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504B1 - 회로 차단기의 개폐 기구 - Google Patents

회로 차단기의 개폐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504B1
KR102524504B1 KR1020180080188A KR20180080188A KR102524504B1 KR 102524504 B1 KR102524504 B1 KR 102524504B1 KR 1020180080188 A KR1020180080188 A KR 1020180080188A KR 20180080188 A KR20180080188 A KR 20180080188A KR 102524504 B1 KR102524504 B1 KR 102524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bar
lever
circuit breaker
pi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6437A (ko
Inventor
임정재
오기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180080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504B1/ko
Priority to US16/502,732 priority patent/US10811209B2/en
Priority to EP19185078.3A priority patent/EP3594986B1/en
Priority to JP2019127523A priority patent/JP2020009767A/ja
Priority to CN201910620211.8A priority patent/CN110706985A/zh
Publication of KR20200006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01H71/526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the lever forming a toggle linkage with a second lever, the free end of which is directly and releasably engageable with a contact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01H71/521Details concerning the lever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64Mountings or coverplates for complete assembled circuit breakers, e.g. snap mounting in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4Electrothermal mechanisms
    • H01H71/16Electrothermal mechanisms with bimet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9/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fferent basic types of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and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not covered by any single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1H89/04Combination of a thermally actuated switch with a manually operated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48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having both electrothermal and electromagnetic automatic release
    • H01H73/5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having both electrothermal and electromagnetic automatic release reset by lever

Landscapes

  • Breaker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로 차단기의 개폐 기구에 관한 것입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개폐 기구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고정된 측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 상기 핸들의 하부에 결합되는 유(U) 핀; 상기 유 핀에 결합되어 이동하는 레버; 상기 케이스에 돌출 형성되는 장착부에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레버의 접압력을 받아 이동하는 크로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의 하면에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접압부가 마련되어 차단시 상기 크로스바를 수직 하방으로 누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로 차단기의 개폐 기구{Switching Mechanism of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로 차단기의 개폐 기구에 관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회로 차단기(간단히 차단기)는 송,변전 선로나 전기회로의 일부에 설치되어 부하를 개폐하거나 단락 등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회로를 차단시켜 전기 시설 및 부하를 보호하는 전기기기이다.
이 중에서, 소형 차단기(소형 배선용 차단기)는 교류 110/220V의 저압회로(15∼30A)를 이루는 소형 분전반 내에 설치되어 과전류 보호, 단락 보호를 위하여 사용된다. 소형 차단기는 가정, 상가, 사무실, 백화점 등의 스위치로 분전반 내에 내장되어 한 곳에서 다수의 부하를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는 장치로 사용된다. 또한, 공작기계, 공장 설비 등에 기기의 전원을 개폐하는 용도로도 사용된다.
소형 차단기는 산업용으로 쓰이는 일반적인 회로 차단기와 마찬가지로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으로 구성되는 접점부, 접점부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개폐 기구부, 이상전류를 검출하는 검출기구부, 과전류나 단락전류 등 이상전류 발생시 개폐 기구부를 개리시킴으로써 선로나 부하를 보호하도록 하는 트립부, 차단시 발생되는 아크를 소호 및 냉각시기는 기능을 하는 소호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종래기술에 따른 소형 차단기가 도시되어 있다. 상부의 커버는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었다. 외부와 절연을 유지하고 각 부품의 위치를 고정하고 지지하기 위한 케이스(1), 전원 또는 부하에 연결되는 단자부(2), 핸들(3)을 포함하는 개폐 기구부, 고정접촉자(4) 및 가동접촉자(5)를 포함하는 접점부, 바이메탈(14)과 트립바(11)를 포함하는 트립부 등이 나타나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소형 차단기의 개폐 기구 어셈블리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개방 상태이고 도 3은 통전 상태를 나타낸다.
개폐 기구는 측판(6)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3), 측판(6)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트립바(11), 상기 트립바(11)의 축이 되는 트립바 핀(12), 트립바(11)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트립바 스프링(13), 핸들(3)의 하부에 결합되어 레버(8)를 작동시키는 유(U) 핀(7), 상기 유(U) 핀(7)에 연결되어 움직이면서 크로스바(9)를 작동시키고 일단은 상기 트립바(11)의 구속을 받는 레버(8)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소형 차단기에 있어서, 투입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핸들(3)을 반시계 방향으로 힘(F1)을 가하면, 핸들(3)은 회전축(1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핸들(3)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유 핀(7)은 핸들(3)의 힘을 받아 이동한다. 이때, 유 핀(7)이 핸들(3)에 결합된 부분은 회전축(10)의 좌측 하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유 핀(7)은 우측 하방으로 향하는 힘(F2)을 받는다. 이에 따라 유 핀(7)의 상단부는 우측 하방으로 움직이고, 유 핀(7)의 하단부는 측판(6)의 홈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한다.
한편, 유 핀(7)은 레버(8)의 중앙부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유 핀(7)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레버(8)를 함께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레버(8)는 크로스바(9)에 접촉한 상태이므로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크로스바(9)를 함께 이동시키게 된다. 가동접촉자(3)는 크로스바(9)에 의해 하방으로 눌러져 고정접촉자(3)에 접촉하여 도 3과 같은 통전 상태가 된다.
여기서, 크로스바(9)는 레버(8)의 중심(레버와 유 핀의 결합 부분)보다 좌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레버(8)가 크로스바(9)에 작용하는 힘(F3)은 좌하방으로 작용한다. 한편, 크로스바(9)는 케이스(1)에 돌출 형성된 장착부(1a)에 수직으로 형성된 작동홈(1b)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도 4 참조). 따라서, 크로스바(9)의 이동 방향은 수직 하방인데 비하여 크로스바(9)가 레버(8)에 의해 받는 힘(F3)은 좌측 하방을 향하므로 크로스바(9)는 작동홈(1b) 내에서 상하로 매끄럽게 이동하지 못하고 상단부, 하단부가 비틀어져 작동홈(1b)과 마찰을 일으키게 된다. 즉, 차단 성능의 손실을 가져온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크로스바와 케이스의 장착부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켜 차단 성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회로 차단기의 개폐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개폐 기구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고정된 측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 상기 핸들의 하부에 결합되는 유(U) 핀; 상기 유 핀에 결합되어 이동하는 레버; 상기 케이스에 돌출 형성되는 장착부에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레버의 접압력을 받아 이동하는 크로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의 하면에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접압부가 마련되어 차단시 상기 크로스바를 수직 하방으로 누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크로스바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일자홈으로 형성되는 절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크로스바의 상면에는 상기 레버에 접하는 머리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머리부의 내측 모서리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압부는 정점으로부터 사면으로 갈수록 곡률 반경이 커지는 제1 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곡면부의 경사면 중 일부는 변곡점을 갖는 변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압부는 상기 제1 곡면부에 소정 거리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2 곡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곡면부는 상기 제1 곡면부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개폐 기구에 의하면 크로스바는 레버의 접압부에 의해 차단시 수직 하방의 힘을 받아 수직 하강 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수직 하강 운동은 레버의 접압부에 형성되는 제1 곡면부에 의해 달성된다. 더불어 레버의 플레이트 또는 제2 곡면부에 의해 보조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있어서 개폐 기구의 작용도이다. 도 2는 개방 상태이고, 도 3은 통전 상태이다.
도 4는 도 1에서 크로스바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개폐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도 6에서 레버의 상세 사시도, 부분 정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개폐 기구의 작용도이다. 도 9는 개방 상태이고, 도 10은 통전 상태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상기 도 9 및 도 10 사이의 작용 과정에서 레버와 크로스바의 작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도 11 내지 도 13에서 레버와 크로스바 간의 작용 상태를 동적으로 도시한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개폐 기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내부 사시도, 도 6는 도 4에서 개폐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개폐 기구는 케이스(20); 상기 케이스(20)에 설치된 측판(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55); 상기 핸들(55)의 하부에 결합되는 유 핀(45); 상기 유 핀(45)에 결합되어 이동하는 레버(50); 상기 케이스(20)의 장착부(22)에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레버(50)의 힘을 받아 이동하는 크로스바(40);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50)의 하면에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접압부(54)가 마련되어 차단시 상기 크로스바(40)를 수직 하방으로 누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외형을 이루는 외함(enclosure)은 상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되는 케이스(20)와 하면이 개방되어 상기 케이스(20)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20)에는 고정접촉자(70)와 가동접촉자(75)를 포함하는 접점부, 핸들(55)을 포함하는 개폐 기구부, 바이메탈(78)을 포함하는 트립부, 부하 또는 전원에 연결되는 단자부(21) 등의 구성요소가 내장 설치된다.
케이스(20)에는 양측에 전원 또는 부하와 연결될 수 있는 단자부(21)가 설치된다. 통상적으로 도 5와 같은 차단기에서 좌측의 단자부가 전원에 연결되고 우측의 단자부가 부하에 연결된다.
일측의 단자부(21)에는 고정접촉자(70)가 설치된다. 즉, 전원측에 고정접촉자(70)가 설치된다.
케이스(20)의 중간부에는 가동접촉자(75)가 설치된다. 가동접촉자(75)는 고정접촉자(70)에 접촉 또는 분리된다. 가동접촉자(75)는 타측의 단자부(21), 즉 부하측에 연결된다. 가동접촉자(75)는 바이메탈(78)과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20)의 중앙부에는 측판(30)과 크로스바(40)를 설치할 수 있는 장착부(22)가 형성된다. 장착부(22)는 내부가 비어 있는 벽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22)의 일측에는 크로스바(4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홈으로 형성되는 절개부(23)가 마련된다. 절개부(23)는 측면에서 볼 때, 수직 방향으로 일자로 형성된다 (도 11 참조).
크로스바(40)는 장착부(22)의 절개부(23)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크로스바(40)의 하부에는 복귀 스프링(25)이 설치되어 크로스바(40)에 작용하는 힘이 없는 경우 크로스바(4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크로스바(40)의 상단에는 머리부(41)가 돌출 형성된다. 머리부(41)는 레버(50)의 접압부(54)에 접촉하여 힘을 받는 부분이다. 머리부(41)의 상면은 수평으로 평평하게 형성된다. 머리부(41)의 내측면(전원측 면) 모서리는 곡면으로 매끄럽게 형성된다.
측판(30)이 장착부(22)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측판(30)은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을 포함한다. 측판(30)의 상부에는 회전축(35)이 삽입될 수 있는 축홀(31)이 형성된다. 측판(30)의 중간부에는 유 핀(45)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홀 또는 가이드홈(32,33)이 형성된다. 가이드홀 또는 가이드홈(32,33)은 수직 방향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된다. 측판(30)의 하부에는 트립바(60)의 축(61)이 설치될 수 있는 축홈(34)이 형성된다.
핸들(55)이 측판(3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핸들(55)에는 사용자가 잡고 힘을 가할 수 있는 가압부(56)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핸들(55)에는 회전축(35)이 삽입되는 제1홀(57)과 유 핀(45)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제2홀(58)이 형성된다. 개방 상태에서 제2홀(58)은 제1홀(57)의 좌측 하방에 위치한다. 핸들(55)의 복귀를 위하여 핸들 스프링(59)이 마련된다.
유 핀(U pin)(45)이 마련된다. 유 핀(45)은 'U'자 형('ㄷ'자 형)으로 형성되어, 상단부(46)는 핸들(55)의 제2홀(58)에 결합되고, 하단부(47)는 레버(50)에 결합된다. 유 핀(45)은 핸들(55)의 작용력을 레버(50)에 전달한다.
레버(50)는 유 핀(45)의 힘을 받아 하방으로 이동하고, 크로스바(40)를 가압하여 크로스바(40)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도 7 및 도 8에 레버의 상세 사시도와 부분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레버(50)는 플레이트(51)와 플레이트(51)의 중간부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날개부(52)로 구성된다. 날개부(52)는 플레이트(51)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날개부(52)에는 유 핀(45)의 하단부(47)가 삽입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53)이 형성된다. 레버(50)는 결합홀(53)에 체결된 유 핀(45)의 작용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한다.
레버(50)의 전단부에는 하면에 접압부(54)가 마련된다. 접압부(54)는 크로스바(40)의 머리부(41)에 접촉하여 힘을 가하는 부분이다. 레버(50)의 접압부(54)가 크로스바(40)의 머리부(41)를 누름으로써 크로스바(40)는 하방으로 이동한다.
접압부(54)는 크로스바(40)의 머리부(41)에 닿는 면이 곡면을 형성한다.
접압부(54)는 제1 곡면부(54a)를 포함한다. 제1 곡면부(54a)는 둥근 산과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제1 곡면부(54a)의 정점(꼭대기)로부터 사면으로 내려갈수록 완만해진다. 즉, 곡률 반경이 커진다.
제1 곡면부(54a)의 경사면 중 일부는 변곡점이 되는 변곡부(54b)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곡면부(54a)가 플레이트(51)에 접하는 접경부(54c) 부분은 매끄러운 경사면을 이루게 된다.
또한, 제1 곡면부(54a)와 소정 거리 이격하여 제2 곡면부(54d)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제2 곡면부(54d)는 제1 곡면부(54a)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곡면부(54d)는 제1 곡면부(54a)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트립바(60)는 정상상태에서 레버(50)를 구속하고 사고 전류 발생시 이를 해제하여 트립 작동을 일으키기 위해 마련된다. 트립바(60)는 바이메탈(78)의 만곡에 의해 회전하여 레버(50)의 구속을 해제시킨다. 트립바(60)는 정상 상태에서 복귀 스프링(65)의 힘에 의해 전방을 향하는 힘을 받는다. 사고 전류가 발생하여 바이메탈(78)이 만곡하면 트립바(60)를 후방으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트립바(60)는 레버(50)의 구속을 해제하여 트립 동작이 일어나고 회로는 차단된다.
트립바(60)는 대략적으로 'Y'자 형태로 형성된다. 트립바(60)의 상단에는 바이메탈(78)과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부재(62)가 결합된다. 바이메탈(78)은 이 조절부재(62)를 가압함으로써 트립바(60)를 회동시킨다.
회로 내에 과전류 또는 사고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접점부의 가동접촉자에 결합되어 있는 바이메탈(78)에도 전류가 증가하는 동시에 열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열변형 재료인 바이메탈(78)은 만곡을 일으키게 된다. 바이메탈(78)은 만곡되면서 트립바(60)를 밀어내어 트립바(60)에 구속되어 있던 레버(50)를 해제하게 된다. 이에 따라, 크로스바(40)가 복귀하면서 가동접촉자(75)가 고정접촉자(70)로부터 분리되어 회로는 차단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차단기의 개폐 기구의 투입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9와 같은 개방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55)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핸들(55)은 회전축(35)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핸들(55)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유 핀(45)은 핸들(55)과 함께 움직인다. 이때, 유 핀(45)이 핸들(55)에 결합된 부분(즉, 유 핀(45)의 상단부(46))은 회전축(35)의 좌측 하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핸들(55)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유 핀(45)은 우측 하방으로 향하는 힘을 받는다. 이에 따라, 유 핀(45)의 상단부(46)는 우측 하방으로 움직이고, 유 핀(45)의 하단부(47)는 측판(30)의 가이드홀 또는 가이드홈(32,33)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한다.
한편, 유 핀(45)의 하단부(47)는 레버(50)의 날개부(52)의 결합홀(53)에 체결되어 있으므로, 유 핀(45)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레버(50)를 함께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레버(50)는 크로스바(40)에 접촉한 상태이므로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크로스바(40)를 함께 이동시키게 된다. 가동접촉자(75)는 크로스바(40)에 의해 하방으로 눌러져 고정접촉자(70)에 접촉하여 도 10과 같은 통전 상태가 된다.
개방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10과 같은 통전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55)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핸들(55)에 결합된 유 핀(45)이 좌측 상방으로 끌려나온다. 유 핀(45)에 결합된 레버(50)도 상승하면서 크로스바(40)에 대한 가압력이 제거된다. 크로스바(40)는 복귀 스프링(25)의 복원력에 의해 상방으로 복귀한다. 이에 따라, 가동접촉자(75)는 고정접촉자(70)로부터 분리되어 회로는 개방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투입 동작에서 레버(50)와 크로스바(40)의 작용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1과 같은 개방 상태를 살펴보면, 레버(50)는 좌상방으로 소정 각도 서 있는 상태에 있다. 접압부(54)의 변곡부(54b)가 크로스바(40)의 머리부(41)에 접한 상태이다. 이때, 사용자가 핸들을 회전시켜 전술한 투입 작용이 일어나면 레버(50)는 결합홀(5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크로스바(40)를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접압부(54)의 변곡부(54b)가 크로스바(40)에 거의 수평인 상태에서 힘을 가하므로 크로스바는 아래로 향하는 힘(F4)을 받는다.
레버(50)의 회전이 진행되면 머리부(41)가 접촉하는 부분은 상부 평면에서 외측으로 이동하고, 제1 곡면부(54a)가 접하는 부분은 변곡부(54b)에서 접경부(54c) 측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도 12의 F5와 같은 경사 방향의 힘을 받게 된다. 한편, 제1 곡면부(54a)과 제2 곡면부(54d) 사이의 경사면 또는 제2 곡면부(54d)에 의해 머리부(41)의 내측은 F5의 경사 방향과 반대 방향의 힘(F6)을 받는다. 이에 따라, 크로스바(40)는 제1 곡면부(54a)와 머리부(41) 사이의 힘 F5와 플레이트(51) 또는 제2 곡면부(54d)와 머리부(41) 사이의 힘 F6의 합력인 F7을 받게 된다. 결국, 크로스바(40)는 하방으로 향하는 힘을 받아 아래로 매끄럽게 이동하게 된다.
레버(50)의 회전이 더 진행되면 제1 곡면부(54a)는 머리부(41)로부터 이탈하고 플레이트(51)와 제2 곡면부(54d)가 머리부(41)에 접하게 된다. 이때, 플레이트(51)와 머리부(41) 사이에 작용하는 힘 F8 과 제2 곡면부(54d)와 머리부(41) 사이에 작용하는 힘 F9의 합력에 의해 하방으로 향하는 힘을 받는다.(도 13 참조)
이와 같은 작용을 레버(50)와 크로스바(40) 부분을 통해 보다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도 14에 일괄적으로 도시하였다. 레버(50)가 결합홀(53)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크로스바(40)를 가압하는데 있어서, 레버(50)는 크로스바(40)에 하방 수직으로 힘을 가하여 크로스바(40)는 수직 일자 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크로스바(40)는 투입 작용에 이르는 내내 수직 하방으로 향하는 힘을 받아 안정적으로 수직 이동을 하게 되고, 절개부(23) 내에서 마찰을 일으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차단기에 의하면 크로스바는 레버의 접압부에 의해 차단시 수직 하방의 힘을 받아 수직 하강 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수직 하강 운동은 레버의 접압부에 형성되는 제1 곡면부에 의해 달성된다. 더불어 레버의 플레이트 또는 제2 곡면부에 의해 보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케이스 21 단자부
22 장착부 23 절개부
25 복귀 스프링 30 측판
31 축홀 32,33 가이드홀(홈)
34 축홈 35 회전축
40 크로스바 41 머리부
45 유 핀 46 상단부
47 하단부 50 레버
51 플레이트 52 날개부
53 결합홀 54 접압부
54a 제1 곡면부 54b 변곡부
54c 접경부 54d 제2 곡면부
55 핸들 56 가압부
57 제1홀 58 제2홀
59 핸들 스프링 60 트립바
61 축 62 조절부재
70 고정접촉자 75 가동접촉자
78 바이메탈

Claims (8)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고정된 측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
    상기 핸들의 하부에 결합되는 유(U) 핀;
    상기 유 핀에 결합되어 이동하는 레버;
    상기 케이스에 돌출 형성되는 장착부에 수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레버의 접압력을 받아 이동하는 크로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의 하면에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접압부가 마련되어 차단시 상기 크로스바를 수직 하방으로 누르도록 하고,
    상기 접압부는, 정점으로부터 사면으로 갈수록 곡률 반경이 커지는 제1 곡면부 및 상기 제1 곡면부에 소정 거리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2 곡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의 개폐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크로스바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일자홈으로 형성되는 절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의 개폐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의 상면에는 상기 레버에 접하는 머리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의 개폐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의 내측 모서리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의 개폐 기구.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면부의 경사면 중 일부는 변곡점을 갖는 변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의 개폐 기구.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곡면부는 상기 제1 곡면부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의 개폐 기구.



KR1020180080188A 2018-07-10 2018-07-10 회로 차단기의 개폐 기구 KR102524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188A KR102524504B1 (ko) 2018-07-10 2018-07-10 회로 차단기의 개폐 기구
US16/502,732 US10811209B2 (en) 2018-07-10 2019-07-03 Switching mechanism of circuit breaker
EP19185078.3A EP3594986B1 (en) 2018-07-10 2019-07-08 Switching mechanism of circuit breaker
JP2019127523A JP2020009767A (ja) 2018-07-10 2019-07-09 回路遮断器の開閉機構
CN201910620211.8A CN110706985A (zh) 2018-07-10 2019-07-10 断路器的开闭机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188A KR102524504B1 (ko) 2018-07-10 2018-07-10 회로 차단기의 개폐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437A KR20200006437A (ko) 2020-01-20
KR102524504B1 true KR102524504B1 (ko) 2023-04-21

Family

ID=67220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188A KR102524504B1 (ko) 2018-07-10 2018-07-10 회로 차단기의 개폐 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11209B2 (ko)
EP (1) EP3594986B1 (ko)
JP (1) JP2020009767A (ko)
KR (1) KR102524504B1 (ko)
CN (1) CN11070698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52747S1 (en) * 2017-02-08 2019-07-02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Terminal assembly with a bimetal thermal protection plate for a power receptacle
CN111508791B (zh) * 2020-04-15 2022-06-21 浙江华楷电气有限公司 一种单线断路器
CN113823537B (zh) * 2021-10-28 2024-01-30 武汉船用电力推进装置研究所(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二研究所) 一种断路器脱扣保护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027B1 (ko) * 2013-10-07 2015-01-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0158A (en) * 1975-12-24 1978-05-16 Komao Oeda Circuit breaker
JPH02109231A (ja) * 1988-10-17 1990-04-20 Mitsubishi Electric Corp 遠隔操作式回路遮断器
US4951019A (en) * 1989-03-30 1990-08-21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ctrical circuit breaker operating handle block
US5864109A (en) * 1998-01-30 1999-01-26 Lg Industrial Systems Co., Ltd. Terminal connection locking apparatus for vacuum circuit breaker
JP2000164108A (ja) 1998-11-25 2000-06-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回路遮断器
JP4474804B2 (ja) 2001-06-14 2010-06-09 三菱電機株式会社 可逆型電磁接触器
KR100480008B1 (ko) * 2003-04-21 2005-03-31 엘지산전 주식회사 회로 차단기
JP2007265678A (ja) 2006-03-27 2007-10-11 Tempearl Ind Co Ltd 回路遮断器
KR101492222B1 (ko) 2012-10-23 2015-02-13 임철근 누전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KR101777614B1 (ko) 2014-08-07 2017-09-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단기의 접점 상태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027B1 (ko) * 2013-10-07 2015-01-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09767A (ja) 2020-01-16
US20200020499A1 (en) 2020-01-16
EP3594986A1 (en) 2020-01-15
US10811209B2 (en) 2020-10-20
CN110706985A (zh) 2020-01-17
KR20200006437A (ko) 2020-01-20
EP3594986B1 (en) 2024-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4504B1 (ko) 회로 차단기의 개폐 기구
JP4105719B2 (ja) 配線用遮断器のプレッシャートリップ装置
EP3373319B1 (en) Circuit breaker with instant trip mechanism
EP3389075B1 (en) Movable contact assembly for circuit breaker
US10460898B2 (en) Circuit breakers
KR101728759B1 (ko) 과전류 보호버튼이 구비된 소형 배선용 차단기
KR102423488B1 (ko) 소형 차단기용 순시 트립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소형 차단기
KR101158639B1 (ko) 차단기의 개폐기구
KR101098227B1 (ko) 급속반전 기구가 구비된 배선용 차단기
KR20120080139A (ko) 회로차단장치 및 조립방법
KR102017803B1 (ko) 회로 차단기
KR20040070544A (ko)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
KR100860782B1 (ko) 누전차단기
CN106571271B (zh) 一种联锁机构、具备该联锁机构的电控设备以及断路器
KR102017804B1 (ko) 차단기
KR20210053079A (ko) 배선용 차단기
KR101252409B1 (ko) 히터 결합부를 갖는 베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CN108172475B (zh) 开关电器的触头结构
KR200496737Y1 (ko)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 장치
KR100379691B1 (ko) 회로차단기의 접점개폐장치
JPH0755795Y2 (ja) 回路しや断器
KR101285752B1 (ko)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메카니즘
AU2020204320A1 (en) A switching device
JP3874168B2 (ja) 保護開閉器
KR100486749B1 (ko) 3상 분리형 개폐기의 수동트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