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724B1 -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이것을 포함하는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이들을 포함하는 편광판, 그리고 이들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이것을 포함하는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이들을 포함하는 편광판, 그리고 이들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724B1
KR102525724B1 KR1020207028719A KR20207028719A KR102525724B1 KR 102525724 B1 KR102525724 B1 KR 102525724B1 KR 1020207028719 A KR1020207028719 A KR 1020207028719A KR 20207028719 A KR20207028719 A KR 20207028719A KR 102525724 B1 KR102525724 B1 KR 102525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temporary support
film
degrees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8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9139A (ko
Inventor
겐조 가사하라
Original Assignee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29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지지체 부착 상태에서의 광학 필름의 컬을 저감함과 함께, 사용 시에 가지지체를 박리함으로써 광학 필름의 박막화를 가능하게 하고, 당해 광학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부재의 광학 특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박리 가능한 가지지체와, 부의 위상차 발현성을 갖는 수지를 함유하는 부의 수지 배향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갖고, 상기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상기 부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이 대략 직교인,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이것을 포함하는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이들을 포함하는 편광판, 그리고 이들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이것을 포함하는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이들을 포함하는 편광판, 그리고 이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에는 전력 절약에 대한 요망이 높아짐과 함께, 시야각 및 표시 성능에 대한 요구도 한층 높아지고 있다. 새로운 방식의 표시 장치로서,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이하, 유기 EL 로 약기한다.) 를 사용한 표시 장치, 즉, 유기 EL 표시 장치가 주목받고 있다.
유기 EL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발광층으로부터의 광을 시인 측으로 효율적으로 취출 (取出) 하기 위해, 음극을 구성하는 전극층으로서 광 반사성이 높은 금속 재료를 사용하는 것, 또는 별도 광 반사 부재로서 금속판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경면을 갖는 광 반사 부재를 광 취출면과는 반대 측의 면에 설치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는, 광 취출용의 광 반사 부재에 외광이 반사하여, 비침이 발생하고, 조도가 높은 환경하에서는 콘트라스트가 크게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반사 방지 필름으로서 원 편광판을 사용하는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원 편광판은, 일반적으로는, 흡수형 직선 편광자와, λ/4 위상차 필름을 적층하여 형성된다. 반사 방지 필름으로서의 원 편광판은, 저반사율은 물론, 반사광에 색미가 없을 것 (뉴트럴 블랙), 또한 경사 방향으로부터의 관찰에 있어서도 이 저반사율과 뉴트럴 블랙을 유지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λ/4 위상차 필름의 중심 파장에서의 위상차가 λ/4 인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가시광의 전체 파장 대역에서 λ/4 위상차를 나타내는 파장 분산 (역분산) 을 갖는 것이 이상으로 되어 있다. 또, 경사 시야에서의 λ/4 위상차의 유지 성능의 지표가 되는 Nz 팩터 = (nx - nz)/(nx - ny) 가 작을 것이 필요로 된다. 여기서, nx 는, 필름의 면내 방향에 있어서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 x 에 있어서의 굴절률이며, ny 는, 필름의 면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방향 x 와 직교하는 방향 y 에 있어서의 굴절률이며, nz 는, 필름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굴절률이다.
넓은 파장역의 광에 대해 균일한 위상차를 부여하는 광대역 λ/4 위상차 필름으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77719호에는, 장척상의 투명 지지체 상에, 수평 배향한 봉상 액정성 화합물로 형성되고, 파장 550 nm 에 있어서의 위상차가 λ/2 인 제 1 광학 이방성층과, 수평 배향한 봉상 액정성 화합물로 형성된, 파장 550 nm 에 있어서의 위상차가 λ/4 인 제 2 광학 이방성층을 갖는 위상차판이 개시되어 있다.
또, Nz 팩터에 주목한 광대역 λ/4 위상차 필름으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62669호에는, 봉상 액정성 분자가, 균일 경사 네마틱 배향하여 이루어지고, 파장 550 nm 에 있어서의 위상차가 80 ∼ 200 nm 인 제 1 광학 이방성층과, 정 (正) 의 광학 이방성을 가지는 액정성 분자가 수평 배향하여 이루어지는, 파장 550 nm 에 있어서의 위상차가 200 ∼ 350 nm 이고, Nz 팩터가 0.5 ∼ 2.0 인 제 2 광학 이방성층과, 투명 지지체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을 갖는 위상차판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는, 모바일 용도의 디스플레이 용도 등의 추가적인 박형화의 경향, 및 플렉시블 디바이스로서의 응용에 대한 기대로부터, 위상차 필름을 비롯한 광학 필름 등의 각종 부재의 박막화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광학 필름은, 통상, 20 ㎛ 이하가 되면 자기 지지성이 저하하여, 극단적으로 핸들링성이 열등한 점에서, 지지체와 광학 이방성층의 적층체로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액정층을 갖는 광학 필름에 있어서도, 액정층의 막두께는, 일반적으로는 수 ㎛ 오더로 박막인 점에서, 지지체 상에 액정 화합물을 도포하고, 배향시키고,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와 같이, 통상, 지지체와 일체가 되어 광학 필름으로서 사용된다.
여기서, 광학 필름의 추가적인 박막화를 목적으로 하여,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96144호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3/0031845호 명세서에 대응) 에는, 박리 가능한 가지지체와 액정층을 갖고, 액정층의 표면 경도가 박리면 (박리 가능한 가지지체 측의 면) 근방보다 접착면 근방에서 작은 액정성 전사체를 사용하여, 액정층을 피전사체에 전사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상기와 같은 광학 이방성층과 박리 가능한 가지지체의 적층체에 있어서는, 광학 이방성층과 박리 가능한 가지지체의 물성차의 영향에 의해, 광학 이방성층의 특성이 열화하는 경우나, 광학 이방성층의 피전사체에의 전사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박리 가능한 가지지체의 특성의 영향을 배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29121호에는, 가지지체 전구체층과 수지층인 광학 이방성층 전구체층을 갖는 비연신 기재를 연신하여 박리 가능한 가지지체와 광학 이방성층을 갖는 전사 재료를 형성하고, 당해 전사 재료를 기재 상에 적층한 후, 이들 적층체로부터 박리 가능한 가지지체를 박리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77719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62669호의 기술에서는, 지지체 상에 액정 배향막 및 액정층을 순차 형성하는 것을 반복하여 λ/4 위상차 필름을 제작할 필요가 있다. 이때, 액정 배향막 및 액정층의 도포 형성을 복수회 반복하는 점에서, 도공액의 크레이터링 등에서 유래하는 결함이 생기고 쉽고, 이 결함에 의해 반사율이 증대하여 반사 방지 성능의 저하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96144호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2003/0031845호 명세서에 대응) 의 기술에서는, 광학 이방성층으로서 액정층을 사용하는 점에서, 액정층 경화 시의 수축에 의해, 박리 가능한 가지지체와 액정층의 적층체에 컬이 발생하여, 2 층 이상의 액정층을 적층할 때에 그 도포 형성이 곤란해지고, 또 액정층을 피전사체에 전사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29121호의 기술에서는, 광학 이방성층을 1 층만 전사하여 위상차 필름으로서 사용하고 있어, 광대역 λ/4 위상차 필름의 실현이나, 저 Nz 팩터의 실현 등의 광학 필름의 고기능화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가지지체 부착 상태에서의 광학 필름의 컬을 저감함과 함께, 사용 시에 가지지체를 박리함으로써 광학 필름의 박막화를 가능하게 하고, 당해 광학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부재의 광학 특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과제는, 이하의 수단에 의해 해결된다.
원단 필름 상에, 부 (負) 의 위상차 발현성을 갖는 수지를 함유하는 부의 수지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원단 필름과, 상기 부의 수지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형성하는 적층 공정과,
상기 적층체를 연신함으로써, 상기 원단 필름으로부터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을 갖는, 박리 가능한 가지지체를 형성하는 것과, 상기 부의 수지층으로부터 면내에 지상축을 갖는 부의 수지 배향층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상기 부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을 대략 직교로 하는 것을 갖는 연신 공정을 포함하는,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의 제조 방법.
또, 본 발명의 상기 과제는, 이하의 수단에 의해서도 해결된다.
박리 가능한 가지지체와, 부의 위상차 발현성을 갖는 수지를 함유하고, 면내에 지상축을 갖는 부의 수지 배향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갖고, 상기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상기 부의 수지 배향층의 지상축 방향이 대략 직교인,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도 1 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된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의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된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의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를 나타내는 「X ∼ Y」 는 「X 이상 Y 이하」를 의미한다. 또, 특기하지 않는 한, 조작 및 물성 등은, 실온 (20 ∼ 25 ℃)/상대습도 40 ∼ 50 %RH 의 조건에서 측정한다. 또 「(메트)아크릴레이트」 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의 총칭이다. (메트)아크릴산 등의 (메트) 를 포함하는 화합물 등도 동일하게, 명칭 중에 「메트」를 갖는 화합물과 「메트」를 갖지 않는 화합물의 총칭이다.
또,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 도면의 치수 비율은, 설명의 형편상 과장되어 있고, 실제의 비율과는 상이한 경우가 있다.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일 형태는, 박리 가능한 가지지체 (이하, 간단히 「가지지체」라고도 칭한다.) 와, 부의 위상차 발현성을 갖는 수지를 함유하고, 면내에 지상축을 갖는 부의 수지 배향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갖고, 상기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상기 부의 수지 배향층의 지상축 방향이 대략 직교인,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가지지체 부착 상태에서의 광학 필름의 컬을 저감함과 함께, 사용 시에 가지지체를 박리함으로써 광학 필름의 박막화를 가능하게 하여, 당해 광학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부재의 광학 특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이 제공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된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의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여기서, 도 1(A) 는 적층 구조를, 도 1(B) 는 박리 가능한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부의 수지 배향층의 지상축 방향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 에 있어서, 1 은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을, 2 는 박리 가능한 가지지체를, 3 은 부의 수지 배향층을, 4 는 박리 가능한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을, 5 는 부의 수지 배향층의 지상축 방향을, 각각 나타낸다. 단, 본 발명에 관련된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의 구성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자는, 상기 구성에 의해 과제가 해결되는 메커니즘을 이하와 같이 추정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된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은, 박리 가능한 가지지체를 갖는다. 이것으로부터, 당해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을 사용한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의 제조 시 및 그 가공 시에 있어서 충분한 핸들링성을 가능하게 하면서, 편광자 등의 다른 부재에의 첩합 (貼合) 후에 가지지체를 박리함으로써, 광학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부재의 박막화가 실현된다.
또, 액정층을 갖는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컬은, 액정층의 경화 시에 액정층의 수축력이 발생하고, 이 수축력에서 기인하여 적층체 내의 역학적 밸런스가 무너짐으로써 발생한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된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은,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부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이 대략 직교이다. 여기서, 부의 수지 배향층은, 수지 분자의 주사슬 배향 방향과 그 면내의 지상축 방향이 직교하고 있고, 수지 분자의 주사슬 배향 방향으로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부의 수지 배향층이 그 위에 배치되는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는 방향이 대략 평행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된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의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 즉 변형에 대한 내성이 가장 높은 방향과, 그 위에 도포 형성하는 액정층의 수축력의 최대 방향인 액정 분자의 배향 방향 (액정 배향 방향) 이 일치한다. 그 결과, 가지지체가 액정층의 변형을 억제하여, 적층체 전체의 역학적 밸런스가 무너지는 것을 억제하는 점에서,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의 컬의 저감이 실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된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은, 부의 위상차 발현성을 갖는 수지를 함유하고, 면내에 지상축을 갖는 부의 수지 배향층을 갖는다. 이때, 당해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에 있어서, 부의 수지 배향층은, 부의 위상차 발현성에서 기인한 위상차 특성을 갖는다. 이것으로부터, 예를 들어, 당해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을 사용하여 λ/4 위상차 필름을 제조할 때에, 액정 배향막 및 액정층의 도포 형성을 복수회 실시하는 경우는 물론, 이들 도포 형성을 1 회만으로 한 경우여도, 저 Nz 팩터를 실현할 수 있다. 즉, 당해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은, 액정층을 갖는 λ/4 위상차 필름에 있어서, 저 Nz 팩터의 실현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또한, 이것을 사용한 원 편광판의 반사 방지 성능의 향상도 가능하게 한다. 또, 부의 수지 배향층이 적절한 파장 분산을 가짐으로써, 액정층의 파장 분산과의 조합에 의해, λ/4 위상차 필름의 위상차를 역분산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당해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에 의해,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부재의 광학 특성의 향상이 실현된다.
또한, 상기 메커니즘은 추측에 근거하는 것이며, 그 정오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원단 필름 및 박리 가능한 가지지체]
원단 필름은, 당해 원단 필름 및 부의 수지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연신하는 것을 거쳐 박리 가능한 가지지체가 된다. 원단 필름은, 연신에 의해,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을 갖는, 박리 가능한 가지지체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자기 지지성을 갖는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가지지체는,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에 자기 지지성을 부여하여, 핸들링성을 향상시키고,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액정층의 경화 시의 컬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박리 가능」이란, 적층 구조에 포함되는 다른 필름이나 층에 데미지를 주지 않고 박리 대상물을 박리할 수 있고, 당해 박리에 의한 인장 응력이 다른 필름이나 층의 파단점 응력보다 작은 것을 의미한다.
원단 필름 (가지지체) 은, 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광학 특성,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 안정성, 수분 차단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열가소성 수지는 1 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원단 필름 (가지지체) 은, 생산성의 관점에서,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불용인 수지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틸렌클로라이드는 각종 필름 재료의 용해능이 높다. 따라서, 원단 필름 상에의 부의 수지층의 형성이나,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상에의 배향막, 액정층 및 임의로 형성되는 그 밖의 층의 형성 시에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불용인 원단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이들 층 형성 재료의 선택 자유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불용」이란, 100 ㎛ 의 원단 필름을 실온에서 메틸렌클로라이드 중에 1 분 침지한 경우에, 원래의 필름 형상을 대체로 유지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불용인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의 원료 수지인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임의의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임의의 디올 성분을 중축합시켜 얻을 수 있다.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오르토프탈산, 2,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4-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디페닐카르복실산, 디페녹시에탄디카르복실산, 디페닐술폰카르복실산, 안트라센디카르복실산, 1,3-시클로펜탄디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헥사하이드로테레프탈산, 헥사하이드로이소프탈산, 말론산, 디메틸말론산, 숙신산, 3,3-디에틸숙신산, 글루타르산, 2,2-디메틸글루타르산, 아디프산, 2-메틸아디프산, 트리메틸아디프산, 피멜산, 아젤라산, 다이머산, 세바크산, 수베르산, 도데카디카르복실산, 그리고 이들의 염 및 이들의 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오르토프탈산, 2,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4-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염 혹은 이들의 무수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염 혹은 그 무수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디올 성분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2-시클로헥산디메탄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데카메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사디올,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술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에틸렌글루콜, 프로필렌글리콜인 것이 바람직하고, 에틸렌글리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디올 성분으로는, 이들은 각각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구체적인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가 더욱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가지지체의 광학 특성의 관점, 예를 들어, 후술하는 품질 보증 적성의 관점에서는, 원단 필름 (가지지체) 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로는,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고, (메트)아크릴계 수지가 더욱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계 수지 필름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필름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214713호에 기재된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필름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필름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테이진 주식회사 제조 퓨어에이스 (등록상표) C110-100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원단 필름 (가지지체) 이 수지 필름인 경우, 수지의 함유량은, 필름의 총질량에 대해 5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5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한 100 질량%).
원단 필름 (가지지체) 은, 편광판 보호 필름, 위상차 필름 등의 공지된 광학 필름에 사용되는 첨가제 등, 공지된 첨가 성분을 적절히 함유해도 된다. 첨가제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무기 미립자 등을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원단 필름 (가지지체) 은, 시판되는 것을 사용해도 되고,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되어도 된다.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용액 유연법으로 제조된 필름이나, 용융 유연법으로 제조된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또, 원단 필름 (가지지체) 은, 표면 처리가 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표면 처리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처리, 접착 용이 처리, 대전 방지 처리, 박리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박리 처리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실리콘계 박리제, 장사슬 알킬계 박리제, 불소계 박리제 등의 박리제에 의한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원단 필름은, 본 발명의 연신 공정에 의해,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을 갖는 것이 가능하면, 연신을 거쳐 제조된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원단 필름으로는, 연신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의 일례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용융하고, 시트상으로 압출 성형된 무배향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을 유리 전이 온도 이상의 온도에 있어서, 롤의 속도차를 이용하여 세로 방향으로 연신한 후, 텐터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연신하고, 열처리를 실시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원단 필름 (가지지체) 은, 장척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단 필름 (가지지체) 이 장척 필름임으로써,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가지지체 부착 상태에서의 광학 필름, 원 편광판 등도 장척상이 되고, 롤을 갖는 제조 장치로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이 보다 향상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장척이란, 띠상이고 롤상으로 권취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500 m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m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0 m ∼ 4000 m 이다.
원단 필름은, 본 발명에 관련된 연신 공정에 의해,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을 갖는, 가지지체가 된다. 또한, 가지지체가 장척 필름인 경우, 장척 방향 (MD 방향, 세로 방향) 과,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0 도 ± 10 도 (0 도 이상 10 도 이하) 의 범위 내, 45 도 ± 10 도 (35 도 이상 55 도 이하) 의 범위 내, 90 도 ± 10 도 (80 도 이상 90 도 이하)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0 도 ± 5 도 (0 도 이상 5 도 이하) 의 범위 내, 45 도 ± 5 도 (40 도 이상 50 도 이하) 의 범위 내, 90 도 ± 5 도 (85 도 이상 90 도 이하)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5 도 ± 5 도 (40 도 이상 50 도 이하) 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5 도 ± 4 도 (41 도 이상 49 도 이하) 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45 도 ± 3 도 (42 도 이상 48 도 이하)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45 도 ± 2 도 (43 도 이상 47 도 이하) 인 것이 특히 더 바람직하고, 45 도 ± 1 도 (44 도 이상 46 도 이하) 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고, 45 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장척 방향과,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장척 방향을 기준 (0 도) 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 중 보다 작은 쪽의 각도를 말하고, 0 도 이상 90 도 이하의 범위 내의 각도로 한다. 즉, 예를 들어, 장척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135 도이면, 반시계 방향으로 45 도이기도 하기 때문에, 이 경우, 0 도 이상 90 도 이하의 범위 내인 45 도의 값을 채용한다. 또, 예를 들어, 장척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100 도이면, 반시계 방향으로 80 도이기도 하기 때문에, 이 경우, 0 도 이상 90 도 이하의 범위 내인 80 도의 값을 채용한다.
또,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의 탄성률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 MPa 이상 5 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은,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으로부터 가지지체를 분리하여 박리하고, 박리 후의 가지지체로부터, 장변 방향과,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의 길이 방향 (장척 방향) 이었던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상이한 시험편을 복수 잘라내고, 인스트론사 제조 만능 시험기 5966 형을 사용하여 이들 시험편의 장변 방향의 탄성률을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또한, 측정 방법의 자세한 것은 실시예에 기재한다.
가지지체의 파장 550 nm 에 있어서의, 하기 식 (I) 로 나타내는 면내 방향의 위상차 Ro 는, 0 nm 이상 10 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하기 식 (II) 로 나타내는 면외 방향의 위상차 Rt 는, -25 nm 이상 25 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
식 (I) : Ro = (nx - ny) × d
식 (II) : Rt = {(nx + ny)/2 - nz} × d
(식 (I) 및 (II) 에 있어서, nx 는, 가지지체의 면내 방향에 있어서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 x 에 있어서의 굴절률이며, ny 는, 가지지체의 면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방향 x 와 직교하는 방향 y 에 있어서의 굴절률이며, nz 는, 가지지체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굴절률이며, d 는, 가지지체의 막두께 (nm) 이다).
상기 범위이면,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에 대해, 품질 보증 검사 시의 가지지체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어, 품질 보증 적성이 보다 향상된다. 동일한 관점에서, Ro 가 0 nm 이상 5 n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Rt 가 -10 nm 이상 10 n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Ro 가 0 nm 이상 3 n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Rt 가 -5 nm 이상 5 n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가지지체는, 파장 550 nm 에 있어서의 상기 식 (I) 로 나타내는 면내 방향의 위상차 Ro 를, 2 cm 간격으로 3 점 × 3 열의 합계 9 점에 대해 측정한 값의 최대값으로부터 최소값을 뺀 차를 위상차 변동값으로 했을 때, 당해 위상차 변동값이 작을수록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가지지체의 위상차 변동값은, 15 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n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n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이면,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에 대해, 품질 보증 검사 시의 가지지체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어, 품질 보증 적성이 보다 향상된다.
가지지체의 Ro 및 Rt 는, Axometrics 사 제조 AxoScan 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 방법의 자세한 것은 실시예에 기재한다.
원단 필름의 막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되지 않지만, 10 ∼ 3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20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 10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가지지체의 막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되지 않지만, 10 ∼ 2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15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 10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부의 수지층 및 부의 수지 배향층]
부의 수지층은, 부의 위상차 발현성을 갖는 수지를 함유하고, 상기 서술한 원단 필름 및 부의 수지층의 적층체를 연신함으로써, 부의 수지층을, 면내에 지상축을 갖는 부의 수지 배향층으로 할 수 있다. 부의 수지층은, 본 발명에 관련된 연신 공정에 의해, 부의 수지 배향층을 형성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부의 위상차 발현성을 갖는 수지를 함유하는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부의 수지 배향층은, 수지 분자의 주사슬 배향 방향과, 그 면내의 지상축 방향이 직교하고 있고, 부의 수지 배향층은, 수지 분자의 주사슬 배향 방향 (연신 방향) 으로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또, 부의 수지 배향층은, 부의 위상차 발현성에서 기인한 위상차 특성을 갖는다. 이것으로부터, 당해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은, 액정층을 갖는 λ/4 위상차 필름에 있어서, 역분산 및 저 Nz 팩터의 실현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또한, 이것을 사용한 원 편광판의 반사 방지 성능의 향상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부의 수지 배향층은, 당해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으로부터 제조되는 광학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부재의 광학 특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부의 위상차 발현성」이란, 연신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복굴절성을 발현하는 것, 즉 연신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위상차를 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부의 위상차 발현성을 갖는 수지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스티렌계 수지, 플루오렌계 수지, 푸마르산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액정층의 액정 배향성 및 부의 위상차 발현성의 관점에서, 푸마르산에스테르계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부의 위상차 발현성을 갖는 수지는 1 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스티렌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스티렌 또는 스티렌 유도체의 단독 중합체 ; 스티렌 또는 스티렌 유도체와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 ; 스티렌 또는 스티렌 유도체와 다른 모노머로부터 얻어지는 그래프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입수 용이성, 용해성, 제막성 등의 관점에서, 스티렌 또는 스티렌 유도체의 단독 중합체, 스티렌 또는 스티렌 유도체와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스티렌 또는 스티렌 유도체의 단독 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스티렌 또는 그 유도체의 단독 중합체의 예로는, 폴리스티렌, 폴리(α-메틸스티렌), 폴리(o-메틸스티렌), 폴리(p-메틸스티렌), 폴리(p-클로로스티렌), 폴리(o-니트로스티렌), 폴리(p-아미노스티렌), 폴리(p-카르복시스티렌), 폴리(p-페닐스티렌) 및 폴리(2,5-디클로로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스티렌 또는 스티렌 유도체와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의 예로는, 스티렌/(메트)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메트)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스티렌/(메트)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스티렌/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메트)아크릴산부틸 공중합체, 스티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스티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스티렌/이타콘산 공중합체, 스티렌/비닐카르바졸 공중합체, 스티렌/N-페닐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스티렌/비닐피리딘 공중합체, 스티렌/비닐나프탈렌 공중합체, α-메틸스티렌/(메트)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α-메틸스티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스티렌/α-메틸스티렌/(메트)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α-메틸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스티렌/스티렌 유도체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입수 용이성, 용해성, 제막성 등의 관점에서, 폴리스티렌이 바람직하다. 이들 스티렌계 수지는 1 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플루오렌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플루오렌 골격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플루오렌 골격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계 공중합체, 플루오렌 골격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플루오렌 골격을 갖는 폴리에스테르계 공중합체, 플루오렌 골격을 갖는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플루오렌 골격을 갖는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계 공중합체, 플루오렌 골격을 갖는 폴리아릴레이트, 플루오렌 골격을 갖는 폴리아릴레이트계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플루오렌계 수지는 1 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푸마르산에스테르계 수지로는, 공지된 수지를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64817호의 단락 「0018」 ∼ 「0026」 등에 기재된 수지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98371호의 단락 「0024」 ∼ 「0041」 등에 기재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푸마르산에스테르계 수지는, 하기 구성 단위 (1) 을 제공하는 모노머의 단독 중합체 ; 또는 하기 구성 단위 (1) 을 제공하는 모노머와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Figure 112020105631484-pct00001
상기 식 (1) 중, X3 및 X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직사슬 알킬기, 분기 사슬 알킬기, 또는 고리형 알킬기를 나타내고, * 는 인접하는 구성 단위 또는 말단기와의 결합 부분을 나타낸다.
X3 및 X4 로서 나타내는 직사슬 알킬기, 분기 사슬 알킬기, 또는 고리형 알킬기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탄소수 1 ∼ 12 의 직사슬 알킬기, 탄소수 3 ∼ 12 의 분기 사슬 알킬기, 탄소수 3 ∼ 12 의 고리형 알킬기를 들 수 있다. 여기서, 구체적으로는, 탄소수 1 ∼ 12 의 직사슬 알킬기로는, 구체적으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n-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등을 들 수 있고 ; 탄소수 3 ∼ 12 의 분기 사슬 알킬기로는, 이소프로필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등을 들 수 있고 ; 탄소수 3 ∼ 12 의 고리형 알킬기로는,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용해성, 액정층의 액정 배향성 및 부의 위상차 발현성의 관점에서, 분기 사슬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이소프로필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이소프로필기, tert-부틸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이소프로필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X3 및 X4 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지만,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상기 구성 단위 (1) 중에서도, 푸마르산디이소프로필 유래의 구성 단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구성 단위 (1) 은, 1 종만 단독으로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2 종 이상이 조합되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 푸마르산에스테르계 수지는, 액정층의 액정 배향성 및 부의 위상차 발현성의 관점에서, 상기 구성 단위 (1) 을 제공하는 모노머와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기 구성 단위 (1) 을 제공하는 모노머와 하기 구성 단위 (2) 를 제공하는 모노머의 공중합체가 더욱 바람직하다.
[화학식 2]
Figure 112020105631484-pct00002
상기 식 (2) 중, X1 은, 각각 독립적으로, 직사슬 알킬기, 분기 사슬 알킬기, 또는 고리형 알킬기를 나타내고, X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직사슬 알킬기, 분기 사슬 알킬기, 고리형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에스테르기, 수산기, 카르복실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내고, a 는 0 ∼ 5 의 정수를 나타내고, * 는 인접하는 구성 단위 또는 말단기와의 결합 부분을 나타낸다.
X1 로서 나타내는 직사슬 알킬기, 분기 사슬 알킬기, 또는 고리형 알킬기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탄소수 1 ∼ 12 의 직사슬 알킬기, 탄소수 3 ∼ 12 의 분기 사슬 알킬기, 탄소수 3 ∼ 12 의 고리형 알킬기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탄소수 1 ∼ 12 의 직사슬 알킬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n-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등을 들 수 있고 ; 탄소수 3 ∼ 12 의 분기 사슬 알킬기로는, 이소프로필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등을 들 수 있고 ; 탄소수 3 ∼ 12 의 고리형 알킬기로는,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중합성, 부의 위상차 발현성 및 용해성의 관점에서, X1 은, 탄소수 1 ∼ 12 의 직사슬 알킬기가 바람직하고,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메틸기, 에틸기가 더욱 바람직하고, 에틸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X2 로서 나타내는 직사슬 알킬기, 분기 사슬 알킬기, 또는 고리형 알킬기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탄소수 1 ∼ 12 의 직사슬 알킬기, 탄소수 3 ∼ 12 의 분기 사슬 알킬기, 탄소수 3 ∼ 12 의 고리형 알킬기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탄소수 1 ∼ 12 의 직사슬 알킬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n-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등을 들 수 있고 ; 탄소수 3 ∼ 12 의 분기 사슬 알킬기로는, 이소프로필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등을 들 수 있고 ; 탄소수 3 ∼ 12 의 고리형 알킬기로는,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X2 로서 나타내는 알콕시기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탄소수 1 ∼ 10 의 알콕시기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메톡시기, 에톡시기, 이소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이소부톡시기, sec-부톡시기, tert-부톡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액정층의 액정 배향성 및 부의 위상차 발현성의 관점에서, 에톡시기, 이소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이소부톡시기, sec-부톡시기, tert-부톡시기가 바람직하고, 에톡시기, 이소프로폭시기, tert-부톡시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에톡시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X2 로서 나타내는 아릴옥시기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페녹시기, 나프틸옥시기, 플루오레닐옥시기, 비페닐릴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X2 로서 나타내는 에스테르기로는, 식 : -O-C(=O)-R 또는 C(=O)-O-R 로 나타내는 기를 들 수 있다. 이때, R 은, 알킬기 또는 방향족기이다. 여기서 말하는 알킬기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탄소수 1 ∼ 12 의 직사슬 알킬기, 탄소수 3 ∼ 12 의 분기 사슬 알킬기, 탄소수 3 ∼ 12 의 고리형 알킬기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탄소수 1 ∼ 12 의 직사슬 알킬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n-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등을 들 수 있고 ; 탄소수 3 ∼ 12 의 분기 사슬 알킬기로는, 이소프로필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등을 들 수 있고 ; 탄소수 3 ∼ 12 의 고리형 알킬기로는,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방향족기로는, 탄소수 6 ∼ 24 의 아릴기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페닐기, p-톨릴기, 나프틸기, 비페닐기, 플루오레닐기, 안트릴기, 피레닐기, 아줄레닐기, 아세나프틸레닐기, 터페닐기, 페난스릴기 등을 들 수 있다.
X2 로서 나타내는 할로겐 원자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X2 는, 액정층의 액정 배향성 및 부의 위상차 발현성의 관점에서, 알콕시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a 는 0 ∼ 5 의 정수를 나타낸다. 그 중에서도, 중합성, 액정층의 액정 배향성 및 부의 위상차 발현성의 관점에서, a 는 0 ∼ 3 인 것이 바람직하고, 0 ∼ 2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 또는 1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a 가 2 이상인 경우, X2 로서 나타내는 기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또, a 가 1 ∼ 5 인 경우, X2 가 배치되는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적어도 4 위치 (파라 위치) 를 포함하는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상기 구성 단위 (2) 중에서도, 알콕시신남산에스테르 유래의 구성 단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4-메톡시신남산에틸 유래의 구성 단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 단위 (2) 는, 1 종만 단독으로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2 종 이상이 조합되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 단위 (1) 을 제공하는 모노머와 상기 구성 단위 (2) 를 제공하는 모노머의 공중합체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푸마르산디에스테르/알콕시신남산에스테르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푸마르산디이소프로필/4-메톡시신남산에틸 공중합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 단위 (1) 을 제공하는 모노머와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구성 단위 (1) 의 함유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액정층의 액정 배향성 및 부의 위상차 발현성의 관점에서, 구성 단위 (1) 부분 및 다른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 부분의 총몰량 100 몰% 에 대해, 1 ∼ 99 몰% 인 것이 바람직하고, 55 ∼ 97 몰%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 ∼ 95 몰%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 단위 (1) 을 제공하는 모노머의 단독 중합체 및 상기 구성 단위 (1) 을 제공하는 모노머와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체의 말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10 의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탄화수소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2 의 탄화수소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수소 원자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푸마르산에스테르계 수지는 1 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부의 위상차 발현성을 갖는 수지는, 용해성, 제막성 및 액정층의 액정 배향성의 관점에서,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로 측정한 용출 곡선으로부터 얻어지는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수평균 분자량이 30,000 ∼ 500,0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40,000 ∼ 400,00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000 ∼ 300,00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부의 수지층 및 부의 수지 배향층 중의 부의 위상차 발현성을 갖는 수지의 함유량은, 층의 총질량에 대해 5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5 질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한 100 질량%).
부의 수지층 및 부의 수지 배향층은, 편광판 보호 필름, 위상차 필름 등의 공지된 광학 필름에 사용되는 첨가제 등, 공지된 첨가 성분을 적절히 함유해도 된다. 첨가제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무기 미립자 등을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부의 수지 배향층의 파장 550 nm 에 있어서의 하기 식 (I) 로 나타내는 면내 방향의 위상차 Ro 는, 0 nm 초과 300 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하기 식 (II) 로 나타내는 면외 방향의 위상차 Rt 는, -300 nm 이상 0 n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
식 (I) : Ro = (nx - ny) × d
식 (II) : Rt = {(nx + ny)/2 - nz} × d
(식 (I) 및 (II) 에 있어서, nx 는, 부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 방향에 있어서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 x 에 있어서의 굴절률이며, ny 는, 부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방향 x 와 직교하는 방향 y 에 있어서의 굴절률이며, nz 는, 부의 수지 배향층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굴절률이며, d 는, 부의 수지 배향층의 막두께 (nm) 이다).
상기 Ro 및 Rt 가 하한값 이상이면, 수지 분자의 주사슬 배향 방향 (연신 방향) 으로의 액정 배향성이 보다 높아지고, 또,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광학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부재의 광학 특성이 보다 향상된다. 예를 들어, 액정층을 갖는 λ/4 위상차 필름에 있어서는, 역분산 및 저 Nz 팩터의 실현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또한, 이것을 사용한 원 편광판의 반사 방지 성능이 보다 향상된다. 또, 상기 Ro 및 Rt 가 상한값 이하이면, 액정층을 포함한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 전체로서, 보다 적절한 위상차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동일한 관점에서, Ro 는, 5 nm 이상 180 n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nm 이상 150 n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0 nm 이상 150 nm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50 nm 이상 150 nm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30 nm 이상 150 nm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 Rt 는, -180 nm 이상 -5 n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 nm 이상 -25 n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 nm 이상 -30 nm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150 nm 이상 -50 nm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50 nm 이상 -130 nm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부의 수지 배향층은, 적절한 파장 분산을 가지고 있어, 후술하는 액정층의 파장 분산과의 조합에 의해, 사용 상태의 광학 필름, 즉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의 광학 특성의 향상이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이 λ/4 위상차 필름인 경우, 위상차가 역분산이 되어, 넓은 파장역의 광에 대해 균일한 위상차를 부여하는 광대역 λ/4 위상차 필름이 실현되고, 원 편광판에 있어서 우수한 색미를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역분산은, 2 종류의 복굴절을 합성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의 위상차를, 그것보다 분산이 큰 (예를 들어, Ro(450 nm)/Ro(550 nm) 의 값이 1 초과이고, 또한 그 값이 정의 위상차의 Ro(450 nm)/Ro(550 nm) 보다 크다) 반대 부호의 부의 위상차로 없애도록 합성하는 (더하는) 것에 의해, 역분산을 합성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부의 수지 배향층은 부의 위상차 발현성을 갖는 점에서, 상기 식 (I) 에 의해 산출되는 당해 위상차를 부의 위상차로서 결정할 때, 부의 위상차에 있어서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 x 와 직교하는 방향을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으로 하는 위상차는, 정의 위상차가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된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후술하는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의 바람직한 양태는, 그 파장 분산의 설명에서 서술하는 바와 같이, 부의 수지 배향층이 부의 위상차를 갖고, 액정층이 정의 위상차를 갖는 것이 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된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은, 액정층의 위상차를 없애 역분산성을 높이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부의 수지층의 연신 방향 또는 부의 수지 배향층의 주사슬 배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지상축을 갖는 부의 수지 배향층에 대해, 부의 수지층의 연신 방향 또는 부의 수지 배향층의 주사슬 배향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액정층의 액정 분자가 배향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양자의 발현하는 위상차는 정부의 관계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된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후술하는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은, 이들 위상차의 합성에 의해 역분산이 실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의 수지 배향층의, 파장 550 nm 에 있어서의 상기 식 (I) 로 나타내는 면내 방향의 위상차 Ro 에 대한, 파장 450 nm 에 있어서의 상기 식 (I) 로 나타내는 면내 방향의 위상차 Ro 의 비인 파장 분산 Ro(450 nm)/Ro(550 nm) 는,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1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5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이면,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부재의 광학 특성이 보다 향상된다. 예를 들어, 액정층을 갖는 λ/4 위상차 필름에 있어서는, 역분산의 실현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또한, 이것을 사용한 원 편광판의 색미가 보다 향상된다. 또, 부의 수지 배향층의 파장 분산 Ro(450 nm)/Ro(550 nm) 는,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13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이면,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부재의 광학 특성이 보다 향상된다. 예를 들어, 액정층을 갖는 λ/4 위상차 필름에 있어서는, 역분산의 실현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또한, 이것을 사용한 원 편광판의 반사 방지 성능이 보다 향상된다.
본 발명의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에 있어서는, 상기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부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이 대략 직교이다. 여기서, 대략 직교란, 상기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부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90 도 ± 10 도 (80 도 이상 90 도 이하) 이며, 90 도 ± 5 도 (85 도 이상 90 도 이하) 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도 ± 4 도 (86 도 이상 90 도 이하)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도 ± 3 도 (87 도 이상 90 도 이하)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0 도 ± 2 도 (88 도 이상 90 도 이하)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90 도 ± 1 도 (89 도 이상 90 도 이하) 인 것이 특히 더 바람직하고, 90 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부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을 기준 (0 도) 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부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이 이루는 각도 중 보다 작은 각도를 말하고, 0 도 이상 90 도 이하의 범위 내의 각도로 한다. 즉, 예를 들어, 상기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135 도이면, 반시계 방향으로 45 도이기도 하기 때문에, 이 경우, 0 도 이상 90 도 이하의 범위 내인 45 도의 값을 채용한다. 또, 예를 들어, 상기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100 도이면, 반시계 방향으로 80 도이기도 하기 때문에, 이 경우, 0 도 이상 90 도 이하의 범위 내인 80 도의 값을 채용한다.
또,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이 장척 필름인 경우, 장척 방향 (MD 방향, 세로 방향) 과, 부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45 도 ± 10 도 (35 도 이상 55 도 이하) 인 것이 바람직하고, 45 도 ± 5 도 (40 도 이상 50 도 이하)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5 도 ± 4 도 (41 도 이상 49 도 이하)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5 도 ± 3 도 (42 도 이상 48 도 이하) 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45 도 ± 2 도 (43 도 이상 47 도 이하)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45 도 ± 1 도 (44 도 이상 46 도 이하) 인 것이 특히 더 바람직하고, 45 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장척 방향과, 부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장척 방향을 기준 (0 도) 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부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이 이루는 각도 중 보다 작은 쪽의 각도를 말하고, 0 도 이상 90 도 이하의 범위 내의 각도로 한다.
부의 수지 배향층의 Ro, Rt, 면내의 지상축 방향 및 파장 분산은, Axometrics 사 제조 AxoScan 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부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은, 파장 550 nm 에 있어서의 측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또한, 측정 방법의 자세한 것은 실시예에 기재한다.
부의 수지층의 막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되지 않지만, 10 ∼ 3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20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 10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부의 수지 배향층의 막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되지 않지만, 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수지 분자의 주사슬 배향 방향 (연신 방향) 으로의 액정 배향성이 보다 높아지고, 또,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부재의 광학 특성이 보다 향상된다. 예를 들어, 액정층을 갖는 λ/4 위상차 필름에 있어서는, 역분산 및 저 Nz 팩터의 실현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또한, 이것을 사용한 원 편광판의 반사 방지 성능이 보다 향상된다. 또, 부의 수지층의 막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3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후술하는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액정층의 경화 시에 발생하는 액정층의 수축력에 의한 적층체 내에 있어서의 역학적 모멘트가 일정 이하가 되어, 적층체 전체의 역학적 밸런스가 보다 유지되기 쉬워지는 점에서,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의 컬의 저감 효과가 보다 높아진다. 이것으로부터, 부의 수지 배향층의 바람직한 일례로는, 1 ∼ 20 ㎛ 의 막두께를 갖는 것을 들 수 있고, 막두께와, 전술한 Ro 및 Rt 의 조합으로서의 바람직한 일례로는, 막두께가 1 ㎛ ∼ 20 ㎛ 이하이며, Ro 가 10 nm 이상 150 nm 이하이며, Rt 가 -150 nm 이상 -30 nm 이하인 것을 들 수 있다.
[다른 기능층]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된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은, 본 발명 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다른 기능층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른 기능층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가지지체의 부의 수지 배향층과는 반대 측의 면 측에 배치되어도 되고, 부의 수지 배향층의 가지지체와는 반대 측에 배치되어도 되고, 또 가지지체와 부의 수지 배향층 사이에 배치되어도 된다. 다른 기능층으로는, 편광판이나, 편광판 보호 필름, 위상차 필름 등의 공지된 광학 필름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형성되는 층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 코트층, 접착 용이층, 방현층, 반사 방지층, 저반사층, 저반사 방현층, 반사 방지 방현층, 대전 방지층, 실리콘층, 점접착층, 방오층, 내지문층, 발수층, 및 블루 컷층 등을 들 수 있다.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는, 원단 필름 상에, 부의 위상차 발현성을 갖는 수지를 함유하는 부의 수지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원단 필름과, 상기 부의 수지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형성하는 적층 공정과, 상기 적층체를 연신함으로써, 상기 원단 필름으로부터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을 갖는, 박리 가능한 가지지체를 형성하는 것과, 상기 부의 수지층으로부터 면내에 지상축을 갖는 상기 부의 수지 배향층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상기 부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을 대략 직교로 하는 것을 포함하는 연신 공정을 포함하는,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가지지체 부착 상태에서의 광학 필름의 컬을 저감함과 함께, 사용 시에 가지지체를 박리함으로써 광학 필름의 박막화를 가능하게 하고, 당해 광학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부재의 광학 특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된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의 제조 방법은,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부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을 대략 직교로 하는 연신 공정을 포함한다. 당해 방법은, 상기 컬의 저감을 실현하기 위한 구성, 및 상기 광학 특성의 향상을 실현하기 위한 구성을 한 번에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수가 감소되어, 생산성의 향상이 실현된다. 또, 당해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을 사용한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의 제조나, 그 후의 부재의 가공에 있어서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충분한 핸들링성을 가능하게 하고, 액정 배향막 및 액정층의 도포 형성의 횟수를 저감할 수 있으므로, 수율을 향상시켜, 생산성의 향상이 실현된다.
[적층 공정]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 관련된 제조 방법은, 원단 필름 상에, 부의 위상차 발현성을 갖는 수지를 함유하는 부의 수지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원단 필름과, 상기 부의 수지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형성하는 적층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부의 수지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전사나 도포, 유연 등의 공지된 방법이 사용된다. 또, 원단 필름을 준비한 후, 그 위에 부의 수지층을 형성해도 되고, 원단 필름과 부의 수지층을 공유연, 공압출 등에 의해 동시에 형성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재료 선택의 자유도나 생산성의 관점에서, 부의 수지층은, 원단 필름 상에 부의 수지층 도공액을 도포함으로써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의 수지층 도공액의 조제, 도포, 건조의 방법, 조건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방법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의 수지층 도공액은, 예를 들어, 부의 위상차 발현성을 갖는 수지, 및 임의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첨가 성분을, 용매 중에서 균질하게 혼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용매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디클로로메탄) 등의 염소계 용매 ; 톨루엔, 크실렌, 벤젠, 및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의 방향족계 용매 ;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2-부탄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사이드, 디옥산, 시클로헥산온,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MEK), 디에틸에테르,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아밀,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3-디옥솔란, 1,4-디옥산, 시클로헥산온, 포름산에틸, 2,2,2-트리플루오로에탄올, 2,2,3,3-헥사플루오로-1-프로판올, 1,3-디플루오로-2-프로판올, 1,1,1,3,3,3-헥사플루오로-2-메틸-2-프로판올,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판올, 2,2,3,3,3-펜타플루오로-1-프로판올, 니트로에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용해능, 건조성 및 제막성의 관점에서, 염소계 용매인 것이 바람직하고,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메틸렌클로라이드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들 용매는 1 종만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적층 공정은, 상기 원단 필름 상에, 부의 위상차 발현성을 갖는 수지와, 메틸렌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부의 수지층 도공액을 도포함으로써 부의 수지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원단 필름은,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불용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의 수지층 도공액에 있어서의 고형분 농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도포액의 총질량에 대해 1 ∼ 7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50 질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 30 질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부의 수지층 도공액의 도포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콤마 코트, 다이 코트, 바 코트, 롤 코트, 슬릿 코트, 슬릿 리버스 코트, 리버스 롤 코트, 그라비어 코트 등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도포 후의 건조 조건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건조 온도는 50 ∼ 2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건조 시간은 30 초 ∼ 10 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층 공정에 있어서, 부의 수지층 도공액은, 가지지체의 표면 상에 직접 도포해도 되고, 가지지체 상에 임의로 형성될 수 있는 다른 기능층의 표면 상에 직접 도포해도 된다.
또, 적층 공정에 있어서는, 원단 필름 이외의 지지체 상에, 부의 수지층 도공액을 도공한 후, 완전히 다 건조되지 않은 상태에서, 또는 건조 후의 부의 수지층 상태에서, 원단 필름 상에 전사함으로써 적층체를 형성해도 된다.
[연신 공정]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 관련된 제조 방법은, 원단 필름과, 부의 수지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연신함으로써,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을 갖는, 박리 가능한 가지지체를 형성하는 것과, 면내에 지상축을 갖는 부의 수지 배향층을 형성하는 것과,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부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을 대략 직교로 하는 것을 갖는 연신 공정을 포함한다.
연신 공정에서는, 상기 적층체를 연신함으로써, 원단 필름 중의 구성 재료의 연신 방향으로의 배향이 진행되어,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을 갖는 가지지체가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원단 필름이 수지 필름인 경우, 연신 방향으로 고분자 (수지) 의 주사슬이 배향함으로써, 연신 방향이,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이 된다고 생각된다. 또, 상기 적층체를 연신함으로써, 부의 수지층 중의 부의 위상차 발현성을 갖는 수지는, 연신 방향으로의 주사슬 배향이 진행되는 점에서, 당해 주사슬 배향 방향과, 원단 필름의 구성 재료의 배향 방향이 함께 연신 방향으로 대략 동일해진다. 이 결과,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부의 수지 배향층의 주사슬 배향 방향이 대략 평행이 된다고 생각된다. 동시에, 부의 위상차 발현성을 갖는 수지는, 주사슬 배향 방향과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측사슬 배향이 진행되고, 주사슬 배향 방향과 대략 수직인 측사슬 배향 방향으로 위상차를 발현한다. 이 결과,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부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이 대략 직교가 된다고 생각된다.
적층체를 연신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롤에 주속차 (周速差) 를 부여하고, 그 사이에서 롤 주속차를 이용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신하는 방법, 텐터에 의해 막상물의 양단을 클립이나 핀으로 고정하고, 클립이나 핀의 간격을 길이 방향 (반송 방향) 으로 넓혀 연신하는 방법, 텐터에 의해 웨브의 양단을 클립이나 핀으로 고정하고, 클립이나 핀의 간격을 폭 방향 (반송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 으로 넓혀 연신하는 방법, 클립이나 핀의 간격을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반송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 으로 동시에 넓혀 연신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폭 방향의 연신은, 텐터에 의해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텐터의 종류는, 핀 텐터여도 되고 클립 텐터여도 된다. 이른바 텐터 방식의 경우, 리니어 드라이브 방식으로 클립 부분을 구동하면 매끄러운 연신을 실시할 수 있어, 파단 등의 위험성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 본 공정에 있어서는, 경사 연신 가능한 텐터를 사용한 경사 방향 (길이 방향, 폭 방향 이외의 방향) 으로 연신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경사 연신에 사용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해서는, 공지된 장치 및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공지된 장치 및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국제 공개 제2013/146397호의 단락 「0065」 ∼ 「0106」 및 단락 「0128」 ∼ 「0147」의 장치 및 방법 등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연신 조작은 다단계로 분할하여 실시해도 된다. 또, 2 축 연신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동시 2 축 연신을 실시해도 되고, 단계적으로 실시해도 된다. 이 경우, 단계적이란, 예를 들어, 연신 방향이 상이한 연신을 순차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동일 방향의 연신을 다단계로 분할하고, 또한 상이한 방향의 연신을 그 어느 단계에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동시 2 축 연신에는, 일방향으로 연신하고, 다른 일방을, 장력을 완화하여 수축시키는 경우도 포함된다.
적어도 일방향의 연신 배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01 배 이상 5 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5 배 이상 3 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1 배 이상 2 배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15 배 이상 1.8 배 이하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1.2 배 이상 1.5 배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2 배 이상 1.3 배 이하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고, 1.2 배 이상 1.25 배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연신 배율이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액정층의 액정 배향성 및 부의 위상차 발현성이 보다 향상된다. 연신 배율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λ/4 위상차 필름 등의 소정의 위상차를 얻으려고 하는 경우, 액정층의 액정 배향성 및 부의 위상차 발현성이 보다 적절한 범위가 된다. 또한, 경사 방향 연신 시의 상기 연신 배율은, 연신 전의 원단 필름에 마커로 직경 Do 의 원과 그 중심점을 그리고, 연신 후에 변형된 타원의 중심점을 통과하는 직경 중 최장인 것을 D 로 하여, 연신 배율 = D/Do 로 구할 수 있다.
연신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30 ℃ 이상이고, 제조되는 원단 필름의 유리 전이점에 대해, -50 ℃ ∼ +100 ℃ 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정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연신 온도는, 40 ∼ 28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 ∼ 20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 ∼ 180 ℃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적층체가 장척 필름인 경우, 장척 방향 (MD 방향, 세로 방향) 과, 연신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0 도 ± 10 도의 범위 내 (-10 도 이상 10 도 이하), 45 도 ± 10 도의 범위 내 (35 도 이상 55 도 이하), 90 도 ± 10 도의 범위 내 (80 도 이상 90 도 이하) 인 것이 바람직하고, 0 도 ± 5 도의 범위 내 (-5 도 이상 5 도 이하), 45 도 ± 5 도의 범위 내 (40 도 이상 50 도 이하), 90 도 ± 5 도의 범위 내 (85 도 이상 90 도 이하)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5 도 ± 5 도의 범위 내 (40 도 이상 50 도 이하)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5 도 ± 4 도 (41 도 이상 49 도 이하) 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45 도 ± 3 도 (42 도 이상 48 도 이하)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45 도 ± 2 도 (43 도 이상 47 도 이하) 인 것이 특히 더 바람직하고, 45 도 ± 1 도 (44 도 이상 46 도 이하) 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고, 45 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장척 방향과, 연신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장척 방향을 기준 (0 도) 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연신 방향이 이루는 각도 중 보다 작은 쪽의 각도를 말한다.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는, 상기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의 상기 부의 수지 배향층 상에 액정층을 추가로 갖는,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된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은,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상기 액정층의 액정 배향 방향이 대략 평행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된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의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여기서, 도 2(A) 는 적층 구조를, 도 2(B) 는 박리 가능한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부의 수지 배향층의 지상축 방향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2 에 있어서, 10 은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을, 2 는 박리 가능한 가지지체를, 3 은 부의 수지 배향층을, 11 은 액정층을, 4 는 박리 가능한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을, 5 는 부의 수지 배향층의 지상축 방향을, 12 는 액정층의 액정 분자의 배향 방향 (액정 배향 방향) 을 각각 나타낸다. 단, 본 발명에 관련된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의 구성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에서는,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액정층의 액정 배향 방향이 대략 평행이 되어,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 즉 변형에 대한 내성이 가장 높은 방향과, 그 위에 도포 형성하는 액정층의 수축력의 최대 방향인 액정 배향 방향이 대략 일치한다. 그 결과, 가지지체 부착 상태에서의 광학 필름의 컬의 저감이 실현된다.
또, 상기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은,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부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이 대략 직교가 되는 점에서,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에서는, 부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과, 액정층의 액정 배향 방향이 대략 직교가 된다. 이때, 부의 수지 배향층은, 액정층의 액정 배향 방향으로 발생하는 위상차와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상차를 발현하는 점에서, 사용 상태의 광학 필름, 즉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 전체로서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 (일반적으로는 액정층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 에 대해 축 어긋남의 영향이 매우 작거나, 또는 축 어긋남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부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 즉 부의 수지 배향층의 위상차 발현 방향이, 액정층의 액정 배향 방향, 즉 액정층의 위상차 발현 방향에 대해 직교일 때, 부의 수지 배향층은, 액정층의 위상차를 없애도록 작용한다. 이때, 부의 수지 배향층의 파장 분산 Ro(450 nm)/Ro(550 nm) 의 값이 1 초과이고, 액정층의 파장 분산 Ro(450 nm)/Ro(550 nm) 의 값보다 큰 경우, 2 층의 합성된 위상차는 보다 역분산성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 부의 수지 배향층은, 그 부의 위상차 발현성에 의해,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전체로서의 두께 방향 위상차를 저감시켜, Nz 팩터가 저감된다. 이것으로부터,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의 광학 특성의 향상이 실현된다. 예를 들어,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이 λ/4 위상차 필름인 경우, 당해 필름과 직선 편광자 또는 이것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당해 필름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과, 직선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이 이루는 각도 중 보다 작은 각도 (0 도 이상 90 도 이하) 가 45 도 ± 10 도 (35 도 이상 55 도 이하) 가 되도록 적층함으로써, 원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부의 수지 배향층과 액정층의 위상차의 합성에 의해,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차가 저감되는 점에서, 원 편광판에 있어서 우수한 경사 시야 반사 방지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들에 더하여, 부의 수지 배향층이 적절한 파장 분산을 갖는 경우에는, 액정층의 파장 분산과의 조합에 의해,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의 광학 특성의 향상이 실현된다. 예를 들어,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이 λ/4 위상차 필름인 경우, 위상차의 역분산성이 증가하여, 넓은 파장역의 광에 대해 균일한 위상차를 부여하는 광대역 λ/4 위상차 필름이 실현되고, 원 편광판에 있어서 우수한 색미를 실현할 수 있다.
[액정층]
액정층은,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에 대해,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으로서 요구되는 광학 특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갖는다. 특히, 부의 수지 배향층과의 조합에 의해, 원하는 광학 특성을 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층은,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 재료에 의해 구성되지만, 이들 중에서도, 액정 재료의 경화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층을 구성하는 액정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액정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 재료에 포함되는 액정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55994호, 국제 공개 제2013/077295호 등에 기재된 액정 화합물이나, 일본 공표특허공보 2010-52289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4347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24347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7549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6250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7956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4271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42718호, 일본 특허 제4222360호, 일본 특허 제4186981호, 국제 공개 제2016/158298호, 국제 공개 제2016/171041호 등에 기재된 역분산 특성의 액정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액정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하기 화학식 (101) ∼ (114) 로 나타내는 액정 화합물, 국제 공개 제2016/158298호의 단락 「0079」에 기재된 화학식 4 에 관련된 액정 화합물, 동 문헌의 단락 「0103」에 기재된 화학식 14 에 관련된 액정 화합물, 국제 공개 제2016/171041호의 단락 「0315」 ∼ 「0319」에 기재된 화학식 36 ∼ 40 에 관련된 액정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액정층을 구성하는 액정 재료는, 적어도 1 개의 역분산 특성의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기 화학식 (113) 으로 나타내는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액정 화합물은, 시판되는 것을 사용해도 되고, 공지된 방법에 의해 합성되어도 된다. 이들 액정 화합물은 1 종만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화학식 3]
Figure 112020105631484-pct00003
[화학식 4]
Figure 112020105631484-pct00004
액정층을 구성하는 액정 재료는,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시제로는, 열 중합 개시제여도 되고 광 중합 개시제여도 되지만, 광 중합 개시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라디칼성 광 중합 개시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는, 시판되는 것을 사용해도 되고, 공지된 방법에 의해 합성되어도 된다. 시판품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BASF 재팬 주식회사 제조의 Irgacure (등록상표) 184, Irgacure (등록상표) 379 등을 들 수 있다.
액정 재료 중의 개시제의 농도는, 액정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해, 0.1 질량부 이상 2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질량부 이상 15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 질량부 이상 1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이면, 액정층을 충분히 경화시킬 수 있고, 경화 시의 수축력이 과대가 되는 것이 억제된다.
액정 재료는, 공지된 액정층에 사용되는 첨가제 등, 공지된 첨가 성분을 적절히 함유해도 된다. 이들 첨가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촉매, 증감제, 안정제, 저해제, 연쇄 이동제, 공반응성 단량체, 표면 활성 화합물 (계면 활성제), 윤활제, 습윤제, 분산제, 소수화제, 점착제, 유동성 개량제, 소포제, 탈기제, 희석제, 반응성 희석제, 착색제, 염료, 안료 또는 나노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계면 활성제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DIC 주식회사 제조의 메가팍 (등록상표) F477 등의 불소를 포함하는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또, 공반응성 단량체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액정층의 파장 550 nm 에 있어서의 하기 식 (I) 로 나타내는 면내 방향의 위상차 Ro 는, 140 nm 초과 460 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5 nm 이상 340 n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
식 (I) : Ro = (nx - ny) × d
(식 (I) 에 있어서, nx 는, 액정층의 면내 방향에 있어서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 x 에 있어서의 굴절률이며, ny 는, 액정층의 면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방향 x 와 직교하는 방향 y 에 있어서의 굴절률이며, d 는, 액정층의 막두께 (nm) 이다).
Ro 가 상기 범위이면,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광학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부재의 광학 특성이 보다 향상된다. 예를 들어, 액정층을 갖는 λ/4 위상차 필름에 있어서는, 원 편광판의 반사 방지 성능이 보다 향상된다. 동일한 관점에서, Ro 는, 130 nm 이상 310 n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50 nm 이상 310 nm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70 nm 이상 310 nm 이하인 것이 특히 더 바람직하고, 250 nm 이상 310 nm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액정층은, 적절한 파장 분산을 가짐으로써, 부의 수지 배향층의 파장 분산과의 조합에 의해, 사용 상태의 광학 필름, 즉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의 광학 특성의 향상이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이 λ/4 위상차 필름인 경우, 위상차가 역분산이 되어, 넓은 파장역의 광에 대해 균일한 위상차를 부여하는 광대역 λ/4 위상차 필름이 실현되고, 원 편광판에 있어서 우수한 색미를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역분산은, 2 종류의 복굴절을 합성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의 위상차를, 그것보다 분산이 큰 (예를 들어, Ro(450 nm)/Ro(550 nm) 의 값이 1 초과이고, 또한 그 값이 정의 위상차의 Ro(450 nm)/Ro(550 nm) 보다 크다) 반대 부호의 부의 위상차로 없애도록 이들 위상차를 합성하는 (더하는) 것에 의해, 역분산을 합성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부의 수지 배향층은 부의 위상차 발현성을 갖는 점에서, 상기 식 (I) 에 의해 산출되는 당해 위상차를 부의 위상차로서 결정할 때, 부의 위상차에 있어서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 x 와 직교하는 방향을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으로 하는 위상차는, 정의 위상차가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련된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의 바람직한 양태는, 부의 수지 배향층이 부의 위상차를 갖고, 액정층이 정의 위상차를 갖는 것이 된다.
상기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은, 액정층의 위상차를 없애 역분산성을 높이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부의 수지층의 연신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지상축을 갖는 부의 수지 배향층에 대해, 부의 수지층의 연신 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액정층의 액정 분자가 배향하는 경우, 양자의 발현하는 위상차는 정부의 관계가 되고, 이들 위상차의 합성에 의해 역분산이 실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층의 파장 550 nm 에 있어서의 상기 식 (I) 로 나타내는 면내 방향의 위상차 Ro 에 대한, 파장 450 nm 에 있어서의 상기 식 (I) 로 나타내는 면내 방향의 위상차 Ro 의 비인 파장 분산 Ro(450 nm)/Ro(550 nm) 에 대해서는, 이하의 관계가 성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액정층의 파장 분산 Ro(450 nm)/Ro(550 nm) 로부터 부의 수지 배향층의 파장 분산 Ro(450 nm)/Ro(550 nm) 를 뺀 차가 -0.3 이상 0.05 이하가 되는 값인 것이 바람직하고, -0.25 이상 0 미만이 되는 값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25 이상 -0.1 이하가 되는 값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25 이상 -0.15 이하가 되는 값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이면,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부재의 광학 특성이 보다 향상된다. 예를 들어, 액정층을 갖는 λ/4 위상차 필름에 있어서는, 역분산의 실현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또한, 이것을 사용한 원 편광판의 반사 방지 성능이 보다 향상된다.
액정층의 Ro, Rt 는, Axometrics 사 제조 AxoScan 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 방법의 자세한 것은 실시예에 기재한다.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에 있어서는,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액정층의 액정 분자의 배향 방향이 대략 평행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대략 평행이란, 상기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액정층의 액정 배향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0 도 ± 10 도 (0 도 이상 10 도 이하) 이며, 0 도 ± 5 도 (0 도 이상 5 도 이하) 인 것이 바람직하고, 0 도 ± 4 도 (0 도 이상 4 도 이하)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 도 ± 3 도 (0 도 이상 3 도 이하)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 도 ± 2 도 (0 도 이상 2 도 이하)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0 도 ± 1 도 (0 도 이상 1 도 이하) 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고, 0 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액정층의 액정 배향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을 기준 (0 도) 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액정층의 액정 배향 방향이 이루는 각도 중 보다 작은 각도를 말하고, 0 도 이상 90 도 이하의 범위 내의 각도로 한다. 즉, 예를 들어, 상기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135 도이면, 반시계 방향으로 45 도이기도 하기 때문에, 이 경우, 0 도 이상 90 도 이하의 범위 내인 45 도의 값을 채용한다. 또, 예를 들어, 상기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100 도이면, 반시계 방향으로 80 도이기도 하기 때문에, 이 경우, 0 도 이상 90 도 이하의 범위 내인 80 도의 값을 채용한다.
또,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이 장척 필름인 경우, 장척 방향 (MD 방향, 세로 방향) 과, 액정층의 액정 배향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0 도 ± 10 도 (0 도 이상 10 도 이하), 45 도 ± 10 도 (35 도 이상 55 도 이하), 90 도 ± 10 도 (80 도 이상 90 도 이하) 인 것이 바람직하고, 45 도 ± 10 도 (35 도 이상 55 도 이하)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5 도 ± 5 도 (40 도 이상 50 도 이하)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5 도 ± 4 도 (41 도 이상 49 도 이하) 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45 도 ± 3 도 (42 도 이상 48 도 이하)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45 도 ± 2 도 (43 도 이상 47 도 이하) 인 것이 특히 더 바람직하고, 45 도 ± 1 도 (44 도 이상 46 도 이하) 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고, 45 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장척 방향과, 액정층의 액정 배향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장척 방향을 기준 (0 도) 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액정층의 액정 배향 방향이 이루는 각도 중 보다 작은 쪽의 각도를 말하고, 0 도 이상 90 도 이하의 범위 내의 각도로 한다.
액정층의 액정 분자의 배향 방향은, 이하의 순서,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먼저,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 (부의 수지 배향층과, 액정층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 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을 구한다. 또,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의 제조 시와 동일한 조건으로, 부의 수지 배향층 (부의 수지 배향층 위상차 측정용 시험편) 및 액정층 (액정층 위상차 측정용 시험편) 을 각각 단독으로 형성한다. 이어서, 부의 수지 배향층 위상차 측정용 시험편과, 액정층 위상차 측정용 시험편을 겹치고, 양자가 이루는 각도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이들의 적층 상태에 있어서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을 구한다. 그리고, 부의 수지 배향층 위상차 측정용 시험편 및 각 액정층 위상차 측정용 시험편에 있어서의 부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을 동일 방향으로 했을 때에, 이들의 적층 상태에 있어서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과, 대응하는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이 일치하는 상태를 구한다. 이때의 부의 수지 배향층 위상차 측정용 시험편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과 액정층 위상차 측정용 시험편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이 이루는 각도로부터, 액정층의 액정 분자의 배향 방향을 구할 수 있다.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 부의 수지 배향층 위상차 측정용 시험편, 액정층 위상차 측정용 시험편, 부의 수지 배향층 위상차 측정용 시험편과, 액정층 위상차 측정용 시험편의 적층체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은, Axometrics 사 제조 AxoScan 을 사용하여 파장 550 nm 에 있어서의 측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또한, 측정 방법의 자세한 것은 실시예에 기재한다. 또한, 측정 방법의 자세한 것은 실시예에 기재한다.
액정층의 막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되지 않지만, 0.1 ∼ 1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 8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 5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액정층은, 부의 수지 배향층에 접하도록 배치되어도 되고, 후술하는 액정 배향막에 접하도록 배치되어도 되고, 또 이들 상에 임의로 형성될 수 있는 다른 기능층을 개재하여 배치되어도 된다.
[액정 배향막]
상기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에 있어서, 부의 수지 배향층은, 수지 분자의 주사슬 배향 방향과 그 면내의 지상축 방향이 직교하고 있고, 수지 분자의 주사슬 배향 방향 (연신 방향) 으로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는 기능을 갖지만, 액정 배향막은, 이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는 기능을 보다 높이는 기능을 갖는다.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은, 생산성의 관점에서는, 액정 배향막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은, 광학 특성의 관점에서는, 액정 배향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액정 배향막에 의한 액정 분자의 배향 방향 (액정 배향막이 그 위에 배치되는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는 방향) 은,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대략 평행 방향 (0 도 ± 10 도 방향), 즉 부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과 대략 수직 방향 (90 도 ± 10 도 방향)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액정 분자의 배향 방향으로 하는 경우,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액정층의 경화 시의 컬을 억제하는 효과가 얻어지고, 자세한 것은 분명하지 않지만, 부의 수지 배향층에 의한 액정 배향능과의 조합에 의해, 액정 배향막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해 액정층의 액정 배향성이 보다 높아진다.
이것으로부터, 액정 배향막을 사용함으로써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의 광학 특성이 보다 향상되고, 예를 들어,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이 λ/4 위상차 필름인 경우, λ/4 위상차 필름으로서의 특성, 특히 원 편광판으로서 사용했을 때의 정면 반사 특성, 색미, 경사 시야 반사 특성이 보다 향상된다.
액정 배향막으로는, 러빙에 의해 배향성을 부여하는 배향막이어도 되고, 광에 의해 배향성을 부여하는 광 배향막이어도 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액정 배향막을 사용할 수 있다. 액정 배향막은, 시판되는 것을 사용해도 되고, 공지된 방법에 의해 합성 또는 조제되어도 된다. 시판품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JSR 주식회사 제조 폴리이미드 배향제 AL1254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액정 배향막은, 부의 수지 배향층 및 액정층에 접하도록 배치되어도 되고, 이 위에 임의로 형성될 수 있는 다른 기능층 및 액정층에 접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는, 상기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해 상기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을 제조한 후, 상기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의 상기 부의 수지 배향층 상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액정층 형성 공정을 추가로 갖는,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층 형성 공정]
상기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의 부의 수지 배향층 상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전사나 도포, 유연 등의 공지된 방법이 사용된다. 또, 이들 중에서도, 재료 선택의 자유도나 생산성의 관점에서, 부의 수지층은, 액정층 도공액을 도포함으로써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층 도공액의 조제, 도포, 건조, 경화 방법, 조건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방법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액정층 도공액은, 예를 들어, 액정 분자에 더하여, 중합 개시제 등의 임의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첨가 성분을, 용매 중에서 균질하게 혼합하는 것이 조제 가능하다.
용매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디클로로메탄) 등의 염소계 용매 ; 톨루엔, 크실렌, 벤젠, 및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의 방향족계 용매 ;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2-부탄올 등의 알코올계 용매 ;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사이드, 디옥산, 시클로헥산온,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MEK), 디에틸에테르,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아밀,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3-디옥솔란, 1,4-디옥산, 시클로헥산온, 포름산에틸, 2,2,2-트리플루오로에탄올, 2,2,3,3-헥사플루오로-1-프로판올, 1,3-디플루오로-2-프로판올, 1,1,1,3,3,3-헥사플루오로-2-메틸-2-프로판올,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판올, 2,2,3,3,3-펜타플루오로-1-프로판올, 니트로에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매는 1 종만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액정층 도공액에 있어서의 고형분 농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도포액의 총질량에 대해 1 ∼ 7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50 질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 30 질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액정층 도공액의 도포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콤마 코트, 다이 코트, 바 코트, 롤 코트, 슬릿 코트, 슬릿 리버스 코트, 리버스 롤 코트, 그라비어 코트 등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액정층 도공액의 도포에 의해 형성되는 액정 도공층의 건조 조건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건조 온도는 50 ∼ 11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건조 시간은 30 초 ∼ 10 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액정 도공층에, 전자선, 자외선 등의 전리 방사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액정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리 방사선으로서 자외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파장 190 ∼ 380 nm 의 자외선을 포함하는 것을 방사한다. 자외선원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고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 카본 아크등, 무전극 UV 램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원은, 예를 들어, Fusion 사 제조 H 밸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의 조사 파장, 조도, 광량 등의 조건은, 사용하는 액정 재료의 처방, 예를 들어, 액정 화합물이나 개시제 등의 첨가량 및 종류 등에 따라 상이하므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조건이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사 에너지량은 50 ∼ 1500 mJ/㎠ 가 바람직하다.
또한, 액정층 형성 공정에 있어서, 액정층 도공액은, 부의 수지 배향층의 표면 상에 직접 도포해도 되고, 액정 배향막 상에 직접 도포해도 되고, 또 이들 위에 임의로 형성될 수 있는 다른 기능층의 표면 상에 직접 도포해도 된다.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에 의한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액정층의 경화 시의 컬의 억제 효과를 최대한으로 얻는다는 관점에서,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상기 액정층의 액정 배향 방향을 대략 평행이 되도록 액정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액정층의 액정 배향 방향이 이루는 각도의 바람직한 양태에 대해서는, 상기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다.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생산성의 관점에서, 액정층 형성 공정은, 액정 배향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의 부의 수지 배향층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지 분자의 주사슬 배향 방향으로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는 기능을 가져,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부의 수지 배향층의 주사슬 배향 방향이 대략 평행이 된다고 생각된다. 이것으로부터, 액정 배향막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통상,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액정층의 액정 배향 방향이 대략 평행인 구성을 갖는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을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이 보다 향상되기 때문이다.
또한,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액정 배향막을 사용하는 경우여도, 액정 배향막에 의한 액정 배향 방향을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대략 평행 방향으로 함으로써,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액정층의 액정 배향 방향이 대략 평행인 구성을 갖는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이 λ/4 위상차 필름인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은, 원 편광판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원 편광판은,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과 직선 편광자 또는 이것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의 면내의 지상축과, 직선 편광자의 투과축이 45 도 ± 10 도 (35 도 이상 55 도 이하) 의 각도를 이루도록 적층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과 직선 편광자 또는 이것을 포함하는 편광판의 적층은, 생산성의 관점에서,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및 편광자 또는 이것을 포함하는 편광판으로서, 모두 장척 필름을 사용하여, 롤 to 롤법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널리 사용되는 폴리비닐알코올 (PVA) 계 편광 필름 등의 장척 필름인 직선 편광자는, 길이 방향과 대략 평행 방향으로 흡수축을 갖고, 폭 방향, 즉 길이 방향과 대략 직교 방향으로 투과축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롤 to 롤법에 의한 적층에서는, 통상,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과 편광자 또는 이것을 포함하는 편광판의 장척 방향을 일치시켜 실시하게 된다. 이때,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과, 편광자 또는 이것을 포함하는 편광판의 투과축이 상기 각도를 이루도록 적층하기 위해서는,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의 장척 방향 (MD 방향, 세로 방향) 과, 액정층의 액정 배향 방향이 이루는 각도 중 보다 작은 쪽의 각도 (0 도 이상 90 도 이하) 를 45 도 ± 10 도 (35 도 이상 55 도 이하) 의 범위 내로 할 필요가 있다. 이때,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의 장척 방향과, 이러한 액정 배향 방향의 실현에 유리한 부의 수지 배향층의 주사슬 배향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45 도 ± 10 도 (35 도 이상 55 도 이하) 이며, 상기와 동일한 범위가 된다. 그리고, 당해 주사슬 배향 방향과, 부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은 직교하므로,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의 장척 방향과, 부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135 도 ± 10 도의 범위 내 (125 도 이상 145 도 이하), 보다 작은 쪽의 각도 (0 도 이상 90 도 이하) 로 나타내면 45 도 ± 10 도 (35 도 이상 55 도 이하) 의 범위 내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장척 필름인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액정층 형성 공정에 있어서의 액정 도포 방향은, 통상, 상기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의 장척 방향과 동일해진다. 이것으로부터,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액정층 형성 공정에 있어서의 액정 도포 방향은, 상기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의 부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에 대해 45 도 ± 10 도 (35 도 이상 55 도 이하) 의 각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고, 45 도 ± 5 도 (40 도 이상 50 도 이하)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5 도 ± 4 도 (41 도 이상 49 도 이하)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5 도 ± 3 도 (42 도 이상 48 도 이하) 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45 도 ± 2 도 (43 도 이상 47 도 이하)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45 도 ± 1 도 (44 도 이상 46 도 이하) 인 것이 특히 더 바람직하고, 45 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부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과, 액정 도포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부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을 기준 (0 도) 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액정 도포 방향이 이루는 각도 중 보다 작은 쪽의 각도를 말하고, 0 도 이상 90 도 이하의 범위 내의 각도로 한다.
<응용예>
[편광판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는,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과, 직선 편광자 (편광자) 가, 소정의 각도, 예를 들어,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과, 가지지체를 박리한 상태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45 도 ± 10 도 (35 도 이상 55 도 이하) 가 되도록 적층된, 가지지체 부착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그 밖의 일 형태는,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과, 편광자가, 소정의 각도, 예를 들어,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과,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45 도 ± 10 도 (35 도 이상 55 도 이하) 가 되도록 적층된 편광판에도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는, 상기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해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을 제조한 후, 당해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과, 편광자를, 소정의 각도, 예를 들어,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과,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45 도 ± 10 도 (35 도 이상 55 도 이하) 가 되도록 적층하는 것을 포함하는, 가지지체 부착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들 편광판은, 원 편광판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과, 가지지체를 박리한 상태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 또는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의 면내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는, 45 도 ± 5 도 (40 도 이상 50 도 이하)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5 도 ± 4 도 (41 도 이상 49 도 이하)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5 도 ± 3 도 (42 도 이상 48 도 이하) 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45 도 ± 2 도 (43 도 이상 47 도 이하)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45 도 ± 1 도 (44 도 이상 46 도 이하) 인 것이 특히 더 바람직하고, 45 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과, 가지지체를 박리한 상태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 또는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을 기준 (0 도) 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가지지체를 박리한 상태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 또는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이 이루는 각도 중 보다 작은 쪽의 각도를 말하고, 0 도 이상 90 도 이하의 범위 내의 각도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그 밖의 일 형태는, 상기 가지지체 부착 편광판의 제조 방법으로 가지지체 부착 원 편광판을 제조한 후, 가지지체를 박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은, 컬의 저감이 실현되는 점에서, 이러한 가지지체 부착 편광판의 제조를 높은 수율로 실시할 수 있다.
원 편광판은, 상기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길이 방향 (MD 방향, 세로 방향) 과, 가지지체를 박리한 상태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45 도 ± 10 도의 범위 (35 도 이상 55 도 이하) 가 되도록 제조한 장척상의 상기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을 사용하여, 롤 to 롤법에 의해 일관한 제조 라인에 의해 편광자 또는 이것을 포함하는 편광판과 첩합되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길이 방향과, 가지지체를 박리한 상태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길이 방향을 기준 (0 도) 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가지지체를 박리한 상태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이 이루는 각도 중 보다 작은 쪽의 각도를 말하고, 0 도 이상 90 도 이하의 범위 내의 각도로 한다.
가지지체 부착 편광판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과 보호 필름에 의해 편광자를 협지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편광판과 상기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을 첩합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과, 편광자의 일방의 면에만 보호 필름을 갖는 편면 보호 필름 부착 편광판의 편광자 측의 면을 첩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편광자와 상기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을 첩합하는 경우에는, 동시에 보호 필름도 공급하여, 연속적으로 첩합해도 된다. 즉, 편광막을 연신하여 편광자를 제작하는 공정을 완료한 후, 계속해서 실시되는 건조 공정 중 또는 건조 공정 후에, 양측의 면에 각각 보호 필름과 상기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을 점접착제 (접착제 또는 점착제) 에 의해 첩합하고, 권취함으로써 장척 롤 상태의 가지지체 부착 편광판을 얻어도 된다. 또, 편광자와, 상기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또는 보호 필름의 어느 일방을 첩합한 후, 타방의 필름을 첩합해도 된다. 즉, 편광막을 연신하여 편광자를 제작하는 공정을 완료한 후, 계속해서 실시되는 건조 공정 중 또는 건조 공정 후에, 편광자의 일방의 면에 보호 필름 또는 상기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의 어느 일방을 점접착제에 의해 첩합하고, 계속해서 편광자의 반대 측의 면에 다른 필름을 점접착제에 의해 첩합하고, 권취함으로써 장척 롤 상태의 가지지체 부착 원 편광판을 얻어도 된다. 그 후, 필요에 따라 재단을 실시하고, 가지지체를 박리하여, 장척상 또는 원하는 사이즈의 가지지체 부착 편광판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재단은 공지된 방법으로 될 수 있다.
편광자는, 일정 방향의 편파면의 광만을 통과시키는 소자이며, 그 예로는, 폴리비닐알코올 (PVA) 계 편광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 필름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요오드를 염색시킨 것과, 이색성 염료를 염색시킨 것이 있다.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1 축 연신한 후, 염색하거나, 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염색한 후, 1 축 연신하여, 바람직하게는 붕소 화합물로 내구성 처리를 추가로 실시하여 얻을 수 있다. 직선 편광자의 막두께는, 0.1 ∼ 30 ㎛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10 ㎛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편광자는, 생산성의 향상 및 박형화 등의 관점에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00161호, 일본 특허 제4691205호, 일본 특허 제480458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247574호 등에 기재된 방법으로, 막두께가 10 ㎛ 이하인 박형 편광자를 제작한 후, 상기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과 첩합하여 편광판을 제조하는 것도 또한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으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4812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342322호 등에 기재된, 에틸렌 단위의 함유량 1 ∼ 4 몰%, 중합도 2000 ∼ 4000, 비누화도 99.0 ∼ 99.99 몰% 의 에틸렌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편광자 또는 이것을 포함하는 편광판과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은, 공지된 점접착제층 (접착제 또는 점착제로 형성되는 층) 에 의해 첩합되어도 된다. 점접착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점접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점접착제, 젤라틴계 점접착제, 비닐계 점접착제, 라텍스계 점접착제, 수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점접착제는, 통상,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점접착제로서 사용되고, 통상, 0.5 ∼ 60 중량% 의 고형분을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또, 점접착제로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전자선 경화형 접착제 등의 광 경화성 접착제를 사용해도 된다. 광 경화성 접착제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점접착제로는, 공지된 것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247574호에 기재된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점접착제층의 막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01 ∼ 2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 1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 ∼ 5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원 편광판에 사용되는 보호 필름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 차단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구체예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노르보르넨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보호 필름 중에는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가 1 종류 이상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활제, 가소제, 이형제, 착색 방지제, 난연제, 핵제, 대전 방지제, 안료,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셀룰로오스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고,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필름이 보다 바람직하고,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이 더욱 바람직하다. 보호 필름의 막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0 ∼ 2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100 ㎛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 7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원 편광판 (가지지체 박리 후) 의 막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0 ㎛이상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이상 7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편광판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EL 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판이 원 편광판인 경우, 후술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 등에 적용함으로써, 가시광의 넓은 파장 범위에 있어서, 유기 EL 소자의 금속 전극의 경면 반사를 차폐하는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효과에 의해, 관찰 시의 비침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흑색 표현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기 EL 표시 장치]
본 발명의 그 밖의 일 형태는, 상기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 또는 이것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갖는, 유기 EL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그 밖의 일 형태는, 상기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의해 편광판을 제조한 후, 당해 편광판과, 유기 EL 소자를 첩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기 EL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EL 표시 장치에 입사하는 외부광은, 편광자에 의해 직선 편광 성분만이 투과한다. 이때, 편광자를 투과한 직선 편광은, 상기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이 λ/4 위상차 필름이며,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과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의 각도가 45 도 ± 10 도 (35 도 이상 55 도 이하) 이면,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을 투과함으로써 원 편광이 된다. 이 원 편광은, 투명 기판, 투명 전극, 유기 박막을 투과한 후, 금속 전극에서 반사되고, 다시 유기 박막, 투명 전극, 투명 기판,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을 투과하여 직선 편광이 된다. 그리고, 이 직선 편광은, 편광자의 편광 방향과 직교하고 있으므로, 원 편광판을 투과할 수 없다. 그 결과, 금속 전극의 경면을 완전히 차폐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 EL 표시 장치는, 투명 기판 상에, 금속 전극, 유기 발광층 및 투명 전극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발광체인 소자 (유기 EL 소자) 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유기 발광층은, 여러 가지 유기 박막의 적층체이며, 예를 들어 트리페닐아민 유도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정공 주입층과, 안트라센 등의 형광성의 유기 고체로 이루어지는 발광층의 적층체나, 이와 같은 발광층과 페릴렌 유도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자 주입층의 적층체, 또는 이들의 정공 주입층, 발광층 및 전자 주입층의 적층체 등, 여러 가지 조합을 가진 구성이 알려져 있다. 유기 EL 표시 장치는, 투명 전극과 금속 전극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유기 발광층에 정공과 전자가 주입되고, 이들 정공과 전자의 재결합에 의해 발생하는 에너지가 형광 물질을 여기하고, 여기된 형광 물질이 기저 상태로 돌아갈 때 광을 방사한다는 원리로 발광한다. 도중의 재결합이라는 메커니즘은, 일반의 다이오드와 동일하고, 이 점에서도 예상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류와 발광 강도는 인가 전압에 대해 정류성을 수반하는 강한 비선형성을 나타낸다. 유기 EL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유기 발광층으로부터의 발광광을 취출하기 위해서, 적어도 일방의 전극이 투명할 필요가 있고, 통상, 산화인듐주석 (ITO) 등의 투명 도전체로 형성한 투명 전극을 양극으로서 사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자 주입을 용이하게 하여 발광 효율을 높이려면, 음극에 일 함수가 작은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고, 통상 Mg-Ag, Al-Li 등의 금속 전극을 사용하고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을,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사용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 및 「부」는, 각각, 「질량%」 및 「질량부」를 의미한다.
<원단 필름 O1 의 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수지 펠릿 (고유 점도 0.65 dl/g) 을 회전식 진공 건조기에 투입하고, 150 ℃ 에서 8 시간 건조한 후, 압출기로 285 ℃ 에서 용융 혼련하였다. 코트 행거 다이 슬릿으로부터 2 축 연신 후의 막두께가 100 ㎛ 가 되도록 50 ℃ 의 회전 냉각 드럼 상에 압출하고, 냉각 후 드럼으로부터 박리하고, 95 ℃ 에서 세로 방향으로 2 배 연신하고, 추가로 95 ℃ 에서 가로 방향으로 2 배 연신하고, 220 ℃ 에서 열고정하였다. 그 후 냉각하여 권취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장척의 원단 필름 O1 을 얻었다.
<원단 필름과, 부의 수지층의 적층체의 형성>
[적층체 L1 의 형성]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98371호의 단락 「0081」의 합성예 3 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수평균 분자량은 118,000 인, 폴리푸마르산디이소프로필 (푸마르산디이소프로필 단독 중합체) 을 합성하였다. 또, 폴리푸마르산디이소프로필은 부의 위상차 발현성을 갖는 수지인 것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상기 폴리푸마르산디이소프로필을 고형분 20 질량% 로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용해시켜, 부의 수지층 도공액 N1 을 조제하였다. 계속해서, 원단 필름 O1 의 표면 상에, 콤마 코터로 건조막 두께가 18 ㎛ 가 되도록 부의 수지층 도공액 N1 을 도포한 후, 건조를 하여, 원단 필름 O1 의 표면 상에 부의 수지층 NN1 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원단 필름 O1 과, 부의 수지층 NN1 이 적층된 장척의 적층체 L1 을 형성하였다.
[적층체 L2 의 형성]
상기 적층체 L1 의 형성에 있어서, 건조막 두께가 11 ㎛ 가 되도록 부의 수지층 도공액 N1 을 도포한 후, 건조를 하여, 원단 필름 O1 의 표면 상에 부의 수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하여, 원단 필름 O1 과, 부의 수지층 NN2 가 적층된 장척의 적층체 L2 를 형성하였다.
[적층체 L3 의 형성]
상기 적층체 L1 의 형성에 있어서, 건조막 두께가 28 ㎛ 가 되도록 부의 수지층 도공액 N1 을 도포한 후, 건조를 하여, 원단 필름 O1 의 표면 상에 부의 수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하여, 원단 필름 O1 과, 부의 수지층 NN3 이 적층된 장척의 적층체 L3 을 형성하였다.
[적층체 L4 의 형성]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98371호의 단락 「0071」의 실시예 3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수평균 분자량은 51,000 이며, 공중합체 조성은 푸마르산디이소프로필 잔기 단위/4-메톡시신남산에틸 잔기 단위 = 61/39 (몰%) 인, 푸마르산디에스테르/알콕시신남산에스테르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또, 푸마르산디에스테르/알콕시신남산에스테르 공중합체는 부의 위상차 발현성을 갖는 수지인 것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상기 적층체 L1 의 형성에 있어서, 폴리푸마르산디이소프로필을 상기 푸마르산디에스테르/알콕시신남산에스테르 공중합체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하여, 부의 수지층 도공액 N2 를 조제하고, 원단 필름 O1 의 표면 상에 부의 수지층 NN4 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원단 필름 O1 과, 부의 수지층 NN4 가 적층된 장척의 적층체 L4 를 형성하였다.
[적층체 L5 의 형성]
상기 적층체 L1 의 형성에 있어서, 폴리푸마르산디이소프로필을 부의 수지인 중량 평균 분자량 50,000 의 폴리스티렌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하여, 부의 수지층 도공액 N3 을 조제하고, 원단 필름 O1 의 표면 상에 부의 수지층 NN5 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원단 필름 O1 과, 부의 수지층 NN5 가 적층된 장척의 적층체 L5 를 형성하였다.
[적층체 L6 의 형성]
상기 적층체 L1 의 형성에 있어서, 폴리푸마르산디이소프로필을 정의 수지인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 (COP) (JSR 주식회사 제조 제품명 Arton (등록상표) G7810)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하여, 정의 수지층 도공액 P1 을 조제하고, 원단 필름 O1 의 표면 상에 정의 수지층 PN1 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원단 필름 O1 과, 정의 수지층 PN1 이 적층된 장척의 적층체 L6 을 형성하였다.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의 제조>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B1 ∼ 6 의 제조]
상기에서 얻어진 적층체 L1 ∼ 6 을, 국제 공개 제2013/146397호의 도 6 및 도 7 에 기재된 경사 연신 장치를 사용하여, 국제 공개 제2013/146397호의 실시예 2 에 기재된 방법을 참조하여 연신해,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B1 ∼ 6 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부의 수지층으로 형성되는 부의 수지 배향층 또는 정의 수지층으로 형성되는 정의 수지 배향층의 막두께가 하기 표 2 에 기재된 값이 되도록 하였다. 또, 외회전 레일과 내회전 레일의 행로차가 연신기 출구의 필름폭과 대략 동일해지도록 레일 패턴을 조정하여, 180 ℃ 의 연신 온도에서, 연신 배율을 L1, L2, L4 ∼ 6 의 연신에서는 1.2 배로 하고, L3 의 연신에서는 1.4 배로 하여, 장척 방향 (MD 방향, 세로 방향) 과, 연신 방향이 이루는 각도 (연신 각도) 를 45 도로 하여 경사 연신을 실시함으로써,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B1 ∼ 6 을 제조하였다.
상기 연신 공정에 있어서, 부의 수지층 NN1 ∼ 5 로부터 부의 수지 배향층 NA1 ∼ 5 가 형성되고, 정의 수지층 PN1 로부터 정의 수지 배향층 PA1 이 형성되고, 원단 필름 O1 로부터 가지지체 S1 및 S2 가 형성됨으로써,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B1 ∼ 6 이 각각 제조되었다. 또, 가지지체 S1 및 S2 는, 부의 수지 배향층 NA1 ∼ 5, 또는 정의 수지 배향층 PA1 과의 사이에서 각각 박리 가능하였다. 여기서, 가지지체 S1 의 막두께는 83 ㎛ 이며, 가지지체 S2 의 막두께는 71 ㎛ 였다.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B7 의 제조]
상기에서 얻어진 적층체 L1 을, 롤 주속차를 이용한 MD 연신기에 의해, 연신 온도 180 ℃ 에서, 연신 배율 1.3 배, 장척 방향 (MD 방향, 세로 방향) 과, 연신 방향이 이루는 각도 (연신 각도) 를 0 도으로 하여 길이 방향 연신 (세로 연신, MD 연신) 을 실시함으로써,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B7 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연신 공정에 있어서, 부의 수지층 NN1 로부터 부의 수지 배향층 NA6 이 형성되고, 원단 필름 O1 로부터 가지지체 S3 이 형성됨으로써,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B7 이 제조되었다. 또, 가지지체 S3 은, 부의 수지 배향층 NA6 과의 사이에서 박리 가능하였다. 여기서, 가지지체 S3 의 막두께는 83 ㎛ 였다.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의 제조>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1 ∼ 5 및 10 의 제조]
상기 화학식 (113) 으로 나타내는 액정 화합물, 상기 화학식 (114) 로 나타내는 액정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116) 으로 나타내는 액정 화합물, 그리고 Irgacure (등록상표) 184 (BASF 재팬 주식회사 제조) 를 5 : 3 : 2 : 0.5 의 배합 질량비로, 톨루엔/시클로헥산온의 7 : 3 (질량비) 의 혼합 용제에 용해시켜, 고형분 농도가 25 질량% 인 액정층 도공액 LC1 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 얻어진 액정층 도공액 LC1 을, 상기 제조한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B1 ∼ 5 및 7 상에 각각 도공하여 액정 도공층을 형성하고, 65 ℃ 에서 5 분 건조하였다. 그 후, Fusion 사 제조의 H 밸브로 380 mJ/㎠ 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액정 도공층을 경화시켜 액정층을 형성하여,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1 ∼ 5 및 10 을 각각 제조하였다.
또한, 액정 도공층의 도공막 두께는, 유리 상에 하기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6 의 제조와 동일하게 하여 액정 배향막을 형성하고, 계속해서, 이 배향막 상에 액정 도공층을 상기 방법으로 도공하고, 건조시켜 형성한 액정층이, 하기 표 1 에 기재된 위상차값이 얻어지는 조건으로서 설정하였다. 또한, 액정층의 위상차의 측정 방법은 후술한다.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6 의 제조]
상기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1 ∼ 5 및 10 의 제조와 동일하게 하여 액정층 도공액을 얻었다.
또, 상기 제조한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B1 상에, 폴리이미드 배향제 AL1254 (JSR 주식회사 제조) 를 도공하고, 건조시킨 후, 액정 배향 방향이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평행 (0 도) 이 되도록 러빙 처리를 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B1 상에, 액정층 도공액의 도포 전에 액정 배향막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얻어진 액정층 도공액 LC1 을, 상기 제조한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B1 상의 액정 배향막 상에 도공하여 액정 도공층을 형성하고, 65 ℃ 에서 5 분 건조하였다. 그 후, Fusion 사 제조의 H 밸브로 380 mJ/㎠ 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액정 도공층을 경화시켜 액정층을 형성하여,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6 을 제조하였다.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7 의 제조]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B1 을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B6 으로 변경하고, 액정 배향막의 러빙 처리를, 액정 배향 방향이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직교 방향 (90 도) 이 되도록 변경하여 실시한 것 이외에는,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6 의 제조와 동일하게 하여, 액정 배향막 및 액정층을 형성하여,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7 을 제조하였다.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8 의 제조]
중합성 액정 화합물 LC242 (BASF 사 제조),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신나카무라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광 중합 개시제인 Irgacure (등록상표) 379 (BASF 재팬 주식회사 제조), 및 불소를 포함하는 계면 활성제인 메가팍 (등록상표) F477 (DIC 주식회사 제조) 을 75 : 5 : 3 : 0.1 의 배합 질량비로, 톨루엔/시클로헥산온의 7 : 3 (질량비) 의 혼합 용제에 용해시켜, 고형분 농도가 25 % 인 액정층 도공액 LC2 를 얻었다.
이어서, 액정층 도공액 LC1 을 액정층 도공액 LC2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6 의 제조와 동일하게 하여, 액정 배향막 및 액정층을 형성해,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8 을 제조하였다.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9 의 제조]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B1 을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B6 으로 변경하고, 배향막의 러빙 처리를, 액정 배향 방향이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직교 방향이 되도록 변경하여 실시한 것 이외에는,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8 의 제조와 동일하게 하여, 액정 배향막 및 액정층을 형성해,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9 를 제조하였다.
<원 편광판의 제조>
(편면 보호 필름 부착 편광판의 형성)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기재에 9 ㎛ 두께의 폴리비닐알코올 (PVA) 층이 제막된 적층체를, 연신 온도 130 ℃ 의 공중 보조 연신에 의해 연신 적층체를 생성하였다. 다음으로, 연신 적층체를 염색하여 착색 적층체를 생성하고, 얻어진 착색 적층체를 연신 온도 65 ℃ 의 붕산 수중 연신에 의해, 총연신 배율이 5.94 배가 되도록 비정성 PET 기재와 일체로 연신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4 ㎛ 두께의 PVA 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를 생성하였다. 이와 같은 2 단 연신에 의해, PVA 층 중의 PVA 분자가 고차로 배향되고, 염색에 의해 흡착된 요오드가 폴리요오드 이온 착물로서 일방향으로 고차로 배향된 고기능 편광자를 구성하는, 두께 4 ㎛ 의 PVA 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를 생성할 수 있었다. 또한, 당해 광학 필름 적층체의 편광자의 표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를 도포하면서, 비누화 처리한 40 ㎛ 두께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을 첩합한 후, 비정성 PET 기재를 박리하여, 박형 편광자를 사용한 편면 보호 필름 부착 편광판 (박형 편면 편광판) 을 제작하였다.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
교반 날개,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냉각기를 구비한 4 구 플라스크에, 부틸아크릴레이트 82 질량부, 벤질아크릴레이트 15 질량부,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3 질량부를 함유하는 모노머 혼합물을 주입하였다. 또한, 상기 모노머 혼합물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해,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 질량부를 아세트산에틸과 함께 주입하고, 완만하게 교반하면서 질소 가스를 도입해 질소 치환한 후, 플라스크 내의 액온을 60 ℃ 부근으로 유지하여 7 시간 중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그 후, 얻어진 반응액에,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고형분 농도 30 질량% 로 조정한, 중량 평균 분자량 100 만의 아크릴계 폴리머 (A-1) 의 용액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아크릴계 폴리머 (A-1) 용액의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해, 리튬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닛폰 카리트 주식회사 제조) 0.002 질량부를 배합하고, 추가로 트리메틸올프로판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 타케네이트 (등록상표) D110N) 0.1 질량부와, 디벤조일퍼옥사이드 0.3 질량부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톡시실란 (신에츠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 KBM-403) 0.075 질량부를 배합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용액을 조제하였다.
(점착형 편광판의 형성)
상기 얻어진 아크릴계 점착제 용액을, 실리콘계 박리제로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세퍼레이터 필름) 의 표면에, 파운틴 코터로 균일하게 도공하고, 155 ℃ 의 공기 순환식 항온 오븐에서 2 분간 건조하여, 세퍼레이터 필름의 표면에 두께 20 ㎛ 의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에서 형성한 박형 편면 편광판의 편광자의 측에, 세퍼레이터 필름 상에 형성한 점착제층을 전사하여, 점착형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원 편광판의 제조)
상기 얻어진 점착형 편광판의 세퍼레이터 필름을 박리하고, 이에 대하여 상기 제조한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1 ∼ 9 를, 액정층과 점착층이 접하도록, 또 서로 장척 방향이 일치하도록 롤 to 롤법에 의해 접착하였다. 이어서, 접착 후에 가지지체를 박리함으로써,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1 ∼ 9 를 사용하여 원 편광판을 각각 제조하였다.
또, 상기 제조한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10 에 대해서는, 먼저, 점착형 편광판을 장척 방향과 한 변의 방향이 평행이 되도록 정방형의 시험편으로서 잘라내고, 또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10 을 장척 방향에 대해 45 도 방향이 한 변의 방향이 되도록, 동일한 사이즈의 정방형의 시험편으로서 잘라내었다. 이어서, 점착형 편광판의 시험편의 세퍼레이터 필름을 박리하고, 이에 대하여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10 의 시험편을, 액정층과 점착층이 접하도록, 또 각 변이 일치하도록 첩합하였다. 이어서, 접착 후에 가지지체를 박리함으로써,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10 을 사용한 원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평가>
[가지지체의 탄성률 최대 방향]
상기 제조한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의 부의 수지 배향층 또는 정의 수지 배향층으로부터 가지지체를 분리하여 박리하고, 박리 후의 가지지체로부터, 단변 방향 1 cm × 장변 방향 10 cm 의 시험편을 잘라내고, 인스트론사 제조 만능 시험기 5966 형을 사용하여 장변 방향의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시험편의 장변 방향과,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의 길이 방향이었던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0 도 ∼ 135 도가 되도록 45 도씩의 각도로 시험편을 잘라내고 (즉, 장변 방향이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의 길이 방향에 대해 0 도, 45 도, 90 도 및 135 도가 되는 시험편을 잘라내고), 이들 시험편의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이어서, 이들 시험편의 탄성률의 결과로부터,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을 대략 구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구한 대략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 주변의 잘라냄 각도를 5 도씩으로 하여, 당해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 ± 20 도의 범위 내에서 재차 시험편을 잘라내고 (즉, 대략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 당해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 ± 5 도, 당해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 ± 10 도, 당해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 ± 15 도, 및 당해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 ± 20 도가 되는 시험편을 잘라내고),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을 결정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1 및 2 에 나타낸다. 또한, 본 실험에서는 5 도씩으로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을 결정했지만, 추가적인 정밀도를 요구하는 경우, 예를 들어 1 도씩 등, 보다 작은 각도로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을 결정하도록 실험을 실시해도 된다.
[부의 수지 배향층 및 정의 수지 배향층의 위상차 및 면내의 지상축 방향]
상기 제조한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의 부의 수지 배향층 또는 정의 수지 배향층으로부터 가지지체를 분리하여 박리하고, 부의 수지 배향층 또는 정의 수지 배향층으로부터 시험편 (부의 수지 배향층 또는 정의 수지 배향층 위상차 측정용 시험편) 을 잘라내고, Axometrics 사 제조 AxoScan 을 사용하여, 필름의 Ro, Rt, 면내의 지상축 방향, 파장 분산을 구하였다. Ro, Rt 의 기준 파장은 550 nm 로 하고, 파장 분산은 Ro(450 nm)/Ro(550 nm) 로 정의하였다. 또, 부의 수지 배향층 또는 정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은, Axometrics 사 제조 AxoScan 을 사용한 550 nm 에 있어서의 Ro 의 측정 시에 얻어진 값을 사용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액정층의 위상차]
유리 기판 상에, 러빙 방향을 특정한 일방향으로 한 것 이외에는 상기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6 의 액정층의 형성과 동일하게 하여 액정 배향막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당해 액정 배향막 상에 상기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1 ∼ 10 과 동일하게 하여 각각에 대응하는 액정층을 형성하여, 이들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에 대응하는 각 액정층 위상차 측정용 시험편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형성한 각 액정층 위상차 측정용 시험편에 대해, Axometrics 사 제조 AxoScan 을 사용하여, 필름의 Ro, 파장 분산을 구하였다. Ro, Rt 의 기준 파장은 550 nm 로 하고, 파장 분산은 Ro(450 nm)/Ro(550 nm) 로 정의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
상기 각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으로부터 가지지체를 박리하고, 상기 액정층의 위상차의 측정과 동일하게 하여, Axometrics 사 제조 AxoScan 에 의해 550 nm 의 파장을 사용하여,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을 측정하였다.
[액정층의 액정 분자의 배향 방향 (액정 배향 방향)]
상기 부의 수지 배향층 및 정의 수지 배향층의 위상차 및 면내의 지상축 방향의 측정과 동일하게 하여,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에 대응하는 부의 수지 배향층 또는 정의 수지 배향층 위상차 측정용 시험편을 잘라내었다. 또, 상기 액정층의 위상차의 측정과 동일하게 하여,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에 대응하는 각 액정층 위상차 측정용 시험편을 잘라내었다. 이어서,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에 대응하는 조합으로서, 부의 수지 배향층 또는 정의 수지 배향층 위상차 측정용 시험편과, 각 액정층 위상차 측정용 시험편을 겹치고, 양자가 이루는 각도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이들의 적층 상태에 있어서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부의 수지 배향층 또는 정의 수지 배향층 위상차 측정용 시험편과 각 액정층 위상차 측정용 시험편의 적층 상태에 있어서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은, 상기 액정층의 위상차의 측정과 동일하게 하여, Axometrics 사 제조 AxoScan 에 의해 550 nm 의 파장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부의 수지 배향층 또는 정의 수지 배향층 위상차 측정용 시험편과, 각 액정층 위상차 측정용 시험편의 부의 수지 배향층 또는 정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을 동일 방향으로 했을 때에, 이들의 적층 상태에 있어서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과, 대응하는 가지지체 박리 후의 광학 필름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이 일치하는 상태를 구하였다. 이때의 부의 수지 배향층 또는 정의 수지 배향층 평가용 시험편과, 각 액정층 위상차 측정용 시험편이 이루는 각도로부터, 액정층의 액정 분자의 배향 방향을 구하였다.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의 컬]
상기 제조한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을 A4 사이즈로 잘라내고, 가지지체 측을 하향으로 한 상태에서 수평면에 놓고, 네 코너의 수평면으로부터의 높이의 평균값을 구함으로써, 컬을 평가하였다. 높이의 평균값이 작을수록 바람직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 ○ 및 △ 가 양호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이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
◎ : 네 코너의 수평면으로부터의 높이의 평균값 0 mm 이상 1 mm 미만이다,
○ : 네 코너의 수평면으로부터의 높이의 평균값 1 mm 이상 2 mm 미만이다,
△ : 네 코너의 수평면으로부터의 높이의 평균값 2 mm 이상 4 mm 미만이다,
× : 네 코너의 수평면으로부터의 높이의 평균값 4 mm 이상이다.
[원 편광판의 정면 반사 특성]
상기 제조한 원 편광판의 광학 필름 측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과는 반대 측) 과, 경면을 갖는 알루미늄 반사판의 경면 측을, 시판되는 감압성 점착 필름을 개재하여 접착하고, 태양광 하, 원 편광판 측의 정면으로부터 본 반사판으로부터의 반사광을 하기 기준에 따라 육안 평가하였다. 반사광이 적을수록 바람직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 ○ 및 △ 가 양호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이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
◎ : 반사광을 전혀 느끼지 않는다,
○ : 반사광을 거의 느끼지 않는다,
△ : 반사광을 약간 느낀다,
× : 원 편광판을 첩합하지 않은 알루미늄 반사판만인 상태와 동일 정도의 반사광을 느낀다.
[원 편광판의 색미]
상기 원 편광판의 반사율의 평가에 있어서, 정면으로부터 본 원 편광판의 색미를 하기 기준에 따라 육안 평가하였다. 흑색에 가까울수록 바람직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 ○ 및 △ 가 양호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이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
◎ : 전혀 색미가 없는 흑색이었다,
○ : 약간 푸른 기를 느끼지만, 전체적으로 흑색이라고 인식할 수 있다,
△ : 약간 붉은 기를 느끼지만, 전체적으로 흑색이라고 인식할 수 있다,
× : 강한 유채색의 색미 (푸른 기, 붉은 기 등) 를 느끼고, 전체적으로 흑색이라고는 인식할 수 없다.
[원 편광판의 경사 시야 반사 특성]
상기 원 편광판의 정면 반사 특성의 평가에 있어서, 원 편광판 측의 정면 법선에 대해 45 도의 쓰러짐각 방향으로부터 본 반사판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측정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하여, 반사광을 하기 기준에 따라 육안 평가하였다. 반사광이 적을수록 바람직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 ○ 및 △ 가 양호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이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
◎ : 반사광을 전혀 느끼지 않는다,
○ : 반사광을 거의 느끼지 않는다,
△ : 반사광을 약간 느낀다,
× : 원 편광판을 첩합하지 않은 알루미늄 반사판만인 상태와 동일 정도의 반사광을 느낀다.
Figure 112020105631484-pct00005
Figure 112020105631484-pct00006
Figure 112020105631484-pct00007
또한, 표 1 의 액정 도포용 기재 B1 ∼ 7 에 있어서, 연신 각도와 각도 1 은 평행이며, 액정 도포용 기재 B1 ∼ 5 및 B7 에 있어서, 연신 각도와 각도 3 은 직교하고, 액정 도포 기재 B6 에 있어서, 연신 각도와 각도 3 은 평행이었다.
상기 표 1 ∼ 3 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관련된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B1 ∼ 5 및 7 을 사용하여 제조한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1 ∼ 6, 8 및 10 은, 컬 이 우수하고, 원 편광판으로서 사용되었을 때에도 정면 반사 특성, 색미 및 경사 시야 반사 특성도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본 발명에 관련된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B6 을 사용하여 제조한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7 및 9 는,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1 ∼ 6, 8 및 10 과 비교해, 컬, 그리고 원 편광판으로서 사용되었을 때의 정면 반사 특성, 색미 및 경사 시야 반사 특성이 모두 열등한 것이 확인되었다.
<가지지체의 변경>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11 의 제조]
상기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1 의 제조에 있어서,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B1 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의 적층체 L1 의 형성 시에, 원단 필름 O1 의 표면 상에 콤마 코터로 건조막 두께가 18 ㎛ 가 되도록 부의 수지층 도공액 N1 을 도포한 후, 부분적으로 건조를 하고, 용매가 완전히 건조되기 전에 원단 필름 O1 로부터 부의 수지층 NN1 을 박리하였다. 이어서, 장척의 (메트)아크릴 수지계 필름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214713호의 실시예 1 에 기재된 미연신 필름 (125 ㎛) (원단 필름 O2) 에 전사한 후, 부의 수지층 NN1 을 완전히 건조시켜, 장척의 적층체 L8 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적층체 L1 대신에 L8 을 사용하고, 연신 온도를 180 ℃ 로부터 140 ℃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B1 및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1 의 제조와 동일하게 하여,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B8 을 제조하여,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11 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원단 필름 O2 로부터 가지지체 S8 이 형성되고, 부의 수지층 NN1 로부터 부의 수지 배향층 NA7 이 형성되고, 가지지체 S8 의 막두께는 103 ㎛, 부의 위상차 배향층 NA7 의 막두께는 15 ㎛ 였다.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12 의 제조]
장척의 아크릴 수지 필름 (원단 필름 O2) 대신에 장척의 폴리카보네이트 (PC) 필름인 테이진 주식회사 제조 퓨어에이스 (등록상표) C110-100 (원단 필름 O3) 을 사용하고, 연신 온도를 140 ℃ 로부터 170 ℃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B8 및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11 의 제조와 동일하게 하여,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B9 를 제조하고,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12 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원단 필름 O3 으로부터 가지지체 S9 가 형성되고, 부의 수지층 NN1 로부터 부의 수지 배향층 NA8 이 형성되고, 가지지체 S9 의 막두께는 83 ㎛, 부의 위상차 배향층 NA8 의 막두께는 15 ㎛ 였다.
<평가>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및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의 평가]
상기와 동일하게,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B8 및 B9 에 대해, 가지지체의 탄성률 최대 방향, 그리고 부의 수지 배향층의 위상차 및 면내의 지상축 방향을 각각 측정한 바,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B1 과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 또, 상기와 동일하게,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11 및 12 에 대해 액정층의 위상차, 액정층의 액정 분자의 배향 방향, 컬을 측정한 바,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1 과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
[원 편광판의 평가]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1 대신에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11 및 12 를 각각 사용한 것 이외에는,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1 을 사용한 원 편광판의 제조와 동일하게 하여, 원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들 원 편광판에 대해, 상기와 동일하게 정면 반사 특성, 색미, 및 경사 시야 특성을 평가한 바,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1 을 사용한 원 편광판과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
[위상차 변동값]
상기 제조한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B8 및 B9 에 대해, 가지지체를 분리하여 박리하고, 박리한 가지지체로부터 시험편을 잘라내고, Axometrics 사 제조 AxoScan 을 사용하여, 2 cm 간격으로 3 점 × 3 열의 합계 9 점을 각각 측정하였다. Ro 의 기준 파장은 550 nm 로 하였다. 이어서, 각 필름에 대해, 이들 측정값의 최대값으로부터 최소값을 뺀 차분을 위상차 변동값으로서 산출하였다. 이들 결과를 하기 표 4 에 나타낸다.
[품질 보증 적성]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11 및 12 를 각각 크로스 니콜하에서 육안 관찰하고, 액정층의 도포 결함 유무의 확인의 용이함을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이들 결과를 하기 표 4 에 나타낸다 ;
○ : 액정층의 도포 결함의 유무의 관찰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 : 액정층의 도포 결함을 주의하여 찾음으로써 그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20105631484-pct00008
상기 표 4 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관련된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B8 및 B9 를 사용하여 제조한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11 및 12 는, 위상차 변동값이 작고, 품질 보증 적성도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본 출원은, 2018년 5월 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2018-090119호에 기초하고 있고, 그 개시 내용은, 참조에 의해 전체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1 :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2 : 박리 가능한 가지지체
3 : 부의 수지 배향층
4 : 박리 가능한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
5 : 부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
10 :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11 : 액정층
12 : 액정층의 액정 분자의 배향 방향

Claims (15)

  1. 원단 필름 상에, 부의 위상차 발현성을 갖는 수지를 함유하는 부의 수지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원단 필름과, 상기 부의 수지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형성하는 적층 공정과,
    상기 적층체를 연신함으로써, 상기 원단 필름으로부터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을 갖는, 박리 가능한 가지지체를 형성하는 것과, 상기 부의 수지층으로부터 면내에 지상축을 갖는 부의 수지 배향층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상기 부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을 직교로 하는 것을 포함하는 연신 공정
    을 갖는,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공정은, 상기 원단 필름 상에, 상기 부의 위상차 발현성을 갖는 수지와, 메틸렌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부의 수지층 도공액을 도포함으로써 상기 부의 수지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원단 필름은,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불용인,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의 제조 방법.
  3. 박리 가능한 가지지체와, 부의 위상차 발현성을 갖는 수지를 함유하는, 면내에 지상축을 갖는 부의 수지 배향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를 갖고, 상기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상기 부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이 직교인,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의 수지 배향층의 막두께는, 1 ㎛ 이상 20 ㎛ 이하이며, 또한, 파장 550 nm 에 있어서의 하기 식 (I) 로 나타내는 면내 방향의 위상차 Ro 는, 10 nm 이상 150 nm 이하이며, 하기 식 (II) 로 나타내는 면외 방향의 위상차 Rt 는, -150 nm 이상 -30 nm 이하인,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
    식 (I) : Ro = (nx - ny) × d
    식 (II) : Rt = {(nx + ny)/2 - nz} × d
    (식 (I) 및 (II) 에 있어서, nx 는, 상기 부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 방향에 있어서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 x 에 있어서의 굴절률이며, ny 는, 상기 부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방향 x 와 직교하는 방향 y 에 있어서의 굴절률이며, nz 는, 상기 부의 수지 배향층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굴절률이며, d 는, 상기 부의 수지 배향층의 막두께 (nm) 이다).
  5. 제 3 항에 있어서,
    장척 필름이며, 장척 방향과, 상기 부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35 도 이상 55 도 이하인,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지체의 위상차 변동값은, 10 nm 이하인,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7. 제 1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상기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을 제조한 후,
    상기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의 상기 부의 수지 배향층 상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액정층 형성 공정을 추가로 갖는,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상기 액정층의 액정 배향 방향을 평행으로 하는 것을 포함하는,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 형성 공정은, 액정 배향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 형성 공정에 있어서의 액정 도포 방향은, 상기 부의 수지 배향층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에 대해 35 도 이상 55 도 이하의 각도를 이루는,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으로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을 제조한 후, 상기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과, 편광자를,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과, 가지지체를 박리한 상태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35 도 이상 55 도 이하가 되도록 적층하는 것을 포함하는, 가지지체 부착 편광판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으로 가지지체 부착 편광판을 제조한 후, 가지지체를 박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한 후, 상기 편광판과,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를 첩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에 포함되는 상기 부의 수지 배향층 상에 액정층을 추가로 갖고, 상기 가지지체의 탄성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과, 상기 액정층의 액정 배향 방향이 평행인,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15. 제 14 항에 기재된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과, 편광자가, 상기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과, 가지지체를 박리한 상태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35 도 이상 55 도 이하로 적층된, 가지지체 부착 편광판.
KR1020207028719A 2018-05-08 2019-04-12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이것을 포함하는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이들을 포함하는 편광판, 그리고 이들의 제조 방법 KR1025257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90119 2018-05-08
JP2018090119 2018-05-08
PCT/JP2019/016026 WO2019216122A1 (ja) 2018-05-08 2019-04-12 液晶塗布用基材フィルム、これを含む仮支持体付き光学フィルム、これらを含む偏光板、なら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139A KR20200129139A (ko) 2020-11-17
KR102525724B1 true KR102525724B1 (ko) 2023-04-25

Family

ID=68468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719A KR102525724B1 (ko) 2018-05-08 2019-04-12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이것을 포함하는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이들을 포함하는 편광판, 그리고 이들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327390B2 (ko)
KR (1) KR102525724B1 (ko)
WO (1) WO20192161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53052B2 (ja) 2019-03-27 2023-09-29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偏光板、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8097A (ja) * 2005-11-29 2007-06-14 Nitto Denko Corp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15230415A (ja) 2014-06-05 2015-12-21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偏光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077B1 (ko) * 2006-08-18 2015-01-23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보상 필름,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727357B1 (ko) * 2013-09-30 2017-04-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역파장분산 특성을 가지는 위상차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6418929B2 (ja) * 2014-12-08 2018-11-07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偏光板の製造方法
KR102581852B1 (ko) * 2015-01-28 2023-09-21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복층 필름, 광학 이방성 적층체, 원편광판,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표시 장치, 및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8097A (ja) * 2005-11-29 2007-06-14 Nitto Denko Corp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15230415A (ja) 2014-06-05 2015-12-21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積層偏光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139A (ko) 2020-11-17
WO2019216122A1 (ja) 2019-11-14
JP7327390B2 (ja) 2023-08-16
JPWO2019216122A1 (ja)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13470B (zh) 附相位差層之偏光板及圖像顯示裝置
TWI438504B (zh)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WO2014123038A1 (ja) 円偏光板および屈曲可能な表示装置
WO2005114270A1 (ja) 表面保護フィルム付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9251288A (ja) 楕円偏光板並びにその製造方法
TW200925675A (en) Polarizing pl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KR102278332B1 (ko) 편광판 및 표시 장치
JP2009151289A (ja) 偏光板、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3307624A (ja)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05101068A1 (ja) 光学部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6047494A (ja) 位相差粘着剤層、その製造方法、粘着型光学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4029787A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3053981A (ja) 偏光膜の製造方法
JP7321005B2 (ja)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102525724B1 (ko) 액정 도포용 기재 필름, 이것을 포함하는 가지지체 부착 광학 필름, 이들을 포함하는 편광판, 그리고 이들의 제조 방법
JP2005326831A (ja) 光学部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6642553B2 (ja) 偏光板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7322498A (ja) 楕円偏光板、楕円偏光板の製造方法、液晶表示装置および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JP2010211213A (ja)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CN110476197B (zh) 图像显示装置
JP2004020830A (ja) 偏光子、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TW202018340A (zh) 帶相位差層的偏光板及使用了該帶相位差層的偏光板的影像顯示裝置
CN111045129B (zh) 带相位差层的偏振片及使用了该带相位差层的偏振片的图像显示装置
CN111045130B (zh) 带相位差层的偏振片及使用了该带相位差层的偏振片的图像显示装置
TWI827658B (zh) 附相位差層之偏光板及使用該附相位差層之偏光板的影像顯示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