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6081B1 -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6081B1
KR102526081B1 KR1020180087242A KR20180087242A KR102526081B1 KR 102526081 B1 KR102526081 B1 KR 102526081B1 KR 1020180087242 A KR1020180087242 A KR 1020180087242A KR 20180087242 A KR20180087242 A KR 20180087242A KR 102526081 B1 KR102526081 B1 KR 102526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voice signal
masking sound
frequency ban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2226A (ko
Inventor
유정근
이진모
이강덕
홍진석
김중관
최정우
소형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7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081B1/ko
Priority to US16/209,354 priority patent/US10440467B1/en
Priority to DE102018221120.5A priority patent/DE102018221120A1/de
Publication of KR20200012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60R16/0373Voic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52Masking
    • G10K11/1754Speech mask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03Changing voice quality, e.g. pitch or forma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6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micropho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8Vehicles
    • G10K2210/1282Automob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화음 등의 음성 신호를 차량 탑승자 중 특정인만 청취할 수 있고 다른 탑승자들은 청취하지 못하도록 하는 음성 마스킹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음성 신호 수신부, 차량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및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주파수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 신호가 포함하는 정보의 전달을 차단하는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마스킹 사운드가 상기 차량 내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방법{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화음 등의 음성 신호를 차량 탑승자 중 특정인만 청취할 수 있고 다른 탑승자들은 청취하지 못하도록 하는 음성 마스킹 기술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도로나 선로를 주행하면서 사람이나 물건을 목적지까지 운반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차량은 주로 차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차륜을 이용하여 여러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량으로는 삼륜 또는 사륜 자동차나, 모터사이클 등의 이륜 자동차나, 건설 기계, 자전거 및 선로 상에 배치된 레일 위에서 주행하는 열차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차량은 내비게이션 기능, 전화 기능, 오디오 기능, 라디오 기능, 방송 기능, 문자 메시지 서비스 기능, 인터넷 기능 등을 수행하고, 최근에는 보다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가 함께 내장되어 있다.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요구 수준은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부합하기 위해 차량과 스마트 폰 등 외부 단말과의 연동 기술의 수준도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차량 내부에서 블루투스 연결을 통해 통화를 하는 경우 통화를 하는 사람 이외의 사람도 통화 내용을 청취할 수 있으므로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차량 내부의 영역을 구별하여 차량 내부로 출력되는 통화음을 정해진 영역에 위치하는 탑승자만 청취할 수 있도록, 음향 출력 영역 또는 음향 도달 영역을 분리하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통화음을 지정된 탑승자만 청취하고 이외의 탑승자는 청취하지 못하도록 통화음에 대한 음성 마스킹 기술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차량 내부로 출력되는 통화음 등의 음성 신호를 차량 탑승자 중 특정인만 청취하고 다른 탑승자들은 청취하지 못하도록 하여 통화 내용에 대한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음성 신호 수신부, 차량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및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주파수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 신호가 포함하는 정보의 전달을 차단하는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마스킹 사운드가 상기 차량 내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내부 영역을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분리하고, 상기 생성된 마스킹 사운드가 상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마스킹 사운드가 상기 음성 신호와 동시에 상기 차량 내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 이상의 음성 신호의 크기를 증폭하여 상기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의 음성 신호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상기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의 음성 신호의 크기를 증폭하거나 감소시켜 상기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는, 상기 생성된 마스킹 사운드를 상기 차량 내부 영역 중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방법은,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주파수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 신호가 포함하는 정보의 전달을 차단하는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마스킹 사운드가 차량 내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량 내부 영역을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분리하고, 상기 생성된 마스킹 사운드가 상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내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상기 음성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스킹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생성된 마스킹 사운드가 상기 음성 신호와 동시에 상기 차량 내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 이상의 음성 신호의 크기를 증폭하여 상기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의 음성 신호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상기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의 음성 신호의 크기를 증폭하거나 감소시켜 상기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내부로 출력되는 통화음 등의 음성 신호를 차량 탑승자 중 특정인만 청취하고 다른 탑승자들은 청취하지 못하도록 하여 통화 내용에 대한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 내부에 스피커가 마련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 내부 영역이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리된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하는 마스킹 알고리즘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마스킹 사운드를 차량 내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하는 개념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은 외관을 형성하는 차체(10), 차량(1)을 이동시키는 차륜(12, 13)을 포함할 수 있다.
차체(10)는 엔진 등과 같이 차량(1)에 구동에 필요한 각종 장치를 보호하는 후드(11a), 실내 공간을 형성하는 루프 패널(11b), 수납 공간이 마련된 트렁크 리드(11c), 차량(1)의 측면에 마련된 프런트 휀더(11d)와 쿼터 패널(11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체(11)의 측면에는 차체와 흰지 결합된 복수 개의 도어(14)가 마련될 수 있다.
후드(11a)와 루프 패널(11b) 사이에는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프런트 윈도우(19a)가 마련되고, 루프 패널(11b)과 트렁크 리드(11c) 사이에는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리어 윈도우(19b)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어(14)의 상측에는 측면의 시야를 제공하는 측면 윈도우(19c)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차량(1)의 전방에는 차량(1)의 진행 방향으로 조명을 조사하는 헤드램프(15, Headlamp)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차량(1)의 전방, 후방에는 차량(1)의 진행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방향지시램프(16, Turn Signal Lamp)가 마련될 수 있다.
차량(1)은 방향지시램프(16)의 점멸하여 그 진행방향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의 후방에는 테일램프(17)가 마련될 수 있다. 테일램프(17)는 차량(1)의 후방에 마련되어 차량(1)의 기어 변속 상태, 브레이크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차량(1)은 감지 센서(25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센서(250)는 차량(1) 주변의 보행자 등 장애물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차량(1)을 기준으로 장애물의 좌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 센서(250)는 차량(1)의 라디에이터 그릴(6)에 마련될 수 있으며, 설치되는 위치 및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감지 센서(250)는, 예를 들어, 밀리미터파나 마이크로파를 이용하는 레이더(Radar), 펄스 레이저광을 이용하는 라이더(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가시 광선을 이용하는 비젼, 적외선을 이용하는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는 초음파 센서 등과 같은 각종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감지 센서(250)는, 이들 중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이들을 복합적 으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차량(1)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 제어부(100)가 마련될 수 있다. 차량 제어부(100)는 차량(1)의 동작과 관련된 전자적 제어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 제어부(100)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차량(1) 내부의 임의적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부(100)는 엔진룸과 대시 보드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센터페시아의 내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차량 제어부(100)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전기적 신호를 처리한 후 출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은, 차량(1) 내부에 설치 가능한 인쇄 회로 기판에 설치된다.
차량(1)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부(350)가 마련될 수 있다. 촬영부(350)는 차량(1)의 주행 중 또는 정차 중에 차량(1)의 주변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차량(1) 주변의 보행자를 감지할 수 있고, 나아가 보행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실내(300)에는, 운전석(301)과, 보조석(302)과, 대시 보드(310)와, 운전대(320)와 계기판(321)이 마련된다.
대시 보드(310)는, 차량(1)의 실내와 엔진룸을 구획하고, 운전에 필요한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 패널을 의미한다. 대시 보드(310)는 운전석(301) 및 보조석(302)의 전면 방향에 마련된다. 대시 보드(310)는 상부 패널, 센터페시아(311) 및 기어 박스(3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시 보드(310)의 상부 패널에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307)가 설치될 수 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307)는 차량(1)의 운전자나 동승자에게 화상으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307)는, 지도, 날씨, 뉴스, 음악, 각종 동영상이나 정지 화상, 차량(1)의 상태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 일례로 공조 장치에 대한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시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307)는, 위험도에 따른 경고를 운전자나 동승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1)이 차로를 변경하는 경우, 위험도에 따라 상이한 경고를 운전자 등에게 제공할 수 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307)는, 통상 사용되는 내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307)는, 대시 보드(3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만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307)는, 센터페시아(311)의 중단이나 하단에 설치될 수도 있고, 윈드 실드(3)의 내측면이나 대시 보드(310)의 상부면에 별도의 지지대(미도시)를 이용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설계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307)가 설치될 수도 있다.
대시 보드(310)의 내측에는 프로세서, 통신 모듈, 위성 항법 장치 수신 모듈, 저장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차량에 설치된 프로세서는 차량(1)에 설치된 각종 전자 장치를 제어하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제어부(10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장치들은 반도체칩, 스위치, 집적 회로, 저항기,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인쇄 회로 기판 등과 같은 다양한 부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센터페시아(311)는 대시보드(310)의 중앙에 설치될 수 있으며, 차량과 관련된 각종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312 내지 314)이 마련될 수 있다. 입력 수단(312 내지 314)은 물리 버튼, 노브,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스틱형 조작 장치 또는 트랙볼 등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운전자는 입력 수단(311 내지 314, 318, 319)을 조작함으로써 차량(1)의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기어 박스(315)는 센터페시아(311)의 하단에 운전석(301) 및 보조석(302)의 사이에 마련된다. 기어 박스(315)에는, 기어(316), 수납함(317) 및 각종 입력 수단(318, 319)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입력 수단(318, 319)은 물리 버튼, 노브,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스틱형 조작 장치 또는 트랙볼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수납함(317) 및 입력 수단(318, 319)은 실시예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대시 보드(310)의 운전석 방향에는 운전대(320)와 계기판(instrument panel, 330)이 마련된다.
운전대(320)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운전대(320)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차량(1)의 앞 바퀴 또는 뒤 바퀴가 회전함으로써 차량(1)이 조향될 수 있다. 운전대(320)에는 회전 축과 연결되는 스포크(321)와 스포크(321)와 결합된 손잡이 휠(322)이 마련된다. 스포크(321)에는 각종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이 마련될 수도 있으며, 입력 수단은 물리 버튼, 노브,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스틱형 조작 장치 또는 트랙볼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손잡이 휠(322)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하여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손잡이 휠(32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포크(321) 및 손잡이 휠(322)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에는 진동부(도 4의 201, vibrating unit)가 설치되어, 외부의 제어에 따라 스포크(321) 및 손잡이 휠(322)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의 강도로 진동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진동기는 외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다양한 강도로 진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포크(321) 및 손잡이 휠(322) 중 적어도 하나는 외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다양한 강도로 진동할 수 있다. 차량(1)은 이를 이용하여 햅틱 경고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포크(321) 및 손잡이 휠(322) 중 적어도 하나는, 차량(1)이 차로를 변경할 때 결정된 위험도에 상응하는 정도로 진동함으로써 다양한 경고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험도의 수준이 높으면 높을수록 스포크(321) 및 손잡이 휠(322) 중 적어도 하나는 더욱 강하게 진동하여 운전자에게 높은 수준의 경고를 제공할 수 있다.
계기판(330)은 차량(1)의 속도나, 엔진 회전수나, 연료 잔량이나, 엔진 오일의 온도나, 방향 지시등의 점멸 여부나, 차량 이동 거리 등 차량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계기판(330)은 조명등이나 눈금판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계기판(330)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된 경우, 계기판(330)은 상술한 정보 이외에도 연비나, 차량(1)에 탑재된 각종 기능의 수행 여부 등과 같이 보다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계기판(330)은 차량(1)의 위험도에 따라 서로 상이한 경고를 출력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계기판(330)은 차량(1)이 차로를 변경하는 경우, 결정된 위험도에 따라 상이한 경고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룸미러(340)는 차량(1) 내부의 상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운전자는 룸미러(340)를 통해 차량(1)의 후방 또는 차량(1) 실내를 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1)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부(35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는 촬영부(350)가 룸미러(340) 주변에 마련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촬영부(350)가 마련되는 위치에는 제한이 없으며 차량(1) 내부 또는 외부를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위치면 어디든 장착될 수 있다. 촬영부(350)는 차량(1)의 주행 중 또는 정차 중에 차량(1)의 주변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차량(1) 주변의 보행자를 감지하여 보행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촬영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camera)를 포함할 수 있고, 좀 더 정확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3차원 공간 인식 센서 및 레이더 센서 및 초음파 센서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3차원 공간 인식 센서로는 KINECT(RGB-D 센서), TOF(Structured Light Sensor), 스테레오 카메라(Stereo Camera)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와 유사한 기능을 할 수 있는 다른 장치들도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 내부에 스피커가 마련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 내부 영역이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리된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1)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가 마련되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는 차량(1)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설치되는 스피커(400)의 개수 및 설치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는 차량(1) 내부에 마련됨으로써 저주파 대역의 음향 신호 및 중고주파 대역의 음향 신호에 대해 보강 간섭 또는 상쇄 간섭을 발생시켜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스피커(400)의 개수 및 배치 형태에 따라 차량(1) 실내의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만 음향을 출력하는 효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스피커(400)의 개수 및 배치 형태는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차량(1) 내부에 여섯개의 스피커(401~406)가 마련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즉, 스피커(400)는 차량(1) 내부의 전면에 마련되는 스피커 1(401), 차량(1) 내부의 후면에 마련되는 스피커 6(406), 차량(1) 내부의 운전석(301) 측에 마련되는 스피커 4(404), 차량(1) 내부의 운전석(301) 뒷좌석(303)에 마련되는 스피커 5(405), 차량(1) 내부의 보조석(302)에 마련되는 스피커 2(402) 및 차량(1) 내부의 보조석(302) 뒷좌석(304)에 마련되는 스피커 3(4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음악 재생 신호, 동영상 재생 신호, 음성 통화 신호, 네비게이션 안내 신호 및 각종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는 제어부(10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1) 내부에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차량(1)에 마련된 네비게이션 장치 및 AVN 장치를 제어하며, 네비게이션 장치 또는 AVN 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대응하여 스피커(400)에서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스피커(400)에서 출력될 수 있는 음향은 음악, 음성 통화음, 네비게이션 안내 음향 및 각종 경고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 외에도 스피커(4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는 다양한 음향이 포함될 수 있다.
차량(1) 내부에서 블루투스 연결을 통해 통화를 하는 경우, 통화를 하는 사람 이외의 사람도 통화 내용을 청취할 수 있으므로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에서 출력된 음성 신호가 차량(1) 내부의 미리 설정된 특정 영역으로만 출력되고 다른 영역으로는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통화 내용을 특정인만 청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100)의 스피커(400) 제어에 의하여도, 음성 신호가 완벽히 특정인에게만 출력되지 않고, 특정인 이외의 탑승자에게도 출력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 특정인 이외의 탑승자에게 출력되는 음성 신호도 차단할 필요성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차량(1)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를 총괄하는 제어부(100), 차량(1)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음성 신호 수신부(360), 음성 신호를 주파수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370),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분리하는 주파수 대역 분리부(380),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400), 차량(1)의 제어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차량(1) 내부 영역을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리할 수 있다(1000). 이 때, 제어부(100)가 차량(1) 내부 영역을 분리하는 기준은 미리 설정되어 저장부(5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00)는 차량(1) 내부 영역을, 운전석(301)을 포함하는 제1영역(Z1), 보조석(302)을 포함하는 제2영역(Z2), 운전석(301)의 뒷좌석(303)을 포함하는 제3영역(Z3) 및 보조석(302)의 뒷좌석(304)을 포함하는 제4영역(Z4)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차량(1)의 운전자는 제1영역(Z1)에 위치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동승자는 제2영역(Z2), 제3영역(Z3) 및 제4영역(Z4)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차량(1) 내부 영역을 운전석(301)과 보조석(302)을 포함하는 제5영역(Z5) 및 운전석(301)의 뒷좌석(303)과 보조석(302)의 뒷좌석(304)을 포함하는 제6영역(Z6)으로 분리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차량(1) 내부의 특정 영역으로만 출력되도록 제어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차량(1) 내부의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분리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차량(1) 내부의 분리된 영역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에서 출력된 음성 신호가 출력될 미리 정해진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차량(1)에 탑승한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기준 또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스피커(400)에서 음성 신호가 출력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에 따라 차량(1) 내부에서 출력되는 블루투스 통화음과 같은 음성 신호는 동승자만 청취하고, 동승자 이외의 탑승자는 청취하지 않도록 설정된 경우, 제어부(100)는 차량(1) 내부의 분리된 영역 중에서 음성 신호 청취 대상자인 동승자가 위치하는 영역을 스피커(400)에서 음성 신호가 출력될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에서 출력되는 음성 신호가 미리 정해진 영역에 위치하는 탑승자에게만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경우에도, 경우에 따라 다른 탑승자에게도 음성 호가 출력되는 경우가 있다.
이하,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1)에서 수신한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마스킹 사운드를 통해, 미리 지정된 탑승자 이외의 탑승자는 음성 신호를 청취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술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하는 마스킹 알고리즘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사운드 마스킹(Sound Masking)이란, 특정한 사운드에 대응하여 생성된 사운드로 덮어씌워서 사운드를 가리는 것이다. 사운드 마스킹은 일정한 소음을 발생시켜서 특정한 소리를 중화시키는 기술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청 주파수 내의 모든 음역대에서 동일하고도 일정한 백색 소음을 발생시켜서 특정한 사운드를 중화시킴으로써 소리를 듣지 못하도록 하거나 인식하지 못하도록 하는 제어 기술이다.
즉, 제어부(100)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함으로써 음성 신호가 포함하는 정보의 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음성 신호 수신부(360)는 블루투스 통화음 등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1020). 구체적으로 음성 신호 수신부(360)는 차량(1)에 거치된 스마트폰 등 외부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스마트폰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통화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부(100)는 음성 신호 수신부(360)의 음성 신호 수신에 앞서,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1) 내부 영역을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분리할 수 있다(1000).
또한, 제어부(100)는 분리된 차량(1)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사운드 마스킹을 수행하기 위한 미리 정해진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1010).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 내부 영역이 제1영역(Z1) 내지 제4영역(Z4)으로 분리된 경우, 운전자는 제1영역(Z1)에 위치하고, 동승자는 제4영역(Z4)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음성 신호 수신부(360)가 수신하는 블루투스 음성 통화 신호를 제1영역(Z1)의 운전자는 청취하지 못하게 하고, 제4영역(Z4)의 동승자만 청취하도록 하기 위해 제어부(100)는 제1영역(Z1)의 운전자에 대해 사운드 마스킹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00)는, 후술할 바와 같이 생성된 마스킹 사운드가 차량(1) 내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예를 들어, 운전자가 위치하는 제1영역)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주파수 변환부(37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음성 신호 수신부(360)가 수신한 음성 신호를 주파수 변환할 수 있다(1030). 즉, 같은 주파수의 음성 신호라도 음성 신호의 종류에 따라 음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사운드 마스킹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통화음에 포함된 상대방 음성 신호의 주파수 별 특성을 분석해야 한다.
이를 위해 주파수 대역 분리부(380), 주파수 변환부(370)에 의해 변환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분리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주파수 대역 분리부(380)에 의해 분리된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다(1040).
제어부(100)는 주파수 변환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 이상의 음성 신호의 크기를 증폭하여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주파수 변환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 중에서 미리 정해진 주파수(f1) 이상의 음성 신호의 크기를 증폭하여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음성 신호 수신부(360)가 수신한 블루투스 통화 음성 신호의 미리 정해진 주파수(f1) 이상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해, 음성 신호의 크기를 증폭함으로써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통화음으로서 수신되는 발신자의 음성 신호 중에서, 특정 주파수 이상에 해당하는 신호의 크기를 증폭시킴으로써 발신자의 음성 신호가 포함하는 정보의 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마스킹 사운드의 신호 크기를 증폭하기 위한 미리 정해진 주파수(f1)는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증폭되는 신호의 크기도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어부(100)는 생성된 마스킹 사운드가 차량(1) 내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를 통해, 음성 신호 수신부(360)가 수신한 음성 신호와 마스킹 사운드가 동시에 차량(1) 내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1050).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1)에서 수신하는 블루투스 통화음에 포함된 음성 신호를 제1영역(Z1)에 위치하는 운전자는 청취하지 못하도록 하고, 제4영역(Z4)에 위치하는 동승자만 청취하도록 하기 위해, 제어부(100)는 생성된 마스킹 사운드가 제1영역(Z1)으로 출력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신호의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 이상의 음성 신호의 크기를 증폭하여, 블루투스 통화 음성 신호와 마스킹 사운드를 동시에 제1영역(Z1)으로 출력하면, 제1영역(Z1)에 위치하는 운전자는 순수한 블루투스 통화 음성 신호만 청취하지 못하고 마스킹 사운드를 같이 청취하게 되므로 음성 신호가 포함하는 정보를 청취하는데 제한을 받게 된다.
즉, 마스킹 사운드와 음성 신호가 동시에 출력됨으로써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 이상의 음성 신호가 포함하는 정보가 운전자에게는 전달되지 못하거나 음성 신호가 포함하는 정보의 왜곡이 발생하므로 운전자는 통화 내용을 인지할 수 없다.
따라서, 차량(1)이 수신하는 블루투스 통화 음성 신호가 포함하는 정보는 제4영역(Z4)에 위치하는 동승자만 청취할 수 있고, 제1영역(Z1)에 위치하는 운전자는 청취할 수 없다.
제어부(100)는 주파수 변환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의 음성 신호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음성 신호의 전체 주파수 대역의 음성 신호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마스킹 사운드를 주파수 대역별로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음성 신호 수신부(360)가 수신한 블루투스 통화 음성 신호의 전체 주파수 대역에 대해 음성 신호의 크기와 동일한 소음(babble noise)을 생성함으로써 발신자의 음성 신호가 포함하는 정보의 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다.
각 주파수 대역별 마스킹 사운드 신호의 크기는 주파수 변환된 음성 신호의 크기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제어부(100)는 생성된 마스킹 사운드가 차량(1) 내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를 통해, 음성 신호 수신부(360)가 수신한 음성 신호와 마스킹 사운드가 동시에 차량(1) 내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신호의 전체 주파수 대역의 음성 신호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생성된 마스킹 사운드를 블루투스 통화 음성 신호와 동시에 제1영역(Z1)으로 출력하면, 제1영역(Z1)에 위치하는 운전자는 순수한 블루투스 통화 음성 신호만 청취하지 못하고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별로 동일한 크기의 마스킹 사운드를 함께 청취하게 되므로, 음성 신호가 포함하는 정보를 전달받지 못한다.
즉, 제어부(100)는 블루투스 통화 음성 신호의 가청 주파수 내의 모든 음역대에서 동일한 크기의 소음을 발생시켜 제1영역(Z1)에 전달되는 음성 신호를 중화시킴으로써 제1영역(Z1)의 운전자가 음성 통화 신호를 듣지 못하도록 하거나 인식하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차량(1)이 수신하는 블루투스 통화 음성 신호가 포함하는 정보는 제4영역(Z4)에 위치하는 동승자만 청취할 수 있고, 제1영역(Z1)에 위치하는 운전자는 청취할 수 없다.
제어부(100)는 주파수 변환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의 음성 신호의 크기를 증폭하거나 감소시켜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주파수 변환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 중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f4, f8)의 음성 신호의 크기를 증폭하고, 다른 주파수 대역(f2, f6)의 음성 신호의 크기는 감소시켜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대응되는 특정 주파수 대역(f4, f8)의 음성 신호의 크기를,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f4, f8)에 해당하는 신호의 크기보다 일정 값 이상 증폭시키는 마스킹 사운드를 통해 해당 주파수 대역(f4, f8)의 음성 신호가 포함하는 정보의 왜곡을 발생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00)는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대응되는 특정 주파수 대역(f2, f6)의 음성 신호의 크기를,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f2, f6)에 해당하는 신호의 크기보다 일정 값 이상 감소시키는 마스킹 사운드를 통해 해당 주파수 대역(f2, f6)의 음성 신호가 포함하는 정보의 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마스킹 사운드의 신호 크기를 증폭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미리 정해진 주파수(f2, f4, f6, f8)는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증폭되거나 감소되는 신호의 크기도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어부(100)는 생성된 마스킹 사운드가 차량(1) 내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를 통해, 음성 신호 수신부(360)가 수신한 음성 신호와 마스킹 사운드가 동시에 차량(1) 내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신호의 특정 주파수 대역(f2, f4, f6, f8)에 대응하여 음성 신호의 크기가 증폭되거나 감소된 마스킹 사운드를 블루투스 통화 음성 신호와 동시에 제1영역(Z1)으로 출력하면, 제1영역(Z1)에 위치하는 운전자는 음성 신호의 특정 주파수 대역(f2, f4, f6, f8)의 신호 크기가 증폭되거나 감소된 마스킹 사운드를 함께 청취하게 된다.
따라서, 제1영역(Z1)에 위치하는 운전자는 음성 신호의 특정 주파수 대역(f2, f4, f6, f8)에 포함되는 정보를 청취할 수 없고, 음성 통화 신호의 전체적인 내용을 인지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차량(1)이 수신하는 블루투스 통화 음성 신호가 포함하는 정보는 제4영역(Z4)에 위치하는 동승자만 청취할 수 있고, 제1영역(Z1)에 위치하는 운전자는 청취할 수 없다.
제어부(100)는 주파수 변환부(370)에 의해 주파수 변환되어 주파수 대역 분리부(380)에 의해 주파수 대역이 분리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분리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 위치를 변경하여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 중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f2, f5, f9, f10)을 분리할 수 있고,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별 신호의 크기가 동일하게 생성된 마스킹 사운드의 해당 주파수 대역(f2, f5, f9, f10)의 음성 신호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음성 신호의 분리된 주파수 대역(f2, f5, f9, f10) 중에서, f2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음성 신호와 f5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음성 신호의 위치를 변경하는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함으로써 해당 주파수 대역(f2, f5)의 음성 신호가 포함하는 정보의 왜곡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음성 신호의 분리된 주파수 대역(f2, f5, f9, f10) 중에서, f9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음성 신호와 f10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음성 신호의 위치를 변경하는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함으로써 해당 주파수 대역(f9, f10)의 음성 신호가 포함하는 정보의 왜곡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차량(1)이 수신하는 블루투스 통화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 각각이 포함하는 정보의 위치를 변경하는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함으로써, 변경된 주파수 대역의 음성 신호가 포함하는 정보의 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하기 위해 음성 신호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음성 신호의 특정 주파수 대역은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변경되는 주파수 대역별 음성 신호의 위치도 달라질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마스킹 사운드를 차량 내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하는 개념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신호 수신부(360)는 블루투스 통화음에 포함된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제어부(100)는 수신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음성 신호가 포함하는 정보의 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한다.
제어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를 제어하여, 생성된 마스킹 사운드와 수신된 음성 신호가 동시에 차량(1) 내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 내부 영역이 제1영역(Z1) 내지 제4영역(Z4)으로 분리된 경우, 제어부(100)는 운전자가 위치하는 제1영역(Z1)으로는 음성 신호와 마스킹 사운드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고, 동승자가 위치하는 제4영역(Z4)으로는 음성 신호만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음성 신호 수신부(360)가 수신하는 블루투스 음성 통화 신호가 제1영역(Z1) 및 제4영역(Z4)으로 모두 출력되더라도, 제어부(100)가 생성한 마스킹 사운드가 제1영역(Z1)으로 출력되므로, 제1영역(Z1)의 운전자는 음성 통화 내용을 청취하지 못하고 제4영역(Z4)의 동승자만 청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생성한 마스킹 사운드를 이용하여 제1영역(Z1)으로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중화시킴으로써 제1영역(Z1)의 운전자가 음성 통화 신호를 듣지 못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1) 내부로 출력되는 통화음 등의 음성 신호를 차량(1) 탑승자 중 특정인만 청취하고 다른 탑승자들은 청취하지 못하도록 제어하여 통화 내용에 대한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 차량
100 : 제어부
360 : 음성 신호 수신부
370 : 주파수 변환부
380 : 주파수 대역 분리부
400 : 스피커
500 : 저장부

Claims (15)

  1.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음성 신호 수신부;
    차량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및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주파수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 신호가 포함하는 정보의 전달을 차단하는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마스킹 사운드가 상기 차량 내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의 음성 신호의 크기를 증폭하거나 감소시켜 상기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하는 차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내부 영역을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분리하고, 상기 생성된 마스킹 사운드가 상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마스킹 사운드가 상기 음성 신호와 동시에 상기 차량 내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의 음성 신호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상기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하는 차량.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하는 차량.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는,
    상기 생성된 마스킹 사운드를 상기 차량 내부 영역 중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하는 차량.
  9.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주파수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 신호가 포함하는 정보의 전달을 차단하는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마스킹 사운드가 차량 내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의 음성 신호의 크기를 증폭하거나 감소시켜 상기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부 영역을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분리하고;
    상기 생성된 마스킹 사운드가 상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제어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상기 음성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스킹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생성된 마스킹 사운드가 상기 음성 신호와 동시에 상기 차량 내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제어방법.
  12. 삭제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의 음성 신호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상기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방법.
  14. 삭제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음성 신호의 주파수 대역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마스킹 사운드를 생성하는 차량 제어방법.
KR1020180087242A 2018-07-26 2018-07-26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526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242A KR102526081B1 (ko) 2018-07-26 2018-07-26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6/209,354 US10440467B1 (en) 2018-07-26 2018-12-04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E102018221120.5A DE102018221120A1 (de) 2018-07-26 2018-12-06 Fahrzeug und Verfahren zum Steuern desselb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242A KR102526081B1 (ko) 2018-07-26 2018-07-26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226A KR20200012226A (ko) 2020-02-05
KR102526081B1 true KR102526081B1 (ko) 2023-04-27

Family

ID=68102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242A KR102526081B1 (ko) 2018-07-26 2018-07-26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40467B1 (ko)
KR (1) KR102526081B1 (ko)
DE (1) DE1020182211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73154B2 (ja) * 2018-02-15 2021-1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防音構造
WO2021245871A1 (ja) * 2020-06-04 2021-12-0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通話環境生成方法、通話環境生成装置、プログラム
DE102020133648A1 (de) 2020-12-16 2022-06-23 Audi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Abhörsicherung einer Stimme
KR20220091146A (ko) * 2020-12-23 2022-06-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음향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4374913A (zh) * 2022-03-23 2022-04-19 远峰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座舱域中的多控制端多音场控制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0741A (ja) * 2005-03-25 2006-10-05 Clarion Co Ltd 車載音響処理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170316773A1 (en) * 2015-01-20 2017-11-0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Speech reproduction device configured for masking reproduced speech in a masked speech zon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557B1 (ko) * 2005-10-12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신호를 감쇄하고 마스킹하여 음성 신호를 교란시키는방법 및 장치
US8218783B2 (en) * 2008-12-23 2012-07-10 Bose Corporation Masking based gain control
US9469247B2 (en) * 2013-11-21 2016-10-18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Using external sounds to alert vehicle occupants of external events and mask in-car conversations
US9716939B2 (en) * 2014-01-06 2017-07-25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er controllable auditory environment customization
US10388297B2 (en) * 2014-09-10 2019-08-20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Techniques for generating multiple listening environments via auditory devices
US9847081B2 (en) * 2015-08-18 2017-12-19 Bose Corporation Audio systems for providing isolated listening zones
KR101755481B1 (ko) * 2015-11-06 2017-07-2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 연소음 마스킹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0741A (ja) * 2005-03-25 2006-10-05 Clarion Co Ltd 車載音響処理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170316773A1 (en) * 2015-01-20 2017-11-0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Speech reproduction device configured for masking reproduced speech in a masked speech z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226A (ko) 2020-02-05
DE102018221120A1 (de) 2020-01-30
US10440467B1 (en)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6081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0536791B2 (en) Vehicular sound processing system
KR20190083936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0214145B2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thereof
US7697698B2 (en) Sound-based vehicle safety system
CN109147815B (zh) 用于车辆中的选择性音量调节的系统和方法
KR101687825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2459237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20130208912A1 (en) Simulation of engine sounds in silent vehicles
US20140365073A1 (e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with vehicle passengers
US20210380055A1 (en) Vehicular independent sound field forming device and vehicular independent sound field forming method
CN110366852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记录介质
KR20210096879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112061024A (zh) 车辆外部扬声器系统
KR101716248B1 (ko) 오디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20190206256A1 (en) Motor vehicle having a sound capture device
JP2006160160A (ja) 運転環境音調整装置
JP2014241055A (ja) 表示システム
CN110139205B (zh) 用于辅助信息呈现的方法及装置
KR20170016902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N112885142B (zh) 一种鸣笛方法及车载设备
WO2018101341A1 (ja) 情報処理装置、外部音再生方法、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構造
CN117656987A (zh) 用于提供提醒的方法、设备、介质和程序产品
KR101805376B1 (ko) 사운드 제어장치,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114801983A (zh) 扬声系统、用于控制扬声系统的方法和电动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