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6882B1 - Odor removal adsorption tower collection box - Google Patents
Odor removal adsorption tower collection box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26882B1 KR102526882B1 KR1020200157645A KR20200157645A KR102526882B1 KR 102526882 B1 KR102526882 B1 KR 102526882B1 KR 1020200157645 A KR1020200157645 A KR 1020200157645A KR 20200157645 A KR20200157645 A KR 20200157645A KR 102526882 B1 KR102526882 B1 KR 1025268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dor
- polluted air
- collection box
- pig
- exhaus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41000282887 Suida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9000010871 livestock man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SUKJFIGYRHOWBL-UHFFFAOYSA-N sodium hypochlorite Chemical compound [Na+].Cl[O-] SUKJFIGYRHOWBL-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5708 Sodium hypochlori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WQOXQRCZOLPYPM-UHFFFAOYSA-N dimethyl disulfide Chemical compound CSSC WQOXQRCZOLPYP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HPALAKNZSZLMCH-UHFFFAOYSA-M sodium;chloride;hydrate Chemical class O.[Na+].[Cl-] HPALAKNZSZLMC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1224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735 Dia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IKHGUXGNUITLKF-XPULMUKRSA-N acetaldehyde Chemical compound [14CH]([14CH3])=O IKHGUXGNUITLKF-XPULMUKR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2 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28 appeti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89 appet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67 b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03 cultur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4994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517 death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50 feed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76 precipit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15 recruit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3504 respiratory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2—Arrangement of fans or blow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64—Construction of air inlets or outlets in wal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82—Water misting or cooling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wetting, e.g. using surfaces covered with oi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돼지가 기거하는 돈사 내에서 돼지의 호흡과, 배설물로부터 발생되는 각종 악취가스와 분진 등 오염공기를 모집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악취저감시스템으로 돈사 내에서 발생된 악취 등 오염공기를 배기시키는 악취배기팬이 수용되고 악취배기팬으로 형성된 음압으로 흡기되는 악취 오염공기를 모집하기 위한 직사각 형태의 오염공기모집박스의 장착수단과 오염공기모집수단,
오염공기의 모집량을 조절하는 개폐문과, 모집된 악취공기에서 악취를 효과적으로 흡착시키기 위한 복수의 분할실, 그리고 흡착실(21) 또는 좌우 양측 배기실(22), 배기실(22)에서 악취 흡착 액비를 분사시켜 흡착 및 필터로 흡착시켜 효과를 증대하고 악취가 흡착된 오염수를 언더피트의 환기팬에 분사 또는 낙수시켜 환기팬에 의한 비산과 액비로 사용되는 차염소산나트륨 등의 액비를 증발하도록 함으로서 악취를 저감하도록 하며,
악취 저감시스템을 구성하는 오염공기모집박스의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과 돈사 내에 설치가 용이하고 고장이 없어 돈사 건축비의 절감효과를 이룰 수 있는 돈사의 악취저감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odor reduction system for collecting and discharging polluted air such as various odorous gases and dust generated from pig respiration and excrement in a pig house where pigs live. Mounting means and polluted air collecting means for a rectangular-shaped polluted air collection box for collecting odor-contaminated air that is accommodated in an exhaust fan and sucked in with a negative pressure formed by the odor exhaust fan;
An opening and closing door that adjusts the amount of polluted air collected, a plurality of divided rooms for effectively adsorbing odors from the collected odorous air, and odor adsorption in the adsorption chamber 21 or the left and right exhaust chambers 22 and the exhaust chamber 22 The liquid fertilizer is sprayed and adsorbed with a filter to increase the effect, and the contaminated water with the odor absorbed is sprayed or dripped to the ventilation fan in the underpit to evaporate the liquid fertilizer such as sodium hypochlorite used as liquid fertilizer and scattering by the ventilation fan. By doing so, to reduce the odor,
The structure of the polluted air collection box constituting the odor reduction system is simple, and it is easy to manufacture and install in the pig house.
Description
본 발명은 돼지가 기거하는 돈사에서 돼지의 호흡과, 배설물로부터 발생되는 악취가스 등의 오염공기를 모집하는 오염공기모집박스와, 모집한 악취를 쉽게 흡착하기 위한 분할되는 복수의 분할실들, 그리고 분할실을 상하로 분할하여 악취 오염공기의 입기량을 조절하고 배출하는 개폐문 및 분사되는 액비로 오염공기에서 분진, 악취 등을 흡착하고 필터로 이중 흡착시켜 배출 및 악취 흡착수를 건조, 비산으로 악취가 저감되어 외부에서 악취로 인한 민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하는 돈사 악취저감시스템으로 한 악취제거 흡착탑 포집박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luted air collection box for collecting polluted air such as foul gas generated from pig respiration and feces in a pig house where pigs live, a plurality of partitioned rooms for easily adsorbing collected odors, and The division room is divided up and down to adjust the amount of odor-contaminated air intak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and sprayed liquid fertilizer adsorb dust and odor from the contaminated air, and the filter absorbs dust and odors twice to discharge and odor-absorbed water. It relates to an odor removal adsorption tower collection box as a pig farm odor redu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reduced to resolve civil complaints due to odor from the outside.
경제발전과 생활수준 향상으로 서구식 식문화로 변화되면서 육류소비 증가로 축산업도 대량생산을 위한 대형 돈사로 구성되고 또한 기술발전에 따라 대형화되는 돈사에서 발생하는 오염원 중 하나인 악취에 대한 민원이 제기되고 있다.As the economy develops and living standards change to a Western-style food culture, the livestock industry is composed of large pigs for mass production due to the increase in meat consumption, and civil complaints about odor, one of the sources of pollution, are raised in pigs that are becoming larger with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re is.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악취발생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자동화 시설과 함께, 대량 발생되는 악취를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알려지고 있고, 돈사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대개가 황화수소, 암모니아, 메틸메르캅탄, 황하메틸, 이황화메틸, 아민류, 아세트알데히드 등으로 밝혀지고 있으나, 실제 악취 유발원은 그 보다 훨씬 더 많으며 악취물질 또한 수백 종류에 달한다.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various technologies are known for minimizing odors generated in large quantities along with automated facilities for minimizing odors. , methyl disulfide, amines, acetaldehyde, etc., but the actual cause of odor is much more than that, and there are hundreds of odor substances.
이러한 발생악취가 양돈사, 무창돈사(창이 없는 돈사) 및 자돈사 등(이하 돈사라 함)에서 외부로 신속히 배출되지 않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안정적으로 공급과 순환되지 못하면, 사육 돼지가 악취와 온도차 등에 따른 피해가 크고 특히, 유해가스, 먼지 등으로 인한 최적의 생육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므로써 다양한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If this odor is not quickly discharged to the outside from pig farms, windowless pig houses (windowless pig houses) and pigpe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ig houses), and external fresh air is not stably supplied and circulated, breeding pigs will suffer from odor and temperature difference. In particular, various damages occur because the optimal growth environment is not provided due to harmful gases and dust.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본원 발명자의 선 특허공개 제 10-2018-0031211호에서는 돈사 내에서 발생 된 암모니아, 먼지 등의 악취를 돈사 외벽에 돈방과 분리되어 별도를 구축되는 모집실로 모집하고 돈방으로부터 배출되는 악취에 호기성 미생물 액비의 분사로 악취를 흡착제거하고 필터를 통해 2차 모집실로 보내져 다시 액비분사에 의한 흡착제거 그리고 필터를 거처 악취를 제거하는 순환으로 돈사 외부로 배출시키는 시스템으로 악취를 제거하고 악취가 습착된 액비는 집수조로 모집하여 호기성 미생물로 분해한 후 다시 순환하는 방법으로 오염수 누출이 없고 돈사 주변으로부터 악취로 인한 민원발생이 없는 돈사를 제공한 바 있고 또 다른 특허등록 제 10-0901756호에서는 하나의 포집실로 제시한 바있다.In the prior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31211 of the present inventor for improving the above problems, odors such as ammonia and dust generated in the pig house are collected in a separate recruitment room separated from the pig house on the outer wall of the pig house and It is a system that adsorbs and removes the odor by spraying aerobic microbial liquid manure, sends it to the secondary collection room through a filter,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of the pig house through a circulation that removes odor by liquid manure spray and removes the odor through a filter. Removed and odor-adhered liquid manure is recruited to a collection tank, decomposed into aerobic microorganisms, and then circulated again, providing a pig house with no leakage of contaminated water and no civil complaints due to odor from around the pig house. Another patent registration No. 10 -0901756 suggested a collection room.
상기한 선행기술은 돈사와 돈사 외벽에 별도의 1,2차 또는 하나의 포집실을 구성함으로써, 돈사 면적의 증대와, 구축에 따른 비용이 과대하여 농가의 경제적 부담과 관리가 어려운 단점 및 콘크리트로 구축되는 포집실 내에서 유해균과 세균번식을 촉진시키는 문제도 야기되고 있다.The above-mentioned prior art constitutes a separate primary, secondary or one collection room on the outer wall of the pig house, thereby increasing the area of the pig house and the cost of construction is excessive. There is also a problem of promoting the propagation of harmful bacteria and bacteria in the collection chamber to be constructed.
또 다른 선 등록특허 10-0980735호에서는 돈사에서 발생되는 악취와 가스 등을 흡배기하기 위한 1, 2단계별 배기팬과 연결된 1, 2단계별 배기덕트를 돈방 상부에 하나 또는 둘로 구성시켜 오염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을 제시한 바 있다.In another registered patent No. 10-0980735, one or two exhaust ducts for each
그리고 상기 선행기술에서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인의 또다른 선출원 특허공개 제 10-2020-0104609호는 돈사 외벽에 구성되는 악취배기팬이 감싸지고 바닥재와 일정한 높이로 설치되는 기다란 하부덕트와 상부덕트의 연결부에 악취 흡기공간이 마련되도록 구성되는 악취 배기덕트와, 상기 하부덕트 내에 악취흡착필터를 수직으로 구성하고 바닥면에는 흡착된 악취 배출관을 구성하는 덕트를 다수의 브라켓으로 벽면에 설치하도록 하였다.And another prior applicatio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104609 of the present inventor for improving the disadvantages in the prior art is a long lower duct and upper part in which the odor exhaust fan constituted on the outer wall of the pig house is wrapped and installed at a constant height with the floor material An odor exhaust duct configured to provide an odor intake space at the connection part of the duct, an odor absorption filter vertically in the lower duct, and a duct constituting an adsorbed odor discharge pipe on the bottom surface are installed on the wall with a plurality of brackets. .
이러한 구성은 비교적 가벼운 합성수지로 성형함으로써 상,하부 덕트를 복수부재로 분할구성하고 또한 휨 방지를 위한 브라켓 등으로 인한 조립이 어렵고 특히 대형의 덕트를 성형할 때 금형 및 성형비용이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This configuration divides the upper and lower ducts into a plurality of members by molding them with relatively light synthetic resin, and it is difficult to assemble due to brackets for preventing bending, and in particular, mold and molding costs are high when molding large ducts. .
본 발명은 돈사에서 발생하는 오염원의 악취와 오염공기에 대한 민원을 개선할 수 있도록 악취를 저감하도록 함으로써 발생되는 악취로 인한 민원해결과,The present invention solves civil complaints due to odors generated by reducing odors to improve civil complaints about odors and polluted air of pollutants generated in pig houses,
악취저감시스템을 외벽에 간단하고 견고히 장착 고정하는 ""형태의 장착수단과, 장착수단에 간단히 구성설치할 수 있는 ""형태의 기다란 오염공기모집박스(20), "Simply and firmly mounting and fixing the odor reduction system to the outer wall" "The type of mounting means and the ability to easily configure and install on the mounting means" "A long polluted
오염공기모집박스를 흡착실(21)과, 좌우 양측 배기실(22) 및 배기실(22)과 일체로 악취모집실(23)을 필터(40)가 구성되는 필터케이스(30) 또는 각재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장착수단에 의한 분할,The
그리고 전면부는 상하로 분할하되, 개방창(25)과, 여닫이되는 개폐문(27)이 구성되어 개폐수단으로 유입 오염공기량을 쉽게 제어하도록 구성함으로 구성이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면서 악취 흡착효과와 배출이 원활하여 돈사의 악취 저감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돈사의 악취저감시스템에 대한 악취제거 흡착탑 포집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ront part is divided up and down, but the
본 발명의 과제 해결수단은, 돈사(100) 내에 돼지가 기거하도록 분할된 복수의 돈방(101)과, 외벽(102)에 발생된 악취. 오염공기를 배기시키는 악취배기팬(103)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성되고 돈방(101) 하부의 돈분실(104) 외벽(102)에 환기팬(105)을 구성시켜 오염공기를 배출하는 돈사의 악취 저감시스템으로 하는 악취제거 흡착탑 포집박스를 구성하되,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돈사(100) 외벽(102)에 악취를 흡착한 흡착수가 배출되는 배출통로(50)가 형성된 ""형태의 장착수단과,The outer wall (102) of the pig house (100) is formed with a discharge passage (50) through which the adsorbed water adsorbed on the odor is discharged. "The mounting means of the form,
장착수단에 의해 장착구성되는 ""형태의 기다란 오염공기모집박스(20)를 이루는 오염공기모집수단과,Mounted by the mounting means " A polluted air collecting means constituting a long polluted
액비탱크로부터 액비를 공급받은 액비공급관(60)을 통해 오염공기모집박스(20)에 구성된 액비분사노즐(61)로 액비를 분사한 액비분사수단,Liquid manure spraying means for spraying liquid manure through the liquid
그리고 오염공기모집박스(20)를 흡착실(21)과, 악취배기팬(103)이 수용되는 좌우 양측 배기실(22) 및 악취모집실(23)로 분할되는 분할수단과, And dividing means for dividing the polluted
오염공기모집박스(20)의 전면부를 상하로 분할되고, 상부가 항시 개방 또는 제어되는 개폐문(27)이나 슬랫창(29)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The front part of the polluted
분할된 하부는 오염공기모집박스(20) 저면판(24)에 경첩(26)으로 여닫이되는 개폐문(27)으로 형성되는 오염공기모집제어수단, 및 오염공기모집제어수단의 개폐문(27)을 제어하기 위한 개폐문제어수단, The divided lower part controls the polluted air collecting control means form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그리고 액비를 공급과 분사하는 액비분사수단과 배출 오염공기를 건조와 비산으로 악취를 저감시키는 액비비산수단으로 돈사 내 악취 오염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하면서 악취를 최소화시켜 악취로 인한 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돈사의 악취제거 흡착탑 포집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nd the liquid manure spraying means that supplies and sprays liquid manure and the liquid manure scattering means that reduces odor by drying and scattering the discharged polluted air, effectively discharging odor-contaminated air in the pig house and minimizing odor to improve problems caused by odor. It is to provide a pig farm odor removal adsorption tower collection box,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의 효과는 돼지가 기거하는 돈사 내에서 돼지의 호흡과, 배설물로부터 발생되는 각종 악취가스와 분진 등 오염공기를 악취배기팬(103)으로 배기하되 배기량의 조절을 이룰 수 있는 ""형태의 기다란 오염공기모집박스(20)와,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xhaust polluted air such as various odorous gases and dust generated from pig respiration and excrement in a pig house where pigs live, with an odor exhaust fan (103), but the exhaust amount can be controlled. "A long polluted
오염공기모집박스(20)를 돈사 외벽에 견고하고 편리하게 장착할 수 있고 오염공기모집박스(20)를 필요에 따른 용도별로 분할시키기 위한 장착수단으로 오염공기모집박스(20)를 돈사(100) 외벽(102)에 견고하고 쉽게 장착하는 설치의 용이성과,The polluted
오염공기가 악취배기팬(103)으로 배기되면서 오염공기모집박스(20)로 모집되는 오염공기에 차염소산나트륨 등 액비를 분사시켜 악취를 흡착하고 배출되는 오염공기를 필터(40)에서 2차 흡착시켜 돈분실(104)의 환기팬(105)에 의해 건조와 비산함으로써 악취가 저감된 공기로 배기시켜 민원발생을 최소화시는 효과,As the polluted air is exhausted through the odor exhaust fan (103), liquid fertilizer such as sodium hypochlorite is sprayed on the polluted air collected through the polluted air collection box (20) to absorb odors, and secondary adsorption of the discharged polluted air in the filter (40). The effect of minimizing civil complaints by exhausting air with reduced odor by drying and scattering by the
오염공기모집박스(20)를 흡착실(21)과 배기실(22), 악취모집실(23)로 분할하고 상하 분리하여 악취의 흡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상기 입기되는 개방창(25)과, 입기량을 제어하는 개폐문(27)으로 구성되어 돈사(100) 내 온도 조절과 악취 오염공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로 돈사 내의 온도유지가 쉽고 특히 악취를 흡착제거시켜 배출하면서 건조와 비산으로 악취를 최소로 배출함으로 악취로 인한 민원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The contaminated
도 1은 본 발명 오염공기모집박스의 실시예 돈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중요 구성 돈사 외벽으로 악취모집과 흡착시키는 오염공기모집박스를 설치하기 위한 필터케이스로 구성되는 장착수단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오염공기모집박스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도 3의 오염공기모집박스를 돈사 외벽에 구성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오염공기모집박스에 구성되는 장착수단과 필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단면도.
도 6 (a)는 본 발명 오염공기모집박스의 개방창과 개폐문을 구성한 실시예,
(b)는 상하로 개폐문으로 구성된 실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돈사 외벽에 장착된 오염공기모집박스로부터 악취흡착수가 배출되는 설명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오염공기모집박스에 장착된 개폐문 제어수단 설명도.
도 9은 (a)(b)는 본 발명 실시예에 대한 오염공기모집박스의 고정 및 분할용 장착수단의 실시예에 대한 시사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ig house in an embodiment of a polluted air collecting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means consisting of a filter case for installing a polluted air collection box for collecting and adsorbing odors to the outer wall of a pig house,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lluted air collection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lluted air collection box of Figure 3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on the outer wall of the pig house.
5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ounting means and a filter constituted in the polluted air collecting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6 (a) is an embodiment of configuring the open window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of the polluted air collection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b)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mplementation consisting of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vertically.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discharge of odor adsorption water from the polluted air collection box mounted on the outer wall of the pig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control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doors installed in the polluted air collection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9 (a) (b)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mounting means for fixing and dividing a polluted air collection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돼지가 기거하는 돈사 내에서 돼지의 호흡과, 배설물로부터 발생되는 각종 악취가스와 분진 등 오염공기를 모집하고 배출시키기 위한 악취저감시스템을 제공하되, 돈사 내에서 발생된 악취 등 오염공기를 배기시키는 악취배기팬이 수용되고 악취배기로 형성된 돈사 내 음압으로 흡기모집되는 악취 오염공기를 기다란 직사각 형태의 오염공기모집박스로 구성되는 오염공기모집수단과, 오염공기모집박스를 구성하고 돈사 외벽에 장착시키는 장착수단,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dor reduction system for collecting and discharging polluted air such as various odorous gases and dust generated from pig respiration and feces in a pig house where pigs live, A polluted air collection means consisting of a long rectangular polluted air collection box that collects odor-contaminated air that is suctioned and collected at negative pressure in the pig house formed by the odor exhaust fan is accommodated, and the polluted air collection box is formed on the outer wall of the pig house mounting means for mounting;
오염공기의 모집량을 조절하는 여닫이 개폐문, 모집된 악취공기에서 악취를 효과적으로 흡착시키기 위한 복수로 분할된 흡착실(21) 및 좌우 양측 배기실(22)로 분할되는 분할수단, 분할된 흡착실에서 액비를 분사시켜 흡착하고 또한 필터로 흡착시키는 효과를 증대하는 악취흡착수단, 악취가 흡착된 오염수를 언더피트의 환기팬에 분사 또는 낙수시켜 환기팬에 의한 비산과 액비로 사용되는 차염소산나트륨 등을 증발하도록 함으로서 배출 악취를 저감시키는 액비비산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다.In the cas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that controls the amount of polluted air collected, the division mean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vided
이러한 본 발명 악취저감시스템은 복수의 분할용 필터 케이스 또는 고정 및 분할 프레임을 돈사 외벽면에 고정하는 장착수단으로 견고한 장착과, 기다란 상하 및 좌우 그리고 전면의 여닫이문을 간단히 장착수단에 고정 설치할 수 있어 오염공기모집박스의 구성과 설치가 간단하고 견고한 특징 및 각각의 부재를 돈사 내에서 조립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한 특징으로 작업을 신속하고 쉽게 설치하여 건축비의 절감효과를 이룰 수 있는 돈사 악취저감시스템으로 하는 악취제거 흡착탑 포집박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he odor redu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unting means for fixing a plurality of filter cases for division or fixing and division frames to the outer wall of the pig house. The structure and installation of the polluted air collection box is simple and easy to install by assembling and installing each member in the pig house. One feature is to provide an odor removal adsorption tower collection box as a pig farm odor reduction system that can be quickly and easily installed to reduce construction costs.
본 발명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specific details for achieving the object.
본 발명은 도면 도 1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돼지 돈사(100) 내에 돼지가 기거하도록 분할된 복수의 돈방(101)이 구성되고, 외벽(102)에는 돈사(100) 내에서 돼지 호흡과 분뇨 등으로부터 발생된 악취, 먼지 등 오염공기를 배출시키는 악취배기팬(103)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성됨과 함께, 돈방(101) 하부로 돼지가 배출한 분뇨를 모집하는 돈분실(104)(또는 언더피트)과, 돈분실(104) 내 악취를 배출할 수 있도록 돈분실(104) 외벽(102)에 환기팬(105)을 구성과 함께 돈사(100) 내로 외부 신선한 공기를 입기시키기 위한 미도시 입기창 또는 덕트 등이 구성되고 있다.As shown in FIGS. 1 to 9,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본 발명은, 돈사(100) 외벽(102) 내에 돈사(100)에서 발생된 오염공기를 모집하고 악취를 흡착시킨 후 악취흡착 오염수를 분리하여 배출하므로 악취를 최소화로 저감된 공기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돈사 악취저감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오염공기모집박스(20)를 외벽(102)에 장착시키기 위한 필터케이스(30)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the polluted air generated in the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구성을 설명하면, 필터케이스(30)로, 양측으로 돌출벽(31)이 ""형태로 절곡되어 내부로 필터(40)가 수용되고 필터(40)로부터 낙수되는 악취 흡착수를 배출시키는 배출공(33)을 뚫은 상향 절곡된 수직절곡부(34)와, 수평절곡부(32) 하부로 악취를 흡착한 흡착수가 배출되는 배출통로(50)가 형성되는 "" 형태로 구성되고, 상하 단부에 돈사 외벽(102)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공을 뚫은 체결브라켓(36)이 구성되는 필터케이스(30)로 이루어지는 장착수단이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preferr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이와 같이 필터(40)가 결합되는 필터케이스(30)로 이루어지는 장착수단은, 다른 실시예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돈사(100) 외벽(102)에 "" 형태로 외벽(102)에 장착되되, 필터케이스(30)에 필터(40)가 결합되지 않고 일정한 거리 간격으로 장착된 필터케이스(30)와 필터케이스(30) 사이로, 폭이 넓은 형태의 필터(40)를 구성시켜 폭이 넓은 필터(40)에 의한 흡착효과를 증대하고, 또는 필터(40)가 결합되는 필터케이스(30)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장착시켜 견고성과 반복되는 필터기능을 발휘함과 함께 ""형태의 기다란 오염공기모집박스(20)를 더욱 견고히 장착할 수 있도록 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mounting means made of the
또 다른 실시예의 장착수단은 도 9의 (a)(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형 장착프레임(30-1) 및 각재를 절곡한 각재형 장착프레임(30-2)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본 발명의 장착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the mounting means of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a) (b) of FIG. 9, any one selected from the bent type mounting frame 30-1 and the angle type mounting frame 30-2 obtained by bending the angle material is selected. Thus, it can be configured as the moun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각재를 절곡한 절곡형 장착프레임(30-1)은 전술한 필터케이스(30)와 동일한 형태로 도 9(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향 절곡된 수직절곡부(34)와, 수평절곡부(32) 하부로 악취를 흡착한 흡착수가 배출되는 배출통로(50)가 형성되는 "" 형태로 구성되고, 상하 단부에 돈사 외벽(102)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공을 뚫은 체결브라켓(36)이 구성된다.The bent mounting frame 30-1 in which the rectangular material is bent has an upwardly bent vertical
그리고 각재를 절곡한 각재형 장착프레임(30-2)은 도 9(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재 프레임을 "" 형태로 절곡 구성하고 상하 프레임 단부에 악취흡착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통로(50)와 돈사 외벽(102)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공을 뚫은 체결브라켓(36)이 구성된다.And, as shown in FIG. It is configured to be bent in the shape of ", and a
이와 함께 본 발명은 상기 오염공기모집박스(20)를 돈사(100) 외벽(102)에 장착하는 장착수단으로 미도시 한 "" 또는 "" 형태의 브라켓이나, 오염공기모집박스(100) 내측 또는 외측으로 체결되는 기다란 각재 프레임(71)을 이용하여 상면판(28)과 저면판(24) 및 양측외판(28-1)과 전면의 여닫이 개폐문(27)이 구성되는 실시예로 변형될 수 있고 상기에서 구성된 오염공기모집박스(20) 내에서 필터(40)를 이용한 분리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단순 변경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내에 있다 함은 당연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unting means for mounting the polluted
또한편 상기 장착수단에 견고성을 위한 프레임(71)을 더 보충한 체결구성 및 밀폐를 위한 실리콘으로 밀봉 등의 단순 변형된 실시예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변형예 또한 본 발명의 단순 모방 내지는 회피구성에 불과함을 이해하여야 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have a simple modified embodiment such as a fastening configuration supplemented with a
상기 장착수단인 필터케이스(30) 또는 절곡형 장착프레임(30-1) 및 각재형 장착프레임(30-2)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장착수단을 도 4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오염공기모집박스(20)의 중앙으로 흡착실(21)과, 좌우 양측 배기실(22), 배기실(22) 외측으로 악취모집실(23)로 분할되도록 돈사(100) 외벽(102)에 각 분할 지점 위치에 체결브라켓(36)을 체결볼트로 체결시켜 장착하게 되며, 이때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 배기실(22) 내로 악취배기팬(103)이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와 달리 악취배기팬(103)은 필요에 따라 위치를 달리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이때, 장착수단인 필터케이스(30)를 이용하는 경우 필터(40)가 필터케이스(30) 내로 결합된 상태의 도 2와 같이 구성되고, At this time, when using the
이와 달리 필터케이스(30)와 필터케이스(30)를 일정한 거리 간격을 두고 도 5와 같이 장착한 상태에서 내측으로 필터(40)를 구성하는 실시예 및 도 9에서 도시된 절곡형 장착프레임(30-1) 및 각재형 장착프레임(30-2)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장착수단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Unlike this, the
상기에서 각각의 위치에 고정된 장착수단인 필터케이스(30), 실시예 및 도 9에서 도시된 절곡형 장착프레임(30-1) 및 각재형 장착프레임(30-2)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장착수단 상면과 저면에 PVC패널, FRP 또는 합판 등 중 선택된 부재로 상면판(28)과 저면판(24) 그리고 양측외판(28-1)을 피스, 볼트, 등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체결하므로 ""형태의 기다란 오염공기모집박스(20)로 구성되는 오염공기모집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오염공기모집박스(20)를 구성하는 저면판(24)는 악취 흡착수가 쉽게 배출통로(50)로 이동할 수 있도록 외벽(102)으로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높낮이를 설정하기 위하여 필터케이스(30) 하부체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짐은 물론이며 오염공기모집박스(20)의 양측외판(28-1)은 경첩(26)을 이용하여 여닫이 개폐문(27)으로도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오염공기모집박스(20) 내에서 필터케이스(30) 또는 필터케이스(30)와 필터케이스(30)를 일정한 거리 간격으로 장착된 장착수단과 절곡형 장착프레임(30-1) 및 각재형 장착프레임(30-2)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장착수단을 이용하여 분할되는 오염공기모집박스(20) 중앙부로 돈사(100) 내 오염공기가 입기되는 오염공기에 액비 분사로 악취를 흡착시키기 위한 흡착실(21)과, In addition, the
흡착실(21)로부터 장착수단의 필터(40)를 통과하면서 저감된 배출공기 및 돈사(100) 내에서 입기되는 오염공기를 배출하는 악취배기팬(103)이 위치되는 좌우 양측 배기실(22)과, 배기실(22)과 일체로 외측에 악취모집실(23)로 분할되는 분할수단으로 분할시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오염공기모집박스(20)를 흡착실(21)과, 좌우 양측 배기실(22) 및 배기실(22)과 일체로 악취모집실(23)로 분할함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리한 것이며, 이와 달리 흡착실(21)과, 좌우 양측 배기실(22) 또는 흡착실(21)과 악취모집실(23) 등으로 악취 모집과 배기 작용에 따라 선택하여 분리되는 변형된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dividing the polluted
오염공기모집박스(20) 내측 전면부로 양측외판(28-1)과 필터케이스(30) 하부로 뚫린 통공(35)으로 미도시 한 액비탱크로부터 액비를 공급받은 액비공급관(60)이 관통되고 흡착실(21) 내, 또는 좌우 양측 배기실(22) 내에서 액비를 분사하기 위한 액비분사노즐(61)이 선택되어 구성되며, 상기 액비분사노즐(61)은 흡착실(21) 또는 좌우 양측 배기실(22) 내에서의 분사와 함께 분사방향을 조절시켜 필터(40)로 분사되도록 구성된 액비분사수단이 구성된다.The liquid
이러한 액비분사수단은 오염공기모집박스(20)의 어느 한쪽의 양측외판(28-1)을 관통하고 필터케이스(30)의 통공(35)을 관통하여 흡착실(21)에 도달되고 흡착실(21) 내에서 복수의 액비분사노즐(61)이 형성되나, 이 액비공급관(60)을 좌우측 배기실(22), 악취모집실(23) 까지 연장하고 액비분사노즐(61)을 각기 필요에 따라 더 구성할 수 있고 액비공급관(60)에는 공급액비량을 조절하기 위해 밸브(62)가 구성됨은 물론이다This liquid fertilizer injection means penetrates the outer plate 28-1 on either side of the polluted
오염공기모집박스(20)의 흡착실(21)은 완전 개방형으로 한 개방창(25)과 악취모집실(23)의 전면을 상하로 분리시켜 상부는 개방되어 돈사(100) 내에서 발생된 악취를 상시 흡기할 수 있는 개방창(25)과, 분할된 하부는 오염공기모집박스(20) 저면판(24)에 경첩(26)으로 여닫이되는 개폐문(27)으로 구성하여 개폐문()의 여닫이로 입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돈사(100) 내 오염공기를 배출하는 악취배기팬(103)이 위치되는 흡착실(21) 양측의 좌우 양측 배기실(22)은 차단문(27-1)으로 밀폐시켜 입기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그리고 흡착실(21)과 악취모집실(23)의 상부측 개방창(25)에도 여닫이 개폐문(27)을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돈사(100) 내 오염공기의 입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흡착실(21)과 또는 악취모집실(23) 상부에 미도시한 개방창(25)에 필요에 따라 오염공기모집박스(20) 상면판(28)에 경첩(26)으로 힌지되는 개폐문(27)을 구성시켜 오염공기의 유입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외측의 악취모집실(23)은 양측에서 유입되는 오염공기량을 증대하기 위하여 개방공간을 확장하기 위한 양측외판(28-1)을 개폐문(27) 또는 자동개폐형 슬랫(slat)창(29)으로 구성시켜 한여름철 대량의 오염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으면 이러한 개방창(27)은 수평구성에서 수직구성으로 변형될 수 있는 실시예를 포함하는 오염공기모집제어수단을 구성한다. As another embodiment for controlling the intake amount of contaminated air in the
상기 오염공기모집제어수단의 개폐문(27)은 필요에 따라 분할하거나, 상하에 변형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opening/closing
일예로, 오염공기모집박스(20)에 돈사(100) 내 오염공기를 상시 입기하기 위한 개방창(25)과 입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개폐문(27) 또는 자동개폐형 슬랫창(29)을 도면에서 도시하고 상기에서 설명된 수평방향으로 구성함과 함께 악취모집실(23)을 구성하는 오염공기모집박스(20)의 양측외판(28-1)에 경첩(26)으로 여닫이되는 수직형 개폐문(27)으로도 변형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자동개폐형 슬랫창(29)으로 구성되는 변형된 예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n
상기한 개방창(25)은 돈사(100) 내 오염공기를 상시 입기하는 목적 구성이고 개폐문(27)은 필요에 따라 입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며, 목적 달성을 위해 개방창(25)과 개폐문(27)은 수평, 수직 등으로 단순변경할 수 있으나, 이러한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있다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그리고 오염공기모집박스(20) 저면판(24)에 경첩(26)으로 여닫이되는 개폐문(27)의 개폐수단은 도 2와 도 3 및 도 6과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 손잡이(10)와 양측으로 수평된 걸림쇠(11)를 구성한 연동봉(12)이 양측 개폐문(27) 틈 사이에서 장착수단인 필터케이스(30)를 관통하고 내측에서 스프링(13)으로 탄력설치시켜 절곡 손잡이(10)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걸림쇠(11)가 양측 개폐문(27)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개폐문제어수단이 구성된다.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of the
상기 액비분사수단으로 분사되는 액비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흡착실(21) 내에서 분사되어 유입된 오염공기 중 악취를 흡착하고 악취 흡착수는 경사면으로 구성된 저면판(24)으로 낙수됨과 함께, 필터(40)에서 흡착된 악취 흡착수는 필터케이스(30)의 악취 흡착수 배출통로(50)를 통해 배기실(22) 및 악취모집실(23) 내 저면판(24)으로 낙수와 모집되어 양측외판(28-1)에 연결된 악취배출관(70)을 통해 돈방(101) 하부의 돈분실(104)에서 악취를 배출하는 환기팬(105)을 구성하는 배기박스(106) 내로 낙수시켜 환기팬(105)으로 비산과 건조하도록 함으로써 악취를 흡착한 흡착수가 건조, 비산되면서 최소의 악취로 저감 한 상태로 비산시키는 비산수단에 의해 배출공기에서 악취를 최소화시키는 악취 저감 효과를 도출하도록 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7, the liquid fertilizer sprayed by the liquid fertilizer spraying unit adsorbs odors from the contaminated air injected into the
상기 환기팬(105)이 구성되는 배기박스(106)에는 배기량에 따라 조절되는 자동개폐형 슬랫창(29)이 구성되어 외기가 유입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본 발명에 공급되는 액비는 공지된 바와 같이 미도시 한 액비저장탱크 또는 일정한 압력의 물속에 소금을 넣고 대략 8~24시간 이상 침전시켜 28~30%의 소금이 용융되어 포화된 포화 염수를 28~30%의 염도가 유지되게 희석염수로 만든 후 이를 전기분해하여 형성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을 얻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생성기로부터 생성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is well known, the liquid ratio su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by putting salt in a liquid fertilizer storage tank or water at a constant pressure, which is not shown, and precipitating for about 8 to 24 hours or more, so that 28 to 30% of the salt is melted and saturated brine is formed. It is preferable to supply sodium hypochlorite produced from a sodium hypochlorite generator that obtains sodium hypochlorite (NaClO) formed by making diluted brine to maintain a salinity of 30% and then electrolyzing it.
상기 차아염소산나트륨은 액비공급관(60)이 오염공기모집박스(20) 흡착실(21) 내에서 액비분사노즐(61)로 분사시켜 모집된 오염공기로부터 오염원 악취를 흡착하고 악취배기팬(103)으로 흡기로 이동하는 오염공기의 악취가 필터(40)에서 2차 흡착되어 악취배기팬(103)로 배기와 악취흡착수는 낙수된다.The sodium hypochlorite is injected from the liquid
악취가 흡착된 오염수는 악취배출관(70)을 거처 환기팬(105)이 구성되는 배기박스(106)로 낙수시켜 환기팬(105)에 의해 건조와 비산으로 배기 공기에 악취를 최소화함으로써 돈사 내의 온도 저하방지와 함께 돼지 체온저하에 따른 폐단을 방지함과 배출되는 악취를 흡착 제거로 최소화시킴으로 악취로 인한 민원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Contaminated water adsorbed with odor is passed through the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액비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을 포함하여 악취분해 효소 등 다양한 물질들로 대처 됨은 당연하다.It is natural that the liquid ratio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ped with various substances such as odor decomposition enzymes including sodium hypochlorite.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돈사의 악취저감시스템은 도면상 2개의 악취배기팬(103)이 양측으로 수용되는 크기와 구성으로 하는 하나의 악취저감시스템으로 구성되되, 대형 돈사(100)에서 더 많은 악취배기팬(103)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각각 적용하여 구성되고, 또는 악취배기팬(103) 간격이 좁은 경우 연속하여 악취저감시스템을 연결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odor reduction system of the pig hous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one odor reduction system having a size and configuration in which two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and effec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돼지가 기거하는 돈사 내에서 돼지의 호흡과, 배설물로부터 발생되는 각종 악취가스와 분진 등 오염공기를 모집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악취저감시스템으로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돼지가 기거하도록 분할된 복수의 돈방(101) 하부로는 배출한 분뇨를 모집하는 돈분실(104), 그리고 외벽(102)에는 돈사(100) 내에서 돼지 호흡과 분뇨 등으로부터 발생된 악취 등 오염공기를 배기시키는 악취배기팬(103)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odor reduction system for collecting and discharging polluted air such as various odorous gases and dust generated from pig respiration and feces in a pig house where pigs live, and as shown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divided parts for pigs to live in To the lower part of the
즉, 돈사(100)에 구성된 악취배기팬(103)이 수용되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각각의 분할실로 구성되는 위치에 필터(40)가 장착된 필터케이스(30) 또는 절곡형 장착프레임(30-1) 및 각재형 장착프레임(30-2) 중 선택된 장착수단을 외벽(102)에 고정하거나 본 발명의 실시예로 예시된 "" 또는 "" 형태의 브라켓 및 각재 프레임(71) 중 선택된 하나를 고정하여 구성되는 오염공기모집박스(20)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 돈사 악취 저감시스템이 적용된 본 발명은 돈사(100)에 구성된 상태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돈사(100) 내에서 돼지의 호흡과 분뇨 등으로 악취와 분진 등으로 오염공기가 발생되면 이를 감지한 센서 또는 수작업에 의해 악취배기팬(103)을 가동하게 된다.That is, the
상기 악취배기팬(103)이 구동함으로써 도 4와 도 5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오염공기모집박스(20)의 흡착실(21)과 좌우 양측 악취모집실(23) 내의 오염공기가 악취배기팬(103)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생성된 음압은 돈사(100) 내 오염공기를 흡착실(21)과 외측에 악취모집실(23)의 상시 개방창(25)로 입기되고 입기된 오염공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악취배기팬(103)에 의해 배기실(22)을 거처 배기되며 이러한 이동 중에 미도시 한 액비탱크로부터 액비공급관(60)을 통해 공급되는 액비가 흡착실(21) 내에 구성된 액비분사노즐(61)에서 분사되어 모집된 오염공기에서 악취, 미세먼지 등을 흡착하고 낙수시키고 또는 필터(40)로 흡착된 흡착수는 필터케이스(30)의 배출통로(50)를 통해 배기실(22)과 악취모집실(23)을 거처 악취배출관(70)에 의해 도 1과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돈방(101) 하부의 돈분실(104)에서 악취를 배출하는 환기팬(105)에 구성되는 배기박스(106)로 낙수된다.As the
이러한 낙수는 환기팬(105)으로 건조와 비산되면서 돈사(10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 악취를 최소화시키는 악취 저감 효과를 도출하게 된다.As the falling water is dried and scattered by the
상기 액비분사노즐(61)으로 분사되는 액비는 흡착실(21) 내에서의 분사와 함께 양측에 구성된 필터(40)로 분사되고 필터(40)에서 흘려 내리는 액비가 오염공기 내의 악취를 흡착하는 것이며, 공급 액비는 선택적으로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62)를 조절하여 필요량으로 공급하게 된다.The liquid fertilizer injected into the liquid
그리고 흡착실(21)로 모집되는 악취공기가 좌우 양측 배기실(22)에 위치된 악취배기팬(103)의 흡기로 배기실(22)로 이동하면서 흡착실(21)과 배기실(22)을 분할하는 필터케이스(30)에 결합된 필터(40)를 통과하고 필터(4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 악취가 필터(40)에서 흐르는 흡착수에 흡착되어 필터케이스(30)에 뚫린 배출공(33)을 거처 저면판(24)으로 낙수된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악취모집실(23)을 거처 악취배출관(70)에 의해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돈방(101) 하부의 돈분실(104)에서 악취를 배출하는 환기팬(105)에 구성되는 배기박스(106)로 낙수되고 환기팬(105)으로 비산되는 공기에 의해 비산과 건조하면서 배출공기에서 악취를 최소화시키는 악취저감 효과를 도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odorous air collected in the
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예로 제시된 도 2는 필터케이스(30)와 도 9에서 도시된 절곡형 장착프레임(30-1) 및 각재형 장착프레임(30-2)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장착수단을 일정한 거리 간격을 두고 구성하고 이들 사이로 폭이 넓은 필터(40)로 구성함으로써 폭이 넓은 필터(40)에 의한 흡착효과를 증대할 수 있고 또한 견고한 장착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2 presented as another embodi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본 발명의 설명에서 제시된 분할은 도면표기와 함께 돈사 내 환기와 악취 모집 및 배기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분할 즉, 오염공기모집박스(20)를 흡착실(21)과, 좌우 양측 배기실(22) 및 배기실(22)과 일체로 악취모집실(23)로 분할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리한 것이며 이와 달리 흡착실(21)과, 좌우 양측 배기실(22) 또는 흡착실(21)과 악취모집실(23) 등으로 악취 모집과 배기 작용에 따라 선택하여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vision presen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ariously divided, that is, the contaminated
돈사(100)에서 사육되는 돼지는 우리나라의 특징적 계절에 따른 온도차에 적합한 온도와 환기량을 조절하여야 하며 또한 오염공기의 배출과 외부 신선한 공기의 입기를 돈사의 크기, 위치 및 계절 등에 따른 환기량과 환기조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겨울철에 차가운 공기가 많이 입기되면 돈방이 추워 기침, 설사를 하고 호흡기병에 쉽게 걸려 대량 폐사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또한 돈사 난방은 경제적인 과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최소의 난방과 돼지에서 발생되는 체열 발생량으로 그 적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Pigs reared in the pig house (100) must adjust the temperature and ventilation amount suitable for the temperatur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seasons of Korea, and also the ventilation amount and ventilation conditions according to the size, location and season of the pig house to discharge contaminated air and receive fresh air from outside. If a lot of cold air is supplied in winter to meet the temperature, the pen is cold and suffers from coughing and diarrhea, and easily suffers from respiratory diseases, resulting in mass deaths.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appropriate temperature with the amount of body heat generated from the body.
비육돈사일 경우 대략 18~20℃로 유지하기 위하여 차가운 외부공기의 입기를 최소화시켜 돼지에게 필요한 최소의 산소 요구량만 입배기하여 온도손실을 방지하고 있다.In the case of a fattening pig house, the intake of cold outside air is minimized to maintain the temperature at about 18 ~ 20 ℃, and only the minimum oxygen demand required for pigs is exhausted to prevent temperature loss.
봄과 가을철에는 돼지가 성장하는데 가장 적합한 계절로 춥지도 덥지도 않은 계절이다. 단, 너무 과다한 입기량은 돼지에게 스쳐 지나가는 적정풍속 015~03 m/sec를 초과할 때 스트레스를 받고 약간의 호흡기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적정한 입기와 배기를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무더운 한 여름철에는 최대 환기로는 돈사 및 돈방 내부가 덥지 않도록 함으로 돼지가 식욕을 잃지 않고 사료 섭취량이 줄여 성장을 하지 못하는 폐단을 방지하여야 한다.Spring and autumn are the most suitable seasons for growing pigs, which are neither cold nor hot. However, excessive air intake can cause stress and bring a little breathing when the appropriate wind speed passing by the pig exceeds 015 ~ 03 m/sec, so it is desirable to have proper intake and exhaust. To prevent pigs from losing appetite and reducing feed intake to prevent growth by preventing pigs and pigs from getting hot inside the pen.
이상의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선행 등록 특허 등에서 돈사관리에 대한 환기량 계산과 환기구성 및 그 시스템 등을 제공한 바 있고 본 발명은 위와 같은 환기, 온도를 쉽게 조절하고 이용할 수 있음과 함께 발생된 악취배출은 최소로 저감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order to satisfy the above conditions, the present inventor has provided ventilation amount calculation, ventilation configuration and system for pig house management in prior registered patents, etc.,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ontrol and use the ventilation and temperature as described above, Odor emissions are to be reduced to a minimum.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돈사(100) 내 악취 오염공기의 배출량을 조절하고 있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discharge of odor-contaminated air in the
즉, 오염공기모집박스(20)를 분할한 흡착실(21)과 악취모집실(23)의 상부는 돈사(100) 내 오염공기를 상시 입기시켜 돈사(100) 내 오염공기의 배기와 온도유지를 유지하도록 개방창(25)으로 일정량이 상시 입기와 배기를 이루며, 입기 배기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흡착실(21)과 좌우측 배기실(22), 악취모집실(23)에는 오염공기모집박스(20) 저면판(24)에 경첩(26)으로 여닫이되는 개폐문(27)을 필요에 따라 개방시켜 돈사(100) 내 오염공기가 오염공기모집박스(20) 내로 입기 및 배기량을 증감 조절하므로써 돈사(100) 내 온도 저하방지 및 오염공기의 배기로 형성되는 음압으로 외기 신선한 공기의 입기량을 조절 돈사(100) 내의 온도와 신선도를 조절하게 된다.That is, the upper part of the
이와 같이 오염공기 입기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오염공기모집박스(20)를 분할한 흡착실(21)과 악취모집실(23)의 상부 개방창(25)에 여닫이되는 개폐문(27)을 도 6에서와 같이 선택하여 구성함으로 입기 위치와 입기량을 제어할 수 있는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있다.As described above, in FIG. An embodiment that can control the dressing position and the dressing amount by selecting and configuring as described above is also 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상시개방된 개방창(25)과 여닫이되는 개폐문(27)은 오염공기모집박스(20)에 돈사(100) 내 오염공기를 상시 또는 입기량 조절에 따라 제어하기 위한 개폐문(27) 또는 자동개폐형 슬랫창(29)의 목적에 따라 이러한 작용효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상기에서 설명된 수평방향으로 구성과 함께 수직방향으로 개방창(25)과 개폐문(27) 또는 자동개폐형 슬랫창(29)으로 구성되는 변형된 예로 구성할 수 있고 이러한 구성에 따라 개방창(25)은 돈사(100) 내 오염공기를 최소 량을 상시 입기하고 개폐문(27)은 필요에 따라 입기량을 조절할 수 있고 이러한 변형구성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해 단순변경으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있다 할 것이다.The normally
상기 개폐문(27)은 오염공기모집박스(20) 저면판(24)에 경첩(26)으로 여닫이되는 개폐문(27) 사이로 위치된 필터케이스(30) 또는 도 9에서 도시된 절곡형 장착프레임(30-1) 및 각재형 장착프레임(30-2)의 프레임을 관통하고 내측에서 스프링(13)으로 탄력설치시켜 절곡손잡이(10)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걸림쇠(11)가 양측 개폐문(27)을 제어하므로 걸림쇠(11)에 의해 개폐문(27)을 여닫아 조절한다.The opening/closing
또한 미도시된 개폐문(27) 열림 정도를 제어하기 위한 개폐문(27) 제어 와이어 등이 더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ntrol wire for the opening and closin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돈사(100) 내의 오염공기를 오염공기모집박스(20)로 모집하고 액비분사로 흡착한 후 배출함과 함께 오염공기의 입기 배기량을 개폐문(27)으로 조절하도록 하며 또한 배기되는 오염공기를 액비에 의한 흡착으로 보다 쉽고 많은 량의 악취를 흡착하도록 함으로써 악취를 저감시 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the polluted air in the
또한 흡착실(21)과 양측의 배기실(22) 및 악취모집실(23)에 구성되는 개방창(25)과 개폐문(27)을 배기량에 따라 조절되는 자동개폐형 슬랫창(29)이 구성되어 자연 개폐를 이룰 수 있음도 당연하고 또는 상기 개방창(25)에 필요에 따란 개페문(27)을 선택적으로 구성시켜 입기량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
본 발명의 돈사의 악취저감시스템은 도면 상 2개의 악취배기팬(103)을 양측으로 수용되는 크기와 구성으로 하는 하나의 악취저감시스템으로 설명되었으나, 대형 돈사(100)에서 더 많은 악취배기팬(103)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각각의 악취배기팬(103)에 적용하여 구성되고, 또는 악취배기팬(103) 간격이 좁은 경우 연속하여 악취저감시스템을 연결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악취배기팬(103)의 용량에 따라 오염공기모집박스(20)의 크기와 각각의 분할실 크기가 변경되며, 돈사(100), 돼지의 사육수 등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의한 다양한 변경를 가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The pig house odor redu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one odor reduction system having a size and configuration in which two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외벽(102)에 장착하기 위한 는 "" 형태의 장착수단과, 장착수단에 구성되는 오염공기모집박스(20)로 이루어지는 오염공기모집수단, 그리고 오염공기모집박스(20)를 흡착실(21)과, 악취배기팬(103)이 수용되는 좌우 양측 배기실(22) 및 악취모집실(23)로 분할되는 분할수단 및 액비탱크로부터 연결되는 액비공급관(60)을 통해 액비분사노즐(61)로 액비를 분사한 액비분사수단의 액비분사노즐(61)을 필요에 따른 선택적으로 구성함을 중요 목적으로 함과 함께 오염공기모집제어수단의 개폐문(27)을 제어하기 위한 개폐문제어수단, 그리고 액비를 공급과 분사하는 액비분사수단과 배출 오염공기를 건조와 비산으로 악취를 저감시키는 액비비산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돈사 악취 저감시스템으로 하는 악취제거 흡착탑 포집박스를 제공함을 목적의 기술사상에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for mounting o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오염공기에서 악취흡착효과를 증대할 수 있고 오염공기의 배출량의 조절로 돈사 내의 온도유지가 쉽고 특히 악취를 흡착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악취로 인한 민원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effect of adsorbing odors in contaminated air, and it is easy to maintain the temperature in the pig house by controlling the discharge amount of contaminated air,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absorb and remove odors, thereby minimizing civil complaints due to odors.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부재의 변경, 일부 구성의 삭제 등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삭제 등으로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권리범위 내에 있게 된다.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relate to preferred embodiments and do not cover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invention,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filing, change of member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deletion of some configurations and the lik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nyon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ubject matter claimed in the claims can be practic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deletions, etc. Of course,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 절곡손잡이 11 : 걸림쇠 12 : 연동봉
13 : 스프링 20 : 오염공기모집박스 21 : 흡착실
22 : 배기실 23 : 악취모집실 24 : 저면판
25 : 개방창 26 : 경첩 27 : 개폐문
27-1 : 차단문 28 : 상면판 28-1 : 양측외판
29 : 슬랫창 30 : 필터케이스 30-1 : 절곡형 장착프레임
30-2 : 각재형 장착프레임 31 : 돌출벽 32 : 수평절곡부
33 : 배출공 34 : 수직절곡부 35 : 통공
40 : 필터 50 : 배출통로 60 : 액비공급관
61 : 액비분사노즐 70 : 악취배출관 100 : 돈사
101 : 돈방 102 : 외벽 103 : 악취배기팬
104 : 돈분실 105 : 환기팬 106 : 배기박스10: bending handle 11: latch 12: interlocking bar
13: spring 20: polluted air collection box 21: adsorption chamber
22: exhaust room 23: odor collection room 24: bottom plate
25: open window 26: hinge 27: opening and closing door
27-1: blocking door 28: top plate 28-1: both side outer plates
29: slat window 30: filter case 30-1: bending type mounting frame
30-2: angle type mounting frame 31: protruding wall 32: horizontal bending part
33: discharge hole 34: vertical bending portion 35: through hole
40: filter 50: discharge passage 60: liquid fertilizer supply pipe
61: liquid fertilizer injection nozzle 70: odor discharge pipe 100: pig house
101: money room 102: outer wall 103: odor exhaust fan
104: money loss 105: ventilation fan 106: exhaust box
Claims (10)
상기 돈사(100) 외벽(102)에 악취를 흡착한 흡착수가 배출되는 배출통로(50)가 형성되게 절곡된 ""형태의 장착수단과,
상기 장착수단의 상하, 좌우에 판재를 결합시켜 ""형태의 기다란 오염공기모집박스(20)를 이루는 오염공기모집수단,
액비탱크로부터 액비를 공급받은 액비공급관(60)을 통해 오염공기모집박스(20)에 구성된 액비분사노즐(61)로 액비를 분사한 액비분사수단,
그리고 상기 오염공기모집박스(20)를 흡착실(21)과, 악취배기팬(103)이 수용되는 좌우 양측 배기실(22) 및 악취모집실(23)로 분할되는 분할수단과,
상기 오염공기모집박스(20)의 흡착실(21)과 악취모집실(23) 전면부를 분할시켜 상부는 상시 개방된 개방창(25)과 하부는 오염공기모집박스(20) 저면판(24)에 경첩(26)으로 여닫이되는 개폐문(27)으로 형성되는 오염공기모집제어수단, 및
상기 오염공기모집제어수단의 개폐문(27)을 제어하기 위한 개폐문제어수단 그리고 액비를 공급과 분사하는 액비분사수단과 배출 오염공기를 건조와 비산으로 악취를 저감시키는 액비비산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오염공기모집제어수단으로 분리된 좌우 양측 배기실(22)의 전면부는 완전 차단되고 흡착실(21)과 악취모집실(23) 상부는 상시 오염공기가 유입되는 개방창(25) 하부는 개폐문(27), 또는 개방창(25)에 개폐문(27)을 선택적으로 구성시켜 오염공기의 입기와 배기를 조절하는 오염공기모집제어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오염공기모집박스(20)를 구성하는 저면판(24)는 악취 흡착수가 배출통로(50)로 이동할 수 있도록 외벽(102)으로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액비분사수단으로 악취를 흡착한 악취흡착수는 비탈된 저면판(24)으로 낙수되어 악취배출관(70)을 통해 돈방(101) 하부 돈분실(104) 악취를 배출하는 환기팬(105)의 배기박스(106)로 낙수시켜 환기팬(105)으로 건조와 비산시켜 악취를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돈사 악취제거 흡착탑 포집박스.
A plurality of pens 101 divided so that pigs live in the pig pen 100, and an odor exhaust fan 103 for exhausting odors and contaminated air generated on the outer wall 102 are configur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lower part of the pig pen 101 In the odor removal adsorption tower collection box, which is an odor reduction system for pigs that discharges contaminated air by configuring a ventilation fan 105 on the outer wall 102 of the pig loss room 104,
The outer wall 102 of the pig house 100 is bent to form a discharge passage 50 through which the adsorbed water adsorbed the odor is discharged. "The mounting means of the form,
By combining the plate material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of the mounting means " Contaminated air collecting means constituting the long polluted air collecting box 20 in the form of ",
Liquid manure spraying means for spraying liquid manure through the liquid manure supply pipe 60 receiving the liquid manure from the liquid manure tank to the liquid manure spray nozzle 61 configured in the contaminated air collection box 20;
And dividing means for dividing the polluted air collection box 20 into an adsorption chamber 21, left and right exhaust chambers 22 in which the odor exhaust fan 103 is accommodated, and an odor collection chamber 23;
The front part of the adsorption chamber 21 and the odor collecting chamber 23 of the polluted air collecting box 20 is divided so that the upper part has an open window 25 that is always open and the lower part has the polluted air collecting box 20 and the bottom plate 24 Contaminated air collection control means formed of an opening and closing door 27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a hinge 26, and
It consists of an opening and closing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7 of the polluted air collection control means, a liquid manure spraying means for supplying and spraying liquid manure, and a liquid manure scattering means for reducing odor by drying and scattering the discharged contaminated air,
The front part of the left and right exhaust chambers 22 separated by the polluted air collecting control means is completely blocked, and the upper part of the adsorption chamber 21 and the odor collecting chamber 23 is the opening window 25 through which polluted air is always introduced, and the lower part is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7), or a polluted air collection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intake and exhaust of polluted air by selectively config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7 in the open window 25,
The bottom plate 24 constituting the polluted air collecting box 20 is composed of an inclined surface gradually lowered to the outer wall 102 so that the odor adsorbed water can move to the discharge passage 50,
The odor-adsorbed water adsorbed by the liquid manure spraying means falls down onto the sloped bottom plate 24 and exhausts the ventilation fan 105 through the odor discharge pipe 70 to discharge odors from the waste room 104 in the lower part of the pig room 101. A pig barn odor removal adsorption tower collection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odor is reduced by falling water into the box 106 and drying and scattering it with the ventilation fan 105.
상기 장착수단으로 양측으로 돌출벽(31)이 절곡되어 내부로 필터(40)가 수용되고 필터(40)로부터 낙수되는 악취 흡착수를 배출시키는 배출공(33)을 뚫은 상향 절곡된 수직절곡부(34)와 수평절곡부(32) 하부로 악취를 흡착한 흡착수가 배출되는 배출통로(50)가 형성되고 외벽(102)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브라켓(36)이 구성되는 필터케이스(30)로 이루어지는 장착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돈사 악취제거 흡착탑 포집박스.
According to claim 1,
As the mounting means, the protruding walls 31 are bent on both sides to accommodate the filter 40 therein, and the vertically bent portion 34 is bent upward through a discharge hole 33 for discharging the odor adsorbed water dripping from the filter 40. ) and a filter case 30 having a discharge passage 50 through which adsorbed water adsorbed on odors is discharged to the bottom of the horizontal bent part 32 and a fastening bracket 36 for fixing to the outer wall 102.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means Pig house odor removal adsorption tower collection box.
상기 장착수단에 상면판(28)과 저면판(24) 그리고 양측외판(28-1)을 체결시켜 구성되는 상기 오염공기모집박스(20)의 전면을 상하로 분리하여 상부 개방창(25)과 하부에 개폐문(27)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공기모집수단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돈사 악취제거 흡착탑 포집박스.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surface of the polluted air collecting box 20, which is constructed by fastening the top plate 28, the bottom plate 24, and both side outer plates 28-1 to the mounting means, is separated up and down, and the upper open window 25 and Pig barn odor removal adsorption tower collection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luted air collecting means is configured,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27) is configured at the bottom.
상기 오염공기모집박스(20) 내로 입기되는 오염공기에 액비 분사로 악취를 흡착시키기 위한 흡착실(21)과,
상기 흡착실(21)로부터 필터(40)를 통과하면서 저감된 배출공기 및 돈사(100) 내에서 입기되는 오염공기를 배출하는 악취배기팬(103)이 위치되는 좌우 양측 배기실(22)과, 상기 배기실(22) 외측에 악취모집실(23)로 분할되는 분할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돈사 악취제거 흡착탑 포집박스.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lluted air collecting box (20)
An adsorption chamber 21 for adsorbing odors by spraying liquid fertilizer into the contaminated air introduced into the contaminated air collecting box 20;
Exhaust chambers 22 on both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in which odor exhaust fans 103 are located to discharge the exhaust air reduced from the adsorption chamber 21 through the filter 40 and the polluted air introduced into the pig house 100; Pig barn odor removal adsorption tower collection box,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dividing means that is divided into an odor collection chamber (23) outside the exhaust chamber (22).
상기 오염공기모집박스(20) 전면부로 양측외판(28-1)과 필터케이스(30) 하부로 뚫린 통공(35)으로 액비공급관(60)이 관통되고 흡착실(21) 내 또는 좌우 양측 배기실(22) 내에서 액비를 분사하기 위한 액비분사노즐(61)이 선택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비분사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돈사 악취제거 흡착탑 포집박스.
According to claim 1,
The liquid manure supply pipe 60 penetrates the front side of the contaminated air collection box 20 through the through hole 35 opened in the lower side of the outer plate 28-1 and the filter case 30, and the inside of the adsorption chamber 21 or the left and right exhaust chamber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liquid fertilizer spray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quid fertilizer injection nozzle 61 for spraying liquid fertilizer in (22) is selectively configured Pig house odor removal adsorption tower collection box.
상기 개폐문제어수단으로 절곡 손잡이(10)와 양측으로 수평된 걸림쇠(11)를 구성한 연동봉(12)이 양측 개폐문(27) 틈 사이에서 장착수단을 관통하고 내측에서 스프링(13)으로 탄력 설치시켜 절곡 손잡이(10)의 조작에 따라 회전하는 걸림쇠(11)가 양측 개폐문(27)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개폐문제어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돈사 악취제거 흡착탑 포집박스.
According to claim 1,
As the opening/closing problem control means, the interlocking bar 12 consisting of the bending handle 10 and the latch 11 horizontally on both sides penetrates the mounting means between the gaps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27 on both sides and is elastically installed with a spring 13 from the inside. A pig house odor removal adsorption tower collection box,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n opening and closing problem control mean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27 on both sides of the latch 11 rotat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ending handle 10.
상기 돈사(100) 외벽(102)에 장착되는 기다란 오염공기모집박스(20)의 장착수단으로 필터(40)가 결합되는 필터케이스(30), 상향 절곡된 수직절곡부(34)와 수평절곡부(32) 하부로 악취를 흡착한 흡착수가 배출되는 배출통로(50)가 형성되는 절곡형 장착프레임(30-1) 및 각재를 절곡한 하부 프레임 끝부분에 악취흡착수 배출통로(50)를 구성한 각재형 장착프레임(30-2)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오염공기모집박스(20)를 장착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돈사 악취제거 흡착탑 포집박스.
According to claim 1,
A filter case 30 to which a filter 40 is coupled as a mounting means of the long polluted air collection box 20 mounted on the outer wall 102 of the pig house 100, an upwardly bent vertical bending part 34 and a horizontal bending part (32) A bent mounting frame 30-1 in which a discharge passage 50 through which the adsorbed water adsorbed the odor is discharged is formed, and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odor adsorption water discharge passage 50 at the end of the lower frame bent by the angle member. A pig barn odor removal adsorption tower collection box, characterized by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olluted air collection box 20 is mounted on any one selected from the ash mold mounting frame 30-2.
상기 오염공기모집박스(20)를 돈사(100) 외벽(102)에 장착하는 장착수단은 "" 또는 "" 형태의 브라켓 또는 오염공기모집박스(100) 내측 또는 외측으로 체결되는 각재 프레임(71)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돈사 악취제거 흡착탑 포집박스.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means for mounting the polluted air collection box 20 on the outer wall 102 of the pig house 100 is " " or " A pig barn odor removal adsorption tower collection box,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bracket in the form of " or a rectangular frame 71 fastened to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polluted air collection box 10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7645A KR102526882B1 (en) | 2020-11-23 | 2020-11-23 | Odor removal adsorption tower collection box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7645A KR102526882B1 (en) | 2020-11-23 | 2020-11-23 | Odor removal adsorption tower collection box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0755A KR20220070755A (en) | 2022-05-31 |
KR102526882B1 true KR102526882B1 (en) | 2023-04-28 |
Family
ID=81779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57645A KR102526882B1 (en) | 2020-11-23 | 2020-11-23 | Odor removal adsorption tower collection box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688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53374B1 (en) * | 2023-09-05 | 2024-04-02 | 주식회사 근옥 | Poultry house of ventilating system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8073Y1 (en) | 2007-02-02 | 2008-01-21 | 주식회사 포세 | Supply and exhausting apparatus |
KR100901756B1 (en) * | 2007-09-10 | 2009-06-10 | 주식회사 유로하우징 | A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bad smell of a pigpen |
KR101494696B1 (en) * | 2014-09-01 | 2015-02-24 | 주식회사 근옥 | Apparatus for removing dust from exhaust gas |
KR101938861B1 (en) | 2018-11-01 | 2019-04-11 | 주식회사 근옥 | Apparatus for removing dust from exhaust gas |
KR101982488B1 (en) | 2017-08-16 | 2019-08-28 | 주식회사 유로하우징 | Microbial liquid circulation Pig farm system |
KR102069333B1 (en) | 2016-09-19 | 2020-01-21 | 주식회사 유로하우징 | Odor using odor materials by aerobic microorganisms useful to feed swine and remove the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86447B1 (en) * | 2007-06-19 | 2009-03-04 | 신일식 | The method of ventilation and system to be used a pigpen |
KR100980735B1 (en) | 2008-03-12 | 2010-09-07 | 신일식 | A ventilative system of a pigpen |
KR20100011217U (en) * | 2009-05-08 | 2010-11-17 | 이시용 | Exclusion device for clearing dust |
KR101112079B1 (en) * | 2009-10-08 | 2012-02-23 | 김태환 | The device for deodorizing polluted air of fermentation room and stable using scrubber |
KR101201440B1 (en) * | 2009-12-16 | 2012-11-14 | 대한민국 | Apparatus for delete of particulate matter and smell in licestock facility |
KR20130126242A (en) * | 2012-05-11 | 2013-11-20 | 최왕락 | Ventilation system for offensive odor treatment |
KR101787614B1 (en) * | 2015-09-23 | 2017-10-19 | 주식회사 근옥 | Bad smell reduction apparatus of liquefied fertilizer |
KR20200104609A (en) | 2019-02-27 | 2020-09-04 | 주식회사 유로하우징 | Duct member for ventilation of pigpen |
-
2020
- 2020-11-23 KR KR1020200157645A patent/KR10252688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8073Y1 (en) | 2007-02-02 | 2008-01-21 | 주식회사 포세 | Supply and exhausting apparatus |
KR100901756B1 (en) * | 2007-09-10 | 2009-06-10 | 주식회사 유로하우징 | A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bad smell of a pigpen |
KR101494696B1 (en) * | 2014-09-01 | 2015-02-24 | 주식회사 근옥 | Apparatus for removing dust from exhaust gas |
KR102069333B1 (en) | 2016-09-19 | 2020-01-21 | 주식회사 유로하우징 | Odor using odor materials by aerobic microorganisms useful to feed swine and remove the system |
KR101982488B1 (en) | 2017-08-16 | 2019-08-28 | 주식회사 유로하우징 | Microbial liquid circulation Pig farm system |
KR101938861B1 (en) | 2018-11-01 | 2019-04-11 | 주식회사 근옥 | Apparatus for removing dust from exhaust ga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53374B1 (en) * | 2023-09-05 | 2024-04-02 | 주식회사 근옥 | Poultry house of ventilating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0755A (en) | 2022-05-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898697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tion of ammonia, carbon dioxide and pathogens in chicken houses | |
KR100952956B1 (en) | Apparatus for stable ventilation and air purification system with the same | |
CN205357675U (en) | Reduce interior dust particle's of house meat chicken house | |
KR101137965B1 (en) | A ventilative system of a pigpen | |
KR100795362B1 (en) | Structure for cattle shed | |
CN205756230U (en) | A kind of closed ventilation breeding house | |
KR101118280B1 (en) | Filter cleaning apparatus of stable ventil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N105794681A (en) | Sealed type ventilation feeding house | |
KR102526882B1 (en) | Odor removal adsorption tower collection box | |
KR101248110B1 (en) | Circulatory cleaning system for redusing oder pigpen with liquefied fertilizer | |
KR100949132B1 (en) | A bad smell discharging system of a barnyard manure factory | |
KR101978427B1 (en) | Control facilities of odor and particulate matter emissions from livestock facilities | |
CN104920234A (en) | Pig house capable of reducing pollutant discharge | |
KR101157517B1 (en) | A system of a barnyard manure factory having a close type fermenter | |
KR20230000535A (en) | System for reducing offensive odor of livestock farm | |
KR100709605B1 (en) | System for cattle shed with air conditioning and circulation | |
KR102030177B1 (en) | Deodorizing device for roof installation of livestock breeding ground | |
CN205431425U (en) | Colony house ventilation system with ecological air circumstance | |
KR101884323B1 (en) | A ventilative device of a pig farm | |
EP4098106A1 (en) | A method for mitigating airborne pathogens from a livestock house | |
CN105766660A (en) | Breeding house ventilation system with ecological air environment | |
KR100729180B1 (en) | Gas ventilation device and system for cattle shed with air conditioning and circulation using the same | |
US12144313B2 (en) | Method for mitigating airborne pathogens from a livestock house | |
US20220381458A1 (en) | Method for mitigating airborne pathogens from a livestock house | |
EP4098107A1 (en) | Livestock house air filtration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