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3551B1 -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3551B1
KR101473551B1 KR1020130008917A KR20130008917A KR101473551B1 KR 101473551 B1 KR101473551 B1 KR 101473551B1 KR 1020130008917 A KR1020130008917 A KR 1020130008917A KR 20130008917 A KR20130008917 A KR 20130008917A KR 101473551 B1 KR101473551 B1 KR 101473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ortable device
protrusion
wireless charging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5918A (ko
Inventor
박동근
유흥수
Original Assignee
(주)이노타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타임 filed Critical (주)이노타임
Priority to KR1020130008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3551B1/ko
Publication of KR20140095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충전을 위해 제1코일이 구비된 휴대기기를 거치시키도록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방향으로 가압되는 두 쌍의 거치돌기에 의해 상기 휴대기기를 가압하여 거치시키는 거치수단, 상기 거치수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휴대기기의 제1코일에서 발생된 자기력에 의해 유도전류를 생성하여 휴대기기를 충전시키는 제2코일을 갖는 무선충전수단, 및 거치된 휴대기기를 이동시켜 상기 제1코일을 상기 제2코일과 일치시키도록 상기 거치수단에 구비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거치수단에 거치시킨 휴대기기를 이동시켜 상기 휴대기기의 제1코일과 상기 무선충전수단의 제2코일을 일치시켜 휴대기기를 충전시킨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기기를 용이하게 거치시킴은 물론, 휴대기기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구비된 무선충전수단의 제2코일을 휴대기기의 제1코일과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휴대기기의 충전이 용이하여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Mounted device for wireless charging}
본 발명은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기기를 거치시킴은 물론, 충전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여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기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기기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특히 더욱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 미디어 환경이나 무선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되고 있다.
아울러, 휴대기기는 남녀노소, 전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전자 장치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차량에서도 휴대기기를 거치하여 사용하거나 책상 등의 특정 장소에서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거치된 휴대기기는 유선케이블을 통해 충전될 수 있지만, 최근에는 편리함을 위해 무선 충전을 선호하며, 그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일 실시 예로, 공개실용신안 20-2013-0000358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휴대기기의 거치 및 무선 충전을 위한 본체를 구비하여 휴대기기를 거치 및 충전시키고 있다.
그러나 무선 충전을 위해서 전자장을 생성하는 코일과 휴대기기에 구비되어 생성된 전자장에 의해 유도전류를 생성하는 코일이 일치되어야 됨에 따라 잘못 거치할 경우, 충전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다양한 크기의 휴대기기를 충전함에 있어서, 종래 거치대는 호환성이 낮아 사용에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이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갖는 휴대기기의 거치는 물론, 무선 충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무선 충전을 위해 제1코일이 구비된 휴대기기를 거치시키는 거치수단과 제2코일을 갖고, 거치수단에 탈부착 가능한 무선충전수단 및 제1코일을 제2코일과 일직선상에 위치시키도록 휴대기기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을 구비하여 휴대기기를 용이하게 거치시킴은 물론, 휴대기기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구비된 무선충전수단의 제2코일을 휴대기기의 제1코일과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휴대기기의 충전이 용이하여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충전을 위해 제1코일이 구비된 휴대기기를 거치시키도록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방향으로 가압되는 두 쌍의 거치돌기에 의해 상기 휴대기기를 가압하여 거치시키는 거치수단, 상기 거치수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휴대기기의 제1코일에서 발생된 자기력에 의해 유도전류를 생성하여 휴대기기를 충전시키는 제2코일을 갖는 무선충전수단, 및 거치된 휴대기기를 이동시켜 상기 제1코일을 상기 제2코일과 일치시키도록 상기 거치수단에 구비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거치수단에 거치시킨 휴대기기를 이동시켜 상기 휴대기기의 제1코일과 상기 무선충전수단의 제2코일을 일치시켜 휴대기기를 충전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거치수단은,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대각선 방향으로 제1상단거치돌기와 제1하단거치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된 제1거치프레임, 상기 제1거치프레임과 겹쳐지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회전 중심축을 지나는 수직 연장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상단거치돌기에 대칭되는 제2상단거치돌기와 상기 제1하단거치돌기에 대칭되는 제2하단거치돌기가 돌출 형성된 제2거치프레임, 상기 제1상단거치돌기와 제2하단거치돌기 및 제1하단거치돌기와 제2상단거치돌기를 각각 상호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제1거치프레임과 제2거치프레임을 회전시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상단거치돌기와 제2상단거치돌기 또는 제1하단거치돌기와 제2하단거치돌기 중 어느 한 쌍을 상호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상단거치돌기와 제2하단거치돌기 및 제1하단거치돌기와 제2상단거치돌기 사이 간격을 벌려 상기 휴대기기를 거치시킨 후, 상기 가압수단에 의해 각 돌기가 원위치됨에 따라 휴대기기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상단거치돌기와 제2하단거치돌기 및 제1하단거치돌기와 제2상단거치돌기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거치수단에 스토퍼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상단거치돌기와 제2하단거치돌기 및 제1하단거치돌기와 제2상단거치돌기 사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위치된 상기 제1거치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제2거치프레임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제1스토퍼, 및 상기 제1스토퍼에 걸리도록 상기 제2거치프레임에 구비되되, 상기 제1스토퍼를 기준으로 상기 가압수단에 의해 가압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상단거치돌기와 제2하단거치돌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걸려지도록 상기 제1거치프레임에 구비되되, 상기 가압수단에 의해 가압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스토퍼, 및 상기 제1상단거치돌기와 제1하단거치돌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걸리도록 상기 제2거치프레임에 구비되되, 상기 가압수단에 의해 가압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무선충전수단이 결합되어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완충부가 더 구비되어 상호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무선충전수단은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거치수단에 탈부착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거치수단에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공, 및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도록 상기 무선충전수단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제1상단거치돌기와 제2상단거치돌기, 제1하단거치돌기 및 제2하단거치돌기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롤러이며, 상기 휴대기기의 이동 시, 각 롤러가 닿아 회전됨에 따라 휴대기기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기기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거치수단 또는 무선충전수단에 제2스토퍼수단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스토퍼수단은, 상기 거치수단 또는 무선충전수단에 형성되는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거치수단 또는 무선충전수단의 일측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단부에 구비되며, 휴대기기의 일단부를 지지하도록 돌출형성되는 지지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에 의하면, 휴대기기를 용이하게 거치시킴은 물론, 휴대기기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구비된 무선충전수단의 제2코일을 휴대기기의 제1코일과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휴대기기의 충전이 용이하여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에 스토퍼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스토퍼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스토퍼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에 제2스토퍼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에 스토퍼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스토퍼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스토퍼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에 제2스토퍼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10)는 거치수단(100)과 무선충전수단(200) 및 이동수단(300)으로 구성된다.
거치수단(100)은 무선 충전을 위해 제1코일(30)이 구비된 휴대기기(20)를 거치시키도록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방향으로 가압되는 두 쌍의 거치돌기(112)에 의해 휴대기기(20)를 가압하여 거치시키게 된다.
그리고 무선충전수단(200)은 거치수단(1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휴대기기(20)의 제1코일(30)에서 발생된 자기력에 의해 유도전류를 생성하여 휴대기기(20)를 충전시키는 제2코일(210)이 구비된다.
이동수단(300)은 거치된 휴대기기(20)를 이동시켜 제1코일(30)을 제2코일(210)과 일치시키도록 거치수단(100)에 구비된다.
이러한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1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이동수단(300)에 의해 거치수단(100)에 거치시킨 휴대기기(20)를 이동시켜 휴대기기(20)의 제1코일(30)과 무선충전수단(200)의 제2코일(210)을 일치시켜 휴대기기(20)를 충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거치수단(100)은 베이스프레임(110)과 제1거치프레임(120), 제2거치프레임(130) 및 가압수단(140)으로 구성된다.
제1거치프레임(120)은 베이스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대각선 방향으로 제1상단거치돌기(112a)와 제1하단거치돌기(112b)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제2거치프레임(130)은 제1거치프레임(120)과 겹쳐지도록 베이스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제2거치프레임(130)은 회전 중심축을 지나는 수직 연장선(I)을 기준으로 제1상단거치돌기(112a)에 대칭되는 제2상단거치돌기(122a)와 제1하단거치돌기(112b)에 대칭되는 제2하단거치돌기(122b)가 돌출 형성된다.
가압수단(140)은 제1상단거치돌기(112a)와 제2하단거치돌기(122b) 및 제1하단거치돌기(112b)와 제2상단거치돌기(122a)를 각각 상호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제1거치프레임(120)과 제2거치프레임(130)을 회전시켜 휴대기기(20)를 가압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거치수단(1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상단거치돌기(112a)와 제2상단거치돌기(122a) 또는 제1하단거치돌기(112b)와 제2하단거치돌기(122b) 중 어느 한 쌍을 상호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상단거치돌기(112a)와 제2하단거치돌기(122b) 및 제1하단거치돌기(112b)와 제2상단거치돌기(122a) 사이 간격을 벌리게 된다.
이러한 벌려진 사이 간격으로 휴대기기(20)를 위치시킨 후, 가압수단(140)에 의해 각 돌기(112a, 112b, 122a, 122b)가 원위치됨에 따라 휴대기기(20)를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무선충전수단(200)이 결합되어 접촉되는 거치수단(100)에 완충부(160)가 더 구비되어 상호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시킨다.
이러한 완충부(160)는 탄성을 갖고, 일정 두께로 형성되어 접착되는 것으로, 고무나 러버(rubber)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녀,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재질이라면 사용 가능함이 당연하다.
그리고 무선충전수단(200)은 결합수단(400)에 의해 거치수단(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결합수단(400)은 결합공(410)과 결합돌기(420)로 구성된다.
결합공(410)은 거치수단(100)에 다수 개 형성되고, 결합돌기(420)는 결합공(410)에 결합되도록 무선충전수단(200)에 돌출 형성된다.
또한 이동수단(300)은 제1상단거치돌기(112a)와 제2상단거치돌기(122a), 제1하단거치돌기(112b) 및 제2하단거치돌기(122b)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롤러이다.
이러한 이동수단(300)인 롤러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수단(100)에 거치된 휴대기기(20)의 이동 시, 각 롤러가 닿아 회전됨에 따라 휴대기기(2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휴대기기(20)의 제1코일(30)을 무선충전수단(200)의 제2코일(210)과 용이하게 일직선상에 위치시켜 휴대기기(20)를 무선 충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도 5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상단거치돌기(112a)와 제2하단거치돌기(122b) 및 제1하단거치돌기(112b)와 제2상단거치돌기(122a)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거치수단(100)에 스토퍼(150)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스토퍼(150)의 일 실시 예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스토퍼(152)와 제2스토퍼(154)로 구성된다.
제1스토퍼(152)는 제1상단거치돌기(112a)와 제2하단거치돌기(122b) 및 제1하단거치돌기(112b)와 제2상단거치돌기(122a) 사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위치된 제1거치프레임(120)에 구비되어 제2거치프레임(130)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제2스토퍼(154)는 제1스토퍼(152)에 걸리도록 제2거치프레임(130)에 구비되되, 제1스토퍼(152)를 기준으로 가압수단(300)에 의해 가압되는 방향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은, 스토퍼(150)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상단거치돌기(112a)와 제2상단거치돌기(122a) 또는 제1하단거치돌기(112b)와 제2하단거치돌기(122b) 중 어느 한 쌍을 상호방향으로 회전시켜 휴대기기(20)의 거치 또는 분리 후,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해졌던 가압력을 제거하면, 가압수단(300)에 의해 제1거치프레임(120)과 제2거치프레임(130)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원위치된다.
이러한 제1거치프레임(120)과 제2거치프레임(130)이 원위치됨에 따라 각 돌기(112a, 112b, 122a, 122b) 역시, 원위치된다.
이때, 원위치되는 제1거치프레임(120)과 제2거치프레임(130)을 따라 제1스토퍼(152)와 제2스토퍼(154) 역시 회전되어 상호 접하게 됨에 따라, 더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가압수단(300)에 의해 상호방향으로 가압력이 작용되어 상호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도 5 내지 6에서는 스토퍼(150)을 가리는 무선충전수단(200)과 휴대기기(20)을 생략하였다.
한편, 도 7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다른 실시 예의 스토퍼(150')는 제1스토퍼(152')와 제2스토퍼(154')로 구성된다.
제1스토퍼(152')는 제2상단거치돌기(122a)와 제2하단거치돌기(122b)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걸려지도록 제1거치프레임(120)에 구비되되, 가압수단(300)에 의해 가압되는 방향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제2스토퍼(154')는 제1상단거치돌기(112a)와 제1하단거치돌기(112b)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걸리도록 제2거치프레임(130)에 구비되되, 가압수단(300)에 의해 가압되는 방향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은, 스토퍼(15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상단거치돌기(112a)와 제2상단거치돌기(122a) 또는 제1하단거치돌기(112b)와 제2하단거치돌기(122b) 중 어느 한 쌍을 상호방향으로 회전시켜 휴대기기(20)의 거치 또는 분리 후,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해졌던 가압력을 제거하면, 가압수단(300)에 의해 제1거치프레임(120)과 제2거치프레임(130)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원위치된다.
이러한 제1거치프레임(120)과 제2거치프레임(130)이 원위치됨에 따라 각 돌기(112a, 112b, 122a, 122b) 역시, 원위치되며, 제1스토퍼(152)와 제2스토퍼(154) 역시 회전된다.
원위치되는 제1스토퍼(152)는 해당 제2상단거치돌기(122a) 또는 제2하단거치돌기(122b)에 걸려지고, 제2스토퍼(154)는 해당 제1상단거치돌기(112a) 또는 제1하단거치돌기(112b)에 걸려져 제1거치프레임(120)과 제2거치프레임(130)이 더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물론, 도 7 내지 8에서는 스토퍼(150')을 가리는 무선충전수단(200)과 휴대기기(20)을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기기(20)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거치수단(100) 또는 무선충전수단(200)에 제2스토퍼수단(500)이 더 구비된다.
도 9에서는 일 실시 예로, 제2스토퍼수단(500)이 무선충전수단(200)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제2스토퍼수단(500)은 가이드홈(510)과 가이드프레임(520) 및 지지턱(530)으로 구성된다.
가이드홈(510)은 거치수단(100) 또는 무선충전수단(200)에 형성되고, 가이드프레임(520)은 가이드홈(510)을 따라 이동되어 거치수단(100) 또는 무선충전수단(200)의 일측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지지턱(530)은 가이드프레임(520)의 단부에 구비되며, 휴대기기(20)의 일단부를 지지하도록 돌출형성됨에 따라, 휴대기기(20)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홈(510)과 가이드프레임(520)에는 고정돌기와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어 지지턱(53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크기가 다양한 휴대기기들에 대응하여 이동 거리를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스토퍼수단(500)은 거치수단(100) 또는 무선충전수단(200)에 하나 이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10)는 차량 내부나 책상 등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에 의해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수단은 차량 사용 시, 전면 유리에 부착하거나 인스트루먼트패널에 부착할 수 있거나 또는 센터페시아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책상에서 사용될 경우는 탈부착되거나 스텐드방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10 :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 20 : 휴대기기
30 : 제1코일 100 : 거치수단
150 : 스토퍼 200 : 무선충전수단
300 : 이동수단 400 : 결합수단
500 : 제2스토퍼

Claims (10)

  1. 무선 충전을 위해 제1코일이 구비된 휴대기기를 거치시키도록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호방향으로 가압되는 두 쌍의 거치돌기에 의해 상기 휴대기기를 가압하여 거치시키는 거치수단;
    상기 거치수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휴대기기의 제1코일에서 발생된 자기력에 의해 유도전류를 생성하여 휴대기기를 충전시키는 제2코일을 갖는 무선충전수단; 및
    거치된 휴대기기를 이동시켜 상기 제1코일을 상기 제2코일과 일치시키도록 상기 거치수단에 구비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거치수단에 거치시킨 휴대기기를 이동시켜 상기 휴대기기의 제1코일과 상기 무선충전수단 제2코일을 일치시켜 휴대기기를 충전시키며,
    상기 거치수단은,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대각선 방향으로 제1상단거치돌기와 제1하단거치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된 제1거치프레임; 상기 제1거치프레임과 겹쳐지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회전 중심축을 지나는 수직 연장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상단거치돌기에 대칭되는 제2상단거치돌기와 상기 제1하단거치돌기에 대칭되는 제2하단거치돌기가 돌출 형성된 제2거치프레임; 상기 제1상단거치돌기와 제2하단거치돌기 및 제1하단거치돌기와 제2상단거치돌기를 각각 상호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제1거치프레임과 제2거치프레임을 회전시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상단거치돌기와 제2상단거치돌기 또는 제1하단거치돌기와 제2하단거치돌기 중 어느 한 쌍을 상호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상단거치돌기와 제2하단거치돌기 및 제1하단거치돌기와 제2상단거치돌기 사이 간격을 벌려 상기 휴대기기를 거치시킨 후, 상기 가압수단에 의해 각 돌기가 원위치됨에 따라 휴대기기를 고정시키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제1상단거치돌기와 제2상단거치돌기, 제1하단거치돌기 및 제2하단거치돌기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롤러이며, 상기 휴대기기의 이동 시, 각 롤러가 닿아 회전됨에 따라 휴대기기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단거치돌기와 제2하단거치돌기 및 제1하단거치돌기와 제2상단거치돌기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거치수단 또는 무선충전수단에 스토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상단거치돌기와 제2하단거치돌기 및 제1하단거치돌기와 제2상단거치돌기 사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위치된 상기 제1거치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제2거치프레임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제1스토퍼; 및
    상기 제1스토퍼에 걸리도록 상기 제2거치프레임에 구비되되, 상기 제1스토퍼를 기준으로 상기 가압수단에 의해 가압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상단거치돌기와 제2하단거치돌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걸려지도록 상기 제1거치프레임에 구비되되, 상기 가압수단에 의해 가압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스토퍼; 및
    상기 제1상단거치돌기와 제1하단거치돌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걸리도록 상기 제2거치프레임에 구비되되, 상기 가압수단에 의해 가압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수단이 결합되어 접촉되는 상기 거치수단에 완충부가 더 구비되어 상호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수단은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거치수단에 탈부착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거치수단에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공; 및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도록 상기 무선충전수단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거치수단 또는 무선충전수단에 제2스토퍼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토퍼수단은,
    상기 거치수단 또는 무선충전수단에 형성되는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거치수단 또는 무선충전수단의 일측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단부에 구비되며, 휴대기기의 일단부를 지지하도록 돌출형성되는 지지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
KR1020130008917A 2013-01-25 2013-01-25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 KR101473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917A KR101473551B1 (ko) 2013-01-25 2013-01-25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917A KR101473551B1 (ko) 2013-01-25 2013-01-25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918A KR20140095918A (ko) 2014-08-04
KR101473551B1 true KR101473551B1 (ko) 2014-12-17

Family

ID=51744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917A KR101473551B1 (ko) 2013-01-25 2013-01-25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35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511A (ko) 2020-08-12 2022-02-21 최성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WO2023003283A1 (ko) * 2021-07-23 2023-01-26 주식회사 쏭스디자인 무선 충전이 쉬운 휴대단말용 액세서리 고정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93727B2 (en) 2014-10-10 2017-10-17 Samsung-Electro-Mechanics Co., Ltd.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US20160181851A1 (en) * 2014-12-23 2016-06-23 Intel Corporatio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coil disposed around a protruding magnetic component
KR20190124475A (ko) * 2018-04-26 2019-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 자동 정렬 방법
KR102117629B1 (ko) * 2018-11-06 2020-06-01 애드크런치 주식회사 다기종 이동단말기에 호환 가능한 탈착형 무선충전장치
KR102236647B1 (ko) * 2019-03-13 2021-04-06 모비케이 주식회사 스마트폰의 오토얼라인먼트 및 무선 충전이 가능한 무전충전 거치대
KR20200126947A (ko) * 2020-10-26 2020-11-09 (주)주파집 센서 작동 구조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무선 충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511A (ko) 2020-08-12 2022-02-21 최성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WO2023003283A1 (ko) * 2021-07-23 2023-01-26 주식회사 쏭스디자인 무선 충전이 쉬운 휴대단말용 액세서리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918A (ko) 2014-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3551B1 (ko)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
DE602009000499D1 (de) Verschiebbares und kippbares, tragbares elektronisches Gerät
US9014766B2 (en) Protective clamp frame having power and unclamp duplex button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EP2963942A1 (en) Wireless sound equipment
ATE505026T1 (de) Verschiebbares mobiles kommunikationsendgerät und schiebevorrichtung dazu
JP2016508072A5 (ko)
ATE401937T1 (de) Zusammenklappbares reformerübungsgerät
TW200728794A (en) Camera module and electric device using the same
TW200720943A (en) Multi-configu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60003654U (ko) 무선충전 크래들
TW200742900A (en) Electric device and pivot mechanism thereof
CN101660569A (zh) 铰链机构及应用该铰链机构的便携式电子装置
KR20120037318A (ko) 접이형 휴대 장치의 스냅 힌지 장치
KR20160042750A (ko) 만곡 시험기
TW200742390A (en) Sliding mechanism for moving electronic device
CN210183507U (zh) 一种电子设备
TW200640331A (en) Electronic devices
CN104105028A (zh) 拾音夹座及拾音器件组件
KR101963660B1 (ko)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KR101485262B1 (ko) 휴대용 기기 거치대
TW200610560A (en) Inversion machine with safety device
KR20190003445A (ko)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CN213846339U (zh) 一种便于携带的磁吸无线充移动电源
KR101600528B1 (ko) 신체 탈부착 다목적 거치장치
KR100799620B1 (ko) 슬라이딩 구조 및 이 구조를 사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