경(R)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행잉후크에 지지된 처리대상이 회전하는 상부암(51)과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여 세척효율 저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제1 랙(41)에 수납하기 어려운 크기를 가진 처리대상도 처리공간에 거치시키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제1 랙(411)은 행잉후크(415)가 구비되는 부분이 처리공간(11) 방향으로 절곡되어 구비되어 처리대상의 거치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4를 통해 상기 제1 랙과 제2 랙을 지지하는 랙 가이더(8)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랙 가이더(8)는 제1 랙(411)의 처리공간 출입 및 회전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더(81)와 제2 랙(413)의 처리공간 출입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더(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더(81)와 제2 가이더(83)는 처리공간(11)의 마주보는 양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가이더(81)는 제1 랙(411)이 처리공간을 통해 출입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직선운동부, 처리공간에서 인출된 제1 랙을 회전시키는 회전운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가이더(83)는 상기 제2 랙의 처리공간 출입만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가이더(8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되 상기 제1 랙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제2 랙을 회전시키는 구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가이더(83) 역시 직선운동부와 회전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선운동부는 제1 랙(411), 제2 랙(413)의 각 외주면에 고정되는 레일(85)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운동부는 회전판(87)과 회전판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을 지지하는 레일 가이더(89)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일(85)에는 레일의 상단과 하단에서 돌출되는 돌기(851)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판(87)은 터브(1)에 힌지(88) 결합되고, 상기 레일 가이더(89)는 상기 롤러(85)의 상단과 하단을 지지하는 상부롤러(891)와 하부롤러(89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롤러(891)와 하부롤러(893)는 회전축(8911, 8931)을 통해 회전판(87)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고, 상기 레일(85)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된 돌기(851)을 수용하는 돌기수용홈(8913, 8933)을 각각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레일(85)에 구비된 돌기(851)가 상하부롤러(891, 893)에 각각 구비된 돌기수용홈(8913, 8933)에 지지되므로 제1 랙과 제2 랙은 처리공간(11)의 개방면을 통해 출입할 수 있다.
또한, 상부롤러와 하부롤러가 구비된 회전판(87)은 터브(1)에 힌지(88) 결합되어 있어 처리공간(11)에서 인출된 제1 랙과 제2 랙은 처리공간에서 인출된 뒤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식기처리장치에 구비되는 랙 가이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5에 개시된 랙 가이더(9)는 레일에 회전운동부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도 5에 개시된 랙 가이더(9)의 직선운동부는 레일(91), 레일가이더(93)로 구비되고, 회전운동부는 레일에 구비되는 회전축(95)으로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레일가이더(93)는 처리공간의 내주면에 상기 레일(91)의 상단과 하단을 수용하도록 구비되어 레일(91)이 직선왕복운동을 가이드한다.
한편, 상기 회전축(95)은 제2 랙(413)이 고정된 부분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91)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일가이더(93)에 의해 레일(91)의 직선운동이 지지되므로 레일(91)에 결속된 제2 랙(413)은 처리공간(11)의 개방면을 통해 출입하게 되고, 레일(91)은 회전축(95)을 통해 일단이 회전할 수 있으므로 제2 랙은 처리공간에서 인출된 뒤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식기처리장치 1: 터브 11: 처리공간
2: 도어 3: 섬프 31: 급수부
33: 배수부 4: 랙 41: 상부랙
411: 제1 랙 413: 제2 랙 행잉후크: 415
5: 분사암 51: 상부암 53: 하부암
511: 유로 513: 유로착탈부 515: 분사노즐
6: 세척수 공급부 61: 공급펌프 63: 하부 공급유로
65: 상부 공급유로 651: 암착탈부 7: 하부 랙 서포터
8, 9: 랙 가이더 81: 제1 랙 가이더 83: 제2 랙 가이더
85: 레일 87: 회전판 88: 힌지
89: 레일가이더 891: 상부롤러 8911: 회전축
8913: 돌기수용홈 893: 하부롤러

Claims (17)

  1. 개방된 일면이 구비된 처리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처리공간에 구비되며 처리대상을 수용하는 랙;
    상기 처리공간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상기 랙을 출입시키고 상기 처리공간에서 인출된 상기 랙을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랙 가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랙은 상기 처리공간의 개방된 일면으로 인출된 경우 서로 분리되는 제1 랙과 제2 랙을 포함하고,
    상기 랙 가이더는 상기 제1 랙의 출입과 회전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더와 상기 제2 랙의 출입과 회전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더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상기 처리공간 내 구비되되, 상기 제1 랙과 제2 랙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 랙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랙이 상기 처리공간의 개방된 일면으로 출입하도록 상기 처리공간에 구비되는 하부 랙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상기 처리공간 내 구비되되, 상기 제1 랙과 제2 랙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 랙을 더 포함하고,
    상기 랙 가이더는 상기 하부 랙의 출입 및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되는 하부 랙 가이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처리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더와 상기 제2 가이더는
    상기 처리공간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제1 랙과 제2 랙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랙과 제2 랙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처리공간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상기 처리공간에 출입하는 하부 랙;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랙과 제2 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처리대상이 착탈되는 착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제1 랙과 제2 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뒤 상부방향으로 절곡되어 구비되는 행잉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랙과 제2 랙에 수용된 처리대상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암은 상기 제1 랙과 제2 랙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행잉후크는 처리대상이 상기 분사암의 회전반경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
    상기 분사암과 상기 섬프를 연통시키는 공급유로,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암으로 공급하는 공급펌프를 포함하는 세척수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암은 상기 제1 랙 또는 제2 랙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되
    상기 분사암이 구비된 랙이 상기 처리공간 내부에 위치하면 상기 공급유로에 연통하고, 상기 분사암이 구비된 랙이 상기 처리공간에서 인출되면 상기 공급유로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처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랙 가이더와 상기 제2 랙 가이더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랙과 제2 랙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처리공간으로 출입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직선운동부;
    상기 처리공간에서 인출된 상기 제1 랙과 제2 랙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는 회전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운동부는 상기 제1 랙과 제2 랙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하는 소정길이의 레일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운동부는 상기 터브에 힌지 결합된 회전판, 상기 회전판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의 직선왕복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 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처리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운동부는 상기 제1 랙과 제2 랙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레일, 상기 처리공간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의 직선왕복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 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운동부는 상기 레일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에 구비되는 회전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처리장치.
KR1020110024788A 2011-03-21 2011-03-21 식기처리장치 KR101749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788A KR101749113B1 (ko) 2011-03-21 2011-03-21 식기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788A KR101749113B1 (ko) 2011-03-21 2011-03-21 식기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220A KR20120107220A (ko) 2012-10-02
KR101749113B1 true KR101749113B1 (ko) 2017-06-21

Family

ID=47279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788A KR101749113B1 (ko) 2011-03-21 2011-03-21 식기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91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0101A1 (ko) * 2020-07-06 2022-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839B1 (ko) * 2007-04-25 2008-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839B1 (ko) * 2007-04-25 2008-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0101A1 (ko) * 2020-07-06 2022-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220A (ko) 2012-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322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821201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RU2551758C1 (ru) Посуд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US20150272421A1 (en) Dishwasher appliance and a tine assembly for a dishwasher appliance
KR20100037453A (ko) 식기 세척기
KR101590012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20078277A (ko) 식기세척기
US9713414B2 (en) Dishwasher having a conduit framework
KR20170021598A (ko)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CN103850088A (zh) 盛洗涤物的小滚筒及使用该小滚筒的抽屉组件
KR101769378B1 (ko) 식기세척기
KR20120116325A (ko) 식기세척기
KR101749113B1 (ko) 식기처리장치
KR20140039747A (ko) 식기세척기
KR20120126596A (ko) 식기세척기
WO2014075847A1 (en)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dispenser
KR20170002881A (ko) 의류처리장치
CN109402933B (zh) 一种清洗装置
TWI291343B (en) Tableware cleaner
JP4144115B2 (ja) 食器洗い機
KR101989891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방법
JP3787204B2 (ja) まな板装置
KR20150039938A (ko) 업다운 방식의 대용량 식기세척기
KR101783611B1 (ko) 식기세척기
KR101363604B1 (ko) 식기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