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629B1 - 다기종 이동단말기에 호환 가능한 탈착형 무선충전장치 - Google Patents

다기종 이동단말기에 호환 가능한 탈착형 무선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629B1
KR102117629B1 KR1020180170443A KR20180170443A KR102117629B1 KR 102117629 B1 KR102117629 B1 KR 102117629B1 KR 1020180170443 A KR1020180170443 A KR 1020180170443A KR 20180170443 A KR20180170443 A KR 20180170443A KR 102117629 B1 KR102117629 B1 KR 102117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harging
mobile terminal
charging device
battery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2196A (ko
Inventor
신승민
Original Assignee
애드크런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드크런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애드크런치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52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동단말기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해 상기 이동단말기에 무선충전전력을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무선충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다양한 크기의 이동단말기에 결합될 수 있도록 신축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다기종 이동단말기에 호환 가능한 탈착형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기종 이동단말기에 호환 가능한 탈착형 무선충전장치 {DETACHABLE WIRELESS CHARGER COMPATIBLE WITH VARIOUS TYPES OF MOBILE TERMINALS}
본 발명은 탈착형 무선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이동단말기의 후면에 보호케이스 형태로 탈착 가능하고 배터리 교체를 통해 휴대 중 어느 때나 무선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다기종 이동단말기에 호환 가능한 탈착형 무선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이동단말기들은 제조사 마다 다른 형태로 출시되고 있다. 또한 같은 제조사에서 출시된 이동단말기라 하더라도 용도나 마케팅 의도 등에 따라 크기와 형태가 다양하게 제작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보호케이스 형태의 액세서리를 사용할 때 기기마다 새로운 제품을 구입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동단말기와 결합되어 무선충전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13941호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차량용 거치대 및 이의 휴대폰 거치 및 탈착 방법'(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서는 이동단말기의 후면에 결합되는 차량용 거치대에 무선충전모듈을 결합한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비록 특허문헌 1에는 다기종의 이동단말기의 후면에 결합되어 이동단말기를 감싸는 구조의 무선충전장치가 개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특허문헌 1은 운행중인 차량에서 휴대폰의 거치 및 고정의 용이성과 안정성을 높이면서 차량이 운행되는 중에도 사용자가 손쉽게 휴대폰을 거치하여 고정할 수 있게 하는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차량에 견고히 결합되는 구조를 구비한다.
즉, 특허문헌 1은 이동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이동단말기의 후면에 보호케이스 형태로 쉽게 탈착 가능하고 배터리 교체를 통해 휴대 중 어느 때나 무선충전을 가능하게 함)과상반된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서는 휴대성을 향상시키고 배터리 교체를 통해 언제 어느 장소에서라도 무선충전이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개시하지 못한다.
이동단말기에 탈착되고 무선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기기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1535호 '무선 충전용 전력 수신기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이하 특허문헌 2라 함)에서는 이동단말기 후면 배터리 케이스에 결합되는 무선충전 전력 수신기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구조는 이동단말기 후면에 무선충전 기기가 장착된다는 점에서 본원발명과 유사하지만 이는 외부 무선충전 장치의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구조일 뿐 이동단말기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조를 개시하지 못한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7125호 '전류모드 직렬/병렬 변환기 및 병렬/직렬 변환기'(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함)에서는 전력공급을 할 때 전류를 직렬/병렬 변환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3에서는 이동단말기에 결합 가능한 무선충전장치 구조가 개시되지 않을 뿐 아니라 상기 무선충전장치의 전력 공급을 조절하는 구조 및 방법 또한 개시되어 있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1394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153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7125호
본 발명에 따른 다기종 이동단말기에 호환 가능한 탈착형 무선충전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이동단말기의 기종에 상관없이 모든 이동단말기의 후면에 보호케이스 형태로 쉽게 탈착 가능하고 배터리 교체를 통해 휴대 중 어느 때나 무선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탈착형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보조 배터리의 연결 방식을 제어하여 이동단말기의 충전 상태에 따라 무선충전 출력을 높이거나 무선충전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탈착형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이동단말기 기종에 상관없이 호환되는 무선충전장치를 구비하는 이동단말기 보호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터리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동단말기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해 상기 이동단말기에 무선충전전력을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무선충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다양한 크기의 이동단말기에 결합될 수 있도록 신축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다기종 이동단말기에 호환 가능한 탈착형 무선충전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는 상기 수용공간에 형성되는 배터리 전극과, 타 바디와 결합되어 수용공간 내부의 배터리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바디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바디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타 바디들과 연결될 때 수용공간 내부 배터리들의 직렬 또는 병렬 연결을 선택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충전모듈은 상기 이동단말기의 충전상태에 따라 서로 결합된 바디의 배터리들의 직렬/병렬 연결로 전환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재는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단말기의 테두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안착홈을 구비하는 그립부와, 상기 바디와 결합되고 상기 그립부와 연결되며 신축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립부는 상기 안착홈 내면에 이동단말기의 테두리 곡면을 따라 변형되는 탄성체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동단말기 후면을 덮도록 형성되고 내면에 무선충전장치 삽입홈을 구비하는 케이스 바디와, 상기 삽입홈에 맞물려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무선충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충전장치는 배터리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동단말기에 고정되고 신축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다양한 크기의 이동단말기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해 상기 이동단말기에 무선충전전력을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무선충전모듈을 포함하는 이동단말기 보호케이스를 개시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다기종 이동단말기에 호환 가능한 탈착형 무선충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사용자가 다양한 종류의 이동단말기에 맞는 별도의 무선충전장치를 구입할 필요없이 하나의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무선충전장치의 보조 배터리를 서로 연결하여 이동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충전 속도나 충전 지속시간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셋째, 탈착형 무선충전장치를 이동단말기 보호케이스 내면에 장착할 수 있게 하여 이동단말기 교체에 따른 보호케이스 교체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종 이동단말기에 호환 가능한 탈착형 무선충전장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종 이동단말기에 호환 가능한 탈착형 무선충전장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선충전장치 바디를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무선충전장치의 저면을 바라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의 횡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무선충전장치의 확장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무선충전장치의 확장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9는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무선충전장치 바디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무선충전장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본 발명에 따른 다기종 이동단말기에 호환 가능한 탈착형 무선충전장치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또는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종 이동단말기(10)에 호환 가능한 탈착형 무선충전장치(100)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종 이동단말기(10)에 호환 가능한 탈착형 무선충전장치(100)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무선충전장치(100)는 무선충전장치 바디(110)와, 체결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체결부재(130)는 네 개의 그립부(132)를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립부(13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10)의 네 모서리에 걸리도록 형성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10)의 측면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무선충전장치 바디(110)는 내부에 배터리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이동단말기(10) 휴대 중에도 이동단말기(10)를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무선충전장치(100)의 체결부재(130)는 바디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이동단말기(10)의 테두리를 고정하는 그립부(132)를 구비한다.
체결부재(130)는 신축성을 갖는 부재 또는 너비를 조절할 수 있는 고정틀 형태로 형성되어 이동단말기(10)의 기종이나 크기에 상관없이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선충전장치 바디(110)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충전장치 바디(110)는 배터리 수용공간(A)을 구비하는 하우징(111)과, 상기 수용공간(A)을 덮도록 형성되는 배터리 커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커버(120)는 배터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수용공간(A)을 덮도록 형성된다. 배터리 커버(120)는 힌지형, 슬라이드형, 소켓형, 나사형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무선충전장치(100)의 저면을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충전장치(100)는 중심부에 배치되는 바디를 기준으로 4 방향으로 X자 형태로 연장되는 체결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재(130)의 단부에는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그립부(132)가 배치될 수 있다. 서로 반대방향에 배치되는 그립부(132)는 신축성을 가지는 연장부(134)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립부(132)의 내면에는 이동단말기(10)의 모서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의 내면에는 탄성체가 배치될 수 있다. 탄성체는 이동단말기(10)가 체결되었을 때 이동단말기(10) 테두리 곡면 형태를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바디의 중심부에는 무선충전 송신부(124)가 배치된다.
무선충전 송신부(124)와 중첩되는 영역(B)에는 송신 전력을 강화하기 위한 부재(또는 회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100)의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장치(100)의 횡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무선충전장치 바디(110)는 이동단말기(10) 후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되고, 배터리(300)는 바디 내부의 수용공간에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수용공간 내면에는 배터리(300)의 단자와 접촉되는 배터리 전극(114)이 형성되고, 수용공간에 삽입된 배터리는 연결단자(116, 118)를 통해 타 바디 내부의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무선충전장치(100)는 내부에 무선충전모듈을 구비한다. 무선충전모듈은 무선충전 제어부(122)와, 무선충전 송신부(124)와, 승압부와,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충전 제어부(122)는 무선충전 송신부(124)를 통해 송신되는 신호를 제어한다. 또한, 무선충전 제어부(122)는 복수의 바디가 연결되는 경우 이동단말기(10)의 상태에 따라 배터리 간 직렬/병렬 연결을 제어하여 충전 용량을 늘리거나 충전 출력을 높일 수 있다.
무선충전 송신부(124)는 배터리(300)의 전력을 무선충전 신호로 변환하여 이동단말기(1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부재(130)는 무선충전장치 바디(110) 내부에 무선충전 송신부(124)의 후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무선충전 송신부(124)는 이동단말기(10)와 대면하도록 배치되고 체결부재(130)는 무선충전 송신부(124)의 후면을 덮으며 무선충전장치 바디(110)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부재(130)의 적어도 일부에는 전자파 차폐막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재(130) 중 도 4에 도시된 무선충전 송신부(124)와 중첩되는 영역(B)에 전자파 차폐막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체결부재(130)에 형성되는 차폐막은 무선충전 신호의 방출 방향을 조정하거나, 충전 시 유해한 전자파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승압부는 배터리(30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무선충전이 가능한 수치로 승압 또는 조정한 후 무선충전 송신부(124)로 전달한다.
통신부는 이동단말기(1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는 이동단말기(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명령을 수신하여 무선충전 제어부(122)로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는 이동단말기(10)로부터 이동단말기(10)의 충전잔량(SOC, state of charge)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22)는 이동단말기(10)의 충전잔량 정보를 수신하여 서로 연결된 복수의 무선충전장치 바디(110) 내부의 배터리 연결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복수의 바디를 연결하여 무선충전장치(100)의 용량 또는 출력을 선택적으로 향상시키는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무선충전장치(100)의 확장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무선충전장치(100)의 확장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9는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무선충전장치 바디(110)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무선충전장치(100)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무선충전장치 바디(110)는 양 측면에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부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 전극(114)은 수용공간(A)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배터리(300)의 단자에 접촉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바디의 좌측에 형성된 연결전극(116a, 116b)과 제2 바디의 오른쪽에 형성된 연결전극(118a', 118b')이 서로 접촉하여 두 바디가 연결된 하나의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에 따르면 두 개의 바디만이 연결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바디의 왼쪽에 형성된 연결전극(116a', 116b')에 다른 바디가 추가로 연결되거나 제1 바디의 오른쪽에 형성된 연결전극(118a, 118b)에 다른 바디가 추가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122)는 무선충전 송신부(124)에 공급되는 전원의 형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10)의 충전잔량(SOC, state of charge)이 낮은 경우 무선충전 제어부(122)는 복수의 바디를 직렬로 연결하여 무선충전 출력을 높여 이동단말기(10)를 급속 충전시킬 수 있으며, 이동단말기(10)의 충전잔량이 높은 경우 무선충전 제어부(122)는 복수의 바디를 병렬로 연결하여 무선충전 장치의 용량을 증가시켜 장시간 충전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단말기(10)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무선충전장치(100)의 충전값, 충전 중단값, 충전 속도, 충전 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10)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충전값 이하일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무선충전장치(100)에 충전신호를 전달한다. 충전신호를 받은 무선충전장치(100)는 충전 회로의 스위치를 온(on) 시켜 이동단말기(10)의 배터리로 전력을 공급한다.
충전 회로의 스위치가 온(on)인 경우 무선충전장치(100)는 전력공급신호를 이동단말기(10)에 전송한다. 전력공급신호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전력공급이 시작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이동단말기(10)로 전력공급신호가 전송되고 전력공급신호를 수신한 이동단말기(10)는 다시 배터리 상태를 다시 파악한다.
이동단말기(10)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충전 중단값 이상일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충전장치에 충전 중단신호를 전달한다. 충전 중단신호를 받은 충전장치는 충전 회로의 스위치를 오프(off)시켜 이동단말기(10)의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한다.
또한, 사용자가 설정한 충전 속도 및 충전 시간에 따라 제어부(122)는 배터리의 직렬/병렬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충전 용량과 충전 출력에 맞추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는 다양한 종류의 이동단말기에 맞는 별도의 무선충전장치를 구입할 필요없이 하나의 무선충전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며, 무선충전장치의 보조 배터리를 서로 연결하여 이동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충전 속도나 충전 지속시간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탈착형 무선충전장치를 이동단말기 보호케이스 내면에 장착할 수 있게 하여 이동단말기 교체에 따른 보호케이스 교체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게 하는 등 종래 기술에 비해 개선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다기종 이동단말기에 호환 가능한 탈착형 무선충전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 이동단말기 100 : 탈착형 무선충전장치
110 : 무선충전장치 바디 111 : 하우징
114 : 배터리 전극 116 : 제1 연결부
118 : 제2 연결부 120 : 커버
122 : 무선충전 제어부 124 : 무선충전 송신부
130 : 체결부재 132 : 그립부
134 : 연장부 300 : 배터리

Claims (7)

  1. 배터리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바디;
    상기 바디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동단말기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체결부재; 및
    상기 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해 상기 이동단말기에 무선충전전력을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무선충전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다양한 크기의 이동단말기에 결합될 수 있도록 신축성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바디는,
    상기 수용공간에 형성되는 배터리 전극; 및
    타 바디와 결합되어 수용공간 내부의 배터리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이동단말기에 호환 가능한 탈착형 무선충전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바디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 연결부;
    상기 바디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타 바디들과 연결될 때 수용공간 내부 배터리들의 직렬 또는 병렬 연결을 선택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이동단말기에 호환 가능한 탈착형 무선충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모듈은 상기 이동단말기의 충전상태에 따라 서로 결합된 바디의 배터리들의 직렬/병렬 연결로 전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이동단말기에 호환 가능한 탈착형 무선충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단말기의 테두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안착홈을 구비하는 그립부; 및
    상기 바디와 결합되고 상기 그립부와 연결되며 신축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이동단말기에 호환 가능한 탈착형 무선충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안착홈 내면에 이동단말기의 테두리 곡면을 따라 변형되는 탄성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이동단말기에 호환 가능한 탈착형 무선충전장치.
  7. 이동단말기 후면을 덮도록 형성되고 내면에 무선충전장치 삽입홈을 구비하는 케이스 바디; 및
    상기 삽입홈에 맞물려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무선충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충전장치는,
    배터리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바디;
    상기 바디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동단말기에 고정되고 신축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다양한 크기의 이동단말기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체결부재; 및
    상기 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해 상기 이동단말기에 무선충전전력을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무선충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20180170443A 2018-11-06 2018-12-27 다기종 이동단말기에 호환 가능한 탈착형 무선충전장치 KR1021176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040 2018-11-06
KR20180135040 2018-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196A KR20200052196A (ko) 2020-05-14
KR102117629B1 true KR102117629B1 (ko) 2020-06-01

Family

ID=70737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443A KR102117629B1 (ko) 2018-11-06 2018-12-27 다기종 이동단말기에 호환 가능한 탈착형 무선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6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556B1 (ko) * 2020-08-12 2022-04-22 최성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019B1 (ko) * 2016-05-04 2017-03-15 박은주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KR101865536B1 (ko) * 2016-03-02 2018-06-11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전력 송수신 가능한 보조배터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125B1 (ko) 2007-11-20 2009-03-04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류모드 직렬/병렬 변환기 및 병렬/직렬 변환기
KR101211535B1 (ko) 2010-06-07 2012-12-12 유한회사 한림포스텍 무선 충전용 전력 수신기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1473551B1 (ko) * 2013-01-25 2014-12-17 (주)이노타임 무선 충전용 거치장치
KR102081908B1 (ko) 2018-08-23 2020-02-26 주식회사 인트비즈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및 이의 휴대폰 거치 및 탈착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536B1 (ko) * 2016-03-02 2018-06-11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전력 송수신 가능한 보조배터리
KR101717019B1 (ko) * 2016-05-04 2017-03-15 박은주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196A (ko) 202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309B1 (ko)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EP3641098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d or wireless charging in electronic device
JPH07114382B2 (ja) 携帯無線機用車載アダプタ−
KR20200042268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유무선 충전 방법
JP2016052186A (ja) 充電式電気機器
KR102117629B1 (ko) 다기종 이동단말기에 호환 가능한 탈착형 무선충전장치
KR20140089972A (ko) 축전지가 구비된 휴대용 충전기
US8487476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owering mobile devices
US921937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a battery pack
US10594352B2 (en)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US20210226459A1 (en) Wireless charger device
US7248902B2 (en) Multi-mode power supply device of wireless earphone
CN209823830U (zh) 手持设备保护壳
WO2020014986A1 (zh) 充放电装置、充电方法及手持云台组件
KR101968947B1 (ko) 보조 배터리 내장형 휴대 단말 보호 케이스
CN110401254B (zh) 电子设备及充电控制方法
WO2005120160A2 (en) External versatile battery with power saving mode
KR20180001777U (ko) 부착기능을 갖는 휴대용 충전지
WO2007035103A1 (en) Rechargeable back-up battery device
KR102039662B1 (ko) 건전지 대용 무선배터리팩 장치
KR102286481B1 (ko) 무선충전을 지원하는 단말 케이스
KR20170122994A (ko) 착탈식 충전 플러그 내장 보조배터리
KR20180070203A (ko) 휴대폰과 연결 가능한 결합부재를 갖는 보조배터리
KR200263801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공급용 보조 배터리팩
CN106712268B (zh) 一种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