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600B1 - 유구 보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구 보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600B1
KR102524600B1 KR1020210067857A KR20210067857A KR102524600B1 KR 102524600 B1 KR102524600 B1 KR 102524600B1 KR 1020210067857 A KR1020210067857 A KR 1020210067857A KR 20210067857 A KR20210067857 A KR 20210067857A KR 102524600 B1 KR102524600 B1 KR 102524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on pipes
ground
separation
pipes
sequenti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9805A (ko
Inventor
최준현
Original Assignee
최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현 filed Critical 최준현
Priority to KR1020210067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600B1/ko
Publication of KR20220159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6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 E21D9/08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with additional boring or cutting means other than the conventional cutting edge of the shield
    • E21D9/0875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with additional boring or cutting means other than the conventional cutting edge of the shield with a movable support arm carrying cutting tools for attacking the front face, e.g. a bucket
    • E21D9/0879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with additional boring or cutting means other than the conventional cutting edge of the shield with a movable support arm carrying cutting tools for attacking the front face, e.g. a bucket the shield being provided with devices for lining the tunnel, e.g. shutt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44Bits with helical conveying portion, e.g. screw type bits; Augers with leading portion or with detach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0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 E21D9/1006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with rotary cutt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유구 보존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유구 보존 장치는, 유구(relic)가 위치하는 지반 하단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복수의 위치들에서 각각 압박 회전하며 상기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하단을 수평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굴착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들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굴착된 터널들에 각각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및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과 순차적으로 결합 및 결합 해제되며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과 결합 시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이 압박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은, 상기 터널들에 각각 삽입된 채 상기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상단을 상기 지반 하단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구 보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SERVING RELIC}
아래의 실시예들은 유구 보존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국토개발 사업에는 도로시설 확충을 위한 도로공사, 산업시설을 위한 토지 구획정리, 택지 조성공사, 국가시설 기반공사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국토개발 사업이 시행되기 전에는 반드시 사업 지역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가 진행되어 유구(relic) 및 유물에 대한 발굴 조사 및 보존이 시행되어야 한다.
유구 및 유물은 모두 선대의 인간의 의해 만들어진 고고학적 가치를 갖는 잔존물을 의미한다. 그러나 유구는 유물과 달리 지반에 구축된 것이기 때문에, 이전하여 보존 및 복원하기 힘들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에, 아래의 실시예들은 유구를 이전하여 보존 및 복원하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구(relic)를 이전하여 보존 및 복원하는 기술을 제안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일 실시예들은 기존의 오거 비트(auger bit)을 이용하는 가운데, 보존 공정을 단순화하고 보존 공정 시 유구의 훼손을 최소화하는 유구 보존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유구 보존 장치는, 유구(relic)가 위치하는 지반 하단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복수의 위치들에서 각각 압박 회전하며 상기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하단을 수평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굴착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들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굴착된 터널들에 각각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및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과 순차적으로 결합 및 결합 해제되며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과 결합 시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이 압박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은, 상기 터널들에 각각 삽입된 채 상기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상단을 상기 지반 하단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에는, 상기 지반 하단을 굴착하기 위한 오거 비트가 순차적으로 수납되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오거 비트는,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에 의해 공유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은, 상기 복수의 위치들에 상기 터널들을 각각 순차적으로 굴착하여 생성함과 동시에, 상기 터널들에 각각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은, 상기 지반 하단이 굴착된 굴착 잔여물을 상기 터널들 각각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의 후단에는,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의 길이를 연장시키기 위한 연장 파이프가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은, 상기 터널들에 각각 삽입된 채 서로 연결되어 분리판을 형성하여 상기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상단을 상기 지반 하단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은, 각각의 양단이 상부 고정 장치 및 하부 고정 장치-상기 상부 고정 장치 및 상기 하부 고정 장치는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을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수용하여 고정시키며 결합될 수 있도록 반원 형상의 홀들을 포함함-에 의해 수용되며 고정됨으로써, 서로 연결되며 상기 분리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유구 보존 장치는,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이 순차적으로 결합된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본체부에 결합된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을 상기 지지부로부터 전후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은, 상기 이동부에 의해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하며 상기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하단을 굴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하단의 둘레를 노출시키는 해자(moat)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분리 파이프가 상기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의 주변 상부를 수직 방향으로 굴착할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리 파이프가 결합된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유구 보존 장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바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및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과 순차적으로 결합 및 결합 해제되며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과 결합 시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이 압박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유구 보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유구 보존 방법은,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이 유구(relic)가 위치하는 지반 하단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복수의 위치들에서 각각 압박 회전하며 상기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하단을 수평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굴착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이 상기 복수의 위치들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굴착된 터널들에 각각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이 상기 터널들에 각각 삽입된 채 상기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상단을 상기 지반 하단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굴착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이 각각에 오거 비트가 순차적으로 수납되며 결합됨에 따라 상기 지반 하단을 상기 수평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굴착하는 단계인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굴착하는 단계 및 상기 삽입되는 단계는,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굴착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통해, 상기 지반 하단이 굴착된 굴착 잔여물을 상기 터널들 각각의 외부로 배출시키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굴착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의 후단에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의 길이를 연장시키기 위한 연장 파이프가 결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되는 단계는, 상기 연장 파이프가 각각 결합된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이 상기 터널들에 각각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이 상기 터널들에 각각 삽입된 채 서로 연결되어 분리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판이 상기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상단을 상기 지반 하단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또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분리판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의 양단이 상부 고정 장치 및 하부 고정 장치-상기 상부 고정 장치 및 상기 하부 고정 장치는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을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수용하여 고정시키며 결합될 수 있도록 반원 형상의 홀들을 포함함-에 의해 수용되며 고정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이 서로 연결되며 상기 분리판을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굴착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이 이동부-상기 이동부는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이 순차적으로 결합된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로부터 상기 본체부에 결합된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을 전후 이동시킴-에 의해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하며 상기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하단을 굴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유구 보존 방법은,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분리 파이프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된 채 상기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의 주변 상부를 수직 방향으로 굴착하는 단계; 상기 지반의 주변 상부가 굴착됨에 따라 상기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하단의 둘레를 노출시키는 해자(moat)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해자 내에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이 순차적으로 결합된 상기 본체부가 배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들이 유구(relic)를 이전하여 보존 및 복원하는 기술을 제안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일 실시예들은 기존의 오거 비트(auger bit)을 이용하는 가운데, 보존 공정을 단순화하고 보존 공정 시 유구의 훼손을 최소화하는 유구 보존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할 수 있다.
설명된 기술적 효과는 상기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구 보존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구 보존 장치의 굴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a 내지 3b는 도 1에 도시된 유구 보존 장치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구 보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유구 보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5a 내지 5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구 보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유구 보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구 보존 장치에서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이 분리판을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구 보존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구 보존 장치의 굴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3a 내지 3b는 도 1에 도시된 유구 보존 장치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유구 보존 장치(100)는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 본체부(120), 지지부(130) 및 이동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은, 본체부(120)에 결합 및 결합 해제되며, 결합 시 본체부(120)에서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압박 회전하여 터널을 굴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 각각에는 오거 비트(105)가 수납되며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오거 비트(105)가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 각각에 수납되며 결합되고 결합 해제되는 것은,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 각각이 몸체부(111) 및 몸체부(111)의 선단에 결합 및 결합 해제되는 분리부(112)로 구성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오거 비트(105)는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 각각에서 분리부(112)가 몸체부(111)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분리부(112)가 분리된 몸체부(111)의 선단 홀(Hole)을 통해 몸체부(111)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오거 비트(105)는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 각각에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부(112)가 몸체부(111)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분리부(112)가 분리된 몸체부(111)의 선단 홀을 통해 몸체부(111)로부터 결합 해제될 수 있다. 도면에는 몸체부(111) 및 분리부(112) 사이의 결합에는 나사 결합이 이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결합 상태에서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 각각이 압박 회전할 때 분리부(112)가 몸체부(111)로부터 결합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다양한 결합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오거 비트(105)는 후술되는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 각각의 굴착 과정에서,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에 의해 공유 사용될 수 있다. 즉, 오거 비트(105)는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 중 굴착을 수행할 분리 파이프에 수납되며 결합된 채 사용된 후, 굴착 완료된 분리 파이프로부터 결합 해제되고 굴착을 수행할 다른 분리 파이프에 수납되며 결합된 채 다시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분리부(112) 역시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 각각의 몸체부(111)에 의해 공유 사용될 수도 있다(도면에는 분리부(112)가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 각각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됨).
이 때,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 각각은 굴착 잔여물을 굴착된 터널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1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배출구(113)가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 각각에서 하나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 각각에서 서로 대향하여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 각각의 후단에는,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 각각의 길이를 연장시키기 위한 연장 파이프(미도시)가 결합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 각각은 굴착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본체부(120)로부터 결합 해제된 후 후단의 연장 파이프를 통해 본체부(120)에 다시 결합되어 굴착 과정을 이어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은, 유구(relic)가 위치하는 지반 하단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복수의 위치들에서 각각 압박 회전하며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하단을 수평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굴착하고, 복수의 위치들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굴착된 터널들에 각각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되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Pipe 1-n)은,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하단(510)의 둘레 중 우측 테두리에 있는 복수의 위치들(Location 1-n)에서 각각 본체부(120)에 순차적으로 결합된 채 지반 하단(510)에 대한 순차적인 굴착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Pipe 1-n)은 순차적으로 굴착된 터널들(Tunnel 1-n)에 각각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편의를 위해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Pipe 1-n)이 복수의 위치들(Location 1-n)에 터널들(Tunnel 1-n)을 각각 순차적으로 굴착하여 생성하는 것과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Pipe 1-n)이 터널들(Tunnel 1-n)에 각각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것이, 순서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실질적으로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Pipe 1-n)은 복수의 위치들(Location 1-n)에 터널들(Tunnel 1-n)을 각각 순차적으로 굴착하여 생성함과 동시에 터널들(Tunnel 1-n)에 각각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를 들면,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Pipe 1-n) 중 제1 분리 파이프(Pipe 1)는 본체부(120)에 결합된 채 제1 위치(Location 1)에서 지반 하단(510)에 대해 굴착을 수행하여 제1 터널(Tunnel 1)을 생성하고 제1 터널(Tunnel 1)에 삽입된 상태에서 본체부(120)로부터 결합 해제될 수 있다. 이어서,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Pipe 1-n) 중 제2 분리 파이프(Pipe 2)가 본체부(120)에 결합된 채 제2 위치(Location 2)에서 지반 하단(510)에 대해 굴착을 수행하여 제2 터널(Tunnel 2)을 생성하고 제2 터널(Tunnel 2)에 삽입된 상태에서 본체부(120)로부터 결합 해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들은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Pipe 1-n)의 개수 또는 굴착이 이루어져야 할 복수의 위치들(Location 1-n)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이 순차적인 굴착 및 삽입되기 위해서,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에 의해 공유 사용되는 오거 비트(105) 역시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 각각에 순차적으로 수납되며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오거 비트(105)는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 중 굴착을 수행할 순서의 분리 파이프에 수납되며 결합된 채 사용된 후, 굴착 완료된 분리 파이프로부터 결합 해제되고 굴착을 수행할 순서의 다음 분리 파이프에 수납되며 결합된 채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오거 비트(105)가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에 의해 공유 사용되지 않는다면, 오거 비트(105)는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의 개수만큼 구비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이 터널들에 각각 삽입되고 나면,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은 터널들 내에 각각 삽입된 채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상단을 지반 하단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되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Pipe 1-n)은 터널들(Tunnel 1-n) 내에 각각 삽입된 채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상단(520)을 지반 하단(5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분리 동작은 별도의 기중기 또는 크레인에 의해, 터널들 내에 각각 삽입된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이 지반 상단(520)의 지지판으로 사용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b에는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Pipe 1-n)이 서로 연결되지 않은 채 지반 상단(520)의 지지판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Pipe 1-n)이 서로 연결되어 분리판을 형성함으로써, 분리판이 지반 상단(520)의 지지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Pipe 1-n)은 각각의 양단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선단은 선단끼리, 후단은 후단끼리 서로 연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본체부(120)는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 각각과 순차적으로 결합 및 결합 해제되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 각각과 결합 시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 각각이 압박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부(120)의 일 측에는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 각각과의 결합 및 결합 해제를 지원하는 연결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30)는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 각각이 순차적으로 결합된 본체부(120)를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바닥부(131), 바닥부(131)에 직교로 형성된 이동 레일(132), 바닥부(131)의 하면에 형성되어 유구 보존 장치(10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바퀴들(1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140)는 본체부(120)에 결합된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 각각을 지지부(130)로부터 전후 이동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본체부(120)에 연결된 채 지지부(130)의 이동 레일(132)에서 전후 이동함으로써 본체부(120) 자체를 지지부(130)로부터 전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부(140)에는 이동부(140)가 전후 이동하는 것을 고정시키는 고정 레버(141)가 포함될 수 있다.
이동부(140)가 유구 보존 장치(100)에 포함됨에 따라,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140)에 의해 수평 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하며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하단을 굴착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 각각이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본체부(120)가 지반 하단의 둘레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경우, 이동부(140)의 수평 방향을 따른 전후 이동으로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 각각이 수평 방향으로 지반 하단을 굴착할 수 있다.
이동부(140)는 수평 방향을 따른 전후 이동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을 따른 전후 이동을 지원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후술되는 도 5c 내지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하단(510)의 둘레가 노출되지 않은 경우, 본체부(120)는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하단(510)의 둘레를 노출시키는 해자(moat)(530)를 형성하기 위해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의 주변 상부(540)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 본체부(120), 이동부(140) 및 지지부(130)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이동부(140)가 수직 방향에 따른 전후 이동을 지원하여 해자(530)를 형성하기 위한 굴착 동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를 들면, 본체부(120)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채 지지부(130)에 의해 지지되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 중 적어도 하나의 분리 파이프와 결합하여 적어도 하나의 분리 파이프를 통해 지반의 주변 상부(540)를 수직 방향으로 굴착함으로써, 해자(53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형성된 해자(530)를 통해 전술된 바와 같이 본체부(120)가 지반 하단(510)의 둘레에 따른 복수의 위치들(Location 1-n)에 순차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지반 상단(520)을 지반 하단(51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굴착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유구 보존 장치(100)는 도 3a 내지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된 유구 보존 장치(100)가 수행하는 유구 보존 방법에 대해서 도 4, 5a 내지 5b를 참조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구 보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유구 보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고. 도 5a 내지 5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구 보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유구 보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되는 유구 보존 방법은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된 유구 보존 장치(100)에 의해 수행됨을 전제로 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410)에서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Pipe 1-n)은, 유구(Relic)가 위치하는 지반 하단(510)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복수의 위치들(Location 1-n)에서 각각 압박 회전하며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하단(510)을 수평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굴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110)(Pipe 1-n)은 이동부(140)(이동부(140)는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Pipe 1-n) 각각이 순차적으로 결합된 본체부(120)를 지지하는 지지부(130)로부터 본체부(120)에 결합된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Pipe 1-n) 각각을 전후 이동시킴)에 의해 수평 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하며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하단(510)을 굴착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410)에서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Pipe 1-n)은, 각각에 오거 비트(105)가 순차적으로 수납되며 결합됨에 따라 지반 하단(510)을 수평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굴착할 수 있다.
또한, 단계(S410)에서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Pipe 1-n)은,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113)를 통해 지반 하단(510)이 굴착된 굴착 잔여물을 터널들(Tunnel 1-n) 각각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420)에서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Pipe 1-n)은 복수의 위치들(Location 1-n)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굴착된 터널들(Tunnel 1-n)에 각각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계들(S410 내지 S420)이 순서대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실질적으로 단계들(S410 내지 S420)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파이프들(110)(Pipe 1-n) 각각은 필요에 따라 연장 파이프(미도시)에 의해 연장되며 굴착 및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계(S410)에서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Pipe 1-n) 각각의 후단에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Pipe 1-n) 각각의 길이를 연장시키기 위한 연장 파이프가 결합될 수 있으며, 단계(S420)에서 연장 파이프가 각각 결합된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Pipe 1-n)이 터널들(Tunnel 1-n)에 각각 순차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430)에서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Pipe 1-n)은 터널들(Tunnel 1-n)에 각각 삽입된 채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상단(520)을 지반 하단(5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Pipe 1-n)은 터널들(Tunnel 1-n)에 삽입된 채 서로 연결되어 분리판(미도시)을 형성함으로써, 분리판이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상단(520)을 지반 하단(5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유구 보존 방법은,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하단의 둘레가 노출된 상태(예컨대,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이 주변 지반에 비해 융기한 상태)를 전제로 한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유구 보존 방법은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이 주변 지반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경우에도 수행될 수 있다. 이 때에는 도 4에서 별도의 단계들로 도시되지 않은 추가적인 단계들이 선행될 수 있다. 즉, 유구 보존 장치(100)는 단계(S410) 이전에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하단의 둘레를 노출시키기 위한 단계들(아래의 제1 단계 내지 제2 단계)을 선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계에서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 중 적어도 하나의 분리 파이프는, 본체부(110)에 결합된 채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의 주변 상부(540)를 수직 방향으로 굴착할 수 있다. 지반의 주변 상부(540)가 굴착됨에 따라,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분리 파이프는,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하단(510)의 둘레를 노출시키는 해자(530)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 각각이 순차적으로 결합된 본체부(120)가 해자(530) 내에 배치됨으로써, 전술된 단계(S410)가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유구 보존 장치에서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이 분리판을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Pipe 1-n)은 양단 각각이 상부 고정장치(610)와 하부 고정장치(620)에 의해 물려 고정됨으로써, 서로 연결되는 분리판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부 고정장치(610)와 하부 고정장치(620) 각각은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Pipe 1-n)을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수용하여 고정시키며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Pipe 1-n) 각각의 규격(반지름 및 두께 등)에 맞는 반원 형상의 홀들이 에칭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부 고정 장치(610) 및 하부 고정장치(620)가 결합 시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Pipe 1-n) 각각은, 상부 고정 장치(610)에 형성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반원 형상의 홀에 상부가 수용되고, 하부 고정 장치(620)에 형성된 설정된 위치의 반원 형상의 홀에 하부가 수용되어 상하부 고정 장치(610, 6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Pipe 1-n)이 상하부 고정 장치(610, 620)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고정되어 하나의 분리판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크레인 또는 기중기는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110)(Pipe 1-n)의 선단을 고정하는 상하부 고정 장치(610, 620) 및 후단을 고정하는 상하부 고정 장치(610, 620)를 수직으로 들어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상단을 지반 하단으로부터 보다 안정적으로 분리(즉 상부 및 하부 고정장치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파이프들(110)이 안정적으로 수용된 상태에서 크레인 등에 쇠줄 등으로 연결된 고정장치(610, 620)를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려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상단을 이웃하는 지반으로부터 분리 이격하고, 안정적으로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을 이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유구 보존 장치
110: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120: 본체부
130: 지지부
140: 이동부

Claims (21)

  1. 유구 보존 장치에 있어서,
    유구(relic)가 위치하는 지반 하단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복수의 위치들에서 각각 압박 회전하며 상기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하단을 수평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굴착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들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굴착된 터널들에 각각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과 순차적으로 결합 및 결합 해제되며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과 결합 시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이 압박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본체부;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이 순차적으로 결합된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본체부에 결합된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을 상기 지지부로부터 전후 이동시키는 이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은,
    상기 터널들에 각각 삽입된 채 상기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상단을 상기 지반 하단으로부터 분리 및 이격하여 상기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상단을 통째로 이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은,
    상기 터널들에 각각 삽입된 채 각각의 양단이 상부 고정 장치 및 하부 고정 장치-상기 상부 고정 장치 및 상기 하부 고정 장치는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을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수용하여 고정시키며 결합될 수 있도록 반원 형상의 홀들을 포함함-에 의해 수용되며 고정됨으로써, 서로 연결되며 분리판을 형성하여 상기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상단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의 후단에는,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의 길이를 연장시키기 위한 연장 파이프가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동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이 전후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이 통과 가능한 홈이 형성된 바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지지부의 바닥부 하면에는,
    상기 본체부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유구 보존 장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바퀴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구 보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에는,
    상기 지반 하단을 굴착하기 위한 오거 비트가 순차적으로 수납되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구 보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거 비트는,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에 의해 공유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구 보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은,
    상기 복수의 위치들에 상기 터널들을 각각 순차적으로 굴착하여 생성함과 동시에, 상기 터널들에 각각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구 보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은,
    상기 지반 하단이 굴착된 굴착 잔여물을 상기 터널들 각각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구 보존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은,
    상기 이동부에 의해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하며 상기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하단을 굴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구 보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하단의 둘레를 노출시키는 해자(moat)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분리 파이프가 상기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의 주변 상부를 수직 방향으로 굴착할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리 파이프가 결합된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구 보존 장치.
  12. 삭제
  13.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과 순차적으로 결합 및 결합 해제되며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과 결합 시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이 압박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본체부;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이 순차적으로 결합된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본체부에 결합된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을 상기 지지부로부터 전후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유구 보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유구 보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이 유구(relic)가 위치하는 지반 하단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복수의 위치들에서 각각 압박 회전하며 상기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하단을 수평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굴착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이 상기 복수의 위치들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굴착된 터널들에 각각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이 상기 터널들에 각각 삽입된 채 상기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상단을 상기 지반 하단으로부터 분리 및 이격하여 상기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상단을 통째로 이전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이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이 상기 터널들에 각각 삽입된 채 각각의 양단이 상부 고정 장치 및 하부 고정 장치-상기 상부 고정 장치 및 상기 하부 고정 장치는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을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수용하여 고정시키며 결합될 수 있도록 반원 형상의 홀들을 포함함-에 의해 수용되며 고정됨으로써, 서로 연결되며 분리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판이 상기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상단을 지지하여 상기 지반 하단으로부터 분리 및 이격 후 상기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상단을 통째로 이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굴착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의 후단에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의 길이를 연장시키기 위한 연장 파이프가 결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되는 단계는, 상기 연장 파이프가 각각 결합된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이 상기 터널들에 각각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동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이 전후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이 통과 가능한 홈이 형성된 바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지부의 바닥부 하면에는, 상기 본체부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유구 보존 장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바퀴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구 보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굴착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이 각각에 오거 비트가 순차적으로 수납되며 결합됨에 따라 상기 지반 하단을 상기 수평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굴착하는 단계인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구 보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굴착하는 단계 및 상기 삽입되는 단계는,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구 보존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굴착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통해, 상기 지반 하단이 굴착된 굴착 잔여물을 상기 터널들 각각의 외부로 배출시키기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구 보존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굴착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이 상기 이동부에 의해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하며 상기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하단을 굴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구 보존 방법.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분리 파이프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된 채 상기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의 주변 상부를 수직 방향으로 굴착하는 단계;
    상기 지반의 주변 상부가 굴착됨에 따라 상기 유구가 위치하는 지반 하단의 둘레를 노출시키는 해자(moat)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해자 내에 상기 복수의 분리 파이프들 각각이 순차적으로 결합된 상기 본체부가 배치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구 보존 방법.
KR1020210067857A 2021-05-26 2021-05-26 유구 보존 장치 및 방법 KR102524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857A KR102524600B1 (ko) 2021-05-26 2021-05-26 유구 보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857A KR102524600B1 (ko) 2021-05-26 2021-05-26 유구 보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805A KR20220159805A (ko) 2022-12-05
KR102524600B1 true KR102524600B1 (ko) 2023-04-21

Family

ID=84391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857A KR102524600B1 (ko) 2021-05-26 2021-05-26 유구 보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46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889B1 (ko) * 2010-06-23 2011-03-04 주식회사 동창이엔씨 수평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개착식 언더패스터널 구축방법
KR101542929B1 (ko) * 2015-01-30 2015-08-10 한솔주식회사 지반 내에 관로 형성을 위한 비굴착식 천공 장치 및 비굴착식 천공 공법
KR101796897B1 (ko) * 2017-05-31 2017-12-01 강한주 지반 굴착기용 케이싱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굴착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889B1 (ko) * 2010-06-23 2011-03-04 주식회사 동창이엔씨 수평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개착식 언더패스터널 구축방법
KR101542929B1 (ko) * 2015-01-30 2015-08-10 한솔주식회사 지반 내에 관로 형성을 위한 비굴착식 천공 장치 및 비굴착식 천공 공법
KR101796897B1 (ko) * 2017-05-31 2017-12-01 강한주 지반 굴착기용 케이싱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굴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805A (ko) 202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4600B1 (ko) 유구 보존 장치 및 방법
JP2010101023A (ja) セグメントの補強方法及びセグメントの補強構造
JP2017128898A (ja) シールド機移動システム、及び大断面トンネルの施工方法
JP2006322167A (ja) シールド機の発進用推進装置
JP6550942B2 (ja) セグメントの荷卸方法及びセグメント荷卸装置
US7232167B2 (en) Cam-action pipe puller
JP6967946B2 (ja) シールド掘削機のセグメント組立装置及び組立方法
JP7008539B2 (ja) シールドマシンの後続設備の配置方法
KR101742540B1 (ko) 가이드관 전방 리드 설치형 비개착식 터널 구조물 시공 공법
JP3822221B2 (ja) 推進トンネルの撤去・埋め戻し装置
JPH09184393A (ja) 断面積の異なる地下構造物の施工方法
JP4557930B2 (ja) トンネル掘削機における掘削機本体の回収装置
CN114109403B (zh) 一种斜井tbm接收方法
JP2007146464A (ja) トンネル掘削機の回収方法および装置
JP6105028B1 (ja) 地中構造物の構築方法
JP2010189996A (ja) 開放型トンネル掘削機
JP2009013584A (ja) トンネル構築方法及びこの方法で用いる撤去シールド
JPH02157400A (ja) トンネルの埋戻し工法及び埋戻し装置
JP4409491B2 (ja) トンネル掘削機によるトンネル掘削方法
US3484071A (en) Mobile mine roof support
CN115405313A (zh) 一种顶管隧道钻爆连接段无接收井洞内拆解顶管机的方法
JP2018071287A (ja) パイプルーフの施工方法
JP2007162225A (ja) 地中管推進埋設工法における推進不能時の補完方法
JP6685739B2 (ja) 防護プロテクターおよびシールドセグメント撤去方法
JP2001159287A (ja) 縦穴掘削機の据付装置及び据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