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300B1 - 배꼽 육아종 결찰건 - Google Patents

배꼽 육아종 결찰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7300B1
KR102527300B1 KR1020210075222A KR20210075222A KR102527300B1 KR 102527300 B1 KR102527300 B1 KR 102527300B1 KR 1020210075222 A KR1020210075222 A KR 1020210075222A KR 20210075222 A KR20210075222 A KR 20210075222A KR 102527300 B1 KR102527300 B1 KR 102527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barrel
fixed
ball
umbil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6461A (ko
Inventor
신종수
Original Assignee
신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종수 filed Critical 신종수
Priority to KR1020210075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300B1/ko
Publication of KR20220166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6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09Implements for ligaturing other than by clamps or clips, e.g. using a loop with a slip kn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56Surgical snare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09Implements for ligaturing other than by clamps or clips, e.g. using a loop with a slip knot
    • A61B2017/12018Elastic band ligators

Abstract

본 발명은 배꼽 육아종 결찰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로는, 신생아의 탯줄을 자르고 난 뒤 배꼽면의 완전한 복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신생물이 자라나서 육아종이 형성되는 경우, 이를 결찰하여 괴사시키기 위한 장치 즉, 배꼽 육아종을 결찰시킬 수 있는 결찰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생아의 제대 육아종을 치료하기 위하여, 제대 육아종을 묶어서 괴사시키는 방법을 적용함에 있어, 손쉽고 빠르게 묶어서 치료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함으로써, 육아종 치료에 있어 수술이나 시술 등의 과정에서 환자에게 발생 될 수 있는 위험과 통증을 저감시키고,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꼽 육아종 결찰건{Lig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배꼽 육아종 결찰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로는, 신생아의 탯줄을 자르고 난 뒤 배꼽면의 완전한 복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신생물이 자라나서 육아종이 형성되는 경우, 이를 결찰하여 괴사시키기 위한 장치 즉, 배꼽 육아종을 결찰시킬 수 있는 결찰건에 관한 것이다.
신생아의 탯줄은 출생 후 대략 1~2주를 지나게 되면 자연스럽게 탈락된다. 그리고 탯줄이 탈락한 이후 탯줄이 탈락한 자리에 배꼽면이 형성되는 것이 정상이다. 그러나 탯줄이 탈락한 이후 배꼽면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못하고 신생물이 자라나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은 종물을 형성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배꼽 육아종, 제대폴립 또는 제대 육아종 등으로 부른다.
신생아에게 발생되는 배꼽 육아종은 발생자리에 악취와 염증을 일으키며 심지어는 신생아의 생명을 위협하기도 한다. 따라서 배꼽 육아종이 생겼을 때는, 발생초기에 드레싱을 통하여 염증에 대한 관리를 하면서 질산은을 이용하여 약물적 소작을 시도하기도 한다.
그런데, 배꼽 육아종의 크기가 커서 소작 등의 방법을 적용하는 치료에 실패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 실을 이용하여 육아종을 묶어서 괴사시킨 후 자연탈락을 유도하기도 한다. 그러나, 육아종은 배꼽 속에 숨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숨어있는 육아종을 찾아서 시술하는 과정에서 아기가 심하게 울어 시술이 거의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전신마취를 한 상태에서 수술장에서 전기적인 소작을 하거나 절제 수술을 해야 하는 상태에 이르기도 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신생아의 제대 육아종을 치료하기 위하여, 제대 육아종을 묶어서 괴사시키는 방법을 적용함에 있어, 손쉽고 빠르게 묶어서 치료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함으로써, 육아종 치료에 있어 수술이나 시술 등의 과정에서 환자에게 발생 될 수 있는 위험과 통증을 저감시키고,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생아의 배꼽에 발생되는 배꼽 육아종을 묶어서 괴사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손잡이와 총신을 가진 권총 모양의 본체; 상기 총신의 앞쪽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속이 빈 원통형의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며, 한쪽 끝이 상기 총신의 앞쪽으로 돌출되는 노리쇠; 상기 노리쇠를 둘러싸며 상기 실린더 안에 삽입되는 스프링; 상기 노리쇠 중 상기 총신의 앞쪽으로 돌출되는 부위에 ㄷ자 또는 ㄴ자 모양으로 연장되는 노리쇠 헤드; 상기 노리쇠 헤드의 위쪽에 고정되며, 중심부에는 결찰사를 삽입할 수 있는 장착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봉 형상의 장착봉; 상기 손잡이와 상기 총신이 만나는 지점에 고정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아래쪽은 상기 손잡이를 쥔 손의 손가락으로 당길 수 있고, 위쪽은 연결축을 통하여 상기 노리쇠와 결합되는 방아쇠; 상기 방아쇠의 아래쪽이 당겨지면, 상기 연결축에 결합된 상기 방아쇠의 위쪽이 상기 노리쇠를 밀면서 상기 스프링을 누를 수 있도록, 상기 노리쇠에 끼워지는 지지판; 상기 총신의 뒤쪽 모서리에 고정되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공이 및 누름돌기를 가지는 누름쇠; 및 상기 총신의 뒤쪽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공이가 상기 결찰사를 눌러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부에 홈을 가지는 누름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육아종 결찰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신생아의 배꼽에 발생되는 배꼽 육아종을 묶어서 괴사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손잡이와 총신을 가진 권총 모양의 본체; 상기 총신의 뒤쪽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속이 빈 원통형의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며, 한쪽 끝이 상기 총신의 뒤쪽으로 돌출되는 노리쇠; 상기 노리쇠를 둘러싸며 상기 실린더 안에 삽입되는 스프링; 상기 노리쇠 중 상기 총신의 뒤쪽으로 돌출되는 부위에 ㄷ자 모양으로 연장되는 노리쇠 헤드; 상기 총신의 앞쪽 상부에 고정되며, 중심부에는 결찰사를 삽입할 수 있는 장착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봉 형상의 장착봉; 상기 손잡이와 상기 총신이 만나는 지점에 고정되는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아래쪽은 상기 손잡이를 쥔 손의 손가락으로 당길 수 있고, 위쪽은 제1연결축을 통하여 제1브라켓의 일단에 결합되는 방아쇠; 일단이 상기 제1연결축을 통하여 상기 방아쇠에 결합되며, 타단은 제2연결축을 통하여 제2브라켓의 일단에 결합되는 상기 제1브라켓; 상기 총신에 고정되는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일단이 상기 제2연결축을 통하여 상기 제1브라켓과 결합되며, 타단은 제3연결축을 통하여 상기 노리쇠와 결합되는 상기 제2브라켓; 상기 방아쇠의 아래쪽이 당겨지면, 상기 방아쇠의 위쪽이 상기 제1브라켓을 밀면서 전달하는 힘에 의하여 회동되는 상기 제2브라켓이 상기 노리쇠를 뒤쪽으로 밀면서 상기 스프링을 누를 수 있도록, 상기 노리쇠에 끼워지는 지지판; 상기 노리쇠 헤드의 뒤쪽에 고정되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공이 및 누름돌기를 가지는 누름쇠; 및 상기 노리쇠 헤드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공이가 상기 결찰사를 눌러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부에 홈을 가지는 누름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육아종 결찰건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누름쇠는, - 상기 회동축에 의하여 아래쪽이 고정되고, 상기 누름돌기는 위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공이는 옆으로 돌출되어 그 종단이 아래쪽을 향하는 모습이어서, 측면에서 본 모습이 ‘r’자 형상이며, - 상기 회동축에는, 상기 공이가 상기 누름틀의 홈을 누르는 방향으로 상기 누름쇠를 회전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 상기 누름돌기를 아래로 누르면, 상기 누름쇠가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공이가 상기 누름틀의 홈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결찰사에 대한 고정이 해제되며, - 상기 누름돌기를 놓게 되면, 상기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상기 누름쇠가 복원되면서 상기 공이가 상기 누름틀의 홈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결찰사를 고정시킬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육아종 결찰건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상기 장착봉의 앞부분은, 앞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타원체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육아종 결찰건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배꼽 육아종 결찰건은, 배꼽 육아종 하단부에 결찰사의 올가미를 손쉽고 빠르게 씌워서 묶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꼽 육아종 치료에 있어 환자의 고통과 위험부담을 저감시키고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꼽 육아종의 사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꼽 육아종 결찰건의 실시예들에 대한 외관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배꼽 육아종 결찰건의 내부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꼽 육아종 결찰건이 작동될 때 방아쇠 및 노리쇠의 움직임을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배꼽 육아종 결찰건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배꼽 육아종 결찰건의 다른 실시예에서 내부에 포함된 구성요소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배꼽 육아종 결찰건의 다른 실시예에서 방아쇠 및 노리쇠의 움직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상술한 목적과 특징이 분명해지도록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한 공지기술 중 이미 그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그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다양한 부가적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특정한 실시 예들이 도면에 표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들을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제1”, “제2”, “첫째” 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배꼽 육아종의 사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배꼽 육아종 결찰건(1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은 배꼽 육아종의 하단부를 손쉽게 결찰함으로써, 배꼽 육아종이 자연 괴사되어 탈락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배꼽 육아종 결찰건(10)은 도 2와 같은 외관 측면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내부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는 옆에서 측면 내부의 모습이며, 도 3(b)는 정면에서 바라다 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신생아의 배꼽에 발생되는 배꼽 육아종을 묶어서 괴사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손잡이(120)와 총신(110)을 가진 권총 모양의 본체(1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권총 모양으로 하게 되면, 시술자가 한 손으로 손잡이를 잡아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총신(110)의 앞쪽 내부에는 속이 빈 원통형의 실린더(13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실린더(130)의 내부에는, 상기 실린더(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며, 한쪽 끝이 상기 총신(110)의 앞쪽으로 돌출되는 노리쇠(140)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130) 안에는, 상기 노리쇠(140)를 둘러싸는 스프링(150)이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노리쇠(140)가 상기 실린더(130) 안에서 상기 실린더(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때, 상기 노리쇠(140)가 상기 총신(110)의 앞쪽으로 밀려가면, 상기 스프링(150)에 의하여 저지되는 힘을 받아서, 상기 노리쇠(140)가 뒤쪽으로 복원되는 복원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리쇠(140) 중 상기 총신(110)의 앞쪽으로 돌출되는 부위에는 ㄷ자 모양(도 2a) 또는 ㄴ자 모양(도 2b)으로 연장되는 노리쇠 헤드(141)가 상기 노리쇠(140)에 일체가 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노리쇠 헤드(141)가 ㄷ자 모양인 경우에는, ㄷ자 모양의 위쪽 부분이 도 2(a)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총신(110)의 바깥 위쪽에 위치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노리쇠 헤드(141)의 위쪽에는 봉 형상의 장착봉(170)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장착봉(170)은, 배꼽 육아종을 묶을 수 있는 실인 ‘결찰사(200)’의 한쪽에 매듭(220)을 이용하여 올가미(210)를 형성시킨 후 이를 장착시킬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장착봉(170)의 중심부에는 상기 결찰사(200)를 삽입할 수 있는 장착구멍(171)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봉(170)의 앞부분은, 앞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타원체 모양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20)와 상기 총신(110)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 고정쇠(121)에는 방아쇠(160)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방아쇠(160)는 상기 고정쇠(121)에 고정되는 회전축(16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방아쇠(160)의 아래쪽은 상기 손잡이(120)를 쥔 손의 손가락으로 당길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방아쇠(160)의 위쪽은 연결축(162)을 통하여 상기 노리쇠(140)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리쇠(140) 중 상기 방아쇠(160)와 연결되는 쪽에는 지지판(179)이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방아쇠(160)의 아래쪽이 당겨지면, 상기 연결축(162)에 결합된 상기 방아쇠(160)의 위쪽이 상기 노리쇠(140)를 밀면서 상기 지지판(179)도 밀게 되므로 상기 지지판(179)이 상기 스프링(150)을 누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총신(110)의 뒤쪽 모서리에는 누름쇠(180)가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누름쇠(180)는 상기 총신(110)의 뒤쪽 모서리에 고정되는 회동축(18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며, 공이(182) 및 누름돌기(183)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총신의 뒤쪽 상부에는 누름틀(190)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누름틀(190)에는 상기 공이(182)가 상기 결찰사(200)를 눌러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부에 홈(191)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름쇠(180)는, 상기 회동축(181)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아래쪽이 고정되고, 상기 누름돌기(183)는 위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공이(182)는 옆으로 돌출되어 그 종단이 아래쪽을 향하는 모습이어서, 측면에서 본 모습이 ‘r’자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동축(181)에는, 상기 공이(182)가 상기 누름틀(190)의 홈(191)을 누르는 방향으로, 상기 누름쇠(180)를 회전시키는 누름쇠 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누름돌기(183)를 아랫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누름쇠(180)가 상기 회동축(18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공이(182)가 상기 누름틀(190)의 홈(191)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결찰사(200)에 대한 고정이 해제되며, 상기 누름돌기(183)를 자유롭게 놓게 되면, 상기 누름쇠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상기 누름쇠(180)가 복원되면서 상기 공이(182)가 상기 누름틀(190)의 홈(191)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결찰사(200)를 고정시킬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꼽 육아종 결찰건(10)이 작동될 때 방아쇠 및 노리쇠의 움직임을 차례대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3은 한쪽 끝에 상기 올가미(210)가 형성된 상기 결찰사(200)가 본 발명에 의한 배꼽 육아종 결찰건(10)에 장착되어 있는 모습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결찰사(200)의 한쪽 끝에 올가미(210)가 형성되도록 매듭(220)을 만든 후, 상기 결찰사(200)의 다른 쪽 끝을 상기 장착봉(170)의 장착구멍(171)에 끼워 뒤로 잡아당겨서, 상기 결찰사(200)의 끄트머리를 상기 누름틀(190)의 홈에 놓고 상기 누름쇠(180)의 누름돌기(183)를 뒤로 잡아당겼다 놓게 되면 상기 결찰사(200)의 끄트머리는 상기 누름틀(190)과 상기 누름쇠(180)의 공이(182)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결찰사(200)의 앞쪽 올가미(210)는 상기 장착봉(170)의 앞쪽에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매듭(220)이 상기 장착봉(170)의 장착구멍(171)에 걸려있기 때문에 상기 올가미(210)는 상기 장착봉(170)의 앞쪽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방아쇠(160)의 아래쪽을 뒤로 잡아당기면, 상기 방아쇠(160)가 상기 회전축(161)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상기 방아쇠(160)의 위쪽이 앞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방아쇠(160)에 연결된 상기 노리쇠(140)가 앞으로 밀려 나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장착봉(170)과 상기 누름틀(19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찰사(200)의 올가미(210)가 당겨지게 되므로, 상기 방아쇠(160)를 당길수록 상기 올가미(210)는 점점 오므라들어서 작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올가미(210)가 적절하게 당겨져서 오므라들은 상태에서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누름쇠(180)의 누름돌기(183)를 뒤로 잡아당겨 누르게 되면, 상기 누름틀(190)과 상기 누름쇠(180)의 공이(182) 사이에 눌려서 고정되어 있던 상기 결찰사(200)의 끄트머리가 빠져나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배꼽 육아종 결찰건(10)을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결찰사(200)의 끄트머리가 상기 장착봉(170)의 장착구멍(171)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배꼽 육아종 결찰건(10)의 작동원리를 이용하여, 배꼽 육아종을 결찰하여 괴사시키는 방법이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배꼽 육아종 결찰건(10)을 이용하여 배꼽 육아종을 결찰하여 괴사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a) 및 도 5(b)는 한쪽 끝에 상기 올가미(210)가 형성된 상기 결찰사(200)가 상기 결찰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환자의 복부(410)에 형성된 육아종(400)에 상기 올가미(210)를 씌우는 모습이다. 상기 육아종(400)에 상기 올가미(210)를 원활하게 씌우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겸자(300)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겸자(300)는 적정한 길이의 집게 모양으로서, 상기 육아종(400)의 상부를 찝어서 고정시켜 놓은 후, 상기 올가미(210)를 상기 겸자(300)에 끼워서 내리게 되면 상기 올가미(210)가 상기 육아종(400)의 하단부까지 내려오게 된다.
그리고,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파란색 원형 내부 참조) 상기 방아쇠(160)을 뒤로 당기면 상기 노리쇠(140)가 앞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올가미(210)를 조이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올가미(210)는 상기 육아종(400)의 하단부를 꽉 조인 상태로 만들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파란색 원형 내부 참조) 상기 누름쇠(180)의 누름돌기(183)를 뒤로 누르면 상기 결찰사(200)가 상기 누름틀(190)과 상기 누름쇠(180)의 공이(182) 사이에서 빠져나와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결찰건(10)을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결찰사(200)의 끄트머리가 상기 장착봉(170)의 장착구멍(171)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그 후,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결찰사(200)를 단단히 묶어준 뒤, 도 7(b)에서 처럼 상기 겸자(300)를 제거해 주게 되면 결찰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장시간 놔두게 되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상기 육아종(400)의 상부(402)는 괴사되어 자연 탈락되고, 상기 육아종(400)의 하부(401)만 남아서 배꼽면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배꼽 육아종 결찰건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기본적인 원리는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이전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노리쇠(140)가 앞쪽으로 전진하면서 상기 올가미(210)를 조여주는 실시예이지만, 본 실시예는, 상기 노리쇠(140)가 뒤쪽으로 후퇴하면서 앞쪽에 있는 상기 올가미(210)를 조여주는 방식이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 또한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신생아의 배꼽에 발생되는 배꼽 육아종을 묶어서 괴사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이전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 이유로, 손잡이(120)와 총신(110)을 가진 권총 모양의 본체(100)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총신(100)의 뒤쪽 내부에는 속이 빈 원통형의 실린더(13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린더(130)의 내부에는, 상기 실린더(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며, 한쪽 끝이 상기 총신(110)의 뒤쪽으로 돌출되는 노리쇠(140)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130) 안에는, 상기 노리쇠(140)를 둘러싸는 스프링(150)이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노리쇠(140)가 상기 실린더(130) 안에서 상기 실린더(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때, 상기 노리쇠(140)를 상기 총신(110)의 뒤쪽으로 밀면 상기 스프링(150)에 의하여 저지되는 힘을 받아서, 상기 노리쇠(140)가 앞쪽으로 복원되는 복원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리쇠(140) 중 상기 총신(110)의 뒤쪽으로 돌출되는 부위에는 ㄷ자 모양으로 연장되는 노리쇠 헤드(141)가 상기 노리쇠(140)에 일체가 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노리쇠 헤드(141)의 ㄷ자 모양의 위쪽은 상기 총신(110)의 뒤쪽 바깥 위에 위치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총신(110)의 앞쪽 위에는 봉 형상의 장착봉(170)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장착봉(170)은, 배꼽 육아종을 묶을 수 있는 실인 ‘결찰사(200)’의 한쪽에 매듭(220)을 이용하여 올가미(210)를 형성시킨 후 이를 장착시킬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장착봉(170)의 중심부에는 상기 결찰사(200)를 삽입할 수 있는 장착구멍(171)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봉(170)의 앞부분은, 앞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타원체 모양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20)와 상기 총신(110)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 고정쇠(121)에는 방아쇠(160)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방아쇠(160)는 상기 고정쇠(121)에 고정되는 제1회전축(165)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방아쇠(160)의 아래쪽은 상기 손잡이(120)를 쥔 손의 손가락으로 당길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방아쇠(160)의 위쪽은 제1연결축(166)을 통하여 제1브라켓(163)의 일단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브라켓(163)은, 일단이 상기 제1연결축(166)을 통하여 상기 방아쇠(160)에 결합되며, 타단은 제2연결축(167)을 통하여 제2브라켓(164)의 일단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브라켓(164)은, 상기 총신(110)에 고정되는 제2회전축(168)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며, 그 일단이 상기 제2연결축(167)을 통하여 상기 제1브라켓(163)과 결합되며, 타단은 제3연결축(169)을 통하여 상기 노리쇠(140)와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방아쇠(160)의 아래쪽이 당겨지면, 상기 방아쇠(160)의 위쪽이 상기 제1브라켓(163)을 밀면서 앞쪽으로 전달하는 힘에 의하여, 상기 제2브라켓(164)의 아래쪽을 앞으로 밀게 되며, 상기 제2브라켓(164)의 아래쪽이 앞으로 밀리게 되면, 상기 제2브라켓(164)은 상기 제2회전축(168)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2브라켓(164)의 위쪽은 상기 노리쇠(140)를 뒤쪽으로 밀게 되므로 상기 제2브라켓(164)이 상기 노리쇠(140)를 뒤로 후퇴시키면서 상기 지지판(179)을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150)을 눌러지게 된다.
한편, 상기 노리쇠 헤드(141)의 뒤쪽에는 누름쇠(180)가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누름쇠(180)는 상기 노리쇠 헤드(141)의 뒤쪽 모서리에 고정되는 회동축(18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며, 공이(182) 및 누름돌기(183)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노리쇠 헤드(141)의 뒤쪽 상부에는 누름틀(190)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누름틀(190)에는 상기 공이(182)가 상기 결찰사(200)를 눌러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부에 홈(191)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름쇠(180)는, 상기 회동축(181)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아래쪽이 고정되고, 상기 누름돌기(183)는 위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공이(182)는 옆으로 돌출되어 그 종단이 아래쪽을 향하는 모습이어서, 측면에서 본 모습이 ‘r’자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동축(181)에는, 상기 공이(182)가 상기 누름틀(190)의 홈(191)을 누르는 방향으로 상기 누름쇠(180)를 회전시키는 누름쇠 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누름돌기(183)를 아랫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누름쇠(180)가 상기 회동축(18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공이(182)가 상기 누름틀(190)의 홈(191)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결찰사(200)에 대한 고정이 해제되며, 상기 누름돌기(183)를 자유롭게 놓게 되면, 상기 누름쇠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상기 누름쇠(180)가 복원되면서 상기 공이(182)가 상기 누름틀(190)의 홈(191)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결찰사(200)를 고정시킬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 및 도 9에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찰건(10)이 작동될 때 상기 방아쇠(160) 및 상기 노리쇠(140)의 움직임이 서로 비교될 수 있는 그림이 도시되어 있는데, 먼저, 도 8은 한쪽 끝에 상기 올가미(210)가 형성된 상기 결찰사(200)가 상기 결찰건(10)에 장착되어 있는 모습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결찰사(200)의 한쪽 끝에 올가미(210)가 형성되도록 매듭(220)을 만든 후, 상기 결찰사(200)의 다른 쪽 끝을 상기 장착봉(170)의 장착구멍(171)에 끼워 뒤로 잡아당겨서 그 끄트머리를 상기 누름틀(190)의 홈에 놓고 상기 누름쇠(180)의 누름돌기(183)를 뒤로 잡아당겼다 놓게 되면 상기 결찰사(200)의 뒤쪽 끄트머리는 상기 누름틀(190)과 상기 누름쇠(180)의 공이(182)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결찰사(200)의 앞쪽 올가미(210)는 상기 장착봉(170)의 앞쪽에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매듭(220)이 상기 장착봉(170)의 장착구멍(171)에 걸려있기 때문에 상기 올가미(210)는 상기 장착봉(170)의 앞쪽에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방아쇠(160)의 아래쪽을 뒤로 잡아당기면, 상기 방아쇠(160)가 상기 제1회전축(165)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상기 방아쇠(160)의 위쪽이 앞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방아쇠(160)에 연결된 상기 제1브라켓(163) 및 상기 제2브라켓(164)를 차례대로 움직이게 되므로, 상기 노리쇠(140)가 뒤쪽으로 밀려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장착봉(170)과 상기 누름틀(19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결찰사(200)의 올가미(210)가 당겨져서 오므라들게 되므로, 상기 방아쇠(160)를 당길 수록 상기 올가미(210)는 오므라들어서 점점 작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올가미(210)가 적절하게 당겨진 상태에서 상기 누름쇠(180)의 누름돌기(183)를 뒤로 잡아당겨 누르게 되면, 상기 누름틀(190)과 상기 누름쇠(180)의 공이(182) 사이에 눌려서 고정되어 있던 상기 결찰사(200)의 끄트머리가 빠져나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배꼽 육아종 결찰건(10)을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결찰사(200)의 끄트머리가 상기 장착봉(170)의 장착구멍(171)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이러한 작동원리를 이용하여 배꼽 육아종을 결찰하여 괴사시키는 방법에 대하여는 앞서 도 5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여러 가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결찰건
100 본체
110 총신 111 노리쇠 인출구
120 손잡이 121 고정쇠
130 실린더 140 노리쇠
141 노리쇠 헤드 150 스프링
160 방아쇠 161 회전축
162 연결축 163 제1브라켓
164 제2브라켓 165 제1회전축
166 제1연결축 167 제2연결축
168 제2회전축 169 제3연결축
170 장착봉 171 장착구멍
179 지지판 180 누름쇠
181 회동축 182 공이
183 누름돌기
190 누름틀 191 홈
200 결찰사
210 올가미 220 매듭
300 겸자
400 육아종
401 육아종 하부 402 육아종 상부
410 복부

Claims (4)

  1. 신생아의 배꼽에 발생되는 배꼽 육아종을 묶어서 괴사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손잡이와 총신을 가진 권총 모양의 본체;
    상기 총신의 앞쪽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속이 빈 원통형의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며, 한쪽 끝이 상기 총신의 앞쪽으로 돌출되는 노리쇠;
    상기 노리쇠를 둘러싸며 상기 실린더 안에 삽입되는 스프링;
    상기 노리쇠 중 상기 총신의 앞쪽으로 돌출되는 부위에 ㄷ자 또는 ㄴ자 모양으로 연장되는 노리쇠 헤드;
    상기 노리쇠 헤드의 위쪽에 고정되며, 중심부에는 결찰사를 삽입할 수 있는 장착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봉 형상의 장착봉;
    상기 손잡이와 상기 총신이 만나는 지점에 고정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아래쪽은 상기 손잡이를 쥔 손의 손가락으로 당길 수 있고, 위쪽은 연결축을 통하여 상기 노리쇠와 결합되는 방아쇠;
    상기 방아쇠의 아래쪽이 당겨지면, 상기 연결축에 결합된 상기 방아쇠의 위쪽이 상기 노리쇠를 밀면서 상기 스프링을 누를 수 있도록, 상기 노리쇠에 끼워지는 지지판;
    상기 총신의 뒤쪽 모서리에 고정되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공이 및 누름돌기를 가지는 누름쇠; 및
    상기 총신의 뒤쪽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공이가 상기 결찰사를 눌러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부에 홈을 가지는 누름틀;을 포함하며,
    상기 누름쇠는,
    - 상기 회동축에 의하여 아래쪽이 고정되고, 상기 누름돌기는 위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공이는 옆으로 돌출되어 그 종단이 아래쪽을 향하는 모습이어서, 측면에서 본 모습이 ‘r’자 형상이며,
    - 상기 회동축에는, 상기 공이가 상기 누름틀의 홈을 누르는 방향으로 상기 누름쇠를 회전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 상기 누름돌기를 아래로 누르면, 상기 누름쇠가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공이가 상기 누름틀의 홈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결찰사에 대한 고정이 해제되며,
    - 상기 누름돌기를 놓게 되면, 상기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상기 누름쇠가 복원되면서 상기 공이가 상기 누름틀의 홈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결찰사를 고정시킬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육아종 결찰건
  2. 신생아의 배꼽에 발생되는 배꼽 육아종을 묶어서 괴사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손잡이와 총신을 가진 권총 모양의 본체;
    상기 총신의 뒤쪽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속이 빈 원통형의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상기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며, 한쪽 끝이 상기 총신의 뒤쪽으로 돌출되는 노리쇠;
    상기 노리쇠를 둘러싸며 상기 실린더 안에 삽입되는 스프링;
    상기 노리쇠 중 상기 총신의 뒤쪽으로 돌출되는 부위에 ㄷ자 모양으로 연장되는 노리쇠 헤드;
    상기 총신의 앞쪽 상부에 고정되며, 중심부에는 결찰사를 삽입할 수 있는 장착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봉 형상의 장착봉;
    상기 손잡이와 상기 총신이 만나는 지점에 고정되는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아래쪽은 상기 손잡이를 쥔 손의 손가락으로 당길 수 있고, 위쪽은 제1연결축을 통하여 제1브라켓의 일단에 결합되는 방아쇠;
    일단이 상기 제1연결축을 통하여 상기 방아쇠에 결합되며, 타단은 제2연결축을 통하여 제2브라켓의 일단에 결합되는 상기 제1브라켓;
    상기 총신에 고정되는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일단이 상기 제2연결축을 통하여 상기 제1브라켓과 결합되며, 타단은 제3연결축을 통하여 상기 노리쇠와 결합되는 상기 제2브라켓;
    상기 방아쇠의 아래쪽이 당겨지면, 상기 방아쇠의 위쪽이 상기 제1브라켓을 밀면서 전달하는 힘에 의하여 회동되는 상기 제2브라켓이 상기 노리쇠를 뒤쪽으로 밀면서 상기 스프링을 누를 수 있도록, 상기 노리쇠에 끼워지는 지지판;
    상기 노리쇠 헤드의 뒤쪽에 고정되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공이 및 누름돌기를 가지는 누름쇠; 및
    상기 노리쇠 헤드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공이가 상기 결찰사를 눌러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부에 홈을 가지는 누름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육아종 결찰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쇠는,
    - 상기 회동축에 의하여 아래쪽이 고정되고, 상기 누름돌기는 위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공이는 옆으로 돌출되어 그 종단이 아래쪽을 향하는 모습이어서, 측면에서 본 모습이 ‘r’자 형상이며,
    - 상기 회동축에는, 상기 공이가 상기 누름틀의 홈을 누르는 방향으로 상기 누름쇠를 회전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 상기 누름돌기를 아래로 누르면, 상기 누름쇠가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공이가 상기 누름틀의 홈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결찰사에 대한 고정이 해제되며,
    - 상기 누름돌기를 놓게 되면, 상기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상기 누름쇠가 복원되면서 상기 공이가 상기 누름틀의 홈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결찰사를 고정시킬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육아종 결찰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봉의 앞부분은, 앞쪽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타원체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꼽 육아종 결찰건
KR1020210075222A 2021-06-10 2021-06-10 배꼽 육아종 결찰건 KR102527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222A KR102527300B1 (ko) 2021-06-10 2021-06-10 배꼽 육아종 결찰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222A KR102527300B1 (ko) 2021-06-10 2021-06-10 배꼽 육아종 결찰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461A KR20220166461A (ko) 2022-12-19
KR102527300B1 true KR102527300B1 (ko) 2023-04-27

Family

ID=84535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222A KR102527300B1 (ko) 2021-06-10 2021-06-10 배꼽 육아종 결찰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73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7138A (en) 1970-08-17 1972-08-29 Robert K Jarvik Repeating ligature gun
US20030050650A1 (en) * 2000-03-27 2003-03-13 Field Frederic P. Surgical suturing instrument and method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8145A (ko) * 2016-04-15 2023-09-01 이스타블리쉬먼트 렙스 에스.에이. 의료 디바이스의 이식을 위한 장치
RU203630U1 (ru) * 2019-02-14 2021-04-14 Хэхань Тожэнь Медикал Текнолоджи Ко., Лтд. Многораз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норектального лигирования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7138A (en) 1970-08-17 1972-08-29 Robert K Jarvik Repeating ligature gun
US20030050650A1 (en) * 2000-03-27 2003-03-13 Field Frederic P. Surgical suturing instrument and method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6461A (ko) 202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7680A (en) Sutur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use in endoscopic procedures
US5851209A (en) Bone cerclage tool
US5957936A (en) Instrument assemblies for performing anatomical tissue ligation
US6921408B2 (en) Apparatus for sewing tissue and method of use
US5921993A (en) Methods of endoscopic tubal ligation
US20160317155A1 (en) Atrial-appendage ligation treatment tool and atrial-appendage ligation system
JP3578765B2 (ja) 縫糸把持装置
US5336229A (en) Dual ligating and dividing apparatus
AU712129B2 (en) Needle driving apparatus and methods of suturing tissue
JP3902308B2 (ja) 外科結び目およびその形成装置
US6143005A (en) Suturing instrument with rotatably mounted offset needle hold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A2751735C (en) Medical implement for manipulating sutures particularly useful in arthroscopic surgery
JP4855405B2 (ja) 最小侵襲の縫合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85064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doscopic treatment of tissue
US2003018745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n object from a body
CA2288189A1 (en) Suturing instrument with multiple rotatably mounted offset needle holder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H08500506A (ja) 内視鏡的縫合装置
NZ540933A (en) Flexible wire transection of the transverse carpal ligament
US11045186B2 (en) Endoscopic suturing needle loader device, system and method
JP6305763B2 (ja) 放出機構を有する縫合糸通し器
US20160030036A1 (en) Endoscopic Suturing Needle Loader Device, System And Method
JP2023126438A (ja) 組織を引き込む為の装置および方法
KR102527300B1 (ko) 배꼽 육아종 결찰건
KR101511086B1 (ko) 속집게가 내장된 폐루프형 지혈클립 장치
KR102446312B1 (ko)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