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940B1 - 광감각제가 접합된 장내분비세포 표적 고분자 물질 및 이의 대사질환 개선을 위한 의학적 용도 - Google Patents

광감각제가 접합된 장내분비세포 표적 고분자 물질 및 이의 대사질환 개선을 위한 의학적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940B1
KR102523940B1 KR1020200060885A KR20200060885A KR102523940B1 KR 102523940 B1 KR102523940 B1 KR 102523940B1 KR 1020200060885 A KR1020200060885 A KR 1020200060885A KR 20200060885 A KR20200060885 A KR 20200060885A KR 102523940 B1 KR102523940 B1 KR 102523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ne
cells
polyethylene glycol
peg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4090A (ko
Inventor
나건
이상희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60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940B1/ko
Priority to US17/926,496 priority patent/US20230181737A1/en
Priority to PCT/KR2021/002830 priority patent/WO2021235661A1/ko
Publication of KR20210144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61K41/0057Photodynamic therapy with a photosensitizer, i.e. agent able to produce reactive oxygen species upon exposure to light or radiation, e.g. UV or visible light; photocleavage of nucleic acids with an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61K41/0057Photodynamic therapy with a photosensitizer, i.e. agent able to produce reactive oxygen species upon exposure to light or radiation, e.g. UV or visible light; photocleavage of nucleic acids with an agent
    • A61K41/0071PDT with porphyrins having exactly 20 ring atoms, i.e. based on the non-expanded tetrapyrrolic ring system, e.g. bacteriochlorin, chlorin-e6, or phthalocyan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4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 A61K47/542Carboxylic acids, e.g. a fatty acid or an amino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5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5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 A61K47/6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oxyalkylene oligomer, polymer or dendrimer, e.g. PEG, PPG, PEO or polyglyc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6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saccharide or a derivative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Photodynamic therapy, i.e. excitation of an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Diabet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방산-생체적합성고분자-광감각제 컨쥬게이트(conjugate)에 관한 것으로 상기 컨쥬게이트는 광 조사에 의해 활성산소를 생성하여 GIP를 분비하는 세포를 사멸시킬 수 있고, 인슐린을 증가시키는 효능이 있으므로 비만, 당뇨와 같은 대사질환의 개선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감각제가 접합된 장내분비세포 표적 고분자 물질 및 이의 대사질환 개선을 위한 의학적 용도{ENTEROENDOCRINE CELL-TARGETED POLYMER MATERIAL CONJUGATED WITH PHOTOSENSITIZER AND MEDICAL USE FOR IMPROVING METABOLIC DISEASE THEREOF}
본 발명은 지방산-생체적합성고분자-광감각제 컨쥬게이트 및 상기 컨쥬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광역학 치료(photodynamic therapy, PDT)는 광민감성 소재인 광감각제(photosensitizer)를 이용한 의학적 치료방법이다. 광감각제는 특정 파장의 레이저를 조사하면 화학적 반응을 통해 주변에 있는 산소로 활성산소를 형성하고, 주변 세포에 산화 스트레스에 의한 일시적인 교란을 유도하거나 세포사멸을 일으킨다. 광감각제를 환자에게 투여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 암 조직에 선택적으로 축적되면 레이저를 조사하여 암세포 사멸을 유도할 수 있다. 기존의 광역학 치료는 종양 치료를 목적으로 주로 개발되었으나, 세포사멸 기작을 이용하여 종양세포를 비롯한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을 대상으로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질병의 대상도 넓어져 암 치료뿐만 아니라 피부, 눈, 바이러스, 대사질환 등 다양한 질병의 치료를 위한 응용이 이루어 지고 있다.
최근 식습관의 서구화와 생활 양식의 변화로 비만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 만 19세 이상 성인의 비만률은 2018년 기준 약 34.8%로, 고도 비만 인구는 2005년 3.5%, 2015년 5.3%에서 2030년에는 9.0%가 될 것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전망하였다. 이에 따라, 고도 비만에 대한 국민의 관심은 꾸준히 증가할 것이다. 비만의 위험성은 비만으로부터 발병될 수 있는 동반 질환이 매우 많다는 것이다. 초고도 비만 환자 및 대사질환을 동반하는 비만 환자는 식이요법 및 화학 약물만으로는 확실한 치료가 불가능하며, 이런 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해 비만 대사 수술(공장회장 우회술, 조절형 위밴드술, 루와이 위우회술, 췌담관 전환술, 위소매 절제술 등)이 1차적으로 권유된다. 비만 대사 수술은 2019년 1월 1일부터 건강보험이 적용됨에 따라 국내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장기의 구조를 인위적으로 바꾸는 수술인 만큼 수술 자체가 매우 침습적이고, 수술 후 장출혈, 혈전 생성, 영양장애 및 합병증에 의한 부작용이 막대하다. 따라서, 이를 대체할 만한 더욱 안전하고 간단한 치료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더불어, 최근 내시경 장치와 이의 부속 악세사리를 이용하여 질병 부위 진단술이 점차 발전하고 있다. 내시경을 통한 빛 전달은 질병 부위에 직접적인 접근을 할 수 있어 특정 부위의 암 진단 및 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광역학 치료와 접목되어 광감각제 자체의 형광 특성에 의해 종양의 위치를 가늠할 수 있고, 형광 부위에 레이저를 조사하면 활성산소의 생성으로 종양세포의 사멸을 기대할 수 있다. 이는 종양세포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장내 및 소화관 내에 존재하는 모든 세포들의 활성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비침습적이고 효과적인 비만 치료 방법을 연구한 결과, 비만 및 당뇨가 유도된 생쥐에 지방산-생체적합성고분자-광감각제 컨쥬게이트를 경구로 투여한 후 광을 조사하면 혈중 GIP 농도는 감소하고, 반대로 인슐린 농도는 상승하며, 체중과 지방 무게가 감소하여 비만 및 당뇨 상태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6829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지방산-생체적합성고분자-광감각제 컨쥬게이트 및 상기 컨쥬게이트를 이용한 비만, 당뇨와 같은 대사질환의 개선 및 치료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은 (a) 지방산; (b) 상기 지방산에 공유결합으로 연결된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c)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에 공유결합으로 연결된 광감각제를 포함하는 컨쥬게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공유결합은 아마이드 결합(amide bond), 카보닐 결합(carbonyl bond), 에스터 결합(ester bond), 황화 에스터 결합(thioester bond) 및 설폰 아마이드 결합(sulfonamide bon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컨쥬게이트는 지방산-생체적합성 고분자를 먼저 결합시킨 후 광감각제를 추가로 결합시키거나, 생체적합성 고분자-광감각제를 결합시키고 지방산을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아민기를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사용하여 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컨쥬게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하나의 아민기는 올레산의 카르복실기와 반응시키고, 다른 아민기는 클로린 e6의 카르복실기와 반응시켜 컨쥬게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방산은 올레산, 리놀레산, 팔미트산, 올레아미드, 올레오일에타놀아미드, 팔미토일에타놀아미드, 리놀레일에타놀아미드, 아이코세노익산, 아라키돈산, 리소포스파티딜세린, 리소포스파티드산 및 올레오일도파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올레산일 수 있다.
상기 지방산은 십이지장의 장내분비세포에 발현되는 GPR119 수용체를 통해 상기 컨쥬게이트가 장내분비세포에 흡수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컨쥬게이트는 K 세포와 같은 장내분비 세포(enteroendocrine cell)를 표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생체적합성 고분자(biocompatible polymer)"는 생체 내에 도입되어 염증 반응 및/또는 면역 반응과 같은 유해 반응을 유도하지 않는 물질을 의미하고, 생분해성 및 생체안정성 물질을 포함하며, 지방산과 광감각제를 결합시키는 연결체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콜 키토산, 플루란, 폴리에틸렌이민, 키토산, 키틴, 알긴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덱스트린, 펙틴, 폴리아닐린, 폴리(에틸렌글리콜)비스(2-아미노에틸), 폴리(N-비닐피롤리돈), 폴리-L-리신, 폴리(4-비닐피리딘/디비닐벤젠), 폴리(비닐아민)하이드로클로라이드, 폴리(2-비닐피리딘), 폴리(2-비닐피리딘 N-옥사이드), 폴리-ε-Cbz-L-리신, 폴리(2-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알릴 아민) 및 폴리(알릴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콜 키토산, 플루란 또는 폴리에틸렌이민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감각제는 클로린류 (chlorins), 박테리오클로린류 (bacteriochlorins), 포르피린류 (phorphyrins), 포르피센류 (porphycenes) 및 프탈로시아닌류 (phthalocyani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르피린류 광감각제로는 메조테트라 아미노페닐 포르피린, 아연프로토포르피린, 프로토포르피린, 헤마토포르피린이 사용될 수 있고, 프탈로시아닌류 광감각제로는 알루미늄 프탈로시아닌이 사용될 수 있으며, 클로린계 광감각제로는 클로린 e6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광감각제는 클로린 e6일 수 있다. 클로린 e6는 소수성 물질이나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와 공유결합으로 연결되어 친수성이 증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상기 컨쥬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대사질환(metabolic disease)은 체지방 증가, 혈압 상승, 혈당 상승, 혈중 지질 이상 등의 이상 상태들의 집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단일한 질병이 아니라 유전적 소인과 식습관 등의 환경적 인자가 더해져 발생하는 포괄적 질병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대사질환은 대사질환은 비만, 당뇨병, 지방간, 고지혈증 및 고혈당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만 또는 당뇨일 수 있다.
상기 "비만(obesity)"은 잉여 에너지가 체내에 지방세포의 양적, 수적 증가를 일으켜 지방조직이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를 의미한다. 비만 상태가 지속되면 생체내 대사 과정에 이상이 발생하여 인슐린 저항성, 제2형 당뇨병, 고지혈증, 지방간 또는 염증 중 하나 이상의 증상이 비만 상태와 함께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광조사에 의한 광역학 치료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만 및/또는 당뇨 치료가 필요한 대상에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한 후 광을 조사하면 장내분비세포로 흡수된 상기 컨쥬게이트가 활성산소를 생성하므로 장내분비세포를 사멸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비만 및 당뇨 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내시경적 광역학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만 및/또는 당뇨 치료가 필요한 대상에 내시경으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장관 내에 분사하고, 내시경으로 광을 조사하여 비만 및 당뇨 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 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로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다. 경구 투여의 목적으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정제, 캅셀제, 츄잉정, 분말제, 액제, 현탁제 등의 제제로 제형화하는 경우, 아라비아 고무, 옥수수 전분, 미세결정질 셀룰로오스 또는 젤라틴과 같은 결합제, 인산이칼슘 또는 락토스와 같은 부형제, 알긴산, 옥수수 전분 또는 감자 전분과 같은 붕해제, 스테아르산마그네슘과 같은 활택제, 슈크로스 또는 사카린과 같은 감미제 및 페퍼민트, 메틸 살리실산염 또는 과일향과 같은 향미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상기 지방산-생체적합성고분자-광감각제 컨쥬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학 조성물과 동일한 컨쥬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므로 상호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명세서의 과도한 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건강기능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도이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식품 등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 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스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건강기능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중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음료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며 건강기능음료를 포함하는 의도이다. 상기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지방산-생체적합성고분자-광감각제 컨쥬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의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기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 g일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방산-생체적합성고분자-광감각제 컨쥬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01 중량% 내지 99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02 g 내지 1000 g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비만 치료에 사용되는 고도비만 수술(예를 들어, 공장회장 우회술, 조절형 위밴드술, 루와이 위우회술, 췌담관 전환술, 위소매절제술 등) 및 십이지장 재표면술(라디오 주파수를 이용하여 비특이적으로 장내세포를 파괴시키는 치료법)은 해부학적 구조 변화로 인한 부작용 때문에 수술에 대한 큰 부담감이 있다. 고도비만 수술은 융합부에서의 혈전 생성, 음식물 유출 등과 같은 부작용이 있고, 십이지장 재표면술은 장 천공 문제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GIP를 분비하는 세포인 K 세포만 특이적으로 사멸할 수 있는 컨쥬게이트를 고안하고 이를 광역학 치료에 접목함으로써 비만 치료를 위한 최소 침습적 치료법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인크레틴 호르몬(GLP-1와 GIP로 구성됨) 중에 GIP 호르몬 조절을 주요 치료 타겟으로 정했다. 이는 기존 치료법이 비만 및 당뇨성 질환을 해결하기 위해 GLP-1 조절을 타겟으로 한 것과 다른 방향성을 지니고 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기존의 비만 치료법은 인슐린 분비에 중점적으로 관여하는 GLP-1의 체내 농도를 높이기 위하여 GLP-1의 유사체를 체외에서 주입해 주거나 GLP-1을 분해하는 효소인 DPP-4의 활성을 억제하는 약물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 치료법은 내성이 생겨 시간이 흐를수록 점점 높은 농도의 약물을 사용해야 하며, 반복될 시 나중에는 고용량에서도 효과가 없는 사태가 발생하여 근본적인 치료법이 될 수 없다. 따라서, 근본적인 치료법으로 GIP를 분비하는 K 세포가 받는 자극을 줄이고 GLP-1을 분비하는 L 세포가 받을 수 있는 자극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위치적인 조건에 의해 기름진 음식물에 더 많이 그리고 더 빨리 활성화되어 GIP 분비량이 많아지는데, K 세포 사멸을 통해 이 원리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방산-생체적합성고분자-광감각제 컨쥬게이트는 십이지장에 분포하는 장내분비세포인 K 세포를 표적할 수 있고, 광 조사에 의해 활성산소를 생성하여 GIP를 분비하는 K 세포를 사멸시킬 수 있다. 상기 GIP 호르몬은 비만 및 당뇨 환자에서 지방 축적 및 인슐린 분비의 감소를 유도하므로 GIP 호르몬을 분비하는 K 세포의 사멸은 비만 및 당뇨 상태를 개선하며, 따라서 상기 컨쥬게이트는 비만, 당뇨와 같은 대사질환의 개선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제조한 장내분비세포 표적 컨쥬게이트의 작용 기작 및 응용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제조한 장내분비세포 표적 고분자 물질인 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의 화학적 모식도와 이의 접합을 확인한 1H-NMR 스펙트럼 결과이다.
도 3은 올레산의 접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PC)와 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OPC)의 분자량을 각각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제조한 장내분비세포 표적 고분자 물질인 올레산-글리콜 키토산-클로린 e6의 화학적 모식도와 이의 접합을 확인한 1H-NMR 스펙트럼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제조한 장내분비세포 표적 고분자 물질인 올레산-플루란-클로린 e6의 화학적 모식도와 이의 접합을 확인한 1H-NMR 스펙트럼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제조한 장내분비세포 표적 고분자 물질인 올레산-폴리에틸렌이민-클로린 e6의 화학적 모식도와 이의 접합을 확인한 1H-NMR 스펙트럼 결과이다.
도 7은 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의 레이저 조사 세기에 따른 일항 산소 생성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회색 라인은 클로린 e6 (free Ce 6), 적색 라인은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PC)이고, 청색 라인은 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OA-PEG-Ce6, OPC)이다.
도 8에서 A는 인간 십이지장 세포(HUTU-80)에 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OA-PEG-Ce6, OPC)를 처리한 후 세포 내 축적 정도를 확인한 결과이고, B는 올레산-폴리엔틸렌클리콜-클로린 e6와 폴리엔틸렌클리콜-클로린 e6를 인간 십이지장 세포(HUTU-80)와 개 신장 세포(MDCK)에 처리한 후 세포 내 분포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9는 인간 십이지장 세포(HUTU-80)에 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OA-PEG-Ce6, OPC)에 처리한 후 레이저의 조사 세기에 따른 일항 산소의 생성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0은 인간 십이지장 세포(HUTU-80)와 개 신장 세포(MDCK)에 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OA-PEG-Ce6, OPC)를 처리한 후 세포독성 및 레이저 조사에 따른 광독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1은 인간 십이지장 세포(HUTU-80)에 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과 과량의 올레산을 동시에 처리한 후 세포 내 유입 정도를 분석하여 경쟁적 저해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2는 HEK-293 세포에 GPR119 수용체를 발현시켜 K 세포 유사 세포모델을 구현하고, 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를 처리하여 GPR119의 발현량에 따른 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의 세포 내 분포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3은 비만 및 당뇨 생쥐 모델에 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OPC)를 경구투여한 후 십이지장에 축적된 정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4는 비만 및 당뇨 생쥐 모델에 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OPC)를 경구투여한 후 레이저를 조사하고, 십이지장의 장내분비세포를 적출하여 GIP 양이 변화하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5는 비만 및 당뇨 생쥐 모델에 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OPC)를 경구투여한 후 레이저를 조사하여 광역학 치료를 수행하고, 22일 뒤에 생쥐의 몸무게 및 지방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6은 비만 및 당뇨 생쥐 모델에 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OPC)를 경구투여한 후 레이저를 조사하여 광역학 치료를 수행하고, 22일 뒤에 생쥐의 혈장에서 GIP 농도, 인슐린 농도를 분석한 결과이다.
이하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광감각제를 포함하는 장내분비세포 표적 물질 제조
1-1.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연결체로 하는 광감각제 제조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민(polyethylene glycol diamine, PEG Mw 2 kDa)에 아마이드 결합(amide bond)을 통해 클로린 e6 (Chlorin e6, Ce6)을 결합하기 위해 DCC/NHS 촉매반응을 이용하였다. Ce6 177.7 ㎎, N-N'-다이사이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dicyclohexycarbodiimide, DCC) 74.3 ㎎,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N-Hydroxysuccinimide NHS) 41.4 ㎎을 디메틸포름아마이드 (dimethyformamide, DMF) 2 ㎖에 녹이고 교반하였다. 4시간 후, 폴리에틸렌글리콜 500 ㎎을 별도의 디메틸포름아미드 10 ㎖에 녹여 준비하고, 미리 활성화시킨 클로린 e6 용액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사용했던 용매 및 촉매를 제거하기 위해 투석막(Spectra/Por; molecular weight cutoff size 3500 Da)을 사용하여 반응물을 3일 동안 1차 증류수로 투석하였다. 투석 후 반응물을 동결건조시켜 분말 형태로 회수하였다.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양쪽 말단에 아민기가 존재하는데, 이 중 한쪽 아민기에만 클로린 e6가 접합된 물질만을 획득하기 위해 세파덱스 LH20 소수성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으로 정제하였다. 상기 동결건조된 분말은 메탄올에 녹여 컬럼에 주입하였고, 이동상은 50% 메탄올(5:5 메탄올:물, 유속; 0.5 ㎖/min)을 이용하여 중력에 의해 흘러내리도록 하였다. 나누어진 구획에서 하나의 클로린 e6가 접합된 구획을 회수하여 회전증발농축기로 메탄올을 제거하고 동결건조시켜 물을 제거하였다. 이후 핵자기공명스펙트럼(1H-NMR) 분석으로 클로린 e6의 접합 여부를 확인하였다.
합성된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PEG-Ce6)에 올레산(oleic acid, OA)을 접합시키기 위해 먼저 올레산을 활성화시켰다. 올레산 22.6 ㎎, N-N'-다이사이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DCC) 19.8 ㎎,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NHS) 11 ㎎을 디메틸설폭시드(dimethyl sulfoxide, DMSO) 2 ㎖에 녹여 교반하였다. 4시간 후,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100 ㎎을 디메틸설폭시드 용액에 녹이고, 앞서 활성화시킨 올레산 용액과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투석막(Spectra/Por; molecular weight cutoff size 3500 Da)을 이용하여 반응물을 4일 동안 1차 증류수로 투석하였다. 투석 후 반응물을 동결건조시켜 분말 형태로 회수하고, 핵자기공명스펙트럼(1H-NMR) 분석으로 올레산의 접합 여부를 확인하였다(도 2). 또한, 올레산의 접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PC)와 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OPC)의 분자량을 MALDI TOF voyager DE-STR (Matrix-associa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er)(Applied Biosystem, USA)로 확인하였다(도 3).
1-2. 글리콜 키토산을 연결체로 하는 광감각제 제조
올레산-글리콜키토산-클로린e6를 합성하기 위해 DCC/NHS 촉매반응을 이용하여 글리콜 키토산(glycol chitosan)에 클로린 e6(Chlorin e6, Ce6)를 아마이드 결합(amide bond)으로 먼저 접합시켰다. 구체적으로 Ce6 14.5 ㎎, N-N'-다이사이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DCC) 6 ㎎,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NHS) 3.4 ㎎을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 ㎖에 녹여 교반하였다. 4시간 후, 글리콜키토산 50 ㎎이 용해된 정제수 9 ㎖에 미리 활성화시킨 클로린 e6 용액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사용했던 용매 및 촉매 제거를 위해 투석막(Spectra/Por; molecular weight cutoff size 3500 Da)을 이용하여 반응물을 3일 동안 1차 증류수로 투석하였다. 투석 후 반응물을 동결건조시켜 분말 형태로 회수하였다.
글리콜키토산-클로린 e6 30 ㎎, 올레산 46.17 ㎕, N-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디이미드하이드로클로라이드(N-(3-Dimethylaminopropyl)-N'-ethylcarbodiimide hydrochloride, EDC) 36.2 ㎎ 및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NHS) 20.2 ㎎을 디메틸설폭사이드:정제수(1:1) 6 ㎖에 녹여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사용했던 용매 및 촉매 제거를 위해 투석막(Spectra/Por; molecular weight cutoff size 3500 Da)을 이용하여 반응물을 3일 동안 1차 증류수로 투석하였다. 투석 후 반응물을 동결건조시켜 분말 형태로 회수하고, 핵자기공명스펙트럼(1H-NMR) 분석으로 올레산의 접합 여부를 확인하였다(도 4).
1-3. 플루란을 연결체로 하는 광감각제 제조
플루란 (Pullulan, Mw 100 kDa)에 에스터 결합(ester bond)으로 올레산 (oleic acid, OA)을 결합시키기 위해 DMAP/DCC 촉매반응을 이용하였다. 플루란 200 ㎎, 올레산 165.2 ㎎, N-N'-다이사이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DCC) 144.8 ㎎, 4-디메틸아미노피리딘(4-Dimethylaminopyridine) 7.1 ㎎을 디메틸설폭시드(DMSO) 10 ㎖에 첨가하여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정제를 위해 디에틸에테르 (diethylether) 50 ㎖에 결정화시키고, 침전물 이외의 상층액을 버리고 다시 디에틸에테르를 넣어 재결정 시키는 과정을 3번 반복하여 미반응물과 부산물을 제거하였다. 결과물을 감압 건조시켜 분말 형태로 회수하고, 핵자기공명스펙트럼(1H-NMR) 분석으로 올레산의 접합 여부를 확인하였다.
올레산-플루란 100 ㎎, 클로린 e6 64.8 ㎎, N-N'-다이사이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DCC) 26.9 ㎎, 4-디메틸아미노피리딘(4-Dimethylaminopyridine) 1.3 ㎎을 디메틸설폭시드 (DMSO) 10 ㎖에 녹여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정제를 위해 디에틸에테르 50 ㎖에 결정화시키고, 침전물 이외의 상층액을 버리고 다시 디에틸에테르를 넣어 재결정시키는 과정을 3번 반복하여 미반응물과 부산물을 제거하였다. 결과물을 감압 건조시켜 분말 형태로 회수하고, 핵자기공명스펙트럼(1H-NMR) 분석으로 클로린 e6의 접합 여부를 확인하였다(도 5).
1-4. 폴리에틸렌이민을 연결체로 하는 광감각제 제조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 branched Mw 1800 D)에 아마이드 결합(amide bond)으로 올레산(Oleic acid, OA)을 결합시키기 위해 DCC/NHS 촉매반응을 이용하였다. 올레산 2 ㎖, N-N'-다이사이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DCC) 1.570 g,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NHS) 0.8758 g을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5 ㎖에 녹여 교반하였다. 4시간 후, 폴리에틸렌이민 1 g을 디메틸설폭사이드 10 ㎖에 녹여 준비하고, 미리 활성화시킨 올레산 용액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4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올레산-폴리에틸렌이민에 아마이드 결합(amide bond)으로 클로린 e6를 결합시키기 위해 DCC/NHS 촉매반응을 이용하였다. Ce6 135.56 ㎎, N-N'-다이사이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DCC) 56.25 ㎎ 및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NHS) 31.38 ㎎을 디메틸설폭사이드 5 ㎖에 녹여 교반하였다. 4시간 후, 올레산-폴리에틸렌이민 100 ㎎을 디메틸설폭사이드 5 ㎖에 녹이고, 앞서 활성화시킨 클로린 e6와 4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정제를 위해 투석막 (Spectra/Por; molecular weight cutoff size 3500 Da)을 이용하여 반응물을 4일 동안 1차 증류수로 투석하였다. 투석 후 동결건조시켜 반응물을 분말 형태로 회수하고, 핵자기공명스펙트럼(1H-NMR) 분석로 접합 여부를 확인하였다(도 6).
실험예 1: 장내분비세포 표적화 고분자의 활성산소 형성능 평가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장내분비세포 표적화 고분자(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이하 OA-PEG-Ce6 또는 OPC로 기재함)의 일항 산소(singlet oxygen) 형성능을 하기와 같이 확인하였다.
일항 산소와 직접적으로 반응하는 형광 탐지 물질인 일항 산소 센서 그린(singlet oxygen sensor green, SOSG)를 수상에 분산시키고, 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5 ㎍/㎖)를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비교예로는 클로린 e6 (5 ㎍/㎖)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5 ㎍/㎖)를 사용하였다. OA-PEG-Ce6와 SOSG가 수상에서 공존할 때 레이저(670 ㎚)를 조사(4 J/㎠, 20 mW/㎠, 200초)하고, RF 분석기로 형광 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OA-PEG-Ce6의 활성산소 형성능은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PC)와 유사한 것을 알 수 있었고, 클로린 e6 (free Ce6)는 활성산소를 거의 형성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7).
상기 결과로부터 클로린 e6는 강한 소수성 성질로 인해 수상에서 분산되지 못하여 활성산소를 형성하지 못하나,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및 올레산-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는 친수성 고분자 도입으로 인해 친수성이 증가하여 물에 잘 분산되고, 이로 인해 일항 산소 형성능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장내분비세포 표적화 고분자의 세포 내 함입률 확인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OA-PEG-Ce6가 세포 내로 유입되는지 여부, 특히 십이지장 세포에 특이적으로 많이 유입되는지 확인하였다.
사람 십이지장 세포(HUTU-80)를 1x105 세포/웰의 농도로 2 ㎖씩 6 웰 세포배양 접시에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OA-PEG-Ce6와 비교군인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을 2 ㎍/㎖(클로린 e6 기준) 농도로 각각 1시간, 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DPBS로 세포를 3번 세척하고 세포를 회수하여 유세포분석기(Flow cytometer, BD FACSCanto II)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PC)과 비교하여 OA-PEG-Ce6 (OPC)가 세포에 더 많이 흡수되고, 처리 시간이 길수록 더 많이 흡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8의 A).
사람 십이지장 세포(HUTU-80)와 개과 신장 상피세포(MDCK)에 OA-PEG-Ce6와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을 2 ㎍/㎖(클로린 e6 기준) 농도로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DPBS로 세포를 3번 세척하고,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 (paraformaldehyde)로 고정시킨 후 4℃로 세포핵을 염색하였다. 이후 공초점 현미경(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CLSM)으로 이미지를 확인하였다.
확인 결과, 표적 물질이 없는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PC)보다 OA-PEG-Ce6 (OPC)가 세포 내로 더 많이 함입되고, 개과 신장 상피세포(MDCK)보다 사람 십이지장 세포(HUTU-80)에 더 많이 함입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공초점 현미경으로 관찰한 이미지에서 파란색은 세포핵을 나타내고, 빨간색은 세포 내로 함입된 클로린 e6을 나타낸다(도 8의 B).
실험예 3: 장내분비세포 표적화 고분자의 세포 내 활성산소 형성능 평가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OA-PEG-Ce6가 세포 내에 함입된 후 광원을 조사하였을 때 효과적으로 활성산소를 형성하고, 세포사멸을 유도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유리 글라스가 들어있는 6 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사람 십이지장 세포(HUTU-80)를 1x105 세포/웰의 농도로 2 ㎖씩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OA-PEG-Ce6을 2 ㎍/㎖(클로린 e6 기준) 농도로 2시간 동안 처리하고, DPBS로 세포를 3번 세척하였다. DPBS에 희석된 DCFDA를 세포에 처리하여 30분 동안 배양하고, DPBS로 추가로 3번 세척하였다. 여기에 광원을 0, 0.5, 1 및 1.5 J/㎠ 세기로 조사하여 세포 내에 함입되어 있는 DCFDA와 일항 산소의 반응을 유도하였다. 상기 두 물질이 반응하면 형광이 나타난다. 이후,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로 세포를 고정시키고, DAPI로 세포핵을 염색하여 공초점 현미경으로 이미지를 확인하였다.
확인 결과, 광원을 강하게 조사할수록 OA-PEG-Ce6가 많은 양의 활성산소를 생성하여 형광 강도(초록 형광)가 강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9). 이 결과는 세포에 OA-PEG-Ce6를 처리하고 광원을 조사하면 활성산소에 의해 세포사멸을 유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4: 장내분비세포 표적화 고분자의 세포 독성 확인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OA-PEG-Ce6가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 범위, 레이저를 조사하였을 때 광독성을 나타내는 농도 범위를 비교하여 광역학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96 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사람 십이지장 세포(HUTU-80)와 개과 신장 세포(MDCK)를 1x104 세포/웰의 농도로 0.2 ㎖씩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다음날 각 웰에 OA-PEG-Ce6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를 0.25 내지 10 ㎍/㎖ (클로린 e6 기준) 농도로 처리하고, 광원 비조사군 및 광원 조사군 (671 ㎚ 파장의 레이저를 2 J/㎠ 세기로 조사)으로 나누어 해당 처리를 하였다. 이후, MTT 시험법으로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확인 결과, 광원 비조사군에서 개과 신장 세포(MDCK)는 세포 생존율에 변화가 없어 OA-PEG-Ce6 및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모두 세포 독성이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10의 B에서 PC 및 OPC). 반면, 사람 십이지장 세포(HUTU-80)는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처리에 의해서는 세포 생존율에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도 10의 A에서 PC), OA-PEG-Ce6를 처리하면 2.5 ㎍/㎖ 이상의 농도에서 세포 생존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0의 A에서 OPC).
광원 조사군의 경우, 개과 신장 세포(MDCK)는 OA-PEG-Ce6 및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모두 처리 농도가 2.5 ㎍/㎖ 이상이면 세포 생존율이 현저히 감소하였다(도 10의 B에서 PCL 및 OPCL). 십이지장 세포인 HUTU-80에서는 OA-PEG-Ce6는 처리 농도 0.5 ㎍/㎖ 이상,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는 처리 농도 2.5 ㎍/㎖ 이상부터 세포 생존율이 감소하였다(도 10의 A에서 PCL 및 OPCL).
상기 결과로부터 OA-PEG-Ce6에 광원을 조사하면 인간 십이지장 세포(HUTU-80)에서 더 많은 독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광원을 조사하지 않으면 OA-PEG-Ce6와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모두 유의미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올레산의 존재로 십이지장 특이적인 세포사멸을 유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장내분비세포 표적화 고분자의 지방산 존재에 의한 경쟁적 저해 효과 확인
OA-PEG-Ce6의 십이지장 세포 표적화 능력이 지방산에 의한 것인지 경쟁적 저해 실험으로 확인하였다.
6 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사람 십이지장 세포(HUTU-80)를 1x105 세포/웰의 농도로 2 ㎖씩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올레일에탄올아민(oleylethanolamine) 0.10 내지 10.00 ㎎/㎖과 OA-PEG-Ce6 10 ㎍/㎖ (클로린 e6 기준)을 같이 처리하여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DPBS로 세포를 3회 세척하고 세포를 회수하여 유세포분석기(Flow cytometer, BD FACSCanto II)로 분석하였다.
유세포 분석기의 형광강도를 정량 분석한 결과, 올레일에탄올아민의 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OA-PEG-Ce6의 형광강도가 더 낮게 나타나 세포 내 함입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OA-PEG-Ce6의 십이지장 세포 함입 능력은 지방산에 의한 것임을 의미한다(도 11).
실험예 6: 장내분비세포 표적화 고분자의 수용체 발현양에 따른 지방산 인식능 확인
OA-PEG-Ce6의 장내분비세포 표적능이 어떠한 기작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지방산을 인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수용체인 GPR119(G protein-coupled receptor 119)를 발현하는 사람 태아 신장세포(HEK-293)를 제작하였다.
HEK-293 세포를 6 웰 플레이트에 3Х105 세포/웰의 농도로 각 웰에 2 ㎖씩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무혈청 배지에 GPR119 발현벡터(0, 4 및 8 ㎍)와 폴리에틸렌이민(PEI)을 첨가하고, 복합체를 이루도록 30분 동안 혼합한 뒤 각각의 세포에 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소 혈청이 포함된 배지로 교체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GPR119가 발현되도록 하였다. GPR119의 발현 여부는 웨스턴 블롯팅으로 확인하였다.
GPR119를 발현하는 HEK-293 세포에 OA-PEG-Ce6 및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을 2 ㎍/㎖(클로린 e6 기준) 농도로 각각 1시간, 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DPBS로 세포를 3번 세척하고 세포를 회수하여 유세포분석기(Flow cytometer, BD FACSCanto II)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GPR119의 DNA 처리량이 증가할수록 GPR119의 발현이 증가했기 때문에 OA-PEG-Ce6의 세포내 축적율이 일부 증가하여 서브 피크(sub-peak)의 면적 또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서브 피크의 형광 광도를 막대 그래프로 환산한 결과 또한, DNA 8 ㎍ 처리군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도 12). 이 결과로부터 OA-PEG-Ce6의 장내분비세포 표적능은 세포에 발현된 지방 인식 수용체(예, GPR 119)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7: 장내분비세포 표적화 고분자의 호르몬 조절능력 확인
생쥐 C57BL6에 고지방식이를 8주 동안 공급하여 비만 및 당뇨 상태를 유도하고, 대조군(PBS), 광원 조사군(Laser),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복용군(PC),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e6 복용+광원 조사군(PCL), OA-PEG-Ce6 복용군(OPC) 및 OA-PEG-Ce6+광원 조사군(OPCL)으로 나누었다. 각 그룹에 처리 물질을 10 ㎎/㎏ (클로린 e6 기준)의 농도로 경구 복용시키고, 30분 후에 내시경적 접근을 위해 카테터를 주입하고 입을 통해 레이저를 조사하였다. 이후, 생쥐의 십이지장을 적출하여 내분비 세포를 분리하고,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로 고정한 후 항체의 투과를 돕기 위해 Triton X-100을 15분 동안 처리하였다. 세포에 1% BSA(Bovine serum albumin)을 결합시키고, 1차 항체인 GIP(gastric inhibitory peptide) 항체(1:200; ab22624, Abcam)를 2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세포를 DPBS로 3번 세척하고 2차 항체인 anti-rabbit IgG-FITC (1:200; A120-101D2, Bethyl)를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유세포 분석기(Flow cytometer, BD FACSCanto II)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사료를 섭취한 정상군(chow fat diet, CFD)에서 GIP 수치가 가장 낮았고, 비만을 유도한 대조군(PBS)에서는 높은 수준의 GIP가 검출되었다. 그러나 OA-PEG-Ce6+광원 조사군(OPCL)은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의 GIP 수치가 나타났다(도 14).
한편, 상기 적출한 십이지장에서 광감각제가 축적된 정도를 형광영상장치 (Fluorescence-labeled organism bioimaging instrument, Neo science)로 확인하고 각 조직의 형광 강도를 그래프로 나타냈다.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복용군(PC)과 OA-PEG-Ce6 복용군(OPC)에서 광감각제가 축적된 정도를 확인한 결과, OA-PEG-Ce6 복용군(OPC)에서 현저하게 많이 축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3).
상기 결과는 비만 및 당뇨 생쥐 모델에 OA-PEG-Ce6를 투여하고 광역학 치료를 수행하면 십이지장의 장내분비세포인 K세포의 사멸로 GIP 분비를 낮출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8: 장내분비세포 표적화 고분자의 비만 개선 효과 확인
생쥐 C57BL6에 고지방식이를 8주 동안 공급하여 비만 및 당뇨 상태를 유도하고, 대조군(PBS), 광원 조사군(Laser),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복용군(PC),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e6 복용+광원 조사군(PCL), OA-PEG-Ce6 복용군(OPC) 및 OA-PEG-Ce6+광원 조사군(OPCL)으로 나누었다. 각 그룹에 처리 물질을 10 ㎎/㎏ (클로린 e6 기준)의 농도로 경구 복용시키고, 30분 후에 내시경적 접근을 위해 카테터를 주입하고 입을 통해 레이저를 조사하였다 (0.7 J/㎠ (23.33 mW/㎠, 30초)). 4일 뒤에 같은 방법으로 광역학 치료를 한 번 더 실시하고, 이후 22일 동안 몸무게와 지방량의 변화를 격일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실험 마지막 날의 몸무게와 지방량을 광역학 치료를 실행하기 전의 몸무게와 지방량으로 나눈 후 백분율로 환산하여 막대그래프로 나타냈다. 지방량은 EchoMRI-500(Echo MRI, Houston, TX)로 측정했다.
확인 결과, 몸무게는 대조군(PBS) 98.3%, 광원 조사군(Laser) 92.9%,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복용군(PC) 93.1%,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e6 복용+광원 조사군(PCL) 90.1%, OA-PEG-Ce6 복용군(OPC) 91.1%, OA-PEG-Ce6+광원 조사군(OPCL) 83.6%로 나타나 OA-PEG-Ce6+광원 조사군(OPCL)에서 가장 많은 체중 감소를 보였다(도 15).
지방량의 경우 대조군(PBS) 65.2%, 광원 조사군(Laser) 69.4%,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복용군(PC) 68.4%,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e6 복용+광원 조사군(PCL) 60.0%, OA-PEG-Ce6 복용군(OPC) 62.8%, OA-PEG-Ce6+광원 조사군(OPCL) 47.2%로 나타나 OA-PEG-Ce6+광원 조사군(OPCL)에서 가장 많은 지방량 감소를 보였다(도 15).
상기 결과는 비만 및 당뇨 생쥐 모델에 OA-PEG-Ce6를 투여하고 광역학 치료를 수행하면 장내분비세포의 일종인 K 세포의 사멸로 GIP의 분비가 감소하므로 체중 감소 및 지방량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9: 장내분비세포 표적화 고분자의 당뇨 개선효과 확인
생쥐 C57BL6에 고지방식이를 8주 동안 공급하여 비만 및 당뇨 상태를 유도하고, 대조군(PBS), 광원 조사군(Laser),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복용군(PC),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e6 복용+광원 조사군(PCL), OA-PEG-Ce6 복용군(OPC) 및 OA-PEG-Ce6+광원 조사군(OPCL)으로 나누었다. 각 그룹에 처리 물질을 10 ㎎/㎏ (클로린 e6 기준)의 농도로 경구 복용시키고, 30분 후에 내시경적 접근을 위해 카테터를 주입하고 입을 통해 레이저를 조사하였다 (0.7 J/㎠ (23.33 mW/㎠, 30초). 4일 뒤에 같은 방법으로 광역학 치료를 한 번 더 실시하고, 22일 후에 생쥐의 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액에서 혈장을 분리하여 효소면역분석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으로 GIP(Merk Millipore, USA), 인슐린(anti-insulin+pro insulin antibody(10 ㎍/㎖, ab8304, Abcam) 및 anti-insulin+pro insulin antibody (Biotin, 5 ㎍/㎖, ab20756, Acam))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GIP의 경우 대조군(PBS)은 271.3 pg/㎖, 광원 조사군(Laser)은 377.6 pg/㎖,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복용군(PC) 289.1 pg/㎖,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e6 복용+광원 조사군(PCL) 339.6 pg/㎖, OA-PEG-Ce6 복용군(OPC) 435.5 pg/㎖, OA-PEG-Ce6+광원 조사군(OPCL) 177.7 pg/㎖로 나타나 OA-PEG-Ce6+광원 조사군(OPCL)에서 가장 낮은 GIP 농도가 검출되었다(도 16).
인슐린의 경우 대조군(PBS)은 265.5 pg/㎖, 광원 조사군(Laser)은 414.3 pg/㎖,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 e6 복용군(PC) 304.3 pg/㎖, 폴리에틸렌글리콜-클로린e6 복용+광원 조사군(PCL) 374.3 pg/㎖, OA-PEG-Ce6 복용군(OPC) 210.5 pg/㎖, OA-PEG-Ce6+광원 조사군(OPCL)은 758.0 pg/㎖로 나타나 OA-PEG-Ce6+광원 조사군(OPCL)에서 가장 높은 인슐린 농도가 검출되었다(도 16).
상기 결과는 비만 및 당뇨 생쥐 모델에 OA-PEG-Ce6를 투여하고 광역학 치료를 수행하면 K 세포의 사멸로 GIP의 분비가 감소하므로 인슐린 증가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Claims (11)

  1. 하기 컨쥬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광조사에 의한 광역학 치료용으로 사용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 올레산;
    (b) 상기 올레산에 공유결합으로 연결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c)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에 공유결합으로 연결된 클로린 e6를 포함하는 컨쥬게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결합은 아마이드 결합(amide bond), 카보닐 결합(carbonyl bond), 에스터 결합(ester bond), 황화 에스터 결합(thioester bond) 및 설폰 아마이드 결합(sulfonamide bon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쥬게이트는 장내분비 세포를 표적하는 것인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질환은 비만, 당뇨병, 지방간, 고지혈증 및 고혈당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삭제
  11. 삭제
KR1020200060885A 2020-05-21 2020-05-21 광감각제가 접합된 장내분비세포 표적 고분자 물질 및 이의 대사질환 개선을 위한 의학적 용도 KR102523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885A KR102523940B1 (ko) 2020-05-21 2020-05-21 광감각제가 접합된 장내분비세포 표적 고분자 물질 및 이의 대사질환 개선을 위한 의학적 용도
US17/926,496 US20230181737A1 (en) 2020-05-21 2021-03-08 Enteroendocrine cell-targeting polymer substance conjugated with photosensitizer, and medical use thereof for ameliorating metabolic disease
PCT/KR2021/002830 WO2021235661A1 (ko) 2020-05-21 2021-03-08 광감각제가 접합된 장내분비세포 표적 고분자 물질 및 이의 대사질환 개선을 위한 의학적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885A KR102523940B1 (ko) 2020-05-21 2020-05-21 광감각제가 접합된 장내분비세포 표적 고분자 물질 및 이의 대사질환 개선을 위한 의학적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090A KR20210144090A (ko) 2021-11-30
KR102523940B1 true KR102523940B1 (ko) 2023-04-20

Family

ID=78707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885A KR102523940B1 (ko) 2020-05-21 2020-05-21 광감각제가 접합된 장내분비세포 표적 고분자 물질 및 이의 대사질환 개선을 위한 의학적 용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81737A1 (ko)
KR (1) KR102523940B1 (ko)
WO (1) WO202123566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403B1 (ko) * 2010-01-20 2014-06-11 주식회사 진코스 클로린 유도체와 불포화 지방산의 접합체, 이를 함유하는 광감작제, 및 이를 포함하는 광역학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암 치료용 조성물
KR102112819B1 (ko) 2017-12-11 2020-05-19 동성제약주식회사 트리소듐 클로린 e6 광민감제를 이용하여 고지방식으로 유도된 비만과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85455A1 (en) * 2003-10-16 2005-04-21 Light Sciences Corporation Photodynamic therapy for local adipocyte reduction
KR101452819B1 (ko) * 2012-11-01 2014-10-23 국립암센터 환원제 반응형 이황화물 연결자 함유 고분자-광감각제 결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형광 영상 진단 및 광역학 치료용 조성물
KR102068299B1 (ko) 2018-12-21 2020-01-20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Cyp4a 저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403B1 (ko) * 2010-01-20 2014-06-11 주식회사 진코스 클로린 유도체와 불포화 지방산의 접합체, 이를 함유하는 광감작제, 및 이를 포함하는 광역학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암 치료용 조성물
KR102112819B1 (ko) 2017-12-11 2020-05-19 동성제약주식회사 트리소듐 클로린 e6 광민감제를 이용하여 고지방식으로 유도된 비만과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materials Research. 2020. Vol. 24, Article 1.*
Journal of Photochemistry and Photobiology B: Biology. 2013. Vol.127, pp.28-3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090A (ko) 2021-11-30
WO2021235661A1 (ko) 2021-11-25
US20230181737A1 (en)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1485B2 (ja) 薬理活性物質と粘膜粘着性高分子とが共有結合されたコンジュゲートの経粘膜投与に使用するための経粘膜投与剤
AU2013279748B2 (en) Conjugate of a photosensitiser and chitosan and uses thereof
Wu et al. Apamin-mediated actively targeted drug delivery for treatment of spinal cord injury: more than just a concept
US10898577B2 (en) Conjugate of ginsenoside compound K and glycol chitosan and an anti-tumor use thereof
CN102895670A (zh) 水溶性分子靶向卟吩光敏剂及其制备方法
Hao et al. Reactive oxygen species-responsive polypeptide drug delivery system targeted activated hepatic stellate cells to ameliorate liver fibrosis
Cui et al. Engineering milk-derived exosome for enhancing cellular astaxanthin delivery
Han et al. Combining doxorubicin-conjugated polymeric nanoparticles and 5-aminolevulinic acid for enhancing radiotherapy against lung cancer
KR101165760B1 (ko) 고분자형 암치료용 의약 및 그 제조 방법
KR102523940B1 (ko) 광감각제가 접합된 장내분비세포 표적 고분자 물질 및 이의 대사질환 개선을 위한 의학적 용도
KR102249213B1 (ko)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생체적합성 고분자-글리시리진 컨쥬게이트
KR20150011568A (ko) 효소 민감성 폴리아미노산과 접합된 광응답제 또는 소광제 및 광역학 치료를 위한 소수성 약물 봉입 나노입자
Yin et al. Carbohydrate-macrocycle conjugate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KR101341195B1 (ko) 제니핀을 함유하는 유방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71244B1 (ko) 광감각제를 함유하는 세포,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JP2022508234A (ja) ヒドランゲノールを有効成分とする脂肪形成抑制用及び体脂肪減少用の組成物
WO2023005875A1 (en) Photoactivatable prodrug nanoparticles for combined anti-angiogenesis and photodynamic therapy
Lan et al. CD44-Targeted Photoactivatable Polymeric Nanosystem with On-Demand Drug Release as a “Photoactivatable Bomb” for Combined Photodynamic Therapy–Chemotherapy of Cancer
KR20210032160A (ko) 종양세포 특이적 감응형 자가조립 나노약물복합체
CN102219812B (zh) 一种肿瘤靶向的脱氧葡萄糖复合药物及其制备方法
KR20160110762A (ko) 생리활성물질 전달을 위한 탄소나노입자-고분자 복합체의 합성과 이의 용도
KR101924214B1 (ko) 생리활성물질 전달을 위한 탄소나노입자-고분자 복합체의 합성과 이의 용도
WO2023066076A1 (en) Photocleavable prodrug-based nanomedicine for in-situ monitorable cancer therapy
KR101968398B1 (ko) 면역계 부작용이 억제된 암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578025B1 (ko) 초음파 감작제가 결합된 면역관문억제제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