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3936A -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3936A
KR20190083936A KR1020180001992A KR20180001992A KR20190083936A KR 20190083936 A KR20190083936 A KR 20190083936A KR 1020180001992 A KR1020180001992 A KR 1020180001992A KR 20180001992 A KR20180001992 A KR 20180001992A KR 20190083936 A KR20190083936 A KR 20190083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sound
vehicle
outpu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근
홍진석
이강덕
최정우
소형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1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3936A/ko
Priority to US16/178,235 priority patent/US20190215606A1/en
Publication of KR20190083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9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79Head-rests with additional features not related to head-rest positioning, e.g. heating or cooling devices or 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3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using a passive diaphragm
    • H04R1/2834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using a passive diaphragm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2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to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04R5/023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in a chair, pil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의 영역을 설정하고, 차량 내부에 마련된 스피커 및 헤드레스트 스피커에서 출력된 음향이 설정된 특정 영역으로만 출력되고 다른 영역으로는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차량 내부에 마련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차량 내부 좌석의 헤드레스트에 마련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레스트 스피커 및 상기 차량 내부 영역을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분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에서 출력된 음향이 상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는 상기 출력된 음향이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의 헤드레스트에 마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헤드레스트 스피커가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방법{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의 영역을 설정하고, 차량 내부에 마련된 스피커 및 헤드레스트 스피커에서 출력된 음향이 설정된 특정 영역으로만 출력되고 다른 영역으로는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도로나 선로를 주행하면서 사람이나 물건을 목적지까지 운반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차량은 주로 차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차륜을 이용하여 여러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량으로는 삼륜 또는 사륜 자동차나, 모터사이클 등의 이륜 자동차나, 건설 기계, 자전거 및 선로 상에 배치된 레일 위에서 주행하는 열차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차량은 내비게이션 기능, 전화 기능, 오디오 기능, 라디오 기능, 방송 기능, 문자 메시지 서비스 기능, 인터넷 기능 등을 수행하고, 최근에는 보다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가 함께 내장되어 있다.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또는 동승자의 요구 수준은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부합하기 위해 차량과 스마트 폰 등 외부 단말과의 연동 기술의 수준도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차량의 운전자 또는 동승자는 차량의 AVN 장치 또는 외부 단말과의 연동을 통해 원하는 음악을 청취하기를 원하며, 이러한 음악 청취의 욕구는 운전자와 동승자가 다를 수 있다.
또한, 차량 내부에서 블루투스 연결을 통해 통화를 하는 경우 통화를 하는 사람 이외의 사람도 통화 내용을 청취할 수 있으므로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되는 문제도 있다.
나아가, 차량과 관련된 각종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경고음, 네비게이션 안내음, 신호음 등의 다양한 음향이 차량 내부로 출력될 수 있으며, 운전자 또는 동승자는 불필요한 음향도 청취해야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차량 내부의 영역을 구별하여 음악이나 통화음 등 차량 내부로 출력되는 음향들을 정해진 영역에 위치하는 탑승자만 청취할 수 있도록, 음향 출력 영역 또는 음향 도달 영역을 분리하는 기술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나아가, 음향 출력 영역을 분리함과 동시에 분리된 영역에 음향을 효과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논의도 활발히 진행중이다.
차량 내부에 마련된 스피커와 좌석에 마련된 헤드레스트 스피커에서 출력된 음향이 차량 내부의 미리 설정된 특정 영역으로만 출력되고 다른 영역으로는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운전자 또는 동승자 중에서 음향을 청취하고자 하는 사람만 음향을 청취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차량 내부에 마련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차량 내부 좌석의 헤드레스트에 마련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레스트 스피커 및 상기 차량 내부 영역을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분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에서 출력된 음향이 상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는 상기 출력된 음향이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의 헤드레스트에 마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헤드레스트 스피커가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량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상기 음향 신호의 종류를 결정하고, 상기 음향 신호의 종류는, 음악 재생 신호, 동영상 재생 신호, 음성 통화 신호, 네비게이션 안내 신호 및 경고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음향 신호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헤드레스트 스피커 중 상기 음향이 출력될 헤드레스트 스피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헤드레스트 스피커는, 상기 결정된 미리 정해진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레스트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헤드레스트 스피커는,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의 주파수를 가지는 음향 신호를 증폭시키는 패시브 라디에이터(passive radiat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헤드레스트 스피커에 마련된 상기 패시브 라디에이터가, 상기 결정된 음향 신호에 포함된 상기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의 주파수 신호를 증폭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레스트 스피커는, 상기 헤드레스트에 미리 정해진 각도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음향 신호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된 차량 내부 영역 중 상기 음향이 출력될 미리 정해진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리된 차량 내부 영역 중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는 음향 신호는 보강 간섭이 발생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 출력되는 음향 신호는 상쇄 간섭이 발생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는,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발생된 상기 보강 간섭에 따라 상기 분리된 차량 내부 영역 중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음향을 출력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발생된 상기 상쇄 간섭에 따라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는 음향을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 신호에 대한 상기 보강 간섭 제어 신호 및 상기 상쇄 간섭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중에서 상기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에 대한 상기 보강 간섭 제어 신호 및 상기 상쇄 간섭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방법은,
차량 내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차량 내부 좌석의 헤드레스트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헤드레스트 스피커가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에서 출력된 음향이 상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는 상기 출력된 음향이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의 헤드레스트에 마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헤드레스트 스피커가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차량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외부로부터 수신한 음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상기 음향 신호의 종류를 결정하고, 상기 음향 신호의 종류는, 음악 재생 신호, 동영상 재생 신호, 음성 통화 신호, 네비게이션 안내 신호 및 경고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된 음향 신호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헤드레스트 스피커 중 상기 음향이 출력될 헤드레스트 스피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헤드레스트 스피커는, 상기 결정된 미리 정해진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레스트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헤드레스트 스피커가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의 주파수를 가지는 음향 신호를 증폭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헤드레스트 스피커가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상기 결정된 음향 신호에 포함된 상기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의 주파수 신호를 증폭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미리 정해진 영역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결정된 음향 신호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된 차량 내부 영역 중 상기 음향이 출력될 미리 정해진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분리된 차량 내부 영역 중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는 음향 신호는 보강 간섭이 발생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 출력되는 음향 신호는 상쇄 간섭이 발생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발생된 상기 보강 간섭에 따라 상기 분리된 차량 내부 영역 중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음향을 출력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발생된 상기 상쇄 간섭에 따라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는 음향을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미리 정해진 영역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 신호에 대한 상기 보강 간섭 제어 신호 및 상기 상쇄 간섭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중에서 상기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에 대한 상기 보강 간섭 제어 신호 및 상기 상쇄 간섭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내부의 스피커에서 출력된 음향이 차량 내부의 미리 설정된 특정 영역으로만 출력되고 다른 영역으로는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운전자 또는 동승자 중에서 음향을 청취하고자 하는 사람만 음향을 청취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 내부의 헤드레스트에 마련된 스피커를 통해 미리 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는 탑승자가 음향을 더 효과적으로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 내부에 스피커 및 헤드레스트 스피커가 마련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스피커가 차량의 좌석에 마련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스피커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실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 내부 영역이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리된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분리된 차량 내부의 영역에 대해 스피커의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는 영역 결정에 대한 측면 개념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분리된 차량 내부의 영역에 대해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만 스피커의 음향이 출력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 내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결정하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분리된 차량 내부의 영역에 대해 스피커의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는 영역 결정에 대한 측면 개념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분리된 차량 내부의 영역에 대해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만 스피커의 음향이 출력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차량 내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결정하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차량(1)이 전진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전방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을 구분하도록 하되, 전방이 12시 방향인 경우, 3시 방향 또는 그 주변을 우측 방향으로 정의하고, 9시 방향 또는 그 주변을 좌측 방향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전방의 반대 방향은 후방이 된다. 또한 차량(1)을 중심으로 바닥 방향을 하방이라고 하고, 반대 방향을 상방이라고 한다. 아울러 전방에 배치된 일 면을 전면, 후방에 배치된 일 면을 후면, 측방에 배치된 일 면을 측면이라고 한다. 측면 중 좌측 방향의 측면을 좌측면으로, 우측 방향의 측면은 우측면으로 정의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은 외관을 형성하는 차체(10), 차량(1)을 이동시키는 차륜(12, 13)을 포함할 수 있다.
차체(10)는 엔진 등과 같이 차량(1)에 구동에 필요한 각종 장치를 보호하는 후드(11a), 실내 공간을 형성하는 루프 패널(11b), 수납 공간이 마련된 트렁크 리드(11c), 차량(1)의 측면에 마련된 프런트 휀더(11d)와 쿼터 패널(11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체(11)의 측면에는 차체와 흰지 결합된 복수 개의 도어(15)가 마련될 수 있다.
후드(11a)와 루프 패널(11b) 사이에는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프런트 윈도우(19a)가 마련되고, 루프 패널(11b)과 트렁크 리드(11c) 사이에는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리어 윈도우(19b)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어(15)의 상측에는 측면의 시야를 제공하는 측면 윈도우(19c)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차량(1)의 전방에는 차량(1)의 진행 방향으로 조명을 조사하는 헤드램프(15, Headlamp)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차량(1)의 전방, 후방에는 차량(1)의 진행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방향지시램프(16, Turn Signal Lamp)가 마련될 수 있다.
차량(1)은 방향지시램프(16)의 점멸하여 그 진행방향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의 후방에는 테일램프(17)가 마련될 수 있다. 테일램프(17)는 차량(1)의 후방에 마련되어 차량(1)의 기어 변속 상태, 브레이크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차량(1)은 감지 센서(25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센서(250)는 차량(1) 주변의 보행자 등 장애물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차량(1)을 기준으로 장애물의 좌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 센서(250)는 차량(1)의 라디에이터 그릴(6)에 마련될 수 있으며, 설치되는 위치 및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감지 센서(250)는, 예를 들어, 밀리미터파나 마이크로파를 이용하는 레이더(Radar), 펄스 레이저광을 이용하는 라이더(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가시 광선을 이용하는 비젼, 적외선을 이용하는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는 초음파 센서 등과 같은 각종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감지 센서(250)는, 이들 중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이들을 복합적 으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감지 센서(250)가 레이더로 구현되는 경우, 감지 센서(250)는 차량(1) 전방에 밀리미터파나 마이크로파를 조사하고, 차량(1) 주변의 장애물로부터 반사되는 밀리미터파나 마이크로파를 수신할 수 있다. 밀리미터파나 마이크로파를 수신한 후, 감지 센서(250)는 파의 수신 시점과 강도, 주파수의 변화 등으로부터 전방 장애물과의 거리, 속도, 형상 등 물리적 성질을 감지할 수 있다.
차량(1)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 제어부(100)가 마련될 수 있다. 차량 제어부(100)는 차량(1)의 동작과 관련된 전자적 제어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 제어부(100)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차량(1) 내부의 임의적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부(100)는 엔진룸과 대시 보드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센터페시아의 내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차량 제어부(100)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전기적 신호를 처리한 후 출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은, 차량(1) 내부에 설치 가능한 인쇄 회로 기판에 설치된다.
차량(1)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부(350)가 마련될 수 있다. 촬영부(350)는 차량(1)의 주행 중 또는 정차 중에 차량(1)의 주변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차량(1) 주변의 보행자를 감지할 수 있고, 나아가 보행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실내(300)에는, 운전석(301)과, 보조석(302)과, 대시 보드(310)와, 운전대(320)와 계기판(321)이 마련된다.
대시 보드(310)는, 차량(1)의 실내와 엔진룸을 구획하고, 운전에 필요한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 패널을 의미한다. 대시 보드(310)는 운전석(301) 및 보조석(302)의 전면 방향에 마련된다. 대시 보드(310)는 상부 패널, 센터페시아(311) 및 기어 박스(3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시 보드(310)의 상부 패널에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307)가 설치될 수 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307)는 차량(1)의 운전자나 동승자에게 화상으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307)는, 지도, 날씨, 뉴스, 음악, 각종 동영상이나 정지 화상, 차량(1)의 상태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 일례로 공조 장치에 대한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시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307)는, 위험도에 따른 경고를 운전자나 동승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1)이 차로를 변경하는 경우, 위험도에 따라 상이한 경고를 운전자 등에게 제공할 수 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307)는, 통상 사용되는 내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307)는, 대시 보드(3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만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307)는, 센터페시아(311)의 중단이나 하단에 설치될 수도 있고, 윈드 실드(3)의 내측면이나 대시 보드(310)의 상부면에 별도의 지지대(미도시)를 이용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설계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307)가 설치될 수도 있다.
대시 보드(310)의 내측에는 프로세서, 통신 모듈, 위성 항법 장치 수신 모듈, 저장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차량에 설치된 프로세서는 차량(1)에 설치된 각종 전자 장치를 제어하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제어부(10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장치들은 반도체칩, 스위치, 집적 회로, 저항기,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인쇄 회로 기판 등과 같은 다양한 부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센터페시아(311)는 대시보드(310)의 중앙에 설치될 수 있으며, 차량과 관련된 각종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312 내지 314)이 마련될 수 있다. 입력 수단(312 내지 314)은 물리 버튼, 노브,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스틱형 조작 장치 또는 트랙볼 등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운전자는 입력 수단(311 내지 314, 318, 319)을 조작함으로써 차량(1)의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기어 박스(315)는 센터페시아(311)의 하단에 운전석(301) 및 보조석(302)의 사이에 마련된다. 기어 박스(315)에는, 기어(316), 수납함(317) 및 각종 입력 수단(318, 319)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입력 수단(318, 319)은 물리 버튼, 노브,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스틱형 조작 장치 또는 트랙볼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수납함(317) 및 입력 수단(318, 319)은 실시예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대시 보드(310)의 운전석 방향에는 운전대(320)와 계기판(instrument panel, 330)이 마련된다.
운전대(320)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운전대(320)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차량(1)의 앞 바퀴 또는 뒤 바퀴가 회전함으로써 차량(1)이 조향될 수 있다. 운전대(320)에는 회전 축과 연결되는 스포크(321)와 스포크(321)와 결합된 손잡이 휠(322)이 마련된다. 스포크(321)에는 각종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이 마련될 수도 있으며, 입력 수단은 물리 버튼, 노브,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스틱형 조작 장치 또는 트랙볼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손잡이 휠(322)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하여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손잡이 휠(32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포크(321) 및 손잡이 휠(322)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에는 진동부(도 4의 201, vibrating unit)가 설치되어, 외부의 제어에 따라 스포크(321) 및 손잡이 휠(322) 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의 강도로 진동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진동기는 외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다양한 강도로 진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포크(321) 및 손잡이 휠(322) 중 적어도 하나는 외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다양한 강도로 진동할 수 있다. 차량(1)은 이를 이용하여 햅틱 경고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포크(321) 및 손잡이 휠(322) 중 적어도 하나는, 차량(1)이 차로를 변경할 때 결정된 위험도에 상응하는 정도로 진동함으로써 다양한 경고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험도의 수준이 높으면 높을수록 스포크(321) 및 손잡이 휠(322) 중 적어도 하나는 더욱 강하게 진동하여 운전자에게 높은 수준의 경고를 제공할 수 있다.
계기판(330)은 차량(1)의 속도나, 엔진 회전수나, 연료 잔량이나, 엔진 오일의 온도나, 방향 지시등의 점멸 여부나, 차량 이동 거리 등 차량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계기판(330)은 조명등이나 눈금판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계기판(330)이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된 경우, 계기판(330)은 상술한 정보 이외에도 연비나, 차량(1)에 탑재된 각종 기능의 수행 여부 등과 같이 보다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계기판(330)은 차량(1)의 위험도에 따라 서로 상이한 경고를 출력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계기판(330)은 차량(1)이 차로를 변경하는 경우, 결정된 위험도에 따라 상이한 경고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룸미러(340)는 차량(1) 내부의 상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운전자는 룸미러(340)를 통해 차량(1)의 후방 또는 차량(1) 실내를 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1)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부(35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는 촬영부(350)가 룸미러(340) 주변에 마련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촬영부(350)가 마련되는 위치에는 제한이 없으며 차량(1) 내부 또는 외부를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위치면 어디든 장착될 수 있다. 촬영부(350)는 차량(1)의 주행 중 또는 정차 중에 차량(1)의 주변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차량(1) 주변의 보행자를 감지하여 보행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촬영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camera)를 포함할 수 있고, 좀 더 정확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3차원 공간 인식 센서 및 레이더 센서 및 초음파 센서 등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3차원 공간 인식 센서로는 KINECT(RGB-D 센서), TOF(Structured Light Sensor), 스테레오 카메라(Stereo Camera)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와 유사한 기능을 할 수 있는 다른 장치들도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 내부에 스피커 및 헤드레스트 스피커가 마련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스피커가 차량의 좌석에 마련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스피커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실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 내부 영역이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리된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분리된 차량 내부의 영역에 대해 스피커의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는 영역 결정에 대한 측면 개념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분리된 차량 내부의 영역에 대해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만 스피커의 음향이 출력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 내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결정하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분리된 차량 내부의 영역에 대해 스피커의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는 영역 결정에 대한 측면 개념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분리된 차량 내부의 영역에 대해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만 스피커의 음향이 출력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차량 내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결정하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1)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가 마련되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는 차량(1)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설치되는 스피커(400)의 개수 및 설치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는 차량(1) 내부에 마련됨으로써 저주파 대역의 음향 신호 및 중고주파 대역의 음향 신호에 대해 보강 간섭 또는 상쇄 간섭을 발생시켜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스피커(400)의 개수 및 배치 형태에 따라 차량(1) 실내의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만 음향을 출력하는 효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스피커(400)의 개수 및 배치 형태는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차량(1) 내부에 여섯개의 스피커(401~406)가 마련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즉, 스피커(400)는 차량(1) 내부의 전면에 마련되는 스피커 1(401), 차량(1) 내부의 후면에 마련되는 스피커 6(406), 차량(1) 내부의 운전석(301) 측에 마련되는 스피커 4(404), 차량(1) 내부의 운전석(301) 뒷좌석(303)에 마련되는 스피커 5(405), 차량(1) 내부의 보조석(302)에 마련되는 스피커 2(402) 및 차량(1) 내부의 보조석(302) 뒷좌석(304)에 마련되는 스피커 3(40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 내부에 마련된 좌석에는 헤드레스트 스피커(600)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301)은 운전자의 몸을 지지하는 등받이(301) 및 운전자의 머리를 받침에 해당하는 헤드레스트(301b)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레스트 스피커(600)는 좌석의 헤드레스트에 마련될 수 있고, 좌석에 탑승한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게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헤드레스트 스피커(600)는 차량(1)의 좌석 각각에 마련된 헤드레스트에 설치될 수 있고, 헤드레스트 스피커의 개수 및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301)에는 헤드레스트 스피커 1(601)이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헤드레스트 스피커 1(601)은 좌측 헤드레스트 스피커 1(601a) 및 우측 헤드레스트 스피커 1(601b)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석(302)에는 헤드레스트 스피커 2(602)가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헤드레스트 스피커 2(602)는 좌측 헤드레스트 스피커 2(602a) 및 우측 헤드레스트 스피커 2(602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전석(301)의 뒷좌석(303)에는 헤드레스트 스피커 3(603)이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헤드레스트 스피커 3(603)은 좌측 헤드레스트 스피커 3(603a) 및 우측 헤드레스트 스피커 3(603b)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석(302)의 뒷좌석(304)에는 헤드레스트 스피커 4(604)가 마련될 수 있는데 이러한 헤드레스트 스피커 4(604)는 좌측 헤드레스트 스피커 4(604a) 및 우측 헤드레스트 스피커 4(604b)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레스트 스피커(600)는 차량(1) 내부의 좌석에 마련된 헤드레스트에 미리 정해진 각도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헤드레스트에 미리 정해진 각도로 매립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좌석에 앉은 탑승자의 귀 방향으로 기울여져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탑승자는 헤드레스트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효과적으로 청취할 수 있다.
이러한 헤드레스트 스피커는 차량(1) 내부 영역에 대해 음향이 출력되는 영역과 음향이 출력되지 않는 영역에 대한 음향 분리를 함에 있어서, 좌석 별로 음장 분리 효과를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차량(1)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차량(1) 내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만 출력되고 미리 정해진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는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경우, 미리 정해진 영역과 미리 정해진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서의 음향 대조도(contrast)가 클수록 영역별 음향 분리의 효과가 좋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운전석(301)에 앉은 운전자만 청취하고, 보조석(302)에 앉은 동승자는 청취하지 않도록 제어할 때, 운전석(301)이 포함된 영역과 보조석(302)이 포함된 영역의 음향 대조도가 20dB 이상이 되면 음향 분리가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 즉, 운전석(301)과 보조석(302)의 음향 대조도가 20dB 이상이 되면, 스피커(4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운전석(301)의 운전자만 청취할 수 있고, 보조석(302)의 동승자는 청취하지 못한다.
앞선 기술의 경우에는, 차량(1) 내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가 출력하는 음향 신호만을 제어함으로써,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만 음향이 출력되도록 했는데, 이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영역과 미리 정해진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서의 음향 대조도가 20dB 미만인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차량(1) 내부에서 영역별 음향 분리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따라서,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차량(1)의 좌석에 마련된 헤드레스트에 추가적으로 헤드레스트 스피커(600)를 설치하여, 차량(1) 내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만 출력되도록 제어함과 더불어 미리 정해진 영역에 마련된 헤드레스트 스피커(400)에서도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를 통해 차량(1) 내부의 스피커(400)에서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만 음향을 출력하고, 미리 정해진 영역에 위치하는 탑승자만이 스피커(40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효과적으로 청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스피커(600)는 패시브 라디에이터(passive radiator, 610)를 포함할 수 있다.
좌석의 헤드레스트에 설치되는 헤드레스트 스피커(600)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 저주파수 음향 신호를 효과적으로 출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차량(1) 탑승자가 헤드레스트 스피커(600)를 통해 낮은 주파수 대역의 소리도 청취할 수 있도록 저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증폭시켜야 한다.
즉, 헤드레스트 스피커(600)에 포함된 패시브 라디에이터(610)는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의 주파수를 가지는 음향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고, 차량(1)의 탑승자는 증폭된 저주파수의 음향 신호도 청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음악 재생 신호, 동영상 재생 신호, 음성 통화 신호, 네비게이션 안내 신호 및 각종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는 제어부(10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1) 내부에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차량(1)에 마련된 네비게이션 장치 및 AVN 장치를 제어하며, 네비게이션 장치 또는 AVN 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대응하여 스피커(400)에서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스피커(400)에서 출력될 수 있는 음향은 음악, 음성 통화음, 네비게이션 안내 음향 및 각종 경고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 외에도 스피커(4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는 다양한 음향이 포함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 이전의 기술에 의하면, 차량(1) 내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이 차량(1) 내부에 전체적으로 출력되므로 차량(1)에 탑승한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출력되는 음향을 동시에 청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차량(1)에 탑승한 운전자와 동승자는 스피커(400)를 통해 출력되는 음악에 대한 청취 욕구가 다를 수 있다. 즉, 운전자와 동승자는 각자 청취하고 싶은 음악이 다를 수 있음에도 스피커(400)를 통해 일괄적으로 출력되는 음향을 청취해야만 했다.
또한, 차량(1) 내부에서 블루투스 연결을 통해 통화를 하는 경우, 통화를 하는 사람 이외의 사람도 통화 내용을 청취할 수 있으므로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차량(1) 내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에서 출력된 음향이 차량(1) 내부의 미리 설정된 특정 영역으로만 출력되고 다른 영역으로는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운전자 또는 동승자 중에서 선택적으로 음향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차량(1)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를 총괄하는 제어부(100), 차량(1)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신호 처리부(360),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400), 스피커(400)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최적화 하거나, 음향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링부(450), 차량(1)의 제어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500) 및 차량(1) 내부 좌석의 헤드레스트에 마련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레스트 스피커(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차량(1) 내부 영역을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분리할 수 있다(1000).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차량(1) 내부 영역을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가 차량(1) 내부 영역을 분리하는 기준은 미리 설정되어 저장부(5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00)는 차량(1) 내부 영역을 운전석(301)을 포함하는 제1영역(Z1), 보조석(302)을 포함하는 제2영역(Z2), 운전석(301)의 뒷좌석(303)을 포함하는 제3영역(Z3) 및 보조석(302)의 뒷좌석(304)을 포함하는 제4영역(Z4)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차량(1)의 운전자는 제1영역(Z1)에 위치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동승자는 제2영역(Z2), 제3영역(Z3) 및 제4영역(Z4)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차량(1) 내부 영역을 운전석(301)과 보조석(302)을 포함하는 제5영역(Z5) 및 운전석(301)의 뒷좌석(303)과 보조석(302)의 뒷좌석(304)을 포함하는 제6영역(Z6)으로 분리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차량(1) 내부의 특정 영역으로만 출력되도록 제어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차량(1) 내부의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분리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차량(1) 내부의 분리된 영역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에서 출력된 음향이 출력될 미리 정해진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1100).
즉, 제어부(100)는 차량(1)에 탑승한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기준 또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스피커(400)에서 음향이 출력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의 설정에 따라 차량(1)에서 재생되는 음악 신호는 운전자만 청취하고, 운전자 이외의 동승자는 청취하지 않도록 설정된 경우 제어부(100)는 차량(1) 내부의 분리된 영역 중에서 운전자가 위치하는 영역을 스피커(400)에서 음향이 출력될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설정에 따라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307) 또는 차량(1)에 거치된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 단말기를 통해 출력되는 네비게이션 안내 신호는 운전자만 청취하고, 운전자 이외의 동승자는 청취하지 않도록 설정된 경우 제어부(100)는 차량(1) 내부의 분리된 영역 중에서 운전자가 위치하는 영역을 스피커(400)에서 음향이 출력될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음향 신호 처리부(360)는 차량(1)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향 신호 처리부(360)에 포함된 음향 신호 수신부(361)는 차량(1)에 거치된 스마트폰 등 외부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음향 신호 판단부(362)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를 통해 출력될 음향 신호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차량(1)용 디스플레이 장치(307)를 통해 출력되거나 재생되는 음악 또는 동영상에 포함된 음향 신호는 차량(1)에 포함된 음향 신호로 볼 수 있으나, 차량(1)에 거치된 스마트폰 등 외부 단말을 통해 재생되는 음악 또는 동영상에 포함된 음향 신호는 차량(1)의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음향 신호로 볼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 통화 신호도 차량(1)의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음향 신호로 볼 수 있다.
음향 신호 처리부(360)는 차량(1)에서 자체적으로 출력되는 음향 신호와 차량(1) 외부로부터 수신되어 출력될 음향 신호를 판단하고, 제어부(100)는 이러한 음향 신호의 종류에 따라 차량(1) 내부의 분리된 영역 중 음향이 출력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신호 처리부(360)로부터 결정된 음향 신호의 종류가 차량(1)에 포함된 음악 재생 신호인 경우에는, 제어부(100)는 차량(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를 통해 음향이 출력될 영역을 운전자가 위치하는 제1영역(Z1)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 음향 신호 처리부(360)로부터 결정된 음향 신호의 종류가 차량(1) 외부로부터 수신되어 출력되는 음성 통화 신호인 경우에는, 제어부(100)는 차량(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를 통해 음향이 출력될 영역을 동승자가 위치하는 제4영역(Z4)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고하면, 차량(1) 내부의 분리된 영역 중에서 운전자가 제1영역(Z1)에 위치하고, 동승자는 제4영역(Z4)에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에서 음향이 출력될 영역을 제1영역(Z1)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에서 출력되는 음향(예를 들어, 음악 신호 또는 네비게이션 안내 신호)이, 운전자가 위치하는 제1영역(Z1)으로 출력되고 동승자가 위치하는 제4영역(Z4)으로는 출력되지 않도록 음향 출력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제어부(100)는 차량(1) 내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에서 출력된 음향이 차량(1) 내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고, 미리 정해진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는 음향이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0)는 차량(1)의 분리된 내부 영역 중에서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의 음향 신호는 보강 간섭이 발생하고(1210), 미리 정해진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 출력되는 음향 신호는 상쇄 간섭이 발생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1220).
즉, 제어부(100)는 차량(1)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 각각이 출력하는 음향 신호들이 보강 간섭 및 상쇄 간섭을 통해, 차량(1) 내부의 모든 영역으로 음향이 출력되는 것이 아닌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만 음향이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차량(1) 내부 영역 중 미리 정해진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 출력되는 음향 신호는 제거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데, 이는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만 음향을 출력하여 해당 영역에 위치하는 운전자 또는 동승자만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차량(1)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 각각이 출력하는 음향 신호의 조합에 의한 보강 간섭 및 상쇄 간섭에 대한 정보는 미리 설정되어 저장부(500)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제어부(100)는 미리 정해진 영역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 각각이 출력하는 음향 신호를 조합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차량(1) 내부의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차량(1)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스피커(400) 각각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에 대한 보강 간섭 제어 신호 및 상쇄 간섭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차량(1)에 마련된 스피커(400)와 제어부(100)가 결정한 차량(1) 내부의 영역과의 거리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들 간의 위상차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위상차에 따라 제어부(100)는 보강 간섭 제어 신호 및 상쇄 간섭 제어 신호를 생성 및 변경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8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00)가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에서 음향이 출력될 영역을 제1영역(Z1)으로 결정한 경우, 제어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에서 출력된 음향이 제1영역(Z1)으로 출력되고, 제1영역(Z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는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스피커(400)의 음향이 출력되는 미리 정해진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1300).
또한, 제어부(100)는 음향 신호 처리부(360)로부터 결정된 음향 신호의 종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헤드레스트 스피커(600) 중 음향이 출력될 헤드레스트 스피커(600)를 결정할 수 있다(1400).
차량(1) 내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는 제어부(100)가 생성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발생된 보강 간섭에 따라 제1영역(Z1)으로만 음향을 출력하고(1520), 제어부(100)가 생성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발생된 상쇄 간섭에 따라 제1영역(Z1)을 제외한 영역으로는 음향을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1510).
즉,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 각각이 출력하는 음향 신호의 위상차에 기초하여 음향 신호들 간에 보강 간섭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보강 간섭에 의해 미리 정해진 제1영역(Z1)으로만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영역(Z1)에 위치하는 차량(1)의 운전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청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 각각이 출력하는 음향 신호의 위상차에 기초하여 음향 신호들 간에 상쇄 간섭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상쇄 간섭에 의해 미리 정해진 제1영역(Z1)이 아닌 제4영역(Z4)으로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영역(Z1)에 위치하는 차량(1)의 운전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청취할 수 있지만, 제4영역(Z4)에 위치하는 동승자는 스피커(4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청취할 수 없다.
제어부(100)는 차량(1) 내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의 헤드레스트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헤드레스트 스피커(600)가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1530), 헤드레스트 스피커(600)는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음향 신호 처리부(360)로부터 결정된 음향 신호의 종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헤드레스트 스피커(600) 중 음향이 출력될 헤드레스트 스피커(600)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가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에서 음향이 출력될 영역을 제1영역(Z1)으로 결정한 경우, 제어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레스트 스피커(600) 중에서 제1영역(Z1)의 좌석에 설치된 좌측 헤드레스트 스피커 1(601a) 및 우측 헤드레스트 스피커 1(601b)를 음향이 출력될 헤드레스트 스피커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좌측 헤드레스트 스피커 1(601a) 및 우측 헤드레스트 스피커 1(601b)가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제1영역(Z1)에 위치한 운전자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좌측 헤드레스트 스피커 1(601a) 및 우측 헤드레스트 스피커 1(601b)로부터 출력된 음향을 청취할 수 있다.
이 때, 헤드레스트 스피커(600)에 포함된 패시브 라디에이터(610)는 저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
차량(1) 내부의 제1영역(Z1)에 설치된 좌측 헤드레스트 스피커 1(601a) 및 우측 헤드레스트 스피커 1(601b)로부터 음향이 출력됨으로써, 제1영역(Z1)과 제1영역(Z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한 음향 대조도가 20dB 이상이 되므로, 운전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로부터 제1영역(Z1)으로 출력되는 음향을 효과적으로 청취할 수 있다. 또한, 제1영역(Z1)을 제외한 영역에 위치하는 동승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청취하지 못한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필터링부(450)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 각각이 출력하는 음향 신호를 필터링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00)가 생성한 보강 간섭 제어 신호 및 상쇄 간섭 제어 신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 각각이 출력하는 음향 신호가 보강 간섭 또는 상쇄 간섭을 발생시킬 수도 있으나, 제어부(10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가 필터링부(450)를 통해 미리 설정된 형태로 필터링 됨으로써 스피커(400) 각각이 보강 간섭 또는 상쇄 간섭을 발생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이러한 필터링부(450)는 전달함수(transfer function) 형태의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100)가 생성한 음향 제어 신호에 대해 특정 주파수 대역을 제거하거나 통과시킴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가 제어부(100)에 의해 미리 정해진 차량(1) 내부의 특정 영역으로만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가 생성한 음향 출력 제어 신호는 필터링부(450)를 통과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이 제거되거나 통과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를 통해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만 음향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필터링부(450)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가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제어부(100)에서 생성한 신호를 최적화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에서 차량(1) 내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만 음향 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데,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는 음향 신호가 보강 간섭이 발생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면, 미리 정해진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상쇄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음향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제어부(100)가 차량(1) 내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 출력되는 음향 신호가 상쇄 간섭이 발생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면,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는 음향 신호가 보강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음향 신호가 약화되는 경우가 있다.
필터링부(450)는 제어부(100)에서 생성되는 음향 제어 신호에 대해 미리 정해진 최적화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차량(1) 내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는 음향 신호에 대해서는 상쇄되는 부분 없이 보강 간섭이 발생하도록 제어 신호를 최적화하고, 미리 정해진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 출력되는 음향 신호에 대해서는 보강되는 부분 없이 상쇄 간섭이 발생하도록 제어 신호를 최적화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1) 내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는, 제어부(100)에 의해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만 출력될 수 있고, 미리 정해진 영역에 위치하는 운전자 또는 동승자만 스피커(40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청취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제어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 중에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결정하고, 결정된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에 대한 보강 간섭 제어 신호 및 상쇄 간섭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1) 내부에 마련된 스피커 1(401) 내지 스피커 6(406) 모두를 통해 음향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미리 정해진 스피커를 통해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가 스피커로부터 음향이 출력되는 영역을 제1영역(Z1)으로 결정한 경우 제어부(100)는 제1영역(Z1)과 인접한 스피커 1(401) 및 스피커 4(404)를 음향이 출력되는 스피커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미리 정해진 제1영역(Z1)으로만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는 보강 간섭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1영역(Z1) 이외의 영역으로는 음향이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상쇄 간섭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미리 결정된 스피커 1(401) 및 스피커 4(404)에 전달할 수 있다.
스피커 1(401) 및 스피커 4(404)는 제어부(100)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발생된 보강 간섭에 따라 제1영역(Z1)으로 음향을 출력하고, 제어부(10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발생된 상쇄 간섭에 따라 제1영역(Z1)을 제외한 영역으로는 음향을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가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에서 음향이 출력될 영역을 제1영역(Z1)으로 결정한 경우, 제어부(100)는 좌측 헤드레스트 스피커 1(601a) 및 우측 헤드레스트 스피커 1(601b)가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영역(Z1)에 위치한 운전자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좌측 헤드레스트 스피커 1(601a) 및 우측 헤드레스트 스피커 1(601b)로부터 출력된 음향을 청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차량(1) 내부의 분리된 영역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에서 출력된 음향이 출력될 미리 정해진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차량(1)에 탑승한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기준 또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스피커(400)에서 음향이 출력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음향 신호 처리부(360)는 차량(1)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향 신호 처리부(360)에 포함된 음향 신호 수신부(361)는 차량(1)에 거치된 스마트폰 등 외부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음향 신호 판단부(362)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를 통해 출력될 음향 신호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음향 신호 처리부(360)는 차량(1)에서 자체적으로 출력되는 음향 신호와 차량(1) 외부로부터 수신되어 출력될 음향 신호를 판단하고, 제어부(100)는 이러한 음향 신호의 종류에 따라 차량(1) 내부의 분리된 영역 중 음향이 출력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신호 처리부(360)로부터 결정된 음향 신호의 종류가 차량(1)에 거치된 스마트폰을 통해서 블루투스로 연결되는 음성 통화 신호인 경우에는, 제어부(100)는 차량(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를 통해 음향이 출력될 영역을 동승자가 위치하는 제3영역(Z3)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 음향 신호 처리부(360)로부터 결정된 음향 신호의 종류가 음악 재생 신호인 경우에는, 제어부(100)는 차량(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를 통해 음향이 출력될 영역을 다른 동승자가 위치하는 제2영역(Z2)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음향 신호 처리부(360)로부터 결정된 음향 신호의 종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헤드레스트 스피커(600) 중 음향이 출력될 헤드레스트 스피커(600)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도 11을 참고하면, 차량(1) 내부의 분리된 영역 중에서 운전자를 제외한 동승자가 제2영역(Z2)에 위치하고, 다른 동승자는 제3영역(Z3)에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에서 음향이 출력될 영역을 제3영역(Z3)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에서 출력되는 음향(스마트폰을 통해서 블루투스로 연결되는 음성 통화 신호)이, 동승자가 위치하는 제3영역(Z3)으로 출력되고 다른 동승자가 위치하는 제2영역(Z2)으로는 출력되지 않도록 음향 출력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제어부(100)는 차량(1) 내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에서 출력된 음향이 차량(1) 내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고, 미리 정해진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는 음향이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0)는 차량(1)의 분리된 내부 영역 중에서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의 음향 신호는 보강 간섭이 발생하고, 미리 정해진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 출력되는 음향 신호는 상쇄 간섭이 발생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00)가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에서 음향이 출력될 영역을 제3영역(Z3)으로 결정한 경우, 제어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에서 출력된 음향이 제3영역(Z3)으로 출력되고, 제3영역(Z3)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는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차량(1) 내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는 제어부(100)가 생성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발생된 보강 간섭에 따라 제3영역(Z3)으로만 음향을 출력하고, 제어부(100)가 생성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발생된 상쇄 간섭에 따라 제3영역(Z3)을 제외한 영역으로는 음향을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 각각이 출력하는 음향 신호의 위상차에 기초하여 음향 신호들 간에 보강 간섭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보강 간섭에 의해 미리 정해진 제3영역(Z3)으로만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3영역(Z3)에 위치하는 동승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청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 각각이 출력하는 음향 신호의 위상차에 기초하여 음향 신호들 간에 상쇄 간섭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상쇄 간섭에 의해 미리 정해진 제3영역(Z3)이 아닌 제2영역(Z2)으로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3영역(Z3)에 위치하는 동승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청취할 수 있지만, 제2영역(Z2)에 위치하는 다른 동승자는 스피커(4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청취할 수 없다.
제어부(100)는 차량(1) 내부의 미리 정해진 영역의 헤드레스트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헤드레스트 스피커(600)가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헤드레스트 스피커(600)는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음향 신호 처리부(360)로부터 결정된 음향 신호의 종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헤드레스트 스피커(600) 중 음향이 출력될 헤드레스트 스피커(600)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가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에서 음향이 출력될 영역을 제3영역(Z3)으로 결정한 경우, 제어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레스트 스피커(600) 중에서 제3영역(Z3)의 좌석에 설치된 좌측 헤드레스트 스피커 3(603a) 및 우측 헤드레스트 스피커 3(603b)를 음향이 출력될 헤드레스트 스피커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좌측 헤드레스트 스피커 3(603a) 및 우측 헤드레스트 스피커 3(603b)가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제3영역(Z3)에 위치한 동승자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좌측 헤드레스트 스피커 3(603a) 및 우측 헤드레스트 스피커 3(603b)로부터 출력된 음향을 청취할 수 있다.
이 때, 헤드레스트 스피커(600)에 포함된 패시브 라디에이터(610)는 저주파수 대역의 음향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
차량(1) 내부의 제3영역(Z3)에 설치된 좌측 헤드레스트 스피커 3(603a) 및 우측 헤드레스트 스피커 3(603b)로부터 음향이 출력됨으로써, 제3영역(Z3)과 제3영역(Z3)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한 음향 대조도가 20dB 이상이 되므로, 동승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로부터 제3영역(Z3)으로 출력되는 음향을 효과적으로 청취할 수 있다. 또한, 제3영역(Z3)을 제외한 영역에 위치하는 탑승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청취하지 못한다.
도 13을 참고하면, 제어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 중에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결정하고, 결정된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에 대한 보강 간섭 제어 신호 및 상쇄 간섭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1) 내부에 마련된 스피커 1(401) 내지 스피커 6(406) 모두를 통해 음향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미리 정해진 스피커를 통해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가 스피커로부터 음향이 출력되는 영역을 제3영역(Z3)으로 결정한 경우 제어부(100)는 제3영역(Z3)과 인접한 스피커 5(405) 및 스피커 6(406)를 음향이 출력되는 스피커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미리 정해진 제3영역(Z3)으로만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는 보강 간섭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3영역(Z3) 이외의 영역으로는 음향이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상쇄 간섭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미리 결정된 스피커 5(405) 및 스피커 6(406)에 전달할 수 있다.
스피커 5(405) 및 스피커 6(406)는 제어부(100)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발생된 보강 간섭에 따라 제3영역(Z3)으로 음향을 출력하고, 제어부(10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발생된 상쇄 간섭에 따라 제3영역(Z3)을 제외한 영역으로는 음향을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가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400)에서 음향이 출력될 영역을 제3영역(Z3)으로 결정한 경우, 제어부(100)는 좌측 헤드레스트 스피커 3(603a) 및 우측 헤드레스트 스피커 3(603b)가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영역(Z3)에 위치한 동승자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좌측 헤드레스트 스피커 3(603a) 및 우측 헤드레스트 스피커 3(603b)로부터 출력된 음향을 청취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 차량
100 : 제어부
360 : 음향 신호 처리부
400 : 스피커
450 : 필터링부
500 : 저장부
600 : 헤드레스트 스피커
610 : 패시브 라디에이터

Claims (25)

  1. 차량 내부에 마련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차량 내부 좌석의 헤드레스트에 마련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레스트 스피커; 및
    상기 차량 내부 영역을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분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에서 출력된 음향이 상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는 상기 출력된 음향이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의 헤드레스트에 마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헤드레스트 스피커가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음향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상기 음향 신호의 종류를 결정하고,
    상기 음향 신호의 종류는,
    음악 재생 신호, 동영상 재생 신호, 음성 통화 신호, 네비게이션 안내 신호 및 경고 신호를 포함하는 차량.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음향 신호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헤드레스트 스피커 중 상기 음향이 출력될 헤드레스트 스피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헤드레스트 스피커는,
    상기 결정된 미리 정해진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레스트 스피커를 포함하는 차량.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헤드레스트 스피커는,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의 주파수를 가지는 음향 신호를 증폭시키는 패시브 라디에이터(passive radiator);를 포함하는 차량.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헤드레스트 스피커에 마련된 상기 패시브 라디에이터가, 상기 결정된 음향 신호에 포함된 상기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의 주파수 신호를 증폭시키도록 제어하는 차량.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 스피커는,
    상기 헤드레스트에 미리 정해진 각도로 설치되는 차량.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음향 신호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된 차량 내부 영역 중 상기 음향이 출력될 미리 정해진 영역을 결정하는 차량.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리된 차량 내부 영역 중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는 음향 신호는 보강 간섭이 발생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 출력되는 음향 신호는 상쇄 간섭이 발생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는,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발생된 상기 보강 간섭에 따라 상기 분리된 차량 내부 영역 중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음향을 출력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발생된 상기 상쇄 간섭에 따라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는 음향을 출력하지 않는 차량.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을 결정하는 차량.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 신호에 대한 상기 보강 간섭 제어 신호 및 상기 상쇄 간섭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중에서 상기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에 대한 상기 보강 간섭 제어 신호 및 상기 상쇄 간섭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14. 차량 내부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차량 내부 좌석의 헤드레스트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헤드레스트 스피커가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에서 출력된 음향이 상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는 상기 출력된 음향이 출력되지 않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의 헤드레스트에 마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헤드레스트 스피커가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차량 제어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외부로부터 수신한 음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상기 음향 신호의 종류를 결정하고;
    상기 음향 신호의 종류는,
    음악 재생 신호, 동영상 재생 신호, 음성 통화 신호, 네비게이션 안내 신호 및 경고 신호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음향 신호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헤드레스트 스피커 중 상기 음향이 출력될 헤드레스트 스피커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헤드레스트 스피커는,
    상기 결정된 미리 정해진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레스트 스피커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헤드레스트 스피커가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의 주파수를 가지는 음향 신호를 증폭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헤드레스트 스피커가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상기 결정된 음향 신호에 포함된 상기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의 주파수 신호를 증폭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방법.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미리 정해진 영역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결정된 음향 신호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된 차량 내부 영역 중 상기 음향이 출력될 미리 정해진 영역을 결정하는 차량 제어방법.
  21.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분리된 차량 내부 영역 중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출력되는 음향 신호는 보강 간섭이 발생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 출력되는 음향 신호는 상쇄 간섭이 발생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제어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발생된 상기 보강 간섭에 따라 상기 분리된 차량 내부 영역 중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으로 음향을 출력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발생된 상기 상쇄 간섭에 따라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을 제외한 영역으로는 음향을 출력하지 않는 차량 제어방법.
  23.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미리 정해진 영역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을 결정하는 차량 제어방법.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음향 신호에 대한 상기 보강 간섭 제어 신호 및 상기 상쇄 간섭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제어방법.
  25.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중에서 상기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에 대한 상기 보강 간섭 제어 신호 및 상기 상쇄 간섭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방법.
KR1020180001992A 2018-01-05 2018-01-05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8393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992A KR20190083936A (ko) 2018-01-05 2018-01-05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6/178,235 US20190215606A1 (en) 2018-01-05 2018-11-01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992A KR20190083936A (ko) 2018-01-05 2018-01-05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936A true KR20190083936A (ko) 2019-07-15

Family

ID=67141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992A KR20190083936A (ko) 2018-01-05 2018-01-05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90215606A1 (ko)
KR (1) KR201900839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78498A (zh) * 2020-09-11 2020-12-15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智能座舱的声音输出控制方法和智能座舱
KR102240188B1 (ko) 2020-03-05 2021-04-14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복수영역 음장 제어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60803B2 (en) * 2019-07-26 2022-03-01 Polaris Industries Inc. Audio system for a utility vehicle
CN112744180B (zh) * 2019-10-29 2023-04-28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连接的车辆控制的系统和方法
FR3104085B1 (fr) * 2019-12-09 2021-11-05 Psa Automobiles Sa Appuie-tête pour siège comportant un dispositif de reproduction sonore, et vé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tel appuie-tête
FR3109754B1 (fr) * 2020-04-29 2022-05-13 Faurecia Sieges Dautomobile Appui-tête pour siège de véhicule et siège associé
GB2595318A (en) * 2020-10-23 2021-11-24 Pss Belgium Nv Loudspeaker arrangement
WO2023219144A1 (ja) * 2022-05-13 2023-11-16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音響システム及び車両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2605A (en) * 1967-08-31 1970-05-19 David D Mccorkle Stereo speaker headrest for an automobile seat
JPS5899991U (ja) * 1981-12-25 1983-07-07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スピ−カシステム
EP2611213B1 (en) * 2011-12-29 2015-08-26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Sound system with individual playback zones
US10623857B2 (en) * 2016-11-23 2020-04-14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Individual delay compensation for personal sound zones
US10397681B2 (en) * 2016-12-11 2019-08-27 Base Corporation Acoustic transduc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188B1 (ko) 2020-03-05 2021-04-14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복수영역 음장 제어시스템
CN112078498A (zh) * 2020-09-11 2020-12-15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智能座舱的声音输出控制方法和智能座舱
CN112078498B (zh) * 2020-09-11 2022-03-18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智能座舱的声音输出控制方法和智能座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15606A1 (en)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3936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726867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2526081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827698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7916039B2 (en) System for conveying audio information with a spatial characteristic to a vehicle occupant
KR102459237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106364430B (zh) 车辆控制装置及其车辆控制方法
US20050041819A1 (en) Sound-based vehicle safety system
US20160345115A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10308176B2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3299199A (ja) 音響出力装置
JP2007122536A (ja) 車両用障害物通知装置
KR102135661B1 (ko) 음향 장치 및 이동체
US20200086788A1 (en) Method and system for alerting drivers with direction specific audio system
JP2006190193A (ja) 車両用警報装置
US10889238B2 (en) Method for providing a spatially perceptible acoustic signal for a rider of a two-wheeled vehicle
KR20210096879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112166048A (zh) 用于交通工具的音频设备和操作用于交通工具的音频设备的方法
TW201617247A (zh) 車載多媒體系統與控制方法
CN114852009A (zh) 车辆用安全带装置
CN113581071A (zh) 用于外部环境感测和渲染的系统和方法
US20190206256A1 (en) Motor vehicle having a sound capture device
JP2019129441A (ja) 楽曲提供システム及び楽曲提供方法
JP2009286186A (ja) 車載オーディオシステム
US20230132456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mobile object,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