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312B1 -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 - Google Patents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312B1
KR102446312B1 KR1020200091063A KR20200091063A KR102446312B1 KR 102446312 B1 KR102446312 B1 KR 102446312B1 KR 1020200091063 A KR1020200091063 A KR 1020200091063A KR 20200091063 A KR20200091063 A KR 20200091063A KR 102446312 B1 KR102446312 B1 KR 102446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pair
polyp
surgical devic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6798A (ko
Inventor
채현석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036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17/295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combined with cutt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09Implements for ligaturing other than by clamps or clips, e.g. using a loop with a slip knot
    • A61B17/12013Implements for ligaturing other than by clamps or clips, e.g. using a loop with a slip knot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18/1445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at the distal end of a shaft, e.g. forceps or scissors at the end of a rigid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8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long rigid shaft for accessing the inner body transcutaneously in minimal invasive surgery, e.g. lapa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61B2017/00269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09Implements for ligaturing other than by clamps or clips, e.g. using a loop with a slip knot
    • A61B2017/12018Elastic band lig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26Details of heads or jaws
    • A61B2017/2932Transmission of forces to jaw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77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2018/145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including means for cut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수술 시 굵은 동맥, 혈관, 요도 등의 신체 내부의 관상 조직을 결찰하여 과다한 출혈을 방지하면서 수술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는 용종의 일부를 감싸 잡거나 벌어져 해제할 수 있도록 힌지 연결된 한 쌍의 집게 부재; 및 상기 집게 부재의 후방에 연결되어 신체 내부로 관통 설치된 관의 내부를 따라 상기 집게 부재가 출입 및 이동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집게 부재가 다물거나 벌어지도록 제어하는 작동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 {Ligating device to dissect linear stalk  of polyp or tube-like structure}
본 발명은 수술 시 굵은 동맥, 혈관, 요도 등의 신체 내부의 관상 조직을 결찰하여 과다한 출혈을 방지하면서 수술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소 침습성 수술(minimally invasive porcedure)은 종래의 개방 의료 수술과 비교할 때 통증을 감소시키고 비교적 빠른 회복 시간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다수의 최소 침습성 수술은 내시경으로 수행된다.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은 두가지로 나누어지는데 하나는 복강경(전신마취필요)이며 하나는 전신 마취 없이 수행하는 내시경이다. 후자의 경우 환자의 인체 내의 작은 접근 구멍(구강 혹은 항문)을 통해 환자의 내부로 의료도구 및 부속품을 내과 의사가 위치시키고, 조작하고 조망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중 내시경을 이용한 최소 침습성 수술을 수행할 때, 예를 들어 대장내의 용종 제거를 최소 침습성 수술에 의해 진행할 때, 수술을 수행하는 수술 기구에는 조직을 잡은 후 조직을 절제하는 스네어(snare)를 채용하게 된다.
종래 스네어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한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 10-2012-0042136호 "용종절제시술용 더블 스네어장치"(공개일자 : 2012.05.0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일 올가미가 아닌 복수의 단위 스네어가 배치되고, 단위 스네어를 조종 핸들로 동작시켜 선택적으로 조직을 절제하도록 된 것이 있다.
한편, 기존 스네어 장치는 가요성 절연튜브 내측에 가요성의 와이어코드를 투입하고 와이어코드의 일측 선단에 장치구와 작동구로 구성되는 조정부가 장치되고, 타측에 올가미부를 형성하여 장치구와 작동구를 조작함으로써 와이어코드를 밀고 당김하여 올가미부가 절연튜브의 단부에서 출몰하도록 된다.
또한 상기의 올가미부는 절연튜브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할수록 그 지름이 확대되며 절연튜브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투입되면 절연튜브의 구경에 의해 올가미부의 지름이 축소된다.
따라서 스네어 장치는 절연튜브의 단부 외측으로 올가미부를 돌출시켜 올가미부의 지름을 확대시킨 후에 올가미부의 내측으로 용종 등의 돌기조직이 투입되게 하고 와이어코드를 당김으로써 올가미부의 지름을 축소하여 용종 등의 돌기조직을 올가미부로 집고 와이어 코드에 고주파 전류를 흐르게 하여 용종 등의 돌기조직의 절제 및 괴사와 지혈 등의 치료를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종래 용종 절제 장치들은 유경성 용종의 경우에 용종의 목 (stalk)을 와이어로 감싼 다음 와이어를 당겨 기계적 혹은 전기적 통전하여 전기적 응고시켜 절단하게 되나 용종의 목이 굵은 경우에는 내부의 동맥이 충분히 소작, 응고되지 않아 대량 출혈의 문제점이 있고 목이 가는 경우에는 통전 전에 기계적으로 절단됨으로서 출혈의 위험이 있다. 유경성 용종을 제거후에는 위장관 벽에 남아있는 목 부분은 시술자의 의도와는 관계없이 자유로이 움직이므로 이를 지혈시키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용종 제거 후 순식간에 출혈이 이루어지고 내시경에 출혈이 번지면서 수초 내에 내시경을 통하여 얻는 영상이 전무하게 되어 이러한 출혈로 인해 드물게 원하지 않는 수술이나 사망까지도 생길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방법보다 우월한 방법의 용종 제거 방법 및 이를 위한 기기의 개발이 요구된다.
여기서 종래 기술로 유경성 용종을 제거하는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이러한 유경성 용정 제거술 외에도, 수술 시 굵은 동맥, 혈관, 요도 등의 신체 내부에 있는 관상 조직을 출혈을 최대한 방지하면서 결찰 제거할 수 있는 기술 분야에도 관련된다.
미국특허 제571870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종과 같은 신체 내부의 관상 조직의 길이가 어느 정도 이상인 경우에 관상 조직의 중간부분을 잡아당겨 밴드로 묶은 다음 그 상부 부위를 와이어로 절단하여 과다출혈 없이 관상 조직을 제거할 수 있는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상 조직을 결찰하거나 자르게 되는 집게부가 주위의 조직에 최대한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수술 작업이 이루어지게 될 수 있는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상 조직을 결찰하거나 자르게 되는 집게부가 중앙부로 관상 조직을 잡아당기고 결찰 후, 단부의 전기적인 스네어를 이용하여 단번에 절단이 가능하여 수술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상 조직을 결찰하거나 자르게 되는 집게부가 전기적인 스네어를 이용하지 않고 물리적인 칼날을 이용하여 절단 가능하도록 구성된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상 조직을 결찰하거나 자르게 되는 집게부가 단순히 내시경 또는 별도의 관에 삽입되면 다물어지면서 결찰이 이루어지고 벗어나면 벌어지도록 구성되어 별도의 기구적인 구성요소를 최소로 구성할 수 있는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상 조직을 결찰하거나 자르게 되는 집게부가 수술 대상에 따라 길이가 다른 슈를 교체함으로써 최적의 수술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관상 조직이나 기관 또는 유경성 용종의 일부를 감싸 잡거나 벌어져 해제할 수 있도록 힌지 연결된 한 쌍의 집게 부재; 및 상기 집게 부재의 후방에 연결되어 신체 내부로 관통 설치된 관의 내부를 따라 상기 집게 부재가 출입 및 이동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집게 부재가 다물거나 벌어지도록 제어하는 작동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작동 와이어는, 상기 힌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집게 부재 반대편으로 연장된 제1 와이어; 및 상기 집게 부재가 힌지 반대편까지 연장된 전단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와이어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와이어와의 상대 거리가 변화함에 따라 상기 집게 부재가 다물어지거나 벌어지도록 제어하게 되는 제2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작동 와이어는 상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에 연결되어 상대 거리를 제어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한 쌍의 집게 부재가 관상 조직이나 기관 또는 유경성 용종의 일부를 감싸 잡거나 벌어져 해제할 수 있도록 힌지 연결되고, 상기 힌지에 연결되어 전후진함으로서 상기 집게 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와이어를 구비하며, 상기 집게 부재의 내측에는 용종을 절단할 수 있도록 전도성 부재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집게부; 및 상기 집게부를 내장하도록 상기 집게부의 외면에 결합되고, 상기 집게부가 상기 용종을 잡은 상태에서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집게가 출입하는 플렉시블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플렉시블 튜브 전단 출입구 외면에 복수개가 설치되고 잡아당겨지는 작동 쓰레드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튜브로부터 이탈되면 용종의 일부를 탄력적으로 잡아 고정하게 되는 탄성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집게 부재는 상기 작동 와이어가 후진하면 외면이 상기 플렉시블 튜브 내측면에 걸려 다물어지고, 상기 작동 와이어가 전진하면 힌지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벌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집게 부재는 힌지의 반대쪽 끝단에 한 쌍의 링크가 X자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집게 부재의 내측면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면은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집게 부재는 내측면의 단면이 웨이브형 또는 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내측면에는 한 쌍의 집게 부재가 삽입되는 깊이가 제한되도록 단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작동 와이어의 끝단에는 작동 와이어를 전후진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구동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집게 부재는 다물어진 경우 끝단이 반대쪽까지 크로스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끝단에는 서로 다른 색이 코팅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한 쌍의 집게 부재가 관상 조직이나 기관 또는 유경성 용종의 일부를 감싸 잡거나 벌어져 해제할 수 있도록 힌지 연결되고, 상기 힌지에 연결되어 전후진함으로써 상기 집게 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와이어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집게 부재 끝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슈가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슈의 내측에는 용종을 절단할 수 있도록 전도성 부재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집게부; 및 상기 집게부를 내장하도록 상기 집게부의 외면에 결합되고, 상기 집게부가 상기 용종을 잡은 상태에서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집게가 출입하는 플렉시블 튜브;를 포함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슈의 단부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슈의 내측면은 미끄러지지 않도록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거나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슈가 밀착되면 잡힌 부분을 당기는 힘에 의해 벌어지지 않도록 상기 한 쌍의 슈의 후단부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슈는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한 쌍의 집게 부재가 관상 조직이나 기관 또는 유경성 용종의 일부를 감싸 잡거나 벌어져 해제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힘이 가해지면 다물어지고 해제되면 원위치로 복귀하고, 용종을 절단할 수 있도록 내측에 전도성 부재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집게부; 및 상기 집게부가 상기 용종을 잡은 상태에서 내측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집게 부재가 후진하면 외면이 내측면에 걸려 다물어지고, 전진하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벌어지는 플렉시블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집게부는 일부만이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집게 부재중 제1집게 부재의 자유단에는 일측이 개방된 고리형태의 제1걸림부가 형성되고, 제2집게 부재의 자유단에는 상기 제1걸림부에 걸리도록 폭이 적어도 상기 제1걸림부보다 큰 제2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집게 부재가 다물어진 상태에서 이동 시 용종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걸림부에 상기 제2걸림부가 걸려 유지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집게부는 교체 가능하게 작동 와이어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관상 조직이나 기관 또는 유경성 용종의 일부를 감싸 잡거나 벌어져 해제할 수 있도록 힌지 연결된 한 쌍의 집게 부재; 상기 집게 부재의 후방에 연결되어 신체 내부로 관통 설치된 관의 내부를 따라 상기 집게 부재가 출입 및 이동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집게 부재가 다물거나 벌어지도록 제어하는 작동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집게 부재는,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다물어지면서 대상물을 감싸 잡는 집게부; 및 상기 집게부의 후단부로부터 힌지까지 연장되고 내측에는 칼날이 형성되어 대상물을 자를 수 있는 칼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관상 조직이나 기관 또는 유경성 용종의 일부를 감싸 잡거나 벌어져 해제할 수 있도록 신체 내부로 관통 설치된 관의 내부를 따라 출입 및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고정 집게부; 상기 고정 집게부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일측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 집게부와 함께 관상 조직이나 기관 또는 유경성 용종의 일부를 감싸 잡거나 벌어져 해제하는 회전 집게부; 및 상기 고정 집게부와 회전 집게부의 후방에 연결되어 상기 관의 내부를 따라 상기 고정 집게부와 회전 집게부가 출입 및 이동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 집게부가 다물거나 벌어지도록 제어하는 작동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집게 형태로 이루어져 용종과 같은 관상 조직을 용이하게 잡아당기거나 해제하고 잡아 절단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수술이 이루어질 수 있다.
(2) 본 발명은 집게 부재로 용종과 같은 관상 조직의 목을 잡아 밴드로 결찰하고 다시 목을 절단할 수 있기 때문에 관상 조직으로 향하는 목 부위의 동맥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절제후 출혈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관상 조직 절제술의 시술 시 출혈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3) 본 발명은 집게의 단부에 직선 형태의 슈가 형성되어 관상 조직 절단 시, 더욱 정확하고 신속하게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4) 본 발명은 집게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의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이동 시 다른 조직에 상처를 발생시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5) 본 발명은 전기를 이용하지 않고 칼날로 물리적으로 관상 조직을 절단할 수 있는 구성이 제공되어 전기 공급을 위한 배선 구조 등이 생략되어 구조가 단순하고 간결하다.
(6) 본 발명은 관상 조직을 잡는 부분에 돌기 또는 웨이브 형태의 접촉부위가 형성되어 관상 조직을 잡아 유지하는 능력이 향상되어 더욱 정확한 수술 진행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2는 집게 부재가 벌어진 상태를 도 3은 집게 부재가 다물어진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의 단면도로서, 도 5는 집게 부재가 벌어진 상태를 도 6은 집게 부재가 다물어진 상태를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를 이용하여 유경성 용종을 제거하는 작동을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의 집게 부분의 정면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의 다양한 집게 부분의 정면도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에서 일부분을 변경한 실시예들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수술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의한 수술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1)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는 내시경에 다른 장비들과 함께 설치되거나, 내시경과는 별도의 장치를 구성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31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집게 부재(311) 및 작동 와이어(315)를 포함한다.
상기 집게 부재(311)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용종의 일부를 감싸 잡거나 벌어져 해제할 수 있도록 힌지(312) 연결된다. 상기 집게 부재(311)는 통상 내시경 장비에 일부 관(320)을 통하여 신체 내부까지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집게 부재(311)는 힌지(312)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 부재(311)는 작동 와이어(315)를 작동함에 따라 다물어지거나 벌어지도록 작동되되, 집게 부재(311) 끝단이 서로 엇갈리는 위치까지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집게 부재(311)는 내측(311a)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전기가 공급되면 용종을 절단하게 되고, 외측(311b)은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신체 내부의 다른 부분에 상처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한다.
이때, 상기 집게 부재(311)는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끝단이 힌지(312) 반대편으로 연장되고 X형으로 한 쌍의 링크(314a)가 집게 부재(311) 반대쪽의 몸체인 전단부(314)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힌지(312)와 전단부(314)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집게 부재(311)가 다물어지고, 반대로 가까워지면 집게 부재(311)가 벌어지게 된다. 물론 이것은 작동 와이어(315)의 상대 거리의 변화에 따르게 된다.
상기 작동 와이어(315)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집게 부재(311)의 후방에 연결되어 신체 내부로 관통 설치된 관(320)의 내부를 따라 상기 집게 부재(311)가 출입 및 이동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집게 부재(311)가 다물거나 벌어지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 와이어(315)는, 상기 힌지(31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집게 부재(311) 반대편으로 연장된 제1 와이어(315a)와, 상기 집게 부재(311)가 힌지(312) 반대편까지 연장된 전단부(314)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와이어(315a)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와이어(315a)와의 상대 거리가 변화함에 따라 상기 집게 부재(311)가 다물어지거나 벌어지도록 제어하게 되는 제2와이어(315b)와, 그리고 상기 제1와이어(315a)와 제2와이어(315b)에 연결되어 상대 거리를 제어하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와이어(315a)와 제2와이어(315b)가 함께 이동하게 되면 집게 부재(311)는 관(320) 내부에서 직선으로 관(320)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구동부의 구동 또는 수동의 경우에는 손잡이의 조절에 따라 제1와이어(315a)와 제2와이어(315b) 사이의 상대 거리 변화하게 되고 결국에는 집게 부재(311)가 다물어지거나 벌어지게 된다.
도 1을 참고하면, 내시경의 관(320) 내부를 통과하여 집게 부재(311)가 관(320)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용종에 접근한 다음 구동부를 작동시키면 제1와이어(315a)와 제2와이어(315b) 사이의 상대 거리가 조절되면서 집게 부재(311)가 다물어지거나 벌어지게 된다.
도 2를 참고하면, 집게 부재(311)가 벌어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용종에 접근하게 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집게 부재(311) 사이에 용종이 위치하게 되면 구동부를 작동시켜 집게 부재(311)가 다물어지도록 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작동 와이어(315) 모두를 관(320)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용종의 일부가 관(320) 내부로 잡혀 들어오게 된다. 그 상태에서 밴드용 캡(330)의 탄성밴드(331)로 용종의 일부를 결착하게 된다. 그 다음 다시 집게 부재(311)를 벌어지게 한 다음, 결착 위치의 바로 상측 부분을 집게 부재(311)로 잡은 다음 전기를 공급하여 용종을 절단하게 된다. 이때 잘린 용종의 하부는 탄성밴드(331)에 의해 결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과다한 출혈이 방지되어 내시경으로 신체 내부의 관찰이 계속 가능해 후속 수술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1)는, 도 4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집게부(10)와 플렉시블 튜브(20)을 포함한다.
상기 집게부(10)는, 도 4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한 쌍의 집게 부재(11)가 용종의 일부를 감싸 잡거나 벌어져 해제할 수 있도록 힌지 연결되고, 상기 힌지(12)에 연결되어 전후진함으로써 상기 집게 부재(11)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와이어(15)를 구비하며, 상기 집게 부재(11)의 내측(11a)에는 용종을 절단할 수 있도록 전도성 부재가 전기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집게부(10)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집게 부재(11)와 상기 작동 와이어(15)가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수술 부위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수술 시에는 내시경 등이 함께 삽입될 것이고, 내시경을 통하여 수신되는 영상을 보면서 수술이 진행될 것이다. 상기 집게 부재(11)는 힌지(12)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끝단이 다물어지거나 벌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작동 와이어(15)는 전후진하면서 집게 부재(11)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작동 와이어(15)는 플렉시블 튜브(20) 후방으로 연장된 내시경에서 사용되는 구동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전후진 구동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기선(40)과 탄성밴드(31)를 제어하기 위한 작동 쓰레드(50)도 플렉시블 튜브(20) 후방으로 연장되어 각각 외부에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집게 부재(11)는 상기 작동 와이어(15)가 후진하면 외면이 상기 플렉시블 튜브(20) 내측면에 걸려 다물어지고, 상기 작동 와이어(15)가 전진하면 힌지(12)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13)의 탄성력에 의해 벌어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집게 부재(11)는 외면이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부분이 플렉시블 튜브(20)에 들어가면서 자연스럽게 힌지(12)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다물어지게 된다. 반대로 플렉시블 튜브(20)으로부터 나오게 되면 한 쌍의 집게 부재(11)가 벌어지는 회전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13)에 의해 당연히 벌어지게 된다. 여기서 집게 부재(11)가 벌어지는 탄성력은 크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토션 스프링(13)만으로 작동이 가능하다. 다만 다물어지는 힘은 용종을 잡거나 절단해야 하기 때문에 그 보다 큰 힘이 요구되어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게 된 것이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집게 부재(11)는 힌지(12)의 반대쪽 끝단에 한 쌍의 링크(14a)가 X자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X자형 링크(14a)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집게 부재(11)가 후진하는 거리보다 작동 와이어(15)가 후진하는 거리는 크게 된다. 따라서 그 거리를 약간씩 조절하여 더욱 섬세하게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이러한 한 쌍의 링크(14a)를 사용하지 않고 작동 와이어(15)의 전단부(14)에 바로 연결하여 하나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한 쌍의 집게 부재(11)가 플렉시블 튜브(20)에 들어오지 않고 플렉시블 튜브(20) 외부에서 다물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이와 같이 한 쌍의 링크(14a)를 구비하고 작동 와이어(15)와 평행하게 또다른 고정 와이어를 설치하면 된다. 고정 와이어는 집게 부재(11)의 힌지(12)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작동 와이어(15)와 마찬가지로 플렉시블 튜브(20) 후방까지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고정 와이어와 작동 와이어(15)의 전후진 거리를 조절하면 집게 부재(11)가 플렉시블 튜브(20) 외부에서도 다물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집게 부재(11)의 내측면(11a)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면(11b)은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내측면(11a)은 용종을 절단해야 하기 때문에 스네어 장비와 마찬가지로 전기가 도통하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더불어 외측면(11b)은 절연체로 이루어져 혹시 모를 다른 신체 부위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집게 부재(11)는 내측면의 단면이 웨이브형 또는 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집게 부재(11)의 내측면의 형상에 의해 용종을 잡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고, 특히 원하는 부위를 잡은 경우 그 위치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렉시블 튜브(20)은 도 4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집게부(10)를 내장하도록 상기 집게부(10)의 외면에 결합되고, 상기 집게부(10)가 상기 용종을 잡은 상태에서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집게 부재(11)가 출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렉시블 튜브(20)은 대체적으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집게부(10)가 전후진하면서 일부가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플렉시블 튜브(20)의 내측면에는 한 쌍의 집게 부재(11)가 삽입되는 깊이가 제한되도록 단턱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술 시에는 집게부(10)가 제대로 후진되었는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단턱부(22)를 둠으로써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 또한 있다. 즉 수술 시, 최대한 집게부(10)를 후진시켜 단턱부(22)에 걸리도록 하면 된다.
한편, 상기 플렉시블 튜브(20)의 전단 출입구 외면에 복수개가 설치되고 잡아당겨지는 작동 쓰레드(50)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튜브(20)으로부터 이탈되면 용종의 일부를 탄력적으로 잡아 결찰하게 되는 탄성밴드(31)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탄성밴드(31)는 소위, 고무밴드 결찰 시스템(Rubber Band Ligation System)에 적용되는 탄성밴드를 말한다. 상기 시스템은 원통형의 플렉시블 튜브의 전단에 순서대로 고무밴드들이 배열되어 있고, 그 고무밴드마다 쓰레드(Thread)가 연결되어 쓰레드를 잡아당기면 고무밴드가 하나씩 플렉시블 튜브로부터 벗어나면서 용종을 잡아매게 된다. 상기 탄성 밴드(31)는 고무밴드 결찰 시스템을 도입한 것이다. 따라서 플렉시블 튜브(20)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작동 쓰레드(50)를 잡아당기면 탄성밴드(31)가 탄성밴드용 캡(31)으로부터 벗어나면서 순서대로 결찰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탄성밴드용 캡(31)에는 탄성밴드(31)가 안착될 수 있도록 환형 홈이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게 된다.
도 4을 참고하면,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1)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수술장치(1)의 전방에는 집게 부재(11)가 노출되어 있고 집게 부재(11)는 토션 스프링(13)의 탄성력에 의해 벌어져 있는 상태이다. 플렉시블 튜브(20) 전방에는 탄성밴드용 캡(30)이 외주연에 삽입되어 있고, 그 탄성밴드용 캡(30)에는 복수개의 탄성밴드(31)가 순서대로 끼워져 있다. 플렉시블 튜브(20) 후방에는 작동 와이어(15)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고 작동 와이어(15)의 후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에 연결되어 전후진 구동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튜브(20) 후방으로는 상기 집게 부재(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선(40)이 연장되고, 동시에 작동 쓰레드(50)도 플렉시블 튜브(20) 내부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5와 도 6을 참고하면, 수술장치(1)의 작동 상태를 내부 구성이 잘 표현되도록 단면으로 표현되어 있다. 도 6은 평상 시의 집게 부재(11)가 벌어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5은 집게 부재(11)가 다물어져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집게 부재(11)가 벌어진 상태에서 용종 등을 집게 부재(11)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고 작동 와이어(15)를 플렉시블 튜브(20) 후방으로 잡아당기면 집게 부재(11)가 플렉시블 튜브(20) 전단 출입구로 들어가면서 다물어지게 되고, 단턱부(22)까지 당기면 도 9 또는 도 10과 같은 상태로 된다. 반대로 작동 와이어(15)를 플렉시블 튜브(20) 전방으로 밀게 되면 도 3과 같이 집게 부재(11)가 전방으로 노출된 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토션 스프링(13)의 탄성력에 의해 집게 부재(11)가 벌어지게 된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수술장치(1)를 이용하여 유경성 용종(2)을 제거하는 것을 모식도로 보여준다. 도 7을 참고하면, 용종(2)으로 집게 부재(11)를 접근시킨다. 도 8을 참고하면, 집게 부재(11) 사이에 용종(2)의 목 부분이 들어가도록 한다. 도 9를 참고하면, 그 상태에서 작동 와이어(15)를 후방으로 당기면 집게 부재(11)가 다물어지면서 용종(2)의 목을 잡아 플렉시블 튜브(20) 내부까지 잡아당기게 된다. 이때 도 10을 참고하면 작동 쓰레드(50)를 당겨 탄성밴드(31)가 플렉시블 튜브(20) 전방으로 빠져나가도록 한다. 그에 따라 탄성밴드(31)는 도 11과 같이 용종(2)의 목을 결찰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집게 부재(11)를 용종(2) 목의 상단부분에 위치시키고 작동 와이어(15)를 다시 당겨 집게 부재(11)가 그 부분을 다물어 물은 상태에서 전기를 공급하여 용종(2)을 절단하게 된다.
이러한 수술에 의해 용종(2)은 잘리게 되고, 용종(2) 목은 탄성밴드(31)에 의해 결찰되어 있기 때문에 과다 출혈이 완전히 방지된다. 물론 그 후에도 집게 부재(11)를 이용하여 잘린 용종(2)을 잡아 외부로 빼낼 수도 있고, 수술 후 정리 작업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집게 부재(111)가 전번 실시예와는 다르게 구성된 것이다. 즉, 상기 한 쌍의 집게 부재(111)는 다물어진 경우 끝단이 반대쪽까지 크로스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끝단에는 서로 다른 색(111a, 111b)이 코팅되어 있다.
수술 시, 의료인이 집게 부재(111)가 잘 다물어졌는지 확인하기가 어려운데 집게 부재(111)의 끝단을 각각 다른 색을 코팅한 상태이고 크로스시켰기 때문에 내시경으로 그 코팅 색이 반대로 간 상태를 보고 완전히 다물어진 것을 확인하고 전기를 공급하여 용종 절단술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3a 내지 도 13d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수술장치는 한 쌍의 집게 부재(211)가 용종의 일부를 감싸 잡거나 벌어져 해제할 수 있도록 힌지 연결되고, 상기 힌지에 연결되어 전후진함으로써 상기 집게 부재(211)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와이어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집게 부재(211) 끝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슈(212)가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슈(212)의 내측(212a)에는 용종을 절단할 수 있도록 전도성 부재가 전기 연결된 집게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게부(210)는 전술한 실시예와 비슷한 형태를 가지나 한 쌍의 슈(212)를 구비한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상기 수술장치는 상기 집게부(210)를 내장하도록 상기 집게부(212)의 외면에 결합되고, 상기 집게부(210)가 상기 용종을 잡은 상태에서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집게(211)가 출입하는 플렉시블 튜브를(20)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튜브(20)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슈(212)의 내측면(212a)은 전도성 재질로, 외측면(212b)은 절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슈(212)를 일자형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형태로 설계하여 용종을 절단할 때 좀 신속하게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슈(212)의 길이(L)는 여러 가지 길이로 제작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힌지를 포함하는 집게부(210)를 교체 가능하게 설계함으로써 수술 종류에 따라 다양한 길이(L)의 슈(212)를 교체하여 적용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슈(212)의 단부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슈의 단부가 곡면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이동 시 조직에 상처가 발생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때, 도 13a 내지 도 13d를 참고하면, 상기 한 쌍의 슈(212)의 내측면은 미끄러지지 않도록 복수개의 돌기(212c)가 형성되거나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기(212c)들은 맞물리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c에는 슈 내측면에 복수개의 돌기(212c)가 형성되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도 13d를 참고하면, 한 쌍의 슈(212a', 212b')가 밀착되는 부분이 서로 대응되는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돌기와 곡면으로 인해 한 쌍의 슈가 조직으로부터 미끄러지거나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조력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슈는 내측(212a)은 전도성 재질로, 외측(212b)으로 비전도선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 때, 도 13a와 도 13b를 참고하면, 상기 한 쌍의 슈(212)가 밀착되면 잡힌 부분을 당기는 힘에 의해 벌어지지 않도록 상기 한 쌍의 슈(212)의 후단부(211a)가 내측으로 유선형 돌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b를 참고하면, (a)의 경우에는 슈 내측에 잡힌 용종이 빠지지 않도록 슈의 후단부(211a)가 돌출되되 곡면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고, (b)의 경우에는 슈(212)의 후단부(211a)가 뾰족하게 돌출된 형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잡힌 용종이 빠지지 않도록 작용하게 된다.
한편,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수술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수술장치는 힌지 연결된 한 쌍의 집게 부재(310)를 포함하는 것은 다른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집게 부재(310, 311, 312)의 끝단에 걸림부(311a, 312a)가 형성된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집게 부재(310)중 제1집게 부재(312)의 자유단에는 일측이 개방된 고리형태의 제1걸림부(312a)가 형성되고, 제2집게 부재(311a)의 자유단에는 상기 제1걸림부(312a)에 걸리도록 폭이 적어도 상기 제1걸림부(312a)보다 큰 제2걸림부(311a)가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집게 부재가 다물어진 상태에서 이동 시 용종이 이탈되지 않도록 작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걸림부(312a)는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제2집게 부재(311)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개방되어 있어야 한다.
이때, 상기 제2걸림부(311a)는 상기 제1걸림부(312a)에 걸릴 수 있도록 폭이 크게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제2집게 부재(311)가 제1집게 부재(312)보다 약간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렇게 됨으로써 벌어질 때도 자연스럽고 걸림부가 서로 걸리지 않게 벌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수술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집게 부재(411)가 용종의 일부를 감싸 잡거나 벌어져 해제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힘이 가해지면 다물어지고 해제되면 원위치로 복귀하고, 용종을 절단할 수 있도록 내측에 전도성 부재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집게부(410)와, 상기 집게부(410)가 상기 용종을 잡은 상태에서 내측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집게 부재(411)가 후진하면 외면이 내측면에 걸려 다물어지고, 전진하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벌어지게 되는 플렉시블 튜브(4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집게 부재(411)는 힌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아니고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한 점이 다른 점이다. 이렇게 힌지 구성을 없앨 수 있기 때문에 크기도 작고 단순한 구조로 제작이 가능하다.
한편,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집게 부재(510)는 일부만이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집게 부재(510)가 전단부(511a), 중간부(511b), 그리고 후단부(511b)로 이루어지되, 중간부(511b)만이 탄성체로 이루어지게 제작할 수도 있다. 따라서 라운드지는 중간부(511a)만 탄성체로 제작하여 그 부분이 휘어지거나 원상 복귀됨으로써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작동을 하게 될 수 있다.
한편,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집게부(510)는 교체 가능하게 작동 와이어와 연결될 수 있다. 즉 힌지부(512)를 포함하여 집게부(510)를 교체 가능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즉 힌지(512) 후방에 연결부(515,516)를 두고 각 단부가 암수(515a, 516a) 형태로 억지 끼움에 의해 삽입되어 결합되고, 반대로 힘을 가하여 분리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이렇게 교체 가능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상황에 적합한 집게부(510)를 선택하여 조립하고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수술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수술장치는 관상 조직이나 기관 또는 유경성 용종의 일부를 감싸 잡거나 벌어져 해제할 수 있도록 힌지 연결된 한 쌍의 집게 부재(610)와, 상기 집게 부재(610)의 후방에 연결되어 신체 내부로 관통 설치된 관(620)의 내부를 따라 상기 집게 부재(610)가 출입 및 이동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집게 부재(610)가 다물거나 벌어지도록 제어하는 작동 와이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집게 부재(610)는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다물어지면서 대상물을 감싸 잡는 집게부(611)와, 상기 집게부(611)의 후단부로부터 힌지(613)까지 연장되고 내측에는 칼날이 형성되어 대상물을 자를 수 있는 칼날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에는 세 가지 상태가 차례로 도시되어 있다. 상부의 제 1 상태는 집게 부재(610)가 벌어져 있는 상태로서 대상물을 잡기 전의 상태이다. 그 아래의 제 2 상태는 대상물을 잡아당길 수 있는 상태로서 대상물은 집게부(611)에 의해 잡혀 있게 되고, 이 상태에서는 대상물을 자를 수 없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의 조절은 전술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그 다음 하부의 제 3 상태는 칼날부(612)에 의해 대상물을 자를 수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집게 부재(610)를 더 내측으로 회전시키면 대상물은 칼날부(612)에 의해 잘리게 될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전술한 전기를 이용해 결찰하는 것이 아니라 물리적으로 결찰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류 공급을 위한 배선 등이 집게 부재까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복잡한 구성을 피할 수 있다.
한편, 도 1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의한 수술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수술장치는, 관상 조직이나 기관 또는 유경성 용종의 일부를 감싸 잡거나 벌어져 해제할 수 있도록 신체 내부로 관통 설치된 관(720)의 내부를 따라 출입 및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고정 집게부(711)와, 상기 고정 집게부(711)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일측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 집게부(711)와 함께 관상 조직이나 기관 또는 유경성 용종의 일부를 감싸 잡거나 벌어져 해제하는 회전 집게부(712)와, 상기 고정 집게부(711)와 회전 집게부(712)의 후방에 연결되어 상기 관(720)의 내부를 따라 상기 고정 집게부(711)와 회전 집게부(712)가 출입 및 이동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집게 부재(710)가 다물거나 벌어지도록 제어하는 작동 와이어(7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고정 집게부(711)와 회전 집게부(712) 내측은 전도성 재질로, 외측으로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고정 집게부(711)는 관(720)의 내측의 레일에 끼워져 전후진 구동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 와이어(715)를 당기면 관(720)의 내부로 집게부들(710)이 들어오면서 다물어질 수 있다. 또는 집게부(710)가 관(720)으로부터 벗어난 상태에서 작동 와이어(715)를 밀어도 다물어질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작동 와이어(715)의 끝단이 회전 집게부(712)의 일측에 힌지(714)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때, 한쪽의 회전 집게부(712)를 사용하여 결찰 등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작동 와이어의 작동 구성을 더욱 간단하게 설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
2 : 용종 10: 집게부
11, 311 : 집게 부재 12, 312 : 힌지
13 : 토션 스프링 15, 315 : 작동 와이어
20 : 플렉시블 튜브 22 : 단턱부
30 : 탄성밴드용 캡 31 : 탄성 밴드
40 : 전기선 50 : 작동 쓰레드

Claims (23)

  1. 관상 조직이나 기관 또는 유경성 용종의 일부를 감싸 잡거나 벌어져 해제할 수 있도록 힌지 연결된 한 쌍의 집게 부재;
    상기 집게 부재의 후방에 연결되어 신체 내부로 관통 설치된 관의 내부를 따라 상기 집게 부재가 출입 및 이동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집게 부재가 다물거나 벌어지도록 제어하는 작동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집게 부재중 제1집게 부재의 자유단에는 일측이 개방된 고리형태의 제1걸림부가 형성되고, 제2집게 부재의 자유단에는 상기 제1걸림부에 걸리도록 폭이 적어도 상기 제1걸림부보다 큰 제2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집게 부재가 다물어진 상태에서 이동 시 용종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걸림부에 상기 제2걸림부가 걸려 유지되는,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와이어는,
    상기 힌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집게 부재의 반대편으로 연장된 제1와이어; 및
    상기 집게 부재가 힌지 반대편까지 연장된 전단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와이어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와이어와의 상대 거리가 변화함에 따라 상기 집게 부재가 다물어지거나 벌어지도록 제어하게 되는 제2와이어;
    를 포함하는,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와이어는 상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에 연결되어 상대 거리를 제어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
  4. 한 쌍의 집게 부재가 관상 조직이나 기관 또는 유경성 용종의 일부를 감싸 잡거나 벌어져 해제할 수 있도록 힌지 연결되고, 상기 힌지에 연결되어 전후진함으로서 상기 집게 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와이어를 구비하며, 상기 집게 부재의 내측에는 용종을 절단할 수 있도록 전도성 부재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집게부;
    상기 집게부를 내장하도록 상기 집게부의 외면에 결합되고, 상기 집게부가 상기 용종을 잡은 상태에서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집게가 출입하는 플렉시블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집게 부재는 다물어진 경우 끝단이 반대쪽까지 크로스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끝단에는 서로 다른 색이 코팅된,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전단 출입구 외면에 복수개가 설치되고 잡아당겨지는 작동 쓰레드에 의해 상기 플렉시블 튜브로부터 이탈되면 용종의 일부를 탄력적으로 잡아 고정하게 되는 탄성밴드를 더 포함하는,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게 부재는 상기 작동 와이어가 후진하면 외면이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내측면에 걸려 다물어지고, 상기 작동 와이어가 전진하면 힌지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는,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게 부재는 힌지의 반대쪽 끝단에 한 쌍의 링크가 X자형으로 연결된,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게 부재의 내측면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면은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게 부재는 내측면의 단면이 웨이브형 또는 치형으로 형성된,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내측면에는 한 쌍의 집게 부재가 삽입되는 깊이가 제한되도록 단턱부가 형성된,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와이어의 끝단에는 작동 와이어를 전후진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구동부에 연결된,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
  12. 삭제
  13. 한 쌍의 집게 부재가 관상 조직이나 기관 또는 유경성 용종의 일부를 감싸 잡거나 벌어져 해제할 수 있도록 힌지 연결되고, 상기 힌지에 연결되어 전후진함으로써 상기 집게 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와이어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집게 부재 끝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슈가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슈의 내측에는 용종을 절단할 수 있도록 전도성 부재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집게부;
    상기 집게부를 내장하도록 상기 집게부의 외면에 결합되고, 상기 집게부가 상기 용종을 잡은 상태에서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집게가 출입하는 플렉시블 튜브;
    를 포함하는,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슈의 단부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슈의 내측면은 미끄러지지 않도록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거나 곡면으로 이루어진,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슈가 밀착되면 잡힌 부분을 당기는 힘에 의해 벌어지지 않도록 상기 한 쌍의 슈의 후단부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진,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슈는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
  18. 한 쌍의 집게 부재가 관상 조직이나 기관 또는 유경성 용종의 일부를 감싸 잡거나 벌어져 해제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힘이 가해지면 다물어지고 해제되면 원위치로 복귀하고, 용종을 절단할 수 있도록 내측에 전도성 부재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집게부;
    상기 집게부가 상기 용종을 잡은 상태에서 내측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집게 부재가 후진하면 외면이 내측면에 걸려 다물어지고, 전진하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벌어지는 플렉시블 튜브;
    를 포함하는,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는 일부만이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
  20. 제4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집게 부재중 제1집게 부재의 자유단에는 일측이 개방된 고리형태의 제1걸림부가 형성되고, 제2집게 부재의 자유단에는 상기 제1걸림부에 걸리도록 폭이 적어도 상기 제1걸림부보다 큰 제2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집게 부재가 다물어진 상태에서 이동 시 용종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걸림부에 상기 제2걸림부가 걸려 유지되는,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
  21. 제4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는 교체 가능하게 작동 와이어와 연결된,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
  22. 관상 조직이나 기관 또는 유경성 용종의 일부를 감싸 잡거나 벌어져 해제할 수 있도록 힌지 연결된 한 쌍의 집게 부재;
    상기 집게 부재의 후방에 연결되어 신체 내부로 관통 설치된 관의 내부를 따라 상기 집게 부재가 출입 및 이동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집게 부재가 다물거나 벌어지도록 제어하는 작동 와이어;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집게 부재는,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다물어지면서 대상물을 감싸 잡는 집게부; 및
    상기 집게부의 후단부로부터 힌지까지 연장되고 내측에는 칼날이 형성되어 대상물을 자를 수 있는 칼날부;를 포함하는,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
  23. 관상 조직이나 기관 또는 유경성 용종의 일부를 감싸 잡거나 벌어져 해제할 수 있도록 신체 내부로 관통 설치된 관의 내부를 따라 출입 및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고정 집게부;
    상기 고정 집게부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일측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 집게부와 함께 관상 조직이나 기관 또는 유경성 용종의 일부를 감싸 잡거나 벌어져 해제하는 회전 집게부; 및
    상기 고정 집게부와 회전 집게부의 후방에 연결되어 상기 관의 내부를 따라 상기 고정 집게부와 회전 집게부가 출입 및 이동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 집게부가 다물거나 벌어지도록 제어하는 작동 와이어;
    를 포함하는,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
KR1020200091063A 2019-09-26 2020-07-22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 KR1024463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776 2019-09-26
KR20190118776 2019-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798A KR20210036798A (ko) 2021-04-05
KR102446312B1 true KR102446312B1 (ko) 2022-09-23

Family

ID=75165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063A KR102446312B1 (ko) 2019-09-26 2020-07-22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46312B1 (ko)
WO (1) WO202106071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204B1 (ko) 2008-06-27 2011-08-11 정창욱 최소 침습 수술 도구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822492D0 (en) 1988-09-24 1988-10-26 Considine J Apparatus for removing tumours from hollow organs of body
JP3743096B2 (ja) * 1997-02-10 2006-02-08 フジノン株式会社 スネア付き鉗子装置
WO2009157190A1 (ja) * 2008-06-27 2009-12-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ロボットハンド及びロボットアーム
KR101693355B1 (ko) * 2009-08-10 2017-01-06 (주)미래컴퍼니 외과 수술용 장치의 인스트루먼트
KR200467166Y1 (ko) * 2011-03-24 2013-05-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집게 타입 의료 기기
KR101296359B1 (ko) * 2011-09-15 2013-08-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점막하 절제용 내시경 처치구
CN105530879B (zh) * 2013-10-10 2018-06-05 捷锐士阿希迈公司(以奥林巴斯美国外科技术名义) 腹腔镜夹钳组件
KR101670162B1 (ko) * 2015-02-04 2016-10-28 (의료)길의료재단 센서부 및 측정부를 구비한 내시경 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1829530B1 (ko) * 2016-03-30 2018-02-1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직검사용 겸자 유닛
KR102038589B1 (ko) * 2017-11-15 2019-10-30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생체조직 제거용 이중 스네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204B1 (ko) 2008-06-27 2011-08-11 정창욱 최소 침습 수술 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60718A1 (ko) 2021-04-01
KR20210036798A (ko) 2021-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4052A (en) Surgical cauterization snare with ligating suture
US8070759B2 (en) Surgical fastening device
EP2292159B1 (en) Band ligation and coagulation
US680849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n-endoscope instruments having end effectors and combinations of on-endoscope and through-endoscope instruments
JP5340722B2 (ja) 内視鏡用処置具
US5908429A (en) Methods of anatomical tissue ligation
JP6470270B2 (ja) 最小侵襲手術による胃腸治療のためのマルチルーメンカテーテル・リトラクタシステム
US8377044B2 (en) Detachable end effectors
US8317827B2 (en) Suturing devices and methods
US9872600B2 (en) Tissue resection bander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20120215234A1 (en) Single Actuating Jaw Flexible Endolumenal Stitching Device
JP4964660B2 (ja) 三重に曲がる括約筋切開器
EP1948027B1 (en) Tissue cutting devices having hemostasis capability
JP5788629B1 (ja) エネルギ処置具
JPWO2019172318A1 (ja) 処置具、内視鏡装置、内視鏡システム及び処置方法
KR102446312B1 (ko)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
KR20120042136A (ko) 용종절제시술용 더블 스네어 장치
US11253282B2 (en) Dissection and ligation cartridge
JP2024504400A (ja) 延長部を有する再位置決め可能なクリップ
US20220133383A1 (en) Medical systems, devices, and related methods
WO2021009836A1 (ja) 内視鏡用処置具およびそ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