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6190B1 - 고분자 전열막을 사용하는 대향류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고분자 전열막을 사용하는 대향류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6190B1
KR102526190B1 KR1020210136635A KR20210136635A KR102526190B1 KR 102526190 B1 KR102526190 B1 KR 102526190B1 KR 1020210136635 A KR1020210136635 A KR 1020210136635A KR 20210136635 A KR20210136635 A KR 20210136635A KR 102526190 B1 KR102526190 B1 KR 102526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ansfer
frame
transfer film
flat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6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3284A (ko
Inventor
변호원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누리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누리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누리공조
Priority to KR1020210136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190B1/ko
Publication of KR20230053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3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2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zig-zag bend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3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conduits for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also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6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plastics material
    • F28F21/065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plastics material the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 F28F3/04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 F28F3/04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the deformations being pontual, e.g. dimp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8Elements constructed for building-up into stacks, e.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for cleaning
    • F28F3/083Elements constructed for building-up into stacks, e.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for cleanin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제1전열막, 제2전열막,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을 포함한다. 제1전열막은 음양각 형태의 제1음양각부와 평면 형태의 제1평면부가 교대로 형성된다. 제2전열막은 음양각 형태의 제2음양각부와 평면 형태의 제2평면부가 교대로 형성된다. 제1프레임은 상기 제1전열막의 상기 제1평면부가 결합되어 지지되는 제1지지부와,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1관통부가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제1전열막이 결합된다. 제2프레임은 상기 제2전열막의 상기 제2평면부가 결합되어 지지되는 제2지지부와,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2관통부가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제2전열막이 결합된다.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은 교대로 적층되고, 상기 제1음양각부는 상기 제1프레임의 상기 제1관통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프레임의 상기 제2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2음양각부는 상기 제2프레임의 상기 제2관통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프레임의 상기 제1지지부에 의해 지지된다.

Description

고분자 전열막을 사용하는 대향류 열교환기{HEAT EXCHANGER MADE OF POLYMER MEMBRANE}
본 발명은 열교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열막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여 전열막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는 고온 유체와 저온 유체 사이에서 온도가 높은 유체로부터 전열벽을 통해 온도가 낮은 유체로 열을 전달하는 장치로서, 건물, 차량, 냉방기, 난방기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열교환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중 플레이트형 열교환기는 적층된 복수의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플레이트형 열교환기에서는 인접한 2개의 플레이트들이 서로 대면하여 결합되며, 각각의 플레이트 사이에는 복수의 채널이 형성되는데, 복수의 채널은 서로 다른 유체가 통과하도록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플레이트가 적층된 방향을 따라 제1유체가 통과하는 제1유로와 제2유체가 통과하는 제2유로가 서로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제1유체 및 제2유체는 서로 온도가 다르며, 각각의 유로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에 플레이트형 열교환기는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 즉, 유로 높이를 낮추거나, 유로 패널의 사용 밀도를 높이기 위해 플레이트 대신에 얇은 필름을 적용하여 유로 패널이 주름(Corrugation) 형태로 제조된다.
이러한 얇은 필름을 적용하여 유로를 형성하는 것은 산과 골의 유로 현상이 유지되기 어려워 실제 가공된 형상이 유지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얇은 필름을 이용해 희망하는 유료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필름의 두께가 충분히 두꺼워야 하나 그렇게 되면 열교환 성능이 떨어지고, 필름의 두께가 얇으면 필름이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유로 사이의 간격을 유지되지 못해 열교환기의 차압 밸런스가 맞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223355호(2021.02.26 등록, 발명의 명칭 : 폴리머 시트를 이용한 대향류형 전열교환기)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전열막 및 제2전열막가 지지되는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을 포함하여 제1전열막 및 제2전열막의 처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열교환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열교환기는, 음양각 형태의 제1음양각부와 평면 형태의 제1평면부가 교대로 형성되는 제1전열막; 음양각 형태의 제2음양각부와 평면 형태의 제2평면부가 교대로 형성되는 제2전열막; 상기 제1전열막의 상기 제1평면부가 결합되어 지지되는 제1지지부와,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1관통부가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제1전열막이 결합되는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전열막의 상기 제2평면부가 결합되어 지지되는 제2지지부와,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2관통부가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제2전열막이 결합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은 교대로 적층되고, 상기 제1음양각부는 상기 제1프레임의 상기 제1관통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프레임의 상기 제2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2음양각부는 상기 제2프레임의 상기 제2관통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프레임의 상기 제1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제1음양각부는 제1음각부와 상기 제1음각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2개의 제1양각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2음양각부는 제2음각부와 상기 제2음각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2개의 제2양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제1음각부는 상기 제1평면부가 형성된 위치보다 더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음각부는 상기 제2평면부가 형성된 위치보다 더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제2평면부는 상기 제1음각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1음각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평면부는 상기 제2음각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2음각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제2평면부와 접촉되는 제1음각부의 접촉 부분은 평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평면부와 접촉되는 제2음각부의 접촉 부분은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제1전열막의 제1음양각부, 제1평면부 및 상기 제1프레임의 제1지지부, 제1관통부는, 유체의 유동 방향을 따라 웨이브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전열막의 제2음양각부, 제2평면부 및 상기 제2프레임의 제2지지부, 제2관통부는, 유체의 유동 방향을 따라 웨이브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제1전열막 및 상기 제2전열막은 표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열교환기에 따르면, 제1전열막과 제2전열막은 음각과 양각이 교대로 형성되는 음양각 형태 및 평면 형태가 교대로 형성되고, 제1평면부와 제2평면부는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에 각각 결합되어 지지됨으로써, 제1음양각부 및 제2음양각부가 처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음양각 형상이 유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교환기에 따르면, 제1전열막은 제1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제2프레임에 의해 또 한번 지지되며, 제2전열막은 제2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제1프레임에 의해 또 한번 지지되어, 제1전열막 및 제2전열막은 처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제1전열막과 제2전열막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여 열교환기의 차압 밸런스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교환기에 따르면, 제1전열막의 제1음양각부, 제1평면부 및 제1프레임의 제1지지부, 제1관통부는, 제1유체 및 제2유체의 유동 방향을 따라 웨이브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유체 및 제2유체의 이동 경로를 증가시켜 제1유체 및 제2유체가 열교환되는 시간을 늘려줄 수 있어, 더 효과적으로 제1유체 및 제2유체가 열교환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교환기에 따르면, 제1전열막 및 제2전열막은 표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함으로써, 제1유체 및 제2유체의 접촉 면적을 넓힐 수 있어, 더 효과적으로 제1유체 및 제2유체가 열교환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열교환기의 간략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열교환기의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이 적층된 상태에서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열교환기의 제1음각부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열교환기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는 도 1의 열교환기의 제1전열막 및 제2전열막의 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열교환기의 간략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열교환기의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이 적층된 상태에서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열교환기의 제1음각부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열교환기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는 도 1의 열교환기의 제1전열막 및 제2전열막의 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100)는 제1전열막(110), 제2전열막(140), 제1프레임(170), 제2프레임(180)을 포함한다.
제1전열막(110)은 음각과 양각이 교대로 형성되는 음양각 형태의 제1음양각부(120)와 평면 형태의 제1평면부(130)가 교대로 형성된다. 제1음양각부(120)는 제1음각부(121)와 제1음각부(12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2개의 제1양각부(122)로 형성될 수 있고, 제1음각부(121)는 제1평면부(130)가 형성된 위치보다 더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전열막(110)은 제1평면부(130), 제1평면부(130)가 형성된 위치보다 더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양각부(122), 제1평면부(130)가 형성된 위치보다 더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제1음각부(121), 제1평면부(130)가 형성된 위치보다 더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양각부(122)의 순서로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전열막(140)은 음각과 양각이 교대로 형성되는 음양각 형태의 제2음양각부(150)와 평면 형태의 제2평면부(160)가 교대로 형성된다. 제2음양각부(150)는 제2음각부(151)와 제2음각부(15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2개의 제2양각부(152)로 형성될 수 있고, 제2음각부(151)는 제2평면부(160)가 형성된 위치보다 더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전열막(140)은 제2평면부(160), 제2평면부(160)가 형성된 위치보다 더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2양각부(152), 제2평면부(160)가 형성된 위치보다 더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제2음각부(151), 제2평면부(160)가 형성된 위치보다 더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2양각부(152)의 순서로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전열막(110) 및 제2전열막(140)은 폴리머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열교환기의 종류의 따라 소재가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만 교환가능한 현열교환기의 경우, 제1전열막(110) 및 제2전열막(140)은 폴리스틸렌(PS)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온도 및 수분 교환이 가능한 전열교환기의 경우, 제1전열막(110) 및 제2전열막(140)은 폴리아미드(PA)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프레임(170)은 평면 형태의 제1지지부(171)와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1관통부(172)가 교대로 형성되고, 제1전열막(110)과 결합된다. 제1관통부(172)는 제1음양각부(120)가 관통되고, 제1지지부(171)는 제1전열막(110)의 제1평면부(130)가 결합되어 제1전열막(110)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제1음양각부(120)가 제1관통부(172)에 관통되어, 제1평면부(130)가 형성된 위치보다 더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제1음각부(121)는 제1지지부(171)보다 더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1평면부(130)가 형성된 위치보다 더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양각부(122)는 제1지지부(171)보다 더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전열막(110)의 제1평면부(130)는 제1지지부(171)와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고, 이때, 제1평면부(130)와 제1지지부(171)는 열융착 또는 초음파융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프레임(180)은 평면 형태의 제2지지부(181)와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2관통부(182)가 교대로 형성되고, 제2전열막(140)과 결합된다. 제2관통부(182)는 제2음양각부(150)가 관통되고, 제2지지부(181)는 제2전열막(140)의 제2평면부(160)가 결합되어 제2전열막(140)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제2음양각부(150)가 제2관통부(182)에 관통되어, 제2평면부(160)가 형성된 위치보다 더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제2음각부(151)는 제2지지부(181)보다 더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평면부(160)가 형성된 위치보다 더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2양각부(152)는 제2지지부(181)보다 더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전열막(140)의 제2평면부(160)는 제2지지부(181)와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고, 이때, 제2평면부(160)와 제2지지부(181)는 열융착 또는 초음파융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1전열막(110)과 제2전열막(140)은 열 및 수분의 교환이 이루어저야하므로 두께가 충분히 얇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때, 제1전열막(110)과 제2전열막(140)의 두께는 충분히 얇아야 하나, 그렇게 되면 제1전열막(110)과 제2전열막(140)의 제1음양각부(120) 및 제2음양각부(150)는 음양각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처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전열막(110)과 제2전열막(140)은 음각과 양각이 교대로 형성되는 음양각 형태 및 평면 형태가 교대로 형성되고, 제1평면부(130)와 제2평면부(160)는 제1지지부(171) 및 제2지지부(181)에 각각 결합되어 지지됨으로써, 제1음양각부(120) 및 제2음양각부(150)가 처지지 않고 음양각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프레임(170) 및 제2프레임(180)은 서로 교대로 적층되어, 이를 통해, 제2평면부(160)는 제1음각부(121)와 접촉하여 제1음각부(121)를 지지하고, 제1평면부(130)는 제2음각부(151)와 접촉하여 제2음각부(151)를 지지할 수 있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제1전열막(110)은 제1평면부(130)가 지지되는 제1프레임(170)의 제1지지부(171)와 제1음각부(121)가 지지되는 제2프레임(180)의 제2지지부(181)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제2전열막(140)은 제2평면부(160)가 지지되는 제2프레임(180)의 제2지지부(181)와 제2음각부(151)가 지지되는 제1프레임(170)의 제1지지부(17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제1프레임(170) 및 제2프레임(180)은 서로 교대로 적층되어, 이를 통해, 각각의 사이에 제1유체가 이동하는 제1유로(10)와, 제2유체가 이동하는 제2유로(20)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프레임(170) 및 제2프레임(180)이 서로 교대로 적층된 상태에서, 홀수 층은 제1유로(10)를 형성하고, 짝수 층은 제2유로(2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1유로(10) 및 제2유로(20)에서 이동하는 제1유체 및 제2유체는 서로 열교환될 수 있다.
이때, 두께가 얇은 제1전열막(110)과 제2전열막(140)이 음양각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면 제1유로(10) 및 제2유로(2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고, 그로 인해, 제1유로(10) 또는 제2유로(20)의 경로를 막게 되어 열교환기(100)의 차압 밸런스가 맞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전열막(110)은 제1프레임(170)에 의해 지지되고, 제2프레임(180)에 의해 또 한번 지지되며, 제2전열막(140)은 제2프레임(180)에 의해 지지되고, 제1프레임(170)에 의해 또 한번 지지되어, 제1전열막(110) 및 제2전열막(140)은 처지지 않고 제1전열막(110)과 제2전열막(14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여 열교환기(100)의 차압 밸런스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제2평면부(160)와 접촉되는 제1음각부(121)의 접촉 부분은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음각부(121)가 제2평면부(160)에 접촉되는 접촉 면적이 넓어져 더 효과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평면부(130)와 접촉되는 제2음각부(151)의 접촉 부분은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어, 제2음각부(151)가 제1평면부(130)에 접촉되는 접촉 면적이 넓어져 더 효과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전열막(110)의 제1음양각부(120), 제1평면부(130) 및 제1프레임(170)의 제1지지부(171), 제1관통부(172)는, 제1유체 및 제2유체의 유동 방향을 따라 웨이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전열막(140)의 제2음양각부(150), 제2평면부(160) 및 제2프레임(180)의 제2지지부(181), 제2관통부(182)는, 제1유체 및 제2유체의 유동 방향을 따라 웨이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유체 및 제2유체는 각각 제1유로(10) 및 제2유로(20)를 통해 이동하면서 서로 열교환될 수 있는데, 이때, 제1전열막(110)의 제1음양각부(120), 제1평면부(130) 및 제1프레임(170)의 제1지지부(171), 제1관통부(172)는, 제1유체 및 제2유체의 유동 방향을 따라 웨이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유체 및 제2유체의 이동 경로를 증가시키면, 제1유체 및 제2유체가 열교환되는 시간을 늘려줄 수 있으므로, 더 효과적으로 제1유체 및 제2유체가 열교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전열막(110) 및 제2전열막(140)은 표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유체 및 제2유체는 각각 제1유로(10) 및 제2유로(20)를 통해 이동하면서 서로 열교환될 수 있는데, 이때, 제1전열막(110) 및 제2전열막(140)은 표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기(30)를 포함하면, 제1유체 및 제2유체의 접촉 면적을 넓힐 수 있으므로, 더 효과적으로 제1유체 및 제2유체가 열교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열교환기는, 제1전열막과 제2전열막은 음각과 양각이 교대로 형성되는 음양각 형태 및 평면 형태가 교대로 형성되고, 제1평면부와 제2평면부는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에 각각 결합되어 지지됨으로써, 제1음양각부 및 제2음양각부가 처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음양각 형상이 유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열교환기는, 제1전열막은 제1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제2프레임에 의해 또 한번 지지되며, 제2전열막은 제2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제1프레임에 의해 또 한번 지지되어, 제1전열막 및 제2전열막은 처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제1전열막과 제2전열막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여 열교환기의 차압 밸런스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열교환기는, 제1전열막의 제1음양각부, 제1평면부 및 제1프레임의 제1지지부, 제1관통부는, 제1유체 및 제2유체의 유동 방향을 따라 웨이브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유체 및 제2유체의 이동 경로를 증가시켜 제1유체 및 제2유체가 열교환되는 시간을 늘려줄 수 있어, 더 효과적으로 제1유체 및 제2유체가 열교환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열교환기는, 제1전열막 및 제2전열막은 표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함으로써, 제1유체 및 제2유체의 접촉 면적을 넓힐 수 있어, 더 효과적으로 제1유체 및 제2유체가 열교환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열교환기
110 : 제1전열막
120 : 제1음양각부
130 : 제1평면부
140 : 제2전열막
150 : 제2음양각부
160 : 제2평면부
170 : 제1프레임
180 : 제2프레임

Claims (7)

  1. 음양각 형태의 제1음양각부와 평면 형태의 제1평면부가 교대로 형성되는 제1전열막;
    음양각 형태의 제2음양각부와 평면 형태의 제2평면부가 교대로 형성되는 제2전열막;
    상기 제1전열막의 상기 제1평면부가 결합되어 지지되는 제1지지부와,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1관통부가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제1전열막이 결합되는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전열막의 상기 제2평면부가 결합되어 지지되는 제2지지부와, 관통되게 형성되는 제2관통부가 교대로 형성되고, 상기 제2전열막이 결합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은 교대로 적층되고,
    상기 제1음양각부는 상기 제1프레임의 상기 제1관통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프레임의 상기 제2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2음양각부는 상기 제2프레임의 상기 제2관통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프레임의 상기 제1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음양각부는 제1음각부와 상기 제1음각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2개의 제1양각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2음양각부는 제2음각부와 상기 제2음각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2개의 제2양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음각부는 상기 제1평면부가 형성된 위치보다 더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음각부는 상기 제2평면부가 형성된 위치보다 더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평면부는 상기 제1음각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1음각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1평면부는 상기 제2음각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2음각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평면부와 접촉되는 제1음각부의 접촉 부분은 평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평면부와 접촉되는 제2음각부의 접촉 부분은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열막의 제1음양각부, 제1평면부 및 상기 제1프레임의 제1지지부, 제1관통부는, 유체의 유동 방향을 따라 웨이브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전열막의 제2음양각부, 제2평면부 및 상기 제2프레임의 제2지지부, 제2관통부는, 유체의 유동 방향을 따라 웨이브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열막 및 상기 제2전열막은 표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KR1020210136635A 2021-10-14 2021-10-14 고분자 전열막을 사용하는 대향류 열교환기 KR102526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635A KR102526190B1 (ko) 2021-10-14 2021-10-14 고분자 전열막을 사용하는 대향류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635A KR102526190B1 (ko) 2021-10-14 2021-10-14 고분자 전열막을 사용하는 대향류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284A KR20230053284A (ko) 2023-04-21
KR102526190B1 true KR102526190B1 (ko) 2023-04-27

Family

ID=86098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6635A KR102526190B1 (ko) 2021-10-14 2021-10-14 고분자 전열막을 사용하는 대향류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1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620248U1 (de) 1996-11-21 1997-02-13 Kuhr Thomas Gegenstromwärmetauscher aus Profilplatten
JP2005069499A (ja) 2003-08-25 2005-03-17 Nissan Motor Co Ltd プレートフィン式熱交換器
JP2012154594A (ja) 2011-01-28 2012-08-16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レート熱交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1000A (ja) * 1994-09-30 1996-04-16 Hisaka Works Ltd プレート式熱交換器
EP2871435A1 (en) * 2013-11-07 2015-05-13 Air To Air Sweden AB A sheet for exchange of heat or mass transfer between fluid flows, a device comprising such a shee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heet
KR102223355B1 (ko) 2020-07-13 2021-03-05 (주)가온테크 폴리머 시트를 이용한 대향류형 전열교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620248U1 (de) 1996-11-21 1997-02-13 Kuhr Thomas Gegenstromwärmetauscher aus Profilplatten
JP2005069499A (ja) 2003-08-25 2005-03-17 Nissan Motor Co Ltd プレートフィン式熱交換器
JP2012154594A (ja) 2011-01-28 2012-08-16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レート熱交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284A (ko) 202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8637B1 (ko) 열 교환기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3661203A (en) Plates for directing the flow of fluids
EP3620743B1 (en) Enthalpy exchanger elemen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KR20060089162A (ko) 열 교환용 플레이트
EP3025108B1 (en) Enthalpy exchanger elemen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KR20070001819A (ko) 열교환 유닛
JPH09152292A (ja) 熱交換素子
KR102526190B1 (ko) 고분자 전열막을 사용하는 대향류 열교환기
JP4504092B2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
JP3023546B2 (ja) 熱交換器のエレメント
JP4466156B2 (ja) 熱交換器
JPS6152594A (ja) 熱交換器
JPH0129431Y2 (ko)
US20220057146A1 (en) Total heat exchange element
KR101730890B1 (ko) 열회수용 플라스틱 열교환기
JPWO2018216165A1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
JP2005121319A (ja) 熱交換器
JPWO2018216166A1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
JP2000283682A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
JP4230611B2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
JP2005326068A (ja) 熱交換器用プレート及び熱交換器
KR100540242B1 (ko) 열교환기
JP5790600B2 (ja) 熱交換素子
KR200255172Y1 (ko) 공기용 직교류 열교환기
JPH073170Y2 (ja) 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