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116B1 - 무선 충전이 쉬운 휴대단말용 액세서리 고정구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이 쉬운 휴대단말용 액세서리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116B1
KR102525116B1 KR1020210097070A KR20210097070A KR102525116B1 KR 102525116 B1 KR102525116 B1 KR 102525116B1 KR 1020210097070 A KR1020210097070 A KR 1020210097070A KR 20210097070 A KR20210097070 A KR 20210097070A KR 102525116 B1 KR102525116 B1 KR 102525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attachment plate
accessory
support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5657A (ko
Inventor
최정욱
Original Assignee
(주)쏭스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쏭스디자인 filed Critical (주)쏭스디자인
Priority to KR1020210097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116B1/ko
Priority to PCT/KR2022/010336 priority patent/WO2023003283A1/ko
Publication of KR20230015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5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단말이나 휴대단말용 케이스에 미리 부착된 부착 판에서 스냅 돌기를 이용해서 지지판을 쉽게 분리/조립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무선방식으로 충전하려고 휴대단말이나 휴대단말 케이스에서 액세서리를 분리할 때 쉽고 편리하게 분리하여 무선 충전하고, 충전 후에는 쉽고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다. 특히, 부착 판의 한쪽에 지지판이 끼워지게 한 다음 지지판의 다른 한쪽을 눌러 쉽게 조립하고, 손가락으로 스냅 돌기를 젖혀 부착 판에서 지지판이 쉽게 분리되어 누구든지 쉽고 편리하게 액세서리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이나 휴대단말용 케이스에 부착해서 사용하는 액세서리에는 모두 적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 액세서리를 연결하거나 조립하는 방법에 상관없이 휴대단말이나 휴대단말용 케이스에서 액세서리를 쉽게 분리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충전이 쉬운 휴대단말용 액세서리 고정구{FIXTURE OF ACCESSORY FOR PORTABLE TERMINAL EASY TO WIRELESSLY CHARGE}
본 발명은 무선 충전이 쉬운 휴대단말용 액세서리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에 부착된 평면 형상의 부착 판에서 액세서리가 장착된 지지판을 쉽게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액세사리를 쉽게 교환하여 사용할수 있고, 특히 무선 충전이 필요할 때는 부착 판에서 지지판을 쉽게 분리하여 무선 충전에 필요한 거리를 쉽게 확보하여 어디서든지 쉽고 편리하게 무선 충전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부착 판에는 부착면의 가장자리를 모따기하여 지지판이 쉽게 조립되거나 분리될 수 있게 하고, 상기 지지판에는 스냅 돌기를 구성함에 따라 부착 판의 가장자리에서 쉽게 지지판을 분리했다가 무선 충전 후 다시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과 같이 매일 가지고 다니는 휴대단말에는 휴대단말의 분실이나 사용 중 휴대단말이 떨어져서 부서지는 사고, 그리고 자신만의 개성 등을 드러내려고 다양한 종류의 액세서리를 장착한다.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는 이처럼 휴대단말에 장착되는 여러 종류의 액세서리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실용 제20-0488765호
스마트폰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에 따라 거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접착부와 상기 접착부에 연결되어 축 회전되는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를 관통하며 힌지 결합한 거치구를 포함하는 액세서리용 스마트폰 거치대로서, 상기 거치구는 제1연결 홀이 형성된 와이링과, 상기 와이링의 둘레 면에 결합하며 레그링이 결합하도록 회전가이드 홀이 천공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회전가이드 홀에 끼워진 제2수지 관체와, 상기 레그링의 제2연결 홀에 결합한 제2힌지 축을 포함하는 허브체와, 상기 허브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제2연결 홀이 형성된 레그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2힌지 축은 중앙부위가 원통형의 기둥으로 구성되고, 양측 단부가 사각 또는 삼각기둥 중 어느 하나의 기둥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회전가이 홀에는 제2힌지 축이 제2수지 관체에 끼워지며 고정된 후 상기 하우징의 양측으로 상기 제2힌지 축에 레그링의 제2연결 홀이 억지 끼움되도록 구성된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960354호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서, 후면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의 후면에 부착되며, 측면의 외주 면을 따라 돌출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 보디; 내측으로 각각 단 턱이 구비된 상부 회전링 및 하부 회전링이 일체로 결속됨으로써 메인 보디의 돌출 리브를 수용하고, 양편에 한 쌍씩의 힌지핀 수용 홈이 구비되어 힌지핀을 수용함과 동시에 메인 보디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 링; 사용자의 손가락을 걸거나 거치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양단에 힌지핀이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수평으로 눕혀질 수 있는 동시에 회전링과 함께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반원의 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맞은 편에 배치되는 한 쌍의 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1642937호
손가락 지지대 스마트폰 밴드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서, 손가락 지지대 스마트폰 밴드 액세서리로서, 스마트폰의 후면에 노출되는 그립 영역으로 사용자의 손이 삽입되어 지지할 수 있도록 길이가 신장하여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밴드 부재; 일단이 상기 밴드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단에 각각 연결 고정되는 한 쌍의 연결고리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연결고리 부재의 타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스마트폰의 길이 방향의 상하 양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는 한 쌍의 체결 클립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대칭하는 윗면과 아랫면에 스프링으로 늘어나는 클립으로 사용자의 스마트폰 사이즈에 맞게 체결 고정되는 한 쌍의 체결 클립 부재와, 한 쌍의 체결 클립 부재와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고리 부재 및 한 쌍의 연결고리 부재에 연결되어 길이가 신장하는 밴드 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스마트폰의 뒷면과 길이가 신장하는 밴드 부재 사이로 사용자가 손을 넣어 스마트폰을 잡은 상태로 미끄러짐이나 낙하 없이 편리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누워서 사용하거나 또는 휴대하는 경우에도 미끄러짐에 의한 낙하가 방지됨으로써, 파손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그에 따른 수리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스마트폰의 사용 시 손목에 가해지는 과도한 힘없이 안정되게 한 손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포함한 태블릿 PC 등의 다양한 스마트 기기가 갖는 크기에 제한됨이 없이 사용됨은 물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합 위치가 자유롭게 선택 고정되고, 쉽게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액세서리는 통상 휴대단말에서 화면이 가려지지 않도록 손으로 잡는 부분에 장착할 때가 많다. 이에, 기존의 액세서리를 휴대단말에 장착할 때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휴대단말로 스마트폰(P)에 액세서리로 손가락 거치대(S)가 이 스마트폰(P)에 장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때, 손가락 거치대(S)는 스마트폰(P)에 부착된 부착 판(A)에 부착된다.
(1) 최근 휴대단말은 충전 방식으로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게 되는데, 기존에는 유선 충전 방식이 주를 이뤘으나, 근래에는 무선 방식으로 충전이 이루어지게 제작된 스마트폰(P)이 많아지고 있다.
(2) 하지만, 무선 방식으로 충전하는 스마트폰(P)은 무선 충전기(W) 위에 올려놓더라도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가 많다. 이는, 무선 충전을 위해서는 무선 충전기(W)의 충전 면에서 일정 간격 이내에 스마트폰(P)이 놓여야 하나, 기존 손가락 거치대(S)의 두께 때문에 스마트폰(P)과 무선 충전기(W) 사이의 간격(G)이 멀어져서 충전이 제대로 되지 않게 된다.
(3) 이에, 스마트폰을 충전하려면 스마트폰에서 손가락 거치대를 분리한 다음 충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충전 후에는 다시 손가락 거치대를 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때, 스마트폰에서 손가락 거치대를 분리하려면 나사 체결 방식이나 강제 끼움 방식 등 손가락 거치대로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스마트폰이 떨어지지 않게 해야 하므로, 스마트폰에서 손가락 거치대를 분리하거나 조립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4) 또한, 액세서리에 따라서는 스마트폰에서 액세서리를 분리할 수 없게 부착 방식으로 부착해서 사용하는 액세서리가 있고, 이러한 액세서리를 부착한 스마트폰은 무선 방식으로는 충전할 수 없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한국등록실용 제20-0488765호 (등록일: 2019.03.09) 한국등록특허 제10-1960354호 (등록일: 2019.03.14) 한국등록특허 제10-1642937호 (등록일: 2016.07.20)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휴대단말이나 휴대단말용 케이스에 미리 부착된 평면 형상의 부착 판에서 액세서리가 연결된 지지판을 스냅 돌기를 이용해서 쉽게 분리하거나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액세사리를 쉽게 교환하여 사용할수 있고, 특히 무선 방식으로 충전하려고 휴대단말이나 휴대단말 케이스에서 액세서리를 분리할 때 쉽고 편리하게 분리하여 무선 충전하고, 충전 후에는 쉽고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한 무선 충전이 쉬운 휴대단말용 액세서리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부착 판의 한쪽에 지지판이 끼워지게 한 다음 지지판의 다른 한쪽을 누름에 따라 쉽게 조립되고, 손가락으로 상기 스냅 돌기를 젖히면 부착 판에서 지지판의 한쪽이 쉽게 분리되어 누구든지 쉽고 편리하게 액세서리를 분리하여 무선 충전을 할 수 있게 한 무선 충전이 쉬운 휴대단말용 액세서리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이나 휴대단말용 케이스에 부착해서 사용하는 액세서리에는 모두 적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액세서리를 연결하거나 조립하는 방법에 상관없이 휴대단말이나 휴대단말용 케이스에서 액세서리를 쉽게 분리하여 편리하게 무선충전할 수 있게 한 무선 충전이 쉬운 휴대단말용 액세서리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이 쉬운 휴대단말용 액세서리 고정구는, 휴대 단말이나 휴대단말용 케이스(C)에 부착되는 평면 형상의 부착 판(100); 및 액세서리(A)에 장착되는 지지판(200);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판(200)에는, 상기 부착 판(100)과 마주하는 면의 가장자리에 상기 부착 판(100)의 가장자리 일부가 끼워져서 걸리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턱(210); 및 상기 턱(210)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지지판(200)을 절개하여 형성되어 상기 부착 판(100)의 가장자리에 걸림과 해제되게 하는 스냅 돌기(220);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부착 판(100)은, 원판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착 판(100)은, 부착면의 가장자리 전체가 모따기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200)에는, 상기 부착 판(100)과 마주하지 않는 면에 액세서리(A)를 연결하기 위한 고정수단(230)이 형성되되, 상기 고정수단(230)은 스트링을 관통하게 끼워서 고정하기 위한 구멍, 손가락 사이에 끼워서 휴대단말이 떨어지지 않게 하는 휴대단말용 손가락 거치대를 강제로 끼워서 고정하거나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고정 구멍, 또는 스크루 방식으로 체결하거나 접착제로 일체로 부착하게 하는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지지판(200)에는, 상기 스냅 돌기(220)가 쉽게 변형될 수 있도록 절개 선(2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이 쉬운 휴대단말용 액세서리 고정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휴대단말이나 휴대단말 케이스에 부착된 평면 형태의 부착 판에서 액세서리가 연결된 장착 판을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액세사리를 쉽게 교환하여 사용할수 있고, 특히 부착 판이 붙은 상태에서 휴대단말이나 휴대단말 케이스를 무선 충전기 위에 올려놓더라도 휴대단말과 무선 충전기 사이의 간격을 줄여 바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진다.
(2) 이때, 상기 장착 판은 한쪽에 형성된 스냅 돌기를 휴대단말이나 휴대단말 케이스의 바깥쪽으로 젖히는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부착 판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어 누구든지 쉽고 편리하게 휴대단말이나 휴대단말 케이스에서 액세서리를 분리하여 무전 충전시킬 수 있어 편리하다.
(3) 또한, 조립할 때는 장착 판의 한쪽에 형성된 턱이 부착 판에 걸리게 한 다음 장착 판이 부착 판에 겹쳐지게 하면서 누르면 쉽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4) 한편, 상기 부착 판은 원판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이 부착 판에 장착 판을 조립할 때 조립 방향에 상관없이 어느 방향에서든지 쉽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다.
(5) 또한, 상기 부착 판에는 부착면의 가장자리 전체에 모따기를 해 놓음으로써, 상기 장착 판이 쉽게 걸리게 하면서도 견고하게 조립되고 쉽게 분리될 수 있어 편리하다.
[도 1]은 휴대단말 뒷면에 손가락을 걸어서 사용하는 손가락 거치대가 부착 방식으로 부착되는 예를 보여주려고 손가락 거치대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휴대단말 뒷면에 손가락 거치대가 부착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펼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무선 충전하려고 손가락 거치대가 접힌 상태에 있는 휴대단말을 무선 충전기 위에 올려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고정구로 손가락에 걸어서 사용하는 거치대인 액세서리를 휴대단말이나 휴대단말용 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고정구가 휴대단말이나 휴대단말 케이스에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고정구를 구성하는 부착 판에서 지지판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고정구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려고 부착 판에서 지지판이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액세서리 고정구를 액세서리에 장착하여 사용하다가 분리한 상태(a)에서, 무선 충전기 위에 올려놓고 충전할 때의 상태(b)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휴대단말용 액세서리 고정구의 구성]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용 액세서리 고정구에는,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휴대 단말이나 휴대단말용 케이스(C)에 부착되는 평면 형상의 부착 판(100), 그리고 액세서리(A)에 장착되는 지지판(200)이 포함된다.
특히, 상기 지지판(200)에는 상기 부착 판(100)과 마주하는 면에 가장자리 일부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턱(210), 그리고 이 턱(210)과 마주하여 스냅 돌기(220)가 형성됨에 따라, 부착 판(100)에 마주하게 설치된 지지판(200)이 손가락으로 이 스냅 돌기(220)를 젖힘에 따라 부착 판(100)에서 지지판(200)이 되게 하여 무선충전기를 사용할 때 불편 없이 편리하게 무선 충전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부착 판(100)은 원판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지지판(200)을 조립할 때 지지판(200)과 부착 판(100)이 서로 조립되는 방향에 상관없이 부착 판(100)과 마주하게 지지판(200)을 놓고 누르는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쉽고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부착 판(100)에는, 부착면의 가장자리 전체를 균일하게 모따기 함으로써, 지지판(200)에 형성된 턱(210)과 스냅 돌기(220)가 쉽게 걸리게 하면서도 견고하게 맞물리게 해서 부착 판(100)에서 지지판(200)이 쉽게 이탈하거나 분리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200)에는 고정수단(230)을 추가하여 구성함으로써, 휴대 단말이나 휴대단말용 케이스(C)에 장착되는 여러 종류의 액세서리에 맞춰 지지판(200)에 쉽고 편리하게 조립해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부착 판
부착 판(100)은,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평면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한쪽 면이 휴대단말이나 휴대단말용 케이스(C)에 부착되고 다른 한쪽이 후술할 지지판(200)에 장착과 분리가 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에, 상기 부착 판(100)은 휴대단말이나 휴대단말용 케이스(C)에 마주하는 면에 접착제나 양면테이프 등을 이용해서 일체로 부착하여 사용된다.
물론, 상기 부착 판(100)은 휴대단말이나 휴대단말용 케이스(C)에 체결 방식으로 체결해서 고정하는 등 다른 다양한 방법으로도 일체로 고정해서 사용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부착 판(100)은, [도 6]과 같이, 원판 형태로 제작하여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하면, 이 부착 판(100)에 장착되는 후술하는 지지판(200)을 어느 방향에서 마주하게 해서 조립하더라도 방향에 상관없이 착탈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부착 판(100)은, [도 5]와 같이, 부착면의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 모따기하는 형태, 즉 후크가 결합되는 경사면의 형태로 가장자리 전체면에 걸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는 턱(210)과 스냅 돌기(220)가 이 부착 판(100)의 가장자리에 쉽게 걸려서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거나 쉽게 이탈하게 하여 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나. 지지판
지지판(200)은,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휴대 단말이나 휴대단말용 케이스(C)에 부착된 부착 판(100)과 마주하는 면에 장착되고, 다른 한쪽에는 액세서리(A)가 장착된다. 여기서, 액세서리(A)는 휴대단말을 안전하게 잡아서 사용하는 손가락 거치대, 인형 거리, 캐릭터 고리 등 휴대단말에 부착해서 사용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판(200)에는,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상술한 부착 판(100)에 탈·장착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턱(210)과 스냅 돌기(22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200)에는 액세서리(A)를 장착할 수 있게 하는 고정수단(230)이 추가로 포함된다.
1. 턱
턱(210)은,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지지판(200)의 가장자리 한쪽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턱(210)은 상기 지지판(200)을 부착 판(100)에 겹쳐서 일체로 고정할 때 이 부착 판(100)의 가장자리 일부를 감싸면서 걸림 턱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상기 턱(210)은 부착 판(100)의 가장자리를 가능한 한 많이 접하게 형성해야 지지판(200)을 부착 판(100)에 견고하게 걸림 고정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부착 판(100)의 전체 가장자리 중 약 1/3 정도를 감싸게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턱(210)은 이처럼 부착 판(100)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부분을 하나로 형성할 수도 있고, 여러 개로 나눠서 형성할 수도 있다.
2. 스냅 돌기
스냅 돌기(220)는,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상술한 턱(210)과 마주하는 부착 판(100)의 가장자리에서 걸림/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판(200)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냅 돌기(220)는 상기 지지판(200)을 절개하여 손가락으로 젖힐 수 있는 크기로 절개 선(221)을 형성함으로써, 상술한 턱(210)과 스냅 돌기(220) 사이에 부착 판(100)이 강제로 껴서 지지판(200)과 일체로 고정되었을 때 손가락으로 이 스냅 돌기(220)를 젖힘에 따라 부착 판(100)의 가장자리에서 스냅 돌기(220)가 쉽게 이탈하면서 부착 판(100)에서 지지판(200)이 분리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고정수단
고정수단(230)은,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상술한 부착 판(100)과 마주하지 않는 면에 구성되어 액세서리(A)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액세서리(A)는 손가락을 이용해서 휴대단말이나 휴대단말 케이스(C)가 이탈하지 않게 하거나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설치되는 손가락 거치대, 지지판(200)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돌려서 조립하거나 분리하게 설치되는 액세서리, 또는 상기 지지판(200)에 접착제 등을 이용해서 고정하기 위한 구멍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고정수단(230)은 관통 구멍 형태로 형성하여 액세서리에 연결된 스트링을 관통하게 끼워서 고정하거나 접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액세서리를 지지판(200)에 연결하기 위한 수단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턱(210)이 부착 판(100)의 한쪽 가장자리에 걸리게 한 상태에서 지지판(200)이 부착 판(100)과 마주하게 해서 누르면 [도 4]와 같이 쉽게 조립이 되고, [도 5]의 화살표와 같이 스냅 돌기(220)를 손가락으로 젖힘에 따라 부착 판(100)에서 쉽게 지지판(200)을 분리하여 무선 충전 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은, [도 8]에서, (a)와 같이 휴대 단말이나 휴대단말용 케이스(C) 면에 부착된 부착 판(100)에서 액세서리(A)가 장착된 지지판(200)을 분리한 다음, (b)와 같이 부착 판(100)을 무선 충전기(W) 위에 올려놓았을 때 휴대 단말이나 휴대단말용 케이스(C)와 무선 충전기(W) 사이의 간격(G')이 실질적으로 부착 판(100)의 두께 정도로 [도 3]과 같은 기존 간격(G)과 비교하여 돌출 부위가 없어 그만큼 더 무선 충전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100: 부착 판
200: 지지판
210: 턱
220: 스냅 돌기
221: 절개선
230: 고정수단
C: 휴대단말이나 휴대단말용 케이스
A: 액세서리

Claims (5)

  1. 휴대 단말이나 휴대단말용 케이스(C)에 부착되는 평면 형상의 부착 판(100); 및 액세서리(A)에 장착되는 지지판(200);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판(200)에는, 상기 부착 판(100)과 마주하는 면의 가장자리에 상기 부착 판(100)의 가장자리 일부가 끼워져서 걸리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턱(210); 상기 턱(210)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부착 판(100)의 가장자리에 강제로 걸림과 해제되게 하는 스냅 돌기(220); 및 상기 스냅 돌기(220)가 쉽게 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절개 선(221);이 포함되고,
    상기 부착 판(100)은, 원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부착면의 가장자리 전체가 모따기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이 쉬운 휴대단말용 액세서리 고정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지지판(200)에는,
    상기 부착 판(100)과 마주하지 않는 면에 액세서리(A)를 연결하기 위한 고정수단(230)이 형성되되,
    상기 고정수단(230)은 스트링을 관통하게 끼워서 고정하기 위한 구멍, 손가락 사이에 끼워서 휴대단말이 떨어지지 않게 하는 휴대단말용 손가락 거치대를 강제로 끼워서 고정하거나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고정 구멍, 또는 스크루 방식으로 체결하거나 접착제로 일체로 부착하게 하는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이 쉬운 휴대단말용 액세서리 고정구.
  5. 삭제
KR1020210097070A 2021-07-23 2021-07-23 무선 충전이 쉬운 휴대단말용 액세서리 고정구 KR102525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070A KR102525116B1 (ko) 2021-07-23 2021-07-23 무선 충전이 쉬운 휴대단말용 액세서리 고정구
PCT/KR2022/010336 WO2023003283A1 (ko) 2021-07-23 2022-07-15 무선 충전이 쉬운 휴대단말용 액세서리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070A KR102525116B1 (ko) 2021-07-23 2021-07-23 무선 충전이 쉬운 휴대단말용 액세서리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657A KR20230015657A (ko) 2023-01-31
KR102525116B1 true KR102525116B1 (ko) 2023-04-27

Family

ID=84979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070A KR102525116B1 (ko) 2021-07-23 2021-07-23 무선 충전이 쉬운 휴대단말용 액세서리 고정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25116B1 (ko)
WO (1) WO202300328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187Y1 (ko) * 2004-03-17 2004-07-03 주식회사에이아이티에스 하이패스 단말기용 건전지커버 고정구조물
KR102159471B1 (ko) * 2020-05-12 2020-09-23 김지락 무선 충전 거리를 확장시키는 핸드 그립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551B1 (ko) * 2013-01-25 2014-12-17 (주)이노타임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
KR101642937B1 (ko) 2015-01-30 2016-07-2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손가락 지지대 스마트폰 밴드 액세서리
KR101960354B1 (ko) 2017-07-10 2019-07-15 주식회사 윈케이글로벌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US20190138052A1 (en) * 2017-11-07 2019-05-09 Popsockets Llc Interchangeable socket accessory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88765Y1 (ko) 2017-12-13 2019-07-04 박경호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210090838A (ko) * 2020-01-13 2021-07-21 홍현태 무선충전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거치대
KR102196015B1 (ko) * 2020-02-24 2020-12-30 주식회사 신지모루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187Y1 (ko) * 2004-03-17 2004-07-03 주식회사에이아이티에스 하이패스 단말기용 건전지커버 고정구조물
KR102159471B1 (ko) * 2020-05-12 2020-09-23 김지락 무선 충전 거리를 확장시키는 핸드 그립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03283A1 (ko) 2023-01-26
KR20230015657A (ko)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1480B1 (en) Rotatable mobile phone shell
KR101986914B1 (ko)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US10500699B2 (en) Hands-free dual clamp device
US20180187704A1 (en) Hands-free dual clamp device
TW201239459A (en) Display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20130034563A (ko)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KR101175049B1 (ko) 휴대단말기용 장신구
WO2019235737A1 (ko) 주름자석 크립을 이용한 손목 거치형 스마트폰 케이스
EP4277810A2 (en) Magnetic support structures for electronic devices
KR102525116B1 (ko) 무선 충전이 쉬운 휴대단말용 액세서리 고정구
KR101280783B1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CN206042122U (zh) 一种带支架防滑落的手机壳
KR101384372B1 (ko) 모바일 단말기용 파지구
US7510409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foldable plug
KR200493555Y1 (ko) 휴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KR102317025B1 (ko) 핸드폰 케이스
KR101738616B1 (ko)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EP3306171B1 (en) Hands-free dual clamp device
KR102137363B1 (ko) 스킨링
KR101498133B1 (ko) 휴대기기용 장신구
KR101850541B1 (ko)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KR200483488Y1 (ko) 파지용 휴대폰 케이스
KR101848989B1 (ko) 스프링이 구비되는 휴대폰 케이스
KR200202194Y1 (ko) 셀폰 프리캐쳐
CN219107068U (zh) 一种组合式充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