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443B1 -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443B1
KR102524443B1 KR1020220151618A KR20220151618A KR102524443B1 KR 102524443 B1 KR102524443 B1 KR 102524443B1 KR 1020220151618 A KR1020220151618 A KR 1020220151618A KR 20220151618 A KR20220151618 A KR 20220151618A KR 102524443 B1 KR102524443 B1 KR 102524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e
porous support
separator
release film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1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5973A (ko
Inventor
김병현
박대복
공석현
최인환
최광호
Original Assignee
더블유스코프코리아 주식회사
더블유씨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블유스코프코리아 주식회사, 더블유씨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더블유스코프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51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443B1/ko
Publication of KR20220155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5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6Composite material consisting of a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1Poro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7Ionic conductiv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다공성 지지체; 및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에 충진되고,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된 겔 전해질;을 포함하고, 상기 겔 전해질은 리튬염 용액을 포함하는 매트릭스 및 상기 매트릭스의 내부에서 가교되어 상기 매트릭스를 지지하는 고분자 가교체를 포함하는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A SEPARATO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튬이차전지는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등 소형화, 경량화가 요구되는 각종 전기 제품들의 전원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스마트 그리드, 전기 자동차용 중대형 배터리에 이르기까지 그 적용 분야가 확대됨에 따라, 용량이 크고, 수명이 길며, 안정성이 높은 리튬이차전지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전지는 음극, 양극 및 분리막으로 구성된 전극 조립체를 원통형 또는 각형 등의 금속 캔이나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 내부에 장착하고, 상기 전극 조립체에 내부에 전해질을 주입시켜 제조한다.
다만, 리튬이차전지의 경우 원통형, 각형 또는 파우치형 등의 일정한 공간을 가진 케이스가 필요하므로,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장치를 개발하는데 제약이 있다. 이에, 형태의 변형이 용이한 신규한 형태의 리튬이차전지가 요구된다. 특히. 리튬이차전지에 포함되는 전해질로서, 누액의 염려가 없고 이온전도도가 우수한 전해질이 요구된다.
종래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질로는 비수계 유기 용매에 리튬염을 용해시킨 액체 상태의 전해질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액체 상태의 전해질은 전극 물질이 퇴화되고 유기 용매가 휘발될 가능성이 크며, 주변 온도 및 전지 자체의 온도 상승에 의한 연소나 폭발 등이 발생하고, 누액의 염려가 있어 안전성이 낮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리튬이차전지를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최근, 이러한 액체 전해질의 안전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소재 또는 유형의 고체 전해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중 겔형 소재를 이용한 겔 전해질은 안정성 및 가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겔상 고유의 접착력으로 인해 전극과 전해질 사이의 계면 안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현재 대부분의 겔 전해질은 고분자 매트릭스 사이에 비점이 높은 유기 용매를 함침시키고 이를 리튬염과 함께 고정하거나 액체 상태의 전해질을 주입하는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겔 전해질의 경우 순수 액체 전해질과 유사한 이온 전도도를 가지지만 액체 전해질을 포함하므로, 근본적으로 완전한 고체 전해질이라 불릴 수 없는 구조이며, 여전히 화재 및 폭발 위험성의 문제가 있다.
한편, 겔 전해질은 리튬염, 유기 용매, 중합 가능한 단량체 및 개시제를 혼합한 조성물을 적절한 온도와 시간에서 겔화(가교)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겔 전해질을 통해 누액, 폭발 등의 안정성 문제와 가공성, 성형성 등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겔 전해질은 상온에서의 이온전도도가 매우 낮아 실제 전지에 적용이 어렵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48465호는 서로 다른 3종 이상의 가교 가능한 모노머의 가교에 의해 형성된 가교 고분자 매트릭스를 포함함으로써 겔 고분자 전해질의 전기화학적 특성이 개선될 수 있음을 개시하나, 상기 겔 고분자 전해질은 이온전도도 또는 안정성 개선에 어느 정도 기여하였으나 그 효과가 미약하다. 또한, 겔 전해질의 경우 재질의 특성상 난연성, 기계적 강도가 열악하고, 박막화가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이는 리튬이차전지의 고성능화, 장수명화 및 실용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105092호는 다공성 지지체에 실리케이트 화합물 및 솔베이트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전해질을 함침시켜 필요한 수준의 이온전도도 및 난연성을 가지면서도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실리카 겔 전해질막을 개시하나, 전해질이 다공성 지지체의 내부 기공에 충분히 충진되지 못한 상태에서 겔화되므로 이온전도도, 안전성을 개선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온전도도, 기계적 물성 및 내열성을 균형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다공성 지지체; 및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에 충진되고,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된 겔 전해질;을 포함하고, 상기 겔 전해질은 리튬염 용액을 포함하는 매트릭스 및 상기 매트릭스의 내부에서 가교되어 상기 매트릭스를 지지하는 고분자 가교체를 포함하고, 상기 겔 전해질 중 상기 고분자 가교체의 함량은 10~30중량%인 분리막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겔 전해질의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에 대한 충진율은 90%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 또는 공중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률은 30~90%이고, 평균 기공크기는 20~100nm이고, 두께는 1~2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무기 필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된 상기 겔 전해질의 두께는 1~5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가교체는 개시제에 의해 활성화된 다관능성 모노머의 가교 반응에 의해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 용액은 리튬염 및 끓는점이 110℃ 이상인 글리콜 에테르계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하기 (i) 내지 (iii)의 조건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할 수 있다.
(i) 이온전도도 1.0*10-4S/cm이상; (ii) 천공강도 300gf 이상; (iii) 멜트다운온도 200℃ 이상.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a) 제1 이형 필름의 일 면에 리튬염 용액, 다관능성 모노머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전해질 용액을 도포하여 제1 전해질층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전해질층 상에 다공성 지지체를 적층하는 단계; (c) 상기 다공성 지지체 상에 리튬염 용액, 다관능성 모노머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전해질 용액을 도포하여 제2 전해질층을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제2 전해질층 상에 제2 이형 필름을 적층한 다음, 상기 제1 및 제2 이형 필름을 가압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전해질층을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 내부로 침투시키고 일체화시키는 단계; (e) 일체화된 상기 제1 및 제2 전해질층에 에너지를 인가하여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를 가교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제1 및 제2 이형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분리막은, 다공성 지지체 및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내부 기공에 충진되고,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된 겔 전해질을 포함하고, 상기 겔 전해질은 리튬염 용액을 포함하는 매트릭스 및 상기 매트릭스의 내부에서 가교되어 상기 매트릭스를 지지하는 고분자 가교체를 포함함으로써, 이온전도도, 기계적 물성 및 내열성을 균형적으로 구현 및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막의 제조방법을 도식화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다공성 지지체; 및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에 충진되고,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된 겔 전해질;을 포함하고, 상기 겔 전해질은 리튬염 용액을 포함하는 매트릭스 및 상기 매트릭스의 내부에서 가교되어 상기 매트릭스를 지지하는 고분자 가교체를 포함하고, 상기 겔 전해질 중 상기 고분자 가교체의 함량은 10~30중량%인 분리막을 제공한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상기 분리막에서 상기 겔 전해질을 고정 및 지지하여 상기 겔 전해질의 취약한 기계적 물성, 안정성을 보완할 수 있다. 상기 겔 전해질은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중심부에 위치한 내부 기공에 충진될 뿐만 아니라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표면에도 기설정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의 총 부피 중 90% 이상,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이 상기 겔 전해질에 의해 완전히 함침, 충진될 수 있다. 상기 겔 전해질의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에 대한 충진율이 90% 미만이면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일 면으로부터 타 면까지 상기 겔 전해질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없고, 이 경우 상기 분리막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겔 전해질에 의한 전도성 경로가 차단되어 필요한 수준의 이온전도도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 분리막은 상기 겔 전해질이 상기 다공성 지지체를 기공을 관통하여 그 표면 중 적어도 일부까지 도포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분리막의 이온전도도가 개선될 수 있고, 상기 분리막의 전(全) 영역에서 균일한 이온전도도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된 상기 겔 전해질의 두께는 1~50㎛, 바람직하게는, 1~20㎛, 더 바람직하게는, 1~10㎛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된 상기 겔 전해질은 상기 분리막과 전극의 계면에 연속적인 전도성 경로를 제공하여 이온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겔 전해질에 포함된 고분자 가교체는 전극에 대해 필요한 수준의 접착력을 제공하여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의 기밀성,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평균 크기가 실질적으로 균일한 다수의 기공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기공은 상기 분리막의 저항 특성 및 이온전도도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기공도가 높으면서도 기계적 강도가 높아 필요한 두께로 상기 분리막을 박막화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률은 30~90%, 바람직하게는, 30~80%, 더 바람직하게는, 30~70%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기공률"은 임의의 다공성 물품에서 전체 부피에 대해 기공이 차지하는 부피의 비율을 의미한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률이 30% 미만이면 통기도, 이온전도도가 저하될 수 있고, 90% 초과이면 인장강도, 천공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에 포함된 기공의 평균 크기는 20~100nm, 바람직하게는, 20~80nm, 더 바람직하게는, 30~60nm일 수 있다. 상기 기공의 평균 크기가 20nm 미만이면 통기도, 이온전도도가 저하될 수 있고, 100nm 초과이면 인장강도, 천공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두께는, 전기화학소자의 박막화 및 고에너지 밀도화의 측면에서, 1~20㎛, 바람직하게는, 5~15㎛, 더 바람직하게는, 5~12㎛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두께가 1㎛ 미만이면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20㎛ 초과이면 통기도, 이온전도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전기 절연성을 갖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분자 수지는 셧다운 특성을 고려하여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셧다운 특성"은 전지가 과열되어 그 온도가 높아진 경우, 고분자 수지가 녹아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을 폐쇄함으로써 이온의 이동을 차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고분자 수지 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은 2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펜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 또는 공중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Mw: 1,000,000~7,000,000g/mol), 고분자량 폴리에틸렌(HMWPE, Mw: 100,000~1,000,000g/mol),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Mw: 100,000~1,000,000g/mol),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Mw: 10,000~100,000g/mol), 균질 선형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에틸렌은 중량평균분자량(Mw)이 250,000~450,000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의 중량평균분자량이 450,000 초과이면 점도가 높아져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고, 250,000 미만이면 점도가 과도하게 낮아져 다공성 지지체를 제조할 때 사용되는 기공형성제, 산화방지제 등과의 분산성이 극도로 저하되며, 경우에 따라, 상분리 또는 층분리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폴리에틸렌 중 적어도 일부가 가교성 화합물에 의해 가교된 구조를 가지는, 이른바 가교 다공성 지지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교 다공성 지지체는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연속상 매트릭스 및 상기 연속상 매트릭스 중에서 가교되어 상기 연속상 매트릭스를 지지하는 실란 변성 폴리에틸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란 변성 폴리에틸렌은 폴리에틸렌 사슬 중에 알콕시비닐실란이 그라프트된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폴리에틸렌 사슬 중에 그라프트된 알콕시비닐실란은 기설정된 조건에서 수분에 의해 반응하여 상기 폴리에틸렌 사슬을 상호 가교시킬 수 있다. 상기 가교 다공성 지지체는 미가교 다공성 지지체에 비해 멜트다운온도가 높으므로 상기 분리막의 내열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나, 가교에 의해 상기 분리막의 인장물성이 열화될 수 있으므로 상기 분리막 중 상기 실란 변성 폴리올레핀의 함량을 0.1~50중량%, 바람직하게는, 0.1~30중량%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겔 전해질은 리튬염 용액을 포함하는 매트릭스 및 상기 매트릭스의 내부에서 가교되어 상기 매트릭스를 지지하는 고분자 가교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겔 전해질 중 상기 고분자 가교체의 함량은 10~30중량%일 수 있다.
상기 리튬염 용액은 리튬염 및 끓는점이 110℃ 이상인 글리콜 에테르계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튬염은 이온전도도를 개선함과 동시에 리튬 이온을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리튬염은, 예를 들어, LiSCN, LiN(CN)2, LiClO4, LiBF4, LiAsF6, LiPF6, LiCF3SO3, LiCF3CO2, LiC(CF3SO2)3, LiSbF6, LiN(SO2CF3)2(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lithium bis(fluoromethanesulfonyl)imide; LiTFSI), LiN(FSO2)2(리튬 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lithium bis(fluorosulfonyl)imide; LiFSI), LiC4F9SO3, LiN(SO2CF2CF3)2, LiSbF6, LiPF3(CF2CF3)3, LiPF3(C2F5)3, LiPF3(CF3)3, LiCl, LiF, LiBr, LiI, LiB(C2O4)2, LiB10Cl10, LiFOB(리튬 디플루오로(옥살레이토)보레이트(lithium difluoro(oxalato)borate), LiBOB(리튬 비스(옥살레이토)보레이트(lithium bis(oxalato)borate)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글리콜 에테르계 용매는 끓는점이 110℃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인 것으로서, 예를 들어,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글리콜 에테르계 용매의 끓는점이 110℃ 이상이면, 상기 고분자 가교체에 의해 겔화된 전해질의 상(phase)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글리콜 에테르계 용매의 끓는점이 110℃ 미만이면 상기 겔 전해질 중 용매 성분이 임의로 휘발되어 상기 겔 전해질의 안정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리튬염 용액 중, 상기 리튬염에 대한 상기 글리콜 에테르계 용매의 몰비는 0.1:1 내지 3:1, 바람직하게는, 0.5:1 내지 1.5:1일 수 있다.
상기 리튬염에 대한 상기 글리콜 에테르계 용매의 몰비가 상기 범위 미만이거나 초과이면 상기 리튬염 용액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범위 내에서 상기 리튬염 용액은 리튬 이온의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하여 이온전도도를 개선할 수 있고, 상기 글리콜 에테르계 용매의 높은 끓는점으로 인해 겔 전해질의 안정성과 난연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가교체는 개시제에 의해 활성화된 다관능성 모노머의 가교 반응에 의해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개시제는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에 라디칼을 부여하고, 상기 라디칼에 의한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 간의 가교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는,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열, 광,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에너지에 의해 활성화 및 가교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는 분자 당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6개의 작용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의 분자 당 작용기의 수가 2개 미만이면 가교가 지연될 수 있고, 6개 초과이면 가교를 제어하기 어렵다.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에톡시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ethocylate triacrylate), 아크릴산(acrylic acid), 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carboxyethyl acrylate), 폴리아크릴산(poly acrylic acid),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알지네이트(alginat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아가로즈(agarose),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acrylate),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triethylene glycol diacrylate), 트리메틸올프로판에톡시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ethocylate triacrylate), 비스페놀에이에톡시레이트 디메타아크릴레이트(bisphenol-A ethocylate dimethaacrylate), 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carboxyethyl acrylate), 메틸 시아노아크릴레이트(methyl cyanoacrylate), 에틸 시아노아크릴레이트(ethyl cyanoacrylate), 에틸 시아노 에톡시아크릴레이트(ethyl cyano ethoxyacrylate), 시아노 아크릴산(cyano acrylic acid),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 metacrylate), 하이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hydroxypropyl acrylate), 이들의 유도체,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겔 전해질 중 상기 고분자 가교체의 함량은 10~30중량%일 수 있다. 상기 겔 전해질 중 상기 고분자 가교체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상기 분리막의 인장강도, 천공강도 및 내열성이 저하될 수 있고, 30중량% 초과이면 인장신율 및 이온전도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무기 필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는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률이 증가함에 따라 열화되는 기계적 물성을 보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는, 예를 들어, 실리카(SiO2), TiO2, Al2O3, 제올라이트(Zeolite), AlOOH, BaTiO2, 탈크(Talk), Al(OH)3, CaCO3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1,000nm의 평균 입도를 가지는 구형의 나노입자, 더 바람직하게는, 그 표면이 소수화 또는 친수화 처리된 나노입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카(SiO2)는 그 표면에 소수성인 직쇄 탄화수소(linear hydrocarbon) 분자로 이루어진 탄화수소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실리카 자체는 친수성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소수성인 폴리에틸렌과 상용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직쇄 탄화수소 분자,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이 코팅된 구형 실리카 나노입자가 적합하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 중 상기 무기 필러의 함량 10~70중량%, 바람직하게는, 10~60중량%일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계적 강도, 내산성, 내화학성, 난연성이 저하될 수 있고, 70중량% 초과이면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유연성,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분리막은 하기 (i) 내지 (iii)의 조건 중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i) 내지 (iii)의 조건을 모두 만족할 수 있다. (i) 이온전도도 1.0*10-4S/cm 이상, 바람직하게는, 1.5*10-4S/cm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0*10-4S/cm 이상; (ii) 천공강도 300gf 이상, 바람직하게는, 320gf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400gf 이상; (iii) 멜트다운온도 200℃ 이상, 바람직하게는, 21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10~350℃.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막의 제조방법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분리막의 제조방법은, (a) 제1 이형 필름의 일 면에 리튬염 용액, 다관능성 모노머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전해질 용액을 도포하여 제1 전해질층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전해질층 상에 다공성 지지체를 적층하는 단계; (c) 상기 다공성 지지체 상에 리튬염 용액, 다관능성 모노머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전해질 용액을 도포하여 제2 전해질층을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제2 전해질층 상에 제2 이형 필름을 적층한 다음, 상기 제1 및 제2 이형 필름을 가압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전해질층을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 내부로 침투시키고 일체화시키는 단계; (e) 일체화된 상기 제1 및 제2 전해질층에 에너지를 인가하여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를 가교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제1 및 제2 이형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제1 이형 필름(11)의 일 면에 리튬염 용액, 다관능성 모노머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전해질 용액을 도포하여 제1 전해질층(21)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형 필름(11)은 상기 (e) 단계에서 인가되는 에너지가 투과될 수 있는 수지제 필름일 수 있고, 상기 (f) 단계에서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전해질층(21)과 대향하는 표면이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으로 처리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형 필름(11)은, 상기 (e) 단계에서 인가되는 상기 에너지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물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너지가 광, 바람직하게는, UV인 경우 이러한 UV를 투과시킬 수 있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에너지가 열인 경우 이러한 열을 충분히 전도할 수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에너지가 광 및 열의 조합인 경우 광을 투과시킴과 동시에 열을 전도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해질 용액은 리튬염 용액, 다관능성 모노머 및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리튬염 용액, 다관능성 모노머 및 개시제의 작용효과, 비율, 종류 등에 대해서는 전술한 것과 같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 전해질층(21) 상에 다공성 지지체(30)를 적층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30)는 상기 제1 전해질층(21)이 겔화되지 않은 상태, 즉, 일정 수준의 유동성, 흐름성을 가지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전해질층(21)의 상부에 적층되고, 이 때, 상기 제1 전해질층(21) 중 일부는 모세관 효과에 의해 상기 다공성 지지체(30)와 접촉 시 접촉면에 위치한 기공(31)의 내부로 일정 깊이로 침투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30)의 작용효과, 소재, 성질, 규격 등에 대해서는 전술한 것과 같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30) 상에 리튬염 용액, 다관능성 모노머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전해질 용액을 도포하여 제2 전해질층(22)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해질층(22)을 생성하기 위한 전해질 용액은 상기 제1 전해질층(21)의 형성 시 사용된 것과 동일한 것일 수 있으며, 그 성분, 작용효과, 비율, 종류 등에 대해서는 전술한 것과 같다. 상기 다공성 지지체(30) 상에 도포된 상기 제2 전해질층(22) 또한 겔화되지 않은 상태, 즉, 일정 수준의 유동성, 흐름성을 가지므로, 상기 제2 전해질층(22) 중 일부는 모세관 효과에 의해 상기 다공성 지지체(30)와 접촉 시 접촉면에 위치한 기공(31)의 내부로 일정 깊이로 침투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제2 전해질층(22) 상에 제2 이형 필름(12)을 적층한 다음, 상기 제1 및 제2 이형 필름(11, 12)을 가압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전해질층(21, 22)을 상기 다공성 지지체(30)의 기공(31) 내부로 침투시키고 일체화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a) 내지 (c) 단계에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30)의 양 면에 도포된 상기 제1 및 제2 전해질층(21, 22)은 모세관 효과에 의해 상기 다공성 지지체(30)의 양 표면에 위치한 기공(31)으로 일정 깊이로 침투할 수 있는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모세관 효과만으로는 상기 제1 및 제2 전해질층(21, 22)이 상기 다공성 지지체(30)의 내부, 바람직하게는, 중심부에 위치한 기공까지 침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모세관 효과에 의한 침투만으로는 상기 전해질층(21, 22)이 상기 다공성 지지체(30)의 일 면으로부터 타 면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없고, 이 경우 상기 분리막 중 적어도 일부, 구체적으로 중심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해질층(21, 22)에 의한 전도성 경로가 차단되어 필요한 수준의 이온전도도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이형 필름(11, 12)을 상기 다공성 지지체(30)의 중심부를 향해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전해질층(21, 22)이 상기 다공성 지지체(30)의 중심부에 위치한 기공(31)까지 완전히 침투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전해질층(21, 22)은 상기 다공성 지지체(30)의 중심부에 위치한 기공(31)에서 상호 접촉하여 일체화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형 필름(12) 또한 상기 (e) 단계에서 인가되는 에너지가 투과될 수 있는 수지제 필름일 수 있고, 상기 (f) 단계에서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전해질층(22)과 대향하는 표면이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으로 처리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형 필름(12)은, 상기 (e) 단계에서 인가되는 상기 에너지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물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너지가 광, 바람직하게는, UV인 경우 이러한 UV를 투과시킬 수 있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에너지가 열인 경우 이러한 열을 충분히 전도할 수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에너지가 광 및 열의 조합인 경우 광을 투과시킴과 동시에 열을 전도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e) 단계에서, 일체화된 상기 제1 및 제2 전해질층에 에너지를 인가하여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를 가교시킬 수 있다. 상기 에너지는 열, 광, 전자선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열 또는 광, 더 바람직하게는, UV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e) 단계를 통해 상기 전해질 용액에 포함된 다관능성 모노머를 가교시켜 일체화된 상기 제1 및 제2 전해질층(21, 22)을 겔화(경화)시킬 수 있다.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이형 필름(11, 12)을 제거하여 상기 다공성 지지체(30); 및 상기 다공성 지지체(30)의 기공(31)에 충진되고, 상기 다공성 지지체(30)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된 겔 전해질(20)을 포함하는 분리막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및 제2 이형 필름(11, 12)이 박리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전해질층(21, 22)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상기 이형 필름이 박리될 때, 상기 이형 필름과 접촉하고 있던 상기 전해질층 중 일부까지 함께 박리되는 경우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표면에 위치한 겔 전해질에 의한 작용효과를 적절히 구현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전해질층(21, 22)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상기 제1 및 제2 이형 필름(11, 12)만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및 제2 이형 필름(11, 12)으로 두께가 상이한 것을 사용하되, 상기 (f) 단계에서 이 중 두께가 얇은 이형 필름을 먼저 제거한 다음, 두꺼운 이형 필름을 나중에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이형 필름(11, 12)의 두께는 각각 1~100㎛, 바람직하게는, 10~10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이형 필름(11)의 두께는 25~100㎛일 수 있고, 상기 제2 이형 필름(12)의 두께는 1~24㎛일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제2 이형 필름(12)을 제거한 다음 상기 제1 이형 필름(11)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전해질층(21, 22)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필요한 수준의 평활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 1
(1) 전해질 용액의 제조
TEGDME(Tri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100ml에 Lithium bis(fluorosulfonyl)imide(LiFSl, Mw: 187.06g/mol, 천보) 18.7g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농도가 1M인 LiFSl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LiFSl 용액 80g,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400 Diacrylate, PEG(400)DA) 20g, 트리메틸벤조일 페닐포스피네이트(Trimethylbenzoyl Phenylphosphinate, TPO) 1g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전해질 용액을 제조하였다.
(2) 분리막의 제조
두께가 50㎛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이형 필름의 일 면에 상기 전해질 용액을 도포한 다음, 폴리에틸렌 다공막(통기도: 100초/100ml, 두께: 5.5㎛, 기공률: 32부피%)을 적층하였다. 상기 폴리에틸렌 다공막 상에 상기 전해질 용액을 도포한 다음, 두께가 23㎛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이형 필름을 적층하였고, 상기 이형 필름과 상기 폴리에틸렌 다공막을 롤 압착하여 상기 이형 필름 사이에 개재된 상기 폴리에틸렌 다공막이 상기 전해질 용액에 완전히 함침된 구조체를 얻었다.
상기 구조체의 양 면에 100W UV를 5초 간 조사하여 상기 폴리에틸렌 다공막의 기공에 함침되고, 그 표면에 도포된 상기 전해질 용액을 경화시킨 다음, 상기 구조체의 양 면에 합지된 두께가 23㎛인 이형 필름과 두께가 50㎛인 이형 필름을 순차적으로 제거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1) 전해질 용액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해질 용액을 제조하였다.
(2) 분리막의 제조
상기 폴리에틸렌 다공막(통기도: 100초/100ml, 두께: 5.5㎛, 기공률: 55부피%) 대신 폴리에틸렌 다공막(통기도: 150초/100ml, 두께: 14㎛, 기공률: 45부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1) 전해질 용액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LiFSl 용액 70g,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400 Diacrylate, PEG(400)DA) 30g, 트리메틸벤조일 페닐포스피네이트(Trimethylbenzoyl Phenylphosphinate, TPO) 2g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전해질 용액을 제조하였다.
(2) 분리막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1) 전해질 용액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LiFSl 용액 90g,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400 Diacrylate, PEG(400)DA) 10g, 트리메틸벤조일 페닐포스피네이트(Trimethylbenzoyl Phenylphosphinate, TPO) 1g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전해질 용액을 제조하였다.
(2) 분리막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1) 전해질 용액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해질 용액을 제조하였다.
(2) 분리막의 제조
중량평균분자량(Mw)이 350,000, 분자량분포(Mw/Mn)가 5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29.5중량부, 실란 변성 고밀도 폴리에틸렌 0.5중량부, 및 40℃에서의 동점도가 70cSt인 파라핀오일 70중량부를 혼합하여 2축 압출기(내경 58mm, L/D=56, Twin screw extruder)에 투입하였다. 가교 촉매인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를 상기 파라핀오일 중 일부에 사전 분산시키고, 상기 2축 압출기를 통과하는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중량%가 되도록 상기 2축 압출기의 사이드인젝터를 통해 투입하였다. 200℃, 스크류 회전속도 40rpm의 조건으로 상기 2축 압출기에서 폭이 300mm인 T다이로 토출시킨 후 온도가 40℃인 캐스팅 롤을 통과시켜 두께가 800μm인 베이스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베이스 시트를 110℃인 롤 연신기에서 세로방향(MD) 6배 연신하고, 125℃인 텐터 연신기에서 가로방향(TD)으로 7배 연신하여 연신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연신 필름을 25℃인 디클로로메탄 침출조에 함침하여 1분간 파라핀오일을 추출, 제거하였다. 파라핀오일이 제거된 필름을 5분간 50℃의 조건에서 건조하였다.
이 후, 텐터 연신기에서 125℃로 가열한 후, 가로방향(TD)으로 1.45배 연신 후 이완시켜 연신 전 대비 1.25배가 되도록 열고정시켰다. 상기 필름을 85℃, 습도 85%인 항온항습조에서 72시간 동안 가교시켜 가교 폴리에틸렌 다공막(통기도: 129초/100ml, 두께: 9.6㎛, 기공률: 52부피%, 멜트다운온도: 210℃)을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에틸렌 다공막(통기도: 100초/100ml, 두께: 5.5㎛, 기공률: 55부피%) 대신 가교 폴리에틸렌 다공막(통기도: 129초/100ml, 두께: 9.6㎛, 기공률: 52부피%, 멜트다운온도: 210℃)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1) 전해질 용액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해질 용액을 제조하였다.
(2) 분리막의 제조
통기도가 100초/100ml이고 두께가 5.5㎛인 폴리에틸렌 다공막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1) 전해질 용액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LiFSl 용액 100g, 트리메틸벤조일 페닐포스피네이트(Trimethylbenzoyl Phenylphosphinate, TPO) 1g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전해질 용액을 제조하였다.
(2) 분리막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1) 전해질 용액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LiFSl 용액 92g,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400 Diacrylate, PEG(400)DA) 8g, 트리메틸벤조일 페닐포스피네이트(Trimethylbenzoyl Phenylphosphinate, TPO) 1g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전해질 용액을 제조하였다.
(2) 분리막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1) 전해질 용액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LiFSl 용액 68g,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디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400 Diacrylate, PEG(400)DA) 32g, 트리메틸벤조일 페닐포스피네이트(Trimethylbenzoyl Phenylphosphinate, TPO) 1g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전해질 용액을 제조하였다.
(2) 분리막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광가교 가능한 모노머로 트리메틸올프로판에톡시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ethoxylate triacrylate), 메틸 시아노아크릴레이트(methyl cyanoacrylate),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 metacrylate)를 각각 50:30:2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또한, 상기 유기 용매로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EC) 및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PC)를 각각 1:1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유기 용매를 준비하였고, 리튬염으로 LiPF6를 사용하였으며, 상기 유기 용매에 대한 농도가 1몰(M)이 되도록 준비하였다.
상기 광가교 가능한 모노머, 유기 용매 및 리튬염을 혼합하여 전구체 조성물을 제조하여, PET 기재 필름 상에 150㎛의 두께로 도포한 다음, 상기 전구체 조성물에 2000 mW cm-2 세기의 UV를 5초 간 조사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및 100℃에서 24시간 동안 진공 건조한 LiTFSI를 1:1의 몰비로 혼합한 후 4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테트라에틸오르소실리케이트 및 포름산을 혼합하여 전해질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전해질 용액에 폴리에틸렌 다공막(통기도: 100초/100ml, 두께: 15㎛, 기공률: 45부피%)을 침지하여 함침시키고, 이를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겔화시킨 다음, 45℃에서 72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포름산과 부산물을 제거하였다.
이 후, 80℃에서 16시간 동안 진공 건조하여 잔여 수분을 제거하여 두께가 약 19㎛인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분리막의 물성을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라 측정,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온도에 대한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상온(25℃)에서 측정하였다.
-두께(㎛): 미세 두께 측정기를 이용하여 분리막 시편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인장강도(kgf/cm2): 인장강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크기가 20×200mm인 분리막 시편에 응력을 가하여 시편의 파단이 발생할 때까지 가해진 응력을 측정하였다.
-인장신율(%): 인장강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크기가 20×200mm인 분리막 시편에 응력을 가하여 시편의 파단이 발생할 때까지 늘어난 최대 길이를 측정하고 하기 계산식을 사용하여 인장신율을 계산하였다.
인장신율(%)=(l1-l2)/l1*100
(상기 계산식에서, l1은 신장 전 시편의 가로 또는 세로방향 길이이고, l2는 파단 직전 시편의 가로 또는 세로방향 길이이다.)
-천공강도(gf): KATO TECH 社의 천공강도 측정기 KES-G5 모델을 이용하여 크기가 100×50mm인 분리막 시편에 지름 0.5mm의 스틱(Stick)으로 0.05cm/sec의 속도로 힘을 가하여 상기 시편이 뚫리는 시점에 가해진 힘을 측정하였다.
-멜트다운온도(MDT, ℃): 열기계분석기(Thermomechanical analysis, TMA)를 이용하여 분리막 시편에 0.01N의 힘을 가한 후 5℃/분의 속도로 승온시켜 분리막 시편의 변형 정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시편이 파단되는 온도를 멜트다운온도로 하였다.
구분 두께 인장강도
(MD)
인장강도
(TD)
인장신율
(MD)
인장신율
(TD)
천공강도 MDT
실시예 1 10 3,499 2,485 57.3 89.8 333.2 205
실시예 2 20 1,784 2,162 80.3 73.9 634.3 210
실시예 3 10 3,674 2,634 54.4 85.3 366.5 203
실시예 4 10 3,429 2,336 58.4 96.1 319.9 220
실시예 5 15 4,094 2,907 52.1 81.7 429.8 230
비교예 1 10 측정 불가 측정 불가 측정 불가 측정 불가 측정 불가 측정 불가
비교예 2 10 3,186 2,202 64.2 101.7 297.9 195
비교예 3 10 3,328 2,265 60.2 97.9. 310.3 198
비교예 4 10 3,748 2,586 54.7 85.7 343.8 225
비교예 5 150 측정 불가 측정 불가 측정 불가 측정 불가 측정 불가 측정 불가
비교예 6 19 1,641 2,054 78.7 67.2 507.4 188
실험예 2
두께가 1mm인 서스(SUS) 전극 사이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분리막을 삽입하여 코인 셀을 제조하였다.
상기 코인 셀에 삽입된 상기 분리막의 임피던스 및 이온전도도를 EIS(Electrochemical mpedance Spectroscopy)를 사용하여 진동수 104~106Hz, 전류 10.0mV, 전압 범위 ±10V, 온도 25℃ 조건에서 5회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임피던스 (mΩ) 이온전도도 (S/cm)
실시예 1 220 2.4 E-04
실시예 2 600 1.4 E-04
실시예 3 410 1.0 E-04
실시예 4 200 2.1 E-04
실시예 5 230 2.8 E-04
비교예 1 500 8.5 E-05
비교예 2 측정 불가 측정 불가
비교예 3 측정 불가 측정 불가
비교예 4 620 6.9 E-05
비교예 5 617 1.0 E-03
비교예 6 710 1.1 E-04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제1 이형 필름
12: 제2 이형 필름
20: 겔 전해질
21: 제1 전해질층
22: 제2 전해질층
30: 다공성 지지체
31: 기공

Claims (10)

  1. 다공성 지지체; 및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에 충진되고,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된 겔 전해질;을 포함하고,
    상기 겔 전해질은 전해질을 포함하는 매트릭스 및 상기 매트릭스의 내부에서 가교되어 상기 매트릭스를 지지하는 고분자 가교체를 포함하는 분리막에 있어서,
    상기 겔 전해질은 상기 다공성 지지체를 관통하여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표면에 1~10㎛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분리막은 하기 (i) 내지 (iii)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분리막:
    (i) 이온전도도 1.0*10-4S/cm이상;
    (ii) 천공강도 300gf 이상;
    (iii) 멜트다운온도 200℃ 이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겔 전해질의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에 대한 충진율은 90% 이상인, 분리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 또는 공중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분리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률은 30~90%이고, 평균 기공크기는 20~100nm이고, 두께는 1~20㎛인, 분리막.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지지체는 무기 필러를 더 포함하는, 분리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리튬염 용액인, 분리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가교체는 개시제에 의해 활성화된 다관능성 모노머의 가교 반응에 의해 생성된 것인, 분리막.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 용액은 리튬염 및 끓는점이 110℃ 이상인 글리콜 에테르계 용매를 포함하는, 분리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겔 전해질 중 상기 고분자 가교체의 함량은 10~30중량%인, 분리막.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분리막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제1 이형 필름의 일 면에 전해질 용액을 도포하여 겔화되지 않은 상태의 제1 전해질층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전해질층 상에 다공성 지지체를 적층하는 단계;
    (c) 상기 다공성 지지체 상에 전해질 용액을 도포하여 겔화되지 않은 상태의 제2 전해질층을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제2 전해질층 상에 제2 이형 필름을 적층한 다음, 상기 제1 및 제2 이형 필름을 가압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전해질층을 상기 다공성 지지체의 기공 내부로 침투시키고 일체화시키는 단계;
    (e) 일체화된 상기 제1 및 제2 전해질층에 에너지를 인가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전해질층을 가교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제1 및 제2 이형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형 필름의 두께는 상기 제1 이형 필름의 두께보다 얇고,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제2 이형 필름을 제거한 다음 상기 제1 이형 필름을 제거하는, 분리막의 제조방법.
KR1020220151618A 2020-12-14 2022-11-14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KR102524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618A KR102524443B1 (ko) 2020-12-14 2022-11-14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552A KR102468266B1 (ko) 2020-12-14 2020-12-14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KR1020220151618A KR102524443B1 (ko) 2020-12-14 2022-11-14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552A Division KR102468266B1 (ko) 2020-12-14 2020-12-14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973A KR20220155973A (ko) 2022-11-24
KR102524443B1 true KR102524443B1 (ko) 2023-04-24

Family

ID=8221639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552A KR102468266B1 (ko) 2020-12-14 2020-12-14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KR1020220151618A KR102524443B1 (ko) 2020-12-14 2022-11-14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552A KR102468266B1 (ko) 2020-12-14 2020-12-14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6826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020B1 (ko) * 2013-01-15 2016-07-1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폴리머 전해질,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 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31434B1 (ko) * 2016-06-20 2018-12-20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사슬확장자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49206B1 (ko) * 2018-12-21 2022-09-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고체 전해질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KR20200095188A (ko) *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체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973A (ko) 2022-11-24
KR20220085097A (ko) 2022-06-22
KR102468266B1 (ko) 202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6129B1 (ko)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2311778B1 (ko)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및 세퍼레이터의 제조방법
EP3937275A1 (en) Polyolefin separato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01989651A (zh) 含离子聚合物的交联陶瓷涂层隔膜的制备方法、陶瓷涂层隔膜和使用该隔膜的锂二次电池
KR19990082451A (ko) 비프로톤성 전해질박막, 고정화액막 도전체 및 폴리머전지
JP7288917B2 (ja) 固体電解質膜、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む全固体電池
KR102308942B1 (ko)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EP3800700A1 (en)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ntaining same
KR20210109478A (ko) 리튬 이차 전지용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91607B1 (ko) 이차전지용 유무기 다공성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유무기 다공성분리막
KR20160051664A (ko) 이차 전지용 분리막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분리막
EP383275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KR100522685B1 (ko) 겔 형태의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KR20200021435A (ko)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분리막
KR102524443B1 (ko)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85233A (ko)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및 분리막의 제조방법
KR101796283B1 (ko) 부직포 기재를 포함하는 복합 세퍼레이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534680B1 (ko)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46343A (ko)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KR100337660B1 (ko) 리튬 폴리머 2차 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제조물 및 그제조물을 이용한 리튬 폴리머 2차 전지의 제조 방법
KR100553742B1 (ko) 결착력이 개선된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KR20210056266A (ko) 가교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가교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46344A (ko)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42429A (ko) 전기화학소자용 세퍼레이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92442B1 (ko)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