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4292B1 -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과 그를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과 그를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4292B1
KR102524292B1 KR1020180091160A KR20180091160A KR102524292B1 KR 102524292 B1 KR102524292 B1 KR 102524292B1 KR 1020180091160 A KR1020180091160 A KR 1020180091160A KR 20180091160 A KR20180091160 A KR 20180091160A KR 102524292 B1 KR102524292 B1 KR 102524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vehicle
speaker
unit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6005A (ko
Inventor
황용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1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4292B1/ko
Priority to US16/204,152 priority patent/US10603981B2/en
Priority to DE102018220815.8A priority patent/DE102018220815A1/de
Priority to CN201811497264.7A priority patent/CN110809217B/zh
Publication of KR20200016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92Arrangement of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20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sensing elements having variation of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with change of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7Protection circuits fo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2Temperatur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저온에 따른 스피커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과 그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온도를 센싱하는 센싱부와, 차량의 사운드를 증폭하는 앰프부와, 앰프부에 연결되어 증폭된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부와, 센싱부 및 앰프부에 통신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차량의 현재 온도를 측정하도록 센싱부를 제어하고,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하며,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이면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스피커부의 온도가 상승하도록 앰프부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과 그를 포함하는 차량 {SPEAKER TEMPERATURE CONTROLLING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온에 따른 스피커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과 그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구비된 오디오, 카 스테레오,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차량 내에 장착된 스피커를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피커는, 소리를 재생하는 유닛을 포함할 수 있는데, 소리를 재생하는 유닛은, 여러 가지로 나뉘어 질 수 있다.
소리를 재생하는 유닛은, 전 대역에서 저음과 고음을 재생하는 저음/고음 유닛(2웨이), 저음, 중음, 고음을 재생하는 저음/중음/고음 유닛(3웨이), 또는 초고음을 재생하는 유닛을 더 포함하는 4웨이 유닛 등이 있다.
특히, 고급 차량의 경우, 저음/중음/고음 대역의 주파수를 잘 출력하기 위해 스피커를 특정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데, 일 예로, 차량의 센터 스퍼커로는 트위터(고음) 스피커를 장착하고, 대시보드 및 도어 스피커로는 미드레인지(중저음) 스피커를 장착할 수 있다.
하지만, 차량용 스피커는, 일반 가정용 스피커와 달리, 차량이 위치하는 환경 및 장소에 따라 외부 온도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다.
특히, 차량용 스피커는, 약 -5℃ 이하인 저온에서, 스피커 저역대 음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저온에서 차량용 스피커의 에지가 경화되어 공진 주파수를 상승시키기 때문이다.
차량용 스피커의 구성 요소인 에지와 댐퍼는, 스피커의 중요한 성능 파라메터 중 하나인 최저공진주파수와 Q 팩터(factor)를 결정하는 변수들이다.
여기서, 에지의 탄성계수와 댐퍼의 감쇄계수는, 온도의 함수이므로, 극저온 환경에서는, 이들의 경화로 인해, 최저공진주파수와 Q 팩터의 수치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처럼, 에지와 댐퍼의 경화로 인한 최저공진주파수와 Q 팩터의 수치 상승은, 차량용 스피커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 극저온 상황에서도 스피커의 온도를 상온으로 유지함으로써, 스피커의 성능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차량 실내 내부 온도 또는 차량 스피커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이면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스피커부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스피커의 성능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과 그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실내 온도 및 차량 스피커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이면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스피커부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정확하고 정밀하게 스피커의 성능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과 그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실내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이면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스피커부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차량 스피커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초과이면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종료함으로써, 정확하고 정밀하게 스피커의 성능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과 그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가 오픈되면 차량의 현재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온도 센싱에 따른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과 그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된 현재 온도와 기준 온도 사이의 온도차에 상응하는 구동 주파수와 구동 시간을 포함하는 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구동 신호를 스피커부에 인가함으로써, 스피커 온도 제어 속도가 빠르고 온도 제어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과 그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는, 차량의 온도를 센싱하는 센싱부와, 차량의 사운드를 증폭하는 앰프부와, 앰프부에 연결되어 증폭된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부와, 센싱부 및 앰프부에 통신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차량의 현재 온도를 측정하도록 센싱부를 제어하고,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하며,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이면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스피커부의 온도가 상승하도록 앰프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는,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 차량의 내부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할 때,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를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는, 차량의 스피커부 내부에 장착되어 스피커부의 내부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할 때,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스피커부의 현재 내부 온도를 수신하고, 수신된 스피커부의 현재 내부 온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스피커부의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는,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 차량의 내부 온도를 센싱하는 제1 온도 센서, 차량의 스피커부 내부에 장착되어 스피커부의 내부 온도를 센싱하는 제2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할 때, 제1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를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하며,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온도 이하이면 제2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스피커부의 현재 내부 온도를 수신하고, 수신된 스피커부의 현재 내부 온도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스피커부의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는,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할 때, 제1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를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하며, 앰프부를 제어할 때,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제2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스피커부의 현재 내부 온도를 수신하고, 수신된 스피커부의 현재 내부 온도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스피커부의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온도 초과인지를 확인하며, 스피커부의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온도 초과이면 구동 신호의 인가를 종료하도록 앰프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는, 차량 도어 내부에 장착되어 차량의 도어 개폐를 센싱하는 도어 센서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도어 센서로부터 차량의 도어 열림 신호를 수신하면 차량의 현재 온도를 측정하도록 센싱부를 제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는, 차량의 현재 온도를 측정하도록 센싱부를 제어할 때, 외부의 스마트키로부터 도어 열림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도어 열림 신호에 상응하여 차량의 도어가 열리도록 도어를 제어함과 동시에 차량의 현재 온도를 측정하도록 센싱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는, 앰프부를 제어할 때,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이면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현재 온도와 상기 기준 온도 사이의 온도차를 산출하고, 산출된 온도차에 상응하는 구동 주파수와 구동 시간을 추출하며, 추출된 구동 주파수와 구동 시간을 토대로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스피커부에 인가하도록 앰프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산출된 온도차에 상응하는 구동 주파수와 구동 시간을 추출할 때, 메모리부의 정보 테이블로부터 온도차에 상응하는 구동 주파수와 구동 시간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의 스피커 온도 제어 방법은, 차량의 도어 열림 및 닫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확인 결과 차량의 도어 열림 상태이면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확인 결과 측정된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이면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스피커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피커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단계는, 확인 결과 측정된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이면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와 기준 온도와의 온도차를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온도차에 상응하는 구동 주파수 및 구동 시간을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구동 주파수에 상응하는 구동 신호를 추출된 구동 시간 동안 스피커부에 인가하여 스피커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의 스피커 온도 제어 방법은, 차량의 도어 열림 및 닫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확인 결과 차량의 도어 열림 상태이면 상기 스피커부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스피커부의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확인 결과 측정된 스피커부의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이면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스피커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단계와, 스피커부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스피커부의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초과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확인 결과 측정된 스피커부의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초과이면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 인가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의 스피커 온도 제어 방법은, 차량의 도어 열림 및 닫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확인 결과 차량의 도어 열림 상태이면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확인 결과 측정된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이면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스피커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단계와, 스피커부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스피커부의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초과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확인 결과 측정된 스피커부의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초과이면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 인가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피커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단계는, 확인 결과 측정된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이면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와 기준 온도와의 온도차를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온도차에 상응하는 구동 주파수 및 구동 시간을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구동 주파수에 상응하는 구동 신호를 추출된 구동 시간 동안 스피커부에 인가하여 스피커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외부의 스마트키로부터 도어 열림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장치와,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도어 열림 신호에 상응하여 차량의 도어가 열리도록 도어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그리고 차량의 도어 열림이 확인되면 차량의 온도에 따라 스피커의 온도를 제어하는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는, 차량의 온도를 센싱하는 센싱부와, 차량의 사운드를 증폭하는 앰프부와, 앰프부에 연결되어 증폭된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부와, 차량의 도어 열림이 확인되면 차량의 현재 온도를 측정하도록 센싱부를 제어하고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하며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이면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스피커부의 온도가 상승하도록 앰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과 그를 포함하는 차량은, 차량 실내 내부 온도 또는 차량 스피커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이면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스피커부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스피커의 성능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실내 온도 및 차량 스피커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이면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스피커부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정확하고 정밀하게 스피커의 성능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실내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이면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스피커부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차량 스피커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초과이면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종료함으로써, 정확하고 정밀하게 스피커의 성능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가 오픈되면 차량의 현재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온도 센싱에 따른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된 현재 온도와 기준 온도 사이의 온도차에 상응하는 구동 주파수와 구동 시간을 포함하는 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구동 신호를 스피커부에 인가함으로써, 스피커 온도 제어 속도가 빠르고 온도 제어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저온(약 -5℃)이하에서, 스피커 저역대 음질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피커 전용 온도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정확한 스피커 온도 측정이 가능하여 고급차 사양에 적용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피커 전용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차량에 부착된 온도센서 및 온도정보를 이용할 경우, 측정된 현재 온도와 기준 온도 사이의 온도차에 상응하는 구동 주파수와 구동 시간을 포함하는 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원가 및 중량 상승 없이도 스피커 저역대 성능 하락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차량 도어 오픈에 따른 차량 스피커 온도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스피커부를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스피커부의 저역대 주파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스피커부에 인가되는 구동 주파수 대역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8은 스피커부의 온도 상승에 따른 열 전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온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신호 정보 테이블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온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온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과 그를 포함하는 차량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은, 통신 장치(10), 제어 장치(20), 그리고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장치(10)는, 외부의 스마트키로부터 도어 열림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장치(20)는, 통신 장치(10)로부터 수신된 도어 열림 신호에 상응하여 차량의 도어(40)가 열리도록 도어(4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30)는, 차량의 도어(40) 열림이 확인되면 차량의 온도에 따라 스피커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30)는, 차량의 온도를 센싱하는 센싱부(310), 차량의 사운드를 증폭하는 앰프부(320), 앰프부(320)에 연결되어 증폭된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부(330), 그리고 센싱부(310) 및 앰프부(320)에 통신 연결되는 제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40)는, 차량의 도어 열림이 확인되면 차량의 현재 온도를 측정하도록 센싱부(310)를 제어하고,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하며,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이면 스피커부(330)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스피커부(330)의 온도가 상승하도록 앰프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센싱부(310)는,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 차량의 내부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40)는,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할 때,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를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센싱부(310)는, 차량의 스피커부(330) 내부에 장착되어 스피커부(330)의 내부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피커부(330)의 내부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는, 스피커부(330)의 에지 및 댐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피커부(330)의 에지 및 댐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40)는,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할 때,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스피커부(330)의 현재 내부 온도를 수신하고, 수신된 스피커부(330)의 현재 내부 온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스피커부(330)의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센싱부(310)는,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 차량의 내부 온도를 센싱하는 제1 온도 센서와, 차량의 스피커부(330) 내부에 장착되어 스피커부(330)의 내부 온도를 센싱하는 제2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온도 센서는, 스피커부(330)의 에지 및 댐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피커부(330)의 에지 및 댐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40)는,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할 때, 제1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를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하며,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온도 이하이면 제2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스피커부(330)의 현재 내부 온도를 수신하고, 수신된 스피커부(330)의 현재 내부 온도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스피커부(330)의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제2 기준 온도는, 서로 다를 수 있는데, 제2 기준 온도가 제1 기준 온도보다 더 낮은 온도를 가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1, 제2 기준 온도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다.
2개의 온도 센서를 이용하는 이유는,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와 스피커부(330)의 현재 내부 온도를 모두 측정함으로써, 온도 센서의 오동작에 따른 스피커 온도 제어 오류를 방지하고 스피커 온도 제어에 상응하는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어부(340)는,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할 때, 제1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를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하며, 앰프부를 제어할 때, 스피커부(330)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제2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스피커부(330)의 현재 내부 온도를 수신하고, 수신된 스피커부(330)의 현재 내부 온도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스피커부(330)의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온도 초과인지를 확인하며, 스피커부(330)의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온도 초과이면 구동 신호의 인가를 종료하도록 앰프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2 기준 온도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1, 제2 기준 온도는, 서로 다를 수 있는데, 제2 기준 온도가 제1 기준 온도보다 더 낮은 온도를 가질 수도 있다.
즉, 스피커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온도 초과일 때 스피커부(330)로 구동 신호의 인가를 종료하는 이유는, 스피커가 저주파 대역에서 안정화되는 온도로 상승하면 구동 신호 인가를 종료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센싱부(310)는, 차량 도어 내부에 장착되어 차량의 도어 개폐를 센싱하는 도어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40)는, 도어 센서로부터 차량의 도어 열림 신호를 수신하면 차량의 현재 온도를 측정하도록 센싱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40)는, 차량의 도어 열림 신호를 수신할 때, 도어 센서와 통신 연결되어 캔(CAN) 통신을 수행하고, 캔 통신에 의해 도어 열림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40)는, 센싱부(310) 및 앰프부(320)에 통신 연결되어 캔(CAN) 통신을 수행하고, 캔 통신에 의해 센싱부(310)로부터 차량의 현재 온도를 수신하며, 캔 통신에 의해 앰프부(320)로 스피커부(330)의 구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어, 제어부(340)는, 차량의 현재 온도를 측정하도록 센싱부(310)를 제어할 때, 차량의 도어가 오픈되는지를 확인하고, 차량의 도어가 오픈되면 차량의 현재 온도를 측정하도록 센싱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40)는, 차량의 도어가 오픈되는지를 확인할 때, 차량의 도어들 중 운전석 도어가 오픈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운전자가 차량의 멀티미디어를 동작시킴으로써, 스피커가 구동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어부(340)는, 운전석 도어가 오픈되면 차량의 멀티미디어 동작 전에 차량의 온도를 센싱하여 스피커 온도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저온에서의 스피커 음질 저하를 방지하여 멀티미디어 동작에 따른 스피커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340)는, 차량의 도어가 오픈되는지를 확인할 때, 차량의 도어 개폐를 센싱하도록 차량의 도어 내에 장착된 도어 센서를 제어하고, 도어 센서로부터 측정된 도어 열림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도어가 오픈되는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로서, 제어부(340)는, 차량의 현재 온도를 측정하도록 센싱부(310)를 제어할 때, 외부의 스마트키로부터 도어 열림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도어 열림 신호에 상응하여 차량의 도어가 열리도록 도어를 제어함과 동시에 차량의 현재 온도를 측정하도록 센싱부(3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340)는,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할 때, 기준 온도가 상온으로 미리 설정되면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상온 이하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상온은, 약 10도 ~ 약 30도 범위 내의 온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어부(340)는, 앰프부(320)를 제어할 때,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이면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현재 온도와 기준 온도 사이의 온도차를 산출하고, 산출된 온도차에 상응하는 구동 주파수와 구동 시간을 추출하며, 추출된 구동 주파수와 구동 시간을 토대로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스피커부(330)에 인가하도록 앰프부(3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30)는, 현재 온도와 기준 온도 사이의 온도차에 상응하는 구동 주파수와 구동 시간을 포함하는 정보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340)는, 산출된 온도차에 상응하는 구동 주파수와 구동 시간을 추출할 때, 메모리부의 정보 테이블로부터 온도차에 상응하는 구동 주파수와 구동 시간을 추출할 수 있다.
일 예로, 구동 시간은, 온도차가 클수록 증가할 수 있고, 구동 주파수는, 온도차가 클수록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주파수는, 가청 주파수 대역 이외의 주파수일 수 있다.
그 이유는, 스피커 온도 제어에 따른 구동 주파수가 운전자에게 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 예로, 구동 주파수는, 약 1Hz ~ 약 20Hz 범위 내의 주파수 또는 약 20kHz 이상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 스피커부(330)는, 스피커부(330)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 앰프부(320)로부터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열을 발생하는 보이스 코일, 보이스 코일에 연결되어 프레임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콘지, 콘지 및 프레임의 끝단 사이를 연결하는 에지, 그리고 프레임과 보이스 코일 사이를 연결하는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피커부(330)는, 보이스 코일에 열이 발생되면 발생된 열을 보이스 코일에 연결된 댐퍼로 전달하고, 보이스 코일에 연결된 콘지를 따라 에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부(330)는, 댐퍼 및 에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댐퍼 및 에지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40)는, 온도 센서로부터 센싱된 댐퍼 및 에지의 온도를 토대로 앰프부(320)를 제어하여 스피커부(330)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거나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340)는, 온도 센서로부터 센싱된 댐퍼 및 에지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이면 앰프부(320)를 제어하여 스피커부(330)로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40)는, 온도 센서로부터 센싱된 댐퍼 및 에지의 온도가 기준 온도 초과이면 앰프부(320)를 제어하여 스피커부(330)로 구동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340)는,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할 때,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가 아니면 스피커부(330)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 인가를 차단하도록 앰프부(3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실내 내부 온도 또는 차량 스피커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이면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스피커부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스피커의 성능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실내 온도 및 차량 스피커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이면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스피커부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정확하고 정밀하게 스피커의 성능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실내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이면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스피커부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차량 스피커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초과이면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종료함으로써, 정확하고 정밀하게 스피커의 성능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가 오픈되면 차량의 현재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온도 센싱에 따른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된 현재 온도와 기준 온도 사이의 온도차에 상응하는 구동 주파수와 구동 시간을 포함하는 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구동 신호를 스피커부에 인가함으로써, 스피커 온도 제어 속도가 빠르고 온도 제어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은 차량 도어 오픈에 따른 차량 스피커 온도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는, 차량의 도어 열림이 확인되면 차량의 온도에 따라 스피커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는, 차량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 차량의 사운드를 증폭하는 앰프를 포함하는 앰프부, 앰프에 연결되어 증폭된 사운드를 출력하는 다수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스피커부, 그리고 온도 센서, 앰프 및 차량 도어에 통신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온도 센서, 앰프, 차량 도어, 그리고 제어부는, 중앙 게이트 웨이(Central Gate Way; CGW)를 기반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중앙 게이트 웨이는, 차량 내에서 측정된 각종 센서 신호들을 원하는 위치의 제어기로 보내주는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스피커는, 외장 앰프와 연결되는데, 내장 혹은 외장 앰프의 출력 채널과 스피커가 각각 아날로그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게이트 웨이와 앰프는 통신 연결될 수 있는데, 내장 혹은 외장 앰프가 차량 내부 온도, 스마트키 동작 유무, 운전석 도어 오픈 등의 정보를 받기 위해 중앙 게이트 웨이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의 개수 및 위치는 차종 및 옵션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내장 또는 외장의 앰프 타입 및 위치도 차종 및 옵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음, 제어부는, 차량의 도어 열림이 확인되면 차량의 현재 온도를 측정하도록 온도 센싱를 제어하고,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하며,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이면 스피커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스피커의 온도가 상승하도록 앰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 센서는, 차량의 실내에 장착되어 차량의 실내 온도를 센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어부는,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차량의 실내 온도를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의 실내 온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차량의 실내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온도 센서는, 차량의 스피커 내부에 장착되어 스피커의 내부 온도를 센싱할 수도 있는데, 온도 센서는, 스피커의 에지 및 댐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피커의 에지 및 댐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스피커의 현재 내부 온도를 수신하고, 수신된 스피커의 현재 내부 온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스피커의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경우로서, 온도 센서는,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 차량의 내부 온도를 센싱하는 제1 온도 센서와, 차량의 스피커 내부에 장착되어 스피커의 내부 온도를 센싱하는 제2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제2 온도 센서는, 스피커의 에지 및 댐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피커의 에지 및 댐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제1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를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하며,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온도 이하이면 제2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스피커의 현재 내부 온도를 수신하고, 수신된 스피커의 현재 내부 온도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스피커의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할 때, 제1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를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하며, 앰프를 제어할 때, 스피커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제2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스피커의 현재 내부 온도를 수신하고, 수신된 스피커의 현재 내부 온도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스피커의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온도 초과인지를 확인하며, 스피커의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온도 초과이면 구동 신호의 인가를 종료하도록 앰프를 제어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제어부는, 도어 센서로부터 차량의 도어 열림 신호를 수신하면 차량의 현재 온도를 측정하도록 온도 센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차량의 도어 열림 신호를 수신할 때, 도어 센서와 통신 연결되어 캔(CAN) 통신을 수행하고, 캔 통신에 의해 도어 열림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는, 온도 센서 및 앰프에 통신 연결되어 캔(CAN) 통신을 수행하고, 캔 통신에 의해 온도 센서로부터 차량의 현재 온도를 수신하며, 캔 통신에 의해 앰프로 스피커의 구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는, 차량의 도어가 오픈되는지를 확인하고, 차량의 도어가 오픈되면 차량의 현재 온도를 측정하도록 온도 센서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경우로서, 제어부는, 차량의 도어 개폐를 센싱하도록 차량의 도어 내에 장착된 도어 센서를 제어하고, 도어 센서로부터 측정된 도어 열림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도어가 오픈되는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제어부는, 외부의 스마트키로부터 도어 열림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도어 열림 신호에 상응하여 차량의 도어가 열리도록 도어를 제어함과 동시에 차량의 현재 온도를 측정하도록 온도 센서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2의 스피커부를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이고, 도 5 및 도 6은 스피커부의 저역대 주파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부(330)는, 스피커부(330)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332),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열을 발생하는 보이스 코일(334), 보이스 코일(334)에 연결되어 프레임(332)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콘지(335), 콘지(335) 및 프레임(332)의 끝단 사이를 연결하는 에지(336), 그리고 프레임(332)과 보이스 코일(334) 사이를 연결하는 댐퍼(337)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피커부(330)의 구성 요소 중 에지(336)와 댐퍼(337)는, 스피커의 중요한 성능 파라메터 중 하나인 최저공진주파수와 Q 팩터(factor)를 결정하는 변수들이다.
여기서, 에지(336)의 탄성계수와 댐퍼(337)의 감쇄계수는, 온도의 함수인데, 극저온 환경에서, 에지(336)와 댐퍼(337)가 경화될 수 있다.
이러한, 에지(336)와 댐퍼(337)의 경화는, 스피커의 최저공진주파수와 Q 팩터의 수치를 상승시키게 되어 스피커 성능저하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극저온 환경에서 스피커의 온도를 상승시켜 에지(336)의 탄성계수와 댐퍼(337)의 감쇄계수를 상온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스피커 성능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지의 탄성계수는, 온도가 내려갈수록 커지게 되고 그에 따라 공진주파수가 증가함으로써, 스피커는, 저주파수 영역에서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337)는, 온도가 내려갈수록 에너지 감쇄역할을 하지 못해, 공진주파수에서 Q 팩터(factor)가 변하게 되어 스피커의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도 7은 스피커부에 인가되는 구동 주파수 대역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고, 도 8은 스피커부의 온도 상승에 따른 열 전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의 음향 발생 효율은, 입력 전기 에너지와 발생 음향 에너지의 비로 나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발생 효율이 약 10%인 스피커에 약 1W의 입력 전기 에너지를 사용해서 스피커를 구동시킬 경우, 약 0.1W의 입력 전기 에너지만이 소리로 변환되고, 나머지 약 0.9W의 입력 전기 에너지는 열로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음향 발생 효율을 높여야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음향 발생 효율을 낮추고 열 발생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구동 신호를 스피커에 인가하여 스피커 온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스피커 온도 제어를 위한 구동 신호로서, 구동 신호의 구동 주파수를 가청음파 이외의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스피커 온도 제어를 위한 구동 신호를 스피커에 인가할 때, 구동 신호의 구동 주파수를 가청음파 이외의 영역이므로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소리가 운전자의 귀에 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 예로, 구동 주파수는, 약 1Hz ~ 약 20Hz 범위 내의 주파수 또는 약 20kHz 이상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스피커 온도 제어를 위한 구동 신호의 사용 가능한 주파수 영역에서, 음향 발생 효율이 낮을 때, 입력 전기 에너지가 클수록 보이스코일에서 발생되는 열이 증가하게 된다.
즉, 약 1Hz ~ 약 10Hz의 주파수를 갖는 구동 신호를 스피커에 인가하면, 스피커의 소리는 최소화하고 발열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이스 코일에서 발생된 열은, 댐퍼와 에지로 열 전달이 발생하고, 댐퍼와 에지가 목표로 설정된 목표 온도까지 상승하게 된다.
또한, 스피커는, 스피커의 타입마다 특성 곡선이 다르기 때문에, 각 스피커에 사용될 온도 제어용 구동 신호의 구동 주파수는 모두 다르며, 이를 사전에 측정하여 측정 데이터들을 정보 테이블로 구현하여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해야 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측정된 차량 내부 온도와 기준 온도 사이의 온도차에 상응하여 메모리부의 정보 테이블로부터 구동 주파수와 구동 시간을 추출할 수 있다.
일 예로, 구동 시간은, 온도차가 클수록 증가할 수 있고, 구동 주파수는, 온도차가 클수록 동일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온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신호 정보 테이블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는, 먼저 차량의 도어 열림 및 닫힘 상태를 확인한다(S100).
이어,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는, 확인 결과, 차량의 도어 열림 상태이면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를 측정한다(S110).
다음,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는, 측정된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한다(S120).
여기서, 기준 온도는, 상온일 수 있으며, 상온은, 약 10도 ~ 약 30도 범위 내의 온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는, 확인 결과, 측정된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이면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스피커부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스피커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단계는, 다음과 같은 상세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는, 확인 결과, 측정된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이면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와 기준 온도와의 온도차를 산출한다(S130).
이어,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는, 산출된 온도차에 상응하는 구동 주파수 및 구동 시간을 추출한다(S140).
다음,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는, 추출된 구동 주파수에 상응하는 구동 신호를 추출된 구동 시간 동안 스피커부에 인가하여(S150) 스피커부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S160).
여기서, 추출된 구동 시간은, 산출된 온도차가 클수록 증가할 수 있고, 추출된 구동 주파수는, 산출된 온도차의 크기에 관계 없이 동일할 수 있다.
일 예로, 추출된 구동 주파수는, 약 1Hz ~ 약 20Hz 범위 내의 주파수 또는 약 20kHz 이상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10과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는, 산출된 온도차에 상응하는 구동 주파수와 구동 시간을 추출할 때,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 테이블로부터 온도차에 상응하는 구동 주파수와 구동 시간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테이블은, 현재 온도와 기준 온도 사이의 온도차에 상응하는 구동 주파수와 구동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구동 시간은, 온도차가 클수록 증가할 수 있고, 구동 주파수는, 온도차가 클수록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주파수는, 가청 주파수 대역 이외의 주파수일 수 있다.
그 이유는, 스피커 온도 제어에 따른 구동 주파수가 운전자에게 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 예로, 구동 주파수는, 약 1Hz ~ 약 20Hz 범위 내의 주파수 또는 약 20kHz 이상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 제1 실시예는, 차량 실내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이면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스피커부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스피커의 성능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온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는, 먼저, 차량의 도어 열림 및 닫힘 상태를 확인한다(S200).
이어,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는, 확인 결과, 차량의 도어 열림 상태이면 스피커부의 내부 온도를 측정한다(S210).
다음,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는, 측정된 스피커부의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한다(S220).
여기서, 기준 온도는, 상온일 수 있으며, 상온은, 약 10도 ~ 약 30도 범위 내의 온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는, 확인 결과, 측정된 스피커부의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이면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S230) 스피커부의 온도를 상승시킨다(S240).
여기서, 특정 주파수는, 가청 주파수 대역 이외의 주파수일 수 있다.
그 이유는, 스피커 온도 제어에 따른 구동 주파수가 운전자에게 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 예로, 특정 주파수는, 약 1Hz ~ 약 20Hz 범위 내의 주파수 또는 약 20kHz 이상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는, 스피커부의 내부 온도를 측정한다(S250).
다음,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는, 측정된 스피커부의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초과인지를 확인한다(S260).
그리고,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는, 확인 결과, 측정된 스피커부의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초과이면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 인가를 차단할 수 있다(S270).
여기서, 기준 온도는, 상온일 수 있으며, 상온은, 약 10도 ~ 약 30도 범위 내의 온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스피커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이면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스피커부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스피커의 성능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온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는, 먼저 차량의 도어 열림 및 닫힘 상태를 확인한다(S300).
이어,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는, 확인 결과, 차량의 도어 열림 상태이면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를 측정한다(S310).
다음,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는, 측정된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한다(S320).
그리고,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는, 확인 결과, 측정된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이면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S330) 스피커부의 온도를 상승시킨다(S340).
여기서, 스피커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단계는, 다음과 같은 상세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는, 확인 결과, 측정된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이면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와 기준 온도와의 온도차를 산출한다.
다음,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는, 산출된 온도차에 상응하는 구동 주파수 및 구동 시간을 추출한다.
그리고,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는, 추출된 구동 주파수에 상응하는 구동 신호를 추출된 구동 시간 동안 스피커부에 인가하여 스피커부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여기서, 추출된 구동 시간은, 산출된 온도차가 클수록 증가할 수 있고, 추출된 구동 주파수는, 산출된 온도차의 크기에 관계 없이 동일할 수 있다.
일 예로, 추출된 구동 주파수는, 약 1Hz ~ 약 20Hz 범위 내의 주파수 또는 약 20kHz 이상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는, 산출된 온도차에 상응하는 구동 주파수와 구동 시간을 추출할 때,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 테이블로부터 온도차에 상응하는 구동 주파수와 구동 시간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테이블은, 현재 온도와 기준 온도 사이의 온도차에 상응하는 구동 주파수와 구동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구동 시간은, 온도차가 클수록 증가할 수 있고, 구동 주파수는, 온도차가 클수록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주파수는, 가청 주파수 대역 이외의 주파수일 수 있다.
그 이유는, 스피커 온도 제어에 따른 구동 주파수가 운전자에게 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 예로, 구동 주파수는, 약 1Hz ~ 약 20Hz 범위 내의 주파수 또는 약 20kHz 이상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는, 스피커부의 내부 온도를 측정한다(S350).
다음,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는, 측정된 스피커부의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초과인지를 확인한다(S360).
그리고,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는, 확인 결과, 측정된 스피커부의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초과이면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 인가를 차단할 수 있다(S370).
이와 같이, 본 발명 제3 실시예는, 차량 실내 온도 및 차량 스피커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이면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스피커부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정확하고 정밀하게 스피커의 성능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차량 실내 내부 온도 또는 차량 스피커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이면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스피커부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스피커의 성능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실내 온도 및 차량 스피커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이면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스피커부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정확하고 정밀하게 스피커의 성능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실내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이면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스피커부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차량 스피커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초과이면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종료함으로써, 정확하고 정밀하게 스피커의 성능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가 오픈되면 차량의 현재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온도 센싱에 따른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된 현재 온도와 기준 온도 사이의 온도차에 상응하는 구동 주파수와 구동 시간을 포함하는 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구동 신호를 스피커부에 인가함으로써, 스피커 온도 제어 속도가 빠르고 온도 제어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저온(약 -5℃)이하에서, 스피커 저역대 음질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피커 전용 온도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정확한 스피커 온도 측정이 가능하여 고급차 사양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피커 전용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차량에 부착된 온도센서 및 온도정보를 이용할 경우, 측정된 현재 온도와 기준 온도 사이의 온도차에 상응하는 구동 주파수와 구동 시간을 포함하는 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원가 및 중량 상승 없이도 스피커 저역대 성능 하락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30: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310: 센싱부
320: 앰프부
330: 스피커부
340: 제어부

Claims (32)

  1. 차량의 온도를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차량의 사운드를 증폭하는 앰프부;
    상기 앰프부에 연결되어 상기 증폭된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부; 그리고,
    상기 센싱부 및 앰프부에 통신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현재 온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센싱부를 제어하고, 상기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하며, 상기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이면 상기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스피커부의 온도가 상승하도록 상기 앰프부를 제어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의 내부 온도를 센싱하는 제1 온도 센서; 그리고,
    상기 차량의 스피커부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스피커부의 내부 온도를 센싱하는 제2 온도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할 때, 상기 제1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와 상기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하며, 상기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온도 이하이면 상기 제2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스피커부의 현재 내부 온도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스피커부의 현재 내부 온도와 상기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스피커부의 현재 내부 온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의 내부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할 때,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와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차량의 스피커부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스피커부의 내부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부의 내부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는,
    상기 스피커부의 에지 및 댐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피커부의 에지 및 댐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할 때,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스피커부의 현재 내부 온도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스피커부의 현재 내부 온도와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스피커부의 현재 내부 온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온도 센서는,
    상기 스피커부의 에지 및 댐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피커부의 에지 및 댐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9. 삭제
  10. 차량의 온도를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차량의 사운드를 증폭하는 앰프부;
    상기 앰프부에 연결되어 상기 증폭된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부; 그리고,
    상기 센싱부 및 앰프부에 통신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현재 온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센싱부를 제어하고, 상기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하며, 상기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이면 상기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스피커부의 온도가 상승하도록 상기 앰프부를 제어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의 내부 온도를 센싱하는 제1 온도 센서; 그리고,
    상기 차량의 스피커부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스피커부의 내부 온도를 센싱하는 제2 온도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할 때, 상기 제1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와 상기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차량의 현재 내부 온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하며,
    상기 앰프부를 제어할 때, 상기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2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스피커부의 현재 내부 온도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스피커부의 현재 내부 온도와 상기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스피커부의 현재 내부 온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온도 초과인지를 확인하며, 상기 스피커부의 현재 내부 온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온도 초과이면 상기 구동 신호의 인가를 종료하도록 상기 앰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 및 앰프부에 통신 연결되어 캔(CAN)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캔 통신에 의해 상기 센싱부로부터 차량의 현재 온도를 수신하며, 상기 캔 통신에 의해 상기 앰프부로 상기 스피커부의 구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현재 온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센싱부를 제어할 때, 상기 차량의 도어가 오픈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의 도어가 오픈되면 상기 차량의 현재 온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센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할 때, 상기 기준 온도가 상온으로 미리 설정되면 상기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상기 상온 이하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앰프부를 제어할 때, 상기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이면 상기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와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현재 온도와 상기 기준 온도 사이의 온도차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온도차에 상응하는 구동 주파수와 구동 시간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구동 주파수와 구동 시간을 토대로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스피커부에 인가하도록 상기 앰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온도와 상기 기준 온도 사이의 온도차에 상응하는 구동 주파수와 구동 시간을 포함하는 정보 테이블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온도차에 상응하는 구동 주파수와 구동 시간을 추출할 때, 상기 메모리부의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온도차에 상응하는 구동 주파수와 구동 시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간은,
    상기 온도차가 클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주파수는,
    상기 온도차가 클수록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18.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주파수는,
    가청 주파수 대역 이외의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부는,
    상기 스피커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앰프부로부터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열을 발생하는 보이스 코일;
    상기 보이스 코일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콘지;
    상기 콘지 및 프레임의 끝단 사이를 연결하는 에지; 그리고,
    상기 프레임과 보이스 코일 사이를 연결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부는,
    상기 보이스 코일에 열이 발생되면 상기 발생된 열을 상기 보이스 코일에 연결된 상기 댐퍼로 전달하고, 상기 보이스 코일에 연결된 콘지를 따라 상기 에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21.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부는,
    상기 댐퍼 및 에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댐퍼 및 에지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2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인지를 확인할 때, 상기 측정된 차량의 현재 온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이하가 아니면 상기 스피커부에 특정 주파수의 구동 신호 인가를 차단하도록 상기 앰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KR1020180091160A 2018-08-06 2018-08-06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과 그를 포함하는 차량 KR102524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160A KR102524292B1 (ko) 2018-08-06 2018-08-06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과 그를 포함하는 차량
US16/204,152 US10603981B2 (en) 2018-08-06 2018-11-29 Vehicular speaker temperature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vehicle including device
DE102018220815.8A DE102018220815A1 (de) 2018-08-06 2018-12-03 Fahrzeuglautsprecher-temperaturregelvorrichtung, regelverfahren derselben sowie fahrzeug, das die vorrichtung aufweist
CN201811497264.7A CN110809217B (zh) 2018-08-06 2018-12-07 车载扬声器温度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160A KR102524292B1 (ko) 2018-08-06 2018-08-06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과 그를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005A KR20200016005A (ko) 2020-02-14
KR102524292B1 true KR102524292B1 (ko) 2023-04-21

Family

ID=69168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160A KR102524292B1 (ko) 2018-08-06 2018-08-06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과 그를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03981B2 (ko)
KR (1) KR102524292B1 (ko)
CN (1) CN110809217B (ko)
DE (1) DE1020182208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55042B2 (ja) * 2019-02-22 2022-10-18 ホシデン株式会社 センサ制御装置
JP2021120264A (ja) * 2020-01-30 2021-08-19 ハーマ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取り外し可能なモジュラースピーカーシステム
KR102161669B1 (ko) * 2020-04-10 2020-10-05 주식회사 에이에스엘 라인어레이용 웨이브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스피커시스템
CN112911494B (zh) * 2021-01-11 2022-07-22 恒大新能源汽车投资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音频数据处理方法、装置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0841A (en) * 1975-05-23 1976-09-14 K.K. Fujita Shoten Speaker edge
JP4279962B2 (ja) 1999-12-28 2009-06-17 日本電音株式会社 スピーカシステム
JP3820131B2 (ja) 2001-10-15 2006-09-13 株式会社ケンウッド 環境変化対応のスピーカ装置
JP2003244788A (ja) 2002-02-14 2003-08-29 Nitto Denko Corp スピーカーエッジ材
CN2555057Y (zh) * 2002-07-22 2003-06-11 蔡洪光 超声波旋磁场效应经络仪
KR20090041585A (ko) * 2007-10-24 2009-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출력을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4937409B2 (ja) * 2008-03-28 2012-05-2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スピーカ用フレーム及び当該スピーカ用フレームを備えたスピーカ
CN101394688B (zh) * 2008-09-09 2012-05-09 南京大学 动圈扬声器功率压缩的无热阻预测方法
EP2357726B1 (en) * 2010-02-10 2016-07-06 Nxp B.V. System and method for adapting a loudspeaker signal
CN101877807B (zh) * 2010-06-18 2015-08-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扬声器及音源播放的方法
US8682020B2 (en) * 2011-10-05 2014-03-25 Apple Inc. Speaker magnet thermal management
CN202421914U (zh) * 2011-12-22 2012-09-05 深圳市赛格导航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音响
US9729986B2 (en) * 2012-11-07 2017-08-08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Protection of a speaker using temperature calibration
CN203435141U (zh) * 2013-08-23 2014-02-12 美特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扬声器
TWI592034B (zh) * 2014-03-14 2017-07-1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具溫度控制能力的音訊裝置及其控制方法
GB2526881B (en) 2014-06-06 2017-10-04 Cirrus Logic Int Semiconductor Ltd Temperature monitoring for loudspeakers
KR102064018B1 (ko) * 2014-11-04 2020-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피커 가열 장치 및 가열 방법
CN104505078A (zh) * 2014-12-30 2015-04-08 哈尔滨固泰电子有限责任公司 可适应宽度比变化的喇叭及喇叭声音的调整方法
CN104936122B (zh) * 2015-06-01 2018-01-02 歌尔股份有限公司 一种扬声器耐温极限的测试方法和系统
CA2904745A1 (en) * 2015-09-17 2017-03-17 David Honey-Jones Safety detection in sealed vehicle spaces
CN105228063A (zh) * 2015-09-23 2016-01-06 宁波东源音响器材有限公司 音响喇叭
JP6428548B2 (ja) * 2015-09-28 2018-11-28 トヨタ車体株式会社 エアコン稼働時の音演出装置
TWI584656B (zh) * 2015-11-03 2017-05-2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喇叭的過熱保護裝置
JP6288053B2 (ja) * 2015-11-27 2018-03-07 アンデン株式会社 車両接近通報装置
CN105509924B (zh) * 2015-12-18 2018-06-08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一研究所 一种非接触式超高温环境下温度参数提取方法
CN205336527U (zh) * 2016-01-25 2016-06-22 嘉善圣通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温度控制功能的扬声器
JP2017188634A (ja) 2016-04-04 2017-10-12 勝 瓜生 スピーカー用定温化装置
CN106210969A (zh) * 2016-08-31 2016-12-07 宁波艾思科汽车音响通讯有限公司 一种大巴车载音响
GB2563460B (en) * 2017-06-15 2021-07-14 Cirrus Logic Int Semiconductor Ltd Temperature monitoring for loudspeakers
EP3448059A1 (en) * 2017-08-22 2019-02-27 Nxp B.V. Audio processor with temperature adjus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8220815A1 (de) 2020-02-06
KR20200016005A (ko) 2020-02-14
CN110809217B (zh) 2021-11-19
US20200039320A1 (en) 2020-02-06
US10603981B2 (en) 2020-03-31
CN110809217A (zh) 202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4292B1 (ko) 차량용 스피커 온도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과 그를 포함하는 차량
KR101864478B1 (ko) 전기-음향 변환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9980068B2 (en) Method of estimating diaphragm excursion of a loudspeaker
KR100842618B1 (ko) 음악 파일 재생 방법 및 장치
US11600256B2 (en) Managing characteristics of active noise reduction
US20180190258A1 (en) Adaptations for active noise cancellation inside a vehicle
US10349195B1 (en) Constrained nonlinear parameter estimation for robust nonlinear loudspeaker modeling for the purpose of smart limiting
US20130077795A1 (en) Over-Excursion Protection for Loudspeakers
KR102452256B1 (ko) 실내 저-주파수 사운드 파워 최적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5515202A (ja) アクティブノイズキャンセリングと知覚雑音補償との組み合わせによりサウンド再生の知覚品質を改善する装置および方法
US11638094B2 (en) Techniques for howling detection
US10536774B2 (en) Constrained nonlinear parameter estimation for robust nonlinear loudspeaker modeling for the purpose of smart limiting
KR101756335B1 (ko) 층간 소음 저감이 가능한 소음 제어 장치
US20160192071A1 (en) Acoustic device, acoustic processing method, and acoustic processing program
EP3503582B1 (en) Constrained nonlinear parameter estimation for robust nonlinear loudspeaker modeling for the purpose of smart limiting
KR102137197B1 (ko) 차량의 음향 개선 장치
US7092536B1 (en) System for transducer compensation based on ambient conditions
EP3253077B1 (en) Method and system for simultaneously verifying amplitude and temperature parameters of electroacoustic conversion apparatus
WO2020143472A1 (en) Method for correcting acoustic properties of a loudspeaker, an audio device and an electronics device
KR101736992B1 (ko) 주행 중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778173B2 (en) Audio distortion compensation
US20230179917A1 (en) Sound control device of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3260102B2 (ja) 音響再生装置
KR20230059024A (ko) 스피커, 스피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신호 보상 방법
KR101153933B1 (ko)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의 스피커 출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